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6년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학자가 되었다.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종의 유지를 받들어 어린 세손을 보필했다.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당했으며,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문과 글씨에 능했으며, 토정 이지함이 그의 종증손이다.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고, 드라마 한명회, 왕과 비, 공주의 남자, 인수대비 등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개 - 서천 문헌서원
    서천 문헌서원은 고려 후기 학자 이곡과 이색을 기리기 위해 1594년에 건립되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69년에 재건되어 여섯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다.
  • 1417년 출생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1417년 출생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사육신 - 사육신공원
    사육신공원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조성된 공원이며, 사육신 묘, 의절사, 사육신역사관 등의 시설이 있다.
  • 사육신 - 하위지
    하위지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8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으며, 세조 즉위 후 육조 직계제를 반대하다가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여 처형된 사육신 중 한 명이다.
이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개
한자 이름李塏
백옥헌(白玉軒)
청보(淸甫), 백고(伯高)
묘 위치이개의 묘
출생일1417년
사망일1456년
국적조선
본관한산
직업문신, 학자

2. 생애

1436년 문과에 급제한 후, 1441년 세종에 의해 집현전 학자가 되었다. 그해 저작랑(著作郞)으로 《명황계감》(明皇戒鑑)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후 신숙주, 성삼문, 정인지, 김문기 등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에도 참여했다. 144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사가독서하였다.

1448년 교리가 되었고, 세종의 임종에 즈음하여 어린 세손을 부탁한다는 유지를 받들었다. 1450년 문종이 왕위에 오른 뒤, 후에 단종이 된 왕자의 개인 교사 역할을 하였다. 1455년 단종이 세조에 의해 왕위를 빼앗기자, 1456년 이개는 직제학(直提學)으로 승진되었으나 고위 관리들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붙잡혀 형문을 당한 후 아들과 함께 처형당하였다.

시문(詩文)과 글씨를 잘 지었다. 1758년 이조판서가 추증되고, 대구의 낙빈서원(洛濱書院),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충주 노운서원(魯雲書院), 과천 민절서원(愍節書院), 의성 충렬사(忠烈祠) 등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의열(義烈)이었다가 뒤에 충간(忠簡)으로 시호가 개정되었다.

토정비결의 저자 토정 이지함이 그의 종증손이고, 종고손은 동인북인의 당수이며 3번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임진왜란명나라군 파병을 위해 노력하다가 과로사한 이산보이다.

3. 사후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로 추증되었고, 대구 낙빈서원(洛濱書院), 한산 문헌서원(文獻書院), 충주 노운서원(魯雲書院), 과천 민절서원(愍節書院), 의성 충렬사(忠烈祠) 등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의열(義烈)이었다가 뒤에 충간(忠簡)으로 개정되었다.

토정비결의 저자 토정 이지함은 그의 종증손이고, 종고손은 동인과 북인의 당수이며 3번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임진왜란명나라군 파병을 위해 노력하다가 과로사한 이산보이다.

4. 절명시

사형을 앞두고 감옥에서 지은 절명시는 다음과 같다:[1]

: 방 안에 켜 있는 촛불은 누구와 이별했기에

: 겉으로는 눈물 흘리고 속은 타들어가는 줄 아무도 모르는가.

: 우리 또한 천 리 밖 임금과 이별하여 속이 타는 듯하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이종선(李種善)이색의 3남, 한산 이씨
조모권근의 딸
아버지이계주(李季疇)
어머니진명례(陳明禮)의 딸
부인이률(李栗)의 딸


6. 평가

이개는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다.[1]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대구 낙빈서원(洛濱書院), 한산 문헌서원(文獻書院), 충주 노운서원(魯雲書院), 과천 민절서원(愍節書院), 의성 충렬사(忠烈祠) 등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다. 처음 내려진 시호는 의열(義烈)이었으나, 이후 충간(忠簡)으로 바뀌었다.[1]

토정비결의 저자로 알려진 토정 이지함은 이개의 종증손이다. 종고손으로는 동인과 북인의 영수로서 세 차례나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 파병을 위해 힘쓰다 과로로 사망한 이산보가 있다.[1]

7. 대중문화

2011년 KBS2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 엄효섭이 이개를 연기했다.[1]

7. 1.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