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이 씨는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로 추정되는 일본의 씨족이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까지 토오토우미 국 이이노야를 중심으로 세력을 유지했다. 특히, 이이 나오마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무공을 세워 히코네 번을 건립했고, 후다이 다이묘로서 막부 정치에 참여했다. 이이 나오스케는 다이로로 안세이 대옥을 일으켰으나 사쿠라다몬 밖의 변으로 암살되었고, 마지막 번주 이이 나오노리는 메이지 유신 이후 백작 작위를 받았다. 이이 씨는 에도 시대에는 다이로를 배출하며 막부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화족으로 지위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카이 지방의 씨족 - 사가라씨
    사가라 씨는 후지와라 남가 구도 씨의 분가 설과 이사 씨 관련 설이 있는 일본 씨족으로,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히고국 쿠마군을 하사받아 히토요시번을 다스린 도자마 다이묘 가문으로 성장, 메이지 유신 후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소우마 씨, 시마즈 씨와 함께 8백년 이상 영지를 유지한 희귀한 다이묘 가문이다.
  • 도카이 지방의 씨족 - 기라씨
    기라씨는 일본의 무가로, 세와 겐지 아시카가 씨의 지류인 미카와 기라 씨와 미나모토 씨의 지류인 도사 기라 씨로 나뉜다.
  • 하마마쓰시의 역사 - 하마마쓰번
    하마마쓰번은 에도 시대 도토미국 하마마쓰에 있던 번으로,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번주를 역임하며 '출세성'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점이기도 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시즈오카현에 편입되었다.
  • 하마마쓰시의 역사 - 하마마쓰 공습
    하마마쓰 공습은 태평양 전쟁 말기 하마마쓰시가 미국 육군 항공대의 전략 폭격으로 도시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 주부 지방의 씨족 - 사이토씨
    사이토씨는 후지와라씨를 기원으로 하는 일본 무가 가문들의 통칭으로, 후지와라 토시히토의 후손들이 호쿠리쿠 지방을 중심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어 가가, 에치젠, 미노 등 지역에 따라 다양한 계통이 존재하며, 특히 미노 사이토씨는 사이토 도산의 하극상으로 유명하고 "사이토" 성씨 표기는 메이지 시대 이후 등록 과정에서 다양해졌다.
  • 주부 지방의 씨족 - 사가라씨
    사가라 씨는 후지와라 남가 구도 씨의 분가 설과 이사 씨 관련 설이 있는 일본 씨족으로,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히고국 쿠마군을 하사받아 히토요시번을 다스린 도자마 다이묘 가문으로 성장, 메이지 유신 후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소우마 씨, 시마즈 씨와 함께 8백년 이상 영지를 유지한 희귀한 다이묘 가문이다.
이이씨
가문 정보
성씨이이 씨
일본어 성씨井伊氏 (이이 시)
이이 가문의 문장
이이 가문의 문장
출신지미카와국
본가후지와라 씨
설립자후지와라노 도모스케
가계
본성'칭': 후지와라 북가 요시카도 류? 또는 후지와라 남가 다메노리 류 구도 씨?
시조이이 도모야스
종별무가, 화족 (백작)
출신지도토미국 이나사군 이이노야
근거지도토미국 이이노야
오미국 히코네
시가현 히코네시
주요 인물
주요 인물이이 나오토라
이이 나오마사
이이 나오타카
이이 나오스케
이이 나오요시
분가 및 지류
분가효부쇼유 가 (무가, 화족 (자작))
아카사 씨 (무가)
시부카와 씨 (무가)
오쿠야마 씨 (무가)
히사즈코 오쿠야마 씨 (무가)
누키나 씨 (무가)
다나카 씨 (무가)
이데 씨 (무가)
다니즈 씨 (무가)
우에노 씨 (무가)
이다이라 씨 (무가)
다자와 씨 (무가)
마쓰다 씨 (무가)
오카 씨 (무가)
나카노 씨 (무가)
히루마 씨 (무가)
나카이 씨 (사사)
기타 정보
최종 통치자알 수 없음
현재 수장알 수 없음
설립 연도알 수 없음
해산 연도알 수 없음
통치 종료알 수 없음
지류알 수 없음

