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숙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리이자 학자이다. 그는 중령장군, 산기상시 등을 역임했으며, 조예가 즉위한 후 난릉후에 봉해졌다. 왕숙은 촉 정벌에 반대하고, 헌제의 시호 문제에 의견을 제시하는 등 정치적 활동을 펼쳤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정현의 학설에 반대하여 논쟁을 벌였으며,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거나 위작했다는 논란이 있다. 그는 예제에 대한 정현의 설을 비판하고, 현실주의적 해석을 선호했으며, 많은 경서에 주석을 달아 실용적인 해석을 제시했다. 사마사 시대에는 동관에서의 패전을 흉조로 판단하고, 관구검·문흠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다. 왕숙은 위장군으로 추증되었고, 경후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년 출생 - 주거 (동오)
    손권 시대 오나라의 인물인 주거는 손노육과의 혼인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나, 이궁의 변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후 복권되었고, 그의 딸은 손휴의 황후가 되었다.
  • 195년 출생 - 조표 (조위)
    조조의 아들이자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조식과 교류하며 문화계에 영향을 미친 조표는 수춘후, 여양공, 익양왕, 오왕, 초왕 등 여러 작위를 받았고 왕릉 조성에 관여했으며, 자결 후 그의 아들 조가가 세력을 확장했고, 현대에는 그의 삶이 결단력, 유연성, 도전 정신, 공동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교훈으로 평가받는다.
  • 동해 왕씨 - 왕랑
    왕랑은 후한 말부터 서진 시대까지 활동하며 하진, 조조 등을 섬기고 조비의 황제 즉위를 도왔으며 조예 대에 사도에 이르고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다.
  • 동해 왕씨 - 왕원희
    왕원희는 삼국시대 위나라 왕숙의 딸이자 진 무제 사마염의 어머니로,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났으며 사마소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고, 사마소가 섭정이 된 후 종회의 위험성을 경고했으며, 사마염이 황제가 된 후 황태후가 되어 검소한 생활을 하다 사마소와 합장되었다.
  • 조위의 역사가 - 하후현
    하후현은 조위의 문신으로, 조예에게 미움을 받기도 했지만 조상의 정권 장악 후 승진했으며, 사마의에게 구품관인법을 비판하고 촉한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여 사마사의 암살을 시도하다 처형당했다.
  • 조위의 역사가 - 황보밀
    황보밀은 삼국시대 위나라 말부터 서진 시대에 걸쳐 활동한 학자이자 저술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며 《침구갑을경》, 《제왕세기》 등의 저서를 남겼고, 특히 《침구갑을경》은 침구학의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왕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왕숙의 초상
이름왕숙
로마자 표기Wang Su
자옹
로마자 표기Jaong
시호경후
작위난릉후
아버지왕랑
배우자양씨
하후씨
자녀왕혼
왕순
왕건
왕개
왕원희
쾌조의 아내
다른 아들 넷
출생195년
사망256년 5월 21일 ~ 257년 1월 31일 사이 (61세)
관직
태상재임 기간 미상 - 256년
하남윤재임 기간 미상
광평태수240년 - 미상
생애
주요 활동조위의 관료, 학자

2. 생애

왕숙은 아버지 왕랑회계태수를 지낼 때[10] 아버지의 임지인 회계에서 태어났다.[9] 18세에 형주송충에게서 양웅의 『태현경』을 배우고 해석을 만들었다.

관리로서 상소하여 시사(時事) · 제도(制度)에 대한 견해를 진술하고 정치활동을 하였으며, 황초 연간에 산기시랑이 되었고, 229년에 산기상시(천자에 봉사하는 중요한 고문관)로 임명되었다. 226년 조예가 즉위하면서 난릉후에 봉해졌다. 230년 조진촉한을 공격하려 할 때, 길의 험난함과 보급의 어려움을 들어 반대했다.[10] 이미 사망한 대신들을 위해 상을 내리고 종묘를 제사 지낼 것을 상소하여 받아들여졌다. 또한, 관직 정리와 고대 의례의 부활을 진술했다.

