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아어는 청동기 시대에 원시 켈트어에서 갈라져 나온 고대 켈트어의 한 갈래이다. 기원전 4~3세기 켈트족의 이동과 함께 유럽 전역에 퍼졌으며, 레폰티아어, 트란살피나 갈리아어, 키살피나 갈리아어 등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었다. 라틴어의 영향으로 6세기경 사멸했지만, 콜리뉴 달력, 라르자크 판 등 비문을 통해 당시 언어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현대 프랑스어에는 갈리아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남아 있으며, 일부 음악가들이 갈리아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켈트족 -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는 유럽 북서부에 위치한 그레이트브리튼섬 북부의 국가로, 1707년 잉글랜드와 연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형성했으며,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가 재개되어 자치 정부를 운영하고, 서안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석유, 금융 서비스, 위스키 생산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켈트족 - 아일랜드인
아일랜드인은 아일랜드 섬을 기원으로 하는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근세 이후 전 세계로 이주하여 아일랜드계 이민 공동체를 형성했다. - 민족에 관한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민족에 관한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갈리아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이름 | 갈리아어 |
고유 이름 | (표기 없음) |
사용 국가 | - |
사용 지역 | 유럽 |
민족 | 갈리아인 |
사멸 시기 | 6세기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켈트어파 |
어군 | 대륙 켈트어군 |
문자 | 고대 이탈리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
국가 | (해당사항 없음) |
기관 | (해당사항 없음) |
언어 코드 | |
시스알파인 갈리아어 | xcg |
트란스알파인 갈리아어 | xtg |
언어 분류 | |
트란스알파인 갈리아어 | xtg |
갈라티아어 | xga |
시스알파인 갈리아어 | xcg? |
레폰트어 | xlp? |
기타 | |
글로토로그 | tran1282 |
글로토로그 이름 | 트란스알파인 갈리아어 |
2. 분류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켈트족이 확장되면서, 밀접하게 관련된 켈트어 형태가 영국과 프랑스를 거쳐 알프스 지역과 중부 유럽의 파노니아, 그리고 발칸반도와 아나톨리아 일부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단편적인 증거로 인해 이들의 정확한 언어적 관계는 불확실하다.[1]
중부 및 동부 유럽과 아나톨리아의 갈리아어 방언(각각 노리쿰어와 갈라티아어라고 불림)은 거의 증명되지 않았지만,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들은 갈리아어와 매우 유사했으며 단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1]
갈리아어와 다른 켈트어의 관계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켈티베리아어가 다른 켈트어에서 가장 먼저 갈라져 나왔다는 데 동의한다. 켈트어 지역 중앙에 위치한 갈리아어는 영국의 이웃 브리토니아어와 이탈리아 오스코-움브리아어와 마찬가지로 인도유럽 순음화된 무성 연구개 자음 /kʷ/를 /p/로 변화시키는 반면, 남부의 켈티베리아어와 아일랜드의 고이델어는 /kʷ/를 유지한다. 이것을 주요 계통적 등어선으로 삼아, 일부 학자들은 켈트어를 "q-켈트어" 그룹과 "p-켈트어" 그룹으로 나누는데, p-켈트어인 갈리아어와 브리토니아어가 공통적인 "갈로-브리토니아" 가지를 형성한다. 다른 학자들은 브리토니아어와 고이델어 사이의 공유된 혁신을 더 강조하고 이들을 섬 켈트어 가지로 묶는다. 심스-윌리엄스(Sims-Williams, 2007)는 대륙 변종과 섬 변종을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 보고 계통 분기와 지역적 혁신이 교차하는 복합 모델을 논의한다.[9]
2. 1. 레폰티아어
레폰티아어는 현대 스위스 루가노 근처 알프스 남쪽 사면의 작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기원전 600년경에 고이탈리아 문자 변형으로 쓰인 것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된 켈트어이다.[1] 이것은 "외곽 갈리아어의 초기 방언" 또는 별개의 대륙 켈트어로 설명되어 왔다.2. 2. 갈리아어 (트란살피나 갈리아어)
현재 프랑스 지역의 갈리아어는 '트란살피나 갈리아어'라고 불린다. 이 언어의 기록은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되며, 주로 그리스 문화의 영향이 있었던 남부 프랑스의 론 지역에서 발견된 그리스 문자로 쓰여진 비문들이다. 마실리아는 기원전 600년경에 건설된 식민지였다. 갈리아 전쟁(기원전 58~50년) 이후 갈리아어 문자는 라틴 문자로 바뀌었다.[1]2. 3. 키살피나 갈리아어
키살피나 갈리아(북부 이탈리아)에서 기원전 2세기와 1세기에 발견된 소수의 비문이 있는데, 이들은 레폰티아어 비문과 같은 고대 알파벳을 공유하지만 레폰티아어 지역 밖에서 발견된다.[8] 이 비문들은 갈리아인이 키살피나 갈리아를 정복한 후에 쓰여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키살피나 갈리아어"라고 불린다.[8] 키살피나 갈리아어는 레폰티아어와 트란살피나 갈리아어 모두와 일부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8] 예를 들어 레폰티아어와 키살피나 갈리아어는 모두 자음군 -nd-|레폰티아어 -nd-xlp와 -χs-|갈리아어 -χs-xcg를 각각 -nn-|레폰티아어 -nn-xlp와 -ss-|갈리아어 -ss-xcg로 단순화하는 반면, 키살피나 갈리아어와 트란살피나 갈리아어는 모두 어말 -m|갈리아어 -mxcg을 -n|갈리아어 -nxcg으로 바꾼다.[8] 학자들은 레폰티아어의 독특한 특징이 단순히 초기 기원을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진정한 계통 분기인지, 그리고 키살피나 갈리아어가 레폰티아어의 연속인지 아니면 주류 트란살피나 갈리아어의 독립적인 분파인지에 대해 논쟁해왔다.2. 4. 기타 방언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켈트족이 확장되면서, 밀접하게 관련된 켈트어 형태가 영국과 프랑스를 거쳐 알프스 지역과 중부 유럽의 파노니아, 그리고 발칸반도와 아나톨리아 일부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단편적인 증거로 인해 이들의 정확한 언어적 관계는 불확실하다.[1]중부 및 동부 유럽과 아나톨리아의 갈리아어 방언(각각 노리쿰어와 갈라티아어라고 불림)은 거의 증명되지 않았지만,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들은 갈리아어와 매우 유사했으며 단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1] 상당한 비문 증거가 있는 지역 중 세 가지 변종이 일반적으로 구분된다.
- 레폰티아어는 현대 스위스 루가노 근처 알프스 남쪽 사면의 작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기원전 600년경에 고이탈리아 문자 변형으로 쓰인 것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된 켈트어이다. 이것은 "외곽 갈리아어의 초기 방언" 또는 별개의 대륙 켈트어로 설명되어 왔다.
- 현재 프랑스의 갈리아어는 "트란살피나 갈리아어"라고 불린다. 이 언어의 기록은 기원전 3세기에 시작되며, 주로 그리스 문화의 영향이 마실리아 식민지(기원전 600년경 건설)를 통해 존재했던 남부 프랑스의 론 지역에서 발견된 그리스 문자로 쓰여진 비문이다. 갈리아 전쟁(기원전 58~50년) 이후 갈리아어의 문자는 라틴 문자로 바뀌었다.
- 마지막으로, 기원전 2세기와 1세기의 키살피나 갈리아(북부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소수의 비문이 있는데, 이들은 레폰티아어 비문과 같은 고대 알파벳을 공유하지만 레폰티아어 지역 밖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갈리아인이 키살피나 갈리아를 정복한 후에 쓰여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키살피나 갈리아어"라고 불린다. 이들은 레폰티아어와 트란살피나 갈리아어 모두와 일부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레폰티아어와 키살피나 갈리아어는 모두 자음군 -nd-xlp와 -χs-xcg를 각각 -nn-xlp와 -ss-xcg로 단순화하는 반면, 키살피나 갈리아어와 트란살피나 갈리아어는 모두 어말 -mxcg을 -nxcg으로 바꾼다.[8] 학자들은 레폰티아어의 독특한 특징이 단순히 초기 기원을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진정한 계통 분기인지, 그리고 키살피나 갈리아어가 레폰티아어의 연속인지 아니면 주류 트란살피나 갈리아어의 독립적인 분파인지에 대해 논쟁해왔다.
갈리아어와 다른 켈트어의 관계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켈티베리아어가 다른 켈트어에서 가장 먼저 갈라져 나왔다는 데 동의한다. 켈트어 지역 중앙에 위치한 갈리아어는 영국의 이웃 브리토니아어와 이탈리아 오스코-움브리아어와 마찬가지로 인도유럽 순음화된 무성 연구개 자음 /kʷ/를 /p/로 변화시키는 반면, 남부의 켈티베리아어와 아일랜드의 고이델어는 /kʷ/를 유지한다. 이것을 주요 계통적 등어선으로 삼아, 일부 학자들은 켈트어를 "q-켈트어" 그룹과 "p-켈트어" 그룹으로 나누는데, p-켈트어인 갈리아어와 브리토니아어가 공통적인 "갈로-브리토니아" 가지를 형성한다. 다른 학자들은 브리토니아어와 고이델어 사이의 공유된 혁신을 더 강조하고 이들을 섬 켈트어 가지로 묶는다. 심스-윌리엄스(Sims-Williams, 2007)는 대륙 변종과 섬 변종을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 보고 계통 분기와 지역적 혁신이 교차하는 복합 모델을 논의한다.[9]
3. 역사
갈리아어는 기원전 3세기에 마르세유 주변 지역에서 그리스 문자로 쓰인 갈리아식 인명이 확인되지만, 기원전 2세기에 최초의 갈리아어 비문이 나타났다.[10] 고대 그리스와 라틴 작가들의 기록에는 갈리아어와 갈리아어 문자에 대한 언급이 13개 이상 발견된다. '갈리아어'(gallicum|갈리쿰la)라는 단어는 갈리아 알파벳 문자를 언급하는 시에서 ''Appendix Vergiliana''에 처음 명시적으로 사용되었다.[11]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Commentarii de Bello Gallico|갈리아 전쟁기la에서 켈트족/갈리아인과 그들의 언어가 이웃 아키텐족과 벨가이족과 각각 가론 강과 센 강/마른 강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고 언급했다.[12]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갈리아인들은 점차 라틴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갈리아어는 로마의 갈리아 지배 기간 동안 라틴어와 공존하며 살아남았다고 여겨지지만,[36] 6세기경에는 사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언어 변화는 사회적 요인에 의해 다르게 진행되었다. 갈리아 인구의 90%는 토착민이었고, 로마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로마를 위해 토지를 관리했던 지역 엘리트 계층이 라틴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다.[38][39][40] 5세기 서로마 제국 멸망 당시, 대다수의 비엘리트 계층(주로 농촌)은 여전히 갈리아어를 사용했으며, 제국 멸망 후 도시 문맹 엘리트 계층의 권위 있는 언어를 새롭게 등장한 프랑크족 지배 엘리트 계층과 함께 받아들이면서야 라틴어를 모국어로 습득했다.[40]
갈리아어는 중앙 산맥, 쥐라 산맥 및 스위스 알프스의 산악 지역에서 적어도 6세기까지는 존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7]
3. 1. 초기 (기원전 3세기 이전)
기원전 3세기 마르세유 주변 지역에서 갈리아인이 그리스 문자로 쓴 갈리아식 인명이 확인되지만, 기원전 2세기에 갈리아어로 된 최초의 진정한 비문이 나타났다.[10]3. 2. 로마 시대 (기원전 58년 ~ 기원후 5세기)
로마 제국이 갈리아인을 지배하면서 정복자의 언어인 라틴어가 유입되었다. 갈리아 귀족들은 로마 정복 이후 엘리트 권력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라틴어를 빠르게 채택했으며,[16] 기원전 1세기 초부터 남부 갈리아에서 3개 국어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7]갈리아에서 갈리아어에 대한 초기 언급은 서기 400년경까지 그리스어나 라틴어 유창성에 대한 문제와 관련된 경향이 있었다. 반면, 서기 450년경 이후로는 저자들이 '갈리아어' 또는 '켈트어'라는 용어를 어떻게 사용했든 간에, 라틴어가 이들을 대체했다는 맥락에서 갈리아어가 언급되기 시작했지만, 처음에는 상류층에만 국한되었다. 갈라티아(소아시아)의 경우 5세기 언어 대체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출처는 없다.