2. 기원 및 초기 역사

이이 가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계보상으로는 후지와라 요시카도의 아들인 후지와라 도시요의 자손으로 여겨짐)로서, 에도 시대의 『간에이 제국 계도전』에서 공식적으로 칭하고 있지만, 『존비분맥』 등 우량한 계도 사료에서 후지와라 도시요라는 인물이 어디에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임을 부정하는 설도 존재한다.[2] 후지와라 남가(타메노리류쿠도 씨)의 후예라는 설도 있으며, 무로마치 시대 후기 이래 "후지와라"를 칭하고 있는 사료가 현지에 남아 있다. 다이에이 6년의 "이이보 하치만궁 종명 사본"[3]에는 "대단나 후지와라 아손 나오타카"라고 적혀 있으며, 나오타카는 이이 씨와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2. 1. 후지와라 북가 후예설

이이 씨는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계보상으로는 후지와라 요시카도의 아들인 후지와라 도시요의 자손으로 여겨짐)로서, 에도 시대의 『간에이 제국 계도전』에서 공식적으로 칭하고 있지만, 『존비분맥』 등 우량한 계도 사료에서 후지와라 도시요라는 인물이 어디에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임을 부정하는 설도 존재한다.[2] 후지와라 남가(타메노리류쿠도 씨)의 후예라는 설도 있으며, 무로마치 시대 후기 이래 "후지와라(藤原)"를 칭하고 있는 사료가 현지에 남아 있다.[3]

2. 2. 그 외 기원설

이이 씨는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계보상으로는 후지와라 요시카도의 아들인 후지와라 도시요의 자손으로 여겨짐)로서, 에도 시대의 『간에이 제국 계도전』에서 공식적으로 칭하고 있지만, 『존비분맥』 등 우량한 계도 사료에서 후지와라 도시요라는 인물이 어디에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임을 부정하는 설도 존재한다.[2] 마찬가지로 후지와라 남가(타메노리류쿠도 씨)의 후예라는 설도 있으며, 무로마치 시대 후기 이래 "후지와라"를 칭하고 있는 사료가 현지에 남아 있다. 다이에이 6년의 "이이보 하치만궁 종명 사본"[3]에는 "대단나 후지와라 아손 나오타카"라고 적혀 있으며, 나오타카는 이이 씨와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2. 3. 가마쿠라 시대

호겐 이야기에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따르는 병사로 "토오토우미 국에는 요코치・카츠타・'''이이하치로'''"가 등장하며, 이이 씨의 첫 등장을 알린다. 아즈마카가미 켄큐 6년 3월 10일 기사에는 토다이지 공양 행렬에 "이이노스케"가, 겐겐 3년 정월 9일 기사에는 활쏘기 의식에 "3번 이이노스케"로 나타나, 이이 씨가 유력한 가마쿠라 고케닌이었음을 알 수 있다.[5]

켄지 원년 교토 와카미야 하치만구 신사 재건 시 고케닌에게 비용 마련이 요구되었을 때, 토오토우미 국에 거주하는 이이 씨는 3관문의 비용을 제공했다.[6]

3. 중세 시대

이이 씨는 중세 토오토우미 국 이이노야[4]의 장원을 본관으로 약 500년 동안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이이 씨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호겐 이야기』에서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따르는 병사로 보이는 "토오토우미 국에는 요코치・카츠타・'''이이하치로'''"이다. 또한 『아즈마카가미겐큐 6년 (1195년) 3월 10일 기사에 실린 도다이지 공양 행렬에 "이이노스케", 겐겐 3년 (1245년) 정월 9일 기사에 실린 활쏘기 의식에 "3번 이이노스케"로 나타나, 가마쿠라 고케닌이었음을 알 수 있다.[5]

겐지 원년 (1275년) 교토 와카미야 하치만구의 재건 때 고케닌에게 비용 마련이 요구되자, 토오토우미 국에 거주하는 이이 씨는 3관문의 비용을 제공했다.[6]

3. 1. 남북조 시대

남북조 시대에 이이노 나오토는 토오토우미노스케에 임명되어 '''이이노스케'''라고 칭했다. 나오토는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무네나가 친왕에게 참전하여 남조 측으로 거병, 이이노야 성 (이이 성)에 초청하여 보호했다. 그러나 북조 측의 타카시 마사야스・니키 요시나가 등에 공격받아 함락되었다.

하마마츠 시 하마나 구 미카비 정(町)의 다이후쿠지 소유의 『루리야마 연록 잔편 이면서』에 따르면, 켄무 3년/엔겐 원년 (1336년) 9월, "미사타로"라는 무사가 이이 씨 본성의 미츠타케 성을 공격하여 "나카죠 씨"라는 자를 베었다고 한다. 켄무 4년/엔겐 2년 (1337년) 7월에는 북조 측의 스루가슈고이마가와 씨와 대립했지만 미카타가하라에서의 전투에서 패했다.

