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은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오랜 갈등, 특히 시오니즘과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의 충돌로 발발했다. 영국 위임통치령 시기 내전과 유엔 분할안 채택 이후, 이스라엘 건국 선포와 아랍 연맹의 개입으로 전쟁이 본격화되었다. 전쟁 결과 이스라엘은 영토를 확장하고, 약 7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으며,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영토 분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배경

1948년 전쟁은 지중해요르단강 사이의 땅에서 60년 이상 지속된 유대인아랍인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131] 이 땅은 유대인들에게는 "에레츠 이스라엘"(이스라엘의 땅)로, 아랍인들에게는 "팔라스틴"(팔레스틴)으로 불렸다. 이 곳은 유대인과 유대교의 발상지이다. 역사적으로 이 영토는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초기 칼리파국, 십자군, 무슬림 맘루크, 오스만 제국 등 많은 정복자들을 거쳤다.[131]

1881년 당시 이 땅은 오스만 제국의 직접 통치를 받았으며, 약 45만 명의 아랍어 화자가 살고 있었다. 이들 중 90%는 무슬림이었고, 나머지는 기독교인드루즈인이었다. 아랍인의 80%는 700~800개의 마을에, 나머지는 12개의 도시에 살았다. 25,000명의 유대인("구 이슈브")은 대부분 예루살렘에 살았으며, 초정통적이고 가난했으며 민족주의적 견해가 없었다.[131]

1948년 전쟁은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 하에 있던 영국이 이 지역에 유대 민족의 보금자리를 건설하는 임무를 맡았던, 영국의 위임 통치 기간 동안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에 30년간의 마찰이 절정에 달한 것이었다.

2. 1.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시온주의는 유럽에서 형성된 유대 민족의 민족 운동으로, 고대 조국에 유대 국가를 재건하려는 목표를 가졌다. 제1차 알리야라고 불리는 최초의 시온주의 이주 물결은 1882년부터 1903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약 3만 명의 유대인들이 주로 러시아 제국 출신으로 오스만 팔레스타인에 도착했다. 이들은 시온주의 사상과 유럽의 반유대주의 물결, 특히 러시아 제국에서 일어난 잔혹한 포그롬에 의해 이끌렸다. 이들은 유대인 농업 정착촌과 국가를 획득할 수 있는 유대인 다수를 그 땅에 설립하려 했다.[27]

19세기 말, 오스만 팔레스타인의 아랍인 거주자들은 시온주의 유대인들이 자신들 옆에 정착하는 것을 보았지만, 민족 운동과는 관련이 없었다. 역사적으로 팔레스타인은 어떤 무슬림 통치자에 의해서도 별개의 주로 관리되거나 인정된 적이 없었다.[28]

1882년부터 오스만 제국은 팔레스타인에서의 유대인 정착과 토지 매입을 금지하는 일련의 법령을 내렸지만, 오스만 관료주의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이러한 제한은 거의 효력이 없었다. 뇌물로 인해 오스만 당국은 토지 및 정착촌 분쟁에서 종종 유대인 정착민을 지원했다.[29][30]

1910년대까지 시온주의자들은 아랍인들이 정치적 인식이 부족하고 조직되지 않아 폭력에 거의 직면하지 않았다.[30] 그러나 1909년에서 1914년 사이에 아랍인들이 유대인 정착촌 경비병 12명을 살해하면서 상황이 바뀌었고, 아랍 민족주의와 시온주의 사업에 대한 반대가 증가했다. 1911년 아랍인들은 예즈르엘 계곡에 유대인 정착촌 설립을 막으려 했고, 이 분쟁으로 아랍인 1명과 유대인 경비병 1명이 사망했다. 아랍인들은 유대인들을 "새로운 십자군"이라고 불렀고, 반시온주의(그리고 때로는 반유대주의[31]) 수사가 번성했다.[30]

2. 2. 영국의 위임통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붕괴하면서 팔레스타인은 국제 연맹에 의해 영국위임통치령이 되었다.[33] 영국은 1917년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을 위한 민족적 보금자리"를 건설하는 것을 지지했지만, 동시에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는 비유대인 공동체의 시민 및 종교적 권리"도 보호해야 했다.[33] 이러한 영국의 정책은 유대인과 아랍인 양측 모두의 기대를 충족시켜야 하는 모순된 입장이었다.