- 2세기 후반, 루그두눔(현재의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우스는 "켈트족 사이에 거주하며 대부분 야만적인 방언을 사용하는 데 익숙해져" 부족한 그리스어에 대해 사과했다.[18]
- Vita Sancti Symphorianila에 따르면, 아우구스토두눔(현재의 오통)의 심포리아누스는 기독교 신앙 때문에 178년 8월 22일에 처형되었다. 그가 처형장으로 끌려갈 때, "그의 존경할 만한 어머니는 담에서 열심히 모든 사람에게 눈에 띄게(?) 갈리아어로 말하며 그에게 충고했다. '아들아, 아들아, 심포리아누스야, 너의 신을 생각하라!'(uenerabilis mater sua de muro sedula et nota illum uoce Gallica monuit dicens: 'nate, nate Synforiane, mentobeto to diuo'la[19])." 이 갈리아어 문장은 여러 사본에서 손상된 상태로 전해졌으며, 현재 상태로는 투르네이센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데이비드 스티프터(2012)에 따르면, *mentobeto*는 라틴어 mens, mentisla('마음')와 haberela('가지다')에서 유래한 원시 로망스어 동사처럼 보이며, 전체 발화가 순수 갈리아어의 예가 아닌 초기 로망스어이거나 로망스어와 갈리아어가 혼합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에 natexga는 갈리아어에서 확인되며(예: 엔들리허 사전[20]), Vita Sancti Symphorianila의 저자는 갈리아어에 능통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당시 비라틴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분명히 예상했다.
- 라틴어 저술가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한 일화에서 에트루리아어와 함께 갈리아어를 언급하는데, 이는 그의 청중들이 이러한 언어에 대해 들어봤지만 어느 것도 한 단어도 이해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21]
-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서기 207~229년 집필)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가 같은 언어를 사용했음을 암시한다. 13권에서는 명명된 부족이 공통 정부와 공통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원칙을 언급하며, 그렇지 않으면 한 지역의 인구는 스페인/이베리아인의 경우처럼 지리적 용어로 요약된다.[22] 12권과 14권에서는 피레네 산맥과 포 강 사이의 갈리아인들이 자신들을 친척으로 여긴다고 명시되어 있다.[23][24] 46권에서 카시우스 디오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의 결정적인 차이점이 머리카락 길이와 옷 스타일(즉, 언어 차이를 언급하지 않음)이며, 시살피나 갈리아인들은 일찍부터 짧은 머리와 로마 토가(Gallia Togatala)를 채택했다고 설명한다.[25] 잠재적으로 대조적으로, 카이사르는 론 강을 켈트족과 provincia nostrala 사이의 경계로 묘사했다.[12]
- 율피아누스(서기 222~228년)의 디게스타 XXXII, 11에서는 fideicommissala(유언 조항)도 갈리아어로 작성될 수 있다고 명령하고 있다.[26]
- 서기 378년과 395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저술한 부르디갈라(현재의 보르도) 출신의 라틴 시인이자 학자인 데키무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는 그의 사망한 아버지 율리우스의 라틴어 구사 능력을 inpromptusla("더듬거리는, 유창하지 않은")것으로 묘사하며, 율리우스는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충분히 유창하다고 느꼈다.[27] 이 발언은 때때로 율리우스 아우소니우스( –378)의 모국어가 갈리아어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만,[28] 그 대안으로 그의 모국어가 그리스어였을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의사로서 그는 전문적인 숙련의 일부로 그리스어를 갈고 닦았을 것이다.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서기 363~425년)의 Dialogi de Vita Martini I, 26에서 대화의 한 파트너는 부족한 라틴어가 파트너의 귀를 불쾌하게 할 수 있다는 수사적 상투적인 말을 한다. 그중 한 명이 대답한다. uel Celtice aut si mauis Gallice loquere dummodo Martinum loquarisla ('마르티누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 켈트어로, 또는 원한다면 갈리아어로 말해라').[29]
- 성 히에로니무스(서기 386/387년 저술)는 성 바울의 ''갈라디아서''에 대한 주석에서 벨기에의 트레베리가 라틴어가 아닌 갈라타이아인과 거의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30] 이것은 루키아누스가 서기 180년에 한 이전 보고서와 일치한다.[31]
- 서기 474년 그의 매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뉴 클레르몽의 주교인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젊은 시절에 "우리 귀족들은 ... 야만적인 켈트어 방언을 버리기로 결심했다"고 말하며, 분명히 유창한 라틴어를 선호했다고 말한다.[32]
갈리아어는 속라틴어(이후 고대 프랑스어 및 게르만어파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어의 기원이 된 언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면서(이는 현재의 가로-로망스어가 되었다) 6세기까지 사어가 되었다.
3. 3. 로마 시대 이후 (5세기 ~ 6세기)
로마 정복 이후, 갈리아 귀족들은 엘리트 권력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라틴어를 빠르게 채택했다.[16] 기원전 1세기 초부터 남부 갈리아에서는 3개 국어 사용이 기록되었다.[17]갈리아에서 갈리아어에 대한 초기 언급은 서기 400년경까지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 유창성에 대한 문제와 관련된 경향이 있었다. 반면, 서기 450년경 이후로는 라틴어가 "갈리아어" 또는 "켈트어"를 대체한 맥락에서 갈리아어가 언급되기 시작했지만, 처음에는 상류층에만 국한되었다. 갈라티아(소아시아)의 경우 5세기 언어 대체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출처는 없다.
- 2세기 후반, 루그두눔(현재의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우스는 "켈트족 사이에 거주하며 대부분 야만적인 방언을 사용하는 데 익숙해져" 부족한 그리스어에 대해 사과했다.[18]
- Vita Sancti Symphorianila에 따르면, 아우구스토두눔(현재의 오통)의 심포리아누스는 기독교 신앙 때문에 178년 8월 22일에 처형되었다. 그가 처형장으로 끌려갈 때, "그의 존경할 만한 어머니는 담에서 열심히 모든 사람에게 눈에 띄게(?), 갈리아어로 말하며 그에게 충고했다. '아들아, 아들아, 심포리아누스야, 너의 신을 생각하라!' (uenerabilis mater sua de muro sedula et nota illum uoce Gallica monuit dicens: 'nate, nate Synforiane, mentobeto to diuo'la[19])." 갈리아어 문장은 여러 사본에서 손상된 상태로 전해졌으며, 현재 상태로는 투르네이센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데이비드 스티프터(2012)에 따르면, *mentobeto*는 라틴어 mens, mentisla '마음'과 haberela '갖다'에서 유래한 원로망스 동사처럼 보이며, 전체 발화가 순수 갈리아어의 예가 아닌 로망스어의 초기 변형이거나 로망스어와 갈리아어의 혼합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에 natexga는 갈리아어에서 확인되며 (예: 엔들리허 사전[20]), Vita Sancti Symphorianila의 저자는 갈리아어에 능통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당시 비라틴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분명히 예상했다.