랴쿠오 원년 (1338년)에는 무네나가 친왕이 미츠타케 성에 들어갔다. 랴쿠오 2년 (1339년) 7・8월의 전투에서는 타카시 마사야스・야스카네의 공격을 받아 지성인 카모에 성이 함락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미츠타케 성의 서쪽을 지키는 센토가미네 성, 더 나아가 이이 씨의 서류인 카미노 나오스케의 거성, 카미노 토리데도 함락되었다. 랴쿠오 3년 (1340년) 1월에는 본성의 미츠타케 성이 함락되었다.

오안 4년/켄토쿠 2년 (1371년)에 이마가와 료슌이 가이라 친왕 토벌을 위해 규슈로 내려갔을 때 종군한 씨족으로, 요코치・카츠마다・오쿠야마・이이・사사세・하야타・카와이의 이름이 보이므로, 이이 씨는 이마가와 씨의 군문에 항복한 것으로 여겨진다. 규슈 하향 시에 종군한 이이 씨의 개인 명은 불명이며, 이이 씨 서류인 오쿠야마 씨의 오쿠야마 나오토모의 이름이 보인다. 나오토모는 텐쥬 원년/켄토쿠 2년 (1375년) 3월 3일의 세후리산 전투에서 전사했다. 또한, 시토쿠 원년/겐추 원년 (1384년) 5월에는 나오토모의 아들・오쿠야마 아사후지가 무네나가 친왕의 동생인 무몬 겐센을 초청하여, 절터를 기증하여 호코지를 건립했다.[8][9][10][11]

3. 2. 무로마치 시대

중세 이이 씨는 토오토우미 국 이이노야[4]의 장원을 본관으로 약 500년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남북조 시대에 이이 나오토는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무네나가 친왕을 이이노야 성(이이 성)에 초청하여 보호했으나, 북조 측의 공격으로 엔겐 원년(1334년)에 함락되었다.[7]

하마마쓰 시 하마나 구 미카비 정에 있는 다이후쿠지 소장의 『루리야마 연록 잔편 이면서』에 따르면, 겐무 3년/엔겐 원년(1336년) 9월, "미사타로"라는 무사가 이이 씨 본성인 미쓰타케 성을 공격했다. 겐무 4년/엔겐 2년(1337년) 7월에는 스루가 슈고인 이마가와 씨와 미카타가하라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랴쿠오 원년(1338년)에는 무네나가 친왕이 미쓰타케 성에 들어갔고, 랴쿠오 2년(1339년)에는 여러 성이 함락되었다. 랴쿠오 3년(1340년) 1월에는 본성인 미쓰타케 성이 함락되었다.

오안 4년/겐토쿠 2년(1371년), 이마가와 료슌이 가이라 친왕 토벌을 위해 규슈로 향했을 때 이이 씨도 종군하여 이마가와 씨에게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 시토쿠 원년/겐추 원년(1384년) 5월에는 이이 씨 서류인 오쿠야마 씨의 오쿠야마 아사후지가 무네나가 친왕의 동생 무몬 겐센을 초청하여 절터를 기증하고 호코지를 건립했다.[8][9][10][11]

3. 3. 전국 시대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대립하던 이이 가문은 하나쿠라의 난과 카토의 난에서 요시모토에 반대하는 쪽에 가담하여, 요시모토와 미묘한 관계를 유지했다.[12]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이이 나오모리는 요시모토를 따라 참전했다가 전사했다.[12] 나오모리의 양자인 이이 나오치카는 모반 혐의를 받아 전투 직후 이마가와 우지자네에게 살해되었다.[12] 다만, 나오치카가 당주였는지, 이마가와 씨에게 살해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엔슈 착란이라 불리는 이 시기에 이이 가문은 많은 일족을 잃었고, 나오모리의 딸인 이이 나오토라가독을 이었지만, 지배력은 약화되고 세력은 크게 쇠퇴하였다.[13] 이이노야 성과 대대로 내려오던 영지는 가신의 횡령과 다케다 신겐의 침공으로 인해 여러 번 잃게 되었다.[13]

4. 에도 시대

1575년(덴쇼 3년), 이이 나오치카의 아들 이이 나오마사(후에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이 됨)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의지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다. 1590년(덴쇼 18년) 이에야스의 간토 입부에 따라 가미노쿠니 미노와 12만 석,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오미국 사와야마에 18만 석을 받았다.

