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포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포나는 로마 시대에 숭배된 켈트 신화의 여신으로, 말과 관련되어 기원전 200년경부터 숭배가 시작되었다. 골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말'을 의미하며, 로마 제국 전역으로 숭배가 확산되었다. 에포나는 기병의 보호신으로 여겨졌으며, 황제 숭배에도 통합되었다. 조각상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며, '황금 당나귀' 등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오늘날에도 신드루이드교와 현대 이교도들에게 숭배되며, 미국 매키노 섬에서는 매년 에포나를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

2. 어원 및 기원

에포나(Epona)라는 이름은 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추정되는 원시 켈트어 *''ekʷos'' ('말')에서 파생되었다.[5] 이는 현대 웨일스어 ''ebol'' ('망아지'), 신명에서 발견되는 증대 접미사 ''-on'' (시로나, 마트로나 등), 그리고 일반적인 골어 여성 단수 ''-a''에서 기인한다.[6] 파우사니아스의 언급에 따르면,[7] 고대 데메테르 에리니스(복수의 데메테르)는 암말이었으며, 포세이돈에게 올라타 아리온과 을 낳았다.[8] 데메테르는 아르카디아 리코수라에서 암말로 숭배되었다.

2. 1. 어원

에포나(Epona)라는 이름은 로마 시대에만 알려져 있지만, 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추정되는 원시 켈트어 *''ekʷos'' '말'에서 파생되었다.[5] 이는 현대 웨일스어 ''ebol'' '망아지'와 많은 경우 신명에서 발견되는 증대 접미사 ''-on'' (예: 시로나, 마트로나) 그리고 일반적인 골어 여성 단수 ''-a''에서 기인한다.[6] 파우사니아스의 언급에 보존된 에피소드에서[7] 고대 데메테르 에리니스(복수의 데메테르) 또한 위대한 암말이었으며, 수컷 말의 모습으로 포세이돈에게 올라타 아리온과 을 낳았는데, 딸은 아르카디아의 비밀 밖에서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다.[8] 데메테르는 역사 시대까지 아르카디아의 리코수라에서 암말로 숭배되었다.

2. 2. 켈트 신화에서의 기원

에포나(Epona)라는 이름은 로마 시대에만 알려져 있지만, 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추정되는 원시 켈트어 *''ekʷos'' '말'에서 파생되었다.[5] 이는 현대 웨일스어 ''ebol'' '망아지'와 많은 경우 신명에서 발견되는 증대 접미사 ''-on'' (예: 시로나, 마트로나) 그리고 일반적인 골어 여성 단수 ''-a''에서 기인한다.[6] 파우사니아스의 언급에 보존된 에피소드에서[7] 고대 데메테르 에리니스(복수의 데메테르) 또한 위대한 암말이었으며, 수컷 말의 모습으로 포세이돈에게 올라타 아리온과 을 낳았는데, 딸은 아르카디아의 비밀 밖에서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다.[8] 데메테르는 역사 시대까지 아르카디아의 리코수라에서 암말로 숭배되었다.

3. 숭배와 확산

기원후 200년경 독일 쾨닝겐에서 온 에포나와 그녀의 말들


에포나 숭배는 지역을 넘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골어에서 유래한 이름이지만, 에포나에게 바쳐진 비문들은 라틴어나 드물게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 비문들은 켈트족뿐만 아니라 고대 게르만족, 로마인 등 로마 제국의 다양한 민족들이 만들었다.

에포나 숭배는 특히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판노니아 지역에서 모집된 보조 기병대와 황실 기마 근위대를 통해 널리 퍼졌다. 로마의 라테라노에서는 켈트족, 로마족, 게르만족의 신들과 함께 에포나에게 바쳐진 헌정물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에포나는 스페인 북부 칸타브리아 지역에서는 '''에판'''이라는 이름으로, 포르투갈에서는 '''익코나 로이민나'''라는 이름으로도 숭배되었다.[17]

