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로망고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로망고섬은 바누아투에 위치한 섬으로, 약 3,000년 전 라피타인에 의해 처음 정착되었다. 1774년 제임스 쿡이 상륙하며 유럽인과 접촉했고, 19세기에는 백단향 무역으로 인해 외부인과의 갈등과 전염병으로 인한 인구 감소를 겪었다. 1863년부터 1906년까지는 블랙버딩(강제 노동)으로 많은 인구가 유출되었으며, 선교 활동과 식인 풍습이 공존하는 시기를 거쳤다. 20세기 이후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통치를 받았으며, 2015년 사이클론 팜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열대 기후를 나타낸다. 에로망고어는 섬의 주요 언어이며, 두 개의 공항이 있다. 현재는 두 개의 지역 평의회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누아투의 화산 - 야수르산
    야수르산은 바누아투 타나섬에 있는 활화산으로, 800년간 분화 활동을 이어오며 "태평양의 등대"라는 별칭을 얻었고, 접근이 용이하여 "세계에서 가장 분화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활화산"으로 알려졌으며, 탄나섬 주민들에게 숭배의 대상이다.
  • 바누아투의 화산 - 에파테섬
    바누아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인 에파테섬은 수도 포트빌라가 위치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타페아주 - 탄나섬
    바누아투의 탄나섬은 멜라네시아인들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활화산 야수르 산과 비옥한 토지에서 카바, 커피, 코코넛 등을 생산하고, 화물 숭배 신앙과 콰메라어를 비롯한 5개의 주요 언어가 사용되는 곳이다.
  • 타페아주 - 야수르산
    야수르산은 바누아투 타나섬에 있는 활화산으로, 800년간 분화 활동을 이어오며 "태평양의 등대"라는 별칭을 얻었고, 접근이 용이하여 "세계에서 가장 분화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활화산"으로 알려졌으며, 탄나섬 주민들에게 숭배의 대상이다.
  • 바누아투의 섬 - 아오바섬
    바누아투의 아오바섬은 마나로 보이 화산의 일부이자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화산 활동으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진 멜라네시아인 중심의 기독교 섬이다.
  • 바누아투의 섬 - 탄나섬
    바누아투의 탄나섬은 멜라네시아인들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활화산 야수르 산과 비옥한 토지에서 카바, 커피, 코코넛 등을 생산하고, 화물 숭배 신앙과 콰메라어를 비롯한 5개의 주요 언어가 사용되는 곳이다.
에로망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에로망고섬 지도
에로망고섬 지도
1858년의 스케치
1858년의 스케치
기본 정보
원주민 이름Nelocopne (넬로코프네)
원주민 이름 언어시에, 에로망고어
위치산호해
군도바누아투
면적891.9 km2
길이48 km
30 km
최고봉산토프산
해발고도886 m
좌표18°48′50″S, 169°07′22″E
국가바누아투
행정 구역타페아주
최대 도시우포그코르
인구2,084명 (2009년 기준)
인구 밀도2.34명/km2
민족니바누아투
언어시에어
비스라마어
영어
프랑스어
우라어 (소멸 위기)
이전: 우타하어, 소룽어
시간대VUT (UTC+11)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Erromango (에로망고)

2. 역사

2. 1. 선사 시대

에로망고섬은 약 3,0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섬 멜라네시아로 이주한 라피타 사람들에 의해 처음 정착되었다.[4] 라피타인들은 돼지, 닭과 같은 가축[4][5], 빵나무 열매와 같은 식량 식물을 섬에 들여왔다.[6]

이포와 포남라 유적에서는 토기 조각, 돌도끼, 해양 조개 유물, 조리용 돌 등 라피타인과 그 이후 사람들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다.[7]

에로망고섬에는 부족 간 전쟁과 사이클론으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했던 수많은 동굴이 있으며, 이 동굴의 인간 사용은 현재로부터 2,800~2,4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 일부 동굴에는 씨족 문양과 전통적인 이야기를 담은 암각화와 암면 조각이 있으며, 매장지로 사용되기도 했다.[9]

2. 2. 유럽인과의 접촉

제임스 쿡은 1774년 8월 4일 북동쪽 현재의 포트나르빈 근처에 상륙하면서 에로망고섬에 처음으로 상륙한 유럽인이었다.[10] 쿡과 상륙대는 현지인들에게 공격을 받았고, 뒤이은 몸싸움에서 쿡의 부하 몇 명이 부상을 입었고, 여러 명의 에로망고인들이 사망했다.[10] 이 사건 이후 쿡은 포트나르빈 인근의 반도에 '배반자의 머리(Traitor's head)'라는 이름을 붙였다.[10]

