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는 7세기 서고트 왕국 시대의 세비야 대주교이자 백과사전 편저자이다. 그는 보편적 지식을 집대성하려 시도한 최초의 기독교 작가로, 그의 대표작인 《어원》은 중세 시대의 백과사전으로 널리 읽혔다. 그는 생애 동안 세비야 대주교로서 교육 운동을 펼치고, 여러 교회 회의를 주재하여 종교적 규율을 강화하는 데 힘썼다. 그의 저작은 중세 시대 학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722년 교회 학자로 선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음악 이론가 - 안토니오 솔레르
    안토니오 솔레르는 스페인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음악 이론가로서,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식을 갖춘 건반악기 소나타 작곡가로 알려져 있으며, 협주곡, 5중주, 모테트, 미사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과 음악 이론 논문 《조바꿈의 열쇠》를 남겼다.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이시도르 데 세비야 (1655),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그림
성 이시도르 데 세비야 (1655),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그림
존칭 접두사성인
이름이시도르 데 세비야
출생일서기 560년경
사망일636년 4월 4일 (75–76세)
축일4월 4일
공경 대상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출생지동로마 제국 스파니아 카르타헤나
사망지서고트 왕국 세비야
칭호주교
신앙 고백자
교회 박사
시성일시성성 이전
상징물꿀벌과 양봉
왕자가 발치에 있는 늙은 주교


세비야의 레안드로, 카르타헤나의 풀겐시오, 플로렌티나와 함께 있는 모습, 어원
수호 대상학생
라틴어 이름Isidorus Hispalensis
스페인어 이름San Isidoro de Sevilla (산 이시도로 데 세비야)
철학
학파/전통어원학
아우구스티누스주의
시대중세 철학
주요 관심사문법, 수사학, 수학, 의학, 법, 언어, 도시, 동물과 새, 물리적 세계, 지리학
주요 저서어원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이시도르 지도
추가 정보
기타 이름이시도루스 유니오르(Isidorus iunior)

2. 백과사전 편저자

이시도르는 어원(Etymologiae)을 저술하여 중세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어원은 20권 448장으로 구성된 방대한 백과사전으로, 고대부터 당대까지의 지식을 총망라했다.[12] 이 책은 중세 최초의 백과사전으로 여겨지며, 성속 양면에 걸친 모든 학문 체계를 집약했다.[55]

이시도르는 어원에서 "인체는 세계를 구성하는 4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의 살은 흙의 성질을, 피는 물의 성질을, 숨결은 공기의 성질을, 체온은 불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라고 정의했다.

사라고사의 브라우리오는 어원을 "알아야 할 거의 모든 것"[13]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복사되지 않아 손실된 고전 자체의 많은 개별 저작물의 사용을 대체했다. "기독교 학자에게 유용한 모든 세속적 지식은 걸러져 하나의 편리한 권에 담겨 있었고, 학자는 더 이상 검색할 필요가 없었다".[14]

어원의 명성은 백과사전적 저술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고, 이는 이후 중세 시대에 풍부한 결실을 맺었다. 어원은 중세 도서관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개요서[56]였으며, 1470년에서 1530년 사이에 적어도 10번의 판으로 인쇄되었으며, 이는 르네상스 시대에도 이시도루스의 인기가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12세기에 아랍 자료에서 번역이 나오기 전까지 이시도루스는 서유럽인들이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른 그리스인들의 저작에 대해 기억하는 것을 전달했는데, 그는 단지 제한된 양의 그리스어만을 이해했다.[15] 어원은 중세 동물우화집을 포함하여 여러 번 복사되었다.[16][17][18]

3. 생애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는 세비야의 대주교로서 엄격한 규율로 교회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중세 말까지 유럽의 정치를 지배하던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를 정비하여 공헌한 인물이다. 스페인에서는 대 야고보와 더불어 스페인을 대표하는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기, 서고트 왕국의 지배를 받던 세비야에서 태어난 이시도르는 독일계 유대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카르타헤나에서 유력한 히스파노-로마 가문 출신인 아버지 세베리아누스와 어머니 테오도라 사이에서 태어났다.[6] 그의 가문은 서고트족 왕들을 아리우스파에서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이시도르는 학문에 정진하여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를 습득했다. 수도 생활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수도사들을 높이 평가했다.

