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전라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광군은 전라남도 서부 최북단에 위치한 군으로, 동부 산간 지대와 서부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특징으로 한다. 백제의 무시이군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영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여러 행정 구역의 통폐합을 거쳤다. 현재는 영광읍 등 3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지나고 영광군의 농어촌 버스가 운행된다. 주요 관광지로는 내산서원, 백수해안도로, 불갑사 등이 있으며, 조기가 특산물로 유명하다. 또한 한빛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해 있으며, 서울 광진구, 경남 함양군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40년 설치 - 장성군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 고시이현에서 갑성군을 거쳐 장성현으로, 이후 장성도호부를 거쳐 현재의 장성군이 되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사이에 위치하고 백양사, 필암서원, 장성호 등의 관광지가 있다. - 940년 설치 - 안산군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일부를 포함하는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며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안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인천부에 속했다가 경기도로 이관, 일제강점기에 폐지되었으나 안산시 승격으로 그 일부 지역이 안산시로 편입되어 역사적 흔적이 이어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영광군 (전라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광군 |
원어 이름 | 영광군 |
한자 표기 | 靈光郡 |
로마자 표기 | Yeonggwa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Yŏnggwang-gun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호남 |
방언 | 전라 방언 |
면적 | 472.97km² |
인구 (2024년 9월) | 51,688명 |
인구 밀도 | 115.8명/km² |
행정 구역 | 3읍 8면 |
![]() | |
![]() | |
추가 정보 | |
행정 구역 코드 | 46870 |
군목 | 참식나무 |
군화 | 상사화 |
군조 | 괭이갈매기 |
상징 동물 | 참조기 |
웹사이트 | 영광군청 |
정치 | |
군수 | 장세일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
2. 역사
본래 백제의 무시이군(武尸伊郡)이었다. 757년 무령군(武靈郡)으로 개칭하고 고창현(高敞縣), 무송현(茂松縣), 장사현(長沙縣)을 관할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무령군을 영광군으로 개칭하였다. 고창현은 고부군에 편입되고, 갑성군을 장성현(長城縣)으로 강등하여 그 영현인 삼계현(森溪縣)과 함께 영광의 속현이 되고, 압해군의 영현이던 육창현(陸昌縣), 임치현(臨淄縣), 무안군의 영현이던 해제현(海際縣), 함풍현(咸豊縣), 모평현(牟平縣)이 영광의 속현이 되었다. 뒤에 나주의 속현인 압해현이 영광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나주로 환원되었다.
1172년 장성현과 함풍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뒤에 장사현이 주현으로 승격하면서 무송현이 장사에 편입되었다. 1392년 해제현이 함풍현에 편입되었다. 1409년 모평현이 함풍현과 합병하여 함평현이 되었다. 이 해에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남아있던 삼계현, 육창현, 임치현과 대안향(大安鄕)·망운향(望雲鄕)·진량부곡(陳良部曲)·홍농부곡(弘農部曲)·공아부곡(貢牙部曲)이 모두 폐지되었다.
1895년 전주부 영광군, 1896년에 전라남도 영광군이 되었다. 영광이 관할하던 섬들이 신설 지도군에 편입되었다.
