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맘어는 텍티텍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의 언어로, 맘어군을 형성하며, 이실어군과 함께 맘어파를 이룬다. 과테말라의 여러 주와 멕시코 치아파스 주, 캄페체 주에서 사용되며, 북부, 남부, 서부 맘어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음운론적으로 권설음을 가지며,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동사의 인칭, 상, 법에 따라 굴절된다. 맘어는 아동 언어 습득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맘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마姆어 |
고유 이름 | Qyool Mam, Ta yol Mam |
사용 국가 | 과테말라, 멕시코 |
사용 지역 | 과테말라 케찰테낭고 주, 웨웨테낭고 주, 산마르코스 주, 레탈룰레우 주; 멕시코 치아파스 주, 캄페체 주 |
민족 | 맘족 |
사용자 수 | 과테말라: 602,400명 (2019년 인구 조사) |
사용자 수 (멕시코) | 11,369명 (2020년 인구 조사) |
어족 | 마야어족 |
하위 어족 | 동부 마야어군 |
하위 어파 | 대마메아어군 |
하위 어군 | 마메아어군 |
소수 언어 | 멕시코, 과테말라 |
ISO 639-3 | mam |
Glotto code | mamm1241 |
문자 체계 | 로마자 |
공인 기관 | 국립 원주민 언어 학회 |
언어 공동체 | 맘어 언어 공동체 (COLIMAM) |
언어 활력 | 취약 (Vulnerable) |
방언 | 북부 맘어, 중부 맘어, 소코누스코 맘어, 서부 맘어, 남부 맘어 |
언어학적 특징 | |
음성학 | IPA 표기 사용 |
외부 링크 |
2. 분류
맘어는 마야어족의 한 언어이다. 이 언어는 텍티텍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두 언어는 함께 맘어군을 이룬다. 맘어군은 이실어군(아와카텍어 및 이실어)과 함께 맘어파를 형성한다. 일부 학자들은 맘어파가 키체어를 포함한 10여 개 언어가 속하는 키체어파와 함께 동마야어파를 구성한다고 분류하기도 한다.
맘어 사용자들 간의 교류가 다소 제한적이어서, 방언은 마을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습을 통해 상호 이해가 어렵지만 가능하다.
맘어는 과테말라의 4개 주(케찰테낭고 주, 웨웨테낭고 주, 산 마르코스 주, 레탈룰레우 주)에 있는 64개 지역[10]과 멕시코의 치아파스 주 및 캄페체 주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다.[9] 맘어 사용 지역과 인접한 언어로는 북쪽에 자칼텍어와 칸호발어, 서쪽에 텍티텍어와 카토크어, 동쪽에 이실어, 아와카텍어, 시파카펜세어, 키체어 등이 있다.
마야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대(大)맘어군의 언어들은 권설음 계열([ʈ͡ʂ], [ʈ͡ʂʼ], [ʂ])을 가진다는 음운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권설음은 칸호발어군의 일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역사적으로 대마맘어군에서 자음 변화(/t͡ʃ/ → /ʈ͡ʂ/, /t/ → /t͡ʃ/, /r/ → /t/)가 일어나면서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23] 맘어에서 /r/ 소리는 주로 감정을 나타내는 말(의태어)이나 스페인어에서 빌려온 단어에서 나타난다.[24]
3. 방언
멕시코와 과테말라의 맘어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방언 그룹 사용 지역 (멕시코) 사용 지역 (과테말라) 비고 북부 맘어 캄페체 주[5] 남부 우에우에테낭고 주[5] Terrence Kaufman에 따르면 가장 보수적인 그룹임. 남부 맘어 남부 캄페체 주[6] 케찰테낭고 주, 산마르코스 주, 레탈룰레우 주[6] 중부 맘어 치아파스 주 산마르코스 주 서부 맘어 동부 치아파스 주[7] 북서부 산마르코스 주[7] 테크티텍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할 수 있음. 소코누스코 맘어 치아파스 주 소코누스코 지역[8]
이 외에도, 멕시코 치아파스 주의 방언은 과테말라 방언과 상당한 문법적, 어휘적 차이를 보인다.[9] 맘어는 방언 차이가 크며, 남부, 서부, 북부의 3가지 종류로 크게 나뉜다는 견해도 있다.
