아벨 변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벨 변환은 임의의 자연수와 복소수 또는 가군 원소의 두 묶음에 대해 성립하는 공식으로, 급수의 수렴 판정에 활용된다. 이 변환은 두 수열의 부분합을 부분 적분과 유사하게 표현하며, 교대급수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 아벨 판정법, 크로네커 보조정리 등 다양한 급수 수렴 판정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아벨 변환은 뉴턴 급수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19세기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아벨 변환'''에 따르면, 임의의 자연수 및 두 묶음의 복소수 및 에 대하여,
아벨 변환은 교대급수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 아벨 판정법, 크로네커 보조정리 등 급수의 수렴과 관련된 여러 명제들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2] 특히, 아벨 판정법은 어떤 급수가 수렴할 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곱한 급수도 수렴함을 보이는 데 사용된다.
두 개의 수열 과 이 주어졌을 때, 에 대해 급수의 합 을 생각해 보자.
2. 정의
:
라고 하였을 때,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6]
: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및 -가군 , , 및 -쌍선형 변환 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자연수 및 두 묶음의 가군 원소 및 에 대하여,
:
라고 하였을때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
이는 단순히 식을 전개하고 재배열하여 증명할 수 있다.
두 개의 수열 와 가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전방 차분 연산자 를 사용하여 더 간결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다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두 개의 주어진 수열 과 에 대해, 일 때, 다음 급수의 합을 연구하고자 한다.
:
만약 로 정의하면, 모든 에 대해 이고,
결과적으로 이 과정을 아벨 변환이라고 부른다.
3. 응용
아벨 변환은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분야에 응용된다.3. 1. 급수 수렴 판정
아벨 변환은 교대급수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 아벨 판정법, 크로네커 보조정리 등 급수의 수렴과 관련된 여러 명제들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2]
두 수열 과 에 대해, 일 때, 다음 급수의 합을 고려한다.
:
로 정의하면, 모든 에 대해 이 성립하며, 다음을 얻는다.
:
결과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
이 과정을 아벨 변환이라 하며, 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3. 1. 1. 교대급수 판정법
아벨 변환을 사용하면 교대급수 판정법의 수렴성을 증명할 수 있다.
3. 1. 2. 디리클레 판정법
아벨 변환은 급수의 수렴성을 증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디리클레 판정법을 증명할 때 아벨 변환이 사용된다.
두 수열 과 에 대해, 라는 급수의 합을 생각해보자. 여기서 라고 정의하면, ()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변형을 아벨 변환이라고 하며, 이 식을 통해 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여러 방법들을 증명할 수 있다.
3. 1. 3. 아벨 판정법
이 기법을 사용하여 아벨 판정법을 증명할 수 있다. 즉, 이 수렴하는 급수이고, 이 유계인 단조 수열이면 이 수렴한다.[2]
'''아벨 판정법의 증명.''' 부분합을 사용하면,
여기서 ''a''는 의 극한이다. 이 수렴하므로 은 에 관계없이 유계이며, 로 나타낼 수 있다. 가 0으로 가므로 처음 두 항도 0으로 간다. 세 번째 항은 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에 의해 0으로 간다. 나머지 합은
와 같이 의 단조성에 의해 유계이며, 일 때 0으로 간다.
위와 동일한 증명을 사용하여 다음을 보일 수 있다.
# 부분 합 이 에 관계없이 유계 수열을 형성하고,
# (따라서 합 이 이 무한대로 갈 때 0으로 간다.)
#
그러면 이 수렴한다.
두 경우 모두 급수의 합은 다음을 만족한다.:
3. 1. 4. 크로네커 보조정리
아벨 변환은 크로네커 보조정리를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2] 크로네커 보조정리는 확률론에서 대수의 강한 법칙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2]
4. 예
만약 로 정의하면, 모든 에 대해 이 성립한다. 이를 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얻는다.
:
이러한 과정을 아벨 변환이라고 하며, 이 변환은 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등차수열의 합, 제곱수의 합, 교대급수 등이 아벨 변환의 예시이다.
4. 1. 등차수열의 합
아벨 변환을 이용하여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처음 개의 양의 정수의 합
:
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라고 하면, 첫 번째 수열의 부분합은
:
이다. 따라서, 등차수열의 합에 아벨 변환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우변의 급수를 이항하고 양변을 2로 나누면, 처음 개의 양의 정수의 합
:
을 얻는다.[1]
4. 2. 제곱수의 합
아벨 변환을 이용하여 제곱수의 합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거듭제곱수의 합을 귀납적으로 구할 수 있다.
제곱수의 합
:
을 생각하자.
:
이라고 하였을 때,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에 따라
:
이다. 아벨 변환을 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다. 따라서, 제곱수의 합은
:
이다.
4. 3. 교대급수
교대급수 판정법에 따라, 는 수렴한다. 이 교대급수의 부분합에 대하여 아벨 변환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로 놓으면,
이다.
따라서 아벨 변환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는 바닥 함수).
:
여기에 극한 를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
새로운 급수는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교대급수 역시 수렴한다.
5. 뉴턴 급수를 이용한 표현
아벨 변환은 뉴턴 급수를 이용하여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초기 공식의 반복 적용 결과이다.
보조 수량은 다음과 같은 뉴턴 급수이다.
:
:
:
여기서 는 이항 계수이다.
6. 역사
7. 유사 개념
아벨 변환은 부분 적분 및 아벨의 합 공식과 유사하다. 부분 적분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아벨의 합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아벨 변환은 세미마팅게일에 대한 부분 적분 공식과도 유사한 형태를 띤다.
:
아벨 변환은 특정한 체나 벡터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7. 1. 부분 적분법
두 수열 와 가 있을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전방 차분 연산자 를 사용하면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
이는 연속 함수에 대한 부분 적분 공식과 유사하다.
:
부분 적분 공식에서 두 함수의 곱 중 하나는 적분되고(는 가 됨) 다른 하나는 미분되는(는 가 됨) 것처럼, 아벨 변환에서도 두 수열 중 하나는 합산되고(은 이 됨) 다른 하나는 차분된다(은 이 됨).
부정 합에 관한 부분 합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이는 부정 적분에 관한 부분 적분의 이산적인 형태이다.
참조
[1]
논문
Abel's lemma on summation by parts and basic hypergeometric series
[2]
논문
Sums of powers of the natural numbers
[3]
논문
Summation by Parts for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s for d/dx
1994-01
[4]
논문
Summation by parts operators for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s of second derivatives
2004-09
[5]
논문
Time-Stable Boundary Conditions for Finite-Difference Schemes Solving Hyperbolic Systems: Methodology and Application to High-Order Compact Schemes
1994-04
[6]
서적
해석학 입문
경문사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