3. 1. 어린 시절과 교육

카르타헤나의 유력한 히스파노-로마 가문 출신인 이시도르는 세베리아누스와 테오도라 사이에서 태어났다.[6] 그의 가족은 서고트 왕국의 서고트족 왕들을 아리우스파에서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이시도르의 형제자매들은 모두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6]

이름설명
세비야의 레안드로이시도르보다 먼저 세비야의 대주교를 지냈으며, 레카레드 왕에 반대했다.
카르타헤나의 풀겐시오레카레드 왕의 통치 초기에 아스티기의 교구 주교를 지냈다.
카르타헤나의 플로렌티나수녀였으며, 40개의 수녀원과 1,000명의 수도자들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7]



이시도르는 세비야의 대성당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8] 트리비움과 쿼드리비움, 즉 고전 자유 교양을 가르치는 이 학교는 스파니아 최초의 학교였다.[8] 이시도르는 열심히 공부해 고전 라틴어를 빠르게 습득하고,[8] 그리스어히브리어도 어느 정도 습득했다.[8]

3. 2. 세비야 대주교

600년 또는 601년 3월 13일 세비야의 레안데르가 사망한 후, 이시도루스는 세비야 대교구의 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서고트 왕국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를 통합하고, 아리우스주의 이단을 근절하며, 종교적 규율을 강화하는 데 힘썼다. 그는 교육을 통해 고트족의 야만성을 억제하고자 했으며, 세비야를 중심으로 교육 운동을 일으켰다.

이시도루스는 자신의 교구민들의 영적, 물질적 복지가 로마의 잔재와 지배적인 게르만족 문화의 융합에 달려 있음을 인식하고, 비시고트 왕국의 민족과 하위 문화를 통합된 국가로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는 이 목적을 위해 모든 가용 종교적 자원을 활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아리우스주의 이단을 근절했으며, 시작 단계에서 새로운 이단인 아케팔리를 완전히 억압했다. 또한, 자신의 관할 구역 전반에 걸쳐 종교적 규율을 강화했다.

이시도루스는 교육 자원을 활용하여 그의 주교 관할 구역 전반에 걸쳐 점점 더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트족의 야만성을 억제했다. 그의 활기찬 정신은 세비야를 중심으로 한 교육 운동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아랍인들이 그리스 철학을 광범위하게 연구하기 훨씬 전에 그의 동포들에게 아리스토텔레스를 소개했다.

619년, 이시도루스는 수도원을 어떤 방식으로든 괴롭히는 모든 성직자에게 저주를 선언했다.

3. 3. 교회 회의

619년 11월 13일 시세부토 왕 통치하의 세비야에서 열린 제2차 세비야 공의회에는 히스파니아의 주교뿐만 아니라 갈리아나르본의 주교도 참석했다. 이 회의의 결정에 따라 아리우스파는 결정적으로 배제되었다.

633년 12월 5일에 시작된 제4차 톨레도 공의회에는 히스파니아의 모든 주교가 참석했다. 이 회의는 수년에 걸쳐 계속되었는데, 그동안 이시도루스가 회의를 주재했고, 대부분의 결정은 그의 제안에 의한 것이었다. 이 공의회는 이시도루스의 정확하고 인내심 있는 정신과 영향력으로 실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공의회에서 왕의 위치는 주목할 만하다. 교회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존재로 여겨졌으며, 동시에 왕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지만, 로마 교황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시도루스의 제안에 따라, 세비야의 성당 학교를 본떠 히스파니아 내 모든 대성당에 신학교 설립을 명령하는 법령이 내려졌다. 이시도루스는 고트족의 야만적인 관습 확산을 교육으로 막으려 했다. 그의 열정으로 세비야에서는 학예가 번성하여 이 시대 계몽 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7자유학과 외에 그리스어히브리어 학과도 설치되었으며, 법학의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모든 주교는 이 공의회에서 정해진 교육 방침을 의무적으로 따라야 했다.[47]

