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Lynch syndrome)은 1966년 헨리 T. 린치에 의해 처음 특징지어진 유전 질환으로, 대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 질환은 DNA 불일치 복구(MMR) 기작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MLH1, MSH2, MSH6, PMS2, EPCAM 유전자 등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 린치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방식으로 유전되며, 대장암, 자궁내막암, 위암, 난소암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진단은 유전자 검사, 암스테르담 기준 및 베데스다 지침과 같은 임상 기준, 면역조직화학 염색법(IHC) 또는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수술적 절제가 우선이며, 5-플루오로우라실 기반 보조 요법, 항 PD-1 항체 치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성 암 - 남성유방암
    남성유방암은 남성에게 드물게 발생하는 유방암으로, 여성 유방암과 차이를 보이며, 유방의 관에서 주로 발생하고 멍울, 유두 분비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유방 촬영술, 초음파 검사, 조직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하며, 유전적 요인, 클라인펠터 증후군, 과도한 에스트로겐 수치, 음주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 유전성 암 - 가족성 샘종 폴립증
    가족성 샘종 폴립증은 APC 유전자 변이로 인해 수백에서 수천 개의 대장 폴립이 발생하여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질병 정보
이름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영어 이름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일본어 이름遺伝性非ポリポーシス大腸癌 (Idensēhi-porīpōshisu daichōgan)
임상 분야의학
종양학
국제질병분류 (ICD-10)C18-C20
국제질병분류 (ICD-9)153.0-154.1
온라인 멘델 유전형질 데이터베이스 (OMIM)120435
온라인 멘델 유전형질 데이터베이스 (OMIM)609310, 114400
메쉬 (MeSH)D003123
임상 양상 및 관련 위험
관련 질환대장암 위험 증가
췌장암 위험 증가
특징종양 침윤 림프구
원인
원인유전
상염색체 우성 유전
관련 정보
관련 증후군린치 증후군
기타
종양 침윤 림프구
MSI-H 종양에서 보이는 종양 침윤 림프구의 미세 현미경 사진. H&E 염색.

2. 역사

헨리 T. 린치는 1966년에 이 증후군을 처음으로 정의하였다.[53] 초기 연구에서 그는 이 질병을 "암 가족 증후군"이라고 불렀다. 1984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린치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고, 1985년 린치는 이 질환을 HNPCC라고 명명했다. 그 후 두 용어는 함께 사용되었지만, 질병의 유전학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면서 HNPCC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54]

다른 자료에서는 알려진 DNA 불일치 복구 결함이 있을 때 "린치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암스테르담 기준을 충족하지만 알려진 DNA 불일치 복구 결함이 없는 경우 "가족성 대장암 X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5] "X형" 가족은 DNA 불일치 복구 결핍이 있는 가족보다 전체 암 발병률이 낮고 대장암 이외의 암 위험이 더 낮은 것으로 보인다.[56] 암스테르담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의 약 35%는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다.[57]

"베데스다 가이드라인"이라고 알려진 다른 기준도 존재한다.[58][59][60]

분자생물학의 발전으로, 현재 HNPCC는 대장암만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린치 증후군 I과 대장암 외의 암도 동반하는 린치 증후군 II를 포괄하는 병명으로 사용된다.

1962년경, 헨리 T. 린치는 네브래스카 대학교 메디컬 센터에서 근무하면서 암에 대한 극심한 공포를 가진 환자를 만났다. 이 환자는 가족 중 많은 사람이 대장암이나 부인과 계통의 암으로 사망하여 자신도 암으로 죽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린치는 가계 조사를 통해[71] 이 환자가 1895년에 알드레드 S. 워신이 보고한 Family G[72]의 후손임을 밝혀냈다.

