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트레바트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트레바트족은 고대 갈리아와 브리튼섬에 거주했던 켈트족 부족이다. 이름은 "거주민" 또는 "토지 소유자"를 의미하며, 갈리아 벨기카 지역과 브리튼섬 남부에 정착했다. 기원전 1세기 중반,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 참여했으며,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여 왕국을 건설했고, 코미우스, 틴코마루스, 베리카 등의 왕들이 통치했다. 로마의 브리튼 정복 이후에는 로마에 복속되었고, 영토는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인 - 보이족
    보이족은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부 유럽과 북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일파로, 그 이름은 '소' 또는 '전사'를 의미하는 켈트어 'boio-'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마와 대립하거나 한니발에게 길을 안내하는 등 역사 속 역할을 했고, 보헤미아 지명이나 바이에른 어원 등에 흔적이 남아있다.
  • 갈리아인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아트레바트족
개요
기원전 58년 갈리아 지도. 아트레바테스족의 영토는 벨기에 북서부에 위치.
기원전 58년 갈리아 지도. 아트레바테스족의 영토는 벨기에 북서부에 위치.
국가벨기에, 프랑스, 영국
주요 위치아트레바테스족은 현재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했던 벨가이 부족임
민족
민족벨가이
역사
기원아트레바테스족은 갈리아 전쟁 이전에 벨가이 부족의 일부였음
율리우스 카이사르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7년에 아트레바테스족을 정복함
그들은 기원전 54년에 암비오릭스와 함께 반란에 참여함
카이사르는 그들을 다시 한 번 패배시키고 부족을 황폐화시킴
기원전 52년기원전 52년에 아트레바테스족은 8,000명의 군대를 알레시아에 보냄
코미우스카이사르의 동맹이었던 코미우스는 나중에 그와 결별함
기원전 51년에 그는 아트레바테스족과 함께 브리타니아로 도망침
그는 브리타니아에서 자신의 왕국을 세웠고, 그의 후손들은 그곳에서 계속 통치함
로마 브리타니아아트레바테스족은 로마 브리타니아에서 중요한 부족 국가가 됨
문화
언어그들의 언어는 갈리아어였을 것으로 추정됨
지리
위치아트레바테스족은 현재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했음
주요 정착지그들의 주요 정착지는 네메타쿰 아트레바툼이었음
사회
정치아트레바테스족은 왕이 통치하는 부족 국가였음
기타
유산아트레바테스족의 이름은 프랑스 도시인 아라스에 남아 있음

2. 이름

아트레바트라는 이름은 고대 갈리아어에서 "거주민" 또는 "토지 소유자"라는 뜻이었다.[7] 어근을 이루는 attreb- 는 선켈트어군에서 정착을 의미하였다고 추정된다.[7]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와 플리니우스(서기 1세기)는 ''Atrebates''로,[1] 스트라보(서기 1세기 초)는 ''Atrebátioi''(Ἀτρεβάτιοι)로,[2] 프톨레마이오스(서기 2세기)는 ''Atribátioi''(Ἀτριβάτιοι)로,[3] 카시우스 디오(서기 3세기)는 ''Atrébas''(Ἀτρέβας)로,[4]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서기 5세기)은 ''Atrabatis''로 언급했다.[5][6]

민족명 ''Atrebates''는 갈리아어 *''Atrebatis''(단수 ''Atrebas'')의 라틴어화된 형태로, 문자 그대로 '거주자, 토지 소유자, 토지의 소유자'를 의미한다. 이는 접미사 ''-atis''('~에 속하는')가 붙은 원시 켈트어 어간 ''*attreb-''('정착지')에서 파생되었으며, 전자는 이전의 *''ad-treb''-에서 음운 동화의 결과로 '정착지'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treb-''에서 파생되었다 (예: 오스. ''trííbúm'', 게르. ''*Þurpa'', 리투. ''trobà'' '집').[7] 이 민족 이름은 고대 아일랜드어 ''ad-treba''('그는 거주하고, 경작한다')와 ''attrab''('소유, 점유 행위, 거주지'), 현대 아일랜드어 ''áitreabhach''('거주자'), 그리고 중세 웨일스어 ''athref''('거주지, 거처')와 동족 관계이다.[7]

