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하킴 비아므르 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하킴 비아므르 알라는 996년부터 1021년까지 파티마 왕조의 칼리프였다. 그는 이스마일파를 강조하고 학문을 장려했지만, 이교도에 대한 탄압과 엄격한 이슬람 율법 적용으로 논란을 낳았다. 알하킴은 1021년 실종되었으며, 그의 신격성을 믿는 추종자들은 드루즈파를 형성했다. 그의 통치는 종교적 소수자 탄압, 성묘 교회 파괴 등으로 평가가 엇갈리며, 학문 장려와는 대조적인 면모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5년 출생 - 후지와라노 가네타카
    후지와라노 가네타카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으로, 무관을 거쳐 공경의 반열에 올랐으나 기행을 저지르기도 하고 황태자 사임에 연루되었다는 풍문이 돌기도 했다.
  • 1021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미나모토노 요리미쓰는 헤이안 시대 후기 귀족이자 무장으로 후지와라 섭관가의 가신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의 수령을 역임하고 '조정의 수호자'로 불렸으며 '슈텐도지 퇴치' 설화의 주인공이자 가인으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 1021년 사망 - 아르눌푸스 레멘시스
    아르눌푸스 레멘시스는 랭스 대성당 사제이자 랭스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반역을 시도하다 폐위 후 복권되었으며, 이후 정치적 현실에 순응하며 카롤링거 가문의 멸망을 가속화했다.
알하킴 비아므르 알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알-하킴 비-암르 알라
이름 (아랍어)الحاكم بأمر الله
로마자 표기al-Ḥākim bi-Amr Allāh
칭호 (아랍어)أبو علي المنصور
칭호 (로마자 표기)Abū ʿAlī al-Manṣūr
의미신의 명령에 의한 통치자
알-하킴의 금화
알-하킴의 금화 (391 AH)
통치
작위이스마일리 이맘 – 칼리파
국가파티마 칼리파조
재위 기간996년 10월 14일 – 1021년 2월 13일
이전 통치자알-아지즈 빌라
다음 통치자알-자히르 리-이자즈 딘 알라
개인 정보
출생명알-만수르
출생일985년 8월 13일
출생지카이로, 파티마 이집트
실종일1021년 2월 13일
실종 장소모카탐, 카이로, 파티마 이집트
종교이스마일리 시아파 이슬람
가족 관계
왕조파티마 왕조
아버지알-아지즈 빌라
어머니아스-사이다 알-아지즈이야
자녀알-자히르
시트 미스르

2. 생애

하킴은 어렸을 때 즉위하여 슬라브인 환관 바르자완의 후견을 받았다. 그러나 바르자완은 후견인의 지위를 이용하여 재상(와지르)에 취임하여 하킴에게 감금과 같은 생활을 강요하며 정권을 자유롭게 했다. 성장한 하킴은 즉위 5년 후 16세에 바르자완을 시해하고 스스로 전제적인 권력을 잡았다.[9]

하킴은 파티마 왕조의 이념이스마일파를 강조하며 스스로 이맘으로서 적극적으로 교리의 연구 및 선교 활동을 추진했다. 카이로의 하킴 모스크를 비롯한 많은 모스크가 건설되었다.

알 하킴 모스크


또한 카이로에 "지혜의 전당(다르 알 일름)"이라는 교육·연구 기관을 설립하고 학자들을 지원했다.

하킴은 엄격한 종교 정책을 시행하여 음주, 가무 등 유흥을 금지하고 이교도를 박해했다. 1009년에는 예루살렘의 성묘 교회를 파괴하는 등 종교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또한 수많은 하인과 관료를 살해하고, 변덕스러운 명령을 내리는 등 잔혹한 성격을 드러냈다.