2007년에는 불일치 복구 유전자의 이상이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이 확인되는 HNPCC 증례를 린치 증후군으로 부르자는 제안이 나왔다.[73]

3. 유전학

린치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방식으로 유전된다.[10] 이 증후군의 특징은 결함 있는 DNA 불일치 복구로 인해 단일 염기 변화와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H)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MSI는 병리학 실험실의 표본에서 확인할 수 있다.[11] 대부분의 경우 디뉴클레오타이드 반복의 길이 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핵염기인 시토신과 아데닌(서열: CACACACACA...)이다.[12]

린치 증후군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가족의 최대 39%가 암스테르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린치 증후군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가족은 가족력의 정도에 관계없이 린치 증후군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는 암스테르담 기준이 린치 증후군 위험이 있는 많은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실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린치 증후군 환자 대부분은 부모로부터 이 질환을 물려받는다. 그러나 불완전한 침투율, 가변적인 암 진단 연령, 암 위험 감소 또는 조기 사망으로 인해, 린치 증후군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모든 사람이 암에 걸린 부모를 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유전자를 물려받지 않고 새로운 세대에서 HNPCC를 de-novo로 발병하기도 한다. HNPCC가 있는 부모는 각 자녀에게 유전자 돌연변이를 전달할 확률이 50%이다. MMR 유전자 중 하나의 돌연변이만으로는 암을 유발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다른 종양 억제 유전자에서 추가 돌연변이가 발생해야 한다.[27]

3. 1. 관련 유전자

린치 증후군과 관련된 4개의 주요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량체를 형성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3][14][15][16]

  • MLH1 단백질은 PMS2 단백질과 이량체를 형성하여 MutLα를 형성하며, 이는 헬리케이스, 단일 가닥 DNA 결합 단백질(RPA), DNA 중합효소와 같이 불일치 복구와 관련된 다른 단백질의 결합을 조정한다.[13][14]
  • MSH2 단백질은 MSH6 단백질과 이량체를 형성하며, 이는 슬라이딩 클램프 모델, 즉 오류를 검색하는 단백질을 통해 불일치를 식별한다.[15][16]


단백질 이량체에 대한 두 유전자 중 하나라도 손상되면 단백질 기능이 손상된다.[17] 이 4개의 유전자는 오류 수정(불일치 복구)에 관여하므로 유전자의 기능 장애는 DNA 복제 오류를 수정하지 못하고 린치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18] 린치 증후군은 DNA 불일치 복구 경로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MIM 이름HNPCC와 관련된 유전자HNPCC 가족에서 돌연변이 빈도좌위최초 출판
HNPCC1MSH2/EPCAM약 60%2p22Fishel 1993[16]
HNPCC2MLH1약 30%3p21Papadopoulos 1994[19]
HNPCC5MSH67-10%2p16Miyaki 1997[20]
HNPCC4PMS2비교적 드뭄7p22[21]Nicolaides 1994
HNPCC3PMS1증례 보고[21]2q31-q33Nicolaides 1994
HNPCC6TGFBR2증례 보고[22]3p22
HNPCC7MLH3논란의 여지 있음[23]14q24.3



''MSH6'' 돌연변이가 있는 사람은 암스테르담 기준 II-음성일 가능성이 더 높다.[24] MSH6의 발현은 MLH1 및 MSH2와 약간 다르며, "MSH6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이 질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25] 한 연구에서 베데스다 가이드라인이 이를 감지하는 데 암스테르담 기준보다 더 민감했다.[26]

PMS2 변이에 대해서는 체질성 미스매치 복구 결손 증후군(constitutional mismatch-repair deficiency syndrome; CMMRD syndrome)[87] 또는 PMS2 이상증[88]으로, 린치 증후군과는 별개의 질환 개념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4. 징후 및 증상

린치 증후군은 대장암, 자궁내막암, 위암, 난소암 등 다양한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대장암의 3분의 2는 근위 결장에서 발생하며, 변에 혈액, 설사 또는 변비,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등이 흔한 징후 및 증상이다.[4]

자궁내막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다.[6] 린치 증후군에서 위암의 평균 진단 연령은 56세이며, 장형 선암종이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병리학적 소견이다. 린치 증후군 관련 난소암의 평균 진단 연령은 42.5세이며, 약 30%는 40세 이전에 진단된다.