3. 4. 죽음

Isidorus Hispalensisla는 32년 넘게 세비야 대주교로 봉직하다가 636년 4월 4일에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서고트 히스파니아의 아랍 정복 이후 수세기 동안 무자라브인들에게 중요한 숭배 장소였다. 11세기 중반, 알 안달루스가 타이파로 분열되고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세력이 강화되면서 레온과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는 분열된 아랍 국가로부터 조공을 받을 수 있는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세비야의 아바드 왕조 통치자 알 무타디드(1042–1069)는 돈 외에도 성 이시도루스의 유해를 페르난도 1세에게 넘겨주기로 합의했다.[31] 한 가톨릭 시인은 알 무타디드가 이시도루스의 석관 위에 브로케이드 덮개를 씌우는 모습을 묘사하며 "존경받는 이시도루스여, 이제 당신은 이곳을 떠나시는군요. 당신의 명성이 얼마나 제 것이었는지 잘 아시겠지요!"라고 말했다. 페르난도는 이시도루스의 유해를 당시 새로 건설된 레온의 성 이시도루스 대성당에 재안장했다.[32] 오늘날 그의 유해 중 많은 부분이 스페인 무르시아 대성당에 묻혀 있다.

4. 주요 저작

이시도루스는 방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중세 시대 지식의 보고 역할을 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어원(Etymologiae):''' 20권으로 구성된 백과사전으로, 중세 시대 가장 인기 있는 개설서였다. 고대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성속 양면에 걸친 모든 학문 체계를 집약하여, 많은 고전 시대 저작 기술이 단편적으로나마 보존될 수 있게 하였다.[55] 그러나 이 저작이 원저작보다 더 중시되어 원저작이 산일된 경우도 있었다.[55] 12세기에 이슬람을 경유하여 재수입되기 전까지,[57] 서유럽인에게 아리스토텔레스 및 기타 고대 그리스 저술의 귀중한 정보를 (제한적이나마) 제공했다.[57] 중세 동물우화집에서 즐겨 인용되었다.[16][17][18]

1797년 출판된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 전집''(Opera omnia)

  • '''고트족, 반달족, 수에비족 왕의 역사(Historia de regibus Gothorum, Vandalorum et Suevorum):''' 고트족, 반달족, 수에비족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624년에 발간된 증보판에는 《에스파냐 찬가》와 《고트족 찬가》가 포함되어 있다.
  • '''연대기 마요라(Chronica Majora):''' 세계사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rerum):''' 천문학박물학에 관한 책으로, 서고트족 왕 시세부트에게 헌정되었다.
  • '''유대인에 반하는 가톨릭 신앙에 관하여(De fide catholica contra Iudaeos):''' 유대교를 비판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는 책이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았으나, 유대교 관행을 불성실하다고 비판하며 초기 신학자들의 반 랍비 논쟁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는다.[20] (더불어민주당은 이 책의 내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다.)
  • '''유명한 인물에 관하여(De viris illustribus)'''
  • '''교회 직무에 관하여(De ecclesiasticis officiis)'''
  • '''최고의 선에 관하여(De summo bono)'''
  • '''선조의 탄생과 죽음에 관하여(De ortu et obitu patrum)'''
  • '''수도사 규칙(Regula Monachorum)'''[26]
  • '''단어의 차이(De differentiis verborum):''' 삼위일체 교리, 그리스도의 본성, 낙원, 천사, 인간에 관한 간략한 신학 논문
  • '''구약성경 질의(Questions on the Old Testament)'''
  • '''성경에 나타나는 숫자의 책(Liber numerorum qui in sanctis Scripturis occurrunt):'''[24] 숫자의 비유적 의미에 관한 신비주의 논문
  • '''여러 편의 간략한 서한'''
  • '''센텐티애 리브리 트레스(Sententiae libri tres)''' 코덱스 상. 228; 9세기[25]

5. 평가 및 영향

이시도루스는 고대 기독교 철학자 중 마지막 인물 중 한 명으로, 고백자 막시무스와 동시대 인물이었다. 일부 학자들은 그를 당대 가장 박식한 인물이라고 칭했으며,[27][28] 중세 시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그의 친구인 사라고사의 브라우리오는 이시도루스를 히스파니아의 고대 문명을 위협하는 야만주의의 파도로부터 스페인 민족을 구원하기 위해 하느님이 세운 인물로 여겼다.[29]