하임 바이츠만이 이끄는 시오니스트들의 로비 활동과 종교적, 인도주의적 동기가 밸푸어 선언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국은 수에즈 운하 방어를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에 친영 국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위임통치 기간 동안 이슈브(팔레스타인 내 유대인 공동체)의 규모와 세력이 커지면서 유대인과 아랍인 공동체 간의 긴장이 심화되었다. 1920년 예루살렘 폭동, 1921년 폭동, 1929년 폭동 등에서 상당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팔레스타인 아랍 민족주의의 대두 외에도 유대인이 성전 산을 차지하려 한다는 비난과 같은 종교적 이유로 발생하기도 했다.[33]

아랍인들은 유대인 이민에 반대했지만, 팔레스타인의 유력 가문들은 시오니스트들에게 토지를 계속 판매했다. 팔레스타인 아랍 집행위원회 구성원 중 최소 1/4이 이러한 토지 매각으로 재정적 이익을 얻었으며, 여기에는 예루살렘 시장과 알-후세이니 가문이 포함되었다.[34] 시오니스트 지도자들은 아랍인들과의 타협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5]

2. 3. 유엔 분할안

1948년 전쟁은 지중해요르단강 사이의 땅에서 60년 이상 지속된 유대인아랍인 간의 갈등 때문에 발생했다. 이 땅은 유대인들에게는 "에레츠 이스라엘" 또는 "이스라엘의 땅"으로, 아랍인들에게는 "팔라스틴" 또는 "팔레스틴"으로 불린다. 이곳은 유대인과 유대교가 시작된 곳이다. 역사적으로 이 영토는 많은 정복자들을 거쳤다. 로마 제국은 2세기 동안 유대인 반란을 진압하고 예루살렘을 약탈한 후, 고대 이 땅의 남쪽 해안을 점령했던 나라인 "블레셋의 땅"을 의미하는 "팔라에스티나"로 땅의 이름을 바꾸었다.[131]

3. 1947-1948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시기 내전

1936-1939년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은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는 유대인이 늘어나고, 토착 농민인 ''펠라힌''의 어려움이 커지는 가운데 발생했다.[36] 1936년 4월 15일 유대인 운전수 3명이 살해된 사건 이후, 이들의 장례식은 빠르게 확산되는 소요 사태로 이어졌다.[37] 반란은 1936년 4월 19일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총파업으로 시작되어 지역 간 폭력으로 확대되었다.[38] 영국이 반란을 진압하면서 1948년 전쟁 이전에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상당히 약화되었다.[39]

1946년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 이후, 이르군이 저지름


특히 1939년 백서 이후, 시온주의 준군사 조직인 이르군, 레히, 하가나는 영국 통치에 대항하여 테러 행위와 사보타주를 벌였다. 1946년 이르군이 저지른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는 이러한 공격 중 하나로, 이로 인해 91명이 사망했다.[40][41][42]

4.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1948년 6월 1일 군사 상황 지도


1948년 5월 14일, 다비드 벤구리온에레츠 이스라엘에 유대 국가를 설립하여 이스라엘로 명명한다고 선언했다.[67]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과 요시프 스탈린 소련 지도자는 즉시 이스라엘을 승인했다. 그러나 아랍 연맹은 유엔 분할안을 수용하지 않고 팔레스타인 전체 아랍인의 자결권을 선포하며, 아랍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68] 팔레스타인의 아랍 최고 위원회는 분할 결의안과 어떠한 형태의 유대 국가도 거부했으며 "시온주의 프로젝트"와의 협상을 거부했다.[69]

이후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트란스요르단), 시리아를 비롯한 아랍 연맹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진입하여 이스라엘과 교전했다. 이들은 아랍 해방군과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예멘에서 온 자원병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아랍군은 남쪽의 이집트군, 동쪽의 요르단 및 이라크군, 북쪽의 시리아군 등 모든 전선에서 동시 공격을 시작했지만, 협력은 부실했다.

