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항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항 문학은 조선 시대 경복궁 서쪽에 거주하던 서리, 경아전 등 중인 계층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학 사조이다. 17세기 초 유희경과 백대붕이 주도한 풍월향도를 시작으로 낙사, 서사, 옥계시사, 육교시사 등으로 이어지며 발전했다. 주요 시집으로는 《육가잡영》, 《해동유주》, 《소대풍요》, 《풍요속선》, 《풍요삼선》, 《대동시선》 등이 있다. 위항 문학은 기존의 양반 중심 문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계층의 문학적 활동을 보여주었으며, 개화기에는 개화 사상을 수용하며 시대적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한시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한국의 한시 -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고려 후기 이승휴가 지은 역사서로, 상권은 중국, 하권은 한국 역사를 시로 읊었으며,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발해를 한국사로 인식하여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했다. - 중산계급 문화 - 힙스터
힙스터는 2000년대 초반부터 특정 스타일과 취향을 공유하는 하위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빈티지 패션, 수제 취미를 공유하며 진보적 성향을 보이나, 비판적 시각과 논란도 존재한다. - 중산계급 문화 - 사커맘
사커맘은 미국에서 학령기 자녀를 둔 교외 거주 중산층 기혼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미디어에서는 자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자기희생적인 인물로 묘사되지만, 정치적 스윙 보터로서 부상 후 과잉 보호 및 마케팅 전략의 대상화라는 비판도 받는다. - 조선의 문학 - 동문선
동문선은 조선 성종 때 편찬된 시문집으로,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고려 시대 명문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한국미술사 연구의 기본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조선의 문학 - 어우야담
《어우야담》은 조선 후기 문인 유몽인이 지은 야담집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이본이 존재하고,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위항 문학 | |
---|---|
일반 정보 | |
![]() | |
별칭 | 언문, 국문 |
로마자 표기 | Korean |
한국어 표기 | 한국어 / 韓國語 |
사용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소수) 일본 (소수) 미국 (소수) 러시아 (소수) |
언어 정보 |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
문자 | 한글 한자 (병용) |
공용어 | |
공용어 지정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 |
언어 코드 | |
ISO 639-1 | ko |
ISO 639-2 | kor |
ISO 639-3 | kor |
2. 명칭
경복궁 서쪽, 곧 지금의 누상동, 누하동, 필운동, 체부동 일대는 정궁(正宮)이었던 경복궁과 인접한 관공서에 근무하는 서리(書吏)나 경아전(京衙前)들이 모여 살았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전에는 경복궁 안쪽을 내려다볼 수 없도록 경복궁보다 높은 산자락에는 집을 지을 수 없었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폐허가 된 후에야 경복궁 서쪽에 서리들의 집과 양반들의 주택이 본격적으로 들어섰다. 이곳은 역관, 의원, 상인 등 상대적으로 부유한 중인층이 모여 살았던 청계천 일대(일명 중촌)와 함께 위항(委巷, 구불구불한 골목)이라 불렸다. 경복궁 서쪽의 위항은 우대라 불리며 이배(吏輩)와 고직(庫直)이 살았다고 전해진다.[2]
최초의 위항 문학 모임은 유희경과 백대붕(白大鵬)이 주도한 풍월향도(風月香徒)이다.[5] 박계강(朴繼姜)·정치(鄭致)·최기남(崔奇男) 등 중인 시인들이 풍월향도에 동참하였다.[1] 풍월향도는 백대붕이 임진왜란에서 전사하고 유희경이 양반으로 신분이 오르면서 해체하였다.[5]
1700년대 중반, 마성린, 엄한붕의 아들 엄계흥, 최윤창, 김순간, 이효원 등이 인왕산 아래에서 모임을 가졌으며, 이들의 모임을 서사(西社) 또는 백사(白社)라고 하였다. 이효원과 김순간이 죽고 동인들이 노인이 된 1792년 9월, 최윤창 등 아홉 명은 구로시계(九老詩契)를 결성하였다.