3. 1. 로마 제국에서의 숭배

페르낭 베누아는 다뉴브 지방에서 에포나 숭배의 초기 증거를 발견하고, 동쪽의 기마병들이 골의 리메스에 도입했다고 주장했으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9] 에포나에 대한 헌정 비문은 라틴어그리스어로 되어 있으며, 켈트족, 고대 게르만족, 로마인 등 로마 제국 내 다양한 주민들이 남겼다. 독일 마인츠의 비문에서는 헌정자가 시리아인으로 밝혀지기도 했다.[10]

1887년 로마의 롬, 데 죄브르에서 발견된 기원전 1세기의 긴 라틴어 비문은 암말 희생과 솥 봉헌물을 동반했는데, 올름스테드는 이 비문을 통해 에포나를 '사랑스러운 작은 에포나', '말 여신', '강력한 여주인', '선한 여신', '전투의 여신' 등으로 묘사했다. 그러나 이 해석은 다른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마이드는 같은 비문을 낭만적인 분쟁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는 디보나에 대한 기도로 해석했다.[11]

로마 달력에서 에포나의 축일은 12월 18일이었지만,[12] 이는 지역적인 축제였을 수 있다. 에포나는 ''에포나 아우구스타'' 또는 ''에포나 레지나''처럼 황제를 대신하여 간구됨으로써 황제 숭배에 통합되었다.

골에서의 켈트 문명의 자율성은 페르낭 베누아의 뱀 꼬리 악마를 가진 기마병의 장례 상징주의 연구[13]를 통해 더 큰 좌절을 겪었는데, 그는 이것을 죽음에 대한 승리의 주제이자 에포나로 확립했다. 베누아는 기마병을 지중해 연안 주변에 묘사된 대부분의 기마병과 비교했다.

원래 켈트 여신에 대한 인식은 로마의 패권 아래에서 바뀌었으며, 이름만 같았다. 골이 초기 제국 아래에서 로마화되면서 에포나의 주권적 역할은 기병의 보호자로 진화했다.[14] 에포나 숭배는 특히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판노니아에서 모집된 보조 기병, ''알래'', 특히 황실 기마 근위대 (''에퀴테스 싱굴라레스 아우구스티'')에 의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졌다. 로마의 라테라노에서 켈트족, 로마족, 게르만족의 신들에게 에포나와 다른 신들에게 바치는 헌정물이 발견되었다.[15] 그녀의 숭배는 "또한 케른텐과 슈타이어마르크에서도 널리 퍼졌다"고 한다.[16]

'''에판'''으로서 그녀는 스페인 북부 칸타브리아의 베르노리오 산, 팔렌시아에서 증명되었다.[17] '''익코나 로이민나'''로서 포르투갈에서 루시타니아인의 카베수 다스 프라가스 비문에 등장한다.

에포나의 기원에 대한 유헤메리즘적 설명은 플루타르코스에게 귀속되었지만, 현재는 "의사-플루타르코스"로 분류되는 ''파랄렐라 미노라''에 나타난다.

> 풀비우스 스텔루스는 여성을 싫어했고 암말과 교제했는데, 때가 되어 암말은 아름다운 소녀를 낳았고 그들은 그녀를 에포나라고 불렀다. 그녀는 말의 보호와 관련된 여신이다. 따라서 아게실라오스는 그의 ''이탈리아 역사''의 세 번째 책에서 말했다.[18]

이 이야기는 지암바티스타 델라 포르타의 ''마기아 나투랄리스''(1589) 판에서 불쾌한 인간-짐승 결합의 맥락에서 전달되었으며, 플루타르코스의 ''솔론의 생애''를 잘못 인용했다.[19]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말 희생의 기억을 나타낼 수 있으며, 베다의 ''아슈바메다''와 제럴두스 캄브렌시스가 묘사한 아일랜드 의식과 같은 것으로, 둘 다 왕권과 관련이 있다. 켈트 의식에서 왕은 주권의 여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흰 암말과 짝짓기를 한다.[20][21]

