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호주의는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수립 이후 시행된 이민 정책으로, 비유럽계 이민을 제한하고 백인 중심의 사회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었다. 1800년대 후반 금광 발견과 노동 운동의 영향으로 중국인 및 폴리네시아인 이민자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이 정책의 배경이 형성되었다. 1901년 이민 제한법을 통해 법적으로 도입되었으며, 50단어 구술 시험을 통해 비유럽계 이민을 사실상 차단했다. 이후 여러 법률 제정을 통해 백호주의 정책을 강화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인종 평등 제안에 반대하며 정책을 고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인구 부족의 위기를 겪으면서 점차 완화되었고, 1966년과 1975년의 법률 개정을 통해 사실상 폐지되었다. 백호주의 폐지 이후 호주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반중 감정 - 중국의 조용한 침공
클라이브 해밀턴의 《중국의 조용한 침공》은 중국의 호주 내 영향력 확대를 다룬 책으로, 출간 후 다양한 논란과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중국 정부는 비판적인 학자들의 중국 입국을 금지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 - 멍고인
멍고인은 약 4만 년 전 오스트레일리아 멍고 호에서 발견된 현생 인류 유골로, 화장 매장과 붉은 황토를 사용한 장례 의식 흔적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인류 거주 시기가 기존보다 오래되었음을 보여준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 - 뉴홀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뉴홀랜드는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서쪽과 북쪽 해안에 붙인 이름으로, 네덜란드 탐험가들이 탐험했으나 영구 정착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후 영국에 의해 뉴사우스웨일스에 포함되지 않은 서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오스트레일리아 명칭 공식 승인 후에도 한동안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생물 분류학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백호주의 | |
---|---|
지도 정보 | |
백호주의 | |
다른 이름 | 백호 정책 |
로마자 표기 | Baekhojuui |
영어 이름 | White Australia policy |
일본어 이름 | 白豪主義 (하쿠고슈기) |
개요 | |
설명 | 호주에서 비유럽계 이민을 제한하고 유럽계 이민을 장려했던 정책 |
목표 | '백인' 호주를 유지 |
역사적 배경 | |
시작 | 1901년 연방 이민법 제정 |
주요 내용 | 이민자 대상 언어 시험, 인종 차별적 이민 정책 |
발단 | 호주 원주민에 대한 차별과 아시아계 이민 증가에 대한 반발 |
영향 | 호주 사회의 다문화주의 발전 저해 |
종료 | 1973년 공식적으로 폐지 |
주요 법률 및 조치 | |
이민 제한 법안 | 1901년 이민 제한법 1905년 이민 제한법 |
이민법 시행 | 아시아인 이민 제한 비백인 이민자들에게 차별적인 대우 |
영향 | |
사회적 영향 | 인종 차별 심화 호주 원주민에 대한 차별 지속 다문화주의 발전 저해 |
폐지 및 이후 | |
폐지 과정 | 1960년대 인권 운동의 영향 1973년 고프 휘틀럼 총리 정부에서 공식 폐지 |
이후 | 다문화주의 정책 시행 이민 정책의 변화 |
관련 단체 | |
주요 단체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협회 호주 원주민 보호위원회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진보회 |
참고 자료 | |
추가 정보 | Australian Natives Association Centenary |
2. 백호주의의 배경
1840년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식민지들은 경제 공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1850년대 금광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가 시작되었고, 많은 이민자가 몰려들었다. 그 중에는 중국계 이민이 많았으며 1881년에는 5만 명에 달했다. 이들은 낮은 임금으로 일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팔아 백인 노동자 및 상인들과 경쟁했다. 북부 지역에서는 폴리네시아인 이민자들의 유입이 갈등을 일으켰다.[111]
각 주에서는 이민을 제한하는 법안을 제정했는데, 영국과 아일랜드를 제외한 모든 인종의 이민을 금지하는 수준까지 간 법도 있었다. 1888년 전(全) 오스트레일리아 회의에서는 중국계 이민을 제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1896년 회의에서는 모든 유색 인종을 배척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111]
1788년 대영제국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을 식민지화하면서 원주민인 애버리지니는 정복과 박해를 당했다. 많은 애보리지니가 질병에 노출되거나 살해되었으며, 타스마니아에서는 원주민 학살이 자행되어 19세기 후반에는 순혈 타스마니아 원주민이 멸종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870년대 퀸즐랜드주에서는 사탕수수 산업 성장으로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사모아, 키리바시, 투발루 등 태평양 제도 출신 카나카(Kanakas) 사람들이 계약 노동 형태로 모집되거나 강제 연행 또는 납치되기도 했다(블랙버딩(Blackbirding)). 이들은 퀸즐랜드와 피지의 사탕수수 농장(플랜테이션)에서 노동했다.
