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성 양순 내파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양순 내파음은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내파음의 한 종류로,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며,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ɓ로 표기된다. 이 소리는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특히 베트남어에서는 'b'가 이 소리로 발음되어 'ㅂ'으로 표기된다.

2. 특징

2. 1. 조음 방법

유성 양순 내파음은 후두를 하강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내파음이며,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1]

2. 1. 1. 기류 발생

비폐쇄 기류 기구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흡기가 유성 양순 내파음의 기류 발생 방식이다.[1]

2. 1. 2. 발성

성대의 진동을 동반한 유성음이다.[3]

2. 1. 3. 조음 위치

조음 위치는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내는 양순음이다.

2. 1. 4. 구강 내 기류


  • 조음 위치 - 아랫입술과 윗입술에 의한 양순음.[1]
  • 기류의 발생 - 비폐쇄 기류 기구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흡기.[1]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후두를 하강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내파음.[1]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1]

2. 1. 5.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후두를 하강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생기는 내파음이다.

2. 1. 6. 연구개의 위치

조음 위치는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는 양순음이다. 조음 방법으로는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3. 언어별 발음 예시

유성 양순 내파음의 언어별 발음 예시
언어단어IPA의미비고
하우사어ɓaɓewa|바베와ha[ɓaɓɛua]'싸움'
베트남어bạn|반vi[ɓan̪˧ˀ˨ʔ]'당신'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줄루어ubaba|우바바zu[úˈɓàːɓá]'나의 아버지'
쇼나어baba|바바sn[ɓàːɓá]'아버지'
신드어ٻर|바르sd[ɓaˑrʊ]'아이'
좡어lajmbwn|라지븬za[la̋ːɓɯ̌n]'세계'
아카텍어'peypal''[ɓejɓal]'걷는 (것)'
발란타-간자어ɓaara|바아라bjt[ɓaːra]?'왜가리'/b/의 가능한 변이음.[1]
에가어[2][ɓá]'보내다'
영어 (남부 미국 영어[3])body[ɓʌdi]'신체'단어 첫머리 /b/의 가능한 실현. 영어 음운론 참조
풀라어[4]fulɓe|풀베ff[fulɓe]풀베 사람 (복수)
고에마이어ḅas|바스ank[ɓas]'가져오다'
자메이카 파토아어[5]beat|비트jam[ɓiːt]'치다'강세 음절의 시작에서 /b/의 변이음.
칼라바리어[6]ḅá|바ijn[ɓá]'죽이다'
크메르어បារាំង|바랑km[ɓaːraŋ]명사: 프랑스
형용사: '프랑스의'
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콘소어[7]bad|바드kxc[ɓaɗ]‘숨기다’
콰자어bura|부라xwa[ɓuɾa]'모자를 씌워라!'
마마인데어[8][ˌɓa:ˈnãn]'(그들은) 둘이다'/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8]
유카텍 마야어balam|발람yua[ɓalam]'재규어'
맘어qanbʼax|칸바흐mam[qamɓaʂ]'발'
모노어[9]‘balœ|발뢰mnh[ɓálə́]'에서'
펀자브어 (방언)ਬੱਕਰੀ|바크리pa[ˈɓək.krɪ]'염소'
파우마리어[10]‘bo’da|보’다pad[ɓoɗa]'늙은'
사라이키어[11]ٻال|바알skr[ɓɑː.l]'아이'
세레르어[12]ɓood|보오드srr[ɓoːd]'기어가다'/ɓ̥, ɗ̥, ʄ̊, ɓ, ɗ, ʄ/와 대조.
남부 맘비콰라어[13][ɓa̰h]'사과하다'/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13]
테라어[14]ɓala|발라ttr[ɓala]'말하다'구개음화된 내파음, /ɓʲ/과 음소적으로 대조.
투캉 베시어[aɓa]'이전의'


