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융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융준은 조선 철종과 철인왕후 김씨의 아들로, 1858년에 태어나 원자로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열병으로 사망했다. 태어난 직후 원자궁이 설치되었고, 소명(어린 시절 이름)은 융준으로 정해졌다. 1859년 4월 급작스럽게 사망하여, 철종은 원자상을 선포했다. 이융준은 요절하여 철종의 직계 혈통은 끊어졌으며, 사후 대한제국 수립 이후 부모는 황제와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그는 추존되지 못했다. 일제강점기에 서삼릉 왕자·공주 묘역에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왕세자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의 왕세자 - 문효세자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하여 정조에게 큰 슬픔을 안겼고, 그의 죽음은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철종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조선 철종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1859년 사망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1859년 사망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융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융준
작위조선의 원자(元子)
출생일1858년 11월 22일 (음력 1858년 10월 17일) 신시 (15–17시)
출생지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사망일1859년 5월 25일 (음력 1859년 4월 23일) (6개월)
사망지조선
매장일1859년 5월 26일
본관전주 이씨
융준(隆俊)
가계
아버지이변, 철종
어머니철인왕후 김씨
양어머니숙의 범씨

2. 생애

1858년(철종 9) 음력 10월 17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철종과 철인왕후 김씨의 유일한 적자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별도의 절차 없이 원자(元子)로 정해졌으며,[3] 1859년 음력 1월 27일에는 소명(小名, 어릴 때 부르는 이름)으로 '''융준'''(隆俊)이 선택되었다.[10]

그러나 원자 융준은 1859년 음력 4월 23일 갑자기 열병을 앓다가 태어난 지 약 6개월 만에 요절하였다.[7]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철종에게 큰 슬픔을 안겼으며, 이후 철종은 다른 아들을 얻지 못하여 효종과 영조로 이어지던 왕실 직계 혈통은 철종의 사망과 함께 단절되었다.[7]

대한제국 수립 후 아버지 철종과 어머니 철인왕후는 황제와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이융준은 왕세자로 추존되지 않았다.[7] 그의 묘는 처음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마련되었으나,[7] 일제강점기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의 서삼릉 내 왕자·공주 묘역으로 이장되었다.[7]

2. 1. 탄생과 원자 책봉

1858년(철종 9) 음력 10월 17일 신시(오후 4시경) 창덕궁 대조전에서 철종과 철인왕후 김씨 사이의 유일한 적자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나기 4년 전인 1854년에 아버지 철종의 후궁인 귀인 박씨 소생의 이복 서형이 있었으나 태어난 직후 사망하였다.

태어나자마자 별도의 절차 없이 원자(元子)로 정해졌으며, 당일 원자궁(元子宮)이 설치되었다. 음력 11월 2일 철종은 원자궁 처소의 문에 직접 '이극문'(貳極門)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같은 해 음력 11월 22일에는 관상감에서 그의 (胎)를 강원도 원주부 주천면(현 영월군 주천면) 복결산(伏結山) 아래 임좌병향(壬坐丙向)의 땅에 묻었다고 보고하였다.[3][9]

1859년(철종 10) 음력 1월 27일, 탄생 100일을 맞아 철종은 신하들에게 원자의 소명(어릴 때 부를 이름)을 짓도록 명하였다. 정원용 등이 홍복(洪福), 장록(長祿), 윤중(胤重), 융준(隆俊) 등의 이름을 제안하였고, 철종은 이 중에서 '''융준'''(隆俊)을 선택하였다.[10]

2. 2. 소명(小名) 융준

1858년(철종 9) 음력 10월 17일 신시(오후 4시)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에서 철종과 철인왕후 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원자(元子)의 정호(定號)를 받았고, 당일 원자궁(元子宮)이 세워졌다. 철종은 11월 2일 원자궁 처소의 문에 직접 '이극문'(貳極門)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3] 11월 22일 관상감은 그의 강원도 원주부 주천면(현 영월군 주천면)의 복결산(伏結山)에 묻었다고 철종에게 보고하였다.[3][9]

1859년(철종 10) 음력 1월 27일, 탄생 백일을 맞아 부왕 철종은 신하들에게 원자의 소명(小名, 어릴 때 부르는 이름)을 짓도록 명했다. 영의정 정원용 등이 참석한 자리에서 처음에는 홍복(洪福), 장록(長祿) 등의 이름이 제안되었으나 철종은 "아직 중후함이 부족하다"며 다른 이름을 원했다. 이에 신하들이 윤중(胤重)과 융준(隆俊)을 다시 올리자, 철종은 이 중에서 '''융준'''(隆俊)을 원자의 소명으로 직접 선택했다.[10] 이는 그가 태어난 지 약 3개월 만에 정해진 이름이다. 당시 승정원일기에는 철종이 원자를 직접 신하들에게 보여주며 기뻐하고, 이름 자(字)의 의미를 논하며 '융준'이 더 중후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1859년 음력 3월 30일에는 철종이 원자 융준을 직접 안고 나와 신료들을 접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자 융준은 1859년 음력 4월 23일 진시(오전 8시경)에 갑자기 몸에 열병이 생겨 약방 관원들이 입진하였으나, 갑자기 사망하였다.[7] 사망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음 날인 음력 4월 24일 철종은 원자상(元子喪)을 선포했다.[7]

