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은 1784년에 태어나 1865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1809년부터 1828년까지 육군 장관을 역임했고, 이후 1830년부터 1841년,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외무 장관을 지냈다. 1855년부터 1858년, 1859년부터 1865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수행하며 영국 정치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 그는 영국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자유 무역 제국주의를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제15대 하원 의원 - 벤저민 디즈레일리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19세기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로, 보수당 지도자로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며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문학 작품도 남겼으며, 윌리엄 글래드스톤과의 경쟁 속에서 영국 보수주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제15대 하원 의원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은 자유당 당수로서 네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12년 이상 재임한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정치가로,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재무장관으로서 자유 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아일랜드 자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 영국의 제9대 하원 의원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영국의 제9대 하원 의원 - 제1대 러셀 백작 존 러셀
    존 러셀은 1792년에 태어나 1878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출신으로 개혁법 제정을 주도하고 곡물법 폐지를 이끌었으며,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고 외무 장관을 지냈다.
  • 영국의 제10대 하원 의원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영국의 제10대 하원 의원 - 제1대 러셀 백작 존 러셀
    존 러셀은 1792년에 태어나 1878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인으로, 휘그당 출신으로 개혁법 제정을 주도하고 곡물법 폐지를 이끌었으며,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고 외무 장관을 지냈다.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머스턴 경 (1857년)
파머스턴 경 (1857년)
본명헨리 존 템플
별칭해리
작위제3대 퍼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제3대 파머스턴 자작 서명
헨리 존 템플, 제3대 퍼머스턴 자작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토리당 (1806–1830)
휘그당 (1830–1859)
자유당 (1859년부터)
의회 의원뉴포트 선거구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
블레칭글리 선거구
남 햄프셔 선거구
티버턴 선거구
총리1855년 2월 8일 – 1858년 2월 20일
1859년 6월 12일 – 1865년 10월 18일
내무 장관1852년 12월 28일 – 1855년 1월 31일
외무 장관1830년 11월 20일 – 1834년 11월 15일
1835년 4월 18일 – 1841년 9월 2일
1846년 7월 6일 – 1851년 12월 19일
전시 장관1809년 10월 – 1828년 5월 28일
개인 정보
출생1784년 10월 20일, 웨스트민스터, 미들섹스, 잉글랜드
사망1865년 10월 18일, 브로켓 홀, 하트퍼드셔, 잉글랜드
안장 장소웨스트민스터 사원
배우자에밀리 램 (1839년 12월 16일 결혼)
부모헨리 템플, 제2대 파머스턴 자작 (아버지)
학력에든버러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칭호/훈장제3대 퍼머스턴 자작
가터 훈장 (KG)
바스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GCB)
추밀원 고문관 (PC)
왕립 학회 회원 (FRS)
친족 (정치가)제2대 멜버른 자작 (의붓 형)

2. 생애 초반

헨리 존 템플은 아일랜드 귀족인 파머스턴 자작 가문에서 태어나, 해로우 스쿨, 에든버러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더걸드 스튜어트로부터 자유주의 사상을 배웠다. 1802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파머스턴 자작위를 계승했고, 1803년 나폴레옹 전쟁 발발 후에는 의용군에 참여하여 군사 경험을 쌓았다.

2. 1. 출생과 가문

헨리 존 템플은 1784년 10월 20일 템플 가문의 아일랜드 분가에서 웨스트민스터의 가정집에서 태어났다. 가문은 아일랜드 귀족 작위를 지녔으나, 그는 거의 아일랜드를 방문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영국-아일랜드 귀족인 2대 파머스턴 자작 (1739년-1802년)이었으며, 어머니는 런던 상인 벤저민 미의 딸인 메리(1752년-1805년)였다.[500] 1792년부터 1794년까지 파머스턴은 가족과 함께 유럽 여행을 했다.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 그는 유창한 이탈리아어 회화와 작문을 가르쳐준 이탈리아인 선생을 만났다.[501] 파머스턴의 가족은 아일랜드 북서부에 있는 카운티 슬라이고 북쪽에 큰 시골 사유지를 소유했다.[502]

그는 해로우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1795년-1800년). 제1대 준남작 어거스터스 클리포드 경 제독은 학창시절 파머스턴, 알터프 자작, 던캐넌 자작의 심부름꾼 후배 노릇을 했는데, 훗날 셋 중 파머스턴이 가장 자비로웠다고 회고했다.[503] 템플은 학교에서 자주 주먹다짐을 벌였으며 해로우 동창들은 그가 자기보다 두 배나 큰 불량배들에게 맞서던 인물로 기억했다.[504] 헨리 템플의 아버지는 1799년 아들을 서민원으로 데려갔는데, 거기서 어린 파머스턴은 윌리엄 피트 총리와 악수를 했다.[505]

이후 템플은 에든버러 대학교에 진학하여(1800년-1803년), 애덤 퍼거슨애덤 스미스의 친구이던 더걸드 스튜어트에게서 정치 경제학을 배웠다. 템플은 이후 에든버러 대학 시절을 “내가 지닌 유용한 지식과 마음가짐 그 무엇이든 만들어 낸” 시기였다고 설명했다.[506] 민토 경은 헨리 템플이 매너있고 매력적이라며 이 젊은 파머스턴의 부모에게 편지를 썼다. 스튜어트는 친구에게 템플에 관한 내용을 편지에 썼다. “성품과 품행의 측면에서 그는 주변 친구들이 바랄만한 모든 것이다. 더욱이 나는 이 생애에 걸쳐 그보다 더 나무랄 데 없는 인물, 또는 더 호감가는 성품을 지닌 이를 봤다고 말할 수 없으리라.”[507]

1802년 4월 17일, 헨리 템플은 18세가 되기 전에 아버지의 파머스턴 자작위를 이어받았다. 또한 아일랜드 서부에 있는 카운티 슬라이고 북쪽의 광대한 시골 사유지 역시 상속받았다. 훗날 그는 이곳에 클래시본 성을 짓는다. 파머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진학했다(1803년-1806년).[508] 귀족으로서 그는 무시험으로 석사 학위를 받을 수 있었으나, 파머스턴은 시험에 통과해서 학위를 받기를 원했다. 이는 거절당했지만 그는 따로 대학 시험을 치르도록 허락받았으며, 일등급 우수 학위를 받았다.[509] 1803년 영국이 프랑스에 전쟁 선포를 하자, 파머스턴은 1803–1805년 영국 대 프랑스 침략 대비에 참여하여 프랑스의 침공을 막고자 의용군에 자원하였으며 세인트 존스 칼리지 출신 의용병 장교 세 명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그는 롬지 의용병 중령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510]

2. 2. 소년·청년기

헨리 존 템플은 1784년 10월 20일 템플 가문의 아일랜드 분가에서 웨스트민스터의 가정집에서 태어났다. 가문은 아일랜드 귀족 작위를 지녔으나, 그는 거의 아일랜드를 방문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영국-아일랜드 귀족인 2대 파머스턴 자작(1739년-1802년)이었으며, 어머니는 런던 상인 벤저민 미의 딸인 메리(1752년-1805년)였다.[500] 1792년부터 1794년까지 가족과 함께 긴 유럽 여행을 떠났다. 이탈리아에 머무는 동안 그는 유창한 이탈리아어 회화와 작문을 가르쳐준 이탈리아인 선생을 만났다.[501] 파머스턴 가문은 아일랜드 북서부에 있는 카운티 슬라이고 북쪽에 큰 시골 사유지를 소유했다.[502]

그는 해로우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1795년-1800년). 어거스터스 클리포드 경 제독은 학창시절 파머스턴, 알터프 자작, 던캐넌 자작의 심부름꾼 후배 노릇을 했는데, 훗날 말하길 셋 중 파머스턴이 가장 자비로웠다고 회고했다.[503] 템플은 학교에서 자주 주먹다짐을 벌였으며 해로우 동창들은 그가 자기보다 두 배나 큰 불량배들을 상대로 맞서던 이로 기억했다.[504] 헨리 템플의 아버지는 1799년 아들을 서민원으로 데려갔는데, 거기서 어린 파머스턴은 윌리엄 피트 총리와 악수를 했다.[505]

이후 템플은 에든버러 대학교에 진학하여(1800년-1803년), 스코틀랜드 철학자 애덤 퍼거슨애덤 스미스의 친구이던 더걸드 스튜어트로부터 정치 경제학을 배웠다. 템플은 이후 에든버러 대학 시절을 “내가 지닌 유용한 지식과 마음가짐 그 무엇이든 만들어 낸” 시기였다며 설명했다.[506] 민토 경은 헨리 템플이 매너있고 매력적이라며 이 젊은 파머스턴의 부모에게 편지를 썼다. 스튜어트는 친구에게 템플에 관한 내용을 편지에 썼다. “성품과 품행의 측면에서 그는 주변 친구들이 바랄만한 모든 것이다. 더욱이 나는 이 생애에 걸쳐 그보다 더 나무랄 데 없는 인물, 또는 더 호감가는 성품을 지닌 이를 봤다고 말할 수 없으리라.”[507]

헨리 템플은 18살이 되기 전인 1802년 4월 17일, 아버지의 파머스턴 자작위를 이어받았다. 또한 그는 아일랜드 서부에 있는 카운티 슬라이고 북쪽의 광대한 시골 사유지 역시 상속받았다. 훗날 그는 이곳에 클래시본 성을 짓는다. 파머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진학했다(1803년-1806년).[508] 귀족으로서 그는 무시험으로 석사 학위를 받을 수 있었으나, 파머스턴은 시험에 통과해서 학위를 받기를 원했다. 이는 거절당했지만 그는 따로 대학 시험을 치루도록 허락받았으며, 일등급 우수 학위를 받았다.[509]

1803년 영국이 프랑스에 전쟁 선포를 하자, 파머스턴은 1803–1805년 영국 대 프랑스 침략 대비에 참여하여 프랑스의 침공을 막고자 고무되어 의용병에 자원하였으며 세인트 존스 칼리지 출신 의용병 장교 세 명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그는 롬지 의용병 중령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510]

3. 정치 경력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무렵의 대영제국.


파머스턴 자작에게 큰 영향을 준 조지 캐닝.


1806년 2월, 파머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 선거에서 패배하였다.[511] 11월에는 호섐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으나, 1807년 1월 서민원에서 과반수의 휘그당이 그의 의석을 박탈하는 청원에 투표하자 의석을 잃게 되었다.[512]

치체스터 백작과 맘즈버리 경의 후원으로 포틀랜드 공작 내각의 차석해군장관(Junior Lord of the Admiralty)직을 받았다.[513] 5월 케임브리지 선거구에 다시 출마했으나, 2인 선거구에서 토리당 후보가 당선되도록 다른 토리당 후보에게 투표하라고 지지자들에게 권하여 3표 차로 패배했다.[514] 1807년 6월, 와이트섬 포켓 보로인 뉴포트의 토리당 의원으로 국회에 입성하였다.[515]

1808년 2월 3일, 파머스턴은 외교 행위에서의 기밀 유지, 코펜하겐 폭격, 영국 해군의 로열 덴마크 해군 나포 및 파괴를 지지했다.[516] 덴마크-노르웨이는 중립국이었으나, 나폴레옹은 틸지트 조약에서 러시아와 영국 침공에 덴마크 해군을 사용하자는 내용이 담긴 대영 해군 동맹을 맺기로 합의했다.[517] 영국은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덴마크에게 종전까지 덴마크 해군을 일시적으로 넘기거나, 파괴할 것을 제안했다. 덴마크는 이에 따르지 않았고, 코펜하겐은 폭격당했다. 파머스턴은 덴마크 함대의 통제권을 가지려는 나폴레옹의 야망을 언급하며 이 공격을 정당화했다. 1807년 12월 24일,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파머스턴은 전 휘그당 의원 에드먼드 버크가 “정치 예언의 영광”을 이뤘다고 기술했다.[519] 이는 대영제국 대외정책에 있어서 그의 행보를 암시했다.

1809년, 스펜서 퍼시벌은 파머스턴에게 재무장관직을 제안했으나, 파머스턴은 군대 재무만을 담당하는 전시장관직을 원했다. 그는 1827년까지 내각에서 자리를 얻지 못하고 20년간 전시장관으로 재임했다.[520] 1818년 4월 1일, 전쟁성의 연금 지원에 불만을 품은 데이비스 중위가 파머스턴을 저격했으나, 총알은 등을 스쳤고 상처는 경미했다. 파머스턴은 데이비스가 미치광이라는 사실을 알고 법정에서 그에게 법적 지원을 해주었다.[521]

리버풀 백작의 토리 내각은 1822년 캐슬레이의 자살 이후 정치 계파로 분열되었다. 조지 캐닝이 외무장관 및 하원의장이 되면서 자유주의 계파가 주도권을 잡았고, 윌리엄 허스키슨은 자유무역을 옹호했으며, 가톨릭 해방령이 대두되었다. 파머스턴은 캐닝과 그 교우들의 정책을 지지했다.

1827년 4월, 리버풀 경이 은퇴하고 캐닝이 총리가 되자, 로버트 필 경이 있던 보수주의 토리당 계파는 지지를 철회했으며, 자유주의 계파와 휘그당의 연정이 이뤄졌다. 파머스턴은 재무장관직을 제안받았으나 왕과 존 찰스 헤리스의 뒷공작으로 좌절되었고, 전시장관에 머물렀으나 처음으로 내각에서 자리를 얻었다. 캐닝 행정부는 총리의 죽음으로 4개월 만에 끝났고, 고드리치 내각이 뒤를 이었으나 1년 남짓 버텼다.

친캐닝계는 큰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는 자신의 정부에 파머스턴, 허스키슨, 찰스 그랜트, 윌리엄 램, 더들리 경을 넣고자 했다. 그러나 맨체스터와 버밍엄 의회 대표 문제로 발생한 웰링턴과 허스키슨 사이의 논쟁은 허스키슨과 파머스턴을 포함한 협력자들의 사임으로 이어졌다. 1828년 봄, 파머스턴은 야당으로 옮겼다.

1828년 2월 26일, 파머스턴은 가톨릭 해방을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 그는 "가톨릭에게 가해진 진정한 고통"을 해결하는 동시에 가톨릭 해방을 반대한 국교회 교도들의 "가상의 불만"을 덜어주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느꼈다.[522] 또한 파머스턴은 더 많은 영국 남성에게 투표권을 확장하는 개혁안 통과 운동을 지지했다.[523] 파머스턴의 전기 작가 중 한 명은 "많은 친피트계처럼, 이제는 토리당원이라는 딱지가 붙은 그는 마음속으로는 훌륭한 휘그당원이었다."라고 말했다.[524] 로마 가톨릭 해방령은 1829년 통과되었고,[525] 대개혁법은 1832년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파머스턴은 야당으로 당적을 바꾸며 대외 정책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웰링턴에게 그리스 독립 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권고했으며, 파리에 여러 차례 방문하여 부르봉 왕조의 전복을 정확하게 예측했다. 1829년 6월 1일, 그는 외교 문제에 관한 첫 연설을 했다. 1830년 9월, 웰링턴 공작은 파머스턴을 내각에 재입성시키려 했으나, 파머스턴은 랜즈다운 경과 그레이 경 없이는 하지 않겠다며 거부했다. 이는 그의 정당에 대한 충성이 바뀐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526]

파머스턴은 외무장관직에 입성하여 20년간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830년부터 1834년까지, 1835년부터 1841년까지,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파머스턴은 1830년 프랑스, 벨기에 혁명부터 1851년 12월까지 영국 대외 정책 전반을 책임졌다. 그의 거친 방식은 "부석(浮石) 경"이라는 별명을 얻게 했으며, 외국 정부와의 관계에 있어서 그의 태도는 "포함 외교"의 시초였다.

