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시는 인류가 수만 년 전부터 사용해 온 사냥 및 전쟁 도구로, 활과 화살을 통칭한다. 초기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발견되었으며, 마지막 빙하기 이후 전 세계로 퍼졌다. 활은 단일궁, 복합궁, 장궁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사냥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스포츠와 레저 활동으로도 활용되며, 양궁, 국궁 등이 있다. 활은 단순한 무기를 넘어 문화적 상징으로도 사용되며, 한국의 국궁은 전통 무예로, 심신 수련의 방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시 - 반곡궁
    반곡궁은 곡선 형태의 팔을 가진 활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첨단 소재를 사용하여 올림픽 양궁의 주요 종목으로 발전했지만, 전통 활쏘기 문화와의 단절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 궁시 - 장궁
    장궁은 궁수의 키만큼 긴 활로, 강력한 위력을 위해 시위를 강하게 당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보병 무기로 널리 쓰였고 일본에서는 무사의 기승사 무술에 활용되었으며 잉글랜드 롱보우의 활약, 동아시아 와궁 등으로 발전하여 전쟁, 사냥, 현대 레크리에이션과 궁술 경기에 사용되고 기원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연구가 있다.
  • 문장학의 도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문장학의 도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궁시
개요
종류원거리 무기 시스템, 스포츠 장비
설명
활과 화살활을 사용하여 화살을 발사하는 원거리 무기 시스템 및 스포츠 장비이다.

2. 역사

활과 화살의 기원은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후 약 12,000년 전, 활의 사용은 오스트랄라시아오세아니아 대부분 지역을 제외한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17]

사보니아 역사적 지역의 문장에 묘사된 활과 화살


활은 활과 화살만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냥터나 전장 등에서는 활, 화살 외에 몇 가지 도구를 함께 사용한다. 예를 들어, 화살을 상당수 휴대하는데, 활을 사용할 때는 양손을 사용하므로 화살은 가볍고 가는 용기( 바구니 등, 화살통 )에 넣어 허리에 차거나 등에 메고 다닌다.

활은 석기 시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수렵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도 생활을 위해 활로 수렵을 하는 지역이나 사람들이 있다. 육상 동물뿐만 아니라, 수중 동물 사냥(어업)에 활을 사용하는 부족도 있다.

활은 무기로도 사용되어 왔다. 예로부터 세계 각지에서 스포츠 및 심신 단련을 위한 궁술이 행해지고 있다. 서양의 양궁, 일본의 궁도 등이 대표적이다.

활은 세계 각지의 종교와 연결되어 신화 속 신들과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역사 이야기나 고사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부터 신사에서 활을 다루었으며, 궁술과 궁도는 무사의 소양으로 여겨져 일본 전통 문화로 뿌리내렸다.

활은 하프(수금)의 기원이기도 하며, 세계 각지의 현악기 발상과도 관련이 깊다. 일부 불씨를 일으키는 도구의 기원이기도 하다.

150px


북미 원주민이 초기에 사용한
장궁의 통나무 활 복제품


곡선형 단궁(콤포지트 보우) 복제품: 몽골 훈족의 활

2. 1. 초기 역사

스키타이인이 활을 쏘는 모습, 판티카페움(현대 케르치), 기원전 4세기


활과 화살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부두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화살촉으로 추정되는 유물은 약 72,000~6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7][8][9][10][11]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화살촉은 2020년 스리랑카의 파 히엔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48,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13]

약 54,000년 전에 사용된 프랑스 남부의 그로트 망드린에서 발견된 작은 돌 조각은 투사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 흔적이 있으며, 일부는 화살촉 이외의 실용적인 용도로는 사용하기에 너무 작다.[14] 이것들은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의 현생 인류 집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16]

유럽에서 발견된 활과 화살의 가장 오래된 확실한 유물은 독일에서 발견된 만하임-포겔슈탕(Mannheim-Vogelstang) 파편(기원전 17,500~18,000년)과 슈텔무어(Stellmoor) 파편(기원전 11,000년)이다.[18] 케냐의 투르카나 카운티에 있는 나타루크 유적지에서 발견된 흑요석 조각들은 약 10,000년 전에 돌촉 화살이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19] 가장 오래된 온전한 활은 덴마크의 홀메고르 활로, 기원전 9,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덴마크 홀메고르에서 발견된 여러 활은 8,000년 전의 것이다.[20]

2. 2. 고대 사회

활은 선사 시대부터 16세기에 화약 무기가 널리 사용될 때까지 사냥과 전쟁 모두에 중요한 무기였다. 고대 전쟁에서도 활이 흔하게 사용되었지만, 특정 문화권에서는 활을 선호하지 않았다. 그리스 시인 아르킬로코스는 활과 투석기를 사용한 전투에 경멸을 표했다.[22]

고대 이집트와 그 너머에서 누비아 궁수들의 기술은 명성이 높았다.[23] 이들의 활에 대한 숙련도는 그들의 땅에 고대 이집트어로 "활의 땅"이라는 의미인 ''타-세티''(Ta-Seti)라는 이름을 부여했다.[23][24]

2. 3. 중세 시대

정복왕 윌리엄 통치부터 중세 시대 말까지 장궁은 잉글랜드의 주요 전쟁 무기였다.[25] 칭기즈 칸몽골군짧은 활을 사용하여 유라시아 대초원의 상당 부분을 정복했다. 한편, 고려 최무선이 화약 무기를 개발하기 전까지 활은 한반도의 주요 무기 중 하나였다. 조선 시대에는 국궁이 무과 시험의 필수 과목이었고, 활쏘기 기술은 중요하게 여겨졌다. 특히 조선의 편전은 일반적인 활보다 사거리가 길고 위력이 강하여 대외 방어에 큰 역할을 하였다.