: 27면 : 동부면, 서부면, 도내면, 남죽면, 관산면, 금마면, 봉산면, 구수면, 원산면, 염소면, 마산면, 외간면, 마촌면, 묘장면, 황량면, 불갑면, 대안면(옛 대안향), 망운면(옛 망운향), 진량면(옛 진량부곡), 홍농면(옛 홍농부곡), 육창면(옛 육창현),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상 6면은 옛 삼계현)
1906년 망운면이 무안군에,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20면)
1914년 4월 1일 지도군 위도면, 낙월면을 편입하였다.[11] (12면)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영광군 도내면(道內面) 고성리/송정리/계동/외신리 일부/평전리 일부/내오리 일부/외오리 일부/(동부면)명곡리 일부, 용계리 일부/주록리 일부/와진리 일부/(진량면)서당촌 일부/(전라북도 무장군 와공면)지음리 일부, 우평리 일부, 입석리/신대리/도동리/내오리 일부/외오리 일부/외신리 일부/(묘장면)장등 일부 | 영광면 | 계송리, 와룡리, 우평리, 입석리 |
영광군 동부면(東部面) 교촌 일부/고도리 일부, 개정리 일부/동자동 일부, 주만리/단촌/월평리 일부/개정리 일부/언고리 일부/(서부면)옹점 일부/대신리 일부, 덕산리/삼덕리/덕호리/서촌/칠동/신촌/서당리/삼호리/백동/신흥리 일부/(도내면)월곡리 일부/(서부면)궁산리 일부/무곡리, 고도리 일부/비석리 일부/교촌 일부/동자동 일부, 양곡리/신덕동/옥동/평전리 일부/수동 일부/상둔리 일부/서령리 일부/명곡리 일부/(도내면)내오리 일부/외오리 일부/쌍계리, 성동리/입동/연동 일부/(묘장면)흥곡리 일부, 하동리/연동 일부, 대거리/백산리/비석리 일부, 향월리/화동/신흥리 일부/수동 일부/상둔리 일부/(도내면)월곡리 일부, 하지리/서령리 일부/월평리 일부 | 교촌리, 남천리, 단주리, 덕호리, 도동리, 양평리, 연성리, 무령리, 백학리, 신월리, 월평리 | |
영광군 서부면(西部面) 대장동/녹사리 일부/학정리 일부/개신리 일부/(관산면)반월리 일부/금산리 일부, 부곡리/신만동/송림리/창동/호암리 일부/옹점 일부/궁산리 일부/(구수면)하둔리 일부/(동부면)언고리 일부/(관산면)은동, 하라리/개신리 일부/대신리 일부/(관산면)금산리 일부/신평리, 두목동/내남리/신촌/학정리 일부/대천동 일부/외남리 일부/녹사리 일부/(관산면)강변리 | 군서면 | 녹사리, 송림리, 신하리, 학정리 |
영광군 남죽면(南竹面) 월곡리/서당리/가사리/작동/계동/(관산면)가장리/(서부면)만연동/(불갑면)회화리 일부, 내동/종남리/종산리/대리 일부/(관산면)금산리 일부, 남촌/후암리/마읍리 일부/대리 일부/봉암리 일부/(서부면)개신리 일부/덕암리, 장동/청계리/지산리/고참동/만호동/금동/봉암리 일부/마읍리 일부/(관산면)호동 일부/송촌리 일부, 내기리/보라리/(관산면)향등리/반월리 일부/(서부면)월산 일부/학정리 일부 | 가사리, 남죽리, 마읍리, 만금리, 보라리 | |
영광군 관산면(官山面) 외항리/내황리 일부/남계리 일부/성내리 일부/(서부면)후동리 일부/(금마면)풍선리 일부, 한정리/구암리/상소리/하소리/덕산리/신흥리/매산리 일부/성내리 일부/상덕리 일부/(금마면)학동 일부/하대리 일부/죽산리 일부, 만곡리/영동리/신선리/복호리/광산리/송계리/세미리 일부/호암리 일부/내황리 일부, 구산리/신양리/가산리/봉동리/백운리/내방리/수양리/매산리 일부/호동 일부/학산리 일부/(남죽면)봉암리 일부/(서부면)송정리 일부, 덕림리/덕흥리/신대리/답동/학산리 일부/상덕리 일부/송촌리 일부/남계리 일부/(서부면)후동리 일부/송정리 일부 | 남계리, 덕산리, 만곡리, 매산리, 송학리 | |
영광군 봉산면(奉山面) 무동리/대전리/유동/복호리 일부/복재리 일부/사거리 일부/(구수면)평지리, 오성리/칠백리/양마리/마산리/복호리 일부/사거리 일부/반촌리 일부/호곡리 일부/(금마면)신촌리 일부/가장리/복룡리/덕동, 상둔리/중둔리/팔룡리/재백리/(서부면)세미리 일부/(구수면)하둔리 일부/월천리/월계리 | 백수면 | 대전리, 양성리, 장산리 |
영광군 금마면(今麻面) | 논산리, 대신리, 백암리, 상사리, 약수리, 죽사리, 지산리, 천마리, 하사리, 학산리, 홍곡리 | |