린치 증후군은 소장암, 췌장암, 요관/신우암, 담도암, 뇌암, 피지선 신생물, 전립선암, 유방암 등의 위험도 증가시킨다.[3]

4. 1. 암 위험

린치 증후군 관련 암의 평생 위험 및 평균 진단 연령은 유전자 돌연변이 종류에 따라 다르다. MLH1, MSH2 돌연변이는 MSH6, PMS2 돌연변이보다 암 발생 위험이 더 높다.[7],[8]

암 유형평생 위험 (%)평균 진단 연령 (세)
대장 직장암52-5844-61
자궁내막암25-6048-62
위암6-1356
난소암4-1242.5



위 표에 제시된 암 유형 외에도, 린치 증후군은 소장암, 췌장암, 요관/신우암, 담도암, 뇌암, 그리고 피지선 신생물의 위험 증가에도 기여한다.[3] 전립선암과 유방암의 위험 증가 역시 린치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지만, 이러한 관계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3]

75세까지 돌연변이별 다양한 암의 위험은 아래 표와 같다.

유전자대장 직장암 위험자궁내막암 위험난소암 위험상부 위장관 (위, 십이지장, 담관 또는 췌장) 암 위험비뇨기계 암 위험전립선암 위험뇌종양 위험
MLH146%43%10%21%8%17%1%
MSH257%17%10%25%32%5%해당사항 없음
MSH615%46%13%7%11%18%1%



린치 증후군에서 부인과 암 위험[9]
유전자난소암 위험자궁내막암 위험
MLH14-24%25-60%
MSH2/EPCAM4-24%25-60%
MSH61-11%16-26%
PMS26% (결합 위험)15%


5. 진단

린치 증후군은 MMR 유전자(MLH1, MSH2, MSH6, PMS2) 또는 EPCAM 유전자에 생식 계열 DNA 돌연변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28] 생식 계열 유전자 검사 대상자는 암스테르담 임상 기준, 베데스다 가이드라인과 같은 임상 기준이나,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IHC) 또는 마이크로위성 불안정성(MSI) 검사를 통한 종양 분석으로 선별할 수 있다.[28]

미국에서는 모든 대장암에 대해 MSI 또는 IHC 검사를 린치 증후군 선별 검사로 권장하지만, 비용 및 자원 제약으로 인해 항상 수행되지는 않는다.[29] 유전자 검사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혈액 검사로 구성된다.

MSH6 변이 환자는 새로운 암스테르담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84] MSH6 표현형은 MLH1 및 MSH2와 약간 다르기 때문에 "MSH6 증후군"이라는 표현도 사용되어 왔다.[85] 베데스다 기준이 암스테르담 기준보다 MSH6 변이를 더 쉽게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86] PMS2 변이는 린치 증후군과는 별개의 질환인 체질성 미스매치 복구 결손 증후군(CMMRD syndrome)[87] 또는 PMS2 이상증[88]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HNPCC 관련 유전자와 빈도는 다음과 같다.

HNPCC 관련 유전자HNPCC 가계에 나타나는 빈도유전자좌
MSH2약 60%2p22
MLH1약 30%3p21
MSH67-10%2p16
PMS2비교적 드묾[79], <5% [80]7p22
PMS1증례 보고[81]2q31-q33
TGFBR2증례 보고[82]3p22
MLH3논의가 있음[83]14q24.3



HNPCC 가계 중 39%는 암스테르담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84] HNPCC 유전자 결손을 가진 가계는 가족력에 관계없이 HNPCC에 유의해야 한다. HNPCC는 상염색체우성 유전이며, 많은 HNPCC 환자는 부모로부터 유전받는다. HNPCC 환자는 50% 확률로 자녀에게 유전자를 물려줄 가능성이 있다.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스크리닝 검사는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HNPCC) 가족에게 권장되며, 일본에서는 건강 보험이 적용된다.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의 대장암 스크리닝에는 대장 내시경 검사나 CT 대장 조영술 등을 매년 실시할 필요가 있다.