3. 1. 하원 의원 선거 도전

파머스턴은 아버지처럼 정치에 뜻을 두었다.

아일랜드 귀족은 귀족 대표 의원으로 선출되지 않는 한 귀족원 의원이 될 수 없었기 때문에, 파머스턴은 21세가 넘었음에도 자동적으로 귀족원 의원이 될 수 없었다.[226] 그는 서민원 의원을 목표로 했다.

1806년 2월, 윌리엄 피트의 사망으로 치러진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 보궐 선거에 토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다른 유력 후보인 헨리 페티 경과 올트라프 자작이 휘그당 후보로 출마했기 때문에, 파머스턴은 최하위 득표로 낙선했다.[227]

같은 해 10월 해산 총선에서는 맘즈베리 백작의 추천으로 호샴 선거구에서 출마했지만, 선거 부정이 있었다고 하여 당선을 인정받지 못했다.[228]

1807년 총선에서 처음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와이트 섬의 뉴포트 선거구로 바꿔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29] 네 번의 도전 끝에 파머스턴은 서민원 의석을 얻었다.

파머스턴은 포틀랜드 공작의 후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곧바로 포틀랜드 공작 내각의 하급 해군 경(Junior Lord of the Admiralty) 직을 받았다.[230]

1808년 2월 3일의 처녀 연설에서는 전년에 발생한 영국 해군이 덴마크 함대를 나포한 사건에 대한 변호를 했다. 처녀 연설이었기에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지만, 훌륭한 연설은 아니었다고 한다.[231]

1806년 2월, 파머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 선거에서 낙선했다.[21] 그는 11월에 호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지만, 1807년 1월 하원에서 휘그당 다수가 그를 축출하라는 청원에 찬성하여 의원직을 잃었다.[22]

치체스터 백작과 몰즈버리 백작의 후원으로 파머스턴은 포틀랜드 공작 내각에서 해군성 부장관직을 받았다.[23] 그는 5월에 다시 케임브리지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2인 선거구에서 다른 토리당 후보에게 투표하라고 지지자들에게 조언하여 토리당 후보가 당선되도록 한 후 3표 차이로 낙선했다.[24]

파머스턴은 1807년 6월에 와이트 섬의 포켓 보로인 뉴포트의 토리당 국회의원으로 의회에 입성했다.[25]

1808년 2월 3일, 그는 외교의 기밀 유지를 지지하는 연설을 했으며, 코펜하겐 포격과 영국 해군의 로열 덴마크 해군 나포 및 파괴를 옹호했다.[26] 덴마크-노르웨이는 중립국이었지만, 나폴레옹은 최근 틸지트 조약에서 러시아와 동의하여 영국 침공을 위해 덴마크 해군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영국에 대항하는 해군 동맹을 맺었다.[27] 이를 선제적으로 막기 위해 영국은 덴마크에 전쟁이 끝날 때까지 해군을 일시적으로 넘겨주거나 해군을 파괴하는 선택지를 제시했다. 덴마크는 이에 따르기를 거부했고, 코펜하겐은 포격을 받았다. 파머스턴은 나폴레옹이 덴마크 함대를 장악하려는 야망을 언급하며 공격을 정당화했다.

> 프랑스의 막대한 힘이 약한 국가를 잉글랜드의 적으로 만들도록 강요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잉글랜드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호소하는 것은 자기 보존의 법칙입니다. 덴마크가 이 나라에 적대감을 보였다면 우리는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명예로운 신사와 그의 지지자들은 인정합니다... 강요된 적대 상태의 덴마크는 자발적으로 적대적인 덴마크와 같은 입장에 있으며, 자기 보존의 법칙이 발효됩니다... 부오나파르트가 덴마크에 다른 나라에 그랬던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정의의 고려 사항으로 억제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습니까? ... 국가법의 기본 원칙인 자기 보존의 법칙에 따라 잉글랜드는 프랑스가 강제로 적극적인 적대 행위로 전환하려 했던 중립을 덴마크로부터 확보하고 시행할 수 있습니다.[28]

1807년 12월 24일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고 휘그당 국회의원 에드먼드 버크를 "정치적 예언의 영예"를 지녔다고 묘사했다.[29] 이는 제국의 외교 정책의 방향을 예측하는 그의 경력의 은유가 되었다.

3. 2. 초기 정치 활동: 1806년-1809년

1806년 2월, 파머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선거구 선거에서 패배하였다.[511] 11월에는 호섐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으나 1807년 1월 서민원에서 과반수의 휘그당이 그의 의석을 박탈하는 청원에 투표하자 의석을 잃게 되었다.[512]

치체스터 백작과 맘즈버리 경의 후원으로 파머스턴 경은 포틀랜드 공작 내각의 차석해군장관(Junior Lord of the Admiralty)직을 받았다.[513] 파머스턴은 5월에 다시끔 케임브리지 선거구로 출마했으나 지지자들로 하여금 2인 선거구에서 토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을 확실히하고자 다른 토리당 후보자에 투표하도록 권하여 세 표 차이로 패배했다.[514]

파머스턴은 1807년 6월 와이트섬 포켓 보로인 누포트의 토리당 의원으로 국회에 입성하였다.[515]

1808년 2월 3일 파머스턴은 외교 행위에서의 기밀 유지, 코펜하겐 폭격, 영국 해군으로 로열 덴마크 해군을 나포하여 파괴할 것을 지지해 줄 것을 성명하였다.[516] 덴마크-노르웨이는 중립국이었으나 나폴레옹은 일전의 틸지트 조약에서 러시아와 대영 해군 동맹을 만들자고 합의하였는데, 이 조약에서 영국 침공에 덴마크 해군을 사용하자는 내용이 담겨있었다.[517]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영국은 덴마크에게 종전까지 덴마크 해군을 일시적으로 영국에 넘길지, 아니면 덴마크 해군을 파괴할 것인지 선택하라고 제안했다. 덴마크는 순응하길 거부하였고, 코펜하겐은 폭격당했다. 파머스턴은 덴마크 함대의 통제권을 가져가려는 나폴레옹의 야망을 언급하는 맺음말을 통해 이 공격을 정당화했다.

1807년 12월 24일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파머스턴은 전 휘그당 의원 에드먼드 버크가 “정치 예언의 영광”를 이뤘다며 기술했다.[519] 이는 대영제국 대외정책에 있어서의 그의 행보를 암시하게 될 것이다.

3. 3. 전시장관: 1809년-1828년



스펜서 퍼시벌 내각에서 파머스턴 경은 재무 장관으로 입각하라는 제안을 받았지만, "정계에 입문한 지 얼마 안 된 자신에게 내각 장관 직은 너무 이르다"고 거절하고,[233] 대신 전쟁 장관에 취임하여 이후 21년 동안 이 직책에 재임하게 되었다.[235][236]

1812년 퍼시벌 총리가 암살당하고, 리버풀 백작이 대명을 받아 내각을 구성하면서 파머스턴 경은 계속해서 전쟁 장관에 유임되었다.[237] 이 무렵 나폴레옹 전쟁이 종결되면서, 이후 육군 예산을 삭감하려는 재무부와 군인의 연금·은급을 확보해야 하는 파머스턴 경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었다.[238]

1827년 2월, 리버풀 백작 총리가 뇌졸중으로 쓰러지고, 국왕 조지 4세는 조지 캐닝에게 내각 구성의 대명을 내렸지만, 이에 반발한 반(反)가톨릭 해방파가 정권에서 이탈했다. 토리당 소수파만을 이끄는 캐닝은 휘그당 온건파 렌즈다운 후작 파와 연립하여 내각을 구성했다. 파머스턴 경은 캐닝을 지지했기 때문에 계속해서 전쟁 장관으로 정권에 남았고, 국무회의 참석도 허용되었다(내각 장관).[240]

1827년 8월에 캐닝이 급사하고, 고드리치 자작의 단기 정권을 거쳐, 1828년 1월에 웰링턴 공작에게 내각 구성의 대명이 있었다. 웰링턴 공작은 가톨릭 해방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고, 파머스턴 경과 의견이 달랐지만, 웰링턴 공작으로부터 이 문제는 보류하겠으니 유임해 달라는 설득을 받아 일단 정권에 남았다.[241]

하지만 그리스 독립 전쟁을 둘러싸고 오스트리아 총리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와의 협력을 강화하려던 웰링턴 공작의 방침에 반발을 강화했다.

결국 파머스턴 경은 가톨릭 해방 문제와 선거법 개정 문제를 두고 웰링턴 공작 및 내무 대신 서 로버트 필준남작과 대립을 심화시켜 1828년 5월 28일에는 육군 장관을 사임하고 정권에서 물러났다. 같은 시기, 윌리엄 허스키슨, 윌리엄 램(후의 멜버른 자작) 등 다른 캐닝파 각료들도 사임했다.[242]

정계에 입문한 이후 처음으로 야당 생활을 시작한 파머스턴 경이지만, 캐닝파는 실무 경험이 풍부한 인재의 보고로 토리당과 휘그당 모두에게 주목받고 있었다.

3. 4. 캐닝파 시대와 휘그당 합류: 1828년-1830년

파머스턴은 야당으로 당적을 바꾸며 대외 정책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일전에 웰링턴에게 그리스 독립 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으며, 파리에 여러 차례 방문하여 부르봉 왕조에게 닥칠 전복을 매우 정확하게 예측하기도 했다. 1829년 6월 1일 그는 외교 문제에 관한 대단한 첫 연설을 했다.[526]

파머스턴 경은 웅변가가 아니다. 그의 언어에는 배움이 없고, 발표할 때는 무엇인가 쑥스러워한다. 허나 일반적으로 그는 적시적절하게 말할 단어들을 찾고는, 청중들의 역량과 성미에 가장 적절한 언어로 서민원에서 발언한다.영어

1830년 9월 웰링턴 공작은 내각에 재입성하도록 파머스턴을 설득하고자 시도했으나, 그는 랜즈다운 경과 그레이 경 등 두 주요 휘그당원 없이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며 거부했다. 이는 1830년 그의 정당에 대한 충성이 바뀐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35]

3. 5. 외무장관: 1830년-1841년

파머스턴은 1830년 11월, 그레이 백작이 이끄는 휘그당 정부에서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35] 그는 1830년부터 1834년까지(이 시기는 그의 견습 기간으로 간주된다.[36]), 1835년부터 1841년까지, 그리고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외무장관직을 역임했다. 파머스턴은 1830년 프랑스 혁명과 벨기에 혁명 시기부터 1851년 12월까지 영국의 외교 정책 전반을 책임졌다. 그의 강경한 외교 스타일은 "부석 경(Lord Pumice Stone)"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특히 후년에는 외국 정부를 다루는 방식이 "무력 외교"의 원조로 여겨졌다.[38][39]

1830년 7월 프랑스에서 7월 혁명이 발생하여 샤를 10세가 실각하고, 루이 필리프가 즉위하였다. 그 여파로 벨기에에서 독립운동이 발생하였다. 빈 조약에 따라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고 있던 벨기에는 프랑스 7월 혁명의 영향으로 자유주의민족주의가 고조되어 1830년 10월, 네덜란드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신성 동맹 국가들은 네덜란드를 지지했고, 영국과 7월 왕정 하의 프랑스는 벨기에의 독립을 지지했다.[248][249][250]

이러한 상황에서 이전 정권의 외무장관 애버딘 백작은 국제 회의를 제안했고, 1830년 11월 4일부터 런던 회의가 개최되었다. 파머스턴은 이 회의를 주관하며 1831년 1월 20일, 각국의 동의를 얻어 벨기에를 영세 중립국으로 독립시켰다.[252][253] 벨기에 국왕으로는 작센-코부르크 가문 출신의 레오폴드가 선출되었는데, 이는 파머스턴과 그레이 백작의 지지 덕분이었다.[259] 이후 벨기에의 영토 문제와 국채 문제로 네덜란드와 벨기에 간의 갈등이 있었지만, 파머스턴의 중재와 외교적 노력으로 1839년 네덜란드는 벨기에의 독립을 최종 승인했다.[264][265][253]

벨기에 독립 혁명을 그린 그림


1834년 7월, 그레이 백작이 은퇴하고 멜버른 자작이 이끄는 내각이 성립되면서 파머스턴은 외무장관으로 유임되었다. 같은 해 11월, 내각은 국왕 윌리엄 4세와의 갈등으로 해산되었고, 잠시 웰링턴 공작이 이끄는 보수당 정권이 들어섰지만, 1835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과반수를 얻지 못해 1835년 4월에 다시 멜버른 자작 내각이 성립되었고, 파머스턴은 다시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247]

중국은 광저우 체제를 통해 대외 무역을 광저우 항으로 제한하고, 조공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거부했다. 1833년부터 1835년 사이, 런던은 중국과의 무역에 대한 동인도 회사의 독점권을 폐지하면서 토리당과 휘그당 정부는 평화와 우호적인 무역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네이피어 경은 무역 개방을 위해 중국에서 혁명을 일으키려 했고, 파머스턴이 이끄는 외무부는 평화를 추구하며 이에 반대했다.[61] 중국 정부는 태도를 바꾸지 않았고, 중국에서 금지된 인도산 아편을 밀수하는 영국 상인들을 단속했다. 영국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제1차 아편 전쟁을 통해 군사력으로 대응했고,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난징 조약에 따라 중국은 배상금을 지불하고 5개의 개항장을 세계 무역에 개방했으며, 이 항구들에서 영국 시민에게는 치외법권이 부여되었다. 파머스턴은 외교적 평등과 중국의 무역 개방이라는 주요 목표를 달성했지만, 비평가들은 아편 무역의 부도덕성을 비판했다.[62]

1841년 5월, 주변 고지대에서 캔톤에 대한 영국군의 포격


파머스턴의 전기 작가인 재스퍼 리들리는 당시 영국과 청나라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차티스트와 젊은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이 이끄는 종교적 비국교도 등은 파머스턴이 영국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고, 중국 정부가 근절하려 했던 아편의 도덕적 문제에는 무관심하다고 비판했다.[64][65]

한편, 파머스턴은 정보와 여론을 조작하여 부서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 그는 언론에 기밀을 유출하고, 선정된 문서를 출판하고, 편지를 공개하여 더 많은 통제력과 홍보 효과를 얻고 영국 민족주의를 고취시켰다.[66] 그는 자신의 선전 전략에 협조하지 않은 토머스 반스가 편집한 ''더 타임스''와 갈등을 빚었다.[67][68]

3. 6. 야당 시절: 1841년-1846년

1830년 11월, 파머스턴은 그레이 경이 이끄는 새 정부에 외무 장관으로 합류하였다.[35] 1831년부터 1841년까지 파머스턴은 동방 문제에 관여하였다. 당시 오스만 제국의 총독 무함마드 알리가 통치하던 이집트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투르크에 해군력을 제공하는 대가로 시리아의 통치권을 요구했다. 그러나 전쟁에서 패배한 투르크는 시리아 총독직을 알리에게 넘겨주려 하지 않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알리는 시리아를 무력으로 투르크로부터 빼앗으려는 계획을 세웠다.[268] 1831년 10월, 시리아 지배권을 놓고 이집트-투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이집트 군이 승리했다.[269][270]

1841년 무함마드 알리를 그린 그림


하지만 투르크 영토는 대영 제국에게 "인도로 가는 길"이었고, 잃을 수 없었다.[271] 또한 알리는 영국 면제품 수입을 제한하는 등 영국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그의 패권이 시리아로 확대되면 이미 투르크 영내에 거대한 시장을 구축했던 영국 면제품에 위협이 될 우려가 있었다.[272]

1831년, 파머스턴은 벨기에 독립 문제에 대응하느라 동방 문제를 방치했지만, 1832년에 투르크의 패색이 짙어지자 개입을 시작했다.[273]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랑스도 개입을 시작했고, 러시아와 오스트리아는 투르크에, 프랑스는 이집트에 호의적인 태도를 취했다. 프랑스는 1830년에 투르크로부터 알제리를 빼앗았기 때문에, 이집트와 연계를 통해 발판을 구축하려 했다.[274]

파머스턴은 오스트리아 재상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와 회의 장소를 런던으로 할 것인지 비엔나로 할 것인지를 두고 다투었고, 그 사이 1833년 7월에 러시아와 프랑스의 조정으로 투르크-이집트 간에 평화가 성립되었다. 또한 러시아는 투르크에게 웅캬르 스켈레시 조약을 체결하게 하여, 다르다넬스 해협 진출을 인정받았다.[275] 이는 파머스턴에게는 뼈아픈 외교적 실수였다.