1920년 호주 정부는 원주민 보호 명목으로 인종 차별 정책을 실시하여 애보리지니 인구가 90% 이상 감소했다.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애보리지니 어린이들을 부모에게서 떼어내 백인 가정이나 기숙학교에서 양육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는 "진보된 문화" 속에서 성장해야 한다는 독선적인 생각에 기반한 것으로, 약 10%의 어린이들이 잃어버린 세대가 되었다.
백인들이 기피했던 내륙의 불모지에서는 애보리지니들이 고유 문화를 유지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고립된 내륙 지역에 애보리지니 문화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2. 1. 경제 공황과 골드 러시
1840년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식민지들은 경제 공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1850년대 금광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가 시작되었고, 많은 이민자들이 오스트레일리아로 몰려들었다. 특히 중국계 이민자들이 많았는데, 1881년에는 그 수가 5만 명에 달했다.[111] 이들은 광산촌에서 도시로 이주하여 낮은 임금으로 일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팔았다.185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전 세계에서 이민자들이 몰려들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골드러시로 인해 이민자가 급증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는 경제적, 정치적, 인구 통계적으로 변화했다. 1851년 빅토리아 식민지는 인구가 7만 7천 명, 뉴사우스웨일스주는 20만 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20년 동안 4만 명이 넘는 중국 남성들이 이주했다. 이들은 거의 모두 광둥성(당시 광저우) 출신이었지만 언어와 방언으로 나뉘어 있었다.[15]
금은 큰 부를 가져다주었지만, 새로운 사회적 긴장도 초래했다. 다민족 이민자들이 처음으로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에 대거 유입되었다. 특히 중국 광부들의 성공에 대한 백인 광부들의 불만으로 골드필드에서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집단 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결국 1857년 벅랜드 폭동과 1860년부터 1861년까지의 램빙 플랫 폭동을 포함한 일련의 심각한 인종차별적 시위와 폭동으로 이어졌다.[16] 찰스 호탐 총독은 1854년 왕립위원회를 임명하여 빅토리아 골드필드 문제와 불만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1855년부터 빅토리아주에서는 중국 거주민들에게 중국 이민 제한과 거주세가 부과되었다. 뉴사우스웨일스주도 1861년에 인두세와 톤수 제한을 시행했고, 이러한 제한은 1867년까지 유지되었다.[16]
1833년 영국 제국이 노예제를 폐지하면서 각 식민지에서는 노동력이 부족해졌다. 아편전쟁과 아로전쟁(제2차 아편전쟁) 이후 1860년에 체결된 베이징 조약으로 영국과 해외 상사들은 중국인을 고용할 권리를 인정받았다. 이로 인해 합법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캐나다에 중국인 이주민을 들여올 수 있게 되었다. 태평천국의 난의 영향도 있어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중국계 이민 노동자가 잇따라 유입되기 시작했다(대부분 광둥성 출신). 1861년에는 약 3만 9000명(총 인구 134만 8100명 중 2.9%)이었고, 1854년부터 1858년까지 5년 동안에는 4만 5000명이 유입되었다.[96] 베이징 조약 체결과 같은 해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반중 폭동(Lambing Flat Riots)이 발생했다.