하킴은 밤에 카이로 시중과 그 교외를 배회하는 기이한 행동을 보였다. 1021년 2월 13일 밤, 하킴은 실종되었고, 며칠 후 단도로 찔린 흔적이 있는 그의 의복이 발견되었지만, 시신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14][15][16]

2. 1. 초기 생애

985년 카이로에서 태어난 아부 알리 알 만수르는 이집트에서 태어난 최초의 파티마 왕조 통치자였다. 993년에 황태자(wali al-'ahd)로 선포되었으며, 996년 10월 14일, 11세의 나이로 아버지 알 아지즈 빌라(975–996)의 뒤를 이어 칼리프가 되었고, 알 하킴 비아므르 알라 라는 칭호를 받았다. 알 하킴은 적갈색 금색 반점이 있는 파란 눈을 가졌다고 전해진다.[9]

하킴은 어렸을 때 즉위하여 슬라브인 환관 바르자완의 후견을 받았지만, 바르자완은 후견인의 지위를 이용하여 재상(와지르)에 취임하여 하킴에게 감금과 같은 생활을 강요하며 정권을 자유롭게 했다. 성장한 하킴은 즉위 5년 후 16세에 바르자완을 시해하고 스스로 전제적인 권력을 잡았다.

2. 2. 즉위와 통치

996년, 알하킴은 아버지 알 아지즈가 시리아 원정 중 빌베이스에서 병으로 사망하면서 11세의 어린 나이에 칼리프 자리에 올랐다.[11] 알 아지즈는 죽기 전, 카디 무함마드 이븐 안 누만과 장군 아부 무함마드 알하산 이븐 암마르에게 어린 알하킴을 부탁했다.[11] 알하킴은 아버지의 시신을 실은 낙타 뒤를 따라 카이로로 돌아왔으며, 알 아지즈는 그의 전임자인 알 무이즈의 무덤 옆에 묻혔다.[11]

알하킴의 즉위 초기에는 권력 승계가 불확실했으나, 성공적인 권력 이양은 파티미드 왕조의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알하킴의 아버지는 알하킴이 성인이 될 때까지 내시 바르자완을 섭정으로 임명했으며, 이븐 암마르와 카디 무함마드 이븐 누만은 새로운 칼리프의 후견인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쿠타마 베르베르족은 미성년자인 알하킴을 이용하여 국가 내 지배적 지위를 회복하려 했다. 그들은 알하킴에게 기독교 재상 이사 이븐 네스토리우스를 해임하도록 강요하고, 그들의 지도자 이븐 암마르를 정계 수장으로 임명하여 ''wāsiṭa'' ("중개자")라는 칭호를 부여했다.[11] 이븐 암마르는 ''Amīn ad-Dawla'' ("제국에서 신뢰받는 자")라는 칭호도 얻었는데, 이는 "제국"이라는 용어가 파티미드 국가와 연관된 최초의 사례였다.[11]

이븐 암마르의 통치는 베르베르족의 폭정으로 이어졌고, 베르베르족은 정부를 구성하고 국가 금고를 약탈했다. 이러한 베르베르족의 행태는 ''Mashāriqa''와 바르자완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바르자완은 다마스쿠스의 파티미드 총독인 튀르크인 만주타킨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만주타킨은 아스칼론에서 이븐 암마르의 군대에게 패배했다. 이후 바르자완은 트리폴리 총독인 쿠타마 지도자 자이시 이븐 삼삼과 동맹을 맺고 997년 10월 카이로에서 봉기를 일으켜 이븐 암마르를 몰아내고 ''wāsiṭa''가 되었다.

바르자완은 두 파벌의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으나, 1000년 3월 26일 살해당했다. 이후 칼리프 알하킴은 직접 정부를 통치하며 파티미드 엘리트들을 숙청하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이븐 암마르를 포함한 많은 쿠타마 지도자들이 처형되었다. 알하킴은 자신의 권력을 보장하기 위해 와시타와 재상의 권한과 임기를 제한했으며, 그의 칼리프 시대 나머지 20년 동안 15명이 넘는 와시타와 재상이 임명되었다.

성장한 하킴은 즉위 5년 후인 16세에 바르자완을 살해하고 전제적인 권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그는 파티마 왕조의 이념이스마일파 신앙을 강조하고, 종교 시설 건설 및 기증을 활발하게 추진했다. 카이로의 알 하킴 모스크를 비롯한 많은 모스크가 건설되었다. 또한 학문을 장려하여 카이로에 "지혜의 전당(다르 알 일름)"을 설립하고 학자들을 지원했다.