5. 1. 암스테르담 기준

린치 증후군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암스테르담 I 기준과 암스테르담 II 기준이 있다.[41][90]

암스테르담 I 기준은 1990년에 발표되었지만, 민감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졌다.[42] 암스테르담 I 기준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42]

암스테르담 I 기준
대장암 확진을 받은 가족 구성원이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은 서로의 직계 가족(부모, 자녀, 형제자매)이어야 한다.
2대 이상의 연속적인 발병
50세 미만에 진단된 1개 이상의 대장암
가족성 선종 폴립증(FAP)은 제외



암스테르담 II 기준은 1999년에 개발되었으며, 자궁내막암, 소장암, 요관암, 신우암을 포함하여 린치 증후군에 대한 진단 민감도를 향상시켰다.[43] 암스테르담 II 기준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43]

암스테르담 II 기준
HNPCC 관련 암을 가진 가족 구성원이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은 서로의 직계 가족이어야 한다.
2대 이상의 연속적인 발병
50세 미만에 진단된 1개 이상의 HNPCC 관련 암
가족성 선종 폴립증(FAP)은 제외


5. 2. 베데스다 지침

개정된 베데스다 지침은 임상 정보와 병리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여 고위험 환자를 식별하도록 돕는다.[42][43] 다음 5가지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종양에 대해 MSI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42]

# 50세 이전에 진단된 대장암

# 동시성 또는 이시성 대장암 또는 기타 린치 증후군 관련 암의 존재 (예: 자궁내막암, 난소암, 위암, 소장암, 췌장암, 담도암, 요관암, 신우암, 뇌종양, 피지선, 각질극세포종)

# 60세 미만의 환자에서 MSI-high 병리학적 특징을 보이는 대장암

# 50세 미만에 대장암 또는 린치 증후군 관련 종양으로 진단된 1명 이상의 직계 가족(부모, 자녀, 형제자매)이 있는 사람에게서 진단된 대장암

# 대장암 환자이며, 모든 연령대에서 대장암 또는 린치 증후군 관련 암으로 진단된 2명 이상의 직계 또는 방계 가족이 있는 경우.[42][43]

이러한 임상 기준은 실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임상 기준만 사용하면 린치 증후군 사례의 12~68%를 놓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2]

5. 3. 면역조직화학 염색(IHC)

면역조직화학 염색법(IHC)은 린치 증후군과 관련된 종양에서 비정상적인 불일치 복구(MMR) 단백질 발현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린치 증후군을 진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아 검사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30] IHC 검사를 수행하는 두 가지 방법에는 연령 기반 검사와 모든 사람에 대한 보편적 검사가 포함된다.[31] 현재 어떤 선별 검사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는 없다.[31] IHC에 대한 연령 기반 검사는 비용 편익 분석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제안되었으며, 대장암 환자 모두에 대한 보편적 검사는 린치 증후군 환자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31]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분자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현미경으로 종양의 모양만으로 MSI 또는 IHC를 직접 예측하려고 시도하고 있다.[29]

5. 4.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 검사

DNA 불일치 복구 시스템의 돌연변이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뉴클레오티드가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DNA 영역(마이크로새틀라이트)을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이라고 한다.[32] MSI는 결장직장암의 15~20%에서 나타나며, 연관된 생식세포 DNA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체 크기의 반복적인 DNA 서열과 관련이 있다.[33] 종양 조직 샘플과 정상 조직 샘플 모두에서 DNA 추출을 수행한 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영역에 대한 PCR 분석을 통해 MSI를 식별한다.[32] MSI 분석은 린치 증후군이 있을 수 있는 사람을 식별하고 추가 검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2] 한 연구에 따르면 MSI 결장직장암의 1/3이 낮은 면역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종양 침윤 림프구가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양 침윤 림프구의 수가 많을수록 생존율과 치료 반응이 더 좋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34]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74]에 따라 병리조직학적으로 크게 3가지 그룹으로 분류된다.

분류설명
고도 불안정성(MSI-high)마커에서 30% 이상의 불안정성을 보임
저도 불안정성(MSI-low)불안정성 30% 미만을 보임
안정성(MSI-stable)불안정성을 전혀 보이지 않음


6. 선별 검사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스크리닝 검사는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HNPCC) 가족에게 권장된다. 일본에서는 건강 보험이 적용된다.[89] 암이 발병한 경우 암 조직과 정상 조직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을 검사할 수 있으며, 조직 채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혈을 통해 백혈구 검사를 실시한다. 가족 내에서 소인 보유 여부를 조사하는 것은 의료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는 보고가 있다.[89]

유전적으로 소인을 가진 사람은 대장 내시경 검사나 CT 대장 조영술 등을 매년 실시해야 한다. 그 외의 암에 대해서도 CT, 초음파, 캡슐 내시경, 뇨 세포진 등을 매년 시행한다.