19세기에 포경선이 이 섬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초창기 방문객 중 하나였다. 최초 방문 기록이 있는 포경선은 1804년의 ''로즈''였으며, 마지막 기록은 1887년의 미국 선박 ''존 & 윈throp''였다.[11]

2. 3. 백단향 무역과 그 영향

1825년, 상인이자 모험가인 피터 딜론은 에로망고섬에서 향기로운 오일과 조각용 목재로 중국에서 가치가 높은 백단향(''Santalum austrocaledonicum'')의 대규모 매장량을 발견했다. 딜론은 자신의 교역품으로는 에로망고인들이 자신을 위해 목재를 베도록 유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어 백단향을 채취하지 않고 떠났다. 그의 발견 소식은 다른 외부인들이 이 자원을 착취하기 위해 에로망고로 몰려들게 했고, 이로 인해 에로망고인들과 상인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12]

1830년, 하와이 왕국의 카메하메하 3세는 에로망고와 그 백단향을 장악하기 위해 479명의 하와이인을 태운 두 척의 배를 보키(하와이 추장)의 지휘 아래 에로망고로 보냈다. 쿡스만에 도착한 하와이인들은 에로망고인들의 저항에 부딪혔고, 열병으로 인해 대부분 사망했다. 단 20명의 하와이인만이 하와이로 돌아와 실패한 점령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13]

그 직후 백단향 가격 폭락으로 인해 184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상인들이 물러났지만, 가격이 다시 상승했을 때에도 해안에서의 공격, 지도에 없는 암초, 폭풍 및 허리케인의 복합적인 위험으로 인해 백단향 거래는 매우 투기적인 사업이 되었다. 로버트 타운스와 제임스 패든과 같은 일부 상인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에로망고 또는 아네이튬과 누벨칼레도니의 핀 섬과 같은 인근 섬에 기지를 세웠다. 그러나 1865년까지 에로망고의 백단향 자원은 고갈되었다.[13]

2. 4. 전염병과 인구 감소

에로망고섬의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인구는 약 5,000명으로 추정되지만, 일부 추정치는 20,000명에 달하기도 한다. 유럽인 방문객들은 현지인들이 면역력이 없는 인플루엔자, 천연두, 홍역과 같은 질병을 가져왔다. 1853년 천연두 발병과 1861년 홍역 유행으로 에로망고섬 주민의 60%가 사망했다.

1840년대부터 선교사나 백단목을 노린 상인들이 들여온 이질이나 홍역 등의 전염병이 섬 전체에 만연하면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상인들에 의한 주민 학살 등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2. 5. 블랙버딩 (강제 노동)

1863년부터 1906년까지 당시 뉴헤브리디스(현 바누아투) 출신 약 4만 명이 블랙버딩(강제 노동)을 통해 배에 실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의 면화 및 사탕수수 농장에서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20] 다른 1만 명은 누벨칼레도니의 니켈 광산과 피지, 사모아, 하와이의 농장에서 일했다.[20] 모집된 섬 주민 중 다수는 속아서 참여했고, 일부는 강요당했으며, 일부는 자원했다. 일부 에로망고인의 이름이 퀸즐랜드의 멜라네시아 노동자 공식 기록에 등재되어 있지만,[21] 블랙버딩된 에로망고인의 정확한 숫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백호주의 정책으로 1906년 멜라네시아 노동 무역이 종료된 후, 에로망고의 인구는 381명으로 줄었다.[22]

2. 6. 선교 활동과 식인 풍습

런던 선교 협회의 존 윌리엄스와 동료 선교사 제임스 해리스는 1839년 11월 딜런스 만에서 식인종에게 살해당하고 먹혔다.[23] 2009년 11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인류학 박물관, 바누아투 장로교회 및 바누아투 문화 센터의 오랜 협력 끝에, 윌리엄스의 후손들은 170년 전 조상을 살해한 우스워-나트고 부족의 후손들과 화해하기 위해 에로망고로 여행을 갔다.[24] 이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딜런스 만은 윌리엄스 만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5][26]

조지 니콜 고든 목사와 그의 아내 엘렌 캐서린 파월은 1861년 5월 20일 딜런스 만에서 살해당했다.[27] 총 6명의 선교사가 에로망고에서 살해당했다.[28] 언포그코(딜런스 만)의 구전 역사에 따르면 윌리엄스 목사는 그가 상륙했을 때 진행 중이던 중요한 카스톰 의식을 존중하지 않아서 살해당했다고 한다.[29]