2. 4. 근대

16세기 화약 무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활은 전쟁 무기로서의 중요성이 감소했다.[21] 그러나 사냥스포츠, 레저 활동으로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18세기 후반, 영국의 상류층은 스포츠로서의 궁술을 부활시켰다.[30] 골동품 수집가인 애시턴 레버는 당시 웨일스 공이었던 조지 4세의 후원하에 1781년 런던에서 톡소필라이트 협회를 결성했다.

2. 5. 현대

현대에도 활은 양궁, 국궁 등 스포츠 및 레저 활동으로 인기가 있다. 올림픽 양궁 종목에서 한국은 세계 최강국으로,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일부 특수 부대에서는 생존 및 은밀한 작전을 위해 활을 사용하기도 한다.[31][32][33][34] 한국의 전통 활쏘기인 국궁은 전통 무예로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활쏘기 기술뿐 아니라 심신 수련을 위한 방법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3. 활의 구조 및 제작

기원전 800년경 신장 박물관에 소장된 수베시 문화의 활


현대 활은 손잡이로 연결된 한 쌍의 구부러진 탄성 현을 가지며, 전통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진다. 자체 활인 영국 장궁은 두 개의 현과 손잡이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다. 각 현의 끝은 활 시위라고 하는 줄로 연결된다.[5] 활시위를 뒤로 당기면 궁수는 현을 향하는 부분(활의 배)에 압축력을 가하고, 외부 부분(활의 등)에 장력을 가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활시위를 완전히 당긴 상태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인장 중량 또는 무게라고 하며, 활의 힘을 나타낸다.[35][36]

활의 현대적인 구조 재료에는 합성 목재, 유리 섬유, 금속,[40] 탄소 섬유 등이 있다.

3. 1. 활의 기본 구조

활은 탄성이 있는 호 모양의 몸체와, 고강도의 시위로 구성되며, 활의 두 팔 끝을 연결한다. 현대 활의 기본 요소는 손잡이로 연결된 한 쌍의 구부러진 탄성 현이며, 전통적으로는 목재로 만들어진다. 자체 활인 영국 장궁은 두 개의 현과 손잡이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다. 각 현의 끝은 활 시위로 연결된다.[5] 활시위를 뒤로 당기면 궁수는 현을 향하는 부분(활의 배)에 압축력을 가하고, 외부 부분(활의 등)에 장력을 가한다. 활시위를 잡고 있는 동안, 이것은 나중에 화살을 날리는 데 사용될 에너지를 저장한다. 활시위를 완전히 당긴 상태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활의 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인장 중량 또는 무게라고 한다.[35][36]

활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맨 위의 현: 상부 현
  • 하부 현: 하부 현
  • 각 현의 끝: 노크 (활시위를 현에 부착하는 데 사용)
  • 손잡이: 궁수가 잡는 부분
  • 화살 받침대: 조준 시 화살이 놓이는 손잡이 위의 작은 선반이나 연장 부분
  • 활 창: 손잡이 위의 부분, 화살 받침대가 있음[5]


복합 활은 여러 재료를 조합하여 현을 만든다. 이를 통해 활 현의 서로 다른 기능에 특화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전적인 복합 활은 코어에서 가볍고 치수 안정성을 위해 나무를 사용하고, 압축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뿔을 사용하며, 장력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을 위해 힘줄을 사용한다. 이러한 활은 일반적으로 아시아에서 사용되며, 현 끝에 딱딱한 끝부분을 사용하여 리커브 효과를 낸다.[38]

시현줄에는 화살을 발사하기 전에 화살이 시현줄에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노킹 포인트를 표시할 수 있다.[51] 노킹 포인트 주변은 일반적으로 사수의 손에 의한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로 묶는다. (서빙)[52] 시현줄의 한쪽 끝에는 영구적인 고리가 형성된다. 다른 쪽 끝에도 고리가 있지만, 시현줄에 영구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끈에 매듭을 묶어 고리를 만든다.

시현줄은 역사적으로 아마, 견사, 과 같은 섬유를 포함하여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었다.[54] 동물 내장, 동물 힘줄, 생가죽도 사용되었다. 다크론 또는 케블라와 같은 현대적인 섬유는 현재 상업용 시현줄 제작에 사용되며, 일부 컴파운드 보우에서는 강철 와이어도 사용된다.[55]

활은 사용된 재료, 허용되는 당기는 길이, 측면에서 본 모양, 단면에서의 활 시위 모양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58][59] (단일하게 인정되는 체계는 없다.[57])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의 설명자는 다음과 같다.