영광군 구수면(九水面) | 구수리, 길용리, 천정리 | |
영광군 염소면(鹽所面) | 염산면 | 두우리, 송암리, 야월리 |
영광군 원산면(元山面) | 반안리, 봉남리, 상계리, 신성리, 월흥리, 축동리 | |
영광군 마산면(麻山面) | 군남면 | 동월리, 설매리, 양덕리 |
영광군 외간면(外間面) | 도장리, 동간리, 백양리, 포천리 | |
영광군 육창면(陸昌面) | 남창리, 대덕리, 오동리, 옥슬리, 용암리 | |
영광군 묘장면(畝長面) | 묘량면 | 덕흥리, 삼효리, 영양리, 운당리 |
영광군 황량면(黃良面) | 신천리, 삼학리, 연암리, 월암리 | |
영광군 대안면(大安面) | 대마면 | 복평리, 성산리, 홍교리 |
영광군 마촌면(馬村面) | 남산리, 송죽리, 원흥리, 월산리, 화평리 | |
영광군 진량면(陳良面) | 진량면 | 대덕리, 덕흥리, 법성리, 삼당리, 신장리, 용덕리, 용성리, 월산리, 입암리, 진내리, 화천리, |
영광군 홍농면(弘農面) | 홍농면 | 가곡리, 계마리, 단덕리, 상하리, 성산리, 신석리, 월암리, 진덕리, 칠곡리 |
영광군 불갑면(佛甲面) | 불갑면 | 건무리, 금계리, 녹산리, 모악리, 방마리, 부춘리, 생곡리, 순용리, 쌍운리, 안맹리, 우곡리, 응봉리, 자비리 |
지도군 낙월면(落月面) | 낙월면 | 각이리, 상낙월리, 석만리, 송이리, 신기리, 영외리, 오도리, 월촌리, 임병리, 죽도리, 하낙월리 |
지도군 위도면(蝟島面) | 위도면 | 대리, 상왕등리, 식도리, 정금리, 진리, 차륜리, 치도리, 하왕등리 |
1917년 진량면(陳良面)을 법성면으로, 낙월면(洛月面)을 낙월면(落月面)으로 개칭하였다.[12]
1955년 7월 1일 영광면을 영광읍으로 승격하였다.[13] (1읍 11면)
1963년 위도면을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이관하였다. (1읍 10면)
1967년 5월 6일 낙월면 안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백수면이 백수읍으로 승격하였다.[14] (2읍 9면)
1983년 2월 15일 군남면 오동리, 옥실리가 염산면으로, 군서면 녹사리, 송림리, 신하리, 학정리가 영광읍으로 편입되었다.
:
대통령령 제11027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군남면 오동리, 옥실리 | 염산면 일부 |
군서면 녹사리, 송림리, 신하리, 학정리 | 영광읍 일부 |
1985년 10월 1일 홍농면이 홍농읍으로 승격하였다.[15] (3읍 8면)
1987년 1월 1일 염산면 반안리, 월흥리가 군남면으로, 군서면 보라리 일부(세월마을)를 영광읍 학정리로 편입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본래 백제의 무시이군(武尸伊郡)이었다. 757년 무령군(武靈郡)으로 개칭하고 고창현(高敞縣), 무송현(茂松縣), 장사현(長沙縣)을 관할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무령군을 영광군으로 개칭하였다. 고창현은 고부군에 편입되고, 갑성군을 장성현(長城縣)으로 강등하여 그 영현인 삼계현(森溪縣)과 함께 영광의 속현이 되고, 압해군의 영현이던 육창현(陸昌縣), 임치현(臨淄縣), 무안군의 영현이던 해제현(海際縣), 함풍현(咸豊縣), 모평현(牟平縣)이 영광의 속현이 되었다. 뒤에 나주의 속현인 압해현이 영광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나주로 환원되었다.1172년 장성현과 함풍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뒤에 장사현이 주현으로 승격하면서 무송현이 장사에 편입되었다. 1392년 해제현이 함풍현에 편입되었다. 1409년 모평현이 함풍현과 합병하여 함평현이 되었다. 이 해에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남아있던 삼계현, 육창현, 임치현과 대안향(大安鄕)·망운향(望雲鄕)·진량부곡(陳良部曲)·홍농부곡(弘農部曲)·공아부곡(貢牙部曲)이 모두 폐지되었다.
1895년 전주부 영광군, 1896년에 전라남도 영광군이 되었다. 영광이 관할하던 섬들이 신설 지도군에 편입되었다.
