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토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루토르어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 북부 지역의 알루토르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문자가 없고 소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1970년대에는 비벤카 마을의 젊은 세대가 이 언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코랴크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알루토르어는 6개의 모음과 18개의 자음을 가지며, 다합성어,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가 존재하며, 문법적 수, 격, 인칭에 따라 명사가 굴절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치캄차카어족 - 이텔멘어
캄차카 반도에서 사용되던 이텔멘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축치어족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계통 이론이 존재하고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었고, 문자 표기법 개발과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다. - 축치캄차카어족 - 축치어
축치어는 축치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다합성어, 교착어, SOV 어순의 특징을 보이고, 명사는 다양한 격을 가지며 동사는 다양한 인칭, 수, 어기, 태, 시제를 구분한다. - SVO형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SVO형 언어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알루토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알류토르어 |
고유어 이름 | алуталг’у |
로마자 표기 | alutalg'u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캄차카반도 |
사용자 | 25명 (2010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축치-캄차카어족 |
어파 | 축치어파 |
하위 분류 | 알류토르어 |
방언 | 코랴크어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alr |
Glottolog | alut1245 |
기타 정보 | |
보존 상태 |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유네스코 세계 위기 언어 지도) |
행정 구역 | 티길스키구, 카라긴스키구, 캄차카 |
분포 | |
![]() | |
2. 사회언어학적 상황
알루토르족은 캄차카 반도 북부 지역의 원주민이다. 알루토르어는 문자가 없고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1970년대에는 알루토르족의 주요 마을인 비벤카의 25세 미만 주민들이 이 언어를 전혀 알지 못했다. 최근 비벤카 마을 학교에서 알루토르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1958년까지 이 언어는 코랴크어의 "마을" (정착) 방언으로 여겨졌지만, 전통적인 유목 코랴크어와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자칭어 너멀언/ˈnəməlʔənaly은 "마을 사람"을 의미한다.
3. 음운론
3. 1. 모음
알루토르어는 6개의 모음을 가지며, 이 중 5개는 장모음 또는 단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슈와(ə)는 장모음으로 발음될 수 없다.
3. 2. 자음
알루토르어에는 18개의 자음이 있다.[1]
3. 3. 강세
알루토르어에서 강세는 일반적으로 다음절 단어의 두 번째 음절, 이음절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온다.[2] 예를 들어 (물), (피부), (먹이다), (남편), (무클룩)과 같다.[2]개방 음절에 [슈와](schwa)가 있으면 강세를 받을 수 없다.[2] 이음절 단어가 슈와가 있는 개방 음절로 시작하면,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이동하고, 새로운 첨가 음절이 끝에 추가된다.[2] 예를 들어
단어의 마지막 음절은 절대 강세를 받지 않는다.[2]
3. 4. 음절 구조
알루토르어의 모든 음절은 단일 자음으로 시작한다. 모음이 단모음이거나 슈와(schwa)인 경우, 단일 자음으로 끝날 수도 있다. 자음군은 단어의 시작이나 끝 위치에 허용되지 않는다. 슈와는 허용되지 않는 자음군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예시로 '일하다', '독수리', '파르카'가 있다.
알루토르어의 단어 경계는 항상 음절 경계와 일치한다.
4. 문자 체계
알루토르어는 공식 표기법이 없지만, 신문 ''아보리겐 캄차트키''는 다음과 같은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한다.
А а | Б б | В в | Вʼ вʼ | Г г | Гʼ гʼ | Ғ ғ | Д д |
Е е | Ә ә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Ӄ ӄ | Л л | М м | Н н | Ӈ ӈ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5. 유형론
알루토르어는 다합성어이다.[3] 형태론은 교착어이며, 접두사와 접미사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논항 구조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다. 어순은 가변적이며, 어떤 유형이 기본인지 말하기 어렵다. 동사-절대격 어순인 AVO와 VAO가 가장 흔할 것이다.
6. 형태론
알류토르어는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 분사, 부사, 후치사, 접속사 및 조사를 품사로 가지고 있다.
==== 명사 ====
알루토르어의 명사는 수, 격, 정해짐, 그리고 문법적 인칭에 따라 굴절된다.
문법적 수는 단수, 이중수, 복수의 세 가지가 있다.
절대격, 능격, 처격, 여격, 향격, 경과격, 계약격, 사격, 동격격, 동반격, 그리고 연관격 등 열한 개의 격이 있다.