아랍 국가들의 침공은, 1939년 백서 이후 이르군, 레히, 하가나와 같은 시온주의 준군사 조직이 영국 통치에 대항하여 일으킨 테러와 사보타주에 대한 대응이기도 했다. 이들의 공격 중에는 1946년 이르군이 저지른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도 있었으며, 이로 인해 91명이 사망했다.[40][41][42]

4. 1. 전쟁의 경과

유엔 총회는 1947년 11월 29일,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로 나누고, 예루살렘을 국제 관리 하에 두는 UN 총회 결의안 181(II)을 채택했다.[44] 유대 지도부는 이를 수용했지만,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아랍 연맹은 반대했다.[47][48][49]

분할안 채택 직후, 유대인 사회는 기뻐했지만 아랍 사회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고, 곧 양측 간의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살인, 보복, 반격이 이어지며 수십 명이 사망했다.

1948년 5월 29일, UN은 휴전을 선언했고, 6월 11일부터 28일 동안 휴전이 지속되었다. 폴케 베르나도트가 UN 중재자로 임명되어 휴전을 감독했다.[70] 무기 금수 조치가 시행되었지만, 양측 모두 이를 어기고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했다. 이스라엘은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무기를 획득하고 군대를 재편성하여 병력을 3만 명에서 6만 5천 명으로 늘렸다.[74] 이츠하크 라빈은 훗날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온 무기가 없었다면… 우리가 전쟁을 수행할 수 있었을지 매우 의심스럽다"고 회고했다.[75]

7월 7일, 이집트군이 네그바를 공격하며 전쟁이 재개되었다.[76] 이스라엘군은 다니 작전, 데켈 작전, 케뎀 작전을 통해 반격했고, 7월 18일 두 번째 휴전이 발효될 때까지 하부 갈릴리를 점령했다. 다니 작전으로 인해 6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리다와 라믈라에서 추방되었다.[77] 7월 15일, 이스라엘은 카이로를 폭격했다.[78][79][80]

10월 15일, 이스라엘은 요아브 작전을 개시하여 이집트군을 격파하고 베르셰바아슈도드에서 이집트군을 몰아냈다. 10월 22일, 세 번째 휴전이 발효되었다.[82]

10월 24일, 이스라엘은 히람 작전을 개시하여 갈릴리 북부를 점령하고 아랍 해방군을 레바논으로 몰아냈다. 12월 22일, 호레브 작전을 통해 가자 지구의 이집트군을 포위하려 했으나, 국제적 압력으로 철수했다. 1949년 1월 7일, 휴전이 이루어졌다.

3월 5일, 이스라엘은 우브다 작전을 개시하여 3월 10일 에일라트를 점령하고 이스라엘 영토로 선언했다.

4. 2. 주요 작전

1948년 3월, 예루살렘 근처에서 불타는 하가나 장갑 보급 트럭 앞에서 아랍인 전투원


전쟁 초기, 압드 알-카디르 알-후세이니가 이끄는 성전 군대는 이집트에서 온 수백 명의 병력과 함께 수천 명의 자원병을 모집하여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10만 명의 유대인 주민을 봉쇄했다.[54] 이슈브 당국은 최대 100대의 장갑차로 도시를 지원하려 했지만, 구호 호송대에서 사상자가 급증하면서 작전은 점점 더 비현실적이 되었다. 3월까지 알-후세이니의 전술은 효과를 보았다. 하가나의 거의 모든 장갑차가 파괴되었고 봉쇄 작전이 완전히 시행되었으며, 도시에 물품을 반입하려던 수백 명의 하가나 대원들이 사망했다.[55]

5. 전쟁의 결과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1949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휴전 협정 체결로 종결되었다.[64] 전쟁 결과, 달레트 계획에 따라 하가나는 공세를 취해 티베리아스, 하이파 (하이파 전투 참고), 사페드, 베이산, 야파, 아크레 등 주요 도시를 점령했고, 25만 명 이상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추방되었다.[64] 데이르 야신 학살은 아랍인들의 사기에 큰 영향을 미쳐 1948년 팔레스타인 추방과 도주를 가속화했다.