  • 직궁: 옆에서 볼 때 거의 일직선인 활.
  • 리커브 활: 궁수의 반대 방향으로 활 끝이 굽은 활.
  • 리플렉스 활: 줄을 매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 팔이 궁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은 활.


일본 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활 (유미)시위 (츠루)화살 (야)


3. 2. 활의 재료

전통적으로 활은 나무, 뿔, 힘줄과 같은 천연 재료로 만들어졌다. 현대에는 유리 섬유, 금속,[40] 탄소 섬유와 같은 재료도 사용된다.

복합궁은 여러 재료를 조합하여 만드는데, 활의 각 부분마다 다른 기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한다. 고전적인 복합궁은 가볍고 안정적인 나무를 중심부에 사용하고, 압축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뿔을, 장력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힘줄을 사용한다. 이러한 활은 주로 아시아에서 사용되었으며, 활 끝에 딱딱한 끝부분을 추가하여 리커브 활의 효과를 냈다.[38]

한국의 전통 활인 각궁은 물소 뿔, 소 힘줄, 대나무 등 복합 재료로 만들어져 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3. 3. 활의 종류

활은 형태, 재료, 용도, 크기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활을 분류하는 데는 단일하게 인정되는 체계가 없다.[57] 활은 사용된 재료, 허용되는 당기는 길이, 측면에서 본 활의 모양, 단면에서의 활 시위의 모양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58][59]

현대에는 합성 목재, 유리 섬유, 금속,[40] 및 탄소 섬유와 같은 재료도 활 제작에 사용된다. 활은 길이에 따라 장궁, 단궁, 소형궁으로 분류되지만, 이 분류는 연구자에 따라 구체적인 구분이 다르다.[81]

궁시에서 파생된 것으로는 양궁총(기계궁의 일종)과 대형 기계궁 등이 있다. 현재는 대형 기계궁은 사라졌다. 양궁총은 스포츠로 즐겨지고 있다.[87]

  • 양궁: 유럽 전반에 보급된 활의 길이가 짧은 활로, 말 위에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리커브 보우나 컴파운드 보우를 의미하며, 동양의 단궁과 분류상 명확한 구분이 없다. 중화 문명권에서는 단순히 활이라고 한다. 올림픽 경기로서의 양궁에 사용되는 활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지만, 양궁은 활을 사용한 사격을 모두 나타내는 영어 단어이므로 유비(流鏑馬)도 양궁이라고 영어권에서는 표현된다. 양궁의 상대어로 총을 사용한 사격을 사격이라고 한다.
  • 롱보우: 길이가 긴 활로, 만곡형의 활을 가리키며, 리커브 보우나 컴파운드 보우의 상대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영국웨일스 지방의 롱보우가 특히 알려져 있으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완력이 필요하다. 대부분 단궁으로 활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무거워서, 궁보병이 사용했다고 한다. 롱보우의 길이가 긴 활이라는 의미에서 일본 외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희귀한 물건이다.

화살을 쏘는 카타펄트: 고대 그리스

  • 쇠뇌: 보우건(bowgun)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적은 힘으로 활을 당길 수 있고 큰 힘으로 화살을 날릴 수 있지만, 연사성이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양궁과 총을 합친 형태를 띠어 양궁총이라고도 한다.
  • 발리스타: 유럽에서 사용된 공성 무기의 일종으로, 대형 기계궁으로 화살뿐만 아니라 포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 형태는 대형 양궁총에 방패사다리를 갖춰 고정식으로 만든 것이다.
  • 카타펄트: 투석기라고 불리는 대형 기계궁으로, 주로 포탄이나 돌 등을 발사하며 활과 화살보다는 기계나 병기에 가깝다.

3. 3. 1. 형태에 따른 분류


  • 직궁: 옆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선 형태인 활이다. 이러한 활은 직궁이라고 불리지만, 나무 자체의 자연스러운 굽음이 약간 있을 수 있으며, 사용 후 나무 활이 가지는 "셋" 또는 곡률이 있을 수 있다.[57]
  • 반곡궁: 활 끝이 궁수의 반대 방향으로 굽은 활이다. 활을 당기면 곡선이 펴지고, 화살을 놓은 후 활 끝이 다시 굽은 상태로 돌아가면서 화살에 추가적인 속도를 더한다.[60]
  • 반사궁: 줄을 매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 팔이 궁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은 활이다. 굽은 부분은 활을 당길 때 활이 굽는 방향과 반대이다.[60]
  • 분리형 활: 운반을 위해 분해할 수 있는 활로, 일반적으로 두 개의 활 시위와 손잡이, 그리고 시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컴파운드 보우: 활시위를 당기는 데 도움을 주는 기계 증폭기가 있는 활이다.
  • 석궁: 화기 개머리판과 유사한 프레임 위에 수평으로 장착된 활이다.