청룡 연간에 후한의 헌제인 산양공이 사망하자, 왕숙은 "황제"의 "황"과 "제"의 호칭 중 "황"이 조금 가벼운 별칭이라고 하여, 산양공의 시호에 황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예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산양공을 효헌황제로 시호했다.

상시 신분으로 비서감을 맡았고, 숭문관제주를 겸임했다. 경초 연간, 조예가 궁궐 조영에 열중하여 정치가 이완되고 백성들이 피폐해지자, 정치 긴축과 경비 절감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조예가 전한과 후한의 사례를 들어 질문하자, 적절한 답변을 하여 제왕으로서의 마음가짐을 보여주었다.

240년 광평태수가 되었으나 소환되어 의랑에 임명되었다. 잠시 후 시중이 되었고, 태상으로 승진했다. 당시 조상이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고, 하안 등의 측근들이 정치를 마음대로 했지만, 왕숙은 하안 등을 심하게 증오했고, 장제환범에게 불만을 털어놓았다. 이를 들은 조상은 왕숙 등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종묘 제사 문제로 면직되었다가 광록훈으로 복귀했다.

사마사 시대에 무기고 지붕에 두 마리의 물고기가 올라가는 사건이 있었다. 어떤 사람은 이를 길조로 판단했지만, 왕숙은 변방에서의 변사를 의미하는 흉조로 보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동관에서의 패전 보고가 있었다.

하남윤으로 전임했고, 후에 지절·태상이 되었다. 254년 사마사가 조방을 폐위시키고 조모를 새 황제로 옹립할 때, 왕숙이 맞이하는 사신을 맡았다. 이 해에 혜성 또는 오로라가 하늘을 가로지르는 사건이 발생하자, 사마사가 그 이유를 묻자 "동남에서 동란이 발발하겠지만, 덕으로써 인심을 안정시키면, 반란은 곧 평정될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255년 관구검·문흠이 양주에서 반란을 일으키자(관구검·문흠의 난), 사마사에게 예전 관우의 패퇴 예를 들며, 반란군 장병 가족을 확보하고, 반란군의 진출을 저지하면 곧 자멸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사마사는 그의 조언을 따라 반란을 진압했다.

왕숙은 중령군으로 승진하고 산기상시를 더했다. 영읍은 300호가 늘어 합계 2200호를 영했다.

256년에 사망하여 위장군으로 추증되었고, 경후로 시호되었다. 아들 왕윤이 뒤를 이었으나 후계자가 없어 직계가 단절되었다. 263년 왕순이 발탁되어 란령후가 되었다. 선양으로 진이 건국되고 오등작 제도가 정해지자, 왕숙의 생전 공적이 평가되어 왕순이 영현의 자작이 되었다. 『진제공찬』에 따르면, 왕순에게는 8명의 형제가 있었고, 그 중 왕건과 왕개 2명은 출세하여 고관이 되었다고 한다.

왕숙은 예제에 대해 정현의 설에 반대하며, 정현 설을 옹호하는 왕기 등과 논쟁했다. (「왕기전」). 그 때,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록인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았다고 한다. 또한, 이 『공자가어』는 왕숙의 위작이라고도 하며, 처음부터 날조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왕숙이 개찬한 것이라고도 한다. 와타나베 요시히로는, 조위의 선양 정당화의 근거가 된 정현 설을 부정함으로써, 사마씨의 찬탈을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서진에서는 왕숙설이 세력을 떨쳤지만, 이후에는 정현설이 다시 유력해졌다. 최근에는 왕숙설의 재평가도 이루어지고 있다.

3. 사상

왕숙은 당시 학계 일부에서 나타난 양웅(楊雄)의 반신비주의(反神秘主義) 경향에 영향을 받았다. 18세에 송충에게서 《태현경(太玄經)》을 배우고 그 주석서를 지었을 정도였다.[10] 그는 가규(賈逵, 30-101), 마융(馬融, 79-166)과 같이 현실주의적 해석을 선호했으며, 정현의 참위설에 기반한 논리주의적 통일해석을 피했다.

