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문부는 유게오히의 전통을 계승하여 궁성의 성문 경비를 담당했던 관청이다. 덴표호지 2년 사문위로 개칭되었다가 덴표호지 8년에 다시 문부로 개칭되었으며, 다이토 3년에 좌우 위사부에 합병되어 좌우 위사부로 일원화되었다. 위문부의 직원 구성은 4등관제로 이루어졌으며, 장관, 차관, 판관, 주전 등으로 구성되었다. 고닌 2년 좌우 위사부를 개편하여 좌우위문부로 개칭되었고, 대내리의 외곽 경비를 담당했으나 검비위사청에 임무가 넘어갔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무가에서 위문부 관직을 선호했으며, 주요 임관자로는 사에몬노카미, 우에몬노카미, 사에몬노스케, 우에몬노스케, 사에몬노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장군 - 근위대장
근위대장은 나라, 헤이안 시대 근위부의 장관으로, 좌우 근위부 재편 후 대신이나 대납언이 겸직하는 공경의 관직이 되었으며, 무가 정권 시대에도 임명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특정 가문이 독점하는 경향을 보인 명예로운 지위였다. - 일본의 장군 - 진수부장군
진수부장군은 일본 고대의 군사 관직으로, 무쓰국과 데와국의 방위를 담당했으며, 세이와 겐지 가문에서 대대로 역임하며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으나 가마쿠라 막부 개창 이후 유명무실해졌다. - 일본의 율령관제 - 중납언
중납언은 일본 율령제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이전까지 태정관에서 봉칙, 선지, 奏上을 담당하고 대신과 정무를 논의하던 고위 관직으로, 시대 변화에 따라 임명 조건과 정원이 변동되었으며 일본 정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의 율령관제 - 대납언
대납언은 일본 율령제 하 태정관의 주요 구성원으로, 칙어 전달 및 의견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시대에 따라 위상 변화를 겪다 메이지 시대에 폐지되었지만 율령 정치 유지에 기여했다.
위문부 | |
---|---|
위문부 | |
분류 | 군사 기관 |
개요 | |
일본어 명칭 | 衛門府 (えもんふ) |
로마자 표기 | Emonfu |
영어 명칭 | Office of the Outer Palace Guards |
역할 | 궁궐의 경비 및 경호 담당 |
설치 시기 | 나라 시대 |
폐지 시기 | 메이지 시대 |
상세 내용 | |
소속 | 병부성 |
관장 업무 | 궁궐의 문 경비 및 천황의 경호, 순찰 |
조직 | 좌위문부, 우위문부 |
주요 관직 | 위문독 위문좌 위문위 위문부생 위문사생 위사 |
2. 전기
유게오히(靫負)의 전통을 이어받아 문부를 중심으로 위사도 함께 배정되었다. 궁성의 성문 경비를 담당해 온 씨족이라 하여 문부라 불렸다. 궁문을 지키며 통행하는 자를 검문하는 것이 직무였다. 덴표호지 2년(758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관직명을 당나라 풍으로 바꾸면서 사문위로 개칭했지만,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실각 후인 덴표호지 8년(764년)에 다시 문부로 개칭되었다. 다이토 3년(808년) 7월 22일 좌우 위사부에 합병되어 좌우 위사부로 일원화된다.
2. 1. 직원 구성
유게오히(靫負)의 전통을 이어받아 문부를 중심으로 위사도 함께 배정되었다. 궁성의 성문 경비를 담당해 온 씨족이라 하여 문부라 불렸다. 궁문을 지키며 통행하는 자를 검문하는 것이 직무였다. 덴표호지 2년(758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관직명을 당나라 풍으로 바꾸면서 사문위로 개칭했지만,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실각 후인 덴표호지 8년(764년)에 다시 문부로 개칭되었다. 다이토 3년(808년) 7월 22일 좌우 위사부에 합병되어 좌우 위사부로 일원화된다.위문부의 직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위 | 관위 상당 | 정원 | 비고 |
---|---|---|---|
가미(督) | 정5위상 (엔랴쿠 18년(799년) 4월 27일 종4위하로 승진) | 좌우 각 1명 | 4등관의 장관 |
스케(佐) | 종5위하 (엔랴쿠 18년(799년) 4월 27일 종5위상으로 승진) | 좌우 각 1명 | 4등관의 차관 |
다이이(大尉) · 쇼이(少尉) | 종6위하 · 정7위상 | 좌우 위부 및 위문부 각 2명 | 4등관의 판관(죠) |
다이지(大志) · 쇼지(少志) | 정8위하 · 종8위상 | 좌우 위부 및 위문부 각 2명 | 4등관의 주전(사칸) |
의사 | 정8위하 | ||
문부(門部) | 궁문 수위 | ||
위사 | 궁문 수위 | ||
물부(物部) | 통행인 검찰 | ||
사부 | |||
직정(直丁) |
758년(덴표호지 2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관직명을 당나라 풍으로 바꾸면서 사문위(沙門衛)로 개칭했지만, 764년(덴표호지 8년)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실각한 후 다시 문부(門部)로 개칭되었다. 808년(다이토 3년) 7월 22일 좌우 위사부(衛士府)에 합병되어 좌우 위사부로 통합되었다.