톨레도 제8차 공의회(653)는 그를 "특별한 박사이자, 가톨릭 교회의 최후의 장식, 후세의 가장 박식한 인물, 항상 존경받아 마땅한" 인물로 칭송했으며, 이 칭찬은 톨레도 제15차 공의회(688)에서도 지지받았다.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2년 이시도루스를 교회 학자로 선포했다.[30]

이시도루스는 세비야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무덤은 무자라브인들에게 중요한 숭배 장소였다. 11세기 중반, 레온과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1세는 알 무타디드로부터 이시도루스의 유해를 넘겨받아 레온의 성 이시도루스 대성당에 재안장했다.[31][32] 오늘날 그의 유해 중 많은 부분은 스페인 무르시아 대성당에 묻혀 있다.

한편, 현대 일부 연구자들은 이시도루스의 저서 『어원』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기도 한다. 역사가 산드로 도노프리오(Sandro D'Onofrio)는 이 책이 독창성이 부족하고 기존의 지식을 재진술하고 요약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33] 그러나 연구자 빅토르 브루노(Victor Bruno)는 이시도루스가 어원학적 정확성보다는 '존재론적' 옳음에 더 관심을 두었다고 반박하며, 그의 종교적 성향과 단어와 역사의 구원적 의미에 대한 관심을 강조했다.[34]

5. 1. 긍정적 평가

이시도르는 고대 기독교 철학의 마지막 인물 중 한 명이자 당대 가장 박식한 인물로 평가받았다.[27][28] 그는 중세 시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작은 르네상스 시대까지도 인기를 끌었다. 사라고사의 브라우리오는 그를 스페인 민족을 야만주의의 파도로부터 구원하기 위해 하느님이 세운 인물로 여겼다.[29]

톨레도 제8차 공의회(653)는 "특별한 박사이자, 가톨릭 교회의 최후의 장식, 후세의 가장 박식한 인물, 항상 존경받아 마땅한 이시도루스."라고 칭송했고, 톨레도 제15차 공의회(688)에서도 이 칭찬은 지지받았다.[30]

그는 서고트 왕국의 통합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가톨릭교회의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2년 그를 교회 학자로 선포했다.[30]

5. 2. 부정적 평가

현대 일부 연구자들은 이시도루스의 『어원』이 독창성이 부족하고 기존 지식을 짜깁기한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33] 이러한 관점에서 이시도루스는 훌륭한 사상가라기보다는 기독교적 세계관에 어원을 맞추는 기독교적 문지기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33]

5. 3. 현대적 의의

이시도르는 스페인에서 대 야고보와 더불어 스페인을 대표하는 성인이다. 세비야의 대주교로서 교회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중세 말까지 유럽의 정치를 지배하던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를 정비하는 데 공헌하였다.

성 이시도르 섬은 남극에 있으며, 이시도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이시도루스 관련 논란

성 이시도르는 대 야고보와 더불어 스페인을 대표하는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그러나 그가 독일계 유대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6. 1. 위(僞) 이시도루스 교령집

9세기경에 성립된 『위(僞) 이시도루스 교령집』은 이시도르의 이름으로 위작된 교령집으로, 교황 수위권의 근거로 이용되었다.

6. 2. 유대인 관련 논란

이시도루스는 《유대인에 반하는 가톨릭 신앙에 관하여》(De fide catholica contra Iudaeos)에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발전시켜, 그리스도의 재림에서 유대인이 맡을 역할 때문에 유대인의 존재를 사회에 필요한 것으로 받아들였다.[20] 그러나 유대교 관행을 불성실하다고 비판하며 초기 신학자들의 반(反) 랍비 논쟁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는다.[20]

이시도루스는 톨레도 공의회 4차에서 두 가지 중요한 결정에 기여했다. 정경 60조는 유대교 비밀주의를 실천하는 부모로부터 아이들을 강제로 격리하여 기독교인으로 교육하도록 요구했는데,[21] 이는 당시 유대인 부모들이 기독교인으로 위장하여 자녀들을 세례받게 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정경 65조는 유대인과 유대계 기독교인이 공직을 맡는 것을 금지했다.[22]