4. 사용 지역
맘어가 사용되는 구체적인 지역은 다음과 같다.과테말라 주 지역명 케찰테낭고 주 산 미겔 시길라 콘셉시온 치키리차파 헤노바 엘 팔마르 산 후안 오스툰칼코 카홀라 산 마르틴 사카테페케스 콜롬바 플로레스 코스타 쿠카 우이탄 팔레스티나 데 로스 알토스 카브리칸 웨웨테낭고 주 산 일데폰소 익스타우아칸 쿠일코 테크티탄 산 페드로 넥타 산 세바스티안 웨웨테낭고 말라카탄시토 토도스 산토스 쿠추마탄 산 라파엘 페찰 콜로테낭고 산타 바르바라 산 후안 아티탄 아구아카탄 산 가스파르 익실 라 리베르타드 라 데모크라시아 웨웨테낭고 치안틀라 산티아고 치말테낭고 산 후안 익스코이 산 마르코스 주 산 안토니오 사카테페케스 산 로렌소 테후틀라 산 라파엘 피에 데 라 쿠에스타 산 페드로 사카테페케스 라 레포르마 엘 케찰 시비날 산 호세 오헤테남 파하피타 산 크리스토발 쿠초 누에보 프로그레소 산 마르코스 콘셉시온 투투아파 산 파블로 익치구안 산 미겔 익스타우아칸 타카나 타후물코 카타리나 에스키풀라스 팔로 고르도 말라카탄 리오 블랑코 코미탄실로 레탈룰레우 주 엘 자우 산타 이네스 시바나 산 미겔리토 누에바 카홀라 산 로케 멕시코 주 지역명 치아파스 모토신틀라 타파출라 아칵스만 베후칼 데 오캄포 프론테라 코말라파 마사파 데 마데로 에스킨틀라 치코무셀로 실테펙 라 그란데사 유니온 후아레스 베야 비스타 엘 포르베니르 카카호아탄 투잔탄 툭스틀라 치코 우이스트라 웨웨탄 아마테낭고 데 라 프론테라 툭스차멘 캄페체 참포톤 캄페체 산토 도밍고 케스테 케찰-에드즈나 마야테쿰 구마르카아
5. 음운론
또한 맘어에는 경구개음 계열의 소리도 존재한다. 이는 원래 연구개음이 전설 모음 앞에서 소리가 변하여(구개음화) 생긴 것이지만, 3인칭 복수를 나타내는 접사 'ky-'가 어떤 모음 앞에도 붙을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특정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연구개음의 변이음(조건 이음)이 아니라 독립적인 음소로 간주된다.[25] 토도스 산토스(Todos Santos) 방언과 같은 일부 방언에서는 더 나아가 후치경음을 발음할 때 혀끝의 위치에 따라 설단음과 설첨음을 구분하기도 한다.[26]
성문음화된 파열음 중 /bʼ/와 /qʼ/는 공기를 안으로 빨아들이며 내는 내파음([ɓ], [ʛ])으로 발음된다. /tʼ/는 내파음 또는 공기를 밖으로 터뜨리며 내는 방출음([tʼ] / [ɗ])으로 발음될 수 있으며, 나머지 성문음화된 파열음들은 방출음이다.
맘어의 모음 체계는 /a, e, i, o, u/의 다섯 가지 기본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모음은 소리의 길이에 따라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구분된다. 단어의 강세 위치는 방언에 따라 규칙이 다르다.[27]
5. 1. 음소
맘어에는 30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이 있다. 모음에는 단모음과 장모음이 각각 5개씩 있다.