1838년 5월, 무함마드 알리가 투르크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투르크 황제 마흐무트 2세가 1839년 4월에 이집트 정벌을 결정하면서 문제가 재연되었다. 같은 해 6월, 이브라힘 파샤가 이끄는 이집트 군은 니지프 전투에서 투르크 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76] 이 패전으로 약해진 투르크 황제는 무함마드 알리의 시리아 총독 취임을 인정하게 되었다.[277]

이집트의 팽창을 경계한 파머스턴이 다시 개입했다.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의 체면을 깎지 않도록 비엔나에서 회의를 개최하는 데 동의하면서, 실질적인 교섭은 런던에서 진행하여 동방 문제를 주도하기로 했다.[278] 친 이집트적인 프랑스를 무시하고,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투르크와 함께 런던 조약을 체결하여, 수단을 제외한 점령지의 포기를 무함마드 알리에게 요구했다.[279][280]

알리는 프랑스의 지원을 기대하며 강경한 자세를 취했기 때문에, 파머스턴은 1840년 9월에 영국, 오스트리아, 투르크 연합군을 베이루트에 상륙시켜 시리아 주둔 이브라힘 군을 이집트 본국과 고립시켰다. 알리의 기대와는 달리 프랑스 군은 움직이지 않았고, 이집트 군은 총퇴각하여 본국으로 철수해 갔다. 알렉산드리아 해상에 영국 함대가 출현하기에 이르러 알리도 마침내 포기하고 런던 조약을 수용할 것을 표명했다.[281][282]

1841년 2월 13일, 투르크 황제의 칙령에 의해 이집트와 수단은 투르크의 종주권 하에 무함마드 알리 가문이 총독직을 세습하여 통치하는 것이 인정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장관의 임명 및 군함 제조는 종주국 투르크의 허가가 필요했고, 영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어 자유 무역도 수용하게 되었다.[283]

3. 7. 외무장관 재임: 1846년-1851년

후먼에서의 아편 소각도 참고

파머스턴은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외무장관으로 재임하면서 유럽 전역의 격변에 개입했다. 전기 작가 데이비드 브라운은 그를 "화약장관"이라고 칭했다.[36]

1848년 2월, 프랑스 7월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프랑스 임시정부 외무장관 알퐁스 드 라마르틴이 빈 체제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보이자 신성 동맹 삼국이 격렬하게 반발했지만, 파머스턴은 중재하여 삼국을 진정시키고 유럽 대전을 피했다.[328]

3월에는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서도 혁명이 일어나, 오스트리아 수상 메테르니히가 실각했다. 프로이센에서도 자유주의 내각이 출범했다.[329]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 있던 북이탈리아에도 혁명이 확산되었다.[330] 이러한 상황에서 파머스턴은 자유주의 외교의 기수로 다시 유럽 국제 정치의 중심에 섰다.[331]

1848년 혁명의 영향으로 북 이탈리아를 비롯한 오스트리아의 지배 지역에서도 민족주의 봉기가 잇따라 일어났다. 자유주의자인 파머스턴은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체제가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탄압하면서 이민족의 땅을 통치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소란스러운 상황이 되자 롬바르디아를 사르데냐 왕국에 할양하고, 베네토에도 자치권을 인정함으로써 이탈리아 민족주의에 양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편 파머스턴은 영국 이외의 국가가 이탈리아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싫어하여, 프랑스 임시 정부에 사르데냐를 돕지 않도록 못을 박았다.

1848년 가을 무렵에는 혁명의 쇠퇴 징후가 나타났고, 파머스턴은 혁명이 완전히 진정되기 전에 브뤼셀 등 자유주의적인 지역에서 이탈리아 문제에 관한 국제 회의를 개최하려고 했지만, 1858년 12월에는 오스트리아에서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와 수상 겸 외상 펠릭스 슈바르첸베르크 후작의 보수적이고 반(反)영국적인 체제가 성립했기 때문에, 잘 되지 않았다.

사르데냐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는 1849년 3월에도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롬바르디아 진공을 시작한다고 선언했다. 파머스턴은 특사를 파견하여 중재하려 했지만, 오스트리아가 국제 회의 개최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와 사르데냐는 전쟁을 시작했다. 사르데냐의 진공은 요제프 라데츠키 원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으로 정체되었다. 1849년 3월의 노바라 전투에서 사르데냐군은 오스트리아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고, 카를로 알베르토도 퇴위를 강요당했다.

파머스턴은 오스트리아가 북 이탈리아에 대한 지배력을 회복한 지금, 이탈리아 민족주의를 위해 군사 개입할 의사는 없었고, 이 단계에서는 더 이상 사르데냐를 옹호하지 않았다.

제1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에서 코펜하겐으로 귀환하는 덴마크 병사들을 그린 그림 ( 화가)


1848년 혁명의 민족주의 고조로 1848년 4월 8일, 덴마크(당시 절대 군주제 국가)의 동군 연합 하에 있던 슐레스비히 공국과 홀슈타인 공국에서 양 공국의 독일 연방으로의 흡수 합병을 요구하는 독일 민족주의자와 덴마크 군의 전투가 발발했다.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도 독일 민족주의 지원을 위해 개입을 결정, 4월 10일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으로 진군하여 덴마크 군을 동지에서 몰아냈다(제1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336]

이 문제를 둘러싸고 프로이센의 발트해 진출을 우려한 러시아가 덴마크 측에 참전할 가능성이 높았다. 파머스턴은 러시아의 참전을 막기 위해 국제 회의에서 중재하려 했다. 러시아 외상 카를 로베르트 네셀로데는 파머스턴에게 공동 개입을 제안했지만, 파머스턴은 이를 거부하고 단독 개입을 목표로 했다. 4월 말까지 덴마크·프로이센 양국으로부터 국제 회의 개최에 대한 합의를 얻었지만, 5월에는 프로이센 군이 덴마크령으로 침공을 시작했고, 이에 격분한 러시아가 프랑스와 함께 참전을 시사하여 프로이센을 위협, 6월에 프로이센 군은 덴마크령에서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러시아와 스웨덴의 알선으로 8월에는 덴마크·프로이센은 일시 휴전했다.[337]

파머스턴은 항구적인 평화 실현을 위해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를 논의하는 런던 회의를 제창했다. 고립무원 상태였던 프로이센은 이를 지지했고, 또한 슐레스비히에서 열세에 놓인 덴마크도 지지했다. 이로 인해 10월부터 파머스턴을 의장으로 하는 런던 회의가 개최되었다. 파머스턴은 "슐레스비히는 덴마크에 통합시키면서 독일어권 주민에게 독자적인 헌법 제정권을 포함한 자치권을 부여하고, 한편 홀슈타인은 덴마크 왕의 동군 연합 상태로 독일 연방에 가맹한다"라는 안으로 회의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7세는 이를 승낙하지 않았다. 그 완고한 태도에 프로이센과 독일 연방도 덴마크와의 교섭을 중단했다.[338]

1849년 4월부터 전투가 재개되었지만, 이때 오스트리아는 덴마크를 지원하여 프로이센을 배후에서 습격하려 획책하고 있었다. 프로이센과 독일 민족주의에 명백히 불리한 상황 속에서, 파머스턴은 덴마크를 군사적 우위에 서게 하는 것 외에는 런던 회의를 마무리할 수 없다고 확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쌍방에 개입하지 않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로 인해 양국 모두 불개입을 결정, 이후, 이 전쟁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안의 독일 민족주의자와 덴마크만의 싸움으로 변화해 갔다. 이로 인해 덴마크 측이 군사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섰다.[339]

그 위에 파머스턴은 1849년 9월에 다시 런던 회의를 소집했다. 파머스턴의 주도로 끈기 있는 협상 끝에, 덴마크에도 독일 측에도 일정한 양보를 시킬 수 있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양국 모두 계속 동군 연합 하에 덴마크 왕의 통치를 받게 되고 글뤽스부르크가의 크리스티안이 프레데리크 7세의 뒤를 잇게 되며, 덴마크 자체에 자유주의적인 헌법을 도입하는 것 등이 정해졌다. 이러한 합의는 1850년 8월에 런던 의정서라는 형태로 결실을 맺었다.[340]

1850년 초여름, 그리스 아테네에 거주하던 영국 (지브롤터) 국적의 무어인유대인 상인 Don Pacifico영어는, 그 전 해에 반유대주의자에게 저택을 불태워 재산을 빼앗긴 건으로 거액의 배상금을 그리스 정부에 요구했지만, 그리스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341][342][343][344][345] 파시피코는 영국 외무성에 도움을 요청했다.[342][345]

마침 이 시기 영국과 그리스는 이오니아 제도의 영유 문제로 다투고 있었기 때문에, 파머스턴은 이 사건을 그리스를 압박할 절호의 기회로 여겼다. 영국 함대를 피레우스 항에 파견하여, 파시피코의 요구에 응하도록 그리스 정부를 압박했다. 그리스 정부는 이 압박에 굴복하여 파시피코에게 배상금을 지불하고, 또한 이오니아 제도의 영국 영유를 인정하게 되었다 (Don Pacifico affair and case영어).[346]

이 파머스턴의 방식을 프랑스와 러시아가 비판했고, 국내에서도 빅토리아 여왕과 야당이 비판했다. 여왕은 "한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국가 전체를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훈계했다.[347][348] 귀족원은 파머스턴 불신임안을 결의했다.[349] 서민원에서도 필파의 윌리엄 글래드스턴, 보수당의 벤저민 디즈레일리, Radicals (UK)영어의 리처드 코브덴 등 야당 의원들이 날카롭게 비판했다.[343]

이에 대해 파머스턴은 6월 25일에 답변에 나서, 다음과 같은 역사에 남는 연설로 반론했다.

이 영국 국민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연설은 압도적인 여론의 지지를 받아, 순식간에 파머스턴은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348] 이 연설에 야당 의원조차 감동했고, 글래드스턴은 "비범한 명연설"이라고 평했으며, 로버트 필은 "우리 모두가 그를 자랑스럽게 여기지 않을 수 없었다"고 평했다.[355]

정세가 역전되어, 서민원은 46표 차로 파머스턴 불신임안을 부결했다.[356][351][352]

청나라는 광둥 항구에서만 유럽 국가와 무역을 했고, 공행이라는 청 정부의 특허를 받은 상인에게만 유럽 상인과의 무역을 허가했다. (광저우 무역 제도) 그러나 인도산 아편은 이 틀에서 벗어나 영국 상인이 밀무역으로 중국 아편 상인에게 판매했기 때문에 청나라 내에 아편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284] 1823년에는 아편이 인도 면화를 넘어서 청나라 수입품의 1위가 되었고, 청나라는 수입 초과( 유출)를 두려워하게 되었다.[285]

베이징 정부 내에서 아편 금지론이 강화되는 가운데, 파머스턴은 광둥 영국 상인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1836년 12월 10일 찰스 엘리엇을 대청 무역 감찰관으로 임명하여 광둥으로 파견했다. 또한 1837년 11월 2일에는 해군성을 통해 동인도 함대의 군사 행동 규제를 완화하여 청나라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했다.[286]

그러나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청나라 황제 도광제임칙서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광둥으로 파견하여 아편 흡입자 단속뿐만 아니라 외국인 상인으로부터의 아편 몰수까지 실행했다.[287][288][289] 임칙서는 외국인 상인에게 이후 아편을 반입하지 않겠다는 서약서 제출을 요구했으나, 엘리엇은 거부하고 5월에 광둥에 거주하는 모든 영국인을 데리고 마카오로 퇴거했다. 그 후 구룡반도에서 영국 선원에 의한 현지 주민 살해 사건이 발생한 탓도 있어, 임칙서는 8월 15일에 서약서를 제출하지 않은 마카오 거주 영국인에 대한 식량 공급을 금지하고, 상관의 중국인 사용인의 퇴거를 명령했다. 엘리엇은 끝까지 서약을 거부했기 때문에, 거주하는 영국인은 마카오도 포기하고 배 위로 피신하게 되었다.[290]

아편 금지 소식을 접한 영국 본국은 파머스턴의 주도로 개전론으로 기울었고, 1839년 10월 1일 멜버른 자작 내각의 각의에서 청나라 원정군 파견이 결정되었다.[291] 파머스턴은 1840년 2월에 현지로 파견할 외교관과 해군에게 주요 항구를 점령하여 양쯔 강과 황하를 봉쇄하여 불평등 조약 체결을 청 정부에 요구하도록 훈령했다.[292] 1840년 6월부터 시작된 전쟁은 영국군의 압승으로 끝나, 1842년 8월에는 중국 반식민지화로 가는 첫걸음이 된 불평등 조약 난징 조약이 체결되었다.[293] 영사 재판권, 공행 제도의 폐지, 상하이, 닝보, 광저우, 푸저우, 샤먼의 개항, 개항지의 조차권, 홍콩의 할양 등을 청나라에 인정받았다.[294]

이 전쟁 중, 영국 본국에서는 하원에서 당시 보수당 의원이었던 윌리엄 글래드스턴이 이 전쟁을 "부정한 전쟁"이라고 비판하는 질문을 했다. 이 때 글래드스턴은 "중국인은 우물에 독을 뿌려도 좋다"는 과격 발언을 했다. 답변에 나선 파머스턴은 이 실언을 놓치지 않고, "글래드스턴 의원은 야만적인 전투 방법을 지지하는 자이다"라고 반대로 비판하며 그를 몰아붙였다.[295]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 (1854년)