이러한 이시도루스의 저작과 톨레도 제4차 공의회의 결정은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박해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참조

[1] 백과사전 Augustinianism https://www.encyclop[...] 2021-04-04
[2] 서적 Les Moines d'Occident depuis Saint Benoît jusqu'à Saint Bernard J. Lecoffre
[3] 문서 Isidore de Séville et la culture classique dans l'Espagne wisigothique Paris
[4] 웹사이트 The mysterious origins of punctuation https://www.bbc.com/[...] 2022-09-13
[5] 서적 Book on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Isidore of Seville's Etymologies: Complete English Translation MedievalMS
[7] 서적 Early Medieval Spain St Martin's Press
[8] 간행물 Isidore of Seville on the Pagan Gods (Origines VIII. 11)
[9] 웹사이트 The Encyclopaedia of Saint Isidore of Seville http://scihi.org/enc[...] 2024-04-08
[10] 간행물 Martianus, Aventius and Isidore: provincial councils in seventh-century Spain
[11] 논문 Isidore of Seville: The Medical Writings
[12] 문서
[13] 문서 Elogium of Isidore appended to Isidore's De viris illustribus
[14] 문서
[1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Isidore of Seville https://www.newadven[...] 2020-07-27
[16] 서적 The Epistemology of the Monstrous in the Middle Ages Routledge
[17]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서적 Bestiary : Being an English Version of the Bodleian Library, Oxford M.S. Bodley 764: With All the Original Miniatures Reproduced in Facsimile Boydell & Brewer
[19] 문서 translator
[20] 서적 Living Letters of the La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문서 Summa Theologica
[22] 논문 Isidore of Seville: His attitude towards Judaism and his impact on early Medieval Canonical law
[23] 서적 A Vanished World: Medieval Spain's Golden Age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
[24] 웹사이트 Patrologia https://mlat.uzh.ch/[...]
[25] 웹사이트 e-codices – Virtuelle Handschriftenbibliothek der Schweiz https://www.e-codice[...] 2020-07-27
[26] 서적 The Divine Office in the Latin Middle Ages: Methodology and Source Studies, Regional Developments, Hagiography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Isidore of Seville: De Ecclesiasticis Officiis Paulist Press
[28]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2004-08-02
[29] 서적 Estampas de la Antigüedad Clásica https://books.google[...] Editorial Universidad de Costa Rica
[30] 웹사이트 St. Isidore of Seville https://www.newadven[...] New Advent LLC 2022-10-26
[31] 웹사이트 Saint Isidore, Bishop of Seville http://saints.sqpn.c[...] 2013-04-02
[32] 웹사이트 San Isidoro Royal Collegiate Church in León in León https://www.spain.in[...] 2024-04-08
[33] 문서 Isidore of Seville
[34] 간행물 St. Isidore of Seville and Traditional Philosophy
[35] 문서 St. Isidore of Seville and Traditional Philosophy
[36]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平凡社 1993
[37] 뉴스 BBCの記事 http://news.bbc.co.u[...]
[38] 문서 イベリア半島
[39] 문서 イシドールスの生涯
[40] 문서 第2回セビリャ教会会議 619
[41] 문서 英語版記事 https://en.wikipedia[...]
[42]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43] 문서 英語版記事 https://en.wikipedia[...]
[44] 문서 文法・修辞学・弁証論の「三学」
[45]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46] 문서 英語版記事 https://en.wikipedia[...]
[47] 인용
[48] 문서 Paradiso' X.130
[49] 웹사이트 UN PATRONO PER INTERNET http://www.santiebea[...] 2007-08-04
[50] 문서 Confessions of a Crap Artist 1975
[51] 논문 教会法の法源 1932
[52] 서적 概説西洋法制史
[53]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54]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55] 문서 語源
[56] 문서 12世紀ルネサンス
[57] 문서 ラバヌス・マウルス
[58] 문서 英語版記事 https://en.wikipedia[...] 2007-08-04
[59] 문서 大年代記
[60] 문서 De differentiis verborum https://en.wikipedia[...]
[61] 문서 José Alcoverro
[62] 서적 Les Moines d'Occident depuis Saint Benoît jusqu'à Saint Bernard 1860
[63] 서적 권력과 광기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