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본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본주의는 농업을 사회의 근본으로 보고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상이다. 고대 중국에서 식량 확보의 중요성으로 인해 농본사상이 발달했으며, 제퍼슨 민주주의는 농민을 공화국의 기반으로 이상화했다. 농업 사회주의는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을 사회주의로 대체하려는 반자본주의적 농본주의 형태로, 멕시코의 사파타와 마오쩌둥의 중국에서 나타났다.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과 하방 운동을 통해 농촌 중심 사회를 건설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는 이를 모방하여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현대 사회에서 농본주의는 제한적인 경제 규모, 단순한 삶, 지구의 재화에 집중하는 철학으로 재조명되고 있으며, 농업과 농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들이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본주의 - 중농주의
중농주의는 18세기 프랑스에서 농업을 부의 원천이자 경제 발전의 기반으로 보는 경제 사상으로, 프랑수아 케네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경제 활동, 삼계급 구분, 농업 잉여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고전학파 경제학과 사회주의 경제학에 영향을 미쳤다. - 농본주의 - 경제표
경제표는 프랑수아 케네가 제시한 경제 모형으로, 지주, 생산 계급, 불임 계급 간의 생산과 현금 흐름을 분석하며,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중농주의적 시각을 반영한다. - 중국의 경제사상사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 중국의 경제사상사 - 농가
농가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중 농업을 인간 사회의 근본으로 보고 농업 생산을 장려한 사상으로, 신농을 이상으로 삼아 자급자족 사회를 지향하며 봉건 지주와 상인의 이윤 추구를 비판했고, 진나라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농업 정책과 철학, 유럽 중농주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농본주의 | |
---|---|
지도 정보 | |
정의 | |
정의 | 농업과 농촌 사회를 중시하는 철학 또는 이데올로기이다. |
관련 개념 | 지주제 농업 사회 농촌 사회 |
특징 | |
핵심 가치 | 농업을 경제 및 사회의 근본으로 간주한다. |
주요 주장 | 농업 종사자의 도덕적 우월성 소규모 자작농의 중요성 농촌 공동체의 가치 |
역사적 배경 | 산업화와 도시화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
역사 및 발전 | |
고대 |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농업 중시 사상 |
중세 | 중세 유럽의 농노제와 농촌 중심 사회 |
근대 | 산업혁명 이후 농촌 공동체의 몰락에 대한 반발 |
현대 | 지역주의, 환경주의와 결합하여 발전 |
주요 사상가 | |
서양 | 토머스 제퍼슨 알베르트 슈바이처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웬델 베리 |
동양 | 맹자 허균 안창호 |
영향 | |
정치 | 농민 운동, 농업 보호 정책 |
경제 | 자급자족 경제, 농업 기술 발전 |
사회 | 지역 공동체 강화, 환경 보호 운동 |
비판 | |
비판 |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비판 농업 중심 사회의 비효율성 지적 |
대안 | 지속 가능한 농업 균형 잡힌 산업 발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농본주의 콜린스 사전 - 농업의 메리엄-웹스터 사전 - 농본주의 |
2. 역사
농업주의의 철학적 뿌리는 유럽과 중국의 철학자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농업 생산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식량 확보가 국가의 중요한 과제였으며, 농업을 중시하는 농본사상이 발달했다. 이러한 사상은 법가, 농가 등에서 주장되었으며, 중국과 주변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7] 에도 시대에는 상업을 통제하여 물가를 안정시키고, 과도한 이익을 억제하기 위한 검약령을 발표하기도 했다.