수와 격은 단일 접사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동반격과 연관격을 제외한 모든 격은 접미사를 사용하며, 이 두 격은 환철어미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두 개의 활용이 있으며, 세 개의 명사류로 분류된다. 첫 번째 류는 제1활용의 비인간 명사이다. 수는 절대격에서만 구분되지만, 이 명사가 능격에 있을 때는 동사 일치에 의해 수를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류는 고유 명사 및 연장자에 대한 친족 용어이다. 이들은 제2활용이며, 절대격뿐만 아니라 능격, 처격, 그리고 향격에서도 수를 구별한다. 세 번째 류는 다른 인간 명사이며, 제1 또는 제2활용이 될 수 있다.
제1활용 | 제2활용 | |||||
---|---|---|---|---|---|---|
단수 | 이중수 | 복수 | 단수 | 이중수 | 복수 | |
절대격 | (어간) | -t/-ti | -w/-wwi | (어간) | -nti | -w/-wwi |
능격 | -a/-ta | -ənak | -ətək | |||
처격 | -k/-ki | -ənak | -ətək | |||
여격 | -ŋ | -ənaŋ | -ətək | |||
향격 | -kəŋ | — | ||||
경과격 | -jpəŋ/-ɣəpəŋ (-e ~ -i) | |||||
계약격 | -jit ~ -jita | |||||
사격 | -kjit ~ -kjita | |||||
동격격 | -u/-nu | -u/-ənu | ||||
동반격 | ɣa...a/-ta | awən...ma | ||||
연관격 | ɣeqə...a/-ta | — |
===== 격 역할 =====
- 절대격은 명사의 인용 형태이다. 자동사절의 논항("주어")과 타동사절의 목적어, "통사적 소유격", 그리고 호격에 사용된다.
- 능격은 타동사의 행위자("주어"), 도구격 및 반수동태절의 논항에 사용된다.
- 처소격은 위치와 방향(존재격과 향격)뿐만 아니라 "추방된" 논항에 사용된다.[4]
: ənnu ɣilŋatə-tkən ujatiki-k.
: he-ABS.SG drive-IMPERF sledge-LOC
: '그는 썰매를 몰았다.'
- 여격은 수신자, 수혜자, 방향 객체(전향격), 그리고 경험 동사의 주어에 사용된다.
- 향격은 목표를 향한 이동에 사용된다.
- 경유격은 따라가는 이동과 출발하는 이동(관류격과 탈격)에 사용된다.
- 동격은 'X와 같은', 'X처럼'의 의미로, 일반적으로 '되다', '변하다', '작동하다' 등과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 접촉격은 접촉을 만드는 객체에 사용된다.
- 사동격은 행동을 유발하거나 동기를 부여하는 명사구에 사용된다.
- 동반격은 주로 높은 생명력을 가진 지시 대상과 함께 사용된다.
- 연관격은 이차적 또는 수동적 동반에 사용된다. 주로 무생물인 제1변화형 명사의 굴절에서만 나타난다.
===== 문법적 인칭 =====
명사의 문법적 1인칭 및 2인칭 접미사는 명사를 담화 참여자와 동일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절대격에서만 나타나며,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중간에 'j'가,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i'가 나타난다.
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j-ɣəm | -muri | -muru |
2인칭 | -j-ɣət | -turi | -turu |
- ...ʡopta am-ʡujamtawilʔ-ə-muru "예, 우리 사람들"
- japlə=q ʡujamtawilʔ-iɣəm "그리고 나는 남자"
==== 수사 ====
알류토르어는 1부터 5까지, 10, 20에 대한 고유한 수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숫자들은 이들 수사를 바탕으로 조합된 복합어이다.
수사 | 의미 | 표기 |
---|---|---|
ənnan | 하나 | 1 |
ŋitaq | 둘 | 2 |
ŋəruqqə | 셋 | 3 |
ŋəraqqə | 넷 | 4 |
məlləŋin | 다섯 | 5 |
ənnanməlləŋ(in) | 여섯 (하나-다섯) | 6 (1+5) |
ŋitaqməlləŋ(in) | 일곱 (둘-다섯) | 7 (2+5) |
ŋəruqməlləŋ(in) | 여덟 (셋-다섯) | 8 (3+5) |
ŋəraqməlləŋ(in) | 아홉 (넷-다섯) | 9 (4+5) |
mənɣətkin | 열 | 10 |
mənɣətək ənnan | 열하나 | 11 |
qəlikkə | 스무 (20) | 20 |
qəlikək ənnan | 스물하나 | 21 |
ŋəraqmənɣətkin | 마흔 (4 × 10) | 40 (4×10) |
ŋəraqmənɣətkin ŋəraqqə | 마흔넷 | 44 |
ŋitaqməlləŋin mənɣətkin | 일흔 (7 × 10) | 70 (7×10) |
mənɣətək mənɣətkin | 백 (10 × 10) | 100 (10×10) |
==== 동사 ====
알루토르어에는 유한 동사와 비유한 동사가 있으며, 여러 활용이 존재한다.