윌리엄스는 남태평양 최초의 기독교 순교자였기 때문에 에로망고는 특히 선교의 초점이 되었다.[30] 1872년부터 1913년까지 에로망고에 거주한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 H.A. 로버트슨은 섬의 인구를 선교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섬의 전통 사회를 변화시켰다. 그의 선교 시도는 그가 전통 사회의 가장 강력한 상징을 표적으로 삼기 위해 신념과 물질 문화를 신중하게 연구했기 때문에 효과적이었다.[32]

1902년 로버트슨은 ''[https://archive.org/details/erromangamartyri00robe 에로망가: 순교자의 섬]''을 출판했는데, 이것은 섬에서의 선교사 생활에 대한 그의 묘사였다.[33] 이 책은 에로망고가 '순교자의 섬'이라는 생각을 전 세계 청중에게 홍보했다.[34]

로버트슨의 전임자 제임스 D. 고든 목사는 에로망고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하나님이 1861년 홍역 유행을 윌리엄스 목사와 다른 선교사들을 살해한 것에 대한 처벌로 보냈다는 믿음을 퍼뜨렸다. 고든은 이것을 개종자를 얻는 수단으로 보았지만, 그의 동시대인 중 일부는 이 전술에 반대했다.[35]

2. 7. 20세기 이후

1906년 영국과 프랑스 간 조약으로 에로망고섬은 공동 통치령이 되었고, 각종 법률 정비와 행정 기관 설치가 이루어졌다.[38] 이전에는 1887년 공동 해군 위원회가 섬의 치안 유지를 담당했으나, 주민 보호를 위한 법률이나 행정 기관이 없어 실질적으로 무정부 상태였다. 원주민에게는 기독교 포교와 식인 문화 금지 등의 문명화가 추진되어 20세기 초에는 식인이 완전히 사라졌다.[38]

2015년 3월 중순, 사이클론 팜으로 인해 에로망고섬과 인근 탄나섬이 큰 피해를 입었다. 탄나섬에서는 사망자 수가 불명확하고, 섬의 기반 시설과 영구적인 쉼터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식수가 없는 상황이 보고되었다.[38]

3. 지리

에로망고섬의 총 면적은 891.9km2이다. 최고점은 해발 886m의 산토프산이다.[39] 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44] 후기 홍적세와 홀로세에 형성된 융기된 산호초 석회암 플랫폼으로 둘러싸여 있다.[46]

에로망고섬 지도


울창한 상록수림은 바람이 부는(동쪽) 쪽 섬의 거의 4분의 3을 덮고 있으며, 초원과 삼림이 북서쪽을 차지하고 있다.[42] 과거에는 백단향의 공급원으로 알려졌으며,[42] 카우리와 타마누 나무도 풍부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고갈되었다.[42]

3. 1. 기후

에로망고섬은 열대 기후를 나타낸다. 1949년부터 2019년까지 에로망고섬(해발 198m)의 월별 평균 최고 기온은 1월이 27.9℃로 가장 높고, 8월이 23.7℃로 가장 낮다.[43] 월별 평균 강수량은 3월이 371.1mm로 가장 많고, 10월이 67.9mm로 가장 적다.[43] 연간 강수일수는 154.0일이다.[43] 섬 중앙부에는 해발 837m의 화산이 있으며, 섬 주변은 산호초로 덮여 있다.[65]

3. 2. 화산 활동

에로망고섬은 600만 년에서 100만 년 전 사이에 발생한 장기간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47] 섬은 판 이동에 의해 해수면 위로 100~300m 융기된 고대 해저 화산으로, 섬의 중앙, 북쪽, 동쪽에 위치한 세 개의 침식된 화산 원뿔을 형성하는 고원을 이루고 있다. 중앙부는 두 개의 화산으로 나뉘는데, 서쪽에는 멜쿰산(758m)이 있고 동쪽에는 눔푼 움판(802m)이 있다. 섬 북쪽의 윌리엄산(682m)은 폭 6km, 깊이 약 600m의 칼데라를 가진 스트롬볼리식 화산 원뿔이다.[48]

쿡스 만 북쪽, 동해안에 위치한 트레이터스 헤드를 형성하는 동쪽 반도는 섬에서 가장 젊은 화산 지형이다.[49]

4. 인구

2009년 인구 조사에서 에로망고섬의 인구는 1,959명이었다.[50] 연간 인구 증가율은 2.2%이며,[51] 섬에는 총 325가구가 있다.[52] 가장 큰 마을은 딜런스 베이 (Upogkor), 포트나빈, 이포타이다.

