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화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榮化, glorification)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의 마지막 단계로, 성도가 죽은 후 또는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영혼과 육체의 구속이 완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신교에서는 좁은 의미로 죽음과 동시에 영혼이 거룩해지는 것을, 넓은 의미로는 부활을 통한 구원의 완성을 뜻한다. 가톨릭, 정교회에서도 영화는 중요한 개념으로, 가톨릭에서는 종말에 하느님의 나라가 완전히 도래하며, 정교회에서는 성인품을 통해 성인을 인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영화는 칭의, 성화에 이은 구원의 완성으로, 썩지 않고 영광스러운 몸을 입고 죄로부터 완전히 구원받아 그리스도와 같은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원 - 구원론
    구원론은 종교와 철학에서 인간이 고통이나 속박에서 벗어나 행복이나 자유를 얻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 불교의 열반, 기독교의 죄로부터의 구원, 힌두교의 모크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며, 종교와 사상에 따라 구원의 주체, 방법,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구원 - 상환
    상환은 종교적 의미에서 죄 또는 속박으로부터의 구원을 뜻하며, 불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된다.
  • 사후 인정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사후 인정 - 묘호
    묘호는 동아시아 왕조에서 군주가 사망 후 종묘에 올리는 칭호로, 시호와 달리 선조의 반열에 올리는 의미를 가지며, '조' 또는 '종'으로 구성되나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질되기도 했다.
  • 종교 활동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종교 활동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영화 (기독교)
영화 정보
영화 예수
영화 《예수》
원제Jesus
감독존 크리쉬와 피터 사익스
각본반 브로턴
제작존 헤이먼
출연브라이언 디컨, 리벳 피터스, 니콜라스 베일리
촬영커티스 클라크
편집존 크리쉬
음악나탄 아비너
제작사인스파라티오날 필름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개봉일1979년 10월 19일
상영 시간117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흥행 수익6천만 달러

2. 영화의 의미

영화는 하나님께서 신자에게 약속하신 구원의 궁극적인 실현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일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근거하며,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과 중보 사역을 절대 신뢰하는 데서 출발한다.[1] (요10:27-29; 롬11:29; 빌1:6)

영화는 구원의 완성, 절정이며, 칭의, 성화 다음으로 기독교 발전의 세 번째 단계이다. (롬 8:28-30)

영화 동안 발생하는 두 가지 사건은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선택된 자들이 완전함을 받는 것"과 "선택된 자들이 부활의 몸을 받는 것"이다.

2. 1. 개신교

개신교에서 영화(榮化)는 좁은 의미로는 성도가 죽는 날에 영혼의 성화가 완성됨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부활하여 영혼과 신체의 구속이 완성됨을 말한다.[1] 영화는 칭의, 성화 다음의 구원의 마지막 단계이다. (롬 8:28-30)

2. 1. 1. 협의의 의미

협의의 의미는 성도가 죽는 날에 영혼의 성화가 완성됨을 말한다.[1] 이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일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근거하며,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과 중보 사역을 절대 신뢰하는 데서 출발한다.[1] (요10:27-29; 롬11:29; 빌1:6)[1]

2. 1. 2. 광의의 의미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성도의 영혼과 육체가 부활하여 영광스러운 몸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구원의 전 과정의 완성으로, 소명, 중생, 칭의, 회심(구원의 과거), 성화(구원의 현재)를 거쳐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단계이다.[17] 영화는 기독교 발전의 세 번째 단계인데, 첫 번째는 칭의, 다음은 성화, 마지막으로 영화이다. (롬 8:28-30) 영화는 구원의 완성, 절정, 완전, 그리고 완전한 실현이다.

2. 2. 가톨릭

가톨릭교회는 "종말에 하느님의 나라는 그 충만함으로 도래할 것이다. 보편적 심판 이후 의로운 자들은 몸과 영혼으로 영광을 받으며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히 다스릴 것이다. 우주 자체가 새롭게 될 것이다. [...] 그리하여 보이는 우주 자체도 변화를 겪도록 운명 지어졌으며, '그래서 세상 자체가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어 더 이상의 장애에 직면하지 않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영광을 나누면서 정의로운 자들을 섬기게 될 것이다.'"라고 가르친다.[1]

가톨릭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영광이라고 불리지 않는 시성 행위는 신학적 의미에서 교회가 아닌 하느님이 영광을 주시기 때문에 라틴 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 모두에서 교황청에 유보되며, 시성 대상자가 모범적이고 거룩한 방식으로 살다가 죽어서 성인으로 인정받을 가치가 있다는 광범위한 증거를 필요로 하는 긴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교회의 공식적인 성인 인정은 그 사람이 현재 천국에 있으며 대중에게 공적으로 간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성은 성인의 이름이 로마 순교록에 기록되고 교회 안에서 보편적으로 그 성인을 공경하도록 하는 법령이다. 전례 안에서의 공경은 개별 전례 의식의 규범에 의해 규정된다. 1년 중 대부분의 평일에는 그 날에 대축일, 축일 또는 의무 기념일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로마 전례는 그 날의 순교록에 기록된 모든 성인의 미사를 거행할 수 있다.[2]

복자는 제한된 지리적 지역이나 수도회와 같은 특정 공동체 내에서 공적 공경을 허용하는 법령이다.[3]

2. 3.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교회의 성인으로 공식 인정하는 것을 "성인품"이라고 부른다.[4][5]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канонизация "성인품" [6]와 прославление "성인 칭호" [7]를 모두 사용한다. [8]