3. 1. 정현과의 논쟁

왕숙은 정현의 참위설에 의거한 논리주의적 통일해석을 피했다. 그는 많은 경서에 주석하여 신비적인 색채를 실용적인 해석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특히 정현의 예학 체계에 반대하여 《성증론》을 저술하였다.[10] 다만, 《공자가어(孔子家語)》를 위작하여 자신의 비판 근거로 삼은 것은 도리어 정현 학설의 강력하고 확고함을 증명한 것이 되었다. 이 정(鄭)·왕(王) 양 학의 논쟁은 6조를 통하여 학술계에 있어 남북의 대립을 야기시켰다.[10]

왕숙은 예제에 대해 정현의 설에 반대하며, 정현 설을 옹호하는 왕기 등과 논쟁했다. 그 때,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록인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았다고 한다. 또한, 이 『공자가어』는 왕숙의 위작이라고도 하며, 처음부터 날조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왕숙이 개찬한 것이라고도 한다. 와타나베 요시히로는 조위의 선양 정당화 근거가 된 정현 설을 부정함으로써, 사마씨의 찬탈을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4. 저작

왕숙은 양웅(楊雄)의 반신비주의를 계승하는 경향이 있었던 당시 학계의 영향을 받아 18세에 송충에게서 《태현경(太玄經)》을 배우고 그 주석서를 지었다.[10] 사상적으로는 가규(賈逵, 30-101), 마융(馬融, 79-166)의 현실주의적 해석을 좋아했고, 정현의 참위설에 의거한 논리주의적 통일해석을 피했다. 많은 경서에 주석하여 신비적인 색채를 실용적인 해석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특히 정현의 예학체계(禮學體系)에 반대하여 《성증론》을 저술하였다. 다만 《공자가어(孔子家語)》를 위작하여 자신의 비판의 근거로 삼은 것은 도리어 정현의 학설의 강력하고 확고함을 증명한 것이 되었다. 이 정(鄭)·왕(王) 양 학의 논쟁은 6조(六朝)를 통하여 학술계에 있어 남북의 대립을 야기시켰다.

예제에 대해 정현의 설에 반대하며, 정현 설을 옹호하는 왕기 등과 논쟁했다. 그 때,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록인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았다고 한다. 또한, 이 『공자가어』는 왕숙의 위작이라고도 하며, 처음부터 날조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왕숙이 개찬한 것이라고도 한다. 와타나베 요시히로는, 조위의 선양 정당화의 근거가 된 정현 설을 부정함으로써, 사마씨의 찬탈을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5. 가계

아버지 왕랑회계태수를 지냈기에,[10] 왕숙은 그 무렵 아버지의 임지인 회계에서 태어났다.[9]

부친은 후한회계 태수를 지냈으며, 회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지 「허정전」이 인용한 왕랑의 편지).

6. 평가

왕숙은 학자이자 정치가로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그는 예제에 대해 정현의 설에 반대하며, 정현 설을 옹호하는 왕기 등과 논쟁했다.[1] 이때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록인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았다고 한다.[1]공자가어』는 왕숙의 위작이라고도 하며, 처음부터 날조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왕숙이 개찬한 것이라고도 한다.[1] 와타나베 요시히로는 조위의 선양 정당화의 근거가 된 정현 설을 부정함으로써, 사마씨의 찬탈을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1]

서진에서는 왕숙설이 세력을 떨쳤지만, 이후에는 정현설이 다시 유력해졌다.[1] 최근에는 왕숙설에 대한 재평가도 이루어지고 있다.[1]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Jin Shu
[3] 서적 Jin Shu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Sanguozhi
[6] 서적 Jin Shu
[7] 서적 Rituals of the Way: The Philosophy of Xunzi Open Court Publishing
[8] 서적 Unearthing the Changes: Recently Discovered Manuscripts of the Yi Jing ( I Ching) and Related Texts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삼국지
[10] 서적 삼국지 진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