- 라틴어 저술가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한 일화에서 에트루리아어와 함께 갈리아어를 언급하는데, 이는 그의 청중들이 이러한 언어에 대해 들어봤지만 어느 것도 한 단어도 이해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21]
-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서기 207~229년 집필)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가 같은 언어를 사용했음을 암시할 수 있다. 13권은 명명된 부족이 공통 정부와 공통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원칙을 언급하며, 그렇지 않으면 한 지역의 인구는 스페인/이베리아인의 경우처럼 지리적 용어로 요약된다.[22] 12권과 14권에서 피레네 산맥과 포 강 사이의 갈리아인들은 자신들을 친척으로 여긴다고 명시되어 있다.[23][24] 46권에서 카시우스 디오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의 결정적인 차이점이 머리카락 길이와 옷 스타일(즉, 언어 차이를 언급하지 않음)이며, 시살피나 갈리아인들은 일찍부터 짧은 머리와 로마 토가 (Gallia Togatala)를 채택했다고 설명한다.[25] 잠재적으로 대조적으로, 카이사르는 론 강을 켈트족과 provincia nostrala 사이의 경계로 묘사했다.[12]
- 율피아누스(서기 222~228년)의 디게스타 XXXII, 11에서는 fideicommissala(유언 조항)도 갈리아어로 작성될 수 있다고 명령하고 있다.[26]
- 서기 378년과 395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저술한 부르디갈라(현재의 보르도) 출신의 라틴 시인이자 학자인 데키무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는 그의 사망한 아버지 율리우스의 라틴어 구사 능력을 inpromptusla, "더듬거리는, 유창하지 않은"것으로 묘사하며; 율리우스는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충분히 유창하다고 느꼈다.[27] 이 발언은 때때로 율리우스 아우소니우스( –378)의 모국어가 갈리아어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만,[28] 그 대안으로 그의 모국어가 그리스어였을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의사로서 그는 전문적인 숙련의 일부로 그리스어를 갈고 닦았을 것이다.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서기 363~425년)의 Dialogi de Vita Martini I, 26에서 대화의 한 파트너는 부족한 라틴어가 파트너의 귀를 불쾌하게 할 수 있다는 수사적 상투적인 말을 한다. 그중 한 명이 대답한다. uel Celtice aut si mauis Gallice loquere dummodo Martinum loquarisla '마르티누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 켈트어로, 또는 원한다면 갈리아어로 말해라'.[29]
- 성 히에로니무스(서기 386/387년 저술)는 성 바울의 ''갈라디아서''에 대한 주석에서 벨기에의 트레베리가 라틴어가 아닌 갈라타이아인과 거의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30] 이것은 루키아누스가 서기 180년에 한 이전 보고서와 일치한다.[31]
- 서기 474년 그의 매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뉴 클레르몽의 주교인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젊은 시절에 "우리 귀족들은 ... 야만적인 켈트어 방언을 버리기로 결심했다"고 말하며, 분명히 유창한 라틴어를 선호했다고 말한다.[32]
- 카시오도루스 (약 490년–585년)는 그의 저서 《다양한 편지》(Variae) VIII, 12, 7 (526년 작성)에서 아탈라릭 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Romanum denique eloquium non suis regionibus inuenisti et ibi te Tulliana lectio disertum reddidit, ubi quondam Gallica lingua resonauitla '마침내 당신은 원래 그곳의 것이 아니었던 지역에서 로마의 웅변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키케로의 글을 읽음으로써 당신은 갈리아어가 울려 퍼졌던 곳에서 웅변가가 되었습니다.'[33]
- 6세기, 키릴로스 스키토폴리스 (서기 525년–559년)는 악령에 사로잡혀 말을 할 수 없었던 갈라티아 수도승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그러나 강제로 말하게 하면 갈라티아어로만 말할 수 있었다.[34]
- 그레고리 투르는 6세기 (약 560년–575년)에 "갈리아어로 바소 갈라타에(Vasso Galatae)라고 불리는" 오베르뉴의 신전이 파괴되어 불에 탔다고 기록했다.[35] 이 인용구는 역사언어학 연구에서 6세기 중후반까지 프랑스에서 갈리아어가 실제로 사용되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6][37]
로마 문화의 상당 부분이 지역 문화에 융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갈리아어는 로마의 갈리아 지배 기간 동안 라틴어와 공존하며 살아남았다고 여겨진다.[36] 갈리아어가 완전히 사멸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서기 6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언어 변화는 그 진행 과정이 고르지 않았고 사회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다. 식민지에는 은퇴한 베테랑들이 있었지만, 이들은 갈리아 인구의 언어 구성을 크게 바꾸지 못했다. 갈리아 인구의 90%는 토착민이었기 때문이다.[38][39] 대신, 라틴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게 된 계층은 로마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로마를 위해 토지를 관리했던 지역 엘리트 계층이었다. 5세기 서로마 제국의 멸망 당시, 대다수 (비엘리트 계층, 주로 농촌)의 인구는 여전히 갈리아어를 사용했으며, 제국 멸망 후 도시 문맹 엘리트 계층의 권위 있는 언어를 새롭게 등장한 프랑크족 지배 엘리트 계층과 함께 받아들이면서야 라틴어를 모국어로 습득했다.[40]
Bonnaud는 프로방스와 주요 도시 중심지에서 라틴어화가 더 일찍 일어났지만, 갈리아어는 가장 오랫동안, 아마도 10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으며, Bonnaud에 따르면 9세기까지도 계속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41] 랭그르와 그 주변 지역, 클레르몽, 아르장통 및 보르도 사이의 지역, 그리고 아르모리카에서였다. Fleuriot,[44] Falc'hun,[45] 그리고 Gvozdanovic[46] 역시 아르모리카에서의 갈리아어의 늦은 생존과 부상하는 브르타뉴어와의 어떤 형태의 언어 접촉을 주장했지만, 특히 브르타뉴에서의 상대적으로 늦은 생존을 뒷받침하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증거는 거의 없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반면 스위스 알프스와 중부 갈리아 지역에서는 갈리아어의 상대적으로 늦은 생존을 뒷받침하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증거가 있다.[47] 기층 어휘의 지도 작성을 증거로 포함하는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Kerkhof는 갈리아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중앙 산맥, 쥐라 산맥 및 스위스 알프스의 산악 지역 곳곳에 "적어도 6세기까지"는 존속했다고 "잠정적으로" 가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4. 기록 자료
갈리아어에 대한 기록은 비문, 고문헌, 동전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비문 자료: 아키텐을 제외한 프랑스 전역과 북부 이탈리아에서 760개가 넘는 갈리아어 비문이 발견되었다.[48] 비문 내용은 짧은 헌정문, 묘비명, 소유권 표시, 감정 표현 등이며, 법적 또는 마법 종교적 성격의 문서들도 있다.[2]
- 주요 비문: 라르자크 판, 샤말리에르 판, 르주 접시, 콜리니 달력, 샤토블로 출토 기와 등
- 대부분 몇 단어(주로 이름)만으로 구성, 파편화된 경우가 많음[50][51]
- 사회 모든 계층에서 갈리아어가 사용되었음을 시사
- 고문헌 자료: 고대 그리스와 라틴 저술가들은 갈리아어 단어,[15] 개인 및 부족 이름,[52] 지명을 언급한다. 9세기 사본에는 "엔들리히어 어휘집"이라는 짧은 갈리아어-라틴어 어휘집(약 20개 항목)이 보존되어 있다.[20]
- 기타 자료:
- 현대 프랑스어에는 약 150~180개의 갈리아어 기원어가 있으며, 방언과 파생어를 포함하면 총 약 400개이다. [53][54][55][56]
- 갈리아어 비문은 『갈리아어 비문집』(Recueil des inscriptions gauloises, RIG)에 편집되어 있다.[58][59]
- 그라우페상크의 토기는 갈리아 숫자에 대한 중요 자료이다.
- 스위스 베른 아연판은 켈트족 금속 세공 신인 고바누스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 스위스에서 그리스 문자로 된 갈리아어 비문이 새겨진 동전도 발견되었다.
- 비엘/비엔 근처 포트에서 발견된 라텐 문화 시대의 칼에는 대장장이의 이름으로 추정되는 ΚΟΡΙϹΙΟϹ|Korisiosxga가 새겨져 있다.
4. 1. 주요 비문
『갈리아 비문집』(Recueil des inscriptions gauloises)에 따르면, 아키텐(Aquitaine)을 제외한 프랑스 전역과 북부 이탈리아에서 760개가 넘는 갈리아어 비문이 발견되었다.[48] 비문에는 짧은 헌정문, 묘비명, 소유권 표시, 감정 표현 등이 있으며, 법적 또는 마법 종교적 성격의 문서들[2]도 있다. 가장 긴 세 개의 문서는 라르자크 판(Larzac tablet), 샤말리에르 판(Chamalières tablet), 르주 접시(Lezoux dish)이다. 가장 유명한 갈리아 기록은 2세기경의 파편화된 청동판인 콜리니 달력으로, 5년에 걸친 켈트족 달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태양력과 태음력을 조정하기 위해 2년 반마다 13번째 달을 삽입하는 태음태양력이다. 샤토블로(Châteaubleau) 출토의 긴(11줄) 비문이 새겨진 기와는 저주 또는 결혼 제안으로 해석된다.[49]많은 비문은 몇 단어(종종 이름)만으로 구성된 진부한 표현이며, 파편화되어 있다.[50][51] 기록의 주제를 보면 이 언어가 사회 모든 계층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갈리아어 비문은 『갈리아어 비문집』(Recueil des inscriptions gauloises, RIG)에 네 권으로 편집되어 있으며, 공공 기념물, 개인적인 도구(instrumentum), 두 개의 달력, 주화에 새겨진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로 쓰여진 텍스트를 포함한다.[58][59]
1983년 프랑스 로스피탈뒤라르작(l'Hospitalet-du-Larzac)에서 발견된 라르자크 판(Larzac tablet)은 가장 긴 갈리아어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두 장의 작은 납판 양면에 로마 속기체로 새겨져 있으며, 저주판(defixiola)으로 추정된다. 여성 이름 간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으며(예: aia duxtir adiegias [...] adiega matir aiiasxtg - 아이아, 아디에가의 딸… 아디에가, 아이아의 어머니), 세베라 테르티오니카(Severa Tertionicna)와 한 무리의 여성들(종종 경쟁 관계의 마녀 집단으로 여겨짐)에 관한 주문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다.[60][61]
1897년 프랑스 콜리니(Coligny)에서 발견된 콜리니 달력은 마르스 신으로 확인된 조각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갈리아어 단어와 로마 숫자가 함께 사용되었으며, latxtg은 "날", midxtg는 "달"을 의미하는 것으로 번역 가능하다. 30일짜리 달은 matusxtg("행운의"), 29일짜리 달은 anmatusxtg("불운의")로 표시되었는데, 이는 중세 웨일스어 madwlm와 anfadwlm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완전한"과 "불완전한"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62]
그라우페상크(La Graufesenque)[63]의 토기는 갈리아 숫자에 대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토기 제작자들은 가마를 공유하고 세라믹 판에 라틴 속기체로 새겨진 기록을 남겼는데, 1부터 10까지 번호가 매겨진 가마의 짐을 나타낸다.