3. 3. 2. 재료에 따른 분류

; 단일궁

: 나무 한 조각으로 만든 활이다.[52] 활의 몸통이 단일 재료로 구성된 활[79]로, 유럽과 아프리카의 활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79] 활의 몸통 단면이 둥근 것을 둥근 활(둥근 나무 활, 목궁), 편평한 것을 평활이라고 한다.[79] 보강이나 장식을 위해 식물 덩굴, 등나무, 자작나무 껍질, 실이나 끈, 금속 등을 감은 것은 감는 활이라고 한다.[79]

; 복합궁

: 여러 재료를 조합하여 만든 활이다.[58] 나무나 대나무, 동물의 뿔, 동물성 섬유, 금속 등을 조합한 활[80]로, 메소포타미아, 아라비아, 페르시아, 북아시아 등에서 볼 수 있다.[80]

3. 3. 3. 단면 형태에 따른 분류

장궁(longbow)은 단면이 둥근 형태의 활로, 궁수의 키와 거의 같거나 더 크다. 전통적인 영국 장궁은 주목으로 만들어졌지만,[61] 다른 나무도 사용된다.[62] 플랫보우(flatbow)는 활의 단면이 직사각형에 가깝다. 플랫보우는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57][58][59]

3. 3. 4. 기타


  • 분리형 활(take-down bow): 운반을 위해 분해할 수 있는 활로, 일반적으로 두 개의 현과 손잡이, 그리고 시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컴파운드 보우(compound bow): 활시위를 당기는 데 도움을 주는 기계 증폭기가 있는 활이다. 이러한 증폭기는 활 시위 끝에 있는 비대칭 도르래인 ''캠'' (캠)으로, 활을 완전히 당긴 상태에서 기계적 이점(''렛오프'')을 제공한다.[63] 이러한 활은 일반적으로 높은 당김 무게를 가지며, 일관된 깔끔한 발사를 위해 방아쇠 메커니즘이 있는 릴리즈 에이드로 당겨진다.
  • 석궁(crossbow): 화기 개머리판과 유사한 프레임 위에 수평으로 장착된 활로, 활 시위를 완전히 당긴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이 있다.[64] 석궁은 일반적으로 일반 화살이 아닌 볼트 또는 "쿼렐"이라고 하는 화살 모양의 다트를 발사한다.[65]
  • 풋보우: 누워서 다리와 팔을 사용하여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활로, 현재 가장 멀리 화살을 쏜 거리 기록에 사용되었다.[66]
  • 단일궁(단체궁, 단재궁, 단궁): 활의 몸통이 단일 재료로 구성된 활[79]이며, 유럽과 아프리카의 활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79] 활의 몸통 단면이 둥근 것을 둥근 활(둥근 나무 활, 목궁), 활의 몸통 단면이 편평한 것을 평활이라고 한다.[79] 보강이나 장식을 위해 식물 덩굴, 등나무, 자작나무 껍질, 실이나 끈, 금속 등을 감은 것은 감는 활이라고 한다.[79]
  • 복합궁: 활의 몸통에 나무나 대나무, 동물의 뿔, 동물성 섬유, 금속 등 여러 재료를 조합한 활[80]로, 메소포타미아, 아라비아, 페르시아, 북아시아 등에서 볼 수 있다.[80] 일부 도르래를 갖춘 것은 컴파운드 보우('''화합궁''')라고도 한다.
  • 백목궁(素木弓): 칠이나 장식이 칠해지지 않은 활[78]이다. 일본에서는 활의 위아래에 엇매는 矢摺籐(야스리토)와 키리쯔메토(切り詰め籐)를 제외하고 장식이나 칠(옻칠 등)이 없으면 백목궁으로 취급한다.[78]
  • 식궁(飾弓): 옻칠 등의 칠이나 樺皮(자작나무 껍질)나 籐(등나무), 실 등의 장식이 칠해진 활[82]이다.
  • 양궁총: 기계궁의 일종으로, 스포츠로 즐겨지고 있다.[87]
  • 대형 기계궁: 현재는 사라졌다.

4. 화살

화살의 각 부분을 보여주는 도식도.


화살은 일반적으로 앞쪽 끝에 화살촉이 부착되고, 다른 쪽 끝에는 깃과 깎지를 가진 자루로 구성된다.[42] 화살의 크기는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며,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발사해야 하는 매우 짧은 화살부터 아마존강 정글에서 사용되는 약 2.59m 길이의 화살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현대 화살은 길이가 56cm에서 76cm이다.[42]

화살에는 가슴형, 꼬리형, 통형, 클루트형, 표적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42] 가슴형 화살은 깃털 바로 뒤쪽이 가장 두껍고 깎지와 머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43] 꼬리형 화살은 머리 바로 뒤쪽이 가장 두껍고 깎지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48] 통형 화살은 화살 중앙이 가장 두껍다.[44] 표적 화살은 전쟁이나 사냥이 아닌 표적 사격에 사용되는 화살로, 일반적으로 단순한 화살촉을 가지고 있다.[45]

안전을 위해 활은 깎지가 없는 화살로 발사해서는 안 된다. 화살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발사체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대신 활 자체로 전달되어 활의 시위를 손상시킨다.[46]

4. 1. 화살의 구조

화살은 일반적으로 촉, 대, , 오늬로 구성된다.[42] 현대 화살의 재료로는 탄소 섬유, 알루미늄, 유리 섬유, 나무 등이 쓰인다. 탄소 섬유 화살대는 휘어지지 않지만, 가볍고 비싸다. 알루미늄 화살대는 탄소 섬유 화살대보다 저렴하지만, 사용하다 보면 휜다. 나무 화살대는 가장 저렴하지만, 무게와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잘 부러진다.[41] 화살의 크기는 문화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의 현대 화살은 길이가 56cm에서 76cm이다.[42]