농본주의에서 "본(本)"은 농업 종사자와 생활 필수품을 생산하는 수공업을, "말(末)"은 사치스러운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상공업자를 가리킨다. 이는 상업 활동으로 재산을 얻은 이들이 토지를 병합하고 정치적, 군사적 힘을 갖추면서 왕조를 위협하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중농주의와 농본사상은 종종 유사성이 지적되는데, 18세기 예수회 선교사를 통해 중국 사상이 유럽에 소개되면서 프랑수아 케네가 자신의 이상을 중화제국에서 찾고 농업 정책을 칭찬했기 때문이다.[54] 그러나 중농주의가 농업을 "부의 원천"으로 경제학적으로 파악한 반면, 농본사상은 "입국의 기초"로서 통치학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5]
2. 1. 제퍼슨 민주주의
토머스 제퍼슨은 농업을 중시하고 농민을 "가장 귀중한 시민"이자 가장 진정한 공화주의자로 여겼다.[9] 제퍼슨과 그의 지지자들은 귀족주의와 부패에 반대하며, 소작농, 농장주,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덕행을 우선시하는 미국 공화주의를 지지했다.[10] 이들은 금융가, 은행가, 산업가들이 도시에 "부패의 온상"을 만든다고 비판하며 농촌의 농민들을 칭송했다.[11]제퍼슨파는 미국의 경제를 산업보다 농업에 더 맞추려고 했다. 제퍼슨은 과도한 산업화가 고용주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임금 노동자 계급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러한 노동자들이 고용주에 의해 투표를 조작당할 수 있어 독립적인 유권자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대응하여 제퍼슨은 누진세와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도입하여 부의 재분배를 추구했다.[12] 1811년 제퍼슨은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러한 세수입은 전적으로 부유층에게 부과될 것입니다... 부유층만이 수입품을 사용하며... 가난한 사람은... 소금에만 세금을 냅니다."라고 설명했다.[13]
2. 2. 농업 사회주의
농업 사회주의는 반자본주의적 성격을 지닌 농본주의의 한 형태로,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을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으로 대체하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식량을 생산하는 농업(本)과 그 생산수단인 토지를 중시하는, 후대의 중농주의와 유사한 주장이 행해졌으며, 이러한 주장은 농본사상(혹은 농본주의)이라 불린다. 이러한 중국 사상은 중국과 주변 국가에서 정치 사상의 중핵으로 발전하여 경제·사회 정책의 하나의 기반이 되었다.농본주의에서 “본(本)”은 농업 종사자와 생활 필수품을 생산하는 수공업의 근본을 가리키고, “말(末)”은 사치스러운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상공업자를 가리킨다.
그 배경으로 중국에서는 상업 활동으로 재산을 얻은 본백성, 상인, 호족들이 토지를 병합하여 토지와 주민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정치적 발언력과 자기 방위를 위한 군사력을 갖추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를 배경으로 불수·불입의 권리를 얻어 군사적·재정적으로 왕조를 위협하는 존재가 되었고, 그들에 의해 토지를 빼앗긴 유민들도 도적 등의 형태로 무장화하여 사회 질서를 파괴하는 존재가 되어, 상하에서 왕조를 전복시킬 만한 압력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 역사를 보면, 다른 나라에 정복당한 경우를 제외하면 많은 왕조가 건국된 지 오래될수록 지주·상인·호족의 토지 병합과 농민의 유민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회 질서가 혼란에 빠지고 왕조가 붕괴하며, 새로운 왕조가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2. 2. 1. 사파티즘
멕시코 혁명의 주요 인물인 에밀리아노 사파타는 토지 소유 계급에 의해 착취당하고 있다고 여긴 멕시코 농민들을 위해 싸웠다. 그는 아야라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계획은 혁명의 일환으로 멕시코의 상당한 토지 개혁과 토지 재분배를 요구하는 것이었다.[15] 사파타는 혁명 과정에서 사망하고 그의 세력은 붕괴되었지만, 그의 정치 사상은 사파티즘의 형태로 계속해서 살아남았다.사파티즘은 신사파티즘의 기반이 되었는데, 이는 사파타 민족 해방군(EZLN)의 이념이다. EZLN은 1994년 멕시코 최남단 치아파스 주에서 등장한 극좌 자유지상주의 사회주의 정치 및 무장 단체이다. EZLN과 신사파티즘은 사파타의 농업 사회주의 운동을 되살리고자 하지만, 토착민 권리에 대한 헌신과 지역 사회 수준의 의사 결정과 같은 새로운 요소와 융합시키고 있다.