위사부에 병합될 때까지 존재했던 관직으로 하야토사가 있었으며, 이후 병부성으로 이관되었다.
3. 후기
811년 (고닌 2년) 11월 28일 좌우 위사부를 개편하여 좌우위문부(左右衛門府)로 개칭했다. 황궁인 대내리 외곽 중 건춘문, 건례문, 의추문, 삭평문에서 바깥쪽, 양명문, 은부문, 주작문, 위감문 안쪽을 경비하는 직무를 맡았으나, 후대에 검비위사청에게 이 임무를 넘겨주었다. 검비위사청은 처음 위문부 내에 설치되었고, 위문부 관리가 검비위사를 겸임했기 때문이다. 좌위문의 진소(陣所, 본부)는 건춘문에, 우위문의 진소는 의추문에 각각 있었다.
3. 1. 직원 구성
위문부의 직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 밖에 의사(정8위하), 문부(門部), 위사, 물부(物部), 사부, 직정(直丁) 등이 있었다.
4. 무가(武家)의 관위(官位)
가마쿠라 시대 이후 조정의 기능은 유명무실해졌지만, 관직 중에서도 위문부 등의 무관 벼슬은 무가(武家)들로부터 선호받았고 오로지 무가에 주어지게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세 간레이(管領) 가문 가운데 하나인 하타케야마 씨의 당주가 사에몬노카미(左衛門督)에 대대로 임관했기 때문에 하타케야마 집안은 금오가(金吾家)라고도 불렸다. 또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다이묘인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는 주나곤(中納言) 관직과 함께 사에몬노카미를 겸했기 때문에 '금오 주나곤(金吾中納言)'이라 불렸다. 이밖에도 센고쿠 시대에는 일본 각지에 할거 한 센고쿠 다이묘가 사에몬노쇼이(左衛門少尉)를 생략한 사에몬노이(左衛門尉)를 수령명으로 가신에게 주기 시작했고 (사카이 씨에서 다다쓰구를 낸 가계 등) 에도 시대가 되면 무가 관위 제도가 설정되어 더 이상 조정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이 사에몬노이가 하타모토나 고케닌 등의 중급 무사에 주어지게 된다. 에도 마치부교로 유명한 도야마 가게모토도 이에 해당한다.[1]
5. 주요 임관자
위문부의 주요 임관자 중 사에몬노이(左衛門尉)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는 직책은 제외하였다.
'''헤이안 시대'''
인물 |
---|
후지와라노 지쓰네 |
미나모토노 미쓰마사 |
미나모토노 요시치카 |
미나모토노 요시타다 |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
미나모토노 요리카타 |
미나모토노 가네쓰나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
우쓰노미야 도모쓰나 |
우쓰노미야 나리쓰나 |
'''가마쿠라 시대'''
인물 |
---|
아다치 가게모리 |
아다치 도모토 |
오야마 도모마사 |
구도 요시쓰네 |
시마즈 다다카게 |
시마즈 다다쓰나 |
시마즈 다다토키 |
'''전국 시대'''
인물 |
---|
사가라 다메쓰구 |
마쓰이 무네노부 |
무라카미 요시키요 |
5. 1. 사에몬노카미(左衛門督)
시대 | 인물 |
---|---|
헤이안 시대 | 源直 |
가마쿠라 시대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
무로마치 시대 | 하타케야마 미쓰이에 |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 |
전국 시대 | 아사쿠라 요시카게 |
오토모 소린 | |
오사키 요시타카 | |
시마즈 도시히사 | |
모리 데루모토 |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사카이 다다쓰구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
5. 2. 우에몬노카미(右衛門督)
'''헤이안 시대'''- 미나모토노 나오시
'''가마쿠라 시대'''
'''무로마치 시대'''
- 시바 요시유키
- 하타케야마 미쓰이에
-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전국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5. 3. 사에몬노스케(左衛門佐)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
'''무로마치 시대'''
- 하타케야마 미쓰이에
-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전국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5. 4. 우에몬노스케(右衛門佐)
시대 | 인물 |
---|---|
헤이안 시대 | 후지와라노 아키이에 (조랴쿠 원년 (1037년) 임관) |
가마쿠라 시대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
무로마치 시대 | 하타케야마 미쓰이에,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
전국 시대 | 아사쿠라 요시카게, 오토모 소린, 오자키 요시타카, 시마즈 도시히사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사카이 다다쓰구,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
5. 5. 사에몬노이(左衛門尉)
'''헤이안 시대'''인물 |
---|
후지와라노 지쓰네 |
미나모토노 미쓰마사 |
미나모토노 요시치카 |
미나모토노 요시타다 |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
미나모토노 요리카타 |
미나모토노 가네쓰나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
우쓰노미야 도모쓰나 |
우츠노미야 나리쓰나 |
'''가마쿠라 시대'''
인물 |
---|
아다치 가게모리 |
아다치 도모토 |
오야마 도모마사 |
구도 요시쓰네 |
시마즈 다다카게 |
시마즈 다다쓰나 |
시마즈 다다토키 |
'''전국 시대'''
인물 |
---|
사가라 다메쓰구 |
마쓰이 무네노부 |
무라카미 요시키요 |
참조
[1]
문서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