그러나 알하킴은 엄격한 종교 정책을 시행하여 음주, 가무 등 유흥을 금지하고 이교도를 박해했다. 1009년에는 예루살렘의 성묘 교회를 파괴하는 등 종교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또한 수많은 하인과 관료를 살해하고, 변덕스러운 명령을 내리는 등 잔혹한 성격을 드러냈다.

2. 3. 실종과 드루즈파

1021년 2월 13일 밤, 알하킴은 평소처럼 카이로 교외로 나갔다가 수행원도 없이 사막을 산책하던 중 행방불명되었다.[14] 며칠 후, 수색대는 단도로 찔린 흔적이 있는 칼리프의 의복을 발견했지만, 시신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15][16]

알하킴의 실종 이후, 그를 신격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들은 알하킴이 살해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라져 은둔(가이바)에 들어갔으며, "부활의 날"에 구세주(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들은 이스마일파에서 배척되어 시리아로 도망쳐 드루즈파를 형성하였다.

3. 종교 정책

알하킴은 파티마 왕조의 이스마일파를 적극 장려하고, 이슬람교 율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였다. 초기에는 수니파에 적대적이었으나, 점차 모든 종교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카이로에 집중된 파티마 이스마일파 다와(포교) 조직과 운영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치세 하에 파티마 제국 밖, 특히 이라크페르시아에서 이스마일파는 체계적으로 강화되었다. 이라크에서 다이는 많은 지역 아미르들과 영향력 있는 부족장들에게 노력을 집중하여 그들의 지원을 받아 아바스 왕조를 뿌리 뽑고자 했다. 이 시기 동부 지방에서 활동한 파티마 다이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하미드 알-딘 키르마니였다. 1010년에는 모술, 쿠파 및 기타 도시의 통치자가 하킴의 종주권을 인정하기도 했다.[15]

1013년에는 알-자미 알-안와르(하킴의 모스크) 건축을 완료했다. 이 사원은 다우디 보흐라에 의해 1970년대 복원되었으나, 일부 학자들은 이를 복원보다는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으로 여겨 비판하기도 했다.[25][26]

학예도 보호하여 카이로에 "지혜의 전당(다르 알 일름)"을 설립하고, 이븐 알하이삼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했다.

하킴은 이슬람 교리를 엄격하게 적용하여 음주와 가무를 금지했다. 모로헤이야가 시아파와 대립했던 과거 칼리프들의 음식이었다는 이유로 금지한 일화도 있다. 또한, 와인과 포도 재배를 금지하고, 배놀이와 여성의 목욕탕 출입을 금지하는 등 서민들의 생활에도 엄격한 통제를 가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바그다드의 아바스 왕조 칼리프 알-카디르는 파티마 왕조의 확장에 위협을 느껴 바그다드 선언을 통해 하킴과 그의 선조들이 알리파티마의 진정한 후손이 아니라고 비난했다.

3. 1. 이교도 박해

알하킴은 이교도를 엄격하게 박해했다. 1004년 알하킴은 기독교인들이 주현절이나 부활절을 더 이상 기념할 수 없다고 포고했다.[35] 또한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게 포도주 (''나비드'') 사용을 금지했으며, 포도로 만들지 않은 다른 술 (''푸카'')도 금지했다.[33]

1005년, 알하킴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에게 ''기야르''라는 "차별의 법"을 따르도록 명령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은 검은색 ''민타크'' 또는 ''준나르'' "허리띠"(그리스어 ζωνάριον)와 ''이마마'' "터번"을 착용해야 했다. 또한 유대인은 나무 송아지 목걸이를, 기독교인은 무거운 쇠 십자가를 착용해야 했다. 공중 목욕탕에서 유대인은 송아지 목걸이 대신 종을 착용해야 했다. 경전의 백성에 속하는 여성은 빨간색과 검은색의 두 가지 다른 색상의 신발을 신어야 했다. 이러한 차별 정책은 1014년까지 유지되었으며,[36] 아랍 기독교 시인 술라이만 알-가지는 자신의 디완에서 이를 주제화하고 항의했다.[37][38]