6. 1. 대장암

린치 증후군 관련 암의 평생 위험은 52-58%이며, 평균 진단 연령은 44-61세이다.[3] 대장암의 3분의 2는 근위 결장에서 발생하며, 흔한 징후와 증상으로는 변에 혈액, 설사 또는 변비,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등이 있다.[4]

관련된 돌연변이에 따라 암 발병률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7][8] 75세까지 돌연변이별 대장 직장암 위험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대장 직장암 위험
MLH146%
MSH257%
MSH615%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스크리닝 검사는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HNPCC) 가족에게 권장된다. 유전적으로 소인을 가진 사람의 대장암 스크리닝에는 대장 내시경 검사나 CT 대장 조영술 등을 매년 실시할 필요가 있다.

6. 2. 자궁내막암/난소암

린치 증후군에서 자궁내막암의 평균 진단 연령은 약 46세이다.[5] 자궁내막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다.[6] 린치 증후군 환자 중 대장암과 자궁내막암을 모두 가진 경우, 약 절반이 자궁내막암으로 처음 나타나는데, 이는 자궁내막암이 린치 증후군에서 가장 흔한 선별 암임을 의미한다.[5]

HNPCC 관련 난소암은 평균 진단 연령이 42.5세이며, 약 30%는 40세 이전에 진단된다.

''MLH1'', ''MSH2''/''EPCAM'', ''MSH6'', ''PMS2''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라 부인과 암 위험이 달라진다.[9]

린치 증후군에서 부인과 암 위험[9]
유전자난소암 위험자궁내막암 위험
MLH14-24%25-60%
MSH2/EPCAM4-24%25-60%
MSH61-11%16-26%
PMS26% (결합 위험)15%



예방적 자궁 절제술 및 난관-난소 절제술 (암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 난관, 난소를 제거하는 수술)은 난소암 또는 자궁내막암이 발생하기 전에 수행할 수 있다.[37]

그 외의 암에 대해서도 CT, 초음파, 캡슐 내시경 등을 매년 시행한다.

6. 3. 기타 암

린치 증후군은 위암, 소장암, 췌장암, 요관/신우암, 담도암, 뇌암, 피지선 신생물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3] 전립선암유방암의 위험 증가 역시 린치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지만, 이러한 관계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3]

  • 요로에서의 암은 신우와 요관에 나타나는 이행 상피암이다.
  • 소장암은 십이지장공장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 중추 신경계 종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교아세포종이다.


그 외의 암에 대해서도 CT, 초음파, 캡슐 내시경, 뇨 세포진 등을 매년 시행한다.

7. 치료

린치 증후군 관련 암 치료의 최우선은 수술적 절제이다. 린치 증후군 환자에서 대장암이 발생한 경우 부분적인 결장 절제술 또는 회장-직장 문합술을 동반한 전 결장 절제술로 치료할 수 있다.[44] 부분 결장 절제술 후 대장암 위험이 증가하고 두 수술 후 삶의 질이 비슷하기 때문에, 특히 젊은 환자에게는 전 결장 절제술이 린치 증후군의 선호되는 치료법일 수 있다.[44]

5-플루오로우라실 기반 보조 요법의 효과는 논란이 있다.[45] 특히 1기 및 2기 종양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91]

항 PD-1 항체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46] 항 PD-1 치료를 통한 면역 관문 억제는 진행성 미세부수체 불안정성-높음 대장암에 대한 우선적인 1차 치료법으로 선호된다.[47] 종양에 대해서는 외과적 절제가 시행되며, MSI 양성인 대장 직장암 및 기타 악성 종양에 대한 면역 관문 억제제(항 PD-1 항체, 펨브롤리주맙)의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96] 미국에서는 니볼루맙이 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H) 또는 미스매치 복구 결함(dMMR)의 전이성 대장암에 적응증을 획득하고 있다.[97]

아스피린을 사용한 무작위 이중맹검 시험 결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92] 그러나 4년 이상 고용량 아스피린 투여는 린치 증후군 환자에서 신규 발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93]