빅토리아 여왕과 남편 앨버트 공은 독일 연방의 영방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공족 혈통이었으며, 독일 연방의 양대 강국인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했다. 그 때문에 반 프로이센·반 오스트리아적인 태도를 보이는 파머스턴의 자유주의 외교에 넌더리를 냈다.[357]

또한 여왕 부부는 두 사람의 삼촌인 벨기에 왕 레오폴드 1세가 오를레앙 가문의 프랑스 왕 루이 필리프의 딸 루이즈와 결혼한 관계여서 친 오를레앙 가문이었고,[358] 그 오를레앙 가문을 무너뜨리고 수립된 프랑스의 공화 정체를 싫어했다. 파머스턴의 외교에 대해서도 프랑스와 지나치게 가까워진다고 생각했다.[357]

더욱이 파머스턴은 여왕 부부에게 사전 보고 없이 사후 보고로 끝내는 경우가 많았지만,[359] 여왕 부부는 이것에도 불만을 품고 있었으며, 돈 퍼시피코 사건 당시에는 총리 존 러셀 경과 파머스턴 양쪽에게 "1. 외무 장관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여왕에게 명확히 설명해야 하며, 여왕이 무엇을 재가했는지 파악해야 한다. 2. 일단 여왕이 재가를 한 경우에는 그 이후 외무 장관은 독단적으로 정책을 변경·수정해서는 안 된다. 그러한 행위는 왕관에 대한 불성실이며, 행해질 경우에는 장관 해임의 헌법상의 권한을 행사할 것이다."라는 경고를 할 정도였다.[360][361][348] 이 때는 파머스턴도 방식을 고칠 것을 약속했다.[362]

1851년 12월 프랑스에서 대통령 루이 나폴레옹이 의회에 쿠데타를 일으켰다. 러셀 내각은 "여왕 폐하의 정부는 쿠데타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각의에서 결정했다.[363]

그러나 파머스턴이 여왕과 총리 러셀에게 독단적으로 주영 프랑스 대사 알렉상드르 발레프스키에게 이 쿠데타를 승인하는 언명을 했다는 사실이 발각되었다.[364][365][363][366][367]

여왕은 격노하여 "이러면 여왕의 정부의 공정성과 위신이 세계적으로 의심받을 것"이라고 러셀을 질책했다.[368] 러셀은 지금까지 파머스턴의 국민적 인기와 당내 우익의 지지를 고려하여 그의 독단 외교를 눈감아 왔지만, 이번에는 용납하지 않았다. 결국 파머스턴은 외무 장관에서 해임되었다.[369][367] 이 퇴임 시에 연합 왕국 귀족 작위와 아일랜드 총독으로의 전임 이야기가 있었지만, 파머스턴은 모두 거절했다.[370]

여왕은 숙부인 벨기에 국왕 레오폴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의 해임에 대해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합니다. 파머스턴 경은 더 이상 외무 장관이 아닙니다."라고 썼다.[371]

3. 8. 파머스턴 파벌 형성과 내무장관: 1852년-1855년

1852년, 애버딘 백작 조지 해밀턴 고든은 휘그당과 필리트의 연립 정부에서 총리가 되었다(1852년 12월 19일 - 1855년 1월 30일 재임). 러셀 백작 존 러셀은 외무 장관 겸 영국 하원 원내 대표를 맡았다. 파머스턴이 없이는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기에, 그는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852년 12월 28일). 많은 사람들은 파머스턴의 전문 분야가 외교에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이상한 임명이라고 생각했다.[97] 잉글랜드 북부에서 파업이 발생하자, 여왕이 파머스턴을 불러 상황을 논의했는데, 이때 여왕이 최신 소식을 묻자, 파머스턴은 "확실한 소식은 없지만, 튀르크인이 다뉴브 강을 건넌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폐하"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98]

파머스턴은 1853년 공장법을 통과시켜 이전 공장법의 허점을 제거하고 오후 6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젊은이들의 노동을 금지했다. 그는 노동자들이 단결할 권리를 확인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했지만, 귀족원에서 이를 거부했다. 그는 고용주가 노동자에게 돈 대신 물품으로 임금을 지급하거나, 고용주가 소유한 상점에서 물품을 구매하도록 강요하는 관행을 금지하는 트럭법을 도입했다. 1853년 8월, 파머스턴은 산업 혁명으로 인해 심화된 석탄 화재로 인한 연기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연기 저감법을 도입했다.[99] 그는 또한 1853년 예방 접종법의 통과를 감독했는데, 이 법은 어린이 예방 접종을 처음으로 의무화했다. 파머스턴은 교회에 시신을 매장하는 것을 금지했다. 교회에 시신을 매장할 권리는 과거에 그 권리를 구매한 부유한 가문들이 가지고 있었다. 파머스턴은 공중 보건상의 이유로 이러한 관행에 반대했으며 모든 시신이 교회 묘지나 공공 묘지에 매장되도록 했다.[99]

파머스턴은 수감자들이 독방 감금 상태로 있을 수 있는 기간을 18개월에서 9개월로 단축했다.[100] 그는 또한 1853년 형벌 노역법을 통과시켜 수감자들의 태즈메이니아로의 형벌 이송을 종식시켰으며, 이 법은 또한 대부분의 범죄에 대한 최고 형량을 줄였다.[101] 파머스턴은 1854년 개혁 학교법을 통과시켰는데, 이 법은 내무 장관에게 미성년 수감자를 감옥 대신 개혁 학교로 보낼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그는 수감자가 먼저 최소 3개월을 감옥에서 보내야 한다는 수정안을 받아들여야 했다.[102] 1854년 10월 파머스턴은 파크허스트 감옥을 방문하여 세 명의 소년 수감자들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그들의 행동에 감명을 받아 개혁 학교로 보내도록 명령했다. 그는 감방의 통풍이 불만족스럽다고 판단하여 개선을 명령했다.[103]

파머스턴은 존 러셀 경이 도시 노동자 계급의 일부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려는 계획에 강력히 반대했다. 1853년 12월 내각은 러셀이 원하는 형식으로 다음 의회 회기 동안 법안을 도입하기로 합의했을 때 파머스턴은 사임했다. 그러나 애버딘은 그에게 개혁에 대한 확정적인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말하고 파머스턴을 설득하여 내각으로 복귀시켰다. 선거 개혁 법안은 그해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104]

파머스턴이 외교부에서 물러나면서 1853년부터 1856년까지의 크림 전쟁을 촉발한 사건들 동안 영국의 정책을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했다. 그의 전기 작가 중 한 명인 재스퍼 리들리는 만약 그가 이 시기에 외교 정책을 통제했었다면 크림 전쟁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98] 파머스턴은 1853년 2월 러시아 군대가 오스만 국경에 집결한 후, 영국 해군이 러시아에 대한 경고로 프랑스 함대와 함께 다르다넬스 해협에 합류해야 한다고 내각에서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853년 5월, 러시아는 오스만 술탄이 그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왈라키아몰다비아 공국을 침공하겠다고 위협했다. 파머스턴은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주장했다. 즉, 영국 해군을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보내 터키 해군을 지원하고, 러시아 제국군이 공국을 침공할 경우 런던이 전쟁을 벌일 의사가 있음을 러시아에 알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애버딘은 파머스턴의 모든 제안에 반대했다. 오랜 논쟁 끝에, 애버딘은 함대를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보내는 데는 동의했지만, 파머스턴의 다른 제안에는 반대했다.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는 영국의 행동에 짜증을 냈지만, 굴하지 않았다. 영국 함대가 다르다넬스 해협에 도착했을 때 날씨가 거칠어, 함대는 해협의 외해로 피신했다(1853년 6월).[105] 러시아는 이를 1841년 해협 협정 위반으로 간주하고 1853년 7월 두 공국을 침공했다. 파머스턴은 이를 영국의 나약함의 결과로 해석했으며, 만약 러시아가 공국을 침공할 경우 영국과 프랑스 함대가 보스포루스 해협 또는 흑해로 진입할 것이라고 들었다면, 그들은 억제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06] 파머스턴은 내각에서 영국이 러시아에 대한 전쟁을 강력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평화를 원했던 애버딘은 반대했다. 영국 여론은 터키를 지지했고, 애버딘의 인기가 점점 떨어지자, 로드 더들리 스튜어트는 1854년 2월 "어디를 가든, 나는 이 문제에 대해 단 하나의 의견만 들었고, 그 유일한 의견은 단 하나의 단어, 즉 파머스턴으로 발음되었다"고 언급했다.[107]

잉커먼 전투, 1854년 11월


1854년 3월 28일, 영국과 프랑스는 공국에서 철수하지 않는 러시아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전쟁은 천천히 진행되었고, 발트해에서 영국-프랑스군의 진전은 없었으며, 크림 반도에서는 세바스토폴 공방전 (1854–1855)에서 연합군의 진전이 느렸다. 전쟁 수행에 대한 불만은 영국과 다른 국가의 대중들 사이에서 커져갔고, 특히 발라클라바 전투 (1854년 10월 25일)에서 영웅적인 기병대 돌격의 오판과 실패에 대한 보고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영국 군인들의 건강과 생활 조건은 악명이 높아졌고, 현장에 통신원을 둔 언론은 이 상황을 최대한 활용했다. 보수당은 크림 반도로 파견된 모든 군인, 기병대 및 선원에 대한 회계 및 사상자 수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요구했다. 의회가 305 대 148로 조사 법안을 통과시키자, 애버딘은 불신임 투표에서 졌다고 말하고 1855년 1월 30일 총리직에서 사임했다.[108]

4. 총리: 1855년-1858년 (제1차 내각)

프랜시스 크루익생크가 그린 1855년경의 파머스턴 자작


D.J. 파운드가 제작한 원본 판화, Mayall이 촬영한 사진에서, 존경하는 파머스턴 자작, G.C.B. K.G., 수상. "세계 삽화 뉴스 보충" 1855-58년경.


빅토리아 여왕은 파머스턴을 깊이 불신하여 처음에는 데비 백작에게 총리직을 수락해 줄 것을 요청했다. 데비는 파머스턴에게 육군 장관 자리를 제안했고, 파머스턴은 클래런던 백작이 외무 장관으로 남는다는 조건으로 이를 받아들였다. 클래런던은 거절했고, 파머스턴은 데비의 제안을 거절했다. 데비는 이후 내각 구성을 포기했다. 여왕은 랜즈다운 후작(74세)을 불렀지만 너무 고령이어서 수락할 수 없었고, 러셀을 불렀지만 파머스턴을 제외한 그의 전 동료들은 그를 섬기려 하지 않았다. 가능한 대안을 모두 소진한 여왕은 1855년 2월 4일 파머스턴을 버킹엄 궁전으로 불러 내각을 구성하도록 했다.[109]

70세 109일의 나이로 파머스턴은 처음으로 영국 정치 역사상 가장 고령의 총리가 되었다. 2024년 현재까지 파머스턴 이후 처음으로 10번가 다우닝가에 입성한 총리 중 그의 기록을 넘어선 사람은 없다. 클래런던은 외무부에서 계속 근무했고,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이 재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육군성은 개편되었고 "육군 장관" 직책은 식민지 장관 직책과 통합되었다. 그러나 크림 전쟁의 잘못된 지휘를 조사하기 위해 존 아서 로벅 하원 의원이 위원장을 맡은 조사 위원회가 설립되자, 파머스턴은 이를 "사실상 수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즉시 허버트 경, 글래드스턴, 클래런던의 사임으로 이어졌다. 그들의 자리는 조지 코니월 루이스가 재무부, 찰스 우드 경이 해군 본부의 제1대 경, 러셀이 외무부를 맡으면서 채워졌다.

파머스턴은 전쟁에 강경한 입장을 취했으며, 특히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우세한 영국 해군력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는 발트해에서 전투를 확대하길 원했다. 그의 목표는 유럽에 대한 러시아의 위협을 영구적으로 줄이는 것이었다. 스웨덴-노르웨이와 프로이센이 참전할 의향이 있다면 러시아는 고립될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보다 훨씬 많은 병력을 전쟁에 투입했고, 사상자도 훨씬 많이 낸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와 마찬가지로 전쟁 종식을 원했다.[110] 1855년 3월, 늙은 차르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2세가 즉위했는데, 그는 평화를 원했다. 그러나 파머스턴은 평화 조약이 러시아에게 너무 관대하다고 여겼고, 나폴레옹 3세를 설득하여 세바스토폴이 함락될 때까지 평화 협상을 중단하도록 하여 동맹국들이 더 유리한 협상 위치를 차지하도록 했다. 9월에 세바스토폴이 마침내 항복했고, 동맹국들은 흑해 전역을 완전히 장악했다. 러시아는 조건에 동의했다. 1856년 2월 27일 휴전이 서명되었고, 한 달간의 협상 끝에 파리 회의에서 협정이 체결되었다. 파머스턴의 비무장 흑해 요구는 관철되었지만, 크림반도를 오스만 제국에 반환하려는 그의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평화 조약은 1856년 3월 30일에 서명되었다. 1856년 4월, 파머스턴은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가터 훈장을 받았다.[111]

1856년 10월, 중국은 해적선 ''애로우''를 나포했고, 그 과정에서 현지 영국 관리인 해리 스미스 파크스에 따르면, 영국 국기를 모욕했다. 중국 칙사 엽명신이 사과를 거부하자 영국은 그의 구내에 포격을 가했다. 칙사는 광저우 시민들에게 "이 성가신 영국 악당들을 근절하기 위해 단결하라"고 촉구하고 영국인의 머리에 100USD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분노한 지역 주민들에 의해 도시 외곽에 있던 영국 공행도 불에 탔다. 파머스턴은 파크스를 지지했고, 의회에서는 리처드 코브덴과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이 도덕적 근거를 들어 영국의 정책을 강력하게 공격했다. 파머스턴은 애국심 카드를 꺼내 코브덴이 "영국에 반대하는 감정, 인간을 그들의 조국과 동포에게 묶어주는 모든 유대 관계를 부인하는 태도를 보였다. 나는 이 하원의 어떤 의원에게서도 기대하지 못했을 것이다. 모든 영국적인 것은 잘못되었고, 영국에 적대적인 모든 것은 옳았다."[112]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불신임 결의안이 통과되면 하원이 "지구 반대편에 있는 대규모 영국 시민 사회를 일련의 야만인, 즉 유괴, 살인, 독살하는 야만인에게 버리는 것"을 투표한 것과 같을 것이라고 말했다.[112] 불신임 결의안은 16표 차이로 통과되었고 1857년 영국 총선이 뒤따랐다. 파머스턴의 입장은 노동자, 성장하는 중산층, 그리고 국가의 상업 및 금융 이익의 광범위한 부분에서 인기를 얻었다. 확대된 선거권을 통해 그의 당은 1835년 이후 최대 규모인 83명의 다수로 대중의 감정에 휩쓸렸다. 코브덴과 존 브라이트는 의석을 잃었다.

중국에서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은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이미 휘청거리고 있던 청나라에게 또 다른 굴욕적인 패배였다.[113] 1858년, 엘긴 경이 이끄는 영국군은 광저우를 포격했고, 분쟁은 톈진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1860년, 나폴레옹 3세와의 화해와 영불 관계 강화를 거쳐 호프 그랜트 경과 팔리카오 백작이 지휘하는 영국과 프랑스군에 의해 중국에 대한 연합 원정이 시작되었다. 일련의 성공적인 전투 이후 베이징이 점령되었다.