영국군 철수 후, 인접 아랍 국가들이 개입했으나 준비 부족으로 전쟁 흐름을 바꾸지 못했다. 압둘라 1세의 아랍 군단은 팔레스타인 아랍 국가 건설에 반대하며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상당 부분을 합병하려 했다. 예프타흐 작전, 벤 아미 작전, 킬숀 작전으로 갈릴리 지역 유대인 정착지가 확보되고 예루살렘 주변에 이스라엘 통제 전선이 구축되었다. 골다 메이어와 압둘라 1세 간 회담 결렬, 크파르 에치온 학살 이후 예루살렘 전투는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5. 1. 영토 변화

1949년 이스라엘은 이집트, 레바논, 트란스요르단, 시리아와 각각 휴전 협정을 맺었다.[64] 이 협정으로 이스라엘은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약 78%를 점유하게 되었는데, 이는 유엔 분할안에서 할당된 것보다 22% 더 많은 면적이었다.[64] 이 휴전선은 이후 "그린 라인"으로 알려졌다.[64] 가자 지구는 이집트가, 서안 지구는 트란스요르단이 점령했다.[64] 휴전을 감시하고, 휴전 협정을 감독하며, 분쟁 발생을 막기 위해 유엔 휴전 감시 기구와 혼합 휴전 위원회가 설립되었다.[64]

1949년 휴전 협정 이후의 이스라엘

5. 2.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시기 1947–48년 내전과 이어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동안 약 70만 명의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고향에서 도피하거나 추방되었다.[26] 1951년, 유엔 팔레스타인 조정 위원회는 이스라엘에서 이주한 팔레스타인 난민의 수를 711,000명으로 추산했다.[87] 이 수치에는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 내에서 이주한 팔레스타인인은 포함되지 않았다. 아랍-이스라엘 분쟁 중 비워진 마을 목록에는 400개 이상의 아랍 마을과 약 10개의 유대인 마을 및 인근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1948년 팔레스타인 엑소더스의 원인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은 주제이다.[88]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그들의 귀환권에 대한 논쟁 또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주요 문제이다. 팔레스타인인들은 매년 5월 15일에 연례 시위와 항의를 벌여 이 사건을 기념한다. (나크바)

6. 이스라엘의 생물학전 사용 논란

이스라엘 역사가 베니 모리스와 벤자민 케다르의 연구에 따르면, 1948년 전쟁 동안 이스라엘은 '빵을 던져라 작전'이라는 암호명으로 생물학전을 수행했다. 모리스와 케다르에 따르면, 하가나장티푸스균을 사용하여 새로 점령한 아랍 마을의 우물을 오염시켜 민병대를 포함한 주민들의 귀환을 막았다. 이후 생물학전은 아랍군에 함락될 위기에 처한 유대인 정착촌과 점령 대상이 아닌 아랍 마을로 확대되었다. 이집트, 레바논, 시리아 등 다른 아랍 국가로 생물학전을 확대하려는 계획도 있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84]

7. 국제사회의 반응

미국해리 S. 트루먼 대통령과 소련의 요시프 스탈린 지도자는 이스라엘을 즉시 승인했다.[68] 그러나 아랍 연맹은 유엔 분할안을 수용하지 않고 팔레스타인 전체 아랍인의 자결권을 주장하며, 아랍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68] 아랍 최고 위원회는 분할 결의안과 유대 국가를 거부하고 "시온주의 프로젝트"와의 협상을 거부했다.[6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7월 18일 두 번째 휴전을 발령했다.[74]