운동의 주요 구성원인 마르코스 사령관은 토지에 대한 인민의 집단 소유가 운동이 만들고자 했던 모든 후속 발전의 기반이었다고 주장한다.[15]
2. 2. 2. 마오주의
마오쩌둥주의는 극좌 이데올로기로, 마오쩌둥과 그의 추종자들의 사상으로 농민의 역할을 매우 중시한다. 도시 노동자들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다른 마르크스주의 사상과는 달리, 마오쩌둥주의는 농민을 핵심으로 본다. "총칼에서 정치 권력이 나온다"[16]라는 신념을 가진 마오쩌둥주의는 중국 농민을 마르크스주의 전위의 주요 원천으로 보았는데, 그 이유는 빈곤하고 정치적으로 백지 상태였기 때문이다. 마오쩌둥의 말처럼 "깨끗한 백지는 얼룩이 없으므로, 가장 새롭고 아름다운 글자를 쓸 수 있다."[17] 중국 국공 내전과 중일전쟁 기간 동안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은 군사 전략에서 농민과 농촌 기지를 광범위하게 활용했으며, 종종 도시를 피했다.중국 공산당이 두 전쟁에서 승리한 후에도 농촌과 그 운영 방식은 마오쩌둥의 주요 관심사였다. 1958년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을 시작했는데, 이는 사회 및 경제 운동으로 농촌 중국 생활의 여러 측면을 변화시켰다. 의무적인 집단 농업을 도입하고 농민들을 인민 공사로 알려진 공동 생활 단위로 조직화했다. 평균 5,000명으로 구성된 이 공사들은 높은 생산 할당량을 충족해야 했고, 농민들은 이 급진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에 적응해야 했다. 공사는 협동조합으로 운영되었으며, 임금과 화폐 대신 노동 점수가 사용되었다. 이 새로운 시스템을 비판한 농민들은 "우익"과 "반혁명분자"로 탄압받았다. 공사를 떠나는 것은 금지되었고 탈출은 어렵거나 불가능했으며, 탈출을 시도한 사람들은 당이 주도하는 공개적인 "투쟁 회의"에 처해 생존이 더욱 위협받았다.[18] 이러한 공개 비판 회의는 종종 농민들을 위협하여 지역 관리들의 명령에 복종하도록 사용되었으며, 공개적인 구타로 변질되는 경우가 많았다.[19]
공사에서는 새로운 농작물 재배 방법을 찾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고, 대규모 관개 시스템 건설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모든 공사는 철강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후방 용광로를 생산하도록 장려되었다. 그러나 반우파 운동 이후 마오쩌둥은 지식인에 대한 대규모 불신을 중국에 심어 놓았고, 따라서 새로운 관개 시스템에 대해서는 종종 엔지니어와 상의하지 않았으며, 훈련받지 않은 농민들에게 폐철로 양질의 강철을 생산하도록 하는 것의 현명함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질문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농작물 실험도 결과를 내지 못했다. 게다가 사대해충 운동이 시작되어 농민들은 농작물 씨앗을 먹는 참새와 다른 야생 조류를 박멸하여 들판을 보호하도록 요청받았다. 해충 조류는 사살되거나 지칠 때까지 착륙하지 못하도록 쫓겨났다. 이 운동은 생태계 재앙으로 이어져 특히 농작물을 먹는 곤충과 같은 해충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결과적으로 포식자의 위험에 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은 모두 효과가 없었지만, 지역 지도자들은 이를 감히 말하지 못하고 할당량을 달성하지 못한 것에 대한 처벌을 피하기 위해 보고서를 조작했다. 많은 경우 그들은 할당량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고 말했고, 결과적으로 중국 국가는 공사 시스템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성공감을 가지게 되었다.[20]
이 모든 것이 1959년에 시작되어 3년 동안 지속되었고, 약 1,500만 명에서 3,000만 명의 중국인이 사망한 중국 대기근으로 이어졌다.[21] 악천후와 국가가 도입한 새로운 실패한 농업 기술의 결합으로 식량이 심각하게 부족해졌다. 1962년 대약진 운동은 종료되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마오쩌둥은 하방 운동을 시작하여 다시 한번 중국 농촌의 삶을 급격히 변화시켰다. 중국 주석 류샤오치는 중국 대기근에 대한 대응으로 도시 청년들을 중국 농촌으로 "보내" 인구 감소를 회복하고 도시의 과밀 현상을 완화하려 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이 관행을 정치적 운동으로 바꾸어, 하방이 특권이 없는 농촌 농민들로부터 배우도록 강요함으로써 청년들의 부르주아적 성향을 제거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실제로는 문화 대혁명 과정에서 통제 불능 상태가 된 홍위병을 억제하려는 공산당의 시도였다. 1970년 중국 도시 인구의 10%가 종종 내몽골의 외딴 농촌 마을로 보내졌다. 중국 대기근의 영향으로 여전히 회복이 더딘 마을에는 신규 이주민을 부양하는 데 필요한 과잉 자원이 없었다. 게다가 소위 "하방 청년"들은 농업 경험이 없었고, 그 결과 농촌의 혹독한 생활 방식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마을에서의 미숙련 노동은 농업 부문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많은 하방 청년들이 농촌에서 사망했다. 청년들의 이주는 원래 영구적인 것으로 의도되었지만, 문화 대혁명이 끝날 무렵 공산당은 양보했고 도시로 돌아갈 능력이 있는 일부 사람들은 돌아갈 수 있었다.[22]
3. 현대적 의의
현대 사회에서 농본주의는 식량 안보, 환경 보전, 농촌 공동체 유지 등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농본주의가 도시 사회보다 농촌 사회의 우월성을, 고용된 노동자보다 독립적인 농부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농업을 이상적인 사회적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삶의 방식으로 본다고 제시한다.[5] 농촌주의는 도시 생활의 복잡성에 비해 더 단순한 농촌 생활의 우월성을 강조한다.