2. 3. 요절

1859년(철종 10) 음력 4월 23일 몸에 열병이 생겨 약방 관원들이 입진하였으나 갑자기 사망하였다.[7] 태어난 지 6개월 만이었다. 그가 어떤 질병으로 사망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7] 다음 날인 음력 4월 24일 철종은 원자상(元子喪)을 선포하고 병조판서와 훈련대장 등을 특별히 소환하였다.[7]

상복을 벗은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승정원일기》에는 1859년 이후 관련 기록이 없다. 매장일 역시 알려지지 않았지만, 처음 묘는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7]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는 그의 시호에 대한 기록이 없어 시호가 내려졌는지도 불확실하다.[7]

이융준의 요절 이후, 철종의 후궁인 귀인 조씨가 두 아들을 더 낳았으나, 이들 역시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각각 1859년, 1861년). 결과적으로 철종은 후사를 잇지 못했고, 효종과 영조로 이어지던 왕실 직계 혈통은 4년 후 철종의 죽음으로 단절되었다.[7] 훗날 대한제국이 수립된 후 아버지 철종과 어머니 철인왕후는 각각 황제황후로 추존되었지만, 이융준은 왕세자로 추존되지 않았다.[7] 일제강점기에 그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의 서삼릉 내 왕자·공주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묘비에 새겨진 일본 연호가 긁혀 있어 정확한 이장 연도는 알 수 없다.[7]

3. 사후

원자(元子)의 상복을 벗는 탈상(脫喪) 일자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1859년 이후의 승정원일기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시신이 언제 매장되었는지도 알 수 없으나, 처음에는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에 묻혔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는 이융준의 시호에 대한 기록이 없어, 시호를 받았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7] 그가 죽은 뒤에도 서모인 귀인 조씨가 1859년 11월 7일(음력 10월 13일)과 1861년 1월 15일에 아들을 낳았지만, 두 아들 모두 태어나자마자 사망했다. 이복 동생들이 어떤 이유로 사망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철종에게는 더 이상 아들이 태어나지 않았고, 이융준이 죽은 지 4년 후 아버지 철종마저 세상을 떠나면서 효종과 영조로부터 이어지던 왕실의 직계 혈통은 단절되었다.[7]

대한제국이 수립된 후 아버지 철종과 어머니 철인왕후는 황제와 황후로 추존되었지만, 이융준은 태자로 추증되지 못했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그의 묘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 내 왕자 및 왕녀 묘역으로 옮겨졌다. 이장 과정에서 묘비에 새겨져 있던 일본식 연호 부분이 긁혀 훼손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이장 연도는 알 수 없고 11월 1일이라는 날짜만 남아 있다.[11][7]

4. 가족 관계


  • '''아버지''': 철종(哲宗, 1831년 7월 25일 ~ 1864년 1월 16일)
  • '''어머니''': 철인왕후(哲仁王后, 1837년 4월 27일 ~ 1878년 6월 12일)
  • * '''친할아버지''':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 1785년 4월 29일 ~ 1841년 12월 14일)
  • * '''친할머니 (적조모)''': 완양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최씨(崔氏, 1804년 2월 19일 ~ 1840년 2월 19일)
  • * '''친할머니 (생조모)''': 용성부대부인(龍城府大夫人) 염씨(廉氏, 1793년 7월 20일 ~ ?)
  • * '''외할아버지''': 김문근(金汶根, 1801년 11월 25일 ~ 1863년 11월 6일)
  • * '''외할머니''': 연양부부인(延陽府夫人) 연안 이씨(延安 李氏, 1799년 ~ 1824년)
  • '''서모''': 숙의 범씨(淑儀 范氏, 1838년[12] ~ 1883년 음력 12월 26일)
  • * '''이복 여동생''': 영혜옹주(永惠翁主, 1859년 ~ 1872년 7월 4일)
  • * '''이복 매제''': 박영효(朴泳孝)

5. 기타

그는 효종의 마지막 남자 후손이자 영조의 마지막 남자 후손이다. 또한 은언군의 마지막 남자 후손이자 마지막 정실 후손이기도 했다. 영조의 후손 중에서는 마지막 정실 소생 적장자였다.

참조

[1] 웹사이트 원자가 탄생하다 (철종실록 10권, 철종 9년 10월 17일 己未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21-10-22
[2] 웹사이트 숙의 범씨가 졸하다 (고종실록 20권, 고종 20년 12월 26일 임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21-07-02
[3] 서적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9 - 고종실록 https://books.google[...] Humanist 2015
[4] 웹사이트 원자가 졸서하다 (철종실록 11권, 철종 10년 4월 23일 癸亥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21-10-22
[5] 웹사이트 승정원일기 2614책 (탈초본 125책) 철종 10년 4월 23일 계해 7/21 기사 http://sjw.history.g[...] 2021-10-22
[6] 웹사이트 승정원일기 2614책 (탈초본 125책) 철종 10년 4월 24일 갑자 11/12 기사 http://sjw.history.g[...] 2021-10-22
[7] 뉴스 강화도령 철종의 예릉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1-22
[8]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
[9]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
[10] 문서 http://sjw.history.g[...]
[11] 뉴스 강화도령 철종의 예릉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1-22
[12]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숙의범씨묘〉항목 http://100.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