순서 | 갈리아어 표기 | 기타 켈트어 표기 |
---|---|---|
1번째 | cintus, cintuxosxga | 웨일스어 cyntcy "이전의", cyntafcy "첫 번째", 브르타뉴어 kentbr "앞에", kentañbr "첫 번째", 콘월어 kynsakw "첫 번째", 고대 아일랜드어 cétasga, 아일랜드어 céadga "첫 번째" |
2번째 | allosxga, alosxga | 웨일스어 ailcy, 브르타뉴어 eilbr, 고대 아일랜드어 ailesga "다른", 아일랜드어 eilega |
3번째 | tri[tios]xga | 웨일스어 trydyddcy, 브르타뉴어 tredebr, 고대 아일랜드어 treidesga |
4번째 | petuar[ios]xga | 웨일스어 pedweryddcy, 브르타뉴어 pevarebr |
5번째 | pinpetosxga | 웨일스어 pumedcy, 브르타뉴어 pempetbr, 고대 아일랜드어 cóicedsga |
6번째 | suexosxga | (아마도 suextosxga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래 레제 비문 참조; 웨일스어 chwechedcy, 브르타뉴어 chwec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seissedsga) |
7번째 | sextametosxga | 웨일스어 seithfedcy, 브르타뉴어 seiz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sechtmadsga |
8번째 | oxtumeto[s]xga | 웨일스어 wythfedcy, 브르타뉴어 eiz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ochtmadsga |
9번째 | namet[os]xga | 웨일스어 nawfedcy, 브르타뉴어 navedbr, 고대 아일랜드어 nómadsga |
10번째 | decametosxga, decometosxga | 켈티베리아어(CIb) dekametamxce, 웨일스어 degfedcy, 브르타뉴어 degvetbr, 고대 아일랜드어 dechmadsga |
레제(Rezé)에서 발견된 납판 비문(2세기경, 루아르 강 어귀, 그라우페상크에서 북서쪽)은 계산 또는 계산서로 보이며, 상당히 다른 서수를 포함한다.[64]
- 3번째 triluxga
- 4번째 paetrutexga
- 5번째 pixtexga
- 6번째 suexxexga 등
라틴어 비문에서 확인된 다른 갈리아어 숫자에는 *petrudecametosxga "14번째"(petrudecametoxga로 표기, 라틴어화된 단수 여격/탈격 어미)와 *tricontsxga "30"(tricontisxga로 표기, 라틴어화된 복수 탈격 어미; 아일랜드어 tríochaga와 비교)가 있다. 리모주(Limoges)의 라틴어 비문에는 "((아폴론)) 그라누스(Grannus)의 10일 축제"를 위한 decamnoctiacis Grannila가 언급되어 있다. 콜리니 달력에서도 유사한 형태인 trinox[...] Samonixga "사모니오스(Samonios) 달의 3일간의 (축제?)"가 발견된다. 고대 갈리아어는 현대 켈트어가 현대 로망스어와 유사한 정도보다 라틴어와 더 유사했다. 두 개 이상의 대상을 셀 때 사용되는 라틴어의 서수는 prīmusla, secundusla, tertius, quārtus, quīntus, sextus, septimus, octāvus, nōnusla, decimusla이다.[65]
알리스생트렌(Alise-Sainte-Reine)(서기 1세기) 석재 비문:
:MARTIALIS DANNOTALI IEVRV VCVETE SOSIN CELICNONla
:ETIC GOBEDBI DVGIIONTIIO VCVETIN IN ALISIIAla
:"다노탈로스(Dannotalos)의 아들 마르티알리스(Martialis)가 우쿠에티스 신에게 이 건물을 바쳤으며, 알리시아(Alisia)에서 우쿠에티스를 숭배하는 대장장이들(GOBEDBIla 복수 여격; 고대 아일랜드어 gobasga와 비교)에게 바쳤다."[66][67]
방추차(spindle whorl)에서 발견된 여러 개의 짧은 비문은 갈리아어에서 가장 최근의 발견물 중 하나이다. 방추차는 남자들이 여자들에게 주는 선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 moni gnatha gabi / buððutton imonxga (RIG l. 119) "내 여자 친구여, 내 성기를 받아라(?)"[68] (또는 "작은 키스"?)[69]
- geneta imi / daga uimpixga (RIG l. 120) "'나는 어린 여자이며, 착하고 예쁘다.'"
티오쿠르(Thiaucourt)에서 발견된 금반지는 착용자의 연인에 대한 변치 않는 충성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 Adiantunne, ni exuertinin appisetuxga "아디안투노스(Adiantunnos)여, 이 반지가 당신에게서 돌아서는 나를 결코 보지 못하게 하소서!"[70][71]
스위스에서 발견된 비문은 드물다. 헬베티아(Helvetii)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주목할 만한 비문은 베른 아연판(Bern zinc tablet)이며, ΔΟΒΝΟΡΗΔΟ ΓΟΒΑΝΟ ΒΡΕΝΟΔΩΡ ΝΑΝΤΑΡΩΡxga(Dobnorēdo gobano brenodōr nantarōrxga)라고 새겨져 있으며, 켈트족 금속 세공 신인 고바누스(Gobannus)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베른 근교 무리(Muri bei Bern)에서 곰(bear)과 함께 앉아 있는 여신인 아르티오(Artio)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는데, 라틴어 비문 DEAE ARTIONI LIVINIA SABILLINAla이 새겨져 있어 갈리아어 Artiūxga "곰(여신)"을 암시한다.
그리스 문자로 된 갈리아어 비문이 새겨진 동전도 스위스에서 발견되었는데, RIG IV No. 92(링고네스(Lingones))와 267(레우키(Leuci))가 있다. 라텐 문화(La Tène culture) 시대의 칼이 비엘/비엔(Biel/Bienne) 근처 포트(Port)에서 발견되었는데, 칼날에는 ΚΟΡΙϹΙΟϹxga(Korisiosxga)가 새겨져 있으며, 대장장이의 이름일 것이다.
- ''Exucri con-exucri Glion. Aisus scrisumio uelor! Exugri con-exugri lau'' (보르도의 마르셀라스가 기록한 주문)
번역: “뱉어내라, 뱉어내라 침을. 아이수스(신명), 뱉어내고 싶다! 가라, 악한 것아 가라!” (누군가 목구멍에 걸린 것이 있다면 이 주문을 외워야 한다고 적혀 있다.)
- ''LICNOS CONTEXTOS IEURU ANUALONNACU CANECO-SEDLON''
번역: “리크노스 컨텍스투스가 아누아론나쿠스에게 금좌를 바친다”
4. 2. 기타 자료
고대 그리스와 라틴 작가들의 저술에는 갈리아어와 갈리아어 문자에 대한 언급이 13개 이상 발견된다. '갈리아어'(gallicumla)라는 단어는 베르길리우스 부록에 실린 시에서 갈리아 알파벳 문자를 언급하며 처음 명시적으로 사용되었다.[11]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8년에 저술한 갈리아 전쟁기la에서 켈트족/갈리아인과 그들의 언어가 이웃 아키타니아어 사용자와 벨가이족과 각각 가론 강과 센 강/마른 강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고 언급했다.[12] 카이사르는 그리스 문자로 쓰인 인구 조사 기록이 헬베티이족 사이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했다.[13] 또한 기원전 53년 당시 갈리아 드루이드들이 사적 및 공적 거래에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했지만, 드루이드 교리는 기억으로만 전승되었고 기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14]갈리아 귀족들은 로마 정복 이후 엘리트 권력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라틴어를 빠르게 채택했으며,[16] 기원전 1세기 초부터 남부 갈리아의 3개 국어 사용이 기록되었다.[17]
갈리아에서 갈리아어에 대한 초기 언급은 서기 400년경까지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 유창성에 대한 문제와 관련된 경향이 있었다. 반면 서기 450년경 이후로는 저자들이 그 용어를 어떻게 사용했든 간에 라틴어가 '갈리아어' 또는 '켈트어'를 대체한 맥락에서 갈리아어가 언급되기 시작했지만, 처음에는 상류층에만 국한되었다. 갈라티아(소아시아)의 경우 5세기 언어 대체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출처는 없다.
- 2세기 후반, 루그두눔(현재의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우스는 "켈트족 사이에 거주하며 대부분 야만적인 방언을 사용하는 데 익숙해져" 부족한 그리스어에 대해 사과했다.[18]
- Vita Sancti Symphorianila에 따르면, 아우구스토두눔(현재의 오통)의 심포리아누스는 기독교 신앙 때문에 178년 8월 22일에 처형되었다. 그가 처형장으로 끌려갈 때, "그의 존경할 만한 어머니는 담에서 열심히 모든 사람에게 눈에 띄게(?), 갈리아어로 말하며 그에게 충고했다. '아들아, 아들아, 심포리아누스야, 너의 신을 생각하라!' (uenerabilis mater sua de muro sedula et nota illum uoce Gallica monuit dicens: 'nate, nate Synforiane, mentobeto to diuo'la[19])." 갈리아어 문장은 여러 사본에서 손상된 상태로 전해졌으며, 현재 상태로는 투르네이센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데이비드 스티프터(2012)에 따르면, *mentobeto*는 라틴어 mens, mentisla '마음'과 haberela '갖다'에서 유래한 원로망스 동사처럼 보이며, 전체 발화가 순수 갈리아어의 예가 아닌 로망스어의 초기 변형이거나 로망스어와 갈리아어의 혼합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에 natexga는 갈리아어에서 확인되며 (예: 엔들리허 사전[20]), Vita Sancti Symphorianila의 저자는 갈리아어에 능통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당시 비라틴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분명히 예상했다.
- 라틴어 저술가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한 일화에서 에트루리아어와 함께 갈리아어를 언급하는데, 이는 그의 청중들이 이러한 언어에 대해 들어봤지만 어느 것도 한 단어도 이해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21]
-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서기 207~229년 집필)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가 같은 언어를 사용했음을 암시한다. 13권은 명명된 부족이 공통 정부와 공통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원칙을 언급하며, 그렇지 않으면 한 지역의 인구는 스페인/이베리아인의 경우처럼 지리적 용어로 요약된다.[22] 12권과 14권에서 피레네 산맥과 포 강 사이의 갈리아인들은 자신들을 친척으로 여긴다고 명시되어 있다.[23][24] 46권에서 카시우스 디오는 시스알프 갈리아와 트랜스알프 갈리아의 결정적인 차이점이 머리카락 길이와 옷 스타일(즉, 언어 차이를 언급하지 않음)이며, 시살피나 갈리아인들은 일찍부터 짧은 머리와 로마 토가 (Gallia Togatala)를 채택했다고 설명한다.[25] 잠재적으로 대조적으로, 카이사르는 론 강을 켈트족과 provincia nostrala 사이의 경계로 묘사했다.[12]
- 율피아누스(서기 222~228년)의 디게스타 XXXII, 11에서는 fideicommissala(유언 조항)도 갈리아어로 작성될 수 있다고 명령하고 있다.[26]
- 서기 378년과 395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저술한 부르디갈라(현재의 보르도) 출신의 라틴 시인이자 학자인 데키무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는 그의 사망한 아버지 율리우스의 라틴어 구사 능력을 inpromptusla, "더듬거리는, 유창하지 않은"것으로 묘사하며; 율리우스는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충분히 유창하다고 느꼈다.[27] 이 발언은 때때로 율리우스 아우소니우스의 모국어가 갈리아어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만,[28] 그 대안으로 그의 모국어가 그리스어였을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의사로서 그는 전문적인 숙련의 일부로 그리스어를 갈고 닦았을 것이다.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서기 363~425년)의 Dialogi de Vita Martini I, 26에서 대화의 한 파트너는 부족한 라틴어가 파트너의 귀를 불쾌하게 할 수 있다는 수사적 상투적인 말을 한다. 그중 한 명이 대답한다. uel Celtice aut si mauis Gallice loquere dummodo Martinum loquarisla '마르티누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 켈트어로, 또는 원한다면 갈리아어로 말해라'.[29]