화살의 종류는 가슴형, 꼬리형, 통형, 클루트형, 표적형 등이 있다.[42] 가슴형 화살은 깃털 바로 뒤쪽이 가장 두껍고 깎지와 머리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43] 꼬리형 화살은 머리 바로 뒤쪽이 가장 두껍고 깎지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48] 통형 화살은 화살 중앙이 가장 두껍다.[44] 표적 화살은 표적 사격에 사용되는 화살로, 일반적으로 단순한 화살촉을 가지고 있다.[45]

안전을 위해 활은 깎지가 없는 화살로 발사해서는 안 된다. 화살이 없으면 발사체로 전달되어야 할 에너지가 활 자체로 전달되어 활의 시위를 손상시킨다.[46]

4. 2. 화살의 재료

전통적으로 화살대는 나무, 갈대 등으로 만들어졌다.[42] 현대에는 탄소 섬유, 알루미늄, 유리 섬유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42] 탄소 섬유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활에서는 발사하기에 무게가 너무 가볍고 비쌀 수 있다. 알루미늄 화살대는 탄소 섬유보다 저렴하지만 사용으로 인해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다. 나무 화살대는 가장 저렴한 옵션이지만 무게와 크기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다른 유형의 화살대보다 더 자주 부러진다.[41]

4. 3. 화살촉의 종류

화살촉은 화살의 끝부분으로, 과녁을 맞히는 역할을 한다. 화살촉은 보통 텅이나 소켓을 이용해 화살대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품이다. 과거에는 부싯돌, 뼈, 뿔, 금속 등으로 화살촉을 만들었지만, 현대에는 대부분 강철로 만든다. 나무 등 전통적인 재료로 만든 화살촉도 여전히 사용된다. 화살촉은 종류가 다양한데, 가장 흔한 것은 보드킨, 브로드헤드, 파일이다.[47]

  • 보드킨: 금속으로 만든 뾰족한 형태로, 갑옷을 뚫는 데 사용되었다.[48]
  • 브로드헤드: 삼각형이나 잎 모양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어 사냥에 주로 사용된다.[49]
  • 파일: 금속 원뿔 모양으로, 뾰족하거나 뭉툭하며 주로 표적 사격에 사용된다. 화살대와 같은 굵기이며, 화살 끝에 꽂아 사용한다.[50]


이 외에도 끝이 평평한 둔두(blunt head)는 작은 동물이나 새를 사냥할 때 사용하는데, 과녁을 뚫거나 나무 등에 박혀 회수가 어려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48] 작살 모양의 화살촉은 전쟁이나 물고기 사냥 등에 사용되었다.[42]

5. 활과 함께 사용하는 도구

화살통은 화살을 보관하고 휴대하기 위한 도구이다. 선사 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하니와에도 화살통이 묘사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矢入れ(야이레)라고도 불렸으며, 의례용, 전투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특히 전투용 화살통은 활과 화살의 발전에 맞춰 함께 개량되었다.

화살통의 종류
명칭설명
靭(유기)고대 일본에서 사용하던 화살통
胡祿・胡(야나구이)
箙(에비라)
空穂(우츠보)
尻籠・矢籠(시리코)
矢筒(야통)



유럽 등 축산이나 수렵이 성행하는 지역에서는 가죽으로 만든 화살통을 주로 사용했다. 말에 벨트를 사용하여 묶거나, 허리나 등에 끈을 통과시켜 등에 지는 방식으로 휴대했다. 뚜껑이 달린 종류도 있다.[90][91]

관시석궁에 사용하는 볼트를 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 레일이다. 한국에서는 편전(애기살)이라고 불렀다.[92]

편전의 장단점
장점단점


6. 활쏘기

활은 반강성이면서 탄성이 있는 호로 구성되며, 고강도의 시위가 활의 두 팔의 끝을 연결한다. 화살은 발사체로, 화살촉이 뾰족하고 뒤쪽에는 안정 장치 (깃털)이 있는 긴 자루가 있으며, 맨 뒤에는 시위에 닿는 좁은 홈(''넉'')이 있다. 빠른 재장전을 위해 추가 화살을 보관하는 용기나 가방을 ''화살통''이라고 한다.[5]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활의 시위를 ''풀어서'' 보관하는데, 이는 활 시위의 한쪽 또는 양쪽 끝이 활에서 분리된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면 활에 가해지는 모든 잔류 장력이 제거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나 탄성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많은 활 디자인은 또한 활이 더 완전히 펴지도록 하여 활을 보관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줄인다. 시위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활 ''시위 걸기''라고 한다.