5. 언어

에로망고섬은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는 언어적으로 다양했으나, 접촉 이후 원래 사용되던 언어의 67%에서 83%를 잃었다. 태평양 언어학자 테리 크롤리는 이 섬이 "호주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가장 큰 언어적 황폐화를 겪은 불명예를 안고 있다"고 언급했다.[53]

원래 에로망고섬에는 최소 4개의 서로 다른 언어가 존재했다: 에냐우/요쿠어, 우라어(아랴우라고도 알려짐), 우타하어(에티요 또는 이포라고도 알려짐), 소루그/시에어(시에 또는 시예라고도 표기).[54] 소루그어와 우타하어는 현재 사멸되었으며,[55] 우라어 화자는 몇 명 남지 않았다.[56] 이 네 언어는 에로망가어군을 구성하며, 남부 바누아투어군에 속한다. 기록 부족으로 인해 소루그어와 시에어가 별개의 언어였는지, 아니면 하나의 언어의 방언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57]

19세기 중반 전염병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언어 재정렬을 초래했다. 요쿠/에냐우어는 선교사들이 기반을 둔 딜런스 만 지역의 언어였고, 최초의 선교 성경에 사용된 언어였기 때문에 19세기 후반에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58] 에냐우/요쿠어와 소루그/시에어는 1870년대에서 1920년대 사이에 합쳐져 현대 에로망가어가 되었다.[59]

에로망가어는 에로망고섬 가구의 90.4%에서 모국어로 사용된다.[61] 5세 이상의 에로망고섬 주민 중 63.6%[62]는 바누아투의 공용어인 비슬라마어를 읽고 쓸 수 있다. 62.3%[63]는 영어, 19.0%[64]는 바누아투의 두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를 읽고 쓸 수 있다.

6. 교통

에로망고섬에는 두 개의 활주로가 있다. 섬의 서쪽에는 딜런스 베이 공항이 있고, 동쪽에는 이포타 공항이 있다.

7. 행정

에로망고섬에는 2개의 지역 평의회(Area Council)가 설치되어 있다.[68] 섬에는 우포고르(Upogkor)와 같은 취락은 있지만, 기초 자치 단체에 해당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구는 2016년 국세조사[65] 기준이다.

북에로망고(North Erromango)의 면적은 543.5 km2이며, 인구는 1,491명이다. 남에로망고(South Erromango)의 면적은 348.8 km2이며, 인구는 618명이다.

1989년 국세조사 당시에는 현재와는 달리, 동서로 분할되어 있었다.[68]