===== 다인칭 활용 =====
유한 동사는 핵심 논항의 인칭 및 수와 일치하며,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한다. 타동사는 두 논항(능격, 절대격)과 일치하는 반면, 자동사는 유일한 논항(절대격)과 일치한다.
동사는 두 가지 상을 구별하는데, 완료상은 어간을 사용하고, 접미사 ''-tkə / -tkəni''를 사용하여 미완료상을 나타낸다. 직설법, 명령법, 희구법, 잠재법(환형 접두사 ''ta…(ŋ)''으로 표시) 및 접속법(접두사 ''ʔ-/a-'')의 다섯 가지 법이 있다.
===== 단일인칭 활용 =====
단독인칭 동사는 두 가지 활용을 포함하며, 하나는 3인칭 단수 형태가 ''ɣa-...-lin''이고, 다른 하나는 ''n-...-qin''이다.
===== 무인칭 활용 =====
무인칭 활용 형태에는 동사 술어(circumfix a...ka로 형성)와 명령형(circumfix ɣa...a/ta로 형성)이 있다. 비한정적 형태의 무인칭 형태에는 circumfix ''a…ka''를 사용하는 동사 술어와 ''ɣa…a/ta''를 사용하는 명령형이 있다.
===== 비한정 형태 =====
다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정사, 수동태, 동명사, 분사.
6. 1. 명사
알루토르어의 명사는 수, 격, 정해짐, 그리고 문법적 인칭에 따라 굴절된다.문법적 수는 단수, 이중수, 복수의 세 가지가 있다.
절대격, 능격, 처격, 여격, 향격, 경과격, 계약격, 사격, 동격격, 동반격, 그리고 연관격 등 열한 개의 격이 있다.
수와 격은 단일 접사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동반격과 연관격을 제외한 모든 격은 접미사를 사용하며, 이 두 격은 환철어미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두 개의 활용이 있으며, 세 개의 명사류로 분류된다. 첫 번째 류는 제1활용의 비인간 명사이다. 수는 절대격에서만 구분되지만, 이 명사가 능격에 있을 때는 동사 일치에 의해 수를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류는 고유 명사 및 연장자에 대한 친족 용어이다. 이들은 제2활용이며, 절대격뿐만 아니라 능격, 처격, 그리고 향격에서도 수를 구별한다. 세 번째 류는 다른 인간 명사이며, 제1 또는 제2활용이 될 수 있다.
제1활용 | 제2활용 | |||||
---|---|---|---|---|---|---|
단수 | 이중수 | 복수 | 단수 | 이중수 | 복수 | |
절대격 | (어간) | -t/-ti | -w/-wwi | (어간) | -nti | -w/-wwi |
능격 | -a/-ta | -ənak | -ətək | |||
처격 | -k/-ki | -ənak | -ətək | |||
여격 | -ŋ | -ənaŋ | -ətək | |||
향격 | -kəŋ | — | ||||
경과격 | -jpəŋ/-ɣəpəŋ (-e ~ -i) | |||||
계약격 | -jit ~ -jita | |||||
사격 | -kjit ~ -kjita | |||||
동격격 | -u/-nu | -u/-ənu | ||||
동반격 | ɣa...a/-ta | awən...ma | ||||
연관격 | ɣeqə...a/-ta | — |
==== 격 역할 ====
- 절대격은 명사의 인용 형태이다. 자동사절의 논항("주어")과 타동사절의 목적어, "통사적 소유격", 그리고 호격에 사용된다.
- 능격은 타동사의 행위자("주어"), 도구격 및 반수동태절의 논항에 사용된다.
- 처소격은 위치와 방향(존재격과 향격)뿐만 아니라 "추방된" 논항에 사용된다.[4]
: ənnu ɣilŋatə-tkən ujatiki-k.