3. 1. 아프리카

ey''p'al[ɓejɓal]걷는 (것)에가어[2]ɓámul보내다영어 (남부 미국 영어[3])body[ɓʌdi]신체단어 첫머리 /b/의 가능한 실현. 영어 음운론 참조자메이카 파토아어[5]beat|비트jam[ɓiːt]치다강세 음절의 시작에서 /b/의 변이음.콘소어[7]bad|바드kxc[ɓaɗ]숨기다콰자어bura|부라xwa[ɓuɾa]모자를 씌워라!마마인데어[8]ɓaːnãnmul(그들은) 둘이다/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8]맘어qanbʼax|밤바쉬mam[qamɓaʂ]발파우마리어[10]‘b’o’da|보오다pad[ɓoɗa]늙은쇼나어baba|바바sn[ɓàːɓá]아버지투캉 베시어aɓamul[aɓa]이전의줄루어ubaba|우바바zu[úˈɓàːɓá]나의 아버지



이 외에도 하우사어, 풀라어, 발란타-간자어, 세레르어, 고에마이어, 칼라바리어, 남부 맘비콰라어, 테라어, 모노어(콩고) 등에서 유성 양순 내파음이 사용된다.

3. 1. 1. 하우사어

ɓaɓewa|싸움ha / 는 '싸움'을 뜻한다.[4]

3. 1. 2. 풀라어

fulɓe|풀베ff[4]풀라어에서 /ɓ/로 소리나며, '풀베 사람'을 뜻한다.

3. 1. 3. 발란타-간자어

ɓaara|ɓaːrabjt는 발란타-간자어로 '왜가리'를 뜻하며, /b/의 가능한 변이음 중 하나이다.[1]

3. 1. 4. 세레르어

'''ɓ'''ood|ɓoːdsrr[12]는 '기어가다'라는 뜻이다. 와 대조된다.

3. 1. 5. 고에마이어

ḅasank에서 이 소리가 나며, [ɓas]로 발음되고 '가져오다'라는 뜻을 갖는다.[4]

3. 1. 6. 칼라바리어

칼라바리어[6]에서는 'ḅ'가 사용되며, ḅá|바ijnIPA로 와 같이 소리나며 '죽이다'라는 뜻을 갖는다.

3. 1. 7. 남부 맘비콰라어

남부 맘비콰라어에서 는 '사과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p/의 가능한 변이음 중 하나이다.[13]

3. 1. 8. 테라어

ɓala|테라어ttr[14]에서 이 소리가 나며, '말하다'라는 뜻이다. 구개음화된 내파음 과 음소적으로 대조된다.

3. 1. 9. 모노어(콩고)

‘b’alœ|[ɓálə́]mnh[9]는 모노어에서 '에서'라는 뜻을 가진다.

3. 2. 아메리카

'''ey'''p''''al''이 [ɓejɓal]로 발음된다. 마야어족에 속하는 유카텍 마야어에서는 '재규어'를 뜻하는 '''b'''alam이 [ɓalam]으로 발음되며, 맘어에서는 qan'''bʼ'''ax가 [qamɓaʂ]로 발음되어 '발'을 의미한다. 콰자어에서는 '''b'''uraxwa ([ɓuɾa])가 '모자를 씌워라!'라는 뜻이다.

영어의 방언인 남부 미국 영어에서는 단어 첫머리의 /b/가 [ɓ]로 실현되기도 한다.[3] 예를 들어 'body'는 [ɓʌdi]로 발음될 수 있다. 자메이카 파토아어에서 '''b'''eatjam ([ɓiːt])는 '치다'라는 뜻이며, 강세 음절 시작 부분의 /b/ 변이음이다.[5] 마마인데어에서 [ˌɓa:ˈnãn]은 '(그들은) 둘이다'라는 뜻으로, /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이다.[8] 파우마리어에서 ''' ([ɓoɗa])는 '늙은'이라는 뜻이다.

3. 2. 1. 아카텍어

ey''p'al[ɓejɓal]'걷는 (것)'


3. 2. 2. 마야어족

마야어족에 속하는 유카텍 마야어에서는 '재규어'를 뜻하는 '''b'''alam이 [ɓalam]으로 발음된다.[1] 또한 맘어에서는 qan'''bʼ'''ax가 [qamɓaʂ]로 발음되어 '발'을 의미한다.