M. 토마스 인지는 농본주의를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으로 정의한다.[6]
- 농업은 완전한 독립과 자급자족을 제공하는 유일한 직업이다.
- 도시 생활, 자본주의, 그리고 기술은 독립성과 존엄성을 파괴하고 악덕과 약점을 조장한다.
- 협동 노동의 동료애를 가진 농촌 공동체는 이상적인 사회의 모델이다.
- 농부는 세계 질서 속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정체성, 역사적 및 종교적 전통에 대한 감각, 구체적인 가족 가치관, 장소, 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심리적, 문화적으로 유익하다." 그들의 삶의 조화는 단편적이고 소외된 현대 사회의 침범을 억제한다.
- 토지의 경작에는 "긍정적인 영성적 선"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경작자는 "명예, 남성다움, 자립심, 용기, 도덕적 청렴성, 환대"의 미덕을 얻는다. 이러한 미덕은 자연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그리고 자연을 통해 하나님과 더 가까운 관계를 맺음으로써 생겨난다. 농부는 혼돈에서 질서를 창조하는 하나님의 모범을 따르기 때문에 축복받았다.
중농주의와 농본주의는 종종 그 유사성이 지적된다. 18세기 예수회 선교사에 의해 중국의 사상이 유럽에 소개되면서(중국학 참조), 케네는 자신의 이상의 구현을 당시의 중화제국에서 찾아내고, 그 농업정책을 칭찬했다(중농주의 경제학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있다[54]). 한편, 중농주의가 농업을 “부의 원천”으로 경제학적으로 파악하고, 후의 고전파 경제학적 사고로 이어지는 데 반해, 농본사상은 “입국의 기초”로서 통치학(경세론)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 간에는 차이가 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 발전한 농본주의(협의의 “농본주의”)도 종종 전근대의 농본사상과 혼연일체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55]. 그러나 농본주의가 자본주의 시대의 산업화를 전제로 하고, 그 속에서 주변화되고 있는 농업의 부흥을 내세우는 데 반해, 전근대의 농본사상은 산업화 이전의 봉건 사회에서 체제의 중추를 이루는 농업·농촌의 유지를 도모하는 사상이므로, 양자 간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
3. 1. 대한민국
한국은 전통적으로 농업을 중시하는 농본주의 사회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농업을 국가의 근본으로 삼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흉작은 식량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근이나 유민 등 사회 불안을 야기할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국가·사회에 있어 식량 확보는 중요한 과제였고, 국가의 존망을 좌우하는 문제였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도 농업은 식량 안보와 농촌 경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귀농, 귀촌 현상이 나타나면서 농업과 농촌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3. 2. 농본주의를 표방하는 정당들
분류:농본주의 정당
4. 비판
농본주의는 현대 산업 사회에서 농업의 비중이 감소하면서 시대착오적인 사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는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55] 농본주의가 지나치게 강조될 경우, 환경 파괴와 농약 사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케네는 예수회 선교사가 소개한 중국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아 중농주의 경제학을 발전시켰다.[54] 그러나 중농주의는 농업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부의 원천"으로 파악한 반면, 농본사상은 통치학적 관점에서 "입국의 기초"로 파악했다는 차이가 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 발전한 농본주의는 산업화를 전제로 농업 부흥을 주장했지만, 전근대의 농본사상은 산업화 이전 봉건 사회에서 농업 유지를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5]
참조
[1]
웹사이트
Agrarianism {{!}} Definition, Ideals, History, & Proponents
https://www.britanni[...]
2023-10-14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agrarian'
https://www.collinsd[...]
2020-04-03
[3]
웹사이트
Agrarianism {{!}} Definition, Ideals, History, & Proponents
https://www.britanni[...]
2023-10-14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agrarianism
https://www.merriam-[...]
2020-04-03
[5]
서적
Sustainability Ethics: 5 Questions
Automatic Press
[6]
웹사이트
Agrarianism in American Literature
http://xroads.virgin[...]
[7]
서적
A companion to world philosophies
Wiley Blackwell
[8]
간행물
Chinese Influences upon the Physiocrats
1938-02-00
[9]
간행물
Agrarian and Agrarianism: A Study in the Use and Abuse of Words
1964-02-00
[10]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A History
[11]
서적
The Peculiar Democracy: Southern Democrats in Peace and Civil War
(추가 정보 필요)
[12]
서적
Becoming Jefferson's People
[13]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Thomas Jefferson to Tadeusz Kosciuszko, 16 April 1811
http://founders.arch[...]
