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61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15년은 명나라 만력 43년, 일본 게이초 20년/겐나 원년, 후 레 왕조 호앙딘 16년, 막 왕조 끼엔통 23년, 조선 광해군 7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도요토미 가문의 몰락, 에도 막부의 무가제법도 반포, 오사카 전투, 스웨덴의 프스코프 공성전 등이 있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2세, 살바토르 로사 등이 태어났다. 허준, 사나다 노부시게, 도요토미 히데요리,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15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연대17세기
세기17세기
주요 사건
정치 및 사회오사카 전투: 일본 센고쿠 시대의 마지막 주요 전투. 도요토미 가문의 몰락과 도쿠가와 막부의 지배 공고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가와라마치 사건: 일본 에도 시대 초기에 발생한 사건으로, 호리카와 강변에서 일어난 대규모 난투극.
과학 및 기술윌리엄 하비: 혈액 순환 체계를 발견한 영국 의사.
문화미야모토 무사시: 일본의 유명한 검객이자 저술가.
출생
주요 인물니콜라 푸생: 프랑스 화가
바르톨로메우스 반 데르 헬스트: 네덜란드 화가
페르디난트 볼: 네덜란드 화가
카를로 돌치: 이탈리아 화가
조반니 살비아티: 이탈리아 화가
수잔나 마리아 폰 작센고타알텐부르크: 독일 귀족
요스트 반 에그몬트: 플랑드르 화가
안드레아스 그리피우스: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
리처드 바스터윅: 영국 의사
구로다 미쓰유키: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구로다 다다유키: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도쿠가와 요리노부: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사망
주요 인물한산군 이증: 조선 왕족
스펜서 컴프턴: 영국의 정치인
앤드루 멜빌: 스코틀랜드 신학자
크리스토프 게오르크 폰 로젠베르크: 독일의 군인
도쿠가와 이에야스: 일본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
에티엔 파스퀴에: 프랑스 법률가이자 문학가
마르셀 마조치: 이탈리아 예술가
히메지 마사카즈: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나베시마 가쓰시게: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다테 시게자네: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오다 노부카쓰: 일본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
이시다 미쓰나리: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오노 하루나가: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기무라 시게나리: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나가쓰카 마사타카: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사나다 유키무라: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모리 가쓰나가: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다테오 미키오: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2. 연호

3. 기년

류큐(琉球) 쇼네이왕(尚寧王일본어) 27년

(明) 신종 만력제(神宗 萬曆帝) 43년

조선(朝鮮) 광해군(光海君) 7년

후 레 왕조(後黎朝) 경종(敬宗) 16년

간지 : 을묘

일본


중국
조선
베트남
불멸기원 : 2157년 - 2158년

이슬람력 : 1023년 - 1024년

유대력 : 5375년 - 5376년

율리우스력 : 1614년 12월 22일 - 1615년 12월 21일

4. 사건

6월 4일(음력 5월 8일) - 오사카 전투의 패배로 도요토미 가문이 몰락하였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요토미 히데요리요도도노를 할복으로 몰아넣었다.

8월 7일 (음력 윤6월 13일)- 에도 막부가 일국일성령을 발령하였다.

8월 30일 - 에도 막부무가제법도를 반포하였다.

9월 5일 (음력 7월 13일) - 일본, 개원하여 겐나 원년

9월 9일 (음력 7월 17일) - 에도 막부금중병공가제법도를 반포.

혼아미 코우에쓰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로쿠호쿠 타카미네의 땅을 받고, 일족과 여러 종류의 기능공을 이끌고 이주.

오사카 여름 전투(원화 연무)가 벌어졌다.

4. 1. 동아시아

6월 4일(음력 5월 8일) - 오사카 전투의 패배로 도요토미 가문이 몰락하였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요토미 히데요리요도도노를 할복으로 몰아넣었다.

7월 7일 – 일본에서 각 다이묘(개인적인 막부)의 행동 기준과 도쿠가와 막부에 대한 책임을 규정한 19개 조항으로 구성된 법률인 '무가제법도'가 교토 후시미 성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이 다이묘들을 모아놓고 선포되었다.[7]

8월 7일 (음력 윤6월 13일)- 에도 막부가 일국일성령을 발령하였다.

8월 30일 - 에도 막부무가제법도를 반포하였다.