8. 역사적 평가와 논쟁

이스라엘은 이 전쟁을 독립 전쟁으로 기념하지만, 팔레스타인인들은 나크바(대재앙)로 기억한다.[99][100] 이스라엘에서는 이 전쟁을 독립 전쟁이라고 부르며, 팔레스타인 측에서는 나크바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본다. 시오니즘 운동은 정착 식민주의로서의 시온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되며, 이스라엘인들은 정복자로, 팔레스타인인들은 피해자로 여겨진다.[99]

1948년 전쟁에 대한 역사 서술은 자료와 기록 보관소에 대한 접근성 문제, 언어 장벽 등의 어려움이 있다.[108][101][102] 또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연결되어 현재의 정치적 정당성에 영향을 미치고,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도 연관된다.[103][104]

아비 슐라임은 1948년 전쟁에 대한 전통적인 시온주의 서술, 즉 "오래된 역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99]


  • 1947년 11월 29일 유엔 분할 결의안 통과 후 팔레스타인 내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유대인들은 유엔 계획을 받아들였지만, 팔레스타인, 인접 아랍 국가, 아랍 연맹은 이를 거부했다.
  • 영국은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말기에 유엔 계획에 명시된 유대 국가 수립을 좌절시키려 했다.
  • 위임 통치가 만료되고 이스라엘이 선포되자 일곱 개의 아랍 국가들이 군대를 팔레스타인으로 파견했다.
  • 유대 국가는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 생존을 위한 필사적이고 영웅적인 전투를 벌였다.
  • 전쟁 중 수십만 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지도자들의 명령에 따라 인접 아랍 국가로 도망갔다.
  • 전쟁 후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평화를 추구했지만, 아랍의 완강함만이 정치적 교착 상태의 원인이었다.


슐라임은 이러한 서술이 전문적인 학술 역사가가 아닌 전쟁 참전자, 정치인, 군인 등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이스라엘인을 도덕적으로 우월하게 묘사하고 정치적 분석이 부족하며, "이스라엘 전사들의 영웅적인 업적"에 과도한 비중을 둔다고 비판한다.[99]

1980년대 후반, 심하 플라판, 베니 모리스, 일란 파페, 아비 슐라임 등 뉴 히스토리언스(포스트 시온주의자)로 알려진 이스라엘 역사학자들이 등장하여 기존의 시온주의적 관점에 이의를 제기했다.[99][105] 이들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말기 유대인 거주 지역에 대한 영국의 정책, 1948년의 군사적 균형,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의 기원, 전쟁 중 이스라엘인과 요르단인 간의 관계, 전쟁에서 아랍의 목표, 그리고 전쟁 후 평화가 달성되지 못한 이유 등에서 기존의 시온주의적 서술과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99]

베니 모리스는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논쟁을 일으켰다. 일란 파페는 2000년대 이후 제2차 인티파다와 9.11 테러를 거치면서 이스라엘 내에서 1948년에 대한 지배적인 내러티브가 변화했다고 지적한다. 그는 "신-시온주의" 내러티브가 등장하여 1948년의 추방, 학살, 전쟁 범죄를 불가피하거나 필요하다고 정당화했다고 주장한다.[105]

1948년 전쟁에 대한 팔레스타인 측의 이야기는 팔레스타인 원주민 권리, 팔레스타인 희생, 몰수, 추방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나크바라는 용어로 1948년 전쟁을 묘사한다.[106][104] 왈리드 할리디는 1948년 팔레스타인 추방 및 도주가 자발적이었다는 이스라엘 측의 공식적인 이야기를 반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04]