3. 2. 숭배의 확산



페르난드 베누아는 다뉴브 지방에서 에포나 숭배의 가장 초기의 증거를 발견했으며, 그녀가 동쪽에서 온 기마병들에 의해 골의 ''리메스''에 도입되었다고 주장했다.[9]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에포나에 대한 헌정 비문은 골어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라틴어 또는 드물게 그리스어로 되어 있다. 그것들은 켈트족뿐만 아니라 고대 게르만족, 로마인, 그리고 로마 제국의 다른 주민들에 의해서도 만들어졌다. 독일 마인츠에서 발견된 에포나에 대한 비문은 헌정자를 시리아인으로 밝히고 있다.[10]

로마 달력에서 에포나의 축일은 이탈리아 기디촐로에서 가져온 소박한 달력에서 12월 18일로 지정되었지만,[12] 이것은 단지 지역적인 축하 행사였을 수도 있다. 그녀는 ''에포나 아우구스타'' 또는 ''에포나 레지나''와 같이 황제를 대신하여 간구함으로써 황제 숭배에 통합되었다.

골에서의 켈트 문명의 자율성은 페르난드 베누아의 연구[13]를 통해 뱀 꼬리(''"anguiforme"'') 악마를 가진 기마병의 장례 상징주의로 인해 더 큰 좌절을 겪었는데, 그는 이것을 죽음에 대한 승리의 주제이자 에포나로 확립했다. 그는 둘 다 에트루리아마그나 그라이키아와의 접촉을 통해 골에 도달한 지중해의 영향을 받은 상징주의의 늦은 발현이라고 여겼다. 베누아는 기마병을 지중해 연안 주변에 묘사된 대부분의 기마병과 비교했다.

원래 켈트 여신에 대한 인식은 로마의 패권 아래에서 바뀌었으며, 이름만 같았다. 골이 초기 제국 아래에서 로마화되면서 에포나의 주권적 역할은 기병의 보호자로 진화했다.[14] 에포나 숭배는 특히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그리고 판노니아에서 모집된 보조 기병, ''알래'', 특히 황실 기마 근위대 또는 ''에퀴테스 싱굴라레스 아우구스티''에 의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졌다. 로마의 라테라노에서 켈트족, 로마족, 게르만족의 신들에게 에포나와 다른 신들에게 바치는 일련의 헌정물이 발견되었다.[15] 그녀의 숭배는 "또한 케른텐과 슈타이어마르크에서도 널리 퍼졌다"고 한다.[16]

'''에판'''으로서 그녀는 스페인 북부 칸타브리아의 베르노리오 산, 팔렌시아에서 증명되었다.[17] '''익코나 로이민나'''로서 포르투갈에서 루시타니아인의 카베수 다스 프라가스 비문에 등장한다.

4. 상징과 도상학



에포나의 조각상은 베누아가 구분한 바와 같이 기마상, 말 앞에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 두 마리의 말 사이에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 포트니아 테론의 방식처럼 말을 길들이는 모습, 상징적인 암말과 망아지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2]

4. 1. 도상의 유형



에포나의 조각상은 베누아가 구분한 바와 같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기마상, 말 앞에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 두 마리의 말 사이에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 ''포트니아 테론''의 방식처럼 말을 길들이는 모습, 그리고 상징적인 암말과 망아지이다.[22]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마상 유형에서는 말을 옆으로 탄 모습이나 (드물게) 말 위에 누워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제국 시대 유형(골 밖에서 더 흔함)에서는 두 마리 이상의 말 또는 망아지에게 둘러싸인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22] 멀리 떨어진 다키아에서는 스테일라 (현재 부다페스트의 세페뮤제티 박물관에 소장)에서 키벨레의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두 마리의 동물 목에 손을 얹은 채 정면으로 왕좌에 앉아 있다. 그녀의 말은 키벨레의 사자를 대체한다.[22]