8. 연구

옥스퍼드 대학교 과학자들이 암 연구 UK의 지원을 받아 린치 증후군으로 인한 암 위험을 줄이는 백신인 린치백스(LynchVax) 개발을 2024년에 시작했지만, 아직 임상 시험은 요원하다.[48][49]

9. 역학

린치 증후군의 유병률은 279명 중 1명(0.35%)으로 추정된다.[50][51] 프랑스계 캐나다인, 아이슬란드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슈케나지 유대인 등 특정 인구 집단에서 시조 돌연변이 유병률이 높다.[50][51] 린치 증후군은 진단된 모든 대장암의 약 3%, 자궁내막암의 1.8%를 차지한다.[50][51] 린치 증후군 환자의 평균 암 진단 연령은 44세로, 린치 증후군이 없는 사람들의 64세보다 젊다.[52]

일본에서도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HNPCC) 계통의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98] 미국에서는 매년 약 16만 명이 대장암 및 직장암으로 진단된다. HNPCC는 이들 중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는 이보다 적은 0.15%에서 2%라는 보고가 있다.[99] HNPCC 환자의 암 발병 연령 평균은 44세이며, 비HNPCC 환자의 대장암 발병 평균 연령은 64세이다.[100]

10. 사회

린치 증후군 국제 연합(Lynch Syndrome International), AliveAndKickn, 린치 증후군 영국(Lynch Syndrome UK)[61] 및 영국 대장암(Bowel Cancer UK)[62] 등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관련 정보와 지원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3월 22일이 전국 린치 증후군 인식의 날(National Lynch Syndrome Awareness Day)이다.[63]