: 27면 : 동부면, 서부면, 도내면, 남죽면, 관산면, 금마면, 봉산면, 구수면, 원산면, 염소면, 마산면, 외간면, 마촌면, 묘장면, 황량면, 불갑면, 대안면(옛 대안향), 망운면(옛 망운향), 진량면(옛 진량부곡), 홍농면(옛 홍농부곡), 육창면(옛 육창현),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상 6면은 옛 삼계현)
1906년 망운면이 무안군에,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20면)
1914년 4월 1일 지도군 위도면, 낙월면을 편입하였다.[11] (12면)
1917년 진량면(陳良面)을 법성면으로, 낙월면(洛月面)을 낙월면(落月面)으로 개칭하였다.[12]
1955년 7월 1일 영광면을 영광읍으로 승격하였다.[13] (1읍 11면)
1963년 위도면을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이관하였다. (1읍 10면)
1967년 5월 6일 낙월면 안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백수면이 백수읍으로 승격하였다.[14] (2읍 9면)
1983년 2월 15일 군남면 오동리, 옥실리가 염산면으로, 군서면 녹사리, 송림리, 신하리, 학정리가 영광읍으로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홍농면이 홍농읍으로 승격하였다.[15] (3읍 8면)
1987년 1월 1일 염산면 반안리, 월흥리가 군남면으로, 군서면 보라리 일부(세월마을)를 영광읍 학정리로 편입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본래 백제의 무시이군(武尸伊郡)이었다. 757년 무령군(武靈郡)으로 개칭하고 고창현(高敞縣), 무송현(茂松縣), 장사현(長沙縣)을 관할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무령군을 영광군으로 개칭하였다. 고창현은 고부군에 편입되고, 갑성군을 장성현(長城縣)으로 강등하여 그 영현인 삼계현(森溪縣)과 함께 영광의 속현이 되고, 압해군의 영현이던 육창현(陸昌縣), 임치현(臨淄縣), 무안군의 영현이던 해제현(海際縣), 함풍현(咸豊縣), 모평현(牟平縣)이 영광의 속현이 되었다. 뒤에 나주의 속현인 압해현이 영광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나주로 환원되었다. 1172년 장성현과 함풍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뒤에 장사현이 주현으로 승격하면서 무송현이 장사에 편입되었다. 1392년 해제현이 함풍현에 편입되었다. 1409년 모평현이 함풍현과 합병하여 함평현이 되었다. 이 해에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남아있던 삼계현, 육창현, 임치현과 대안향(大安鄕)·망운향(望雲鄕)·진량부곡(陳良部曲)·홍농부곡(弘農部曲)·공아부곡(貢牙部曲)이 모두 폐지되었다.1895년 전주부 영광군, 1896년에 전라남도 영광군이 되었다. 영광이 관할하던 섬들이 신설 지도군에 편입되었다. 1906년 망운면이 무안군에,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지도군 위도면, 낙월면을 편입하였다. 1917년 진량면(陳良面)을 법성면으로, 낙월면(洛月面)을 낙월면(落月面)으로 개칭하였다. 1955년 7월 1일 영광면을 영광읍으로 승격하였다. 1963년 위도면을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이관하였다. 1967년 5월 6일 낙월면 안마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백수면이 백수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 2월 15일 군남면 오동리, 옥실리가 염산면으로, 군서면 녹사리, 송림리, 신하리, 학정리가 영광읍으로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홍농면이 홍농읍으로 승격하였다. 1987년 1월 1일 염산면 반안리, 월흥리가 군남면으로, 군서면 보라리 일부(세월마을)를 영광읍 학정리로 편입되었다.