- 성 히에로니무스(서기 386/387년 저술)는 성 바울의 ''갈라디아서''에 대한 주석에서 벨기에의 트레베리가 라틴어가 아닌 갈라타이아인과 거의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30] 이것은 루키아누스가 서기 180년에 한 이전 보고서와 일치한다.[31]
- 서기 474년 그의 매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뉴 클레르몽의 주교인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젊은 시절에 "우리 귀족들은 ... 야만적인 켈트어 방언을 버리기로 결심했다"고 말하며, 분명히 유창한 라틴어를 선호했다고 말한다.[32]
『갈리아 비문집』(Recueil des inscriptions gauloises)에 따르면, 아키텐을 제외한 프랑스 전역과 북부 이탈리아에서 760개가 넘는 갈리아어 비문이 발견되었다.[48] 이러한 비문에는 짧은 헌정문, 묘비명, 소유권 표시, 감정 표현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법적 또는 마법 종교적 성격의 좀 더 긴 문서들[2]도 있으며, 그중 가장 긴 세 개는 라르자크 판, 샤말리에르 판, 르주 접시이다. 가장 유명한 갈리아 기록은 2세기경의 파편화된 청동판인 콜리뉴 달력으로, 5년에 걸친 켈트족 달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태양력과 태음력을 조정하기 위해 2년 반마다 13번째 달을 삽입하는 태음태양력이다. 또한 샤토블로 출토의 긴(11줄) 비문이 새겨진 기와가 있는데, 이는 저주 또는 결혼 제안으로 해석되었다.[49]
많은 비문은 몇 단어(종종 이름)만으로 구성된 진부한 표현이며, 많은 비문은 파편화되어 있다.[50][51] 기록의 주제를 보면 이 언어가 사회 모든 계층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자료들도 갈리아어에 대한 지식에 기여한다. 고대 그리스와 라틴 저술가들은 갈리아어 단어,[15] 개인 및 부족 이름,[52] 그리고 지명을 언급한다. De nominib[us] Gallicisla라는 제목의 짧은 갈리아어-라틴어 어휘집(약 20개 항목)인 "엔들리히어 어휘집"은 9세기 사본(Öst. Nationalbibliothek, MS 89 fol. 189v)에 보존되어 있다.[20]
현대 프랑스어에는 약 150~180개의 갈리아어 기원어가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은 목축이나 일상 활동과 관련이 있다.[53][54] 방언과 파생어를 포함하면 총 약 400개의 단어가 된다. 이는 로망스어 중 가장 많은 수이다.[55][56]
갈리아어 비문은 네 권으로 구성된 『갈리아어 비문집』(Recueil des inscriptions gauloises, RIG)에 편집되어 있으며, 공공 기념물, 개인적인 도구, 두 개의 달력, 그리고 주화에 새겨진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로 쓰여진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58][59]
가장 긴 갈리아어 텍스트로 알려진 것은 1983년 프랑스 로스피탈뒤라르작에서 발견된 라르자크 판이다. 이것은 두 장의 작은 납판 양면에 로마 속기체로 새겨져 있다. 아마도 저주판(defixiola)일 것으로 추정되며, 예를 들어 aia duxtir adiegias [...] adiega matir aiiasxtg (아이아, 아디에가의 딸… 아디에가, 아이아의 어머니) 와 같이 여성 이름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으며, 세베라 테르티오니카와 한 무리의 여성들(종종 경쟁 관계의 마녀 집단으로 여겨짐)에 관한 주문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텍스트의 정확한 의미는 여전히 불분명하다.[60][61]
콜리니 달력은 1897년 프랑스 콜리니에서 발견되었으며, 마르스 신으로 확인된 조각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이 달력에는 갈리아어 단어와 로마 숫자가 함께 사용되어 있으며, latxtg이 분명히 "날"을 의미하고, midxtg가 "달"을 의미하는 등 번역이 가능하다. 30일짜리 달은 matusxtg("행운의"), 29일짜리 달은 anmatusxtg("불운의")로 표시되었는데, 이는 중세 웨일스어 madwlm와 anfadwlm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그 의미는 여기서는 단순히 "완전한"과 "불완전한"을 묘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62]
그라우페상크[63]의 토기는 갈리아 숫자에 대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토기 제작자들은 가마를 공유하고 세라믹 판에 라틴 속기체로 새겨진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1부터 10까지 번호가 매겨진 가마의 짐을 나타낸다.
순서 | 갈리아어 표기 | 기타 켈트어 표기 |
---|---|---|
1번째 | cintus, cintuxosxga | 웨일스어 cyntcy "이전의", cyntafcy "첫 번째", 브르타뉴어 kentbr "앞에", kentañbr "첫 번째", 콘월어 kynsakw "첫 번째", 고대 아일랜드어 cétasga, 아일랜드어 céadga "첫 번째" |
2번째 | allosxga, alosxga | 웨일스어 ailcy, 브르타뉴어 eilbr, 고대 아일랜드어 ailesga "다른", 아일랜드어 eilega |
3번째 | tri[tios]xga | 웨일스어 trydyddcy, 브르타뉴어 tredebr, 고대 아일랜드어 treidesga |
4번째 | petuar[ios]xga | 웨일스어 pedweryddcy, 브르타뉴어 pevarebr |
5번째 | pinpetosxga | 웨일스어 pumedcy, 브르타뉴어 pempetbr, 고대 아일랜드어 cóicedsga |
6번째 | suexosxga | (아마도 suextosxga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래 레제 비문 참조; 웨일스어 chwechedcy, 브르타뉴어 chwec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seissedsga) |
7번째 | sextametosxga | 웨일스어 seithfedcy, 브르타뉴어 seiz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sechtmadsga |
8번째 | oxtumeto[s]xga | 웨일스어 wythfedcy, 브르타뉴어 eizhvedbr, 고대 아일랜드어 ochtmadsga |
9번째 | namet[os]xga | 웨일스어 nawfedcy, 브르타뉴어 navedbr, 고대 아일랜드어 nómadsga |
10번째 | decametosxga, decometosxga | 켈티베리아어 dekametamxce, 웨일스어 degfedcy, 브르타뉴어 degvetbr, 고대 아일랜드어 dechmadsga |
레제에서 발견된 납판 비문(2세기경, 루아르 강 어귀, 그라우페상크에서 북서쪽으로 450km)은 명백히 계산 또는 계산서이며, 상당히 다른 서수를 포함하고 있다.[64]
순서 | 갈리아어 표기 |
---|---|
3번째 | triluxga |
4번째 | paetrutexga |
5번째 | pixtexga |
6번째 | suexxexga |
라틴어 비문에서 확인된 다른 갈리아어 숫자에는 *petrudecametosxga "14번째"(petrudecametoxga로 표기, 라틴어화된 단수 여격/탈격 어미)와 *tricontsxga "30"(tricontisxga로 표기, 라틴어화된 복수 탈격 어미; 아일랜드어 tríochaga와 비교)가 있다. 리모주의 라틴어 비문에는 "((아폴론)) 그라누스의 10일 축제"를 위한 라틴어 구절인 decamnoctiacis Grannila가 언급되어 있다. 유사한 형태는 콜리니 달력에서도 발견되는데, trinox[...] Samonixga "사모니오스 달의 3일간의 (축제?)"가 언급되어 있다. 예상대로 고대 갈리아어는 현대 켈트어가 현대 로망스어와 유사한 정도보다 라틴어와 더 유사했다. 두 개 이상의 대상을 셀 때 사용되는 라틴어의 서수는 prīmusla, secundusla, tertius, quārtus, quīntus, sextus, septimus, octāvus, nōnusla, 그리고 decimusla이다.[65]
알리스생트렌(서기 1세기)의 석재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MARTIALIS DANNOTALI IEVRV VCVETE SOSIN CELICNONla
:ETIC GOBEDBI DVGIIONTIIO VCVETIN IN ALISIIAla
:"다노탈로스의 아들 마르티알리스가 우쿠에티스 신에게 이 건물을 바쳤으며,
:알리시아에서 우쿠에티스를 숭배하는 대장장이들(GOBEDBIla 복수 여격; 고대 아일랜드어 gobasga와 비교)에게 바쳤다."[66][67]
여러 개의 짧은 비문이 방추에서 발견되었으며, 갈리아어에서 가장 최근의 발견물 중 하나이다. 방추는 남자들이 여자들에게 주는 선물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 moni gnatha gabi / buððutton imonxga (RIG l. 119) "내 여자 친구여, 내 성기를 받아라(?)"[68] (또는 "작은 키스"?)[69]
- geneta imi / daga uimpixga (RIG l. 120) "'나는 어린 여자이며, 착하고 예쁘다.'"
티오쿠르에서 발견된 금반지는 착용자의 연인에 대한 변치 않는 충성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에서 발견된 비문은 드물다. 헬베티아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주목할 만한 비문은 베른 아연판이며, ΔΟΒΝΟΡΗΔΟ ΓΟΒΑΝΟ ΒΡΕΝΟΔΩΡ ΝΑΝΤΑΡΩΡxga(Dobnorēdo gobano brenodōr nantarōrxga)라고 새겨져 있으며, 켈트족 금속 세공 신인 고바누스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베른 근교 무리에서 곰과 함께 앉아 있는 여신인 아르티오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는데, 라틴어 비문 DEAE ARTIONI LIVINIA SABILLINAla이 새겨져 있어 갈리아어 Artiūxga "곰(여신)"을 암시한다.
그리스 문자로 된 갈리아어 비문이 새겨진 동전도 스위스에서 발견되었는데, 예를 들어 RIG IV No. 92(링고네스)와 267(레우키)가 있다. 라텐 문화 시대의 칼이 비엘/비엔 근처 포트에서 발견되었는데, 칼날에는 ΚΟΡΙϹΙΟϹxga(Korisiosxga)가 새겨져 있으며, 아마도 대장장이의 이름일 것이다.
- ''Exucri con-exucri Glion. Aisus scrisumio uelor! Exugri con-exugri lau'' (보르도의 마르셀라스가 기록한 주문)
번역: “뱉어내라, 뱉어내라 침을. 아이수스(신명), 뱉어내고 싶다! 가라, 악한 것아 가라!” (누군가 목구멍에 걸린 것이 있다면 이 주문을 외워야 한다고 적혀 있다.)
- ''LICNOS CONTEXTOS IEURU ANUALONNACU CANECO-SEDLON''
번역: “리크노스 컨텍스투스가 아누아론나쿠스에게 금좌를 바친다”
5. 음운
갈리아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앞모음 | 중앙모음 | 뒤모음 | |
---|---|---|---|
높은 모음 | |||
중간 모음 | |||
낮은 모음 |
- 모음:
- * 단모음: a, e, i, o, u
- * 장모음: ā, ē, ī, (ō), ū
- * 이중모음: ai, ei, oi, au, eu, ou
양순 자음 | 치경 자음/치조 자음 | 경구개 자음 | 연구개 자음 | |
---|---|---|---|---|
비음 | ||||
파열음 | ||||
마찰음+파열음 | ||||
마찰음 | 1 | |||
유음 | ||||
액체 자음 |
# 는 /k/ 앞에서의 동소이다.
- 파열음:
- * 무성음:
- * 유성음:
- 유성 자음
- * 비음:
- * 액체 자음:
- 치찰음:
- 마찰음+파열음:
- 반모음:
이중모음은 역사적 시대를 거치면서 모두 변화했다. ''Ai''와 ''oi''는 장음 ''ī''로 변했고, ''eu''는 ''ou''와 합쳐져 모두 장음 ''ō''가 되었다. ''Ei''는 장음 ''ē''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장음 이중모음은 단음 이중모음이 된 후 장모음이 되었다. 종지에서 비음 앞의 장모음은 단모음이 되었다.