3. 2. 3. 맘어

qan'''bʼ'''axmam [8] '발'

3. 2. 4. 콰자어

'''b'''ura|모자를 씌워라!xwa[7]는 로 발음된다.

3. 2. 5. 투캉 베시어

[14]

3. 2. 6. 남부 미국 영어

영어의 남부 미국 영어에서는 단어 첫머리의 /b/가 [ɓ]로 실현되기도 한다.[3] 예를 들어 'body'는 [ɓʌdi]로 발음될 수 있다.[3]

3. 2. 7. 자메이카 파토아어

'''b'''eat|비트|jam는 '치다'라는 뜻이며, [ɓiːt]로 소리난다. 이는 강세 음절이 시작될 때 가 변이된 소리이다.[5]

3. 2. 8. 마마인데어

ˌɓa:ˈnãn[8]은 '(그들은) 둘이다'라는 뜻으로, 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이다.[8]

3. 2. 9. 파우마리어

'b'o'da|보오다pad[10]는 '늙은'이라는 뜻이다.

3. 3. 아시아

하우사어에서는 'ɓ'가 이 소리를 나타내며, '''ɓ'''a'''ɓ'''ewa|바베와ha / ([ɓaɓɛua])는 '싸움'을 의미한다.[4]

쇼나어줄루어에서는 'b'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쇼나어 '''b'''a'''b'''a|바바sn ([ɓàːɓá])는 '아버지'를, 줄루어 u'''b'''a'''b'''a|우바바zu ([úˈɓàːɓá])는 '나의 아버지'를 뜻한다.[15]

그 외에도 아카텍어, 발란타-간자어, 에가어, 고에마이어, 자메이카 파토아어, 칼라바리어, 콘소어, 콰자어, 마마인데어, 유카텍 마야어, 맘어, 모노어, 파우마리어, 세레르어, 남부 맘비콰라어, 테라어, 투캉 베시어 등에서도 이 소리가 발견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카텍어'powiki/>ey''p'al[ɓejɓal]'걷는 (것)'
발란타-간자어ɓaarabjt?[ɓaːra]?'왜가리'/b/의 가능한 변이음.[1]
에가어[2][ɓá]'보내다'
고에마이어asank[ɓas]'가져오다'
자메이카 파토아어[5]beatjam[ɓiːt]'치다'강세 음절의 시작에서 /b/의 변이음.
칼라바리어[6]áijn[ɓá]'죽이다'
콘소어[7]badkxc[ɓaɗ]‘숨기다’
콰자어buraxwa[ɓuɾa]'모자를 씌워라!'
마마인데어[8][ˌɓa:ˈnãn]'(그들은) 둘이다'/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8]
유카텍 마야어balamyua[ɓalam]'재규어'
맘어qanaxmam[qamɓaʂ]'발'
모노어[9]‘balœmnh[ɓálə́]'에서'
파우마리어[10][ɓoɗa]'늙은'
세레르어[12]ɓoodsrr/ [ɓoːd]'기어가다'/ɓ̥, ɗ̥, ʄ̊, ɓ, ɗ, ʄ/와 대조.
남부 맘비콰라어[13][ɓa̰h]'사과하다'/p/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13]
테라어[14]ɓalattr[ɓala]'말하다'구개음화된 내파음, /ɓʲ/과 음소적으로 대조.
투캉 베시어[aɓa]'이전의'


3. 3. 1. 베트남어

베트남어에서 'b'는 유성 양순 내파음 [ɓ]로 소리난다.[15] 이는 베트남어 음운론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단어IPA의미
bạn|반vi[ɓan̪˧ˀ˨ʔ]당신


3. 3. 2. 크메르어

បារាំង|바랑km (IPA: [ɓaːraŋ])은 '프랑스'를 뜻하는 명사이자 '프랑스의'를 뜻하는 형용사이다. 크메르어 음운론을 참고하라.