강세는 방언에 따라 다르다. 남부에서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 서부에서는 마지막 음절, 북부에서는 마지막 무거운 음절(CVV, CVʼ, CVC 순으로 무거움)에 놓인다.[27]
5. 1. 1. 자음
맘어는 27개의 자음을 가지며, 성문 파열음 /ʔ/ (철자로는 ʼ)을 포함한다.[11]
rowspan="2" 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평음 | 구개음화 | |||||||||
비음 | m (m) | n (n) | (ŋ (n)) | |||||||
파열음 | 평음 | p (p) | t (t) | k (k) | kʲ (ky) | q (q) | ʔ (ʼ) | |||
방출음 | tʼ~ɗ̥ (tʼ) | kʼ (kʼ) | kʲʼ (kyʼ) | |||||||
내파음 | ɓ~ɓ̥ (bʼ) | ʛ̥ (qʼ) | ||||||||
파찰음 | 평음 | t͡s (tz) | t͡ʃ (ch) | ʈ͡ʂ (tx) | ||||||
방출 파찰음 | t͡sʼ (tzʼ) | t͡ʃʼ (chʼ) | ʈ͡ʂʼ (txʼ) | |||||||
마찰음 | s (s) | ʃ (xh/ẍ) | ʂ (x) | χ (j) | ||||||
탄음 | ɾ (r) | |||||||||
접근음 | l (l) | j (y) | w (w) |
- 파열음 /p, t, t͡s, t͡ʃ, t͡ʂ, k, q/는 단어 마지막 위치에서 유기음 [Cʰ]로 실현된다.
- 성문 파열 자음 중 bʼ /ɓ~ɓ̥/ 와 qʼ /ʛ̥/ 는 내파음이고, tʼ /tʼ~ɗ̥/ 는 내파음 또는 방출음이며, 나머지(tzʼ /t͡sʼ/, chʼ /t͡ʃʼ/, txʼ /ʈ͡ʂʼ/, kʼ /kʼ/, kyʼ /kʲʼ/)는 방출음이다.
- 마야어족의 다른 언어와 비교했을 때, 대(大)맘어군의 언어는 권설음 계열 /ʈ͡ʂ, ʈ͡ʂʼ, ʂ/ (tx, txʼ, x)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칸호발어군 일부 언어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역사적으로 대마맘어군에서 자음 추이 /t͡ʃ/ → /ʈ͡ʂ/, /t/ → /t͡ʃ/, /r/ → /t/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여겨진다.[23]
- 맘어의 /ɾ/ (r)는 감정어(의태어) 및 스페인어 차용어에서 유래한다.[24]
- 경구개음 계열 /kʲ, kʲʼ/ (ky, kyʼ)도 존재한다. 이는 연구개음 /k, kʼ/ 이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하면서 발생했지만, 3인칭 복수 인칭 접사(A형) ky-가 어떤 모음 앞에도 붙기 때문에 연구개음의 조건 이음이 아닌 별개의 음소로 존재한다.[25]
- 토도스 산토스(Todos Santos) 방언에서는 더 나아가 후치경음 /t͡ʃ, t͡ʃʼ, ʃ/ (ch, chʼ, xh/ẍ)에 설단음과 설첨음의 구별이 있다.[26] 예를 들어, 치경-구개 파찰음 /t̺͡ʃ̺ʰ, t̺͡ʃ̺ʼ, ʃ̺/의 사용이 두드러진다.[11]
5. 1. 2. 모음
맘어는 5개의 단모음(a, e, i, o, u)과 5개의 장모음(aa, ee, ii, oo, uu)을 포함하여 총 10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col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장모음 | iː (ii) | uː (uu) | |
단모음 | ɪ (i) | ʊ (u) | ||
중모음 | 장모음 | eː (ee) | oː (oo) | |
단모음 | ɛ (e) | ɔ (o) | ||
개모음 | 장모음 | aː (aa) | ||
단모음 | a (a) |
- 중설 중모음 ə는 강세를 가진 장모음 뒤 음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짧은 비강세 모음의 변이음이다.