1851년 금광 발견으로 시작된 골드러시는 1870년대 퀸즐랜드, 1890년대 서호주까지 이어지며 중국인 노동자(쿨리)가 대륙 전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97]
2. 2. 백인 노동자와의 경쟁
1840년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경제 공황과 1850년대 골드 러시로 인해 많은 이민자가 몰려왔는데, 그 중에는 중국계 이민자들이 많았다. 1881년에는 중국계 이민자가 5만 명에 달했다.[111] 이들은 낮은 임금으로 일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팔아 백인 노동자 및 상인들과 경쟁했다. 중국계의 저임금 노동은 백인 노동자의 임금을 저하시켰고, 중국계 상인들은 백인 상인들과 경쟁했다.[111] 북부 지역에서는 폴리네시아인 이민자들의 유입이 갈등을 일으켰다.185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골드러시가 발생하여 전 세계에서 이민자들이 몰려들었다. 특히 중국 광부들의 성공에 대한 백인 광부들의 불만으로 골드필드에서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집단 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결국 1857년의 벅랜드 폭동과 1860년부터 1861년까지의 램빙 플랫 폭동을 포함한 일련의 심각한 인종차별적 시위와 폭동으로 이어졌다.[16]
아편전쟁과 아로전쟁(제2차 아편전쟁)을 거쳐 1860년에 체결된 베이징 조약으로 영국과 해외 상사들이 중국인을 고용할 권리를 인정받게 되면서, 합법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캐나다에 중국인 이주민을 들여올 수 있게 되었다.[95] 또한 태평천국의 난의 영향도 있어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중국계 이민 노동자가 잇따라 유입되기 시작했다(대부분 광둥성 출신).[96] 1851년에 금광이 발견되면서 골드러시가 시작되었고, 1870년대에는 퀸즐랜드에서, 1890년대에는 서호주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 중국인 노동자(쿨리)가 대륙 전역으로 확산되었다.[97]
1870년대 이후, 지방 도시에서는 아시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의한 백인 노동자의 일자리 감소와 임금 수준 저하, 환경 위생 악화가 문제시되었다.[98] 그 때문에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 운동이 백호주의 압력 단체가 되어갔다. 1878년에는 중국인 선원 고용에 대해 선원 노조가 파업을 감행했고, 1888년에는 중국인 이주 제한법이 제정되었다.[99]
2. 3. 폴리네시아인 이민자와의 갈등
북부 지역에서는 폴리네시아인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갈등이 발생했다.[111]2. 4. 각 주의 이민 제한 법안
각 주에서는 이민을 제한하는 법안을 제정했는데, 영국과 아일랜드를 제외한 모든 인종의 이민을 금지하는 수준까지 간 법도 있었다.[111]2. 5. 전 오스트레일리아 회의
184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 개별 식민지로 나뉘어 있을 때, 오스트레일리아는 경제 공황으로 위기를 맞았다. 1850년대에 금광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로 인해 많은 이민자가 몰려왔고, 그 중에는 중국계 이민자가 많았다. 1881년에는 중국계 이민자가 5만 명에 달하였다. 이들은 낮은 임금으로 일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팔아 백인 노동자와 상인들과 경쟁했다. 북부 지역에서는 폴리네시아인 이민자들의 유입이 갈등을 일으켰다.각 주에서는 이 때문에 이민을 제한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1888년에 열린 전(全) 오스트레일리아 회의에서는 중국계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제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1896년에 열린 회의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모든 유색 인종을 배척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통과되었다.[111]
2. 6. 호주 노동 운동의 지원
1870년대와 1880년대에 호주 노동 운동(노동조합 운동)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일련의 시위를 시작했다.[15] 이들은 아시아인과 중국인이 백인 남성의 일자리를 빼앗고, "열악한" 임금으로 일하며, 노동 조건을 저하시키고, 더 열심히 일하며, 노조 가입을 거부한다고 주장했다.[15] 주로 농촌 지역의 부유한 토지 소유주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하며, 아시아인이 없이는 노던테리토리와 퀸즐랜드의 열대 지역에서 일할 수 없어 그 지역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지방 도시에서는 아시아계 외국인 노동자로 인해 백인 노동자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임금 수준이 저하되었으며, 환경 위생 악화의 원인이 되었다.[98] 이러한 이유로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 운동이 백호주의 압력 단체가 되어갔다. 1870년대 이후 중국인을 비롯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노동 운동이 격화되었다. 1878년에는 중국인 선원 고용에 대해 선원 노조가 파업을 감행했고, 1888년에는 중국인 이주 제한법이 제정되었다. 1892년에도 운송업자 노조가 대규모 항의 운동을 전개했다. 한편, 자본가와 경영자 측은 중국인 노동자가 저렴한 노동력이 되었기 때문에 백호주의에 반대했다. 농장주들은 도시에서 발생한 이민(중국인) 노동자 제한 요구에 대해, 노던테리토리나 퀸즐랜드에서 아시아인을 철수시키면 황무지가 될 것이라고 반론했지만, 이민 제한은 법제화되었다.