참조

[1] 논문 Lynch syndrome and Lynch syndrome mimics: The growing complex landscape of hereditary colon cancer 2015-08-21
[2] 논문 Risk of pancreatic cancer in families with Lynch syndrome 2009-10
[3] 웹사이트 Lynch Syndrome https://www.dynamed.[...] 2019-02-22
[4] 논문 The American Society of Colon and Rectal Surgeo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Colon Cancer 2017-10
[5] 서적 Williams Gynecology McGraw-Hill Medical 2014-06-23
[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ndometrial Cancer https://www.aafp.org[...] 2016-03
[7] 논문 Diagnostics of Mutations in MMR/EPCAM Genes and Their Role in the Treatment and Care of Patients with Lynch Syndrome 2020-10-05
[8] 논문 Cancer risk and survival in path_MMR carriers by gene and gender up to 75 years of age: a report from the Prospective Lynch Syndrome Database 2018
[9] 논문 Current and future role of genetic screening in gynecologic malignancies https://pubmed.ncbi.[...] 2017
[10] 웹사이트 Lynch Syndrome https://ghr.nlm.nih.[...]
[11] 웹사이트 Pathology of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 JASS 910 (1): 62 -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http://www.annalsnya[...]
[12] 논문 Mutated gene-specific phenotypes of dinucleotide repeat instability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deficient in DNA mismatch repair 1999-03
[13] 논문 Lynch syndrome-associated endometrial carcinoma with MLH1 germline mutation and MLH1 promoter hypermethyl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2018-05
[14] 논문 Role of DNA mismatch repair defects in the pathogenesis of human cancer 2003-03
[15] 논문 Genetic and genomic basis of the mismatch repair system involved in Lynch syndrome 2019-09
[16] 논문 The human mutator gene homolog MSH2 and its association with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1993-12
[17] 논문 Recent Advances in Lynch Syndrome: Diagnosis, Treatment, and Cancer Prevention 2018-05
[18] 논문 Lynch Syndrome and Muir-Torre Syndrome: An update and review on the genetics, epidemiology, and management of two related disorders 2017-11
[19] 논문 Mutation of a mutL homolog in hereditary colon cancer 1994-03
[20] 논문 Germline mutation of MSH6 as the cause of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1997-11
[21] 논문 Mutations of two PMS homologues in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1994-09
[22] 논문 HNPCC associated with germline mutation in the TGF-beta type II receptor gene 1998-05
[23] 논문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LH3 missense mutations does not reveal an apparent role of MLH3 in Lynch syndrome https://pure.rug.nl/[...] 2009-04
[24] 논문 A high incidence of MSH6 mutations in Amsterdam criteria II-negative families tested in a diagnostic setting 2008-11
[25] 논문 MSH6 syndrome 2008-06
[26] 논문 An Ashkenazi founder mutation in the MSH6 gene leading to HNPCC 2010-06
[27] 웹사이트 Fact Sheet 33 {{!}} BOWEL CANCER AND INHERITED PREDISPOSITION http://www.genetics.[...]
[28] 논문 Guidelines on genetic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Lynch syndrome: a consensus statement by the US Multi-Society Task Force on colorectal cancer 2014-08
[29]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istology-Based Detection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Prediction of Response to Immunotherapy in Colorectal Cancer 2021-01-21
[30]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of diagnostic strategies for Lynch syndrome https://doi.org/10.3[...] 2014-09
[31] 논문 Molecular testing for Lynch syndrome in people with colorectal cancer: systematic reviews and economic evaluation https://doi.org/10.3[...] 2017-09
[32] 논문 Microsatellite Instability: Diagnosis, Heterogeneity, Discordance, and Clinical Impact in Colorectal Cancer 2019-10
[33] 논문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colorectal cancer https://www.excli.de[...] 2018
[34] 논문 Deficient mismatch repair/microsatellite unstable colorectal cancer: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2022-11
[35] 웹사이트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Background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1-10-31
[36]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from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BSG)/Association of Coloproctolog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CPGBI)/United Kingdom Cancer Genetics Group (UKCGG) null 2020-03
[37] 논문 Current and future role of genetic screening in gynecologic malignancies 2017-11
[38] 논문 Cost-Effectiveness of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Endometrial Cancer-A Systematic Review 2020-07
[39] 웹사이트 Medical Options {{!}} CDC https://www.cdc.gov/[...] 2020-04-01
[40] 논문 Revised guidelines for the clinical management of Lynch syndrome (HNPCC): recommendations by a group of European experts null 2013-06
[41] 논문 New clinical criteria fo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Lynch syndrome)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group on HNPCC 1999-06
[42] 논문 Universal Screening of Colorectal Cancers for Lynch Syndrom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016-04
[43] 논문 Approach to Lynch Syndrome for the Gastroenterologist 2017-02
[44] 간행물 Hereditary gastrointestinal cancers: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 up† 2019-10-01
[45] 논문 The biochemical basis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abnormal immunohistochemistry and clinical behavior in Lynch syndrome: from bench to bedside
[46] 논문 PD-1 Blockade in Tumors with Mismatch-Repair Deficiency 2015-06
[47] 논문 Pembrolizumab in Microsatellite-Instability–High Advanced Colorectal Cancer 2020-12-03
[48] 웹사이트 Lynchvax: Vaccine hope for cancer risk genetic disorder https://www.bbc.com/[...] 2024-09-18