19세기 후반, 송석원시사 이후 인왕산 일대에서는 김낙서의 아들 김희령이 서원시사(西園詩社)를, 장혼의 아들 장욱(張旭)이 금서사(錦西社)를, 장혼의 제자 장지완(張之琬)이 비연시사(斐然詩社)를 열었다. 1850년대에는 조기완(趙基完) 등이 서원시사를 이어 칠송정시사(七松亭詩社)를 열었으나, 모두 몰락하고 위항 문학의 장소는 수표교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위항 시인 정래교는 〈임준원전〉에서 “백련봉(白蓮峰, 북악산) 서쪽에서 필운대까지를 북부(北部)라 한다. 대개 가난하고 유리걸식하는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나 이따금 의협심이 있어 의기(意氣)로 교유(交游)하였다. 잘 베풀고 약속을 지키며 환란에는 구휼하였다. 시인과 문사들이 계절마다 서로 왕래하며 사귀었다.”라고 풍속을 묘사하였다.[3] 《동국여지비고》에는 누각동(樓閣洞, 누상동과 누하동)에 “아전으로 늙어 퇴직한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라는 기술이 있다.[4] 17세기 후반에 와서는 위항에 모여 산 서리와 경아전을 위항인(委巷人)이라는 일종의 계급으로 인식하였다.
3. 초기 (17세기)
다음으로 낙사(洛社)가 있었다. 임준원(林俊元)의 후원 아래 최기남의 제자들과, 최기남의 아들 최승태(崔承太)·최승주(崔承冑)·최승윤(崔承潤) 등이 백련봉, 필운대, 옥류동 등에서 모였다. 낙사는 1650년대에 결성되어 1680년경에 전성기를 지난 뒤 1697년쯤까지 있었다.
4. 전성기 (18세기)
1786년 7월 16일, 천수경 등 13명의 동인은 옥계시사(玉溪詩社)를 결성하였다. 옥계시사 동인은 서사 동인의 후배로, 이들은 서로 모이는 곳을 찾으며 교류하였다. 옥계시사는 송석원이라 불린 옥류동 계곡에서 모였는데, 소나무와 바위로 대표되는 경관이 빼어나 사대부도 관심을 보였다. 훗날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로 불린 옥계시사에서는 백전(白戰)이라는 시 대회를 열었으며, 백전이 유명해지자 송석원시사는 위항 문학을 대표할 만한 위치에 올랐다.
5. 후기 (19세기)
1870년대 말, 수표교(일명 육교) 일대에서 결성된 육교시사(六橋詩社)는 종전의 경아전(京衙前)이 아니라 의관과 역관 등 기술직 중인이 주도하였다. 강위를 중심으로 한 육교시사 동인들은 북학파이자 개화파로서 당대의 개화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1]
6. 주요 시집
6. 1. 육가잡영 (六家雜詠, 1668)
《육가잡영》(六家雜詠)은 1668년(현종 9년)에 간행된 최초의 위항 문학 시집이다.[1] 참여자는 최기남(崔奇南)·남응침(南應琛)·정예남(鄭禮男)·김효일(金孝一)·최대립(崔大立)·정남수(鄭枏壽)이다.[1]
6. 2. 해동유주 (海東遺珠, 1712)
1712년(숙종 38년) 홍세태가 엮은 시집으로, 48가 230여 수의 시가 실려있다.[1]
6. 3. 소대풍요 (昭代風謠, 1737)
《소대풍요》(昭代風謠)는 1737년(영조 13년) 고시언이 엮은 위항 문학 시집으로, 162가의 시가 실려있다.[1] 60년마다 시집을 내는 계기가 되었다.[1]
6. 4. 풍요속선 (風謠續選, 1797)
천수경이 엮은 《풍요속선》(風謠續選)은 1797년(정조 21년)에 간행되었으며, 333명의 시 723수가 실려있다.[1] 《소대풍요》(昭代風謠) 이후 60년마다 시집을 내는 계기에 따라 간행되었다.[1]
6. 5. 풍요삼선 (風謠三選, 1857)
《풍요삼선》(風謠三選)은 1857년(철종 8년) 직하시사(稷下詩社)에서 엮은 위항 문학 시집이다.[1] 《풍요속선》 이후 시인 305명의 시가 실렸다.[1]
6. 6. 대동시선 (大東詩選, 1918)
장지연이 엮은 《대동시선》(大東詩選) 제5책 제9·10권에는 위항시인의 시가 실려있다.[1]
7. 의의와 영향
8. 현대적 재조명
참조
[1]
간행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서적
사라진 서울
푸른역사
2009
[3]
서적
浣巖集
http://db.itkc.or.kr[...]
1765
[4]
서적
東國輿地備考 제2권
http://db.itkc.or.kr[...]
[5]
논문
1999
[6]
논문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