다른 변화로는 무강세 ''i''가 ''e''가 되었고, ''ln''은 ''ll''이 되었고, 파열음 + ''s''는 ''ss''가 되었고, 비음 + 연구개음은 + 연구개음이 되었다.
약세 폭발음은 라틴어와 달리 무성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틴어는 약세 폐쇄음을 유성으로, 강세 폐쇄음을 무성으로 구분하여 Glanumxga을 Clanumxga으로, vergobretosxga를 vercobretoxga로, Britanniaxga를 Pritanniaxga로 혼동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72]
- 갈리아어는 원시 켈트어의 무성 순순음 후치경음 (PIE 와 PIE 모두에서 유래)를 로 변화시켰는데, 이러한 변화는 브리토니아어군(그리스어와 오스코-움브리아어 같은 일부 이탈리아어군도 마찬가지)에서도 관찰된 반면, 다른 켈트어들은 순순음 후치경음을 유지했다. 따라서 "아들"을 의미하는 갈리아어는 maposxga였는데,[77] 원시 아일랜드어 *''maq(q)os'' (소유격 maq(q)ixga가 증명됨)과 대조적이며,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macga (소유격 micga)이 되었다. 현대 웨일스어에서는 mapcy, mabcy (또는 축약형 apcy, abcy)가 성씨에서 발견된다. 마찬가지로 "말"을 의미하는 갈리아어 단어 중 하나는 eposxga였는데 (구 브르타뉴어 ebbr, 현대 브르타뉴어 kenebbr "임신한 암말"), 고대 아일랜드어는 echsga, 현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eachga, 맨섬어는 eghgv를 사용하며, 이들은 모두 원시 인도-유럽어 *''h₁éḱwos''에서 유래했다.[78] 이 음가의 유지 또는 혁신은 언어 간의 밀접한 유전적 관계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이델어와 브리토니아어는 모두 섬 켈트어군에 속하며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원시 켈트어의 유성 순순음 후치경음 (PIE 에서 유래)는 가 되었다: *gʷediūmicel → uediiumixga "나는 기도한다" (하지만 켈티베리아어 Ku.e.z.o.n.to /gueðonto/ < *''gʷʰedʰ-y-ont'' '간청하는, 애원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guidim'', 웨일스어 ''gweddi'' "기도하다").
- PIE , 는 이 되었고, ðxga로 표기되었다: → neððamonxga (아일랜드어 nesamhga "가장 가까운", 웨일스어 nesafcy "다음의", 현대 브르타뉴어 nesbr 및 nesañbr "다음의"와 비교).
- PIE 는 euxga 또는 ouxga이 되었고, 나중에 ōxga이 되었다: PIE *''tewtéh₂'' → / → tōtāxga "종족" (아일랜드어 túathga, 웨일스어 tudcy "사람들"과 비교).
- PIE 는 ei, ēxga 및 īxga이 되었다. PIE → treis → trīxga (아일랜드어 tríga "셋"과 비교).
- 또한, 자음 사이의 는 파찰음 (치경음 + 무성 치경 파찰음)이 되었고, 자음 사이의 는 이 되었으며, 는 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순음과 연구개음은 또는 앞에 올 때 마찰음 로 합쳐졌다.
5. 1. 모음
앞모음 | 중앙모음 | 뒤모음 | |
---|---|---|---|
높은 모음 | i iː | u uː | |
중간 모음 | e eː | o oː | |
낮은 모음 | a aː |
- 단모음: a, e, i, o, u
- 장모음: ā, ē, ī, (ō), ū
- 이중모음: ai, ei, oi, au, eu, ou
이중모음은 역사적 시대를 거치면서 모두 변화했다. ''Ai''와 ''oi''는 장음 ''ī''로 변했고, ''eu''는 ''ou''와 합쳐져 모두 장음 ''ō''가 되었다. ''Ei''는 장음 ''ē''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장음 이중모음은 단음 이중모음이 된 후 장모음이 되었다. 종지에서 비음 앞의 장모음은 단모음이 되었다.
다른 변화로는 무강세 ''i''가 ''e''가 되었고, ''ln''은 ''ll''이 되었고, 파열음 + ''s''는 ''ss''가 되었고, 비음 + 연구개음은 + 연구개음이 되었다.
5. 2. 자음
양순 자음 | 치경 자음/치조 자음 | 경구개 자음 | 연구개 자음 | |
---|---|---|---|---|
비음 | ||||
파열음 | ||||
마찰음+파열음 | ||||
마찰음 | 1 | |||
유음 | ||||
액체 자음 |
# [x]는 /k/ 앞에서의 동소이다.
- 파열음:
- * 무성음:
- * 유성음:
- 유성 자음
- * 비음:
- * 액체 자음:
- 치찰음:
- 마찰음+파열음:
- 반모음:
약세 폭발음은 라틴어와 달리 무성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틴어는 약세 폐쇄음을 유성으로, 강세 폐쇄음을 무성으로 구분하여 Glanumxga을 Clanumxga으로, vergobretosxga를 vercobretoxga로, Britanniaxga를 Pritanniaxga로 혼동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72]
5. 3. 문자
갈리아어는 여러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 레폰티아 문자 (루가노 알파벳): 키살피나 갈리아에서 레폰티아어에 사용되었다.
A | E | I | K | L | M | N | O | P | R | S | T | Θ | V | X | Z |
루가노 알파벳은 파열음의 유성/무성을 구분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Pxga는 또는 를, Txga는 또는 를, Kxga는 또는 를 나타냈다. Zxga는 아마도 였을 것이다. Uxga 와 Vxga 는 초기 비문 하나에서만 구분되었다. Θxga는 아마도 이고, X는 였을 것이다 (Lejeune 1971, Solinas 1985).
- 동방 그리스 알파벳: 남부 갈리아 나르보넨시스(Gallia Narbonensis)에서 사용되었다.
문자 | 발음 | 용례 주석 | |
---|---|---|---|
음소 | IPA | ||
Α | |||
Β | |||
Γ | |||
Δ | |||
Ε | |||
Ζ | |||
Η | |||
Θ |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음 | ||
ΘΘ | |||
Ι | |||
ΕΙ | |||
Κ | |||
Λ | |||
Μ | |||
Ν | |||
Ξ | 초기: | [] | 입증되지 않음. 후대 라틴 문자 -XS-의 // 표기 사용으로 존재가 암시됨 |
후기: | [] | ||
ΓϹ | [] | ||
Ο | |||
Π | |||
Ρ | |||
Ϲ | |||
Τ | |||
Υ |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음 | ||
ΟΥ | 다음 이중모음의 마지막 요소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됨: | ||
Χ | // 자음군 -ΧΤ-에서만 사용됨 | ||
Ω | |||
- 라틴 알파벳: 갈리아 로마 속주에서 사용되었다.
A | B | C | D | Ꟈ | E | F | G | H | I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V | X | Z |
a | b | c | d | ꟈ | e | f | g | h | i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v | x | z |
G와 K는 때때로 서로 바꿔 사용되었으며(특히 R 다음에), ''Ꟈ''/''ꟈ'', dsxga 및 sxga는 및/또는 를 나타낼 수 있다. X, xxga는 또는 를 나타낸다. Q는 드물게만 사용되었으며(Sequanni, Equosxga), 고어(유지된 ) 또는 라틴어에서 차용한 것, 또는 라틴어에서와 같이 -cu-xga의 다른 철자(원래 , , 또는 )를 나타낼 수 있다.[75] Ꟈ은 갈리아어 파찰음을 나타내는 문자 ''타우 갈리쿰''이다. 문자 ''ꟉꟉ''/''ꟊꟊ''는 일부 비문에 나타난다.[76]
갈리아어의 모음과 자음은 다음과 같다.
앞모음 | 중앙모음 | 뒤모음 | |
---|---|---|---|
높은 모음 | |||
중간 모음 | |||
낮은 모음 |
- 모음:
- * 단모음: a, e, i, o, u
- * 장모음: ā, ē, ī, (ō), ū
- * 이중모음: ai, ei, oi, au, eu, ou
양순 자음 | 치경 자음/치조 자음 | 경구개 자음 | 연구개 자음 | |
---|---|---|---|---|
비음 | ||||
파열음 | ||||
마찰음+파열음 | ||||
마찰음 | 1 | |||
유음 | ||||
액체 자음 |
# 는 /k/ 앞에서의 동소이다.
- 파열음:
- * 무성음:
- * 유성음:
- 유성 자음
- * 비음:
- * 액체 자음:
- 치찰음:
- 마찰음+파열음:
- 반모음:
이중모음은 역사적 시대를 거치면서 모두 변화했다. ''Ai''와 ''oi''는 장음 ''ī''로 변했고, ''eu''는 ''ou''와 합쳐져 모두 장음 ''ō''가 되었다. ''Ei''는 장음 ''ē''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장음 이중모음은 단음 이중모음이 된 후 장모음이 되었다. 종지에서 비음 앞의 장모음은 단모음이 되었다.
다른 변화로는 무강세 ''i''가 ''e''가 되었고, ''ln''은 ''ll''이 되었고, 파열음 + ''s''는 ''ss''가 되었고, 비음 + 연구개음은 + 연구개음이 되었다.
약세 폭발음은 라틴어와 달리 무성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틴어는 약세 폐쇄음을 유성으로, 강세 폐쇄음을 무성으로 구분하여 Glanumxga을 Clanumxga으로, vergobretosxga를 vercobretoxga로, Britanniaxga를 Pritanniaxga로 혼동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72]
6. 문법
고대 갈리아어는 라틴어 문법과 일부 지역적, 유전적 유사성(인도유럽어족, 이탈로켈트어족설 가설 참조)을 가지고 있었고, 프랑스 역사가 페르디낭 로는 이것이 로마 갈리아에서 속어 라틴어의 빠른 채택에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했다.[79]
갈리아어는 명사의 격 변화에 주격, 호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조격, 처소격의 7가지 격을 가지고 있었다. 동사는 현재, 미래, 완료, 미완료 시제를 가지며, 직설법, 가정법, 서법, 명령법과 능동태 및 수동태를 갖는다.[81][82]
동사는 여러 가지 혁신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인도유럽어족의 s-과거시제는 갈리아어의 t-과거시제가 되었는데, 이는 과거 시제 3인칭 단수 어미 -t|-트xga와 완료 시제 3인칭 단수 어미 -u|-우xga 또는 -e|-에xga가 합쳐지고, 그 후 t-과거시제의 모든 형태에 접미사가 붙어 형성되었다. 마찬가지로, s-과거시제는 -ss|-ㅆxga (원래 3인칭 단수에서 유래)의 확장과 3인칭 단수에 -it|-잍xga의 접미사를 붙여(3인칭 단수임을 구분하기 위해) 형성된다. 과거시제의 3인칭 복수는 -s|-ㅅxga를 추가하여 표시된다.