6. 1. 기본 자세

활을 쏘기 위해 화살을 장전하려면 궁수는 활의 중간에 화살을 놓고 시위를 화살의 넉에 걸친다. 활을 쏘기 위해 궁수는 한 손으로 활의 중앙을 잡고 다른 손(일반적으로 주된 손)으로 화살과 시위를 뒤로 당긴다(드로우). 이렇게 하면 활의 두 팔이 뒤로 굽혀져 한 쌍의 캔틸레버 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하여 탄성 에너지를 저장한다.[5]

드로우를 유지하면서 궁수는 직관적으로 또는 화살을 따라 조준하여 쏜다. 그런 다음 궁수는 드로우를 풀고(로스) 활의 저장된 에너지를 시위를 통해 화살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높은 속도로 앞으로 날아가게 한다.[5]

1908년 궁술 교본에서 활을 당기는 모습

6. 2. 한국 전통 활쏘기(국궁)

국궁은 단순한 무술을 넘어 심신 수련을 위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국궁의 기본 자세와 기술은 양궁과 유사하지만, 활의 형태, 사용되는 화살, 사법(射法) 등이 다르다. 국궁에서는 '집궁제원칙(執弓諸原則)'이라는 기본 원칙에 따라 활을 쏘며, 예의와 절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7. 활과 관련된 문화

왼팔에 "토모(鞆)"를 끼고 있다]]

신토나 고신토와 관련된 활은 기술 향상, 액을 쫓는 주술, 저주 등 다양한 의미를 지녔다.

7. 1. 한국 문화 속 활

한국의 신화나 설화에는 활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7. 2. 세계의 신화와 종교 속 활

세계 각지의 신화와 종교에서 활은 신성한 힘을 가진 무기나 상징으로 등장한다.

; 힌두교

  • 시바 - 4개의 팔에 금강저, , 활, 화살, 을 가진 신이다. 활은 피나카, 화살은 파스파타라고 불린다.[98]
  • 비슈누 - 사룽가라는 태양의 빛으로 만들어진 활과, 불꽃과 태양의 빛으로 이루어져 날개를 가진 화살을 지닌 신이다.[98]
  • 인다라 - 풍우와 뇌를 조종하며, 무지개를 활로 사용하는 신이다.
  • 카마데바 - '사탕수수 활'과 '5개의 꽃 화살'로 이루어진 '사랑의 활과 화살'을 가진 신이다.
  • * 마라 - 카마를 기원으로 하며 불교・밀교에서는 아이젠 묘오라고 하며, 천상계의 최고신으로 활을 가진 신이다. 사랑의 활과 화살의 효능으로 인해 인연을 맺어주는 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 로마 신화

  • 큐피드 - 화살에 맞은 자는 사랑에 빠지거나 실연을 한다. 카마데바와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99]


; 일본 신화 및 종교

일본에서는 활과 화살의 신이 아니라 "궁시신"이라는 하나의 단어가 되어 있으며, 오진 천황([하치만 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 『고지키』・신토
  • * 오진 천황 - 활과 화살의 신으로서 현재도 다양한 신사에서 모셔지고 있다.
  • ** 하치만 신 - 하치만 대보살이라고도 하며, 오진 천황을 뜻하기도 하지만, 오진 천황을 주신으로 하여 진구 황후, 비매신을 함께 하치만 삼신으로 여기는 활과 화살의 신이다.
  • * 야마사치히코 -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사냥의 신이다.
  • * 아메노와카히코 - 영력을 가진 아마노마카고유미라는 활과, 아마노하바야라는 화살을 지닌 활과 화살의 신이다.


다양한 문화에서 활과 화살은 특별한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스 신화나 일본에서 "원시(遠矢)·원사(遠矢射)"라고 불리는 힘으로 특별시되었으며, "에로스의 활과 화살"이나 "아메노야스"처럼 주술적인 의미가 부여되었다. 보이지 않는 마물이나 악을 물리치는 무기나 악기처럼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명현(鳴弦)"이나 현대에 전해지는 "파마궁" 등이 그 예시이다.

7. 3. 활과 관련된 용어

활과 관련된 많은 용어들이 한국어에 남아있다.

  • 과녁: 원래 활과 화살을 의미했지만, 연습이나 제례에 사용되는 과녁을 대상으로 하는 활과 화살, 또는 과녁을 쏘는 행위(사격)나 과녁장을 가리킨다.
  • 명중하다: 바라는 것을 손에 넣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금적을 명중시키다")
  • 금적(金的): 손에 넣고 싶은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금적을 명중시키다")
  • 사행심(射幸心): 우연히 얻는 행운이나 금품에 대한 기대감으로, 도박에서 기대값을 조절하여 참여자들의 심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축적(祝的): 신사에서 금적이나 은적에서 화살을 뽑는 의례로, 액운이나 귀신이 물러났음을 비유한다.
  • 정곡(図星): 사물의 숨겨진 의미나 의도를 간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 명중(的中): 예상대로 일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 과녁(的): 주목받는 대상이나 공격 대상을 의미한다. ("선망의 대상", "공격의 대상이 되다")
  • 빗나가다/과녁을 맞히다: 이야기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의사소통이 안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과녁을 맞히다'는 핵심을 파악했다는 의미이다. ("요점을 얻다"와 혼동될 수 있지만, "요점을 얻다"는 복권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 정곡을 찌르다/얻다 ⇔ 정곡을 잃다: 요점을 꿰뚫고 있다 ⇔ 요점에서 벗어나다.[96]
  • 눈도장을 찍다: 사물의 대략적인 본질을 간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활과 화살 관련 용어