이탈리아 공화주의자 펠리체 오르시니가 영국에서 제조된 폭탄으로 프랑스 황제를 암살하려 한 사건 이후, 프랑스는 영국에 그런 사람들에게 망명을 허용하지 말 것을 요구했고, 프랑스 대사는 이 사건에 대해 의회에 보고하도록 지시받았다. 프랑스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파머스턴은 해외 살해 음모를 영국에서 꾸미는 것을 중죄로 규정하는 살인 음모 방지 법안을 제출했다. 영국 측의 행위에 대한 비난은 프랑스 언론의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고, 대표단으로 프랑스 황제를 접견할 때 프랑스 군 장교들이 거친 언사를 사용한 것은 영국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더비 경은 영국 국민의 분노를 이용하여 법안에 대한 수정안을 제안했다. 1차 심의에서는 보수당이 찬성표를 던졌지만, 2차 심의에서는 반대표를 던졌다. 파머스턴은 19표 차이로 패배했다. 그리하여 1858년 2월, 그는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124]

의회에서 연설하는 파머스턴


'''제1차 파머스턴 내각 구성원'''

직책이름임기
재무부 제1장관 겸 하원 원내대표파머스턴 자작1855년 - 1858년
대법관크랜워스 남작 로버트 롤프1855년 - 1858년
추밀원 의장 겸 상원 원내대표그랜빌 르베슨 고어, 제2대 그랜빌 백작1855년 - 1858년
추밀원 부서기장조지 더글러스 캠벨, 제8대 아가일 공작1855년 - 1858년
내무부 장관제2대 준남작 조지 그레이1855년 - 1858년
외무 장관조지 빌리어스, 제4대 클래런던 백작1855년 - 1858년
식민부 장관시드니 허버트1855년
육군부 장관판뮤어 경1855년 - 1858년
해군 제1장관제2대 준남작 경 제임스 그레이엄1855년
재무부 장관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1855년
통제 위원회 의장찰스 우드 경1855년
통상부 장관올더리의 제2대 스탠리 남작 에드워드 스탠리1855년 - 1858년
랭커스터 공작해로비의 제2대 해로비 백작 더들리 라이더1855년
공공사업부 제1위원제8대 준남작 경 윌리엄 몰스워스1855년
우체국장제1대 캐닝 백작 찰스 캐닝1855년
무임소 장관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3대 랜즈다운 후작1855년 - 1858년



'''참고:'''


  • 1855년 2월 후반 - 조지 코너월 루이스 경이 글래드스턴을 이어 재무장관이 된다. 존 러셀 경은 허버트를 이어 식민부 장관이 된다. 찰스 우드 경은 제임스 그레이엄 경을 이어 해군 장관이 된다. R.V. 스미스는 우드를 이어 통제 위원회 의장이 된다.
  • 1855년 7월 - 윌리엄 몰스워스 경이 러셀을 이어 식민부 장관이 된다. 몰스워스의 후임 공공사업 최고 위원은 내각에 속하지 않는다.
  • 1855년 11월 - 헨리 라부셰어가 몰스워스를 이어 식민부 장관이 된다.
  • 1855년 12월 - 아가일 공작이 캐닝 경을 이어 우체부 장관이 된다. 하로우비 경이 아가일을 이어 추밀원 부의장이 된다. 하로우비의 후임 랭커스터 공작령 재상은 내각에 속하지 않는다.
  • 1857년 - 매튜 탤벗 베인스, 랭커스터 공작령 재상이 내각에 들어간다.
  • 1858년 2월 - 율릭 드 부르, 제1대 클랜리카르데 후작이 하로우비를 이어 추밀원 부의장이 된다.

5. 야당: 1858년-1859년

1858년 보수당의 제2차 더비 백작 내각이 성립되었다. 1859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의석을 늘렸지만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고, 야당은 위기감을 느꼈다.[443]

같은 해, 사르데냐 왕국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를 끌어들여 오스트리아 제국과 이탈리아 통일 전쟁을 벌였다. 영국 내 자유주의자들은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을 지지했고, 친이탈리아파였던 파머스턴의 정권 복귀를 바라는 분위기가 높아졌다.[443]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자유주의 여러 파벌 간 합류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1859년 6월 2일, 파머스턴은 존 러셀 경과 화해했다.[444] 6월 6일, 윌리스 룸에서 휘그당, 필파, 급진파 의원 300여 명이 모여 자유당 창당과 더비 백작 내각 불신임안 제출을 결의했다.[445][444] 자유당은 6월 7일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 10일 표결에서 가결시켰고, 더비 백작 내각은 총사퇴했다.[446]

6. 총리: 1859년-1865년 (제2차 내각)

코브든-슈발리에 조약 비준을 하원에 요구하는 파머스턴 경 (1863년 존 필립 그림)


1859년 6월, 제2차 파머스턴 자작 내각이 성립되었다. 존 러셀 경은 외무 장관, 윌리엄 글래드스턴은 재무 장관으로 입각했다.[446]

직책이름
재무부 제1재상, 하원 원내대표파머스턴 자작
대법관세인트 앤드루스의 제1대 캠벨 남작 존 캠벨
추밀원 의장, 상원 원내대표제2대 그랜빌 백작 그랜빌 조지 레브슨-고어
국새 상서제8대 아가일 공작 조지 더글러스 캠벨
내무부 장관조지 코르누얼 루이스 경
외무부 장관러셀 경 존
식민부 장관제5대 뉴캐슬 공작 헨리 펠럼-클린턴
육군 장관리 경 허버트 제1대 허버트 시드니
인도 장관제1대 핼리팩스 자작 찰스 우드 경
해군 제1대장제12대 서머셋 공작 에드워드 아돌푸스 시모어
재무부 장관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아일랜드 차관엘러베크의 제1대 카드웰 자작 에드워드 카드웰
통상부 및 빈민법 위원회 의장토마스 밀너 깁슨
랭커스터 공작제2대 준남작 조지 그레이 경
우체국장제8대 엘긴 백작 제임스 브루스


  • 1859년 7월 - 찰스 펠럼 빌리어스가 구빈법 위원회 의장직을 밀너-깁슨으로부터 승계 (밀너-깁슨은 통상부 잔류)
  • 1860년 5월 - 에드워드 스탠리(제2대 올더리 남작)가 엘긴 경으로부터 우체국장 직 승계
  • 1861년 6월 - 리처드 베델(제1대 웨스트버리 남작)이 캠벨 경으로부터 대법관 직 승계
  • 1861년 7월 - 조지 코너월 루이스 경이 허버트로부터 육군 장관직 승계. 조지 그레이 경이 루이스를 이어 내무 장관직 승계. 에드워드 카드웰이 그레이를 이어 랭커스터 공작령 장관직 승계. 카드웰의 아일랜드 수석 비서관 후임은 내각에 속하지 않음.
  • 1863년 4월 - 드 그레이 경이 조지 루이스 경 사망 후 육군 장관이 됨.
  • 1864년 4월 - 에드워드 카드웰이 뉴캐슬 공작을 이어 식민부 장관이 됨. 조지 빌리어스(제4대 클래런던 백작)가 카드웰을 이어 랭커스터 공작령 장관이 됨.
  • 1865년 7월 - 로버트 롤프(제1대 크랜워스 남작)가 웨스트버리 경을 이어 대법관이 됨


1859년 7월,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사르데냐 왕국과 단독으로 오스트리아 제국과 빌라프란카 휴전을 체결했다. 하지만 주세페 가리발디 등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의 민족주의를 막을 수는 없었고, 가리발디가 이끄는 의용군은 이탈리아 반도의 절대군주제 소국들을 잇따라 침공하여 그 영토를 사르데냐에 헌납했다. 1861년 2월에는 영국식 입헌군주제 국가 이탈리아 왕국이 수립되었다.[448]

가리발디의 독단적인 전쟁을 지원하는 나라는 파머스턴 자작이 이끄는 영국뿐이었다.[449] 이탈리아 통일 저지 입장에 있던 나폴레옹 3세가 영국을 원망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영국에서는 반프랑스 감정이 고조되었다. 프랑스와의 개전을 요구하며 영국 각지에서 의용군이 결성될 정도였다.[450] 파머스턴 자작도 그러한 반불 감정을 부추겼다.[450]

영국의 반불 감정을 우려한 나폴레옹 3세는 이를 완화하고자, 국내 보호무역주의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영국 재무장관 글래드스턴이 제창한 코브든-슈발리에 조약 체결에 응하여 영국 공업 제품의 관세를 대폭 삭감했다. 이 조약으로 영국 대 프랑스 수출은 두 배로 증가했다.[450]

파머스턴 자작의 대미 강경 자세를 바로잡아 미영 전쟁 위기를 피한 왕배앨버트 공.


1861년 4월 미국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파머스턴 자작은 영국의 엄정 중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미국 남부로부터 면화 수입의 8할을 의존하던 영국에게는 남부와의 관계 단절이 큰 타격이었다.[451]

1861년 11월, 미국 연합국(남군)이 비밀리에 영불에 보내려던 외교 사절단의 배 트렌트호가 미국(북군) 함대에 나포되는 트렌트 호 사건이 발생했다. 파머스턴 자작은 이에 격노하여 12월 5일 여왕에게 보낸 각서에서 "미국이 영국의 요구를 거부한다면 영국은 그 어느 때보다 미국에게 가혹한 타격을 가하고 쉽게 잊을 수 없는 교훈을 깨닫게 할 유리한 상황에 있습니다"라며 무력 행사 가능성을 시사했다.[452][453]

외상 러셀 백작(1861년 백작 작위 수여)이 작성한 강경 외교 문서를 읽은 여왕 부부는 전쟁을 막기 위해 나섰다. 서거 직전의 앨버트 공은 마지막 힘을 다해 이 외교 문서를 부드러운 문체로 변경했고, 파머스턴 자작과 러셀 백작에게 이를 받아들이게 했다. 이 덕분에 미영 전쟁 발발, 혹은 영국의 남북 전쟁 개입 위기는 회피되었다.[451][454]

앨버트 공 서거 후, 남북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영국 정계에 남북 전쟁 개입 기운이 높아졌다. 1862년 10월 7일, 재무 장관 글래드스턴은 남군 지원으로 비칠 수 있는 연설을 했고, 육군 장관은 글래드스턴을 비판하며 남북 전쟁 개입은 현 시점에서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연설했다. 두 사람의 연설은 모두 파머스턴 자작의 허가를 받지 않았다.[455]

파머스턴 자작은 각료들의 독단적인 행동에 짜증을 내면서도 이 문제에 대한 발언을 주의 깊게 피했다. 특히 남군에 유리한 태도는 삼갔다. 1862년 9월 앤티텀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하여 전황이 북군에게 기울기 시작했고, 북군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노예 해방을 대의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이는 노예 무역 폐지에 힘써 온 파머스턴 자작도 공감하는 바였다. 1862년 11월, 파머스턴 자작은 각의에서 남북 전쟁 불개입 방침을 재차 결정했다.[455]

그러나 미국은 남북 전쟁이 끝난 1869년, 영국 정부에 손해 배상을 청구했고, 중재 재판 결과 영국 정부는 1550만달러를 지불하게 되었다(). 청구 이유는 제3대 파머스턴 자작 내각 하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이 남북 전쟁 당시 남군사략선(군함)으로 제공되어 북군에 손해를 입혔기 때문이었다. 최초의 국제 중재 재판에서 재판관 5명이 판결한 최종 배상금 1550만달러는 워싱턴 조약의 일부가 되었고, 영국은 1872년에 이를 미국에 지불했다. 영국이 북군의 해상 봉쇄와 불법적인 어업권 할당으로 입은 손해 1929819USD는 이때 상쇄되었다.[456] 이 재판으로 미영 관계는 개선되었다.[457]

1863년 1월, 러시아 제국령 폴란드에서 1월 봉기가 발생했다. 프로이센 왕국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러시아의 봉기 진압에 협력했지만, 프랑스 제국 나폴레옹 3세는 봉기 측에 공감하며 국제 회의를 주도하여 조정에 나설 것을 생각했다.[458]

나폴레옹 3세의 야망에 경계하던 파머스턴 자작은 영국 주도로 국제 회의를 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영국은 빈 조약에 근거하여 폴란드 문제에 개입할 권한이 있다"는 견해를 러시아 외상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에게 전달했지만, 고르차코프는 "빈 조약 따위는 이미 시효가 지났다"고 말했다. 비스마르크가 고르차코프와 공동 보조를 취했기 때문에 파머스턴 자작도 국제 회의 개최를 포기했다.[459]

나폴레옹 3세는 파리에서 국제 회의를 제창했지만, 빈 체제를 파괴하려는 그의 야심을 간파한 파머스턴 자작은 이에 반대하여 저지했다.[460]

헬골란트 해전을 그린 그림


폴란드의 봉기는 유럽에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고취시켰다. 덴마크에서도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를 다시 덴마크에 유리하게 설정하려는 여론이 강해졌다.[461] 1863년 12월 크리스티안 9세가 덴마크 왕위에 오르면서 덴마크의 독일 연방에 대한 강경 외교가 두드러졌다.[462] 독일 연방 각국에서도 독일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프리드리히 8세가 아우구스텐부르크 공으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통치자로 옹립되면서 양국은 일촉즉발의 상태가 되었다.[463]

1863년 7월, 파머스턴 경은 하원에서 "영국의 책무는 덴마크의 독립, 통일, 권리를 지키는 것이다. 만약 덴마크의 독립이 침해된다면, 이에 저항하는 것은 덴마크 한 나라만이 아닐 것이다."라고 연설했지만,[462] 빅토리아 여왕이 "덴마크를 위해 독일 제국들과 전쟁을 벌이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라고 반대하여, 적극적인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464]

1864년 2월 1일,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연합군이 슐레스비히를 침공하며 제2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이 발발했다.[465] 덴마크는 병력과 장비 모두 독일보다 열세였지만, 뒬펠 요새에 틀어박히는 작전이 성공하여 전황은 교착 상태였다. 파머스턴 경은 오스트리아 해군이 북해로 진출하는 것을 경계하며 참전을 시사하며 오스트리아를 견제했지만, 빅토리아 여왕의 불개입 방침은 변하지 않았고, "더 이상 호전적인 정책을 고수한다면 의회를 해산하겠다"고 파머스턴 경을 위협했다.[466] 참전에는 군사적인 장애도 많았다. 영국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 비해 취약했고 (비스마르크는 "영국 육군은 만약 독일에 상륙하더라도 지역 경찰에게 체포시키면 된다"고 호언했다), 영국 해군은 정예였지만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어 즉시 북해로 소집하기 어려웠다.[467]

파머스턴 경은 국제 회의를 통해 사태 수습을 꾀했다.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랑스, 러시아는 이 제안을 지지했다. 덴마크는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뒬펠 요새에서 아무리 분전해도 열강의 지원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국제 회의 개최에 찬성했다.[468] 1864년 4월 25일부터 외상 러셀 경을 의장으로 하는 런던 회의가 개최되었지만, 파머스턴 경과 러셀 경 모두 친덴마크적인 태도를 보여 반발을 샀고, 헬골란트 해전에서 덴마크 해군이 오스트리아 해군에게 승리하면서 덴마크의 태도가 강경해졌으며, 독일 측도 양보의 기미를 보이지 않아 회의는 난항을 겪었다.[469] 파머스턴 경은 통풍이 악화되어 자택 요양이 많아져 적극적인 조정을 할 수 없었다.[470]