2. 7. 식민지 총리 회의 (1895년)
1898년 오스트랄라시아 연방 협약 제3차 회의에서 서호주 총리이자 훗날 연방 내각 구성원이 되는 존 포레스트는 유색 인종 유입에 대한 호주 전역의 강한 반감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18] [20]3. 백호주의의 도입과 전개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성립 직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백호주의 정책을 법제화했다. 이는 1901년 이민 제한법 통과로 시작되었는데, 이 법은 출입국 관리관이 비유럽 출신 이민자들에게 50개 단어 구술 시험을 치르게 하여 사실상 이민을 거부하는 수단이었다. 1909년 이전에는 52명의 비백인만이 이 시험을 통과했고, 그 이후에는 아무도 통과하지 못했다.[112]
1901년에는 태평양 원주민 노동자법과 우편 및 전신법도 통과되어 이주 노동자 고용을 금지하고 우편 배달을 백인에게만 맡기는 등 이민 제한을 강화했다. 이 법안들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1901년 전체 인구의 1.25%였던 아시아계 인구가 1940년대 말에는 0.2%로 감소했다. 1947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아일랜드 밖에서 태어난 인구가 2.7%에 불과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백인과 노동 인구 증가를 위해 영국인 이민을 장려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 한계가 명확해졌다. 일본군이 동남아시아 전역을 점령하고 다윈을 폭격하는 상황에서, 인구가 710만에 불과했던 오스트레일리아는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다.[112] 이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인구 증가 아니면 멸망이다"라는 구호 아래 비영국계 백인 이민과 비백인 이민에게도 문호를 개방했다.[113]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연방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국민들의 관심사에 대해 기술한 책 『ANZAC to Amiens』에서 전쟁 공식 사학자 찰스 빈(Charles Bean)은 백호주의(White Australia Policy)를 "높은 서구 경제, 사회, 문화 수준을 유지하려는 강력한 노력"으로 정의했다.
이민은 호주 연방 설립을 앞두고 논의된 중요한 주제였다. 1898년 오스트랄라시아 연방 협약 제3차 회의에서 서호주 총리이자 미래 연방 내각 구성원인 존 포레스트는 "유색 인종 유입에 대한 호주 전역의 강한 반감"을 언급하며 앵글로색슨 사람들의 심정을 요약했다.[18]
1901년 연방 의회 첫 선거 이후 집권한 버튼 정부는 보호주의당이 호주 노동당의 지지로 구성되었다. 노동당은 비백인 이민 제한을 지지했는데, 이는 당시 호주 노동 조합과 다른 노동 단체들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었다. 호주 역사가 제임스 주프는 백호주의가 우익뿐만 아니라 좌파, 특히 노조와 노동당에서 강력하게 지지받았다고 기록했다. 20세기 초 많은 호주인들은 백인임을 호주인임과 동일시했고, 호주의 백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다수 호주 주들이 백인과 호주 원주민(Aboriginal Australians) 간의 결혼 및/또는 성관계를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첫 번째 호주 의회는 호주의 "영국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민을 신속하게 제한했다. 그러나 영국 식민지 장관은 인종 기반 이민 정책은 "제국 전역의 영국 통치 지침 원칙이었던 평등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버튼 정부는 "교육 테스트"(후에 "받아쓰기 테스트"라고 불림)를 고안해, 세관원 재량에 따라 정부가 원치 않는 이민자들에게 "유럽 언어"로 시험을 치르게 하여 이민을 막았다.
