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열린 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열린 사회는 칼 포퍼가 제시한 개념으로, 개인의 자유와 비판적 사고를 중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포퍼는 고대 그리스에서 열린 사회의 맹아가 시작되었으며, 개인주의, 비판, 인도주의 사상이 닫힌 사회로의 회귀를 어렵게 만든다고 보았다. 열린 사회는 인도주의, 평등주의, 언론의 자유, 정치적 자유를 전제 조건으로 하며, 아테네 민주주의가 그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로 제시된다. 포퍼는 열린 사회를 민주주의, 자본주의와 동일시하지 않고, 개인의 비판적인 사고방식과 동일시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열린 사회가 자본주의적 세계화를 통해 신제국주의를 초래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리 베르그손 - 에두아르 르루아
    에두아르 르루아는 앙리 베르그송의 영향을 받아 과학적 진리의 상대성을 강조하고 과학과 종교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주장한 프랑스의 철학자이다.
  • 사회 개념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사회 개념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자유주의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자유주의 - 자유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한 대의 민주주의 체제로, 선거로 선출된 대표가 권력을 행사하며 입헌주의에 따라 기본권이 보장되지만, 다수의 횡포나 금권 정치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열린 사회
개요
정의개인의 자유와 비판적 이성을 옹호하는 정치 철학 개념
기원앙리 베르그송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1932)
특징지속적 개선 가능성
다양한 견해 존중
권위주의적 통제 거부
개인의 자유와 권리 옹호
비판적 사고 장려
역사적 배경
앙리 베르그송사회를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로 구분
열린 사회는 이성, 도덕, 개인주의에 기반
닫힌 사회는 집단주의, 전통, 권위에 기반
칼 포퍼《열린 사회와 그 적들》 (1945)에서 개념 발전
열린 사회는 비판적 사고와 점진적 사회 개혁을 통해 발전
전체주의 이념 비판
조지 소로스열린 사회 재단 설립 (1993)
전 세계적으로 열린 사회 가치 증진
핵심 가치
개인의 자유사상, 표현, 집회, 결사의 자유 보장
법치주의법 앞의 평등, 공정한 절차, 권력 분립
민주주의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시민 참여, 책임 있는 정부
관용다양한 문화, 종교, 견해 존중
인권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보장
시장 경제자유로운 경쟁, 사유 재산권 보호
비판
상대주의적 가치관절대적 가치 기준 부재
사회적 혼란 야기 가능성
공동체 의식 약화개인주의 심화
사회적 연대 저해 가능성
경제적 불평등 심화자유 시장 강조
사회적 약자 보호 미흡
포퓰리즘대중의 지지에 의존
비합리적인 정책 추진 가능성
관련된 단체
열린 사회 재단조지 소로스가 설립
전 세계적으로 열린 사회 가치 증진 활동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 지원

2. 역사

칼 포퍼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부족주의에서 열린 사회로의 느린 전환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덜 개인적인 집단 관계에서 오는 부담에 처음으로 직면하게 되었다고 보았다.[8]

부족주의적이고 집단주의 사회는 자연법과 사회적 관습을 구별하지 않으므로, 개인은 신성하거나 마법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 전통에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이 낮다. 반면 열린 사회의 시작은 자연법과 인위적인 법의 구별, 그리고 도덕적 선택에 대한 개인적 책임감과 책무성의 증가(종교적 신념과 양립 가능)로 특징지어진다.[9]

포퍼는 개인주의, 비판, 인도주의 사상은 한번 인식되면 억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닫힌 사회로의 회귀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10] 동시에 그는 20세기의 전체주의에서 나타나는 "부족주의의 잃어버린 집단 정신"에 대한 지속적인 정서적 매력을 인지했다.[11]

포퍼의 연구 이후 열린 사회가 확산되었지만, 이는 포퍼의 옹호보다는 후기 근대성의 경제적 진보의 역할에 기인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2] 성장 기반 산업 사회는 구성원들에게 문해력, 익명성, 사회적 이동성을 요구하며, 이는 전통 기반 행동과 양립하기 어렵지만, 게오르크 짐멜이 대도시의 정신적 태도를 특징짓는 것으로 본 추상적인 사회적 관계의 확산을 요구한다.[14]

3. 정의

칼 포퍼는 열린 사회를 "개인이 개인적인 결정에 직면하는" 사회로 정의했으며, 이는 "마법적, 부족적 또는 집단주의적 사회"와 대비되는 개념이라고 보았다.[15]

그는 유혈 사태, 혁명 또는 쿠데타 없이 개혁과 지도자 교체를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은 오직 민주주의뿐이라고 여겼다.[16]