5. 2. 강세
맘어는 음절의 강세 할당에 민감하다. 단어에 장모음이 포함된 경우, 첫 번째 강세는 해당 장모음에 온다(예: aq'ú:ntlmam '일'). 단어에 장모음이 없고 성문 파열음이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 성문 파열음 바로 앞의 모음에 첫 번째 강세가 온다(예: puʔláʔmam '국자'). 장모음과 성문 파열음이 모두 없는 단어에서는 어근의 마지막 자음 앞 모음에 강세가 온다(예: xpicháqʼmam '너구리'). 장모음이나 성문 파열음이 없는 접미사나 후치사에는 강세가 붙지 않는다.강세의 위치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남부 방언에서는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고, 서부 방언에서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북부 방언에서는 마지막 음절 중 가장 '무거운' 음절에 강세가 오는데, 무거운 정도는 CVV(자음+장모음), CVʼ(자음+모음+성문 파열음), CVC(자음+모음+자음) 순서이다[27].
5. 3. 음절 구조
대부분의 어근은 형태적으로 CVC를 취한다. 가능한 어근 종결 자음군은 -''nC''뿐이다. 음절은 모든 위치에서 최대 4개의 자음을 자음군으로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자음군은 모음 탈락과 형태소 첨가의 결과이다.6. 형태론
맘어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 나타날 수 있는 '''A형'''과 '''B형'''이라는 두 가지 협의 표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마야어족 연구자들에게 잘 알려진 특징이다. 맘어는 명사에 '''A형'''(능격) 표시를 사용하여 소유자를 나타내고, 타동사의 주어를 교차 참조하는 데 사용한다. 반면, '''B형'''(절대격) 표시는 타동사의 목적어를 교차 참조하고, 자동사의 주어를 교차 참조하는 데 사용된다.[28] 다음은 잉글랜드(England, 1983, p. 56)가 제시한 '''A형'''(능격) 및 '''B형'''(절대격) 접두사 표이다.
인칭 | A형 | B형 | 후치사 |
---|---|---|---|
1인칭 단수 | n- ~ w- | chin- | -a ~ -ya |
2인칭 단수 | t- | Ø ~ tz- ~ tzʼ- ~ k- | -a ~ -ya |
3인칭 단수 | t- | Ø ~ tz- ~ tzʼ- ~ k- | – |
1인칭 복수(배타적) | q- | qo- | -a ~ -ya |
1인칭 복수(포괄적) | q- | qo- | – |
2인칭 복수 | ky- | chi- | -a ~ -ya |
3인칭 복수 | ky- | chi- | – |
위 표에 나타난 접사들은 특정한 음운 환경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변이형을 가진다.
- '''n- ~ w-'''
- * n- / __자음 앞
- * w- / __모음 앞
- '''Ø ~ tz- ~ tzʼ- ~ k-'''
- * k- / 가능성(potential) 환경
- * tzʼ- /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 비가능성(non-potential) 환경
- * tz- / ''uul'' '여기에 도착하다', ''iky''' '지나가다' 앞, 비가능성 환경
- * Ø- (영형 형태소) / 자음 앞, 비가능성 환경
- '''-a ~ -ya'''
- * -ya / 모음 뒤 ; 모음 환경에서 1인칭 후치사 -''ya''는 -''kyʼa'' 및 -''y'''와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
- * -a / 자음 뒤
잉글랜드(1983)가 제시한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Ø-"는 영형 접두사를 나타내며, ''ma''는 '최근 과거'를 의미하는 상 표시 어사이다.[28]
A형 표지 + 명사 (소유 표현) | |
---|---|
jaa | '집' |
n-jaa-ya | '나의 집' |
t-jaa-ya | '너의 집' |
t-jaa | '그/그녀의 집' |
q-jaa-ya | '우리(너희 말고)의 집' |
q-jaa | '우리(모두)의 집' |
ky-jaa-ya | '너희(복수)의 집' |
ky-jaa | '그들의 집' |
B형 표지 + 자동사 | |
---|---|
bʼeet- | 걷다 |
ma chin bʼeet-a | '나는 걸었다.' |
ma Ø-bʼeet-a | '너는 걸었다.' |
ma Ø-bʼeet | '그/그녀는 걸었다.' |
ma qo bʼeet-a | '우리(너희 말고)는 걸었다.' |