나오마사의 사후, 아들 나오카쓰1604년(게이초 9년) 히코네에 성을 쌓았는데, 이는 막부가 여러 다이묘에게 오테츠다이후신을 명한 것이었다. 1615년(겐나 원년) 나오카쓰는 막부의 명령에 따라 동생 나오타카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나오타카 대에 30만 석의 후다이 다이묘가 되었고, 나오카쓰는 안나카 번 3만 석의 번주가 되었다.

에도 시대 말기 번주 이이 나오스케는 로주 아베 마사히로 사후 다이로가 되어 쇼군 후계 문제에서 난키파를 후원하고 잇키파를 탄압하는 안세이 대옥을 일으켰으나, 사쿠라다몬 밖의 변에서 암살되었다. 이후 막부 혼란의 책임을 나오스케에게 돌려 10만 석이 감봉된 20만 석이 되었다. 대정봉환 후, 마지막 번주 나오노리는 후다이 필두임에도 번론을 전환,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보신 전쟁에서 도쿠가와 토벌의 선봉으로 신정부 측에 서서 싸웠다. 그 공으로 메이지 2년(1869년) 2만 석의 상전록을 받았다.

4. 1. 히코네 번 성립

이이 씨의 군기

4. 2. 후다이 다이묘로서의 역할

후다이 다이묘로서 이이 가문은 에도 막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3. 역대 번주와 막부 정치



이름재임 기간비고
이이 나오마사1561년 ~ 1602년도쿠가와 이에야스 휘하에서 활약
이이 나오카츠1590년 ~ 1662년나오마사의 장남,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움
이이 나오타카1590년 ~ 1659년나오마사의 차남, 오사카 전투에서 활약
이이 나오시게1612년 ~ 1661년
이이 나오하루1719년 ~ 1732년
이이 나오스케1815년 ~ 1860년다이로 역임, 안세이 대옥 주도, 사쿠라다 문 밖의 변으로 사망
이이 나오노리1848년 ~ 1904년나오스케의 아들, 메이지 유신 이후 자작 작위 받음


4. 4. 이이 나오스케와 안세이 대옥

이이 나오스케는 1815년 11월 29일에 태어나 1860년 3월 24일에 사망한[8] 에도 시대 말기의 다이묘이자 정치가였다. 안세이 대옥을 일으켜 존왕양이파를 탄압했고, 사쿠라다몬 밖의 변으로 암살당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이 나오스케를 민주주의를 탄압한 인물로 평가한다.

5.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유신 이후 이이 가문은 변화를 겪었다.

6. 분가

이이 가문은 본가인 히코네번 외에도 여러 분가가 있었다. 이이 나오마사의 아들 이이 나오카쓰1615년 (겐나 원년) 안나카 번 3만 석의 번주가 되면서 분가가 시작되었다. 나오카쓰는 본래 1604년 (게이초 9년) 히코네 성 축성 후 1615년 막부 명령에 따라 동생 이이 나오타카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고 안나카 번주가 되었다.

6. 1. 요이타 번주 가문

1575년(덴쇼 3년), 이이 나오마사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의지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다. 1590년(덴쇼 18년) 이에야스의 간토 입부에 따라 가미노쿠니 미노와 12만 석을 받았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오미국 사와야마 18만 석을 받았다.[1]

나오마사의 사후, 아들 나오카쓰1604년(게이초 9년) 히코네에 성을 쌓았다. 1615년(겐나 원년) 동생 나오타카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나오타카 대에 30만 석의 후다이 다이묘가 되었으며, 나오카쓰는 안나카 3만 석의 번주가 되었다.[1]

에도 시대 나오즈미, 나오요시, 나오유키, 나오스케 등 5대에 걸쳐 6번(나오요시는 2번) 다이로 직을 배출했다. 유력 후다이 다이묘들이 전봉을 반복하는 가운데, 이이 가문은 한 번도 전봉되지 않았다.[1]

에도 시대 말기 번주 나오스케는 다이로가 되어 안세이 대옥을 일으켰으나, 사쿠라다몬 밖의 변에서 암살되었다. 그 후 막부 혼란의 책임을 나오스케에게 돌려 10만 석이 감봉되어 20만 석이 되었다. 대정봉환 후, 마지막 번주 나오노리는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 측 선봉으로 싸웠다. 그 공으로 메이지 2년(1869년) 2만 석의 상전록을 받았다.[1]