3. 지리
영광군은 전라남도 서부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부 산간 지대와 서부 평야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해 있다. 동쪽으로 장성군과 접경을 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함평군이 있다.[16]
여름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며, 겨울은 대륙성 기후로 한랭건조하다. 일조시간이 길어 농작물 생산에 적합하고, 바람이 강하고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다.[16]
4. 행정 구역
영광군의 행정 구역은 3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광군의 면적은 473.69km2이며,[16][17]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6,267명, 26,070세대이다.[18]
읍면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영광읍 | 靈光邑 | 46.18 | 22,117 | 9,183 |
백수읍 | 白岫邑 | 86.5 | 5,269 | 2,651 |
홍농읍 | 弘農邑 | 38.07 | 7,654 | 3,414 |
법성면 | 法聖面 | 34.78 | 5,894 | 2,819 |
대마면 | 大馬面 | 35.1 | 1,797 | 942 |
묘량면 | 畝良面 | 44.72 | 1,927 | 980 |
불갑면 | 佛甲面 | 37.0 | 1,441 | 718 |
군서면 | 郡西面 | 25.92 | 2,549 | 1,238 |
군남면 | 郡南面 | 48.81 | 2,584 | 1,388 |
염산면 | 鹽山面 | 65.03 | 4,420 | 2,357 |
낙월면 | 落月面 | 12.13 | 615 | 380 |
영광군 | 靈光郡 | 473.69 | 56,267 | 26,070 |
5. 인구
영광군 인구 최고치는 1968년의 163,240명이다.[19]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0년 | 142,639명 | |
1966년 | 159,451명 | |
1968년 | 163,240명 | 최대 인구 |
1970년 | 144,921명 | |
1975년 | 142,623명 | |
1980년 | 119,600명 | |
1985년 | 114,097명 | |
1990년 | 85,483명 | |
1995년 | 68,641명 | |
2000년 | 65,529명 | |
2005년 | 60,462명 | |
2010년 | 48,663명 | |
2015년 | 56,267명 | |
2020년 | 53,099명 |
6. 교통
6. 1. 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영광군을 지나며, 영광 나들목과 불갑산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영광군을 통과한다. 지방도로는 지방도 제734호선, 지방도 제805호선, 지방도 제808호선, 지방도 제842호선이 있다. 주요 간선도로로는 동부로가 있으며, 영광대교와 칠산대교 등의 교량이 있다. 백수해안도로는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도로이다.6. 2. 버스
영광군에는 영광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시외버스로는 영광종합버스터미널, 법성포공용터미널, 홍농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영광교통이 이 지역의 버스 운송을 담당하고 있다.7. 관광
내산서원, 백제불교최초도래지, 백수해안도로, 불갑사, 불갑산, 염산기독교인순교지 등이 영광군의 주요 관광지이다.
8. 교육 기관
영광군에는 영산선학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기관이 있다. 고등학교로는 법성고등학교, 영광고등학교, 영광실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영산성지고등학교, 해룡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법성중학교, 법성중학교 안마분교, 성지송학중학교, 영광군남중학교, 영광대마중학교, 영광백수중학교, 영광염산중학교, 영광옥당중학교, 영광중학교, 영광홍농중학교, 해룡중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로는 군남초등학교, 군서초등학교, 대마초등학교, 묘량중앙초등학교, 백수남초등학교, 백수서초등학교, 백수초등학교, 백수초등학교 백수동분교, 법성포초등학교, 법성포초등학교 안마분교, 법성포초등학교 진량분교, 불갑초등학교, 송흥초등학교, 염산초등학교, 염산초등학교 낙월분교, 염산초등학교 야월분교, 영광서초등학교, 영광중앙초등학교, 영광초등학교, 월송초등학교, 홍농서초등학교, 홍농초등학교가 있다.
9. 특산물
영광은 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주요 생산지이며, 한국인들은 이를 선물로 주고받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영광굴비’(말린 조기라는 뜻)로 불리며, 그 인기 때문에 ‘밥도둑’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이 물고기는 고려 시대부터 있었다. 겨울을 보내는 동중국해에서 연평도로 북상하여 해빙기 초에 산란한다. 4월 10일부터 30일 사이에 영광군 법성포 부근 칠산 앞바다에서 북상하며 산란한다.[2]
10. 자매 도시
영광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이들 도시로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경상남도 함양군, 경기도 고양시, 부산광역시 중구가 있다.
11. 출신 인물
12. 기타
한빛 원자력발전소는 1979년에 설립되어 현재 6기의 발전소를 가동 중이며, 완전 가동 능력에 도달했다. 2007년에는 영광 원자력발전소가 이용률 기준 세계 3위를 차지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Yeonggwang county office, English homepage
http://www.yeonggwan[...]
[3]
웹사이트
한국수력원자력(주) - 영광원자력본부 (Korea Hydro & Nuclear Power Plant Company)
http://www.khnp.co.k[...]
2018-05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6]
법률
法律第359号 읍설치에관한법률
1955-06-29
[7]
법률
大統領令第10050号 京畿道始興郡儀旺邑等35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80-10-21
[8]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9]
법률
大統領令第11772号 京畿道楊州郡檜泉邑等の邑の設置と邑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5-09-26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인용
면 명칭 변경 건
http://theme.archive[...]
1917-09-21
[13]
법률
법률 제35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55-06-29
[14]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15]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16]
웹사이트
영광군의 지리적 특징
http://www.yeonggwan[...]
2013-04-30
[17]
웹사이트
영광군 홈페이지 행정구역 안내
http://www.yeonggwan[...]
[18]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3-08
[19]
간행물
인구총주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