: he-ABS.SG drive-IMPERF sledge-LOC
: '그는 썰매를 몰았다.'
- 여격은 수신자, 수혜자, 방향 객체(전향격), 그리고 경험 동사의 주어에 사용된다.
- 향격은 목표를 향한 이동에 사용된다.
- 경유격은 따라가는 이동과 출발하는 이동(관류격과 탈격)에 사용된다.
- 동격은 'X와 같은', 'X처럼'의 의미로, 일반적으로 '되다', '변하다', '작동하다' 등과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 접촉격은 접촉을 만드는 객체에 사용된다.
- 사동격은 행동을 유발하거나 동기를 부여하는 명사구에 사용된다.
- 동반격은 주로 높은 생명력을 가진 지시 대상과 함께 사용된다.
- 연관격은 이차적 또는 수동적 동반에 사용된다. 주로 무생물인 제1변화형 명사의 굴절에서만 나타난다.
==== 문법적 인칭 ====
명사의 문법적 1인칭 및 2인칭 접미사는 명사를 담화 참여자와 동일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절대격에서만 나타나며,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중간에 'j'가,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i'가 나타난다.
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j-ɣəm | -muri | -muru |
2인칭 | -j-ɣət | -turi | -turu |
- ...ʡopta am-ʡujamtawilʔ-ə-muru "예, 우리 사람들"
- japlə=q ʡujamtawilʔ-iɣəm "그리고 나는 남자"
6. 1. 1. 격 역할
- 절대격은 명사의 인용 형태이다. 자동사절의 논항("주어")과 타동사절의 목적어, "통사적 소유격", 그리고 호격에 사용된다.
- 능격은 타동사의 행위자("주어"), 도구격 및 반수동태절의 논항에 사용된다.
- 처소격은 위치와 방향(존재격과 향격)뿐만 아니라 "추방된" 논항에 사용된다.[4] 예:
```
ənnu ɣilŋatə-tkən ujatiki-k.
he-ABS.SG drive-IMPERF sledge-LOC
'그는 썰매를 몰았다.'
```
- 여격은 수신자, 수혜자, 방향 객체(전향격), 그리고 경험 동사의 주어에 사용된다.
- 향격은 목표를 향한 이동에 사용된다.
- 경유격은 따라가는 이동과 출발하는 이동(관류격과 탈격)에 사용된다.
- 동격은 'X와 같은', 'X처럼'의 의미로, 일반적으로 '되다', '변하다', '작동하다' 등과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 접촉격은 접촉을 만드는 객체에 사용된다.
- 사동격은 행동을 유발하거나 동기를 부여하는 명사구에 사용된다.
- 동반격은 주로 높은 생명력을 가진 지시 대상과 함께 사용된다.
- 연관격은 이차적 또는 수동적 동반에 사용된다. 주로 무생물인 제1변화형 명사의 굴절에서만 나타난다.
6. 1. 2. 문법적 인칭
명사의 문법적 1인칭 및 2인칭 접미사는 명사를 담화 참여자와 동일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절대격에서만 나타나며,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중간에 'j'가,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i'가 나타난다.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j-ɣəm | -muri | -muru |
2인칭 | -j-ɣət | -turi | -turu |
- ...ʡopta am-ʡujamtawilʔ-ə-muru "예, 우리 사람들"
- japlə=q ʡujamtawilʔ-iɣəm "그리고 나는 남자"
6. 2. 수사
알류토르어는 1부터 5까지, 10, 20에 대한 고유한 수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숫자들은 이들 수사를 바탕으로 조합된 복합어이다.수사 | 의미 | 표기 |
---|---|---|
ənnan | 하나 | 1 |
ŋitaq | 둘 | 2 |
ŋəruqqə | 셋 | 3 |
ŋəraqqə | 넷 | 4 |
məlləŋin | 다섯 | 5 |
ənnanməlləŋ(in) | 여섯 (하나-다섯) | 6 (1+5) |
ŋitaqməlləŋ(in) | 일곱 (둘-다섯) | 7 (2+5) |
ŋəruqməlləŋ(in) | 여덟 (셋-다섯) | 8 (3+5) |
ŋəraqməlləŋ(in) | 아홉 (넷-다섯) | 9 (4+5) |
mənɣətkin | 열 | 10 |
mənɣətək ənnan | 열하나 | 11 |
qəlikkə | 스무 (20) | 20 |
qəlikək ənnan | 스물하나 | 21 |
ŋəraqmənɣətkin | 마흔 (4 × 10) | 40 (4×10) |
ŋəraqmənɣətkin ŋəraqqə | 마흔넷 | 44 |
ŋitaqməlləŋin mənɣətkin | 일흔 (7 × 10) | 70 (7×10) |
mənɣətək mənɣətkin | 백 (10 × 10) | 100 (10×10) |
6. 3. 동사
알루토르어에는 유한 동사와 비유한 동사가 있으며, 여러 활용이 존재한다.== 다인칭 활용 ==
유한 동사는 핵심 논항의 인칭 및 수와 일치하며,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한다. 타동사는 두 논항(능격, 절대격)과 일치하는 반면, 자동사는 유일한 논항(절대격)과 일치한다.