참조

[1] 서적 "L'imaginaire d'Israël : histoire d'une culture politique"
[2] 서적
[3] 서적 Minorities in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Struggle and Self-Expression, 2d ed. McFarland
[4] 웹사이트 The Druze in Israel: Questions of Identity, Citizenship, and Patriotism https://web.archive.[...] 2022-02-24
[5] 뉴스 Israel's Bedouin Warriors Palestine Post 1948-08-12
[6] 웹사이트 Bedouin army trackers scale Israel social ladder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3-04-24
[7] 문서 Pollack, 2004; Sadeh, 1997
[8] 서적 Ground Warfare: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2
[9]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10] 서적 Under the Cover of War Arabicus Books & Media
[11]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2017
[12] 서적 A History of Modern Pales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AV media The Palestinian Nakba: What Happened in 1948 and Why It Still Matters https://www.youtube.[...] 2022-10-17
[14] Encyclopedia Al-Nakba https://books.google[...] Infobase
[15] 서적 Holy War in Judaism: The Fall and Rise of a Controversial Id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Contested Hi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 서적 Futile Diplomacy: The United Nations, the Great Powers, and Middle East Peacemaking 1948–1954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
[18] 사전 nakba https://www.almaany.[...] 2021-08-21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24] 서적
[25] 간행물 Plan Dalet: Master Plan for the Conquest of Palestine https://www.tandfonl[...] 1988-10-01
[26] 서적 Memorandum on the Palestine Refugee Problem, 4 May 19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31]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32]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33]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34] 서적
[35]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36] 논문 Economic Aspects of the Peasant-Led National Palestinian Revolt, 1936-39 https://brill.com/vi[...] 2017-07-26
[37] 서적 Benny Morris (2001), p.128
[38] 서적 Britain, Palestine and Empire: The Mandate Year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6-04-15
[39] 서적 Benny Morris (2001), p.121
[40] 논문 Bloody years of the Jewish Insurgency in British Mandatory Palestine 1939-1948: From the White Paper to the State of Israel https://www.vojenske[...] 2022-09-13
[41] 논문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of Jewish National Terrorism: Avraham Stern and the Lehi http://www.tandfonli[...] 2013-09
[42] 서적 Terror out of Zion : Irgun Zvai Leumi, LEHI, and the Palestine underground, 1929-1949 https://books.google[...] Academy Press
[43] 간행물 Benny Morris (2008)
[44]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domino.un.org[...] 2012-01-11
[45] 간행물 Pappe, 2006, p. 35
[46] 간행물 Karsh
[47] 간행물 El-Nawawy, 2002, p. 1-2
[48] 간행물 Morris, Righteous Victims, 2001, p. 190
[49] 간행물 Gold, 2007, p. 134
[50] 웹사이트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A/RES/181(II)(A+B) 29 November 1947 http://daccess-dds-n[...]
[51] 간행물 Special UN commission (16 April 1948)
[52] 간행물 Yoav Gelber (2006)
[53] 간행물 Yoav Gelber (2006)
[54] 간행물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55] 간행물 Benny Morris (2003)
[56] 간행물 Henry Laurens (2005)
[57] 간행물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58] 간행물 Benny Morris (2003)
[59] 서적 David Tal,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Routledge 2004 p. 89.
[60] 서적 Benny Morris (2008)
[61] 간행물 Dominique Lapierre et Larry Collins (1971)
[62] 간행물 Benny Morris (2003)
[63] 간행물 Benny Morris (2003)
[64] 간행물 Henry Laurens (2005)
[65] 간행물 Benny Morris (2003)
[66] 간행물 Benny Morris (2003)
[67] 웹사이트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laration of Establishment of State of Israel: 14 May 1948 Retrieved 9 April 2012 http://www.mfa.gov.i[...] 2012-03-21
[68]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Palestine Problem http://domino.un.org[...] United Nations 2011-05-26
[69] 서적 Israel's Moment: International Support for and Opposition to Establishing the Jewish State, 1945–194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70]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71]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72]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73]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74]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75] 서적 The Fifty Years War: Israel and the Arabs https://archive.org/[...] BBC Books
[76] 서적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Alfred A. Knopf
[77] 서적