참조

[1] 서적 Arts of Vanuatu Crawford House Publishing 1996
[2] 서적 A Voyage Round the Worl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3] 서적 The three famous voyages of Captain James Cook 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Ward, Lock & Co. 2014-12-03
[4] 서적 The Austronesians http://press.anu.ed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4-12-05
[5] 서적 Gardens of Oceania http://aciar.gov.au/[...] Australian Centre for International Agriculture Research 2014-12-05
[6] 서적 Walter & Lebot 2006
[7] 서적 Le Pacifique de 5000 à 2000 avant le présent : suppléments à l'histoire d'une colonisation (The Pacific from 5000 to 2000 BP : colonisation and transformations) http://www.documenta[...] 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éveloppement 2014-12-05
[8] 학위논문 Picturing Pacific Prehistory: The rock-art of Vanuatu in a western Pacific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9] 서적 Nompi en Ovoteme Erromango (Kastom and culture of Erromango) Erromango Cultural Association 2011
[10] 서적 Cook 1890
[11] 간행물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to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Pacific Manuscripts Bureau, Canberra 1984
[12] 문서 letter to the editor, Bengal Herkaru 1826-10-14
[13] 서적 Shineberg 1967
[14] 서적 Histri Blong Yumi Long Vanuatu: an educational resource Vanuatu National Cultural Council 2005
[15] 서적 Carillo-Huffman & Nemban 2010
[16] 서적 Missionary to the New Hebrides: An Autobiography Christian Focus, Ross-shire, Great Britain 2009
[17] 서적 Shineberg 1967
[18] 문서 The last martyrs of Eromanga : being a memoir of the Rev. George N. Gordon and Ellen Catherine Powell, his wife https://archive.org/[...] 1863
[19] 서적 Missionary to the New Hebrides: An Autobiography Christian Focus, Ross-shire, Great Britain 2009
[20] 서적 Lighter & Naupa 2005
[21] 웹사이트 Australian South Sea Islanders 1867 to 1908 https://data.qld.gov[...] Queensland Government 2014-12-05
[22] 서적 Crowley 1997
[23] 서적 Missionary to the New Hebrides: An Autobiography Christian Focus, Ross-shire, Great Britain 2009
[24] 서적 Naupa 2011
[25] 좌표
[26] 뉴스 BBC News - Island holds reconciliation over cannibalism http://news.bbc.co.u[...] news.bbc.co.uk 2009-12-07
[27] 서적 Types of Canadian Women and of Women who are or have been Connected with Canada https://archive.org/[...] Williams Briggs 1903
[28] 서적 Shineberg 1967
[29] 서적 Naupa 2011
[30] 서적 Carillo-Huffman & Nemban 2010
[31] 서적 Kidnapping in the South Seas: Being a Narrative of a Three Months' Cruise of H. M. Ship Rosario https://trove.nla.go[...] Edinburgh: Edmonston and Douglas
[32] 서적 Carillo-Huffman & Nemban 2010
[33] 뉴스 Savages of the New Hebrides https://timesmachine[...] 1903-03-21
[34] 서적 Carillo-Huffman & Nemban 2010
[35] 서적 Shineberg 1967
[36] 문서 Carillo-Huffman & Nemban 2010, p.91
[37] 서적 No Longer Captives of the Past : the story of a reconciliation on Erromango Erromango Cultural Association/Museum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3
[38] 뉴스 Cyclone Pam: more deaths and water shortages to follow storm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3-15
[39] 서적 Atlas du Vanouatou (Vanuatu) Éditions Géo-consulte 2009
[40] 웹사이트 Vete Manung Island, Vanuatu - John Seach http://www.travel.vu[...] Vanuatu Travel 2019-06-11
[41] 문서 Siméoni 2009, p. 85
[42] 문서 Siméoni 2009, p. 88
[43]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13
[44] 서적 Melanesia https://archive.org/[...] Methuen & Co Ltd 1971
[45] 논문 Late Pleistocene-Holocene Acceleration of Uplift Rate in Southwest Erromango Island, Southern Vanuatu, South Pacific: Relation to the Growth of the Vanuatuan Mid Sedimentary Basi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07
[46] 문서 Neef & Hendy 1988, p. 484
[47] 논문 Le volcanisme de l'île d'Erromango (République de Vanuatu) : calendrier de l'activité (données 40K-40Ar) http://www.vu.auf.or[...] Académie des Sciences 1984
[48] 문서 Siméoni 2009, p. 85
[49] 간행물
[50] 웹사이트 2009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Basic Tables Report Volume 1 http://vnso.gov.vu/i[...] 2014-12-04
[51] 웹사이트 2009 Census Summary Release http://www.vnso.gov.[...]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4-12-09
[52] 문서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a, p. 13
[53] 논문 What happened to Erromango's languages? http://www.jps.auckl[...] 1997
[54] 문서 Lynch, John. 1983. The languages of Erromango. In John Lynch (ed.), ''Studies in the Languages of Erromango''. Pacific Linguistics C-79.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p.1-10
[55] 문서 Lynch, John. n.d. [http://paradisec.org.au/fieldnotes/image_viewer.htm?VERO301,18,1,L,80 Utaha and Sorung: Two Dead Languages of Erromanga]. Unpublished ms., found in Arthur Capell’s documents [http://catalog.paradisec.org.au/collections/AC2/items/VERO301 archived] at PARADISEC
[56] 문서 Crowley 1997, pp. 33-34
[57] 문서 Crowley 1997, pp. 33-58
[58] 문서 Crowley 1997, pp. 38-60
[59] 문서 Crowley 1997, pp. 53-56
[60] 문서 Lynch, John. "The languages of Erromango". In John Lynch (ed.), ''Studies in the Languages of Erromango''. Pacific Linguistics C-79.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3) and Tryon, Darrell. ''New Hebrides Languages: An Internal Classification.'' Pacific Linguistics C-50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6), cited in Crowley, Terry. ''An Erromangan (Sye) Grammar''.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 No. 27.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61] 문서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a, p. 13
[62] 문서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a, p. 101
[63] 문서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a, p. 97
[64] 문서 Vanuatu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9a, p. 99
[65] 웹사이트 VANUATU: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19-07-24
[66] 서적 コンサイス地名辞典 外国編 https://books.google[...] 三省堂
[67] 뉴스 エロマンガ島の食人部族の子孫、170年前に先祖が食べた宣教師の子孫に謝罪 https://gigazine.net[...] GIGAZINE
[68] 웹사이트 Councils of Vanuatu http://statoids.com/[...] Statoids.com 2014-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