갈리아어 동사 활용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인도유럽어 공통의 -mi 동사(비간모음형)와 -o 동사(모음간형)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5가지 법(직설법, 접속법, 희구법, 명령법, 부정법)과 적어도 3가지 시제(현재, 미래, 과거)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여기서 부정법은 동사 명사의 형태이다.
켈트어에는 부정사가 없다. 대신 현대 켈트어에서는 브르타뉴어, 콘월어, 웨일스어, 맨섬어는 고대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명사(nom verbal)라고 불리는 형태가 나타났고, 아일랜드어는 이것을 상실했다.[91]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갈리아어가 -an으로 끝나는 부정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브르타뉴어는 이 형태의 부정사를 가지고 있다.
자료 부족으로 인해 갈리아어 형태론의 재구성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6. 1. 명사
고대 갈리아어는 라틴어 문법과 유사한 점이 있었는데, 프랑스 역사가 페르디낭 로는 이것이 로마 갈리아에서 속어 라틴어가 빠르게 받아들여지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했다.[79]갈리아어 명사는 주격, 호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조격, 처소격의 7가지 격 변화를 했다. 비문에서는 주격과 목적격이 더 자주 나타나며, 일반적인 어간(-o-와 -a- 어간)에 대한 증거가 -i-, -n-, -r- 어간보다 더 많이 발견된다.
다음 표는 "부족, 사람"을 뜻하는 *toṷtā|토우타xga, "소년, 아들"을 뜻하는 *mapos|마포스xga, "예언자"를 뜻하는 *ṷātis|와티스xga, "목소리"를 뜻하는 *gutus|구투스xga, "형제"를 뜻하는 *brātīr|브라티르xga 단어의 재구성된 어미를 보여준다.[80][81]
격 | 단수 | rowspan="9" | | 복수 | |||||||
---|---|---|---|---|---|---|---|---|---|---|
ā-어간 | o-어간 | i-어간 | u-어간 | r-어간 | ā-어간 | o-어간 | i-어간 | u-어간 | r-어간 | |
주격 | *toṷtā|토우타xga | *mapos|마포스xga (n. *-on) | *ṷātis|와티스xga | *gutus|구투스xga | *brātīr|브라티르xga | *toṷtās|토우타스xga | *mapoi|마포이xga | *ṷātīs|와티스xga | *gutoṷes|구토웨스xga | *brāteres|브라테레스xga |
호격 | *toṷtā|토우타xga | *mape|마페xga | *ṷāti|와티xga | *gutu|구투xga | *brāter|브라테르xga | *toṷtās|토우타스xga | *mapoi|마포이xga | *ṷātīs|와티스xga | *gutoṷes|구토웨스xga | *brāteres|브라테레스xga |
목적격 | *toṷtan ~ *toṷtam > *toṷtim|토우탄 ~ *토우탐 > *토우팀xga | *mapon ~ *mapom (n. *-on)|마폰 ~ *마폼 (n. *-온)xga | *ṷātin ~ *ṷātim|와틴 ~ *와팀xga | *gutun ~ *gutum|구툰 ~ *구툼xga | *brāterem|브라테렘xga | *toṷtās|토우타스xga | *mapōs > *mapūs|마포스 > *마푸스xga | *ṷātīs|와티스xga | *gutūs|구투스xga | *brāterās|브라테라스xga |
소유격 | toṷtās > *toṷtiās|토우타스 > *토우티아스xga | *mapoiso > *mapi|마포이소 > *마피xga | *ṷātēis|와테이스xga | *gutoṷs > *gutōs|구토우스 > *구토스xga | *brātros|브라트로스xga | *toṷtanom|토우타놈xga | *mapon|마폰xga | *ṷātiom|와티옴xga | *gutoṷom|구토웜xga | *brātron|브라트론xga |
여격 | *toṷtai > *toṷtī|토우타이 > *토우티xga | *mapūi > *mapū|마푸이 > *마푸xga | *ṷātei > *ṷāte|와테이 > *와테xga | *gutoṷei > gutoṷ|구토웨이 > 구토우xga | *brātrei|브라트레이xga | *toṷtābo(s)|토우타보(스)xga | *mapobo(s)|마포보(스)xga | *ṷātibo(s)|와티보(스)xga | *gutuibo(s)|구투이보(스)xga | *brātrebo(s)|브라트레보(스)xga |
조격 | *toṷtia > *toṷtī|토우티아 > *토우티xga | *mapū|마푸xga | *ṷātī|와티xga | *gutū|구투xga | *brātri|브라트리xga | *toṷtābi(s)|토우타비(스)xga | *mapuis > *mapūs|마푸이스 > *마푸스xga | *ṷātibi(s)|와티비(스)xga | *gutuibi(s)|구투이비(스)xga | *brātrebi(s)|브라트레비(스)xga |
처소격 | *toṷtī|토우티xga | *mapei > *mapē|마페이 > *마페xga | *ṷātei|와테이xga | *gutoṷ|구토우xga | *brātri|브라트리xga | *toṷtābo(s)|토우타보(스)xga | *mapois|마포이스xga | *ṷātibo(s)|와티보(스)xga | *gutubo(s)|구투보(스)xga | *brātrebo(s)|브라트레보(스)xga |
역사적 변천도 확인된다. 예를 들어 a-어간의 단수 여격은 가장 오래된 비문에서 -āi|-아이xga이고, *-ăi|-아이xga를 거쳐 -ī|-이xga가 된다. 이는 아일랜드어의 a-어간 명사와 유사하다. (주격 lámh|람ga "손, 팔", 여격 láimh|라임ga (< *lāmi|라미ga), 갈리아어 lāmāi|라마이xga > *lāmăi|라마이xga > lāmī|라미xga와 비교). 복수 조격은 복수 여격을 침범하기 시작했으며, 현대 섬 켈트어에서는 조격 형태가 여격을 완전히 대체했다.
o-어간의 경우, 갈리아어는 주격 복수 -oi|-오이xga와 단수 소유격 -ī|-이xga에 대한 대명사 어미를 사용했다. (켈티베리아어 -oś, -o|-오스, -오xce에는 -ōs|-오스xga와 -os|-오스xga가 존재). a-어간에서는 상속된 단수 소유격 -as|-아스xga가 확인되지만, 이후 -ias|-이아스xga로 대체되었다. 복수 소유격 -a-om|-아옴xga은 -anom|-아놈xga(켈티베리아어 -aum|-아움xce과 비교)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단수 목적격 어미에서 -n|-ㄴxga과 -m|-ㅁxga 어미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알프스 이남 갈리아어는 -n|-ㄴxtg을, 알프스 이북 갈리아어는 -m|-ㅁxcg을 선호한다. 복수 소유격에서 -n|-ㄴxga과 -m|-ㅁxga의 차이는 앞선 모음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긴 모음은 -m|-ㅁxga을 취한다(-anom|-아놈xga의 경우, -a-om|-아옴xga에서 변화).
갈리아어는 6~7개의 격 변화를 가졌다.[89] 이 격 변화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격 변화와 유사하다.
o 어간은 가장 잘 증명되어 있으며,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제2변격에 해당한다. 현대 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현대 켈트어는 중성이 없어, 많은 갈리아어 단어에서 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o 어간 변화 (예: ''viros'' "남자"(남성 명사), ''nemeton'' "성역"(중성 명사)):
viros | nemeton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
주격 | vir-os | vir-oi > -i | nemet-on | nemet-a |
목적격 | vir-on, -om | vir-us | nemet-on | nemet-a |
소유격 | vir-i | vir-on | nemet-i | nemet-on |
여격 | vir-ui > -u | vir-obo | nemet-ui | nemet-obo |
조격/공격 | vir-u | vir-obi[90] | nemet-u | nemet-obi[90] |
- i로 끝나는 소유격은 서쪽 인도유럽어(라틴어, 켈트어)에 공통적이지만, 아르메니아어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소유격이다. 복수 조격은 -us이지만, -obi 형태가 증명되어 있으며 (''messamobi'', ''gandobi''), 고대 아일랜드어처럼 다른 어근을 기반으로 수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a 어간 변화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제1변화에 해당하며, 산스크리트어의 -i/-ia 어간과 이중으로 되어 있다. 후기 갈리아어에서 이 두 변화는 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 a 어간 변화 (예: ''touta''「인민」, ''riganîa''「여왕」):
touta | riganîa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
주격 | tout-a | tout-as | rigan-ia | rigan-ias |
목적격 | tout-an, -en | tout-as | rigan-im | rigan-ias |
소유격 | tout-as, -ias | tout-anon | rigan-ias | rigan-ianon |
여격 | tout-ai > e > i | tout-abo | rigan-i | rigan-iabo |
조격/공격 | tout-ia | tout-abi | rigan-ia | rigan-iabi |
다른 모음 어간은 거의 증명되지 않았지만 재구성이 가능하다. 라틴어 3변화와 매우 유사한 반모음 자음 어간 명사도 존재한다.
반모음 i/u (예: ''vatis'' “점쟁이”, ''mori'' “바다”):
vatis | mori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
주격 | vat-is | vat-is < -eis | mor-i | mor-ia |
목적격 | vat-in, -im | vat-îs | mor-i | mor-ia |
소유격 | vat-es < -eos | vat-ion | mor-es | mor-ion |
여격 | vat-e | vat-ibo* > ebo | mor-e | mor-ibo* |
조격/공격 | vat-î* | vat-ibi* > ebi | mor-î* | mor-ibi* |
''magus'' “소년, 종자”(남성 명사), ''medu'' “과일주”(중성 명사):
magus | medu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
주격 | mag-us | mag-oues | med-u | med-ua* |
목적격 | mag-un | mag-us* | med-u | med-ua* |
소유격 | mag-os < ous | mag-uon | med-os | med-uon |
여격 | mag-ou | mag-uebo | med-ou | med-uebo |
공격/조격 | mag-u | mag-uebi* | med-u | med-uebi* |
6. 2. 동사
고대 갈리아어는 라틴어 문법과 일부 지역적, 유전적 유사성(인도유럽어족, 이탈로켈트어족설 가설 참조)을 가지고 있었고, 프랑스 역사가 페르디낭 로는 이것이 로마 갈리아에서 속어 라틴어의 빠른 채택에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했다.[79]갈리아어 동사는 현재, 미래, 완료, 미완료 시제를 가지며, 직설법, 가정법, 서법, 명령법과 능동태 및 수동태를 갖는다.[81][82] 동사는 여러 가지 혁신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인도유럽어의 s-과거시제는 갈리아어의 t-과거시제가 되었는데, 이는 과거 시제 3인칭 단수 어미 -txga와 완료 시제 3인칭 단수 어미 -uxga 또는 -exga가 합쳐지고, 그 후 t-과거시제의 모든 형태에 접미사가 붙어 형성되었다. 마찬가지로, s-과거시제는 -ssxga (원래 3인칭 단수에서 유래)의 확장과 3인칭 단수에 -itxga의 접미사를 붙여(3인칭 단수임을 구분하기 위해) 형성된다. 과거시제의 3인칭 복수는 -sxga를 추가하여 표시된다.