알하킴은 기독교 교회수도원, 유대교 회당을 모두 폐쇄하고 재산을 몰수했다. 1009년에는 무슬림(이슬람교도)의 예루살렘 정복 이후 기독교도의 종교적 자치에 의해 보전되어 온 성묘 교회마저 파괴했다.[35]

3. 2. 드루즈파의 기원

아드-다라지는 1018년에 알-하킴을 신의 화신으로 선언했으며,[1][2][15] 함자 이븐 알리 이븐 아흐마드는 드루즈파의 창시자이자 드루즈 필사본의 주요 저자로 여겨진다.[30] 그는 신이 인간이 되어 알-하킴 비-암르 알라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선언했다.[1][2][31][32] 1017년, 알-하킴의 계시(''Kashf'')를 신성한 것으로 여기는 드루즈파가 독립적인 종교로 발전하기 시작했다.[33]

함자 이븐 알리가 칼리프의 수석 ''dāʿī''였지만,[41][42][43][44][45] 일부 학자들은 알-하킴이 자신의 신성을 믿었다고 주장한다. 다른 학자들과 드루즈파 신도들은 앗-다라지가 알-하킴이 ''쉬르크''(우상숭배)로 처형한 인물이라는 점을 들어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46][47]

알-하킴이 실종된 후, 하킴의 신격성을 주장하던 선전원 그룹은 하킴이 살해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실종되어 암흑계에서의 은둔(가이바)에 들어갔다고 믿었다. 그들은 "부활의 날"에 하킴이 구세주(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이스마일파의 공식 교리에서 배척되어 이집트를 떠나 시리아로 도망쳐 드루즈파를 형성하였다.

4. 학문 장려

알하킴은 학문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카이로를 학문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1004년 지혜의 집(다르 알 일름)을 설립하여 바그다드지혜의 집과 경쟁하며, 이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지원했다.[27]

이븐 알하이삼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카이로로 초빙하여 광학 등 자연 과학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여성들도 지혜의 전당에 참석하여 이슬람에서 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4. 1. 지혜의 전당

1004년[27] 또는 1005년에[27] 설립된 "다르 알-일름"(지혜의 집)은 꾸란, 하디스부터 철학, 천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는 기관이었다.[27] 칼리프 알하킴은 이곳에서 공부하는 모든 사람에게 종이, 잉크, 펜, 잉크통을 무료로 제공했다.[28]

다르 알-일름은 100년 이상 천문학자, 수학자, 문법학자, 논리학자, 의사, 언어학자, 법학자 등이 연구하고 강의하며 협력하는 학습 중심지로 명성을 얻었다.[29] 이곳은 정치적 압력이나 당파적 영향 없이 모두에게 개방되었다.[29]

알하킴은 이스마일파와 파티마 왕조의 ''다이'' 교육을 우선시했으며, 카이로에 다양한 연구 세션(''마잘리스'')을 설립하고 재정적 지원과 기부를 제공했다. 비밀주의 이스마일파 교리에 전념하고 입문자만을 위한 개인적인 '지혜의 세션'(''마잘리스 알-히크마'')은 다양한 범주의 참가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조직되었다. 알하킴은 종종 파티마 왕조 궁전에서 열린 이러한 세션에 참석했다.[15]

5. 유산

알하킴의 통치는 파티마 왕조의 전성기이자 쇠퇴의 시작점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종교 정책과 학문 장려는 이슬람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실종과 드루즈파의 형성은 현재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1]

알하킴은 이스마일파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카이로에 하킴 모스크를 건설하는 등 종교 시설 건립에 힘썼다. 이라크, 이란, 중앙아시아까지 이스마일파가 퍼져나가면서 파티마 왕조의 위상이 높아졌다.[1]