ma qo bʼeet | '우리(모두)는 걸었다.' |
ma chi bʼeet-a | '너희(복수)는 걸었다.' |
ma chi bʼeet | '그들은 걸었다.' |
마야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맘어는 능격 언어로, 동사가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는 방식에 A형(능격)과 B형(절대격) 접사를 사용한다.[28] 또한 맘어는 분열 능격 언어의 특징도 보이는데, 시간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절과 같은 특정 문법 환경에서는 자동사를 포함한 모든 동사의 인칭 표지에 A형 접사가 사용되기도 한다.[29]
6. 1. 동사
맘어 동사는 인칭, 상, 양태에 따라 굴절하며, 방향을 나타내는 접사(방향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사 복합체는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 등 논항의 수에 따라 타동사와 자동사 어간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진다. 이 동사 복합체의 어휘적 지위는 명확하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마야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맘어는 능격 언어이다. 이는 동사가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맘어에는 두 가지 종류의 인칭 표시 접사(또는 전접어)가 있는데, A형(능격)과 B형(절대격)이다. 명사에 A형 접사를 붙여 소유를 나타낼 수 있으며, 관계 명사에는 반드시 A형 접사가 붙는다. 동사가 아닌 술어(예: 형용사, 명사)는 주어와 일치시키기 위해 B형 접사를 사용한다. 자동사의 주어는 B형 접사로 표시되고, 타동사의 주어는 A형, 목적어는 B형 접사로 표시된다.[28]
하지만 맘어는 분열 능격 언어의 특징도 보인다. 특정 종류의 종속절(시간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절 등)에서는 자동사를 포함한 모든 동사의 인칭 표지에 A형 접사가 사용된다.[29] 또한, 초점을 나타내는 부사와 함께 쓰일 때도 A형 표지가 확장되어 사용된다.
인칭 체계에서는 원래의 2인칭 접사(단수, 복수 모두)가 사라지고 대신 3인칭 접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2인칭과 3인칭, 그리고 1인칭 복수의 포괄형과 제외형을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접어가 사용된다.[30]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접어(방향 접사)가 자주 사용되며, 북부 방언에서는 필수적으로 붙는다.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과 달리, 이 방향 접사는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B형 인칭 접두사 뒤에 위치한다.[31]
기본적인 어순은 VSO형(동사-주어-목적어)이다.[32]
6. 1. 1. 상
맘어 동사에는 동사 어근 앞에 붙는 6개의 상(aspect)이 있다.상 접사 | 의미 | 비고 |
---|---|---|
ma | 최근 과거 | |
o | 과거 | |
ok | 잠재 | (필수 아님) |
n- | 진행 | |
x- | 최근 과거 종속 | 종속절에서 사용 |
Ø- | 과거 종속 | 종속절에서 사용 |
6. 1. 2. 양태
맘어 동사의 양태는 다음과 같은 접미사를 통해 나타난다.- '''잠재 타동사''': 동사 어근 뒤에 접미사 '''-a' '''를 붙여 표현한다.
- '''잠재 자동사''': 동사 어근 뒤에 접미사 '''-l'''을 붙여 표현한다.
- '''명령형''': 동사 어근 뒤에 접미사 '''-m'''을 붙여 표현한다. 단, 방향 접사 앞에서는 '''-n''' 형태를 사용한다.
6. 1. 3. 방향 접사
방향 접사는 동사구의 보조 요소이다. 자동사에서 파생된다.- '''xi''' '떨어져'
- '''tzaj''' '향하여'
- '''ul''' '여기에서 저기로'
- '''pon''' '여기에서 저기로'
- '''kubʼ''' '아래로'
- '''jaw''' '위로'
- '''el''' '밖으로'
- '''ok''' '안으로'
- '''kyaj''' '남아있는'
- '''aj''' '여기에서 돌아옴'
- '''ikyʼ''' '지나감'
- '''bʼaj'''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