오늘날의 아라스는 기원후 400년 무렵 키라스 아트라바툼(''Cirass Atrabatum'' , 아트레바트족의 키비타스)였음이 입증되었다.[7] 아르투아 지역의 여러 지명은 아트레바트족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 남아있다.[7] 약 400년에 ''civitas Atrabatum'' (아트레바테스족의 civitas; 881년 ''Atrebatis'', 1137년 ''Arras''로 언급된 아라스시), 799년에 ''pago Atratinse'' (아브라테스족의 pagus; 899년 ''Atrebatense castrum'', 이후 ''Arteis''로 언급된 아르투아 지역), 그리고 1050년경 ''Atravasia silva'' (아트레바테스족의 숲; 1202년 ''Arwasia''로 언급된 Forêt d'Arrouaise|아루아즈 숲프랑스어)는 모두 벨가이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3. 지리

아트레바트족은 벨가이족의 일파로, 스카르프강을 중심으로 한 아르투아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다. 이들은 오늘날의 아라스 근처와 스헬데강 근처의 언덕 요새 두 곳을 주요 거점으로 삼았으며, 캉시강을 경계로 암비아니족과 이웃하고 있었다.

기원전 1세기 중반, 아트레바트족의 일부는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여 템스강, 테스트강, 웨스트서식스 사이의 지역을 점령하기도 하였다.

3. 1. 영토

벨가이 아트레바트족은 스카르프강을 중심으로 한 아르투아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다.[1] 오늘날의 아라스 근처에 있었던 커다란 언덕 요새와 스헬데강 근처에 있었던 언덕 요새 두 곳이 그들의 주요 거점이었다.[2] 아트레바트족은 캉시강을 경계로 암비아니족과 이웃하고 있었다.[2]

기원전 1세기 중반, 아트레바트족의 일부가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여 템스강, 테스트강, 웨스트서식스 사이의 지역을 점령하였다.[3]

3. 2. 정착

로마 제국 시기 동안 아트레바트족의 중심지는 파드칼레에 있는 에트룽의 언덕 요새에서 오늘날의 아라스에 해당하는 네메토케내로 옮겨졌다.[1] 네메토케내는 당시 교통의 요지로서 아마도 갈리아어로 성스러운 나무를 뜻하는 말이었을 것이다.[2] 기원후 300년 무렵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Nemet-이라는 어근이 성스러운 나무를 뜻한다고 적었다.[3]

기원전 54년 이후 아트레바트족은 브리튼섬으로 건너가[4] 기원후 1세기 무렵에는 브리튼섬에 키비타스를 건설하고 정착지를 세웠다. 벤타(윈체스터), 노비오바구스(치체스터) 등이 그 예이다.[4]

4. 역사

기원전 5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을 시작하자 아트레바트족은 벨가이족 동맹의 일원으로 네르비족, 비로만두이족과 함께 15,000명의 군대를 지원하여 카이사르에 대항하였다.[9][8] 그러나 사비스 전투에서 패배하고 로마에 복속을 약속하였다. 카이사르는 아트레바트족 출신인 코미우스를 그들의 왕으로 임명하였다. 코미우스는 기원전 55년기원전 54년 카이사르의 브리타니아 정복에 참여하여 카시벨라우누스의 항복을 중재했고,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모리니족에 대한 통치권도 부여받았다. 그러나 코미우스는 나중에 로마에 반기를 들어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가 이끈 반란에 가담하여 알레시아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이후 코미우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휴전을 협상하고 추종자들과 함께 브리타니아로 도망쳤다.

브리튼섬 남부의 켈트 부족 영토. 아트레바트족은 여러 켈트 부족과 인접해 있었다.