러일전쟁 기간에는 반러시아 정서로 친일론이 대두되어 1904년에는 일·호 여권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영국이 독일 제국과의 대립 관계를 심화하면서 일본과 독일의 동맹 시나리오가 상정되어 일본 위협론이 부활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령이었던 적도 이북의 남양 군도를 일본이 점령하자, 독일보다 더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었다.[103] 이렇게 백호주의 체제가 확립되면서 1940년경 유색 인종의 국내 인구 비율이 가장 작아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의 흑인 부대 상륙을 거부할 정도였다.[104]
3. 1. 1901년 이민 제한법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성립된 1901년, 새로운 연방 의회는 최초 법안 중 하나로 1901년 이민 제한법을 통과시켰다.[22] 이 법은 비유럽 출신 이민자들에게 50개 단어 구술 시험을 치르게 하여 이민을 제한했다.[31] 시험 언어는 영어가 아니더라도 관리관이 임의로 고를 수 있었는데, 이는 관리관이 보기에 인종, 전과, 건강, 도덕적 기준에 따라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에게 웨일스어같은 소수 언어를 고르는 방식으로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였다.[31] 1909년 이전에는 52명의 비백인만이 이 시험을 통과했고, 그 이후에는 아무도 통과하지 못했다.[112]초기 법안 초안은 비유럽인의 오스트레일리아 이주를 명시적으로 금지했지만, 인도 및 일본과의 관계를 우려한 영국 정부의 반대로 인해 "구술 시험"이라는 수단이 도입되었다.[27] 이민 관리들은 50단어 구술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사람을 배제할 권한을 받았다. 처음에는 유럽 언어로 시험을 볼 수 있었지만, 나중에는 어떤 언어로든 시험을 볼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27] 시험은 통과할 수 없도록 실시되었으며, 영어로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다른 언어로 시험을 보게 했다.[27]
이 법은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에드먼드 바턴 수상은 "인간 평등의 원리는 영국인과 중국인의 평등에 적용되도록 의도된 적이 없다"라고 발언하며 법안을 지지했다.[23] 법안 작성을 맡은 알프레드 디킨 오스트레일리아 법무장관은 일본인과 중국인이 연방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믿었고, 그러한 믿음이 그들을 배제하기 위한 법률로 이어졌다고 말했다.[26]
노먼 캐머런 의원은 드물게 반대 의견을 제시하며, 중국인이 영국인에 의해 강제로 문호를 개방 당했음을 지적하며, 호주가 중국인 이민을 거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29]
3. 2. 기타 법률
1901년 추가로 통과된 태평양 원주민 노동자법은 이주 노동자 고용을 금지했다.[22][33] 이 법의 결과로, 주로 퀸즐랜드의 농장에서 일하던 7,500명의 태평양 섬 주민들(카나카라고 불림)이 강제 추방되었고, 1904년 이후로는 태평양 섬 주민들의 호주 입국이 금지되었다.[34] 같은 해 통과된 우편과 전신법은 우편 배달을 백인만 맡게 함으로써 이민을 더욱 제한하였다.3. 3. 일본과의 관계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는 연방제를 수립하면서 이민 제한법[98], 귀화법, 태평양 제도 노동자법 등을 제정하여 백호주의 정책을 완성해 나갔다. 그러나 1902년 영일동맹 체결로 영국은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막기 위해 일본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영국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초대 총리 에드먼드 바턴에게 극동 정세를 고려할 것을 비밀 서한으로 요구했다.[101]일본 정부는 이민 제한법에 대해 런던과 시드니의 외국 공관을 통해 항의한 상태였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의회는 백호주의를 강경하게 지지했고, 후에 제2대 총리가 된 알프레드 디킨은 "일본인은 우수하기 때문에 위험하며, 배척되어야 한다"며 바턴의 대일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이후 영일동맹이 파기될 때까지 약 20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과 일본 사이에 마찰을 겪었다. 바턴 총리는 멜버른의 일간지 『더 에이지』(The Age)(1902년 2월 14일)에 영일동맹을 환영하면서도 백호 정책은 고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중지 『더 불레틴』(The Bulletin)은 "영국 제국이 백인 유럽(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유색 국가와 동맹을 체결하는 것은 매우 불명예스럽다"고 비판했다. 『더 불레틴』의 백인 우월주의는 오스트레일리아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102]
3. 4. 제1차 세계 대전과 파리 강화 회의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은 국제 연맹 규약에 인종 평등 조항을 포함시키려 했다. 이는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일본인 이민 제한을 완화하려는 목적이었는데, 일본은 이를 자국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으로 간주했다.[37]호주 총리 빌리 휴즈는 일본의 팽창을 우려했고, 특히 호주 방어에 필수적인 독일령 뉴기니를 유지하고자 했다.[38] 결국 조약에 따라 호주는 독일령 뉴기니를, 일본은 그 북쪽의 남양 군도를 위임 통치하게 되어 양국은 국경을 공유하게 되었다.
휴즈는 일본의 인종 평등 제안이 백호주의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강력히 반대했다. 그는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에게 조항이 채택되면 회의를 떠나겠다고 밝혔다. 휴즈는 "백호주 정책을 손대면 호주 정부는 하루도 버틸 수 없을 것"이라고 썼다.[39] 그는 이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타협안을 제시했지만, 일본은 거부했다.[39] 제안이 실패하자 휴즈는 호주 의회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White Australia is yours. You may do with it what you please, but at any rate, the soldiers have achieved the victory, and my colleagues and I have brought that great principle back to you from the conference, as safe as it was on the day when it was first adopted.영어[40]
: 백호주의는 여러분의 것입니다. 여러분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병사들은 승리했고, 저와 제 동료들은 그 위대한 원칙을 회의에서 처음 채택된 날처럼 안전하게 여러분에게 되돌려왔습니다.
