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지 다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지 다하카는 아베스타어로 "뱀" 또는 "용"을 의미하며, 조로아스터교 경전과 페르시아 신화에서 악마적 괴물로 묘사된다.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세 개의 머리, 여섯 개의 눈, 세 개의 입을 가진 존재로, 샤나메에서는 자하크라는 이름의 사악한 인간으로 변모하여 폭군으로 묘사된다. 페레이둔에 의해 다마반드 산에 갇히지만, 종말에 부활하여 세상을 파괴할 운명을 지닌다. 아지 다하카는 페르시아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권의 대중문화 작품에서 모티프로 활용되었으며, 이란 혁명 당시 팔라비 국왕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아지'''(주격: ''ažiš'')는 아베스타어로 "뱀" 또는 "용"을 뜻하는 단어이다.[7] 이 단어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ahi''와 같은 어원을 가지며, 특별히 나쁜 의미는 없다.
아지 다하카는 조로아스터교의 가장 오래된 종교 경전인 아베스타에 등장하는 '아지'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오래 지속되는 존재이다. 그는 세 개의 입, 여섯 개의 눈, 그리고 세 개의 머리를 가진 교활하고 강력하며 악마적인 괴물로 묘사된다. 다른 면에서 아지 다하카는 인간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으며, 단순한 동물로 묘사된 적은 없다.
페르도우시는 서기 1000년경에 쓰여진 서사시 샤나메에서 자하크를 초자연적인 괴물이 아닌 사악한 인간으로 묘사했다. 자하크는 아랍 왕 메르다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잘생기고 영리했지만 불안정한 성격 탓에 아흐리만의 꾐에 쉽게 빠져든다.[22][23][24] 자하크는 아흐리만의 계략으로 아버지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다.[27][28][29]
자하크 성은 이란 동아제르바이잔주 하슈트루드에 있는 고대 유적의 이름으로, 전문가들에 따르면 기원전 2천 년기부터 티무르 제국 시대까지 사람이 거주했다. 19세기에 영국 고고학자들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으며, 이란 문화유산기구는 이 구조물을 6단계로 나누어 연구해 왔다.[16]
2. 어원 및 파생어
'''다하카'''의 원래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쏘는"(출처 불분명), "타는"(산스크리트어 ''dahana''), "남자" 또는 "인간과 같은"(사카어 ''daha''), "거대한" 또는 "외국의"(다하족과 베다의 다사족) 등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페르시아 신화에서 ''다하카''는 고유명사로 사용되며, 샤나메에 나오는 ''자하크''는 "웃는 자"를 뜻하는 아랍어 단어 ''ḍaḥḥāk'' (ضَحَّاك)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이름이다.
아베스타어 ''Aži Dahāka''와 중세 페르시아어 ''aždahāg''는 다음과 같은 여러 단어의 기원이 되었다.[8]
이 이름은 동유럽으로 전해져[9] ažhdaja 형태가 되었고, 발칸 및 슬라브 언어에서 "용", "암룡"[10] 또는 "물뱀"[11]을 의미하게 되었다.[12]
신화 속 ''Aži Dahāka''의 부정적인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용은 이란 민족 역사에서 일부 전쟁 깃발에 사용되기도 했다.
익룡의 한 종류인 아즈다르크과는 ''Aži Dahāka''에서 유래한 페르시아어 단어 "용"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자하크의 원형은 바빌론 출신이라고도 한다. 마술을 배우면서 용과 같은 얼굴이 되었고, 아버지가 마술을 금지하자 스승인 귀신이 아버지를 살해하라고 부추겼다. 아버지를 죽인 후 '''에주다하'''라고 불렸는데,[53] 이는 아베스타어 '''아지 다하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54] 아랍인들은 이 이름을 '''아즈다하그'''라고 불렀고, 더 아랍어화되면서 '''자하크'''가 되어 용 또는 큰 뱀의 칭호가 되었다고 한다.[53]
3. 조로아스터교 문헌에서의 아지 다하카
아지 다하카는 아베스타 신화 여러 편에 등장하며, 조로아스터교 문헌의 다른 많은 곳에서도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아베스타 이후의 조로아스터교 문헌인 ''데앵카르드''에서 아지 다하카는 모든 가능한 죄악과 사악한 조언을 가지고 있으며, 선한 왕 자암과는 정반대의 존재로 묘사된다. 다하그(Dahāka)라는 이름은 "열(''dah'') 가지 죄악을 가진"을 의미하는 말장난으로 해석된다. 그의 어머니 와다그(또는 오다그)는 자신의 아들과 근친상간을 저지른 대죄인으로 묘사된다.