같은 해 화족 제도가 성립되자 이이 가문은 다이묘 가문으로서 화족에 포함되었고, 반적봉환으로 히코네 번 지번사를 맡았다가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까지 이 직을 맡았다.[1]

화족령 시행 후, 메이지 17년(1884년) 7월 7일 구 중번 지사로서 백작 작위를 받았다.[1] 이이 나오노리 백작 사후, 그의 차남 이이 나오타다가 작위를 계승했다.[1] 이이 나오타다 백작의 아들 이이 나오치카히코네시 시장을 1953년부터 9번 역임했다.[1]당주(18대) 이이 타케오는 히코네성 박물관 관장으로, 17대 나오히데의 장녀와 결혼하여 양자로 이이 가문을 계승했다.[1]

7. 역대 당주

대수이름생몰년비고
1이이 도모야스1010년 ~ 1093년
2이이 도모무네
3이이 무네츠나
4이이 도모후미
5이이 도모이에
6이이 도모나오
7이이 고레나오
8이이 모리나오
9이이 요시나오
10이이 야노나오
11이이 야스나오
12이이 유키나오1309년 ~ 1354년
13이이 가게나오
14이이 타다나오
15이이 나오우지
16이이 나오히라1479년? ~ 1563년
17이이 나오무네? ~ 1542년
이이 나오미쓰? ~ 1545년
이이 나오요시? ~ 1545년
18이이 나오모리1526년 ~ 1560년
19이이 나오치카1535년 ~ 1563년
20이이 나오토라? ~ 1582년
21이이 나오마사1561년 ~ 1602년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겨 많은 무공을 세웠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미국 사와야마성 18만 석을 받았다.[2]
22이이 나오카쓰1590년 ~ 1662년1604년 히코네에 축성, 1615년 동생 이이 나오타카에게 가독을 상속했다.[2]
23이이 나오타카1590년 ~ 1659년이이 나오카쓰에게서 가독을 상속받아, 30만 석의 후다이 다이묘가 되었다.[2]
이이 나오시게1612년 ~ 1661년 7월 5일
24이이 나오즈미1625년 ~ 1676년
25이이 나오오키1656년 ~ 1717년
26이이 나오미치1689년 ~ 1710년
27이이 나오츠네1693년 ~ 1710년
28이이 나오오키1656년 ~ 1717년
29이이 나오노부1700년 ~ 1736년
이이 나오하루1719년 4월 25일 ~ 1732년 12월 1일
30이이 나오사다1700년 ~ 1760년
31이이 나오요시1727년 ~ 1754년
32이이 나오사다1700년 ~ 1760년
33이이 나오히데1729년 ~ 1789년
34이이 나오나카1766년 ~ 1831년
35이이 나오아키1794년 ~ 1850년
36이이 나오스케1815년 11월 29일 ~ 1860년 3월 24일안세이 대옥을 일으켰고, 사쿠라다몬 밖의 변에서 암살되었다.[2]
37이이 나오노리1848년 5월 22일 ~ 1904년 1월 9일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가담했다.[2]
38이이 나오타다1881년 ~ 1947년
39이이 나오요시1910년 ~ 1993년
40이이 나오히데
41이이 타케오1969년 ~히코네성 박물관 관장, 이이 나오히데의 사위[2]


8. 가신단

이이 나오마사 시대에 영지와 가신을 하사받아 이이 가문의 가신단이 성립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영지를 늘려 받은 오미(近江)나 고즈케(上野) 출신의 가신이 특히 많았다.[18] 또한, 다케다 씨 멸망 후 다케다 유령을 둘러싼 덴쇼 임오의 난에서의 활약으로 영지 안도를 받은 다케다 유신과 스루가(駿河)의 이마가와 씨, 사가미의 고호조 씨 등 옛 전국 다이묘 가문의 유신도 등용했다.[18] "이이 연보"에 따르면 다케다 유신 등을 부속시킨 초기 가신단은 "~중(衆)"이라는 조(組)로 편성되어 있었다.[18]

이이 나오마사의 장남 나오카쓰는 병약함을 이유로 막부의 명령에 따라 동생에게 본가를 물려주었다. 나오카쓰는 나오마사의 관명 "효부쇼"를 이었지만, 이 계통의 가신은 오노 씨 등 전국 시대 이래의 이이 씨 가신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안나카 번에서 니시오 번, 가케가와 번으로 전봉되었지만, 나오카쓰의 증손인 가케가와 번주 나오토모 때 광기를 이유로 개역되었다.