4. 백호주의 정책의 완화와 폐지
1966년 홀트 정부는 백호주의 정책 해체를 시작했다.[56] 홀트 총리는 호주가 더 이상 백호주 정책을 유지하지 않고 "제한적인 이민 정책"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56] 그해 초, 비백인에 대한 이민법을 완화하여 시민권 취득 대기 기간을 15년에서 5년으로 단축하고 가족 상봉(family reunification)을 허용했다. 비백인 이민자들은 "고도로 자격을 갖춘 뛰어난 인물"이 아닌 "자격이 충분한" 사람들을 기준으로 입국이 허용되었다.[57]
1973년 휘틀럼 노동당 정부는 이민법의 인종적 측면 시행을 막는 일련의 수정안을 시행하여 백호주의의 포괄적인 법적 종식을 가져왔다.[64][42] 주요 수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이민자는 출신에 관계없이 3년의 영주권 거주 후 시민권을 취득할 자격이 있도록 법으로 규정했다.
- 이민과 인종과 관련된 모든 국제 협약을 비준했다.
- 이민자 선발에 있어 인종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책을 발표했다.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은 어떠한 공식적인 목적으로든 인종적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프레이저 정부(Fraser Liberal government)가 1978년 이민법을 검토하기 전까지는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한 모든 잠재적 이민자 선발이 공식 정책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4. 1.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
일본군이 동남아시아 전역을 점령하고 다윈을 폭격했지만, 인구가 710만에 불과했던 오스트레일리아는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다.[112] 이에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인구 증가 아니면 멸망이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비영국계 백인 이민과 비백인 이민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113]전쟁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ALP)의 총리 존 커틴은 "이 나라는 영원히 평화롭게 이곳에 와서 남태평양에 영국계 백인의 전초기지를 세운 사람들의 후손들의 고향으로 남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백호주의 정책을 강화했다.[42]
1942년 싱가포르 함락 이후, 호주는 일본의 침략을 우려했다. 호주 도시들은 일본군 공군과 일본 해군의 폭격을 받았고, 추축국 해군은 호주 선박을 위협했으며, 영국 해군은 유럽에서의 나치의 공격에 맞서 대서양과 지중해 전투에 몰두했다. 호주 뉴기니 준주를 향하던 일본 침략 함대는 미국 해군의 개입으로 코랄해 해전에서 저지되었다.[43] 호주는 일본군의 진격으로 함락된 지역에서 수천 명의 난민, 특히 수천 명의 중국 남성과 여성, 그리고 많은 중국 선원들을 받아들였다.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 인도네시아)에서 피난 온 네덜란드인들도 있었다.[44] 호주 원주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 파푸아뉴기니인, 티모르인들은 호주 방위의 최전선에서 복무했고, 이는 호주의 인종차별적인 이민 및 정치적 권리 정책을 부각시켰으며, 전시 복무는 많은 호주 원주민들에게 민간 생활로 복귀 후 권리를 요구하는 데 자신감을 주었다.[45]
전쟁 중, 백호주의 정책 폐지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반감은 호주가 중국과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였는데, 중국 정부가 동맹국으로서 백호주의 정책 폐지를 요구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노동당 대변인은 백호주의 정책의 지속을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46]
> 백호주 정책은 현재 아마도 이 나라의 가장 두드러진 정치적 특징일 것이며,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멀리서 이 "흥미로운 실험"을 지켜보고 연구한 사람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졌습니다. 이익을 위해 비백인 노예 종족의 착취를 선호하는 사람들과 소수의 전문 경제학자 및 무지한 신학자들만이 현재 백호주에 대한 심각한 비판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결국 무책임한 관리들의 시기 적절하지 않고 부적절한 발표로 고무되고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노동당은 인구 2,500만 명을 목표로 한 대규모 이민 계획을 발표했다. 이로써 광대한 면적을 가진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노동력과 시장을 이민자들이 담당하게 되면서, 기존의 인종차별 정책은 철회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4. 2. 전후 이민 정책의 변화