또한, 알하킴은 학문을 보호하고 "지혜의 전당(다르 알 일름)"을 설립하여 고대 그리스 학문과 이슬람 전통 학문 연구를 지원했다. 이븐 알하이삼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이 카이로 학파에서 배출되었다.[1]

그러나 알하킴의 엄격한 이스마일주의는 이교도에 대한 억압으로 이어졌다. 기독교도와 유대교도는 특정 복장을 착용해야 했고, 교회, 수도원, 회당은 폐쇄되었다. 1009년에는 성묘 교회마저 파괴되었다.[1]

알하킴은 잔혹한 성격으로 많은 측근과 고관을 희생시켰고, 변덕스러운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음주와 유흥이 금지되었고, 여성의 목욕탕 출입도 금지되었다.[1]

그의 기이한 행동과 신격화는 1021년 그의 실종으로 이어졌다. 알하킴을 신봉하던 그룹은 그가 죽은 것이 아니라 은둔(가이바)에 들어갔다고 믿고, 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들은 드루즈파를 형성했다.[1]

6. 평가

알하킴은 이슬람 역사에서 매우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서양 문학에서는 주로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변덕스럽고 억압적인 행동으로 인해 "미친 칼리프"라고 불렸다.[18][19][20] 역사가 헌트 재닌(Hunt Janin)은 알-하킴이 "많은 잔혹 행위와 괴짜 행동 때문에 '미친 칼리프'로 알려졌다"고 말한다.[21] 그의 기독교인 박해는 십자군 전쟁의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1009년 예루살렘에 있는 성묘 교회 철거를 명령했기 때문이다.[22] 그러나 역사가 마이클 보너는 이 시대의 이슬람에서 그러한 박해는 극히 드문 일이었으며, 알-하킴과 그의 전임자 및 후임자 사이의 극적인 차이 때문에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었다고 지적한다.[22]

일부 학자들은 알-하킴이 미쳤다는 주장과 그를 둘러싼 사건에 대한 설명이 단순한 선전이라고 반박한다. 윌리 프리쉬아우에(Willi Frischaue)는 "그의 적들은 그를 '미친 칼리프'라고 불렀지만, 그는 카이로의 문명 중심지로서의 명성을 높였다"고 말한다.[1] 역사가 하인츠 할름은 "반 파티마 전통이 이 칼리프를 진짜 괴물로 만들려고 시도했다"고 언급하며, "그러한 왜곡되고 적대적인 설명"을 불식시키려 노력했다.[2]

알하킴은 이븐 알하이삼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고, 카이로에 "지혜의 전당(다르 알 일름)"을 설립하여 학문을 보호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카이로의 하킴 모스크를 건설하는 등 이스마일파를 위한 종교 시설 건립 및 기증을 활발하게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엄격한 금령과 이교도에 대한 억압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이슬람교 교리를 엄격하게 적용하여 음주와 가무를 금지하고, 기독교도와 유대교도에게는 차별적인 복장을 강요하고 교회와 회당을 폐쇄했다. 1009년에는 성묘 교회마저 파괴했다.[22] 또한, 수많은 하인과 관료를 살해하고, 변덕스러운 명령을 쉽게 실행하는 잔혹한 성격을 보였다.

알하킴은 기이한 행동을 좋아하여 밤에 카이로 시중과 교외를 배회하는 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의 만년에는 알하킴을 신격화하는 그룹이 나타나기도 했다.

1021년, 알하킴은 실종되었고, 그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알하킴의 신격성을 주장하던 사람들은 그가 죽은 것이 아니라 은둔(가이바)에 들어갔으며, "부활의 날"에 구세주(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들은 드루즈파라는 집단을 형성했다.