종가 (카몬노카미 가)에서 나오오키(나오가이)의 넷째 아들 나오노리 (나오토모의 아내의 형제)를 맞이하여 가문의 부흥과 존속이 허락되어, 무성주격 2만 석의 에치고 요이타 번 주가 되었다. 그 후, 10대 나오아키와카도시요리가 되어 성주격으로 승격했다.

나오야스 대에 메이지 유신을 맞이하고, 메이지 2년에 화족 제도가 성립되자 화족에 포함되었으며, 판적봉환으로 요이타 번 지번사에 전임되었고, 1871년 (메이지 4년)의 폐번치현까지 재임했다. 당시의 가신으로는 기타무라 카나에가 있었다.

9. 관련 사료


  • 이이 가계보
  • 이이 연보
  • 「이이 가계 족보」(『신수 히코네시사 제6권 사료편 근세1』)

10. 계도

이이 가문 계도
후지와라 북가
1대도모야스1010년 ~ 1093년
2대도모무네
3대무네츠나
4대도모아키
5대도모이에
6대도모나오
7대고레나오
8대모리나오
9대요시나오
10대야스나오
11대야스나오
12대유키나오1309년 ~ 1354년
13대가게나오
14대타다나오
15대나오우지
16대나오히라1479년? ~ 1563년
17대나오무네? ~ 1542년
18대나오모리1526년 ~ 1560년
19대나오치카1535년 ~ 1563년
20대나오마사1561년 ~ 1602년
21대
(효부쇼보 가)
나오카쓰1590년 ~ 1662년
22대
(소부두 가)
나오타카1590년 ~ 1659년
23대나오즈미1625년 ~ 1676년
24대나오오키1656년 ~ 1717년
25대나오미치1689년 ~ 1710년
26대나오츠네1693년 ~ 1710년
27대나오노부1700년 ~ 1736년
28/30대나오사다1700년 ~ 1760년
29대나오요시1727년 ~ 1754년
31대나오히데1729년 ~ 1789년
32대나오나카1766년 ~ 1831년
33대나오아키1794년 ~ 1850년
34대나오스케1815년 11월 29일 ~ 1860년 3월 24일
35대나오노리1848년 5월 22일 ~ 1904년 1월 9일
36대나오타다1881년 ~ 1947년
37대나오치카
38대나오타케
39대타케오1969년 출생



이이 씨는 후지와라 북가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2] 에도 시대의 『간에이 제 가문 계도전』에 기록된 대로 에도 막부와 이이 가문이 공식으로 한 계도는 초대 도모야스부터 시작하여 나오마사까지 이어진다.

막말의 국학자 나가노 요시코토가 작성한 「수정 이이 가문 어계도안」에서는 나오마사를 24대손이라고 칭하기도 했다.[20]

11. 한국과의 관계

이이 가문은 임진왜란일제강점기 등 한국사와 관련된 여러 사건에 연루되어 있다.

이이 나오마사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7] 임진왜란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으킨 침략 전쟁으로, 이이 나오마사는 조선을 침략하는데 앞장섰다.

참조

[1] 간행물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03
[2] 웹사이트 遠江井伊氏の系譜 http://wwr2.ucom.ne.[...] 2017
[3] 서적 静岡県史 資料編7 中世3
[4] 문서 引佐郡井伊谷村
[5] 웹사이트 井伊谷村 https://japanknowled[...]
[6] 간행물 造六条八幡新宮用途支配事 国立歴史民俗博物館所蔵
[7] 서적 与板藩史(上巻) 与板藩史刊行会 1982
[8] 서적 今川家譜
[9] 서적 太平記
[10] 웹사이트 千頭ヶ峯城跡 https://hellonavi.jp[...]
[11] 웹사이트 【直虎連載:第3回】平安・鎌倉・南北朝期 -直虎前史- https://sengoku-his.[...]
[12] 서적 今川氏真 戎光祥出版 2023-09
[13] 서적 井伊家伝記
[14] 서적 明治華族名鑑 https://dl.ndl.go.jp[...] 深沢堅二 1881
[15] 서적 明治華族名鑑 https://dl.ndl.go.jp[...] 深沢堅二 1881
[16] 서적 日本の名家・与板藩 週刊読売編集部 1987
[17] 문서 井伊美術館(旧中村甲刀修史館) 京都府観光連盟 2017
[18] 논문 井伊直政家臣団の形成と徳川家中での位置 2002
[19] 문서 桑名藩主・松平忠雅四男
[20] 논문 彦根藩による井伊家系譜の編纂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