5. 신화와 문학 속의 에포나

에포나는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에서 마구간 기둥에 있는 소형 신전에 갓 꺾은 장미로 장식된 그녀의 이미지가 언급되며,[23] 유베날리스의 ''풍자''에서는 에포나 숭배와 도상학을 마구간 지역과 연결시켰다.[24] 로마 시대 마구간과 헛간에서 에포나의 작은 이미지가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에서 등장인물 에포닌, 젤다의 전설의 주인공 링크의 말 에포나, 엔야의 1987년 동명의 앨범 수록곡 "에포나",[25] 스위스 포크 메탈 밴드 엘루베이티의 Evocation II: Pantheon 앨범 수록곡 "에포나" 등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에포나가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어핑턴 언덕 비탈에 새겨진 거대한 백마는 기원전 1380~550년경으로 추정되어 에포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수 있다. 패드스토와 마인헤드에서 5월 1일에 행해진 웨스트 컨트리 전통적인 취미의 말 기마 행렬은 에포나 숭배에 깊은 뿌리를 둔 것으로 여겨졌으나,[26] 18세기 이전의 축제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패드스토에서는 축제가 끝날 때 취미의 말을 의례적으로 바다에 담갔다.[27]

영국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의 한 청동상은 "매우 작은" 암말과 수말이 옆에 있고, 앉아 있는 에포나를 묘사한다. 이 조각상에서 에포나는 무릎과 오른손에 든 파테라에 과도하게 큰 곡물 이삭을 놓고 있으며, 곡물 이삭은 여신을 향해 머리를 돌린 조랑말의 입에서도 튀어나와 있다. 그녀는 왼팔에 어깨 위로 굽어진 멍에를 들고 있는데, 이는 이 청동 조각상에만 있는 특징이다.[28][29]

마비노기온에 나오는 웨일스 이야기에서 리아논은 흰 말을 타고 나타나며, 남웨일스에서는 마리 루이드(회색 암말)라고 불리는 민속 의식이 12월에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하위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간략하게 수정)

5. 1. 플루타르코스의 기록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플루타르코스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2. 웨일스 신화와의 관련성

마비노기온에 나오는 웨일스 이야기에서 리아논은 흰 말을 타고 나타나는데, 그 느리고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는 아무리 쫓아가도 따라잡을 수 없다. 리아논은 자식들을 죽였다는 누명을 쓰고 7년 동안 말처럼 행동하며 여행자들을 궁정까지 데려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벌을 받는다.[30] 또한 당나귀 멍에를 쓰기도 한다. 리아논과 바다의 신(로마 신화의 포세이돈, 말과 바다의 신)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은 때때로 암말과 망아지로 묘사된다.[30] 로널드 허튼은 에포나와 리아논의 연관성에 대해 회의적인데, 리아논은 훨씬 후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인물이며, 현재는 사라진 구전 전통에 기반했을 수도 있다고 본다.[31] 남웨일스에서는 마리 루이드(회색 암말)라고 불리는 민속 의식이 12월에 여전히 행해지고 있는데, 일부 민속학자들은 이 역시 에포나 숭배의 잔재라고 보지만, 이 관행의 연대, 기원, 목적을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는 없다.

5. 3. 문학과 예술에서의 등장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에는 마구간 기둥에 갓 꺾은 장미로 장식된 소형 신전 속 에포나의 이미지가 언급된다.[23] 유베날리스는 그의 ''풍자''에서 에포나 숭배와 도상학을 마구간 지역과 연결시켰다.[24] 로마 시대 마구간과 헛간에서는 에포나의 작은 이미지가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에서는 등장인물 에포닌의 이름을 통해 에포나가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젤다의 전설 프랜차이즈에서 주인공 링크의 말은 에포나로 이름 붙여졌다. 이 말은 항상 흰 갈기를 가진 갈색 또는 밤색 암말로 묘사된다.

엔야의 1987년 동명의 앨범에는 BBC 다큐멘터리 ''켈트족''의 사운드트랙 중 하나로 "에포나"라는 트랙이 수록되어 있다.[25]

2017년, 스위스 포크 메탈 밴드 엘루베이티는 그들의 Evocation II: Pantheon 앨범에서 여신을 찬양하는 골어(Gaulish) 노래 "에포나"를 발매했다.