  • 弓矢神(유미야가미): 활과 화살을 맡은 신으로, 무(武)의 신 또는 군신을 의미한다.
  • 弓箭組(유미야구미, 큐센구미): 나라 시대단바국(丹波国) 남구와타군(南桑田郡)과 후나이군(船井郡)에 설치되었다고 전해지는, 조정 경호를 담당했던 활과 화살에 뛰어난 사람들의 집단이다.
  • 弓矢取り(유미야토리):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사람, 즉 무사를 의미한다.
  • 弓矢取る身(유미야토루미): 무사인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 弓矢台(유미야다이): 조도카케(上胴懸)를 말하며, 에도 시대에 활과 화살을 장식한 받침대를 의미한다.
  • 弓矢の家(유미야노이에): 弓馬の家(큐바노이에)라고도 하며, 활과 화살 기술에 뛰어난 가계를 의미한다. 무가, 무문을 뜻한다.
  • 弓箭之士(유미야노시, 큐센노시): 무사, 궁병을 의미한다.
  • 弓矢の長者(유미야노쵸자): 활과 화살의 달인, 궁술에 뛰어난 사람, 활과 화살 명가의 수장, 궁술 유파의 개조, 무가수장을 의미한다.
  • 弓矢の道(유미야노미치): 弓馬の道(큐바노미치)라고도 하며, 활과 화살 기술, 궁술, 활과 화살 기술을 익히는 과정에서의 도의신조, 궁도, 무도, 무사도를 의미한다.
  • 弓矢の冥加(유미야노묘가): 활과 화살에 깃든 신불의 가호, 활과 화살에 종사하는 자가 느끼는 과보, 무사의 행복을 의미한다.
  • 弓矢八幡(유미야하치만): 하치만 신, 하치만 대보살을 가리키며, 동의어로 南無八幡(나무하치만)이 있다. 무사가 소원을 빌거나 맹세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 弓矢槍奉行(유미야야리부교): 에도 막부의 직책으로, 활, 화살, 창의 제조와 감수를 담당했다.
  • 弓折れ矢尽きる(유미오레야츠키루): 칼이 부러지고 화살이 다했다는 뜻으로, 싸울 수단이 없어 어찌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8. 현대 스포츠 및 레저 활동으로서의 활



현대 사회에서 활쏘기는 스포츠 및 레저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양궁과 국궁은 각각 올림픽 정식 종목과 전국체육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활쏘기는 집중력 향상, 신체 단련,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클럽이나 동호회 활동을 통해 활쏘기를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8. 1. 양궁

양궁은 국제 양궁 연맹(World Archery)의 규칙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며, 올림픽 양궁,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가 개최된다. 대한민국은 올림픽 양궁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세계 최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8. 2. 국궁