갈리아어 동사 활용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갈리아어는 고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인도유럽어 공통의 -mi 동사(비간모음형)와 -o 동사(모음간형)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갈리아어는 고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5가지 법(직설법, 접속법, 희구법, 명령법, 부정법. 이 마지막 것은 동사 명사의 형태)과 적어도 3가지 시제(현재, 미래, 과거)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켈트어에는 부정사가 없다. 대신 현대 켈트어에서는 브르타뉴어(Breton), 콘월어(Cornish), 웨일스어(Welsh), 맨섬어(Manx)는 고대 아일랜드어(Old Irish)와 마찬가지로, 동사 명사(nom verbal)라고 불리는 형태가 나타났고, 아일랜드어(Irish)는 이것을 상실했다.[91]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갈리아어가 -an으로 끝나는 부정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브르타뉴어는 이 형태의 부정사를 가지고 있다.
7. 통사론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 갈리아어 문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
---|---|---|---|
martialis dannotalixga | ieuruxga | ucuetexga | sosin celicnonxga |
단노탈로스의 아들 마르티알리스는 이 건물을 우쿠에티스에게 봉헌하였다. |
그러나 일부는 동사-주어-목적어(살아남은 섬켈트어에서처럼)와 같은 패턴이나 동사가 마지막에 오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후자는 언어의 초기 단계에서 남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더욱 고대적인 켈티베리아어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동사가 먼저 나오는 문장은 명령문, 강조, 대조 등 특별한 목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동사에는 또는 동사 옆에는 접속대명사나 "그리고", "그러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J. F. 에스카에 따르면, 갈리아어는 동사-두 번째 언어가 아니었다.
ratin briuatiomxga | frontu tarbetisoniosxga | ie(i)uruxga |
NP.Acc.Sg. | NP.Nom.Sg. | V.3rd Sg. |
프론투스 타르베티소니오스는 다리의 판자를 봉헌하였다. |
대명사 목적어 요소가 있을 때마다 '''뱅드리스의 제한'''에 따라 동사 옆에 온다. 일반적인 켈트어 문법은 바케르나겔의 법칙을 보여주므로 절이나 문장의 처음에 동사를 놓는다. 고대 아일랜드어[83]와 전통적인 문학적 웨일스어[84]에서처럼, 동사 앞에는 그 자체로는 실제 의미가 없지만 원래는 발화를 더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입자가 올 수 있다.
sioxt-ixga | albanosxga | panna(s)xga | extra tuꟈ(on)xga | CCC |
V-Pro.Neut. | NP.Nom.Sg. | NP.Fem.Acc.Pl. | PP | Num. |
알바노스는 그것들, 할당량을 초과한 그릇들을 (300개의 양으로) 추가하였다. |
to-me-declaixga | obaldaxga | natinaxga |
Conn.-Pro.1st.Sg.Acc.-V.3rd.Sg. | NP.Nom.Sg. | Appositive |
오발다, (그들의) 사랑스러운 딸은 나를 세웠다. |
에스카의 모델에 따르면, 뱅드리스의 제한은 섬 켈트어의 동사-주어-목적어 어순 발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존 T. 코흐와 같은 다른 권위자들은 그 해석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갈리아어가 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언어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면, 다른 "두부-선행" 특징을 발견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 소유격은 그들의 중심 명사를 따릅니다.
::
atom deuogdonionxga |
신과 인간의 경계. |
- 형용사의 표지되지 않은 위치는 그들의 중심 명사 뒤에 있다.
::
toutious namausatisxga |
니므의 시민 |
- 전치사구는 당연히 전치사가 먼저 온다.
::
in alixiexga |
알레시아에 |
- 수동태 절
::
uatiounui so nemetos commu escengiluxga |
바티오누스에게 이 신전은 콤무스 에센길루스에 의해 (봉헌되었다) |
종속절은 주절 뒤에 오며, 종속절임을 나타내는 어미가 붙지 않은 요소 (joxga)가 있다. 이 요소는 종속절의 첫 번째 동사에 붙는다.
gobedbixga | dugijonti-joxga | ucuetinxga | in alisijaxga |
목적격/도구격 복수 명사구 | 3인칭 복수 동사 - 어미 | 단수 목적격 명사구 | 전치사구 |
알리시아에서 우쿠에티스를 섬기는 대장장이들에게 |
Joxga는 관계절에도 사용되며, THAT-절과 동등한 구문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scrisu-mi-joxga | uelorxga | |
1인칭 단수 동사 - 1인칭 단수 대명사 - 어미 | 1인칭 단수 동사 | |
내가 침을 뱉기를 바란다 |
이 요소는 섬켈트어에서 잔류적으로 발견되며, 켈티베리아어에서는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관계대명사로 나타난다. 따라서:
- 웨일스어
- * 현대 syddcy "which is" ← 중세 웨일스어 yssydwlm ← *esti-joxga
- * 대조적으로 웨일스어 yscy "is" ← *estixga
- 아일랜드어
- * 고대 아일랜드어 관계사 cartaega "they love" ← *caront-joxga
- 켈티베리아어
- * 남성 주격 단수 iośxce, 남성 여격 단수 iomuicel, 여성 목적격 복수 iaśxga
갈리아어의 통사론은 아직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등위 접속사와, 아마도 몇몇 관계 대명사, 지시 대명사, 재귀 대명사가 알려져 있었다. 문장의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8. 현대의 사용
스위스의 포크 메탈 밴드 엘루베이티는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노래 중 일부가 재구성된 갈리아어로 쓰여졌다고 밝혔다. 이 밴드는 언어 관련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노래를 작곡하고 있다.[85] 밴드 이름은 만투아(기원전 300년경)의 그릇에 새겨진 낙서에서 유래했다.[86] 에트루리아 문자로 쓰인 비문은 ''eluveitie''로, 이는 켈트어 (h)elvetioscel ("헬베티아인")의 에트루리아어 형태로 해석되었다.[87] 이는 아마도 헬베티아 출신의 만투아에 살았던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서적
Towards a relative chronology of ancient and medieval Celtic sound change
[5]
논문
[6]
서적
The European Iron Age
https://books.google[...]
[7]
서적
Introduction à la chronologie du latin vulgaire
[8]
논문
[9]
논문
[10]
서적
New approaches to Celtic place-names in Ptolemy's Geography
Ediciones Clásicas
[11]
서적
Catalepton II
[12]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Gallic Wars by Julius Caesar
http://classics.mit.[...]
2017-01-06
[13]
서적
The Gallic Wars
[14]
서적
The Gallic Wars
[15]
서적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16]
논문
Language Policies in the Roman Republic and Empire
Blackwell
[17]
서적
Southern Gaul and the Mediterranean: Multilingualism and Multiple Identities in the Iron Age and Rom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
[19]
논문
Irisches und Gallisches
[20]
웹사이트
Institut für Sprachwissenschaft
http://www.univie.ac[...]
2013-11-02
[21]
서적
Noctes Atticae
[22]
서적
Roman History
[23]
서적
Roman History
[24]
서적
Roman History
[25]
서적
Roman History
[26]
논문
Old Celtic Languages
[27]
서적
Epicedion in patrem
[28]
서적
Geographia
[29]
논문
Old Celtic Languages
[30]
서적
Commentarii in Epistulam ad Galatas
[31]
서적
Pamphlet against the pseudo-prophet Alexandros
[32]
서적
Letters
[33]
서적
Old Celtic Languages
[34]
서적
Vita S. Euthymii
[35]
서적
Hist. Franc.
[36]
서적
Histoire de la langue française
Ellipses Edition Marketing S.A.
[37]
논문
Lingua gallica, lingua celtica: Gaulish, Gallo-Latin, or Gallo-Romance?
https://ora.ox.ac.uk[...]
[38]
서적
French: From Dialect to Standa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39]
서적
Comparative Historical Dialectology: Italo-Romance Clues to Ibero-Romance Sound Chang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2
[40]
논문
Language birth and death
[41]
서적
Terres et langages. Peuples et régions
Auvernha Tara d'Oc
[42]
서적
French: From Dialect to Standa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43]
서적
Terres et langages. Peuples et régions
Auvernha Tara d'Oc
[44]
서적
Les origins de la Bretagne
Bibliothèque historique Payot, Éditions Payot
[45]
학술지
Celtique continental et celtique insulaire en Breton
[46]
서적
Celtic and Slavic and the Great Migrations
Winter Verlag
[47]
논문
Language, law and loanwords in early medieval Gaul: language contact and studies in Gallo-Romance phonology
[48]
백과사전
Gaulish
Blackwell
[49]
서적
Gaulish Inscriptions
[50]
학술지
The Celtic Languages of Continental Europe
University of Wales Press
[51]
학술지
University of Wales Press
[52]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
[53]
서적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54]
서적
French words: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55]
서적
Ro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56]
서적
[57]
참고문헌
[58]
웹사이트
Présentation
https://riig.huma-nu[...]
2022-2023
[59]
웹사이트
Guides
https://riig.huma-nu[...]
2022-2023
[60]
서적
Le plomb magique du Larzac et les sorcières gauloises
CNRS
[61]
웹아카이브
Inscriptions and French translations on the lead tablets from Larzac
http://www.arbre-cel[...]
[62]
서적
Lexikon der keltischen Religion und Kultur
[63]
웹아카이브
la graufesenque
http://pedagogie.ac-[...]
[64]
논문
Le texte gaulois de Rezé
[65]
기타
[66]
서적
Celtic
Routledge
[67]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68]
서적
[69]
서적
Gaulish Inscriptions
http://files.archaeo[...]
[70]
서적
Gaulish Inscriptions
http://files.archaeo[...]
[71]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https://archive.org/[...]
Brill
[7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eltic Languages
Longman
[73]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74]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75]
간행물
(Recension of) Helmut Birkhan, Kelten. Celts. Bilder ihrer Kultur. Images of their Culture, Wien 1999
[76]
웹사이트
L2/19-179: Proposal for the addition of four Latin characters for Gaulish
https://www.unicode.[...]
2019-05-26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La Gaule
[80]
서적
[81]
웹사이트
Gaulish language
https://digilib.phil[...]
2018-10-20
[82]
웹사이트
Old Celtic Languages: Gaulish. General Information
http://eprints.mayno[...]
2018-10-20
[83]
서적
A Grammar of Old Irish
https://books.google[...]
School of Celtic Studies,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84]
서적
Elfennau Gramadeg Cymraeg
Gwasg Prifysgol Cymru
[8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Eluveiti
http://www.headbange[...]
Headbangers India
[86]
서적
Gli Etruschi a nord del Po
Mantova
[87]
웹사이트
MN·2 – Lexicon Leponticum
http://www.univie.ac[...]
University of Vienna
2014-07-09
[88]
웹사이트
ELUVEITIE – ANNA MURPHY INTERVIEW
http://hearevil.com/[...]
[89]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90]
기타
[9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