오리엔트 정교회동방 정교회와 비슷한 교리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순교자는 별도의 공식적인 영광 부여가 필요하지 않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자들이 존경하는 그들의 성스러움이 교회에 의해 인정된다.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카레킨 2세는 "아르메니아 교회는 성인을 성화하지 않습니다. 이미 사람들 사이에 널리 알려져 있거나 증거로 나타난 성인 또는 그러한 사람들의 성스러움을 인정합니다."라고 말했다.[9] 이는 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인도 정교회 등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한 다른 교회들의 전통과 같다. 2015년 21명의 콥트교 순교자[10][11]나 1915년 아르메니아인 대학살[12] 희생자들의 영광 부여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굳건한 믿음을 교계 지도자들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3. 영화의 시기

개신교에서는 영화가 성도의 죽음 직후, 또는 그리스도재림과 함께 발생한다고 본다(딛2:13;마22:30).[13] 그리스도의 재림과 심판을 통해 피조 세계 전체가 새로워지며(롬8:20,21;벧전3:12,13), 성도는 부활하여 영광스러운 몸으로 변화되어 변화된 세상에 참여한다(빌3:21).[13] 영혼의 영화는 성화와 달리 점진적인 과정이 아닌, 성령의 순간적인 역사로 이루어진다(눅23:43;고후5:6-8).[13]

영화는 칭의, 성화에 이은 기독교 발전의 세 번째 단계이자(롬 8:28-30), 구원의 완성이다. 영화는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선택된 자들이 완전함을 받는 것"과 "선택된 자들이 부활의 몸을 받는 것" 두 가지 사건을 포함한다.

제리 L. 월스와 제임스 B. 굴드는 이 과정을 연옥의 핵심 또는 성화 관점에 비유했다.[15] "은혜는 용서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변화와 성화, 그리고 마침내 영광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죄스러운 성향을 정화하고 천국에 완전히 갈 준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용서와 의로움 이상이 필요합니다. 연옥은 이 일을 완수하는 데 필요한 만큼, 우리가 필요로 하는 성화 은혜의 연장일 뿐입니다."[16]

칼뱅주의에서 영광은 연옥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대부분의 주요 개신교 단체들은 연옥을 사소한 죄에 지배되었지만 대죄를 범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장소로 여기는 가톨릭 교회의 교리로 본다.

최후의 심판 이후, 모든 의로운 죽은 자들은 부활할 것이며 그들의 몸은 완전해지고 영광스러운 몸이 될 것이다. 오직 그때만이 그들은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C. S. 루이스는 ''영광의 무게''에서 "만약 우리가 그들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본다면, 우리는 굴복하여 그들을 숭배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4. 영화의 모습

영화된 성도는 썩지 않고, 강하며, 죽지 않는 영광스러운 몸을 입는다.[13] 고린도전서 15장 42절, 52절, 53절, 빌립보서 3장 21절은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하늘에 속한 형상을 입으며, 더 이상 사망, 애통, 고통이 없는 상태가 된다고 말한다.[13]

요한계시록 21장 4절은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한다"라고 말한다.

소요리문답 38문에 따르면, 신자는 부활할 때 영광중에 다시 살아나 심판 날에 죄 없다 하심을 받고, 완전히 복을 받아 영원토록 하나님을 즐거워하게 된다.

최후의 심판 이후, 모든 의로운 죽은 자들은 부활하여 완전하고 영광스러운 몸을 얻는다. 그때 그들은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C. S. 루이스는 ''영광의 무게''에서 "만약 우리가 그들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본다면, 우리는 굴복하여 그들을 숭배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4. 1. 개혁주의 신학

개혁주의 신학에서 영화는 칭의, 성화에 이은 구원의 세 번째 단계로 본다.[17] 영화는 구원의 완성, 절정이며, 천국에 들어가기 전 완전함을 받는 것과 부활의 몸을 받는 두 가지 사건이 발생한다.[13]

영화는 죄로부터의 완전한 구원이며, 그리스도와 같은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13] 이는 연옥 교리와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15] 제리 L. 월스와 제임스 B. 굴드는 연옥이 성화의 연장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16] 칼뱅주의에서는 연옥을 인정하지 않고 영화를 통해 완전한 성화가 이루어진다고 본다.

참조

[1]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42, 1047 https://www.vatican.[...]
[2] 웹사이트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355 http://www.liturgyof[...]
[3] 웹사이트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7
[4]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Saints in the Orthodox Church https://www.oca.org/[...] 2016-04-08
[5]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the Saints in the Orthodox Church https://www.oca.org/[...]
[6] 웹사이트 Почему был канонизирован Николай Второй? http://www.pravmir.r[...]
[7] 웹사이트 Прославление святых – это не дело узкого круга специалистов, это дело всей Церкви. http://www.pravmir.r[...]
[8]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Saints http://www.fatherale[...]
[9] 웹사이트 Armenian Apostolic Church to canonize Armenian Genocide victims on April 23 after long interval http://armenpress.am[...] 2015-02-03
[10] 간행물 Christians Mourn Their Relatives Beheaded by ISIS https://time.com/371[...]
[11] 웹사이트 Coptic Church recognises martyrdom of 21 Christians killed by ISIS - CatholicHerald.co.uk http://www.catholich[...] 2015-02-23
[12] 웹사이트 Armenian Church irritates Turkey with plans to canonize genocide victims http://vaticaninside[...]
[13] 웹사이트 Glorification http://www.prca.org/[...]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in America 2019-05-23
[14] 서적 Heaven: The Logic of Eternal Jo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 서적 Practicing Prayer for the Dead: Its Theological Meaning and Spiritual Value https://books.google[...] 2016
[16] 서적 Purgatory: The Logic of Total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2012
[17] 웹사이트 세계사이버신학교 https://www.wcts.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