참조

[1] 서적 The Aga Khans Bodley Head
[2] 논문 Review – The Fatimids and Their Traditions of Learning
[3] 간행물 ḤĀKEM BE-AMR-ALLĀH http://www.iranicaon[...] 2016-04-24
[4] 웹사이트 The crazed caliph http://weekly.ahram.[...] Al-Ahram Weekly Online 2009-12-10
[5] 웹사이트 Caliph of Cairo: The rule and mysterious disappearance of al-Hakim bi-Amr Allah http://www.egyptinde[...] 2010-08-24
[6] 서적 Caliph of Cairo: Al-Hakim bi-Amr Allah, 996–???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7] 서적 Keys to Jerusalem: Col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8] 서적 Muslim Architecture: From the Advent of Islam in Arabia to the Rise of the Great Ummayad Khilafat in Spain https://books.google[...] Pakistan Institute of Arts and Design of Book-Production 1974
[9]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0] 서적 Women and the Fatimids in the World of Islam Edinburgh University Press
[1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atimid Khalifate Routledge
[12] 서적 Faith and Power: The Politics of Islam Vintage Books
[13] 서적 Cultural flow between China and the outside world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4] 서적 Neighboring Faiths: A Christian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3
[15] 간행물 al-Hakim bi-Amr Allah http://www.iis.ac.uk[...]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2011
[16] 서적 The Druze faith Caravan Books
[17] 서적 The Unforgettable Queens of Islam: Succession, Authority,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8] 웹사이트 al-Hakim https://www.britanni[...]
[19] 서적 The First Crusade: A New History, Thomas Asbridge https://books.google[...]
[20] 서적 Britannica 1810 https://books.google[...]
[21] 서적 The Pursuit of Learning in the Islamic World, 610–2003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Inc
[22] 서적 Jihad in Islamic History: Doctrines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People of the First Crusade: The Truth About the Christian-Muslim War Revealed https://archive.org/[...] Arcade Publishing
[24] 서적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2013
[25] 서적 al-Jāmiʻ al-Anwar: The Luminous Masjid Aljamea-tus-Saifiyah
[26] 논문 Islamic Cairo imagined: from a historical city slum to a time machine for tourism? http://tampub.uta.fi[...] 2014-05-03
[27] 문서 Maqrizi, 1853–54, 1995; Halm, 1997, pp. 71–78
[28] 서적 The Ismailis in the Middle Ages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9] 웹사이트 Cairo's House of Knowledge https://www.aramcowo[...]
[30] 서적 The World's Greatest Religious Leaders: How Religious Figures Helped Shape World History [2 volumes] ABC-CLIO 2018
[31] 문서 Minorities in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Struggle and Self-expression - Page 95 by Mordechai Nisan
[32] 문서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 Page 41 by Nissim Dana
[33]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Sussex Academic Press
[34] Youtube Muawiya ibn Abi Sufyan's hatred for Imam Ali- Seyyid Kamal Haydari ENG SUBS https://www.youtube.[...] YouTube
[35] 논문 Rebuilding the Temple: Constantine Monomachus and the Holy Sepulchre 1989-03
[36] 서적 Arab Dress: A Short History - From the Dawn of Islam to Modern Times Brill Publishers
[37] 서적 Palestine Across Millennia: A History of Literacy, Learning and Educational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1-16
[38] 서적 Christian-Muslim Relations. A Bibliographical History. Volume 2 (900–1050) https://books.google[...] Brill 2024-01-16
[39] 저널 Droit et messianisme chez les Fatimides de l'an 1000 https://shs.hal.scie[...] 2022
[40]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https://archive.org/[...] A. Constable and co.
[41] 문서 Islam: the Straight Path
[42]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13-03-15
[43] 서적 Minorities in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Struggle and Self-express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03-16
[44] 서적 Egypt https://books.google[...] Footprint 2013-03-16
[45] 서적 Druze and Jews in Israel: A Shared Destiny?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13-03-16
[4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ruzes Scarecrow Press
[47] 서적 The Druzes: an annotated bibliography ISES Publications
[48] 문서 The Prisoner of Al-Hakim Blue Dome Press 2017
[49] 웹인용 ḤĀKEM BE-AMR-ALLĀH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6-04-24
[50] 서적
[51] 저널
[52] 웹인용 http://weekly.ahram.[...] Al-Ahram Weekly Online 2013-03-16
[53] 웹인용 http://www.egyptinde[...] Egypt Independent 2013-03-16
[54] 서적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