제2차 세계 대전의 충격과 태평양 전쟁 중 호주의 취약성, 그리고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는 "인구 증가 또는 멸망(populate or perish)"이라는 슬로건으로 요약되는 정책으로 이어졌다. 작가 래클런 스트라한(Lachlan Strahan)에 따르면, 이것은 사실상 호주를 유럽인들로 채우라는, 그렇지 않으면 아시아인들에게 압도당할 위험이 있다는 민족 중심적인 슬로건이었다.[47] 1947년 아서 캘웰(Arthur Calwell) 이민부 장관은 정부의 대규모 이민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에 대해 "황색 인종이 우리를 압도하기 전에 이 나라를 채우는 데 최대 25년의 시간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전쟁 중에 많은 비백인 난민들, 중국인뿐만 아니라 말레이인, 인도네시아인, 필리핀인도 호주에 도착했지만, 캘웰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으로 그들을 모두 추방하려고 했다.[48]
치플리 정부(Chifley government)는 ''1948년 외국인 추방법(Aliens Deportation Act 1948)''을 도입했는데, 이 법은 호주 고등법원(High Court of Australia) 사건 ''오키프 대 캘웰(O'Keefe v Calwell)''에서 그 약점이 드러났고, 그 후 이민 장관에게 광범위한 추방 권한을 부여하는 ''전시 난민 제거법 1949(War-time Refugees Removal Act 1949)''을 통과시켰다.[49] 1948년, 호주로 이민을 원하는 이란계 호주 바하이교(Baháʼí Faith in Australia) 신자들은 정책에 따라 "아시아인"으로 분류되어 입국이 거부되었다.[50]
호주의 정책은 이민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다음 수십 년 동안의 법률 개정은 호주 이민을 지속적으로 개방했다.[41]
- 노동당 치플리 정부:
- 1947년: 치플리 노동 정부는 이민 제한법을 완화하여 비유럽인들이 사업상의 이유로 호주에 영구 정착할 수 있는 권리를 허용했다.
- 자유당-국가당 멘지스 정부 (1949–1966):
- 1949년: 이민 장관 홀트는 800명의 비유럽인 난민의 체류를 허가하고 일본인 전쟁 신부의 입국을 허용했다.[52]
- 1950년: 외무장관 퍼시 스펜더는 콜롬보 계획을 시작하여 아시아 국가 출신 학생들이 호주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했지만, 더 많은 학생들이 사적으로 후원받는 학생으로 왔다.
- 1957년: 호주에 15년 이상 거주한 비유럽인들은 시민이 될 수 있었다.
- 1958년: 1958년 이민법은 독촉 시험을 폐지하고 더 간단한 입국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민 장관 알릭 다우너 경은 "뛰어나고 고도로 자격을 갖춘 아시아인"이 이민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 1959년: 호주인들은 아시아 배우자의 시민권을 후원할 수 있게 되었다.
- 1964년: 비유럽계 사람들의 입국 조건이 완화되었다.
이는 1955년 멘지스가 라디오 2UE의 스튜어트 램프와의 토론에서 백호주 정책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4. 3. 백호주의의 종말
1966년 해럴드 홀트 정부는 백호주의 정책 해체를 시작했다.[56] 1966년 3월 이민 정책 검토 후, 허버트 오퍼먼(Hubert Opperman) 이민 장관은 이민 신청을 정착민으로서의 적합성, 통합 능력, 호주에 유용한 자격을 갖춘 사람들을 기준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홀트 정부는 외국 비백인들이 5년 후(유럽인과 동일) 영주권 및 시민권을 취득하고, 가족 상봉(family reunification) 정책에서 차별 조항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1973년 호주 총리(Prime Minister of Australia)로서 휘틀럼 노동당 정부는 백호주의의 포괄적인 법적 종식을 가져왔다.[64] 휘틀럼 정부(Whitlam Labor government)는 이민법의 인종적 측면 시행을 막는 수정안을 시행했다.[42] 주요 수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이민자는 출신에 관계없이 3년의 영주권 거주 후 시민권을 취득할 자격이 있도록 법으로 규정했다.
- 이민과 인종과 관련된 모든 국제 협약을 비준했다.
- 이민자 선발에 있어 인종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책을 발표했다.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은 어떠한 공식적인 목적으로든 인종적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프레이저 정부(Fraser Liberal government)가 1978년 이민법을 검토하기 전까지는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한 모든 잠재적 이민자 선발이 공식 정책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1972년에 탄생한 고프 휘틀럼 노동당 정부는 급속한 정치 개혁을 실천했는데, 그 일환으로 이민 정책도 크게 전환되었다.[98] 1973년의 「이민법」「오스트레일리아 시민 헌법」개정, 1975년의 「인종차별 금지법」 제정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차별적인 발언이나 위해를 가하는 행위[105], 그리고 이주 절차, 이민자의 국내 생활·교육·고용과 관련된 모든 인종차별을 금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도 군대를 파병했던 베트남 전쟁 후, 죄책감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베트남 난민을 다수 수용하는 등 아시아 출신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내걸게 되었다.