동사는 두 가지 상을 구별하는데, 완료상은 어간을 사용하고, 접미사 ''-tkə / -tkəni''를 사용하여 미완료상을 나타낸다. 직설법, 명령법, 희구법, 잠재법(환형 접두사 ''ta…(ŋ)''으로 표시) 및 접속법(접두사 ''ʔ-/a-'')의 다섯 가지 법이 있다.
== 단일인칭 활용 ==
단독인칭 동사는 두 가지 활용을 포함하며, 하나는 3인칭 단수 형태가 ''ɣa-...-lin''이고, 다른 하나는 ''n-...-qin''이다.
== 무인칭 활용 ==
무인칭 활용 형태에는 동사 술어(circumfix a...ka로 형성)와 명령형(circumfix ɣa...a/ta로 형성)이 있다. 비한정적 형태의 무인칭 형태에는 circumfix ''a…ka''를 사용하는 동사 술어와 ''ɣa…a/ta''를 사용하는 명령형이 있다.
== 비한정 형태 ==
다음은 다음과 같다. 부정사, 수동태, 동명사, 분사.
6. 3. 1. 다인칭 활용
유한 동사는 핵심 논항의 인칭 및 수와 일치하며,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한다. 타동사는 두 논항(능격, 절대격)과 일치하는 반면, 자동사는 유일한 논항(절대격)과 일치한다.동사는 두 가지 상을 구별하는데, 완료상은 어간을 사용하고, 접미사 ''-tkə / -tkəni''를 사용하여 미완료상을 나타낸다. 직설법, 명령법, 희구법, 잠재법(환형 접두사 ''ta…(ŋ)''으로 표시) 및 접속법(접두사 ''ʔ-/a-'')의 다섯 가지 법이 있다.
6. 3. 2. 단일인칭 활용
단독인칭 동사는 두 가지 활용을 포함하며, 하나는 3인칭 단수 형태가 ''ɣa-...-lin''이고, 다른 하나는 ''n-...-qin''이다.6. 3. 3. 무인칭 활용
무인칭 활용 형태에는 동사 술어(circumfix a...ka로 형성)와 명령형(circumfix ɣa...a/ta로 형성)이 있다. 비한정적 형태의 무인칭 형태에는 circumfix ''a…ka''를 사용하는 동사 술어와 ''ɣa…a/ta''를 사용하는 명령형이 있다.6. 3. 4. 비한정 형태
다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정사, 수동태, 동명사, 분사.7. 참고 문헌
- 키브리크, A.E., S.V. 코자소프, I.A. 무라비예바. 2000. ''알류토르어와 민속.'' 모스크바: IMLI RAN 나슬레지에.
- 나가야마 유카리. 2003. ''알류토르어 문법 개요'' ([https://web.archive.org/web/20110326002402/http://www.elpr.bun.kyoto-u.ac.jp/index_e.html ELPR] 출판 시리즈 A2-038). 오사카: 오사카 가쿠인 대학.
참조
[1]
서적
Ocherk grammatiki aljutorskogo jazyka
Osaka: Osaka Gakuin University.
[2]
문서
Variability of languages in time and space: Linguistic typology - phonology
[3]
서적
Grammatical Sketches from the Field: Alutor
ILCAA: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4]
서적
The Case for Fewer Cases in Pre-Chukotko-Kamchatkan: Grammaticalization and Semantics in Internal Reconstructions
Eastern Michigan University.
[5]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スペシャル 日本語の隣人たちⅡ
白水社
[6]
문서
アレウト族(アリュート族、Aleut)とは異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