6월 15일 각의에서 회의 진전을 절망적으로 본 러셀 경은 회의를 프랑스에 맡기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지만, 파머스턴 경은 이를 기각했다. 그는 러셀 경에게 "프랑스는 베네치아에서 오스트리아를 몰아내고, 라인강 좌안으로 세력을 확대하려는 무리들이다. 그들을 믿을 수 없다"는 사견을 밝혔다. 빅토리아 여왕의 일기에 따르면, 파머스턴 경은 프랑스가 영국을 대독일 전쟁의 수렁에 빠뜨리고, 그 사이에 프랑스는 라인강 연안을 획득하고, 이탈리아 전역에서 혁명을 일으키려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471]

6월 24일6월 25일 각의에서 회의 결렬 시 영국의 행동이 논의되었지만, 최종적으로 영국은 이 문제에서 손을 떼기로 결정되었다. 런던 회의는 6월 25일에 결렬되었고, 덴마크와 독일 연방의 전쟁은 재개되었다. 전황은 독일군 우세로 진행되었고, 7월 20일 덴마크는 항복하여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을 포기했다.[472]

런던 회의 실패로 7월 5일부터 7월 6일에 걸쳐 귀족원과 하원 양쪽에서 파머스턴 경 불신임 결의안이 제출되었지만, 하원 표결에서는 찬성 295표, 반대 313표로 간신히 부결되었다. 귀족원에서는 찬성 177표, 반대 168표로 불신임안이 가결되었다. 그러나 파머스턴 경은 귀족원보다 하원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총사퇴나 해산 총선거를 거부했다.[473]

파머스턴은 재임 기간 동안 중요한 법률 통과를 감독했다. 1861년 인신 상해 방지법은 법을 성문화하고 개정했으며, 1861년 형법 통합 법안의 일부였다. 1862년 회사법은 현대 회사법의 기초가 되었다.[127] 1862년 불법 포획 방지법은 불법적인 게임 획득, 총기, 그물, 덫과 같은 특정 무기를 통한 획득, 사유지 사냥을 불법으로 만들었다.[128] 1859년 뉴캐슬 위원회를 설립하여 공교육의 부적절성을 조사했고, 이는 1862년 개정된 규정에서 학교 자금 지원 증가로 이어졌다.[129] 1865년 조합 책임법은 지역 교구를 조합으로 통합하고 빈곤 구제를 위한 기반을 넓혔다.[130] 아일랜드에 대한 파머스턴의 정책은 실용적인 감각에 기반을 두었다. 그는 토지 소유에 대한 법적 고정 장치를 만들 뻔했던 글래드스턴의 조치에 반대했다. 1860년, 1860년 토지 소유주 및 세입자 법 개정 (아일랜드)법이 아일랜드로 확대되어 토지 소유주와 세입자는 정부 감정인이 고정할 수 있는 보상이 연금 형태로 확보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파머스턴의 두 번째 정부는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입법 활동으로 유명했는데, 이는 파머스턴과 그의 내각이 광범위하고 혁신적인 개혁을 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쓸모없는 나태함에 대한 비난을 면하게 해 주었다. 글래드스턴이 도입한 의회 예산은 정부의 효율성을 보여주기에 충분했고, 각 의회 회기 말에 열린 국왕 연설은 감옥 법안, 파트너십 책임 법안, 범죄 책임 법안 등 의회 양원에서 매우 유용한 소규모 개혁을 약속했다. 그의 대법관 웨스트버리 경은 토지 양도 및 소유권 등록 계획이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법률 시스템 개혁에 대한 엄격한 시도로 "현대 개혁 대법관 중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입증되었다.

개혁을 생각하는 동료들과 달리 파머스턴은 선거 개혁과 의회 대표성 확대를 반대했고, 이로 인해 심지어 그의 내각 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그를 "변장한 토리"라고 비난했다. 전기 작가 로이드 찰스 샌더스에 따르면, 파머스턴이 "평균 이하의 사임자 수로 죽을 때까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함께 유지했다는 사실은 의회 운영자로서 그의 가장 큰 업적일 것이다." 투표권 축소와 의석 재분배에 대한 러셀의 지지는 군사 지출 증가에 대한 글래드스턴의 긴장된 반대와 비교했을 때 덜 시급했다. 파머스턴은 러셀이 투표권을 10파운드에서 6파운드로 낮추고 25개의 의석을 재분배하는 개혁 법안을 도입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황을 해결했다. 그러나 대중의 관심 부족과 의회 자체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 법안은 위원회에서 결국 실패했다.

파머스턴은 후원의 alleged 남용에 대한 폭로와 대법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웨스트버리 경이 저지른 일련의 위법 행위에 대한 조사를 둘러싸고 스캔들에 직면했다.[131] 후원 남용의 몇 가지 사례가 입증되었지만, 개인 부패 혐의에 대한 웨스트버리 경에 대한 사건은 증거 부족으로 미치지 못했다. 이 논란은 1865년 선거에서 대중이 정부에 상당한 과반수를 돌려주면서 나타난 것처럼 정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제7대 샤프츠베리 백작 앤서니 애슐리쿠퍼에 따르면, 세속적 및 교회적 후원에 대한 파머스턴 자신의 처리 방식은 "강제적"이었다. 교회 직책에 대한 그의 주교 임명은 고교회 파벌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고, 주교 사무엘 윌버포스는 파머스턴의 임명에 반대했는데, 이는 많은 주교가 영국 교회의 복음주의 분파에 속했기 때문이며, 이들은 "샤프츠베리 주교"로 알려져 있었다. 1859년, 파머스턴은 필리트와의 동맹을 통해 신학적 소속에 관계없이 자격에 따라 후보자를 선호하는 보다 포괄적인 임명을 하게 되었다.[132]

외교 정책은 그의 주요 강점으로 남았다. 그는 특히 프랑스를 중요한 동맹이자 무역 파트너로 활용하여 유럽 외교를 통제할 수는 없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종종 그의 방식을 결정적인 행동보다는 허세로 특징짓는다.[133]

파머스턴, 러셀 경, 앨버트 공은 빅토리아 여왕이 성경을 아프리카 통치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파머스턴을 여성 편력가라고 불렀다. ''더 타임스''는 그를 큐피트 경(젊은 외모 때문에)이라고 불렀고, 1863년 이혼 소송에서 79세의 나이로 공동 응답자로 지목되었지만, 그 소송은 단순한 협박 시도에 불과했다.

파머스턴과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은 서로 존중했지만, 교회 임명, 외교, 국방, 개혁에 대한 근본적인 의견 차이를 보였다.[134] 파머스턴이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겪었던 가장 큰 문제는 재무부 장관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것이었다. 하원 의원 윌리엄 헨리 그레고리 경은 "각 회기 시작과 휴가 후에 글래드스턴 씨는 즉시 착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종류의 개혁 계획으로 잔뜩 무장한 채 나타나곤 했습니다. 파머스턴은 글래드스턴의 쏟아지는 발언이 잠잠해질 때까지 아무 말 없이 앞에 놓인 서류를 뚫어지게 쳐다봤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책상을 두드리며 밝게 말했습니다. '자, 귀족 여러분과 신사 여러분, 이제 업무를 시작합시다.'"라고 회고했다.[135] 파머스턴은 샤프츠베리 경에게 "글래드스턴이 곧 모든 것을 자기 뜻대로 할 것이며, 그가 내 자리를 차지하면 이상한 일이 벌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다른 친구에게 글래드스턴이 자유당을 파멸시키고 정신병원에 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136]

1864년 5월, 하원 의원 에드워드 베인스가 하원에서 개혁 법안을 발의했을 때 파머스턴은 글래드스턴에게 특정 계획에 얽매이지 말라고 명령했다.[137] 글래드스턴은 하원 연설에서 정신적으로 무능한 사람을 제외하고 어떤 사람도 투표권을 갖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지만, 노동 계급이 개혁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한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머스턴은 이것이 노동 계급이 개혁을 요구하도록 선동하는 것이라고 믿고 글래드스턴에게 "모든 남성과 여성도 잘 통치되고 공정한 법률에 따라야 할 권리가 있으며, 변화를 제안하는 사람은 현재의 조직이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야 합니다."라고 말했다.[138]

이탈리아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으로 침공 공포가 조성되었고, 파머스턴은 1860년에 보고서를 제출한 영국 국방에 관한 왕립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보고서는 해군 조선소와 항구를 보호하기 위한 거대한 요새 건설 프로그램을 권고했으며, 파머스턴은 이를 강력하게 지지했다. 엄청난 비용에 반대하며 글래드스턴은 제안이 받아들여질 때마다 재무부 장관직에서 사임하겠다고 반복해서 위협했다. 파머스턴은 글래드스턴으로부터 너무 많은 사임 편지를 받아서 굴뚝에 불이 붙을까 두려웠다고 말했다.[139]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주 미국 영국 대사는 파머스턴의 친구이자 동맹이었던 리처드 라이언스 제2대 남작 라이언스였다. 파머스턴은 1839년 리처드 라이언스를 외무부에 처음 임명했고, 그의 아버지인 에드먼드 라이언스 제1대 남작 라이언스와 가까운 친구였으며, 크림 전쟁에서 더욱 공격적인 태도를 옹호했다. 파머스턴과 라이언스는 비슷한 사회 정치적 공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둘 다 군주제와 외세 개입주의를 옹호했다. 미국 남북 전쟁 기간 동안 파머스턴과 리처드 라이언스는 광범위한 기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그들의 행동은 트렌트 사건의 평화로운 해결에 기여했다. 라이언스가 미국 대사직에서 사임했을 때, 파머스턴은 그에게 복귀하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라이언스는 제안을 거절했다.

제3대 파머스턴 자작은 미국 남북 전쟁(1861–65)에서 분리주의 세력인 미국 남부 동맹을 지지했다. 그는 대서양 노예 무역과 노예 제도에 반대한다고 공언했지만, 평생 동안 미국에 적대감을 품었고, 연방의 해체가 영국의 국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믿었다. 게다가 남부 동맹은 "영국 제조업의 가치 있고 광범위한 시장을 제공할 것"이었다.[141][142]

영국은 1861년 5월 13일 남북 전쟁이 시작되자 중립 선언을 발표했다. 남부 동맹은 교전 단체로 인정되었지만, 주권 국가로 인정하기에는 너무 이르렀다. 미국 국무장관 윌리엄 수어드는 남부 동맹을 인정한 모든 국가를 적대 행위로 간주하겠다고 위협했다. 영국은 남부 동맹의 면화보다 미국의 옥수수에 더 의존했고, 미국과의 전쟁은 영국의 경제적 이익에 부합하지 않았다.[143] 파머스턴은 캐나다 자치령에 증원군을 파견했는데, 북부가 남부와 평화 협정을 맺은 후 캐나다를 침공할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그는 1861년 7월 제1차 불런 전투에서 남부 동맹이 승리한 것에 매우 기뻐했지만, 15개월 후 그는 다음과 같이 생각했다. "...미국 전쟁은... 북부에게는 수천 명의 성가신 아일랜드인과 독일인을 제거하는 것 외에는 달성 가능한 목표를 갖는 것이 분명히 중단되었다. 그러나 양측의 앵글로색슨 인종은 그들의 혈통에 매우 영예로운 용기와 인내심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144]

1861년 11월 트렌트 사건은 영국에서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외교적 위기를 초래했다. 미국 해군 군함이 영국 증기선 ''트렌트''를 정지시키고 유럽으로 향하던 두 명의 남부 동맹 사절을 체포했다. 파머스턴은 이 행위를 "공공연하고 심각한 모욕"이라고 부르며 두 외교관의 석방을 요구하고 3,000명의 병력을 캐나다로 파견하라고 명령했다. 1861년 12월 5일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만약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영국은 이전 어느 때보다도 미국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곧 잊혀지지 않을 교훈을 가르칠 수 있는 더 나은 상태에 있다."[145] 다른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영국과 연방 간의 전쟁을 다음과 같이 예측했다.

"거의 모든 북부 신문을 지휘하는 망명 아일랜드인들이 영국에 대해 품고 있는 격렬한 증오심이 링컨과 수어드가 우리의 요구를 수락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정도로 대중을 흥분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는 전쟁을 유력한 결과로 예상해야 한다."[145]

사실, 아일랜드인은 북부의 주요 신문을 통제하지 않았고, 미국은 전쟁의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포로를 석방하기로 결정했다. 파머스턴은 캐나다 주둔군의 존재가 미국이 동의하도록 설득했다고 확신했다.[146]

7. 유산 및 평가

그는 오스트리아를 가장 혐오하는 국가로 여겼지만, 오스트리아에 대한 반대는 주로 오스트리아가 이탈리아 북동부를 점령하고 이탈리아 정책을 펼치는 것에 기인했다. 파머스턴은 알프스 북쪽에 오스트리아가 강대국으로 존재하는 것이 유럽 체제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82] 그의 정치적 견해에는 혐오와 공감이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그의 공감은 항상 이탈리아 독립의 대의에 열정적으로 불타올랐다. 그는 양시칠리아의 페르디난도 2세에 맞서 시칠리아인을 지원했으며, 심지어 울위치의 왕립 조병창에서 그들에게 무기를 보낼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는 사르데냐카를로 알베르토 국왕이 오스트리아의 우세한 군대에 무모하게 공격하는 것을 막으려 노력했지만, 패배에 대한 처벌을 경감받도록 했다.[82] 혁명으로 약화된 오스트리아는 영국에 사절을 보내 이탈리아 영토의 대규모 할양을 기반으로 한 영국의 중재를 요청했지만, 파머스턴은 피에몬테가 얻을 수 있었을 조건들을 거부했다.[82][83]

파머스턴은 노년에도 건강을 유지했으며,[169] 1865년 10월 18일, 81번째 생일 이틀 전에 사망했다. 그는 롬지 수도원에 묻히기를 원했지만, 내각은 국장을 치르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1865년 10월 27일에 그렇게 되었다.[171] 그는 왕족이 아닌 인물로서는 다섯 번째로 국장을 받은 사람이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했지만, 그를 좋아하거나 존경한 적은 없었다고 적었다. "그 강하고 결단력 있는 남자, 세속적인 야망이 컸던 그가 사라졌다니, 이상하고 엄숙하다! 그는 종종 우리를 걱정시키고 괴롭혔지만, 총리로서 그는 '매우 잘' 행동했다."[172]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그의 죽음에 대해 "그는 우리에게 큰 손실이 될 것입니다...그는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진지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정당화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다르게 반응했다.[172]

남성 상속자가 없었기에, 그의 아일랜드 자작위는 소멸되었지만, 그의 재산은 의붓아들 윌리엄 카우퍼-템플에게 상속되었다. 상속 재산에는 의붓아버지가 미완성으로 건설을 의뢰했던 10000acre 규모의 영지가 포함되었다.[173]

그는 영국 민족주의의 전형으로 "그 시대의 정치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인물"이었다.[174]

역사가 노먼 개시는 재스퍼 리들리의 파머스턴에 대한 특징 묘사에 동의한다.[175]

: 근본적으로 그는 노련하고 냉소적이며 회복력이 강한 전문 정치인이었다.... 결국 그는 위대한 빅토리아 시대의 공인 중 한 명이 되었고, 살아있는 동안 전설이 되었으며, 이미 사라져가는 잉글랜드를 구현했다.