3. 3. 3. 신드어

ٻर|ٻ|바sd에서 이 소리가 난다. 신드어에서 'ٻ'는 '아이'를 뜻하는 ٻال|ٻ|바알skr ([ɓɑː.l])과 ٻर|ٻ|바루sd ([ɓaˑrʊ]) 등의 단어에 쓰인다.[11]

3. 3. 4. 사라이키어

ٻال|사라이키 문자skr[11]

'아이'

3. 3. 5. 펀자브어

구르무키 문자|ਬੱਕਰੀ|바크리pa / بکری|바크리pnb에서 이 소리가 나며, '염소'를 뜻한다.[11]

3. 3. 6. 좡어

laj'''mb'''wn|표준 좡어|라즈븬za은 '세계'를 뜻한다.[15]

3. 4. 오세아니아

아카텍어에서 p'ey'p'al|프에이프알|[ɓejɓal]qnj은 '걷는 (것)'을 의미한다.[1] 고에마이어에서 ḅas|바스|[ɓas]ank는 '가져오다'를 뜻한다.[1] 콰자어에서 bura|부라|[ɓuɾa]xwa는 '모자를 씌워라!'를 의미한다. 마마인데어에서 [ˌɓa:ˈnãn]은 '(그들은) 둘이다'를, 유카텍 마야어에서 balam|발람|[ɓalam]yua은 '재규어'를 뜻한다. 맘어에서 qanbʼax|칸바흐|[qamɓaʂ]mam는 '발'을 의미한다. 모노어에서 ‘b’alœ|발뢰|[ɓálə́]mnh는 '~에서'를, 파우마리어에서 ''b'o'da|보오다|[ɓoɗa]pad는 '늙은'을 의미한다. 남부 맘비콰라어에서 [ɓa̰h]는 '사과하다'를, 테라어에서 ɓala|발라|[ɓala]ttr는 '말하다'를 뜻하며, 구개음화된 내파음과 음소적으로 대조된다. 투캉 베시어에서는 [aɓa]가 '이전의'를 의미한다.

3. 4. 1. 콘소어

콘소어에서 'b'는 /ɓ/로 소리나며, '숨기다'를 뜻하는 bad|바드kxc라는 단어에서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7]

3. 5. 아프리카

ey''p'al[ɓejɓal]'걷는 (것)'발란타-간자어ɓaara|바아라bjt[ɓaːra]'왜가리'/b/의 가능한 변이음.[1]에가어[2][ɓá]'보내다'풀라어[4]fulɓe|풀베ff / [fulɓe]풀베 사람 (복수)고에마이어ḅas|바스ank[ɓas]'가져오다'칼라바리어[6]ḅá|바ijn[ɓá]'죽이다'콘소어[7]bad|바드kxc[ɓaɗ]‘숨기다’콰자어bura|부라xwa[ɓuɾa]'모자를 씌워라!'모노어[9]‘balœ|발뢰mnh[ɓálə́]'~에서'파우마리어[10]‘bo’da|보’다pad[ɓoɗa]'늙은'세레르어[12]ɓood|보오드srr / [ɓoːd]'기어가다'와 대조.테라어[14]ɓala|발라ttr[ɓala]'말하다'구개음화된 내파음, 과 음소적으로 대조.투캉 베시어[aɓa]'이전의'


3. 5. 1. 줄루어

ubaba|우바바zu는 '나의 아버지'를 뜻하며, IPA로는 [úˈɓàːɓá]로 표기된다.[15]

3. 5. 2. 쇼나어

baba|바바sn에서 이 소리가 나며, IPA로는 [ɓàːɓá]로 표기한다. '아버지'라는 의미를 가진다.[12]

4. 한국어 표기

베트남어에서 'b'가 유성 양순 내파음으로 소리나기 때문에 'ㅂ'으로 적는다.

4. 1. 베트남어의 예

베트남어에서 'b'는 유성 양순 내파음으로 소리나기 때문에 'ㅂ'으로 적는다.

참조

[1] 웹사이트 Balanta-Ganja (Fgañja / فْگَݧْجَ) https://omniglot.com[...]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서적 A Grammar of Konso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Hindko, Panjabi, and Saraiki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