[14]
논문
Where is there consensus among American economic historians? The results of a survey on forty propositions
[15]
서적
The Zapatistas' Dignified Rage: Final Public Speeches of Subcommander Marcos
AK Press
[16]
웹사이트
Quotations From Chairman Mao
http://www.marxists.[...]
Peking Foreign Languages Press
2018-04-01
[17]
논문
Maoism and Marxism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www.jstor.or[...]
[18]
서적
Catastrophe and Contention in Rural China: Mao's Great Leap Forward Famine and the Origins of Righteous Resistance in Da Fo Vill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axton 2008에서 인용)
[20]
서적
Shenfan: The Continuing Revolution in a Chinese Village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1]
서적
Commu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Up to the mountains, down to the villages (1968)
https://web.archive.[...]
2019-04-10
[23]
뉴스
Why the world should not forget Khmer Rouge and the killing fields of Cambodia
https://www.washingt[...]
2014-08-07
[24]
뉴스
Khmer Rouge: Cambodia's years of brutality
https://www.bbc.com/[...]
2018-11-16
[25]
뉴스
2.25 Million Cambodians Are Said to Face Starvation
https://www.nytimes.[...]
1979-08-08
[26]
뉴스
Cambodia: Famine, Fear And Fanaticism
https://www.washingt[...]
1984-07-14
[27]
논문
Historical cleavages or transition mode? Influences on the emerging party systems in Poland, Hungary and Czechoslovakia.
[28]
서적
Virtual Politics Faking Democracy in the Post-Soviet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9]
서적
Central Asia in Focus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azakhstan
The Scarecrow Press
[31]
웹사이트
Kazakhstan: Election results harden opposition
https://www.refworld[...]
2004-09-27
[32]
뉴스
Final Kazakh Election Results Announced
https://www.rferl.or[...]
Reuters/AFP
2004-10-05
[33]
뉴스
Ruling Party Gets Even Bigger
https://www.rferl.or[...]
2006-12-22
[34]
웹사이트
Political Parties Present Their Platforms Ahead of Majilis Election
https://astanatimes.[...]
2020-12-09
[35]
웹사이트
Closer Look at Kazakh Political Parties as They Prepare to Campaign
https://astanatimes.[...]
2023-02-10
[36]
웹사이트
Kazakhstan: Ruling Amanat dominates campaign, remains clear favourite
https://tellimer.com[...]
2023-03-14
[37]
웹사이트
Kazakhstan: Tokayev wins election with ease amid general apathy
https://eurasianet.o[...]
2022-11-21
[38]
웹사이트
Six political parties admitted to Majilis
https://www.inform.k[...]
2023-03-27
[39]
웹사이트
Партия туралы
https://auyl.kz/menu[...]
2023-07-03
[40]
웹사이트
Children, pigs and cows — how PiS is winning the rural vote
https://www.politico[...]
2019-10-07
[41]
웹사이트
Ukraine election: What to look for
https://www.bbc.co.u[...]
BBC News
2014-10-24
[42]
간행물
The Communist Party May Be on Its Last Legs, But Social Populism is Still Alive
http://ukrainianweek[...]
The Ukrainian Week
2014-10-23
[43]
뉴스
With Stunts and Vigilante Escapades, a Populist Gains Ground in Ukrain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0-25
[44]
서적
Modern Australia in Documents: 1901 – 1939
[45]
간행물
Countrymindedness Revisited
http://apsa2000.anu.[...]
Australi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46]
서적
The Politics of Equality: New Zealand's Adventures in Democracy
https://books.google[...]
U. of Chicago Press
[47]
서적
Paradise Reforged: A history of the New Zealanders
[48]
간행물
'Busting Up' the Greatest Estate of All: Liberal Maori Land Policy, 1891–1911
http://www.nzjh.auck[...]
[49]
학술지
Why Is There No Labor Party in the United States? Political Articulation and the Canadian Comparison, 1932 to 1948
https://www.jstor.or[...]
2016-06
[50]
서적
When Sunflowers Bloomed Red: Kansas and the Rise of Socialism in Americ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1]
서적
Agrarian Socialism in America : Marx, Jefferson, and Jesus in the Oklahoma Countryside, 1904–1920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2]
학술지
Agrarian Radicals and Their Opponents: Political Conflict in Southern Oklahoma
1971
[53]
서적
New Pioneers: The Back-to-the-Land Movement and the Search for a Sustainable Futur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54]
간행물
Wu-Wei in Europe. A Study of Eurasian Economic Thought
http://eprints.lse.a[...]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05-03
[55]
백과사전
국史大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