역사가 앨저넌 세실은 그의 위대함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176]

: 팔머스턴은 ... 그가 조작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던 언론, 그 당시 살아있는 어떤 사람보다 더 잘 관리하는 법을 배운 의회, 그리고 기질을 포착하는 방법을 알고 자신의 이름과 자원의 무게를 애국적인 대담함으로 모든 협상에 쏟았던 국가에 신뢰를 두었다. 이는 결코 능가할 수 없었다.

팔머스턴은 전통적으로 "국내에서는 보수적이고 해외에서는 자유주의적"인 인물로 여겨졌다.[177] 그는 1688년 명예 혁명을 통해 확보된 영국 헌법이 인간의 손으로 만들어낸 최고의 것이라고 믿었으며, 헌법 군주국은 토지법의 적용을 받지만 어느 정도 정치적 권력을 유지했다. 그는 법치주의를 지지했고, 1832년 개혁법 이후의 추가적인 민주화를 반대했다. 그는 절대 군주정과 공화주의 민주주의라는 두 극단 사이에 있는 이 자유주의적 혼합 헌법 시스템이 대륙의 절대 군주국을 대체하기를 바랐다.[178] 최근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총리 재임 시절의 국내 정책을 단순히 자유주의적일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기준에 비추어 진정으로 진보적이라고 보았다.[179]

팔머스턴은 외교에서 주로 기억된다. 그의 외교 정책의 주된 목표는 영국의 국익을 증진하는 것이었다.[180] 그는 애국심으로 유명하며, 존 러셀 경은 "그의 심장은 항상 잉글랜드의 명예를 위해 뛰었다"고 말했다.[181] 그는 대륙에 자유주의 정부가 수립되는 것이 영국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믿었으며, 영국의 국익을 달성하기 위해 전쟁을 위협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에서 벼랑 끝 전술과 허세를 부렸다.[180]

1886년 아치볼드 프림로즈, 제5대 로즈베리 백작이 글래드스턴 3차 내각에서 외무 장관이 되었을 때, 파머스턴에 대한 오랜 급진적 비평가인 존 브라이트는 로즈베리에게 파머스턴의 외무 장관으로서의 정책에 대해 읽어보았는지 물었다. 로즈베리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브라이트는 "그렇다면, 무엇을 피해야 할지 알겠군요. 그가 한 것과 정반대로 하세요. 그의 외무부 행정은 한편의 긴 범죄였습니다."라고 말했다.[182]

반대로, 아길 공작 존 캠벨, 제9대은 1866년 빅토리아 여왕의 사위인 마퀴스 오브 로른에게 파머스턴에 대해 "그는 자신의 조국을 사랑했고, 조국은 그를 사랑했다. 그는 그녀의 명예를 위해 살았고, 그녀는 그의 기억을 소중히 여길 것이다."라고 말했다.[183]

1889년 글래드스턴은 "어떤 프랑스인이 매우 칭찬하는 것처럼 생각하며 파머스턴에게 '만약 내가 프랑스인이 아니었다면, 잉글랜드인이 되고 싶을 것입니다.'라고 말하자, 팸은 냉정하게 '만약 내가 잉글랜드인이 아니었다면, 잉글랜드인이 되고 싶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라고 회상했다.[180]

윈스턴 처칠이 1930년대에 재무장을 위해 캠페인을 벌였을 때, 그는 국가에 국방을 지키라고 경고하는 점에서 파머스턴과 비교되었다.[184] 유화 정책으로 인해 얀 스머츠 장군은 1936년에 "우리는 우리의 그림자를 두려워합니다. 나는 때때로 파머스턴과 같은 무뢰한, 즉 진부한 말과 사과의 묶음 이상인 남자를 갈망합니다."라고 썼다.[185]

그는 노예 폐지론자였으며 노예 무역을 폐지하려는 그의 시도는 그의 외교 정책의 가장 일관된 요소 중 하나였다. 그의 노예 무역 반대는 영국 해군이 배가 대서양 노예 무역에 사용되었다고 의심될 경우 어떤 국가의 선박이라도 수색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남미 국가 및 미국과의 긴장을 조성했다.[186][187]

역사가 A. J. P. 테일러는 그의 경력을 역설을 강조하며 요약했다.[188]

: 20년 동안 보수당 정부에서 하급 장관을 지낸 그는 휘그당 외무 장관 중 가장 성공적인 인물이 되었고, 항상 보수주의자였지만 휘그당에서 자유주의로의 전환을 주재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영국의 힘을 대변했지만 외국 폭군에게 굴복한 혐의로 관직에서 쫓겨났고, 그는 세력 균형을 설파했지만 고립 정책과 영국이 유럽에서 철수하는 정책을 시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무책임하고 경박했지만 그는 진지한 중산층 유권자들의 첫 번째 영웅이 되었다. 그는 불규칙한 가족 관계를 통해서만 고위직에 올랐고, 언론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그 자리를 유지했다. 그는 훌륭한 리더 작가가 된 유일한 총리였다.

파머스턴은 또한 정부에 대한 그의 유쾌한 접근 방식으로 기억된다.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관련된 특히 다루기 힘든 문제에 대해 "그 문제를 이해한 사람은 단 세 명뿐이었다. 한 명은 이미 죽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버트 공이었고, 두 번째는 정신이 나간 독일 교수였으며, 세 번째는 그 문제를 잊어버린 그 자신이었다."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189]