[78] 뉴스 CAIRO IS BOMBED BY ISRAEL FLIER; Arab Planes Counter With Air Blows at Jerusalem, Haifa -- Land Fronts Quiet http://timesmachine.[...] 2023-12-13
[79] 간행물 Mahal and the Dispossession of the Palestinians https://www.jstor.or[...] 2011
[80] 서적 1948 :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www.degruyte[...] Yale University Press 2023-12-14
[81]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82] 서적 Yigal Allon; Native Son; A Biograph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3]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84] 간행물 'Cast thy bread': Israeli biological warfare during the 1948 War http://www.scopus.co[...] 2022-01-01
[85] 서적 World Political Almanac Facts on File
[86]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87] General Progress Report and Supplementary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Covering the Period from 11 December 1949 to 23 October 1950 1950-10-23
[88] 웹사이트 The War for Palestine.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http://www.history.a[...]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09-08-08
[89] 웹사이트 Jewish Refugees of the Israeli Palestinian Conflict http://www.mideastwe[...] Mideast Web 2008-07-13
[90] 서적 Righteous Victims
[91] 서적 The Forgotten Millions: The Modern Jewish Exodus from Arab Lands Continuum
[92] 웹사이트 The Forced Migration of Jews from Arab Countries http://www.hsje.org/[...] 2013-04-04
[93] 서적 For Zion's Sake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94] 웹사이트 Displaced Persons http://www.ushmm.org[...] U.S. Holocaust Museum 2007-10-29
[95] 서적 1949. The First Israelis Owl Books
[96] 서적 Righteous Victims
[97]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and Population Group http://www1.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7-08-07
[98] 서적 Immigrants in Turmoil: Mass Immigration to Israel and its Repercussions in the 1950s and After Syracuse University Press
[99] 간행물 The Debate about 1948 https://www.jstor.or[...] 2023-03-02
[100]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 A History of Settler Colonialism and Resistance, 1917-2017 https://www.worldcat[...] 2020
[101] 간행물 The Debate about 1948 https://www.jstor.or[...] 2023-03-02
[102] 서적 The war of 1948 : representations of Israeli and Palestinian memories and narratives https://www.worldcat[...] 2016
[103] 서적 The war of 1948 : representations of Israeli and Palestinian memories and narratives https://www.worldcat[...] 2016
[104] 서적 The war of 1948 : representations of Israeli and Palestinian memories and narratives https://www.worldcat[...] 2016
[105] 간행물 The Vicissitudes of the 1948 Historiography of Israel 2009-10-01
[106] 서적 The war for Palestine :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07] 서적 Making Israe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04-23
[108] 서적 The Iron Cage : The Story of the Palestinian Struggle for Statehood http://worldcat.org/[...] Oneworld Publications
[109] 간행물 Revisionist Views of the Modern History of Palestine: 1948 https://www.jstor.or[...] 1988
[110] 서적 The war for Palestine :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11] 간행물 The Joan Peters Case*: From Time Immemorial: The Origins of the Arab-Jewish Conflict Over Palestine, by Joan Peters 1986-01-01
[112] 문서 "Disinformation and the Palestine Question: The Not-So-Strange Case of Joan Peters's From Time Immemorial" Verso Books
[113] 웹사이트 Mickey Marcus: Israel's American General http://www.ajhs.org/[...]
[114] 서적 Cast a Giant Shadow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2
[115] 웹사이트 Israeli Air Force, particularly its scrappy beginnings, inspires 3 films http://www.jta.org/2[...] 2015-05-12
[116] 웹사이트 'Farha' tells the story of a Palestinian girl in 1948 https://www.npr.org/[...] NPR 2023-01-29
[117] 간행물 Moscow's Surprise: The Soviet-Israeli Alliance of 1947-1949 https://www.wilsonce[...]
[118] 간행물 Who saved Israel in 1947? https://scholar.harv[...] 2017-11-06
[119] 웹인용 The Czech arms that saved Israel https://www.jpost.co[...] 2023-12-24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서적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4] 문서
[125] 문서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126] 서적 Holy War in Judaism: The Fall and Rise of a Controversial Id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Contested Hi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19
[128] 서적 Futile Diplomacy: The United Nations, the Great Powers, and Middle East Peacemaking 1948–1954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
[129] 웹인용 Translation and Meaning of نكبة In English, English Arabic Dictionary of terms Page 1 https://www.almaany.[...] 2021-08-21
[130] 문서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