5. 백호주의 정책 이후의 호주
1973년 휘틀럼 노동당 정부(Whitlam Labor government)는 이민법의 인종적 측면 시행을 막는 일련의 수정안을 시행했다.[42]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이민자는 출신에 관계없이 3년의 영주권 거주 후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정했다.
- 이민과 인종과 관련된 모든 국제 협약을 비준했다.
- 이민자 선발에 있어 인종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책을 발표했다.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Racial Discrimination Act 1975)》은 어떠한 공식적인 목적으로든 인종적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64] 프레이저 정부(Fraser Liberal government)가 1978년 이민법을 검토하기 전까지는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한 모든 잠재적 이민자 선발이 공식 정책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1972년 고프 휘트램 노동당 정부는 급속한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이민 정책도 크게 전환했다.[98] 1973년 「이민법」, 「오스트레일리아 시민 헌법」 개정,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 제정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차별적인 발언이나 위해를 가하는 행위[105], 이주 절차, 이민자의 국내 생활·교육·고용과 관련된 모든 인종차별을 금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트남 전쟁에 군대를 파병한 후, 죄책감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베트남 난민을 다수 수용하는 등 아시아 출신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내걸게 되었다.
현재는 제도적 차별(형식적 차별)은 해소되었고, 21세기 초에는 이민자의 약 40%를 아시아계가 차지하고 있다.[98]
5. 1. 다문화주의 정책
1973년 휘틀럼 노동당 정부(Whitlam Labor government)는 이민법의 인종적 측면 시행을 막는 일련의 수정안을 시행했다.[42]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이민자는 출신에 관계없이 3년의 영주권 거주 후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정했다.
- 이민과 인종과 관련된 모든 국제 협약을 비준했다.
- 이민자 선발에 있어 인종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책을 발표했다.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Racial Discrimination Act 1975)》은 어떠한 공식적인 목적으로든 인종적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프레이저 정부(Fraser Liberal government)가 1978년 이민법을 검토하기 전까지는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한 모든 잠재적 이민자 선발이 공식 정책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1981년 이민 장관은 이란인들이 호주에서 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특별 인도주의 지원 프로그램(SHP)을 발표했고, 1988년까지 약 2,500명의 바하이교(Baháʼí Faith) 신자와 더 많은 사람들이 SHP 또는 난민 프로그램을 통해 호주에 도착했다.[50] 영국 국민에게 이주 지원을 제공하는 마지막 선택적 이민 정책은 1982년에 최종적으로 제거되었다.[65]
1972년 고프 휘트램 노동당 정부는 급속한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이민 정책도 크게 전환했다.[98] 1973년 「이민법」, 「오스트레일리아 시민 헌법」 개정, 1975년 「인종차별 금지법」 제정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차별적인 발언이나 위해를 가하는 행위[105], 이주 절차, 이민자의 국내 생활·교육·고용과 관련된 모든 인종차별을 금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트남 전쟁에 군대를 파병한 후, 죄책감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베트남 난민을 다수 수용하는 등 아시아 출신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내걸게 되었다.
현재는 제도적 차별(형식적 차별)은 해소되었고, 21세기 초에는 이민자의 약 40%를 아시아계가 차지하고 있다.[98]
5. 2. 현대 호주의 인구 구성
2019년 기준 호주는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큰 이민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구의 34%가 이민자로 구성되어 1천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다른 어떤 국가보다도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68][69] 2017-18년에는 162,417명의 영주권 이민자가 호주에 입국했다.[70] 대부분의 이민자는 기술 이민자이지만,[71] 이민 할당량에는 가족 구성원과 난민을 위한 범주도 포함된다.[71] 2018년 가장 큰 5개 이민 그룹은 잉글랜드(4%), 중국 본토(2.6%), 인도(2.4%), 뉴질랜드(2.3%), 필리핀(1.1%) 출신이었다.[68]2016년 호주 인구 조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조상은 다음과 같다.[72][73]
순위 | 조상 | 비율(%) |
---|---|---|
1 | 영국계 | 36.1 |
2 | 호주인 | 33.5{{lang|en|호주 통계청은 "호주인"을 조상으로 지정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앵글로-켈트계 그룹에 속한다고 밝혔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