틴코마루스가 발행한 스타테르 주화


코미우스는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여 아트레바트 왕국을 세우고 왕이 되었다. 수도는 오늘날 실체스터인 칼레바 아트레바툼이었고, 영토는 오늘날의 햄프셔, 웨스트서식스, 버크셔에 걸쳐 있었다. 코미우스의 아들 틴코마루스, 에필루스, 베리카의 자세한 통치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갈리아

기원전 57년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을 시작하자 아트레바트족은 벨가이족 동맹의 일원으로 네르비족, 비로만두이족과 함께 15,000명의 군대를 지원하여 카이사르에 대항하였다.[9][8] 그러나 사비스 전투에서 패배하고 로마에 복속을 약속하였다. 카이사르는 아트레바트족 출신인 코미우스를 그들의 왕으로 임명하였다. 코미우스는 기원전 55년과 54년에 카이사르의 브리타니아 정복에 참여하여 카시벨라우누스의 항복을 중재했고,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모리니족에 대한 통치권도 부여받았다. 그러나 코미우스는 나중에 로마에 반기를 들어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가 이끈 반란에 가담하여 알레시아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이후 코미우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휴전을 협상하고 추종자들과 함께 브리타니아로 도망쳤다.

4. 2. 브리튼섬



코미우스는 브리튼섬으로 이주하여 아트레바트 왕국을 세우고 왕이 되었다. 수도는 오늘날 실체스터인 칼레바 아트레바툼이었고, 영토는 오늘날의 햄프셔, 웨스트서식스, 버크셔에 걸쳐 있었다.

칼레바 아트레바툼에서는 코미우스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를 발행하였다. 기원전 30년에서 20년 사이의 일부 주화에는 "COM COMMIOS"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코미우스의 아들 코미우스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코미우스를 계승한 브리튼섬의 아트레바트족 왕은 코미우스의 아들들인 틴코마루스, 에필루스, 베리카였고, 각자 자신의 이름을 새긴 주화를 발행하였다. 틴코마루스는 기원전 20년 무렵부터 아버지 코미우스와 공동으로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 코미우스가 죽은 뒤 틴코마루스는 칼레바에서 왕국의 북부를, 에필루스는 오늘날 치체스터인 노비오마구스에서 왕국의 남쪽 절반을 통치하였다. 여러 정황을 살펴보았을 때 틴코마루스는 어린 시절 로마의 인질로 보내졌으며, 왕이 된 이후에도 아버지보다 더 로마의 아우구스투스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에는 두 명의 브리튼 왕이 자신을 지지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름이 정확히 남아있지는 않지만, 둘 가운데 하나는 틴코마루스로 추정된다. 틴코마루스는 형제 에필루스에게 축출되었고, 이후 발행된 에필루스의 주화에는 "Rex"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어 로마가 에필루스를 왕으로 인정했음을 알 수 있다.

기원후 15년 무렵, 에필루스의 왕위는 동생 베리카에게 계승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켄트 지역 칸티아시에는 에필루스라는 이름의 통치자가 나타난다. 베리카의 왕국은 브리튼섬 동남부를 놓고 쿠노벨리누스와 경쟁하고 있었다. 기원후 35년 무렵 쿠노벨리누스가 죽자 베리카가 이 지역을 차지했지만, 쿠노벨리누스의 아들이 계속 대항하여 기원후 40년 무렵에는 아트레바트족이 정복되었다. 패배한 베리카는 로마로 망명하였고,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는 이를 빌미로 브리튼을 정복하게 된다.

로마의 브리튼 정복 후, 아트레바트족 영토 일부는 베리카의 아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코기듀브누스에게 상속되어 친로마적인 키비타스가 되었다. 이전의 아트레바트 영토는 아트레바트, 레그넨세스, 벨가이로 분할되었다.[1]

5. 브리튼 아트레바트 왕국 연표

재위 기간
코미우스기원전 57년경 - 기원전 20년경
틴코마루스기원전 20년경 - 기원후 7년
에필루스기원후 8년 - 15년
베리카기원후 15년 - 40년
클라우디우스 코기두브누스?
완전한 로마 합병


5. 1. 주요 자료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 서적 Geōgraphiká
[3]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4] 서적 Rhōmaïkḕ Historía
[5] 서적 Notitia Dignitatum
[6] 논문 Atrebates
[7] 논문
[8] 서적 De Bello Gallico
[9] 서적 De Bello Gall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