참조

[1] 간행물 INT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7-09
[2] 웹사이트 Viscount Palmerston (Henry John Temple), 1784–1865 https://liberalhisto[...]
[3] 웹사이트 Lord Palmerston https://www.historic[...]
[4] 서적 The Life of Henry John Temple, Viscount Palmerston: with Selections from Hid Diaries and Correspondence, in Three Volumes https://www.yesterda[...] 1871
[5]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2010
[6] 웹사이트 Henry John Temple, 3rd Viscount Palmerston – MoPM https://www.museumof[...] 2024-12-09
[7] 서적 Modern British Foreign Policy: The Nineteenth Century 1814–80 1975
[8] 서적 The Making of Addiction: The 'Use and Abuse' of Opiu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9] 논문 Anxiety, Chaos, and the Raj.
[10] 간행물 The Ancestry of Lord Palmerston
[11]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2]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3] 서적 Lord Palmerston
[14] 서적 Lord Palmerston
[15] 서적 Lord Palmerston
[16] 웹사이트 Temple, Henry John, third Viscount Palmerston (1784–186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7] 서적 Lord Palmerston
[18] acad
[19] 서적 Lord Palmerston
[20] 서적 Lord Palmerston
[21] 서적 Lord Palmerston
[22] 서적 Lord Palmerston
[23] 서적 Lord Palmerston
[24] 서적 Lord Palmerston
[25] 문서
[26]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2011
[27] 서적 Lord Palmerston
[28] 서적 Opinions and Policy of the Right Honourable Viscount Palmerston, G.C.B., M.P., &c. as Minister, Diplomatist, and Statesman, During More Than Forty Years of Public Life 1852
[29] 서적 The Letters of the Third Viscount Palmerston to Laurence and Elizabeth Sulivan. 1804–1863 Royal Historical Society 1979
[30] 서적 Nineteenth Century British Premiers: Pitt to Rosebery 2008
[31] 서적 Lord Palmerston
[32] 웹사이트 REPEAL OF THE TEST AND CORPORATION ACTS. https://api.parliame[...] 1828-02-26
[33] 서적 Lord Palmerston
[34] 서적 Lord Palmerston
[35] 서적 Lord Palmerston
[36] 서적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37] 서적 British History in the 19th Century London
[38]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39] 간행물 Gunboat Liberalism? Palmerston, Europe and 1848
[40] 문서
[41] 서적 Britain in Europe: 1789-1914
[42] 서적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43]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44] 서적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45] 서적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46] 서적 British History in the 19th Century London
[47] 논문 The London Conference of 1830
[48] 서적 Lord Palmerston
[49] 서적 The Triumph of Reform London
[50] 서적 Britain in Europe: 1789-1914
[51] 서적 The Life of Henry John Temple Viscount Palmerston: With Selections from His Diaries and Correspondence https://archive.org/[...] Richard Bentley
[52]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53] 서적 Karl Marx. His life story Moscow. Gospolitizdat
[54] 문서
[55] 서적 The life and correspondence of Henry John Temple, viscount Palmerston https://archive.org/[...] Richard Bentley
[56] 서적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England and the Near East: The Crimea Routledge
[58] 서적 Britain in Europe: 1789-1914
[59] 문서 Lord Palmerston
[60] 서적 The Origins of Christian Zionism: Lord Shaftesbury And Evangelical Support for a Jewish Hom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간행물 Peaceful intentions: the first British trade commission in China, 1833–5.
[62] 서적 Britain's China Policy and the Opium Crisis: Balancing Drugs, Violence and National Honour, 1833–1840 https://books.google[...] Ashgate
[63] 서적 Lord Palmerston
[64] 문서
[65] 간행물 Canton, 1857
[66] 간행물 The British Foreign Office and Policy Formation: The 1840s
[67] 간행물 Origins of Animosity: Lord Palmerston and The Times, 1830–41.
[68] 논문 Compelling but not Controlling?: Palmerston and the Press, 1846–1855
[69] 문서 Oxford DNB, 'Temple, Emily'
[70]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71] 서적 Famous English Statesmen of Queen Victoria's Reign C.J. Peter's and Sons
[72] 서적 We Two: Victoria and Albert: Rulers, Partners, Rivals
[73] 서적 Daniel Webster W. W. Norton and Co.
[74]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75]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viscount Palmerston https://books.google[...]
[76] 간행물 Palmerston and Anglo–French Relations, 1846–1865 2006-12
[77] 서적 Palmerston
[78] 뉴스 Remembering 20,000 Famine refugees who died in 1847 https://www.irishtim[...] 2016-11-26
[79] 논문 Lord Palmerston and the Irish famine emigration 2001-06
[80] 뉴스 In Famine's footsteps: trail of death leads to Skeleton Park https://www.irishtim[...] 2016-06-30
[81] 서적 Britain in Europe: 1789-1914
[82] 서적 Lord Palmerston
[83] 서적 Lord Palmerston - Vol. 1
[84] 서적 Lord Palmerston
[85] 서적 Palmerston and the Times: Foreign Policy, the Press and Public Opinion in Mid-Victorian Britain https://books.google[...] I.B.Tauris
[86] 서적 Lord Palmerston
[87] 서적 A Mad, Bad, and Dangerous People?: England 1783-1846 https://books.google[...] OUP Oxford
[88] 웹사이트 TREATY OF ADRIANOPLE—CHARGES AGAINST VISCOUNT PALMERSTON. (Hansard, 1 March 1848) https://api.parliame[...] 1848-03-01
[89] 서적
[90] 서적
[91] 논문 Don Pacifico, Democracy, and Danger: The Protectionist Party Critique of British Foreign Policy, 1850–1852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논문 The power of public opinion: Palmerston and the crisis of December 1851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Lord Palmerston
[10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rimean Wa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2-04-16
[106]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07] 서적
[108] 서적 The Great Rivalry: Gladstone and Disraeli https://books.google[...] I.B. Tauris
[109]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10] 서적 The Crimean War: A History 2010
[111]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12] 서적
[113] 서적 Deadly Dreams: Opium, Imperialism, and the Arrow War (1856–1860) in China 1998
[114] 웹사이트 Lord Palmerston and Parliamentary Representation, 1830-1865 https://www.parlemen[...]
[115] 웹사이트 THE ADMINISTRATION OF VISCOUNT PALMERSTON—LEGISLATION AND STATE OF PARTIES. (Hansard, 1 August 1862) https://api.parliame[...] 2024-12-06
[116] 서적 Sahib and Sepoy: The British Perspective on the Sepoy Rebellion of 1857 https://mds.marshall[...] Marshall Digital Scholar 2011-01-01
[117] 웹사이트 The British Press and the Indian Mutiny https://www.britishe[...]
[118] 서적 British Reaction to the Sepoy Mutiny, 1857-58 https://digital.libr[...]
[119] 서적 British Reaction to the Sepoy Mutiny, 1857-58 https://digital.libr[...]
[120] 서적 Lord Palmerston https://www.gutenber[...] 1882-01-01
[121] 서적 British Reaction to the Sepoy Mutiny, 1857-1858 https://digital.libr[...]
[122] 서적 Lord Palmerston https://www.gutenber[...] 1882-01-01
[123] 서적 Lord Palmerston 1882-01-01
[124]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25] 서적 The Letters of Queen Victoria: A Selection from Her Majesty's Correspondence Between the Years 1837 and 1861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126] 서적 Readers Guide to British History 2003
[127] 서적
[128] 웹사이트 THE ADMINISTRATION OF VISCOUNT PALMERSTON—LEGISLATION AND STATE OF PARTIES. (Hansard, 1 August 1862) https://api.parliame[...] 2024-12-06
[129] 웹사이트 Henry John Temple, Viscount Palmerston https://www.britishe[...]
[130] 서적 On The Anomalous Differences of the Poor Laws in Ireland and of England https://opac.oireach[...] 1880-09-15
[131] 웹사이트 THE SECOND WESTBURY SCANDAL. L ORD WESTBURY has made the great » 1 Jul 1865 » The Spectator Archive https://archive.spec[...] 2024-12-07
[132] 간행물 Lord Palmerston and Religion: A Reappraisal https://oro.open.ac.[...] 2005
[133] 서적 A Companion to 19th-Century Britain 2006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문서 Gladstone and Palmerston, being the Correspondence of Lord Palmerston with Mr. Gladstone 1851–1865 Victor Gollancz 1928
[138] 문서
[139] 서적
[140] 서적 Lord Lyons: A Diplomat in an Age of Nationalism and War McGill-Queen’s Press 2014
[141] 문서 Ridley, p. 552.
[142] 논문 "Lincoln vs. Palmerston" in Peraino, ''Lincoln in the World: The Making of a Statesman and the Dawn of American Power'' 2013
[143] 서적 American Foreign Relations: A History to 192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44] 문서 Ridley, p. 559.
[145] 문서 Ridley, p. 554.
[146] 논문 British Preparations for War with the North, 1861–1862 1961-10
[147] 간행물 The Intervention Crisis of 1862: A British Diplomatic Dilemma?
[148] 서적 Lincoln, Seward, and U.S. Foreign Relations in the Civil War E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9-04-05
[149] 서적 Civil War Chronology, 1861-1865 https://books.google[...] Naval Operations Office 1966
[150] 뉴스 Historians reveal secrets of UK gun-running which lengthened the American civil war by two yea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06-24
[151] 웹사이트 The Confederate Blockade Runners https://www.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33-04
[152]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Through British Eyes Dispatches from British Diplomats: April 1862-February 1863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3
[153] 문서 Adams (1925)
[154] 문서 Ridley, pp. 570–571.
[155] 문서 Ridley, p. 571.
[156] 서적 The Foreign Policy-of Victorian England 1830–1902 1970
[157] 문서 Bourne, p. 373.
[158] 서적 Lord Palmerston 1936
[159] 논문 Dreadnoughts without Wheels 2014-08
[160] 문서 Ridley, p. 572.
[161]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62] 서적 Lord Palmerston 1970
[163] 뉴스 'Lord Palmerston at Tiverton' The Times 1864-08-24
[164] 서적 Lord Palmerston Batchworth Press 1954
[165] 간행물 Lord Palmerston in European diplomacy
[166] 문서 Ridley, p. 579.
[167] 문서 Ridley, p. 581.
[168] 문서 Ridley, p. 582.
[169] 서적 Disraeli: A Personal History 2004
[170] 문서 Ridley, p. 583.
[171]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John Murray 1882
[172] 문서 Ridley, p. 584.
[173] 웹사이트 Profile of an Irish Village-Palmerston and the Conquest, Colonisation and Evolution of Mullaghmore, Co. Sligo http://www.sligoheri[...] 2013-09-26
[17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iberal Government in Victorian Britain 1993
[175] 간행물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https://www.jstor.or[...] 1972-01
[176] 서적 British Foreign Secretaries, 1807–1916
[177] 문서
[178] 문서
[179] 서적 Palmerston and Liberalism, 1855–18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0] 문서
[181] 뉴스 The Times 1865-11-10
[182] 문서
[183] 서적 Edinburgh Review https://books.google[...]
[184] 서적 Winston Churchill. The Wilderness Years Book Club Associates
[185] 서적 Smuts. Volume II: The Fields of Force. 1919–19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6] 간행물 Palmerston and Anti-Slavery
[187] 간행물 Britain, Portugal and the suppression of the Brazilian slave trade: the origins of Lord Palmerston's Act of 1839. https://www.jstor.or[...]
[188] 간행물 Lord Palmerston
[189] 서적 Choose Your Weapons: The British Foreign Secretary https://books.google[...] Orion
[190] 문서 Temple, Henry John
[191] 웹사이트 Palmerston Park http://www.southampt[...] Southampton City Council 2012-06-22
[192] 서적 World Historical Fiction: An Annotated Guide to Novels for Adults and Young Adul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193] 서적 War Gothic i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4] 서적 Flying Colours https://books.google[...] eNet Press
[195] 서적 Wagons West: The Epic Story of America's Overland Trails Open Road
[196] 서적 Planet Simpson: How a Cartoon Masterpiece Documented an Era and Defined a Generati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of Canada
[197] 뉴스 Palmerston the cat arrives for work at the Foreign Office https://www.telegrap[...] 2016-04-13
[198] 웹사이트 Laurence Fox is Palmerston https://www.pbs.org/[...] 2019
[19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 서적 Debrett's Peerage 1865
[202] 문서 秦(2001)
[203] 문서 秦(2001)
[204] 웹사이트 HANSARD 1803–2005 https://api.parliame[...]
[205] 문서 世界伝記大事典(1981)世界編7巻
[206] 문서 君塚(2006)
[207] 문서 世界伝記大事典(1981)世界編7巻
[208] 문서 君塚(2006)
[209] 문서 中西(1997)
[210] 문서 中西(1997)
[211] 서적 君塚(2006)
[212] 서적 君塚(2006)
[213] 서적 Ridley(1970)
[214] 서적 君塚(2006)
[215] 서적 Ridley(1970)
[216] 서적 Ridley(1970)
[217] 서적 君塚(2006)
[218] 서적 Ridley(1970)
[219] 서적 君塚(2006)
[220] 서적 君塚(2006)
[221] 서적 君塚(2006)
[222] 서적 君塚(2006)
[223] 서적 Ridley(1970)
[224] 서적 君塚(2006)
[225] 서적 Ridley(1970)
[226] 서적 君塚(2006)
[227] 서적 君塚(2006)
[228] 서적 君塚(2006)
[229] 서적 君塚(2006)
[230] 서적 Ridley(1970)
[231] 서적 君塚(2006)
[232] 서적 君塚(2006)
[233] 서적 君塚(2006)
[234] 서적 君塚(2006)
[235] 서적 君塚(2006)
[236]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237] 서적 君塚(2006)
[238] 서적 君塚(2006)
[239] 서적 君塚(2006)
[240] 서적 君塚(2006)
[241] 서적 君塚(2006)
[242] 서적 君塚(2006)
[243] 서적 君塚(2006)
[244] 서적 君塚(2006)
[245] 서적 山口(2011)
[246] 서적 君塚(2006)
[247] 서적 君塚(2006)
[248] 서적 君塚(2006)
[249] 서적 今来(1972)
[250] 서적 デュモン(1997)
[251] 서적 君塚(2006)
[252] 서적 君塚(2006)
[253] 서적 森田(1998)
[254] 서적 今来(1972)
[255] 서적 君塚(2006)
[256] 서적 君塚(2006)
[257] 서적 君塚(2006)
[258] 서적 デュモン(1997)
[259] 서적 君塚(2006)
[260] 서적 君塚(2006)
[261] 서적 君塚(2006)
[262] 서적 デュモン(1997)
[263] 서적 君塚(2006)
[264] 서적 君塚(2006)
[265] 서적 デュモン(1997)
[266] 서적 君塚(2006)
[267] 서적 君塚(2006)
[268] 서적 山口(2011)
[269] 서적 君塚(2006)
[270] 서적 山口(2011)
[271] 서적 山口(2011)
[272] 서적 山口(2011)
[273] 서적 君塚(2006)
[274] 서적 山口(2011)
[275] 서적 君塚(2006)
[276] 서적 山口(2011)
[277] 서적 君塚(2006)
[278] 서적 君塚(2006)
[279] 서적 山口(2011)
[280] 서적 君塚(2006)
[281] 서적 山口(2011)
[282] 서적 君塚(2006)
[283] 서적 山口(2011)
[284] 서적 横井(1988)
[285] 서적 横井(1988)
[286] 서적 横井(1988)
[287] 서적 尾鍋(1984)
[288] 서적 村岡、木畑(1991)
[289] 서적 横井(1988)
[290] 서적 横井(1988)
[291] 서적 横井(1988)
[292] 서적 横井(1988)
[293] 서적 横井(1988)
[294] 서적 村岡、木畑(1991)
[295] 서적 尾鍋(1984)
[296] 서적 モリス(2008)上
[297] 서적 モリス(2008)上
[298] 서적 ユアンズ(2002)
[299] 서적 モリス(2008)上
[300] 서적 ユアンズ(2002)
[301] 서적 モリス(2008)上
[302] 서적 ユアンズ(2002)
[303] 서적 モリス(2008)上
[304] 서적 ユアンズ(2002)
[305] 서적 モリス(2008)上
[306] 서적 ユアンズ(2002)
[307] 서적 モリス(2008)上
[308] 서적 ユアンズ(2002)
[309] 서적 モリス(2008) 上巻
[310] 서적 浜渦(1999)
[311] 서적 君塚(2006)
[312] 서적 君塚(2006)
[313] 서적 神川(2011)
[314] 서적 君塚(2006)
[315] 서적 君塚(2006)
[316] 서적 君塚(2006)
[317] 서적 君塚(2006)
[318] 서적 君塚(2006)
[319]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320] 서적 君塚(2006)
[321] 서적 君塚(2006)
[322] 서적 君塚(2006)
[323] 서적 森田(1998)
[324] 서적 森田(1998)
[325] 서적 君塚(2006)
[326] 서적 君塚(2006)
[327] 서적 森田(1998)
[328] 서적 君塚(2006)
[329] 서적 スタインバーグ(2013) 上巻
[330] 서적 君塚(2006)
[331] 서적 君塚(2006)
[332] 서적 君塚(2006)
[333] 서적 君塚(2006)
[334] 서적 君塚(2006)
[335] 서적 君塚(2006)
[336] 서적 君塚(2006)
[337] 서적 君塚(2006)
[338] 서적 君塚(2006)
[339] 서적 君塚(2006)
[340] 서적 君塚(2006)
[341] 서적 尾鍋(1984)
[342] 서적 川本・松村(2006)
[343] 서적 神川(2011)
[344] 서적 君塚(2006)
[345]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46] 서적 君塚(2006)
[347] 서적 川本・松村(2006)
[348]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49] 서적 川本・松村(2006)
[350] 서적 川本・松村(2006)
[351] 서적 神川(2011)
[352] 서적 君塚(2006)
[353] 서적 村岡、木畑(1991)
[354]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55] 서적 川本・松村(2006)
[356] 서적 川本・松村(2006)
[357] 서적 君塚(2006)
[358]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59]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60] 서적 川本・松村(2006)
[361]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362] 서적 尾鍋(1984)
[363] 서적 君塚(2006)
[364] 서적 尾鍋(1984)
[365] 서적 神川(2011)
[366]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367]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368] 서적 君塚(2006)
[369] 서적 神川(2011)
[370] 서적 君塚(2006)
[371] 서적 君塚(2006)
[372] 서적 ブレイク(1993)
[373] 서적 君塚(2006)
[374] 서적 ブレイク(1993)
[375] 서적 神川(2011)
[376] 서적 神川(2011)
[377] 서적 神川(2011)
[378] 서적 君塚(2006)
[379] 서적 尾鍋(1984)
[380] 서적 君塚(2006)
[381] 서적 君塚(2006)
[382] 서적 君塚(2006)
[383] 서적 君塚(2006)
[384] 서적 悪党たちの大英帝国 株式会社新潮社 2020
[385] 서적 君塚(2006)
[386] 서적 君塚(2006)
[387] 서적 君塚(2006)
[388] 서적 神川(2011)
[389] 서적 神川(2011)
[390] 서적 ブレイク(1993)
[391] 서적 神川(2011)
[392] 서적 ブレイク(1993)
[393] 서적 神川(2011)
[394] 서적 神川(2011)
[395] 서적 ブレイク(1993)
[396] 서적 君塚(2006)
[397] 서적 君塚(2006)
[398] 서적 君塚(2006)
[399] 서적 君塚(2006)
[400] 서적 君塚(2006)
[401] 서적 君塚(2006)
[402] 서적 ブレイク(1993)
[403] 서적 君塚(2006)
[404] 서적 君塚(2006)
[405] 서적 君塚(2006)
[406] 서적 君塚(2006)
[407] 서적 村岡、木畑(1991)
[408] 서적 横井(1988)
[409] 서적 横井(1988)
[410] 서적 横井(1988)
[411] 서적 横井(1988)
[412] 서적 横井(1988)
[413] 서적 神川(2011)
[414] 서적 横井(1988)
[415] 서적 ブレイク(1993)
[416] 서적 神川(2011)
[417] 서적 ブレイク(1993)
[418] 서적 神川(2011)
[419] 서적 尾鍋(1984)
[420] 서적 神川(2011)
[421] 서적 村岡、木畑(1991)
[422] 서적 横井(1988)
[423] 서적 横井(1988)
[424] 서적 村岡、木畑(1991)
[425] 서적 村岡、木畑(1991)
[426] 서적 横井(1988)
[427]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428] 서적 長崎(1981)
[429] 서적 長崎(1981)
[430] 서적 長崎(1981)
[431] 서적 浜渦(1999)
[432] 서적 ブレイク(1993)
[433]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434] 서적 モリス(2008)上
[435] 서적 ブレイク(1993)
[436] 서적 浜渦(1999)
[437] 서적 尾鍋(1984)
[438] 서적 尾鍋(1984)
[439] 서적 ブレイク(1993)
[440] 서적 尾鍋(1984)
[441] 서적 神川(2011)
[442] 서적 ブレイク(1993)
[443] 서적 ブレイク(1993)
[444] 서적 君塚(2006)
[445] 서적 ブレイク(1993)
[446] 서적 君塚(2006)
[447] 서적 君塚(2006)
[448] 서적 神川(2011)
[449] 서적 神川(2011)
[450] 서적 神川(2011)
[451] 서적 君塚(2006)
[452] 서적 君塚(2006)
[453] 서적 Ridley(1970)
[454]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455] 서적 君塚(2006)
[456] 서적 A Diplomatic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Y 1958
[457] 웹사이트 Great Britain and the American Civil War. https://www.gutenber[...] 1924
[458] 서적 君塚(2006)
[459] 서적 君塚(2006)
[460] 서적 君塚(2006)
[461] 서적 君塚(2006)
[462] 서적 君塚(2006)
[463] 서적 君塚(2006)
[464] 서적 君塚(2006)
[465] 서적 君塚(2006)
[466] 서적 君塚(2006)
[467] 서적 君塚(2006)
[468] 서적 君塚(2006)
[469] 서적 君塚(2006)
[470] 서적 君塚(2006)
[471] 서적 君塚(2006)
[472] 서적 君塚(2006)
[473] 서적 君塚(2006)
[474] 서적 君塚(2006)
[475] 서적 君塚(2006)
[476]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下巻
[477] 웹사이트 Palmerston, Viscount (I, 1723 - 1865) http://www.cracrofts[...] 2015-12-03
[478] 문서 Palmerston, Henry John (Temple), Viscount
[479] 서적 村岡、木畑(1991)
[480] 서적 村岡、木畑(1991)
[481] 서적 木畑・秋田(2011)
[482] 서적 モリス(2008)下
[483]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484] 서적 ワイントラウブ(1993) 上巻
[485]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486]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487] 서적 ストレイチイ(1953)
[488] 서적 世界伝記大事典(1981)世界編7巻 1981-07-01
[489] 서적 村岡、木畑(1991)
[490] 서적 ブレイク(1993)
[491] 문서 川本・松村(2006) p.247
[492] 뉴스 「菅首相」の先輩? 英無派閥宰相のリーダーシップ https://bizgate.nikk[...] 2020-09-15
[493] 문서 君塚(2006) p.23
[494] 문서 君塚(2006) p.23
[495] 문서 君塚(2006) p.23
[496] 문서 君塚(2006) p.23
[497] 문서 君塚(2006) p.24
[498]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2010
[499] 서적 Modern British Foreign Policy: The Nineteenth Century 1814–80 1975
[500] 저널 The Ancestry of Lord Palmerston
[501] 서적 Lord Palmerston 1970
[502] 서적 Lord Palmerston 1970
[503] 서적
[504] 서적
[505] 서적
[506] 웹사이트 Temple, Henry John, third Viscount Palmerston (1784–186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07] 서적
[508] acad
[509] 서적
[510] 서적
[511] 서적
[512] 서적
[513] 서적
[514] 서적
[515] 문서
[516] 서적 Palmerston: a biography 2011
[517] 서적
[518] 서적 Opinions and Policy of the Right Honourable Viscount Palmerston, G.C.B., M.P., &c. as Minister, Diplomatist, and Statesman, During More Than Forty Years of Public Life 1852
[519] 서적 The Letters of the Third Viscount Palmerston to Laurence and Elizabeth Sulivan. 1804–1863 The Royal Historical Society 1979
[520] 서적 Nineteenth Century British Premieres: Pitt to Roseberry 2008
[521] 서적
[522] 웹인용 REPEAL OF THE TEST AND CORPORATION ACTS. HC Deb 26 February 1828 vol 18 cc676-781 http://hansard.millb[...] 2021-02-07
[523] 서적
[524] 웹사이트 Temple, Henry John, third Viscount Palmerston (1784–186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25] 서적
[526] 서적 Ridley, pp. 105–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