[49] 웹사이트 Work starts on a cancer vaccine for people with Lynch syndrome https://news.cancerr[...] 2024-09-09
[50] 논문 Recent progress in Lynch syndrome and other familial colorectal cancer syndromes null 2018-05
[51] 논문 Recent advances in Lynch syndrome 2019-04
[52] 웹사이트 Oncolink https://www.oncolink[...]
[53] 논문 Hereditary factors in cancer. Study of two large midwestern kindreds 1966-02
[54] 논문 Colorectal cancer due to deficiency in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a review 2009-11
[55] 논문 Familial colorectal cancer type X: the other half of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syndrome http://journals.else[...] 2009-10
[56] 논문 Lower cancer incidence in Amsterdam-I criteria families without mismatch repair deficiency: familial colorectal cancer type X 2005-04
[57] 논문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in 95 familie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mutation-positive and mutation-negative kindreds 2001-01
[58] 논문 Performance of the revised Bethesda guidelines for identification of colorectal carcinomas with a high level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https://www.archives[...] 2005-11
[59] 논문 Revised Bethesda Guidelines fo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Lynch syndrome)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null 2004-02
[60] 논문 Refining the Amsterdam Criteria and Bethesda Guidelines: testing algorithms for the prediction of mismatch repair mutation status in the familial cancer clinic http://www.jco.org/c[...] 2004-12
[61] 웹사이트 Lynch Syndrome UK https://www.lynch-sy[...]
[62] 웹사이트 Bowel Cancer UK: Lynch Syndrome https://www.bowelcan[...]
[63] 웹사이트 CDC: March 22nd is National Lynch Syndrome Awareness Day! https://www.cdc.gov/[...] 2018-03-20
[64] 논문 Risk of pancreatic cancer in families with Lynch syndrome null
[65] 문서 School of Medicine :: Hereditary Cancer Center :: Creighton University http://medicine.crei[...]
[66] 논문 Hereditary factors in cancer. Study of two large midwestern kindreds http://archinte.ama-[...]
[67] 논문 Colorectal cancer due to deficiency in DNA mismatch repair function: a review
[68] 논문 Performance of the revised Bethesda guidelines for identification of colorectal carcinomas with a high level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http://journals.alle[...]
[69] 논문 Revised Bethesda Guidelines fo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Lynch syndrome)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http://jnci.oxfordjo[...]
[70] 논문 Refining the Amsterdam Criteria and Bethesda Guidelines: testing algorithms for the prediction of mismatch repair mutation status in the familial cancer clinic http://www.jco.org/c[...]
[71] 서적 Heredity and family history - How to draw your family tree. The benefits of genetic screening- Cancer Free: the Comprehensive Cancer Prevention Program 1996
[72] 논문 Heredity with reference to carcinoma as shown by the study of the cases examined in the pathological laboratory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1895-1913 Arch Intern Med 1913
[73] 논문 Guideline fo the clinical management of Lynch syndrome(hereditary non-polyposis cancer) J Med Gnet 2007
[74] 웹사이트 http://jsft.umin.jp/[...]
[75] 간행물 Pathology of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 JASS 910 (1): 62 -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http://www.annalsnya[...]
[76] 웹사이트 http://www.ncbi.nlm.[...]
[77] 논문 The human mutator gene homolog MSH2 and its association with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78] 논문 Mutation of a mutL homolog in hereditary colon cancer
[79] 논문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and the role of hPMS2 and hEXO1 mutations http://www3.intersci[...]
[80] 웹사이트 http://grj.umin.jp/g[...]
[81] 논문 Mutations of two PMS homologues in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82] 논문 HNPCC associated with germline mutation in the TGF-beta type II receptor gene
[83] 논문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LH3 missense mutations does not reveal an apparent role of MLH3 in Lynch syndrome
[84] 논문 A high incidence of MSH6 mutations in Amsterdam criteria II-negative families tested in a diagnostic setting http://gut.bmj.com/c[...]
[85] 논문 MSH6 syndrome
[86] 논문 An Ashkenazi founder mutation in the MSH6 gene leading to HNPCC
[87] 논문 Case 6-2016 A 10-Year-Old Boy with Abdominal Cramping and Fevers N Engl J Med 2016
[88] 웹사이트 http://www.shouman.j[...]
[89] 논문 Strategies to Identify the Lynch Syndrome Among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n Intern Med 2011-07-19
[90] 논문 New clinical criteria for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Lynch syndrome)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group on HNPCC. Gastroenterology 1999
[91] 논문 The biochemical basis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abnormal immunohistochemistry and clinical behavior in Lynch Syndrome: from bench to bedside. Familial Cancer 2007
[92] 논문 Effect of aspirin or resistant starch on colorectal neoplasia in the Lynch syndrome http://content.nejm.[...]
[93] 웹사이트 Aspirin Confers Long-Term Protective Effect in Lynch Syndrome Patients http://www.medscape.[...] 2009-11-07
[94] 논문 Hereditary and familial colon cancer Gastroenterology 2010
[95] 논문 Screening for Lynch syndrome in colorectal cancer: are we doing enough? Ann Surg Oncol 2012
[96] 논문 PD-1 Blockade in Tumors with Mismatch-Repair Deficiency N Engl J Med 2015-06-25
[97] 웹사이트 http://www.ono.co.jp[...]
[98] 서적 わが国における遺伝性非ポリポーシス大腸癌の臨床的検討 -文献的考察-
[99] 웹사이트 遺伝性非ポリポーシス大腸癌 http://mymed.jp/di/b[...] 2008-06-11
[100] 웹사이트 OncoLink eNews: On the Forefront of Colorectal Cancer, Winter 2002 http://www.oncolink.[...] OncoLink 2002-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