아베스타에서 아지 다하카는 바브리(Baβri) 땅의 쿠이린타(Kuuirinta) 요새에 살면서 강의 여신 아르드비 수라 (아나히타), 폭풍의 신 바유를 숭배했다고 한다. 바브리와 고대 페르시아어 바비루(바빌론)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후대 조로아스터교도들은 아지 다하카의 위치를 메소포타미아로 특정했지만, 이러한 동일시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아지 다하카는 이 두 야자타에게 세상을 멸망시킬 힘을 달라고 요청했으나, 선을 대표하는 그들은 거절했다.
아베스타의 한 문헌에서 아지 다하카는 스피티유라(Spitiyura)라는 형제를 두고 있다. 그들은 함께 영웅 자암쉬드를 공격하여 톱으로 그의 몸을 반으로 잘랐지만, 불의 신성 야자타 아타르에게 물리쳐졌다.
아베스타 이후의 문헌에 따르면, 자암쉬드가 사망한 후 다하그는 왕권을 획득했다. 또 다른 후기 조로아스터교 문헌인 ''메노그 이 크라드''는 궁극적으로 이것이 좋은 일이었다고 말하는데, 만약 다하그가 왕이 되지 않았다면 불멸의 악마 크세쉬(아에쉬마)가 왕위를 차지했을 것이고, 그리하여 세상의 종말까지 악이 땅을 지배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하그는 자암쉬드가 그의 크바르나, 즉 왕의 영광을 잃은 지 100년 후부터 시작하여 천 년 동안 통치했다고 한다. 그는 악마들(데바)의 도움을 받아 통치한 마법사로 묘사된다.
아베스타는 아지 다하카를 마침내 처치한 인물을 트라에타오나이며, 그는 아티비야의 아들임을 밝힌다. 아베스타는 트라에타오나가 아지 다하카를 물리친 것에 대해 아르나바치와 사방하바치를 구출할 수 있었다는 것 외에는 별로 언급하지 않는다. 후기 자료, 특히 데앵카르드는 더 자세한 내용을 제공한다. 페레이둔은 왕의 신성한 빛(''크바르나'')을 부여받아 다하그를 물리칠 수 있었고, 철퇴로 그를 쳤다고 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자 상처에서 해충(뱀, 곤충 등)이 쏟아져 나왔고, 신 오르마즈드는 그에게 다하그를 죽이지 말라고 말했는데, 그래야 세상이 이 생물들에게 감염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페레이둔은 다하그를 쇠사슬로 묶어 다마반드 산에 가두었다.
미들 페르시아 자료는 또한 세상의 종말에 다하그가 마침내 쇠사슬을 끊고 세상을 황폐하게 만들 것이며, 인간과 가축의 3분의 1을 삼킬 것이라고 예언한다. 아즈 이 스루워를 죽인 고대 영웅 키르사스프가 다하그를 죽이기 위해 부활한다.
4. 샤나메에서의 자하크
아흐리만은 요리사로 변장하여 자하크에게 접근, 그의 어깨에 입을 맞춘 후 사라진다. 그 후 자하크의 어깨에서 두 마리의 검은 뱀이 자라나고, 이 뱀들은 잘라내도 계속해서 다시 자라난다.[30][31][32] 아흐리만은 다시 의사로 변장하여 뱀을 잠재우기 위해 매일 두 명의 인간 뇌를 먹이로 바쳐야 한다고 조언한다.[30][31][32]
폭군 잠쉬드가 오만함으로 인해 통치권을 잃자, 자하크는 불만을 품은 이란인들에게 구원자로 나타나 왕위에 오른다.[33][34][35] 그는 잠쉬드를 처형하고 그의 두 딸 아르나바즈와 샤흐르나즈를 노예로 삼는다. 자하크는 천 년 동안 이란을 통치하며 공포 정치를 펼치고, 매일 두 명의 젊은이를 뱀의 먹이로 바친다.[36][37][35] 그러나 두 명의 페르시아인 요리사가 가축의 뇌를 섞어 일부 젊은이들을 구출하고, 이들은 쿠르드족의 조상이 된다.[36][37]
어느 날 자하크는 페리둔이라는 영웅이 자신의 통치를 끝낼 것이라는 꿈을 꾸고, 그를 찾아 체포하려 한다.[38][39][40] 한편, 대장장이 카베는 자하크에게 아들들을 잃고 반란을 일으켜, 데라프시 카비아니를 깃발로 삼아 많은 사람들을 모은다.[43][44][45]
카베와 함께 봉기한 페레이둔은 자하크와 맞서 싸워 승리한다. 페레이둔은 자하크를 죽이려 하지만 천사의 제지로 다마반드 산 동굴에 유폐한다.[50][51][52]
5. 지명
6. 대중문화 속의 아지 다하카/자하크
7. 이란 전통의 다른 용들
- '''아지 스루바라''' - '뿔 달린 용'이다.