4. 특징

인도주의, 평등주의, 언론의 자유, 정치적 자유는 열린 사회가 실현되기 위한 제일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다. 앙리 베르그송이 열린 사회를 정립하기 전에도 이와 비슷한 사회적 현상이 일어났는데, 대표적으로 아테네 민주정의 초기 민주주의에서 현재 정립된 '열린 사회'의 특성이 나타났다.[8]

인도주의, 평등, 정치적 자유는 열린 사회의 근본적인 특징이다. 아테네 민주주의의 정치가 페리클레스는 장례 연설에서 "공직 진출은 능력에 대한 명성에 달려 있으며, 계급적 고려는 능력에 방해받지 않고, 빈곤 또한 길을 막지 않는다. 만약 어떤 사람이 국가를 위해 봉사할 수 있다면, 그의 신분의 모호함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우리가 정부에서 누리는 자유는 우리의 일상 생활에도 확장된다."라고 말했다.[20]

5. 비판적 지식

포퍼의 열린 사회 개념은 정치적이라기보다는 인식론적이다.[17]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을 저술하면서, 사회 과학이 파시즘공산주의의 중요성과 본질을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는데, 이는 이 과학들이 그가 잘못된 인식론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8] 전체주의는 지식이 정치화되도록 강요했고, 이는 비판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전체주의 국가에서 지식이 파괴되는 결과를 낳았다.[18]

지식이 잠정적이고 오류 가능성이 있다는 포퍼의 이론은 사회가 대안적 관점에 열려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열린 사회는 문화적 및 종교 다원주의와 연관되며, 지식은 결코 완성되지 않고 항상 진행 중이므로 항상 개선의 여지가 있다. "우리가 인간으로 남고 싶다면, 열린 사회로 가는 길, 즉 ... 미지의,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곳으로 가는 길밖에 없다."[19]

6. 비판

미국의 철학자이자 억만장자인 헝가리 출신의 조지 소로스는 '열린 사회 협회'를 구성하여 소련 붕괴 이후 동구권 국가에 '열린 사회'를 전파하고 동구권 자본주의화에 앞장섰다. 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열린 사회가 신제국주의를 위한 '다리'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즉, 열린 사회는 자본주의적 세계화를 필연화하면서 결국 신제국주의와 신식민지의 관계를 만들어내는 자본주의적 사회상이라는 것이다.[23]

투자자이자 자선가인 조지 소로스칼 포퍼의 추종자를 자처하며,[24] 프랭크 룬츠, 칼 로브와 같은 보수 정치 전략가들이 현대 광고와 인지 과학에서 차용한 교묘한 속임수를 사용하여 포퍼의 열린 사회에 대한 견해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주장했다.[24] 소로스는 삼권 분립, 언론의 자유, 자유 선거의 필요성 외에도 진실 추구에 대한 헌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24] 그는 정치인들이 대중이 진실을 중요하게 여기고 의도적인 속임수를 쓰는 정치인들을 처벌할 때만 현실을 조작하는 대신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24]

그러나 포퍼는 열린 사회를 민주주의나 자본주의, 또는 자유 방임 경제와 동일시하지 않고, 어떤 종류의 공동체적 집단 사고에 직면한 개인의 비판적인 사고방식과 동일시했다.[25] 포퍼의 사고에서 중요한 측면은 진실이 사라질 수 있다는 개념이다. 비판적인 태도가 진실을 발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참조

[1] 서적 Les Deux Sources de la morale et de la religion https://archive.org/[...] 1937
[2] 서적 Modernity on Endless Trial 1997
[3]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Philosophy 2005
[4] 서적 The Two Sources of Morality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Macmillan 1935
[5]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1966
[6] 서적 Our Times 2008
[7]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One 1945
[8] 서적 1945
[9]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One Routledge 1945
[10]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One Routledge 1945
[11] 서적 1945
[12] 서적
[13] 서적 Nationalism 1997
[14] 서적 The Jameson Reader 2000
[15]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One Routledge 1945
[16] 서적 1945
[17] 간행물 The Age of Fallibility Public Affairs 2006
[18]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Two Routledge 1945
[19] 서적 1945
[2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www.mtholyoke[...]
[2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1991
[22] 서적 1945
[23] 서적 Soros on Soros John Wiley and Sons 1995
[24] 웹사이트 From Karl Popper to Karl Rove – and Back http://www.project-s[...] 2007-11-08
[25] 서적 Popper's Open Society after fifty years 1999
[26] 서적 Les Deux Sources de la morale et de la religion 1937
[27] 서적 Modernity on Endless Trial 1997
[28]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1945
[29] 서적 Our Times 2008
[30]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1945
[31]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Volume One Routledge 1945
[3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www.mtholyok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