국궁은 한국 전통 활쏘기 방식으로, 전국체육대회 정식 종목이다. 국궁은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전통 무예이자 심신 수련 방법으로 여겨지며, 전국 각지에 국궁장이 있어 국궁을 즐기는 동호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80]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2]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3]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 논문 Middle Stone Age bone tools from the Howiesons Poort layers, Sibudu Cave, South Africa
[7] 논문 The Howieson's Poort industry of Sibudu Cave https://www.research[...]
[8] 논문 Indications of bow and stone-tipped arrow use 64,000 years ago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9] 논문 Quartz-tipped arrows older than 60 ka: further use-trace evidence from Sibudu, Kwa-Zulu-Natal, South Africa
[10] 논문 The antiquity of bow-and-arrow technology: Evidence from Middle Stone Age layers at Sibudu Cave
[11] 논문 The tip cross-sectional areas of poisoned bone arrowheads from southern Africa
[12] 웹사이트 Clues to the earliest known bow-and-arrow hunting outside Africa have been found https://www.sciencen[...] 2020-06-12
[13] 논문 Bows and arrows and complex symbolic displays 48,000 years ago in the South Asian tropics
[14] 논문 Bow-and-arrow, technology of the first modern humans in Europe 54,000 years ago at Mandrin, France 2023-02-24
[15] 논문 Modern human incursion into Neanderthal territories 54,000 years ago at Mandrin, France
[16] 논문 Bow-and-arrow, technology of the first modern humans in Europe 54,000 years ago at Mandrin, France 2023-02-24
[17] 웹사이트 Aboriginal Weapons and Tools https://austhrutime.[...] 2022-08-30
[18] 간행물 "La grotte du Bichon, un site préhistorique des montagnes neuchâteloises"
[19] 논문 Inter-group violence among early Holocene hunter-gatherers of West Turkana, Kenya https://www.reposito[...]
[20] 논문 The origins and early elaboration of projectile technology
[21] 서적 Background to Archaeology
[22] 서적 The Greek State at War: Part 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23] 서적 Ancient Nubia: African Kingdoms on the Nile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2
[24] 논문 Ethiopica: Some Historical Reflections on the Origin of the Word Ethiopia https://www.jstor.or[...] 2004
[25] 서적 Longbow: A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aynes Publishing PNC
[26] 웹사이트 washingtonpost.com: History of Archery and the NAA https://www.washingt[...]
[27] 웹사이트 Bow made by Noah Piagguttuq 1994 http://www.britishmu[...]
[28] 웹사이트 History of Bows http://www.archery-d[...] 2016-12-16
[29] 간행물 Kenyan Tribes Wage a War With Bows and Arrows – Photo Essays https://content.time[...]
[30] 논문 Archery, Romance and Elite Culture in England and Wales, c. 1780–1840 https://swansea.acad[...]
[31] 서적 The Handbook Of The SAS And Elite Forces. How The Professionals Fight And Win Robinson Publishing Ltd
[32] 웹사이트 Right tool for the job: Bow and arrow in modern warfare https://special-ops.[...] 2021-01-12
[33] 웹사이트 Behind The Photo: Why This MACV-SOG Commando Carried A 55-pound Bow Into Battle https://coffeeordie.[...] 2022-07-06
[34] 웹사이트 Classic Special Forces footage shows the deadly value of a bow and arrow in combat https://sofrep.com/n[...] 2019-09-12
[35]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36] 서적 Beginner's Guide
[37] 서적 Beginner's Guide
[38]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39] 서적 Target Archery
[40] 서적 Archery
[41] 서적 Beginner's Guide
[42]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3]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4]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5]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6] 서적 Fundamentals of Bowhunting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022-07-29
[47]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8]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49]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0]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1]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2]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3] 서적 Archery
[54] 웹사이트 Grow Your Own Bowstring http://www.primitive[...] 2018-05-04
[55]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6] 웹사이트 DIY Bow Weapons Making Series DIY Projects Craft Ideas & How To's for Home Decor with Videos http://diyready.com/[...] 2014-05-15
[57]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58] 서적 Archery
[59] 웹사이트 Different Types of Bows https://huntingfello[...] 2022-04-26
[60]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1] 웹사이트 It had to be yew https://web.archive.[...] Field and Roving Archery Society 2010-01
[62]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3]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4]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5] 서적 Encyclopaedia of Archery
[66] 뉴스 The Quest to Shoot an Arrow Farther Than Anyone Has Before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21-12
[67] 문서 紀元前500年頃(縮小模型)。
[68] 문서 弓矢(ゆみや) 広辞苑第六版
[69] 문서 弓矢(きゅうし) 広辞苑第六版
[70] 문서 弓矢 世界大百科事典第2版
[71]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72] 문서 北米先住民の[[W:Shoshone|ショション族]]による。
[73]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74]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75]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76] 문서 北米先住民のイヌイットが使用する。
[77] 문서 先史時代の中央アメリカで出土した。
[78]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79]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0]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1]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2]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3] 웹사이트 古代と 現代のリリース 射法について(モース著・日本語訳) https://archerreport[...] 2024-05-07
[84]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5]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6] 서적 弓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87] 문서 要出典 2020年6月
[88] 문서 [[ヤモリ]]が象られた。
[89] 서적 弾談義 六興出版 1982-01-01
[90] 웹사이트 善一田古墳群(ぜんいちだこふんぐん)・善一田古墳公園|大野城市 https://www.city.ono[...] 2024-02-01
[91] 웹사이트 古墳時代における金工品生産-付着する織物の加工技術についての分析を中心に- https://kaken.nii.ac[...] 2024-02-01
[92] 문서 黒部市誌 越中若栗城の女さむらい大将
[93] Youtube Archery: Special Ottoman Shooting with a Majra or Nawak / www.archery-thumbring.com https://www.youtube.[...]
[94] 문서 [[神主]]、[[巫女]]などの総称。
[95] 문서 [[祈祷師]]、[[口寄せ]]などともいわれる。
[96] 문서 『新明解国語辞典』, 第5版。
[97] 문서 言葉「'''やばい'''」の使用は古くからあり、1955年(昭和30年)5月発行の『[[広辞苑]]』第一版2144頁で[[形容詞]]「危険である」の隠語と推論され、さらに1969年(昭和44年)5月発行第二版2227頁では「やば」は不都合、けしからぬ、奇怪として『[[東海道中膝栗毛]]』の使用例を引用し、「危険」の使用例も示している。1915年(大正4年)5月発行[[京都府警察部]]出版、[[警視]][[富田愛次郎]]監修『隠語輯覧』二類、三類でも同様の意味合いで載ると[[復刻版]]の『隠語辞典集成』第2巻[[1996年]](平成8年)12月大空社発行(ISBN 4-7568-0333-4/-0337-7)は記載している。
[98] 문서 Rajasthan, Bundi作画,1730年:[[W:LACMA|ロサンジェルス州立美術館]] 所蔵。
[99] 웹사이트 吉祥天 https://kotobank.jp/[...]
[100] 문서 頭は[[サル]]、胴体は[[タヌキ]]、手足は[[トラ]]、尾は[[ヘビ]]。元は[[トラツグミ]]の不気味な鳴き声のみから想像したもので形は曖昧だったともいう。
[101] 문서 弓張り月と表記した場合は月のこと。
[102] 문서 (中程度の大きさ)[[W:Wrangell-St. Elias National Park|ランゲル・セント・エライアス国立公園]]:[[アラスカ州]]。
[103] 문서 題名''The Education of Achilles''作画Donato Creti, 1714年:ボローニャ美術館所蔵。
[104] 문서 [[アルブレヒト・デューラー]]画。
[105] 뉴스 천하제일의 장기 - 조선의 각궁 http://newsplus.chos[...] 조선일보 201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