6. 현대의 에포나

에포나는 오늘날에도 신드루이드교[34]와 다른 현대 이교도 및 다신교 신자들에게 숭배받고 있다.[35] 미시간 주 매키노 섬에서는 매년 6월에 마구간 투어, 동물 축복식, 에포나와 바커스 퍼레이드를 통해 에포나를 기념한다. 매키노 섬은 개인 자가용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며, 주요 교통 수단은 말로 남아있으므로, 에포나를 기념하는 것은 이 북부 중서부 섬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32] "에포나 축제"에는 지역 교회 목사가 말과 다른 동물들을 축복하는 행사가 포함된다.[33]

6. 1. 현대의 숭배

미시간 주 매키노 섬에서는 매년 6월에 마구간 투어, 동물 축복식, 에포나와 바커스 퍼레이드를 통해 에포나를 기념한다. 매키노 섬은 개인 자가용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며, 주요 교통 수단은 말로 남아있으므로, 에포나를 기념하는 것은 이 북부 중서부 섬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32] "에포나 축제"에는 지역 교회 목사가 말과 다른 동물들을 축복하는 행사가 포함된다.[33]

에포나는 오늘날에도 신드루이드교[34]와 다른 현대 이교도 및 다신교 신자들에게 숭배받고 있다.[35]

6. 2. 축제와 기념

미시간 주 매키노 섬에서는 매년 6월에 마구간 투어, 동물 축복식, 에포나와 바커스 퍼레이드를 통해 에포나를 기념한다. 매키노 섬은 개인 자가용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며, 주요 교통 수단은 말로 남아있으므로, 에포나를 기념하는 것은 이 북부 중서부 섬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32] "에포나 축제"에는 지역 교회 목사가 말과 다른 동물들을 축복하는 행사가 포함된다.[33]

참조

[1] 논문 Épona Revue archéologique 1895
[2] 간행물 Mélanges linguistiques offerts à M. J.Vendryes 1925
[3] 논문 reviewing Réne Magnen, Epona, Déesse Gauloise des Chevaux, Protectrice des Cavaliers in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958-07
[4] 서적 The Ancient World of the Celts Constable & Robinson
[5] 문서 Compare Latin equus, Greek hippos
[6] 문서 Delamarre 2003
[7] 웹사이트 Pausanias, viii.25.5, 37.1 and 42.1 http://www.theoi.com[...]
[8]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9] 서적 Les mythes de l'outre-tombe. Le cavalier à l'anguipède et l'écuyère Épona Latomus Revue d'études latines, Brussels
[10] 문서 CIL 13, 11801
[11] 서적 Gaulois et celtique continental Librairie Droz
[12] 문서 Vaillant 1951
[13] 문서 Benoît 1950
[14] 문서 Oaks 1986
[15] 문서 Spiedel 1994
[16] 논문 The Horse As a Cosmological Creature in the Slovene Mythopoetic Heritage https://doi.org/10.3[...] Studia Mythologica Slavica 1998-05
[17] 문서 Simón
[18] 웹사이트 Parallela Minora https://penelope.uch[...]
[19] 웹사이트 Magia naturalis, sive De miraculis rerum naturalium https://books.google[...]
[20]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Horse Goddess, in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22] 문서 Nantonos 2004
[23] 문서 respicio pilae mediae, quae stabuli trabes sustinebat, in ipso fere meditullio Eponae deae simulacrum residens aediculae, quod accurate corollis roseis equidem recentibus fuerat ornatum.
[24] 문서 Satire VIII
[25] 웹사이트 Enya https://www.discogs.[...]
[26] 논문 Tertullian and Horse-Cults in Britain Folklore 1950-03
[27] 웹사이트 West Country hobby-horses and cognate customs https://sanhs.org/wp[...] Proceedings of the Somerset Archa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Society 1931
[28] 논문 A Roman Bronze Statuette of Epona The British Museum Quarterly 1971
[29] 문서 Identified as a yoke by Catherine Johns 1971
[30] 서적 The Mabinogi and Other Medieval Welsh Ta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서적 Pagan Britain Yale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Mackinac Island Lilac Festival
[33] 웹사이트 Animals Are Blessed During Feast of Epona http://www.mackinaci[...] 2015-06-29
[34] 웹사이트 Epona http://www.druidry.o[...] Order of Bards Ovates & Druids 2015-06-29
[35] 서적 Celtic Wicca: Ancient Wisdom for the 21st Century Citadel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