- '''아지 자이리타''' - '노란 용'으로, 영웅 케르사스파(중세 페르시아어로는 키르사스프)가 죽였다.[20]
- '''아지 라오이디타''' - 앙그라 마이뉴가 아후라 마즈다가 창조한 ''아이리아넴 바에자''에 대한 반작용으로, 다에바가 유도한 겨울을 초래하기 위해 구상한 '붉은 용'이다.[21]
- '''아지 비샤파''' - 해 질 녘과 해 뜰 녘 사이에 아반에게 바치는 공물을 삼키는 '독액을 뿜는 용'이다.
- '''간다르바''' - 한 번에 열두 개 주를 삼킬 수 있는 바다 '부루카샤'의 '노란 발꿈치' 괴물이다. ''아샤''의 모든 창조물을 파괴하기 위해 나타났을 때, 역시 영웅 케르사스파에게 살해당한다.
8. 인도-이란 전통의 아지/아히
인도-이란 신화에서 영웅이나 신적 존재에게 죽거나 갇히는 괴물 뱀 이야기는 여러 인도유럽 민족 신화에서 발견된다. 베다 산스크리트어 'ahi'는 아베스타어 'aži'와 동족어이다. 베다 전통에는 브리트라 외에 자애로운 용 아히 부드냐가 있다. 이란 전통에는 여러 악한 용이 있으며, 필멸의 영웅이 용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7]
용을 죽이는 영웅(베다의 경우 신)은 "인도-이란 전통과 민속의 일부였던 것은 분명하지만, 이란과 인도가 일찍이 독특한 신화를 발전시켰다는 것도 분명하다."[7]
조로아스터교 경전에는 아지 다하카 외에도 여러 용과 용을 닮은 생물들이 언급되어 있다.
이름 | 설명 | 출처 |
---|---|---|
아지 스루바라 | '뿔 달린 용' | |
아지 자이리타 | 노란 용, 영웅 케르사스파가 죽임. | 야스나 9.1, 9.30; 야슈트 19.19[20] |
아지 라오이디타 | 앙그라 마이뉴가 아후라 마즈다가 창조한 아이리아넴 바에자에 대한 반작용으로 구상한 붉은 용, | 벤디다드 1.2[21] |
아지 비샤파 | 해 질 녘과 해 뜰 녘 사이에 아반에게 바치는 공물을 삼키는 '독액을 뿜는 용' | 니랑기스탄 48 |
간다르바 | 한 번에 열두 개 주를 삼킬 수 있는 바다 부루카샤의 노란 발꿈치 괴물. 아샤의 모든 창조물을 파괴하기 위해 나타났을 때, 영웅 케르사스파에게 살해당함. | 야슈트 5.38, 15.28, 19.41 |
참조
[1]
웹사이트
zahāk or wolflike serpent in the Persian and kurdish Mythology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1970-01-01
[2]
웹사이트
ضحاک بیوراسب | پارسی ویکی
http://www.loghatnaa[...]
Loghatnaameh.org
[3]
서적
Encyclopedia of Demons in World Religion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4]
문서
[5]
웹사이트
Characters of Ferdowsi's Shahnameh
http://www.heritagei[...]
heritageinstitute.com
[6]
웹사이트
Persia: iv. Myths an Legends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Bowl Depicting King Zahhak with Snakes Protruding from His Shoulders
https://www.metmuseu[...]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قلعهزهاك 30 قرن مسكوني بود
http://www.chn.ir/ne[...]
Cultural Heritage News Agency
2007-03-04
[17]
문서
The Birth of a Dragon: A Behind the Scenes Look At the Creation of Azhdaha
https://www.youtube.[...]
2021-07-15
[18]
뉴스
https://ir.voanews.c[...]
[19]
뉴스
https://www.bbc.com/[...]
[20]
서적
Zamyād Yasht, Yasht 19 of the Younger Avesta (Yasht 19.19)
Wiesbaden
[21]
서적
The Zend-Avesta, The Vendidad
Greenwood Publish Group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37]
서적
岡田 (1982)
[38]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39]
서적
岡田 (1982)
[40]
서적
カーティス,薩摩訳 (2002)
[41]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42]
서적
岡田 (1982)
[43]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44]
서적
岡田 (1982)
[45]
서적
カーティス,薩摩訳 (2002)
[46]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47]
서적
岡田 (1982)
[48]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49]
서적
岡田 (1982)
[50]
서적
フェルドウスィー,岡田訳 (1999)
[51]
서적
岡田 (1982)
[52]
서적
久保田ら (2002)
[53]
서적
ヘダーヤト,奥西訳註 (1999)
[54]
서적
ヘダーヤト,奥西訳註 (1999)
[55]
서적
カーティス,薩摩訳 (2002)
[56]
서적
岡田 (1982)
[57]
서적
桂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