9월 5일 (음력 7월 13일) - 일본, 개원하여 겐나 원년

9월 9일 (음력 7월 17일) - 에도 막부금중병공가제법도를 반포.

9월 20일 - 일본 외교관 하세쿠라 츠네나가와 그의 수행원들이 이탈리아를 방문하는 최초의 일본 관리가 되어 로마에서 부르게시오 추기경을 알현한다.

혼아미 코우에쓰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로쿠호쿠 타카미네의 땅을 받고, 일족과 여러 종류의 기능공을 이끌고 이주.

오사카 여름 전투(원화 연무)가 벌어졌다.

4. 2. 세계

1월 1일 – 신네덜란드회사(New Netherland Company)가 북아메리카(North America) 무역에 대해 북위 40도선(40th parallel north)과 북위 45도선(45th parallel north) 사이에서 3년간의 독점권(monopoly)을 부여받았다.[1]

1월 30일하세쿠라 쓰네나가(Hasekura Tsunenaga)가 이끄는 일본의 유럽 외교 사절단이 마드리드(Madrid)에서 필리프 3세(Philip III of Spain) 스페인 국왕을 만나 조약 체결을 제안했다.

2월 2일 – 토마스 로(Thomas Roe) 경이 잉글랜드 국왕(King of England)의 사절로서 무굴 제국(Mughal Empire)의 자한기르(Jahangir) 황제에게 파견되었다. 그는 틸버리 호프(Tilbury Hope)에서 크리스토퍼 뉴포트(Christopher Newport) 선장이 지휘하는 라이온(Lyon) 호를 타고 출발했다.[2][3]

2월 17일 – 일본의 유럽 사절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왕실 사제 디에고 데 구스만(Diego de Guzmán)으로부터 세례를 받고 필리페 프란시스코 하세쿠라(Felipe Francisco Hasekura)라는 유럽식 이름을 받았다.[4]

3월 10일 – 예수회 사제 존 오길비(John Ogilvie)가 스코틀랜드(Scotland) 글래스고 크로스(Glasgow Cross)에서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6세(King James VI of Scotland)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를 거부한 죄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는 1976년 시성되어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Scottish Reformation) 이후 유일한 스코틀랜드 성인이 되었다.

4월 21일 – 위냐쿠르트 수도교가 말타에서 개통되었다.

5월 6일 – 신성 로마 황제 마티아스와 가보르 베틀렌 사이에 트르나우 조약이 체결되었다.[5]

6월 2일 – 프랑스 루앙에서 온 최초의 레콜레 수도회 선교사들이 퀘벡 시에 도착했다.

6월 3일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과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오사카 군이 도묘지 전투와 덴노지 전투에서 충돌했다.

6월 4일 –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군대가 일본의 오사카 성을 함락시켰고, 이는 약 250년 동안 지속되는 평화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기독교 사무라이 무리는 오사카 전투에서 이에야스의 적들을 지원했다.

6월 21일스페인 제국과 사보이 사이에 아스티 조약이 체결되었다.[6]

7월 7일 – 일본에서 각 다이묘(개인적인 막부)의 행동 기준과 도쿠가와 막부에 대한 책임을 규정한 19개 조항으로 구성된 법률인 '무가 쇼하토'가 교토 후시미 성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이 다이묘들을 모아놓고 선포되었다.[7]

8월 9일 – 구스타프 2세 아돌프 국왕이 이끄는 스웨덴 군대가 러시아 도시 프스코프에 대한 공성전을 시작하지만, 12주 후에도 요새를 함락시키지 못한다. 공성전은 10월 27일에 종료된다.

8월 20일콩고 왕국(현재 앙골라에 위치한 아프리카 남서부)의 새로운 통치자로 알바로 3세 니미 아 엠판주가 그의 형제 베르나르도 2세 니미 아 ㄴ칸가의 사망으로 즉위한다.

8월 30일 - 41척의 선박으로 구성된 스페인 보물선 함대가 멕시코만에서 강력한 폭풍을 만나 ''산 미구엘''호가 침몰한다.

9월 12일 – 산 레온시오의 날 허리케인이 푸에르토리코와 히스파니올라 섬을 강타한다.

9월 16일 – 추정 규모 7.5의 지진이 아리카(현재 칠레, 당시 스페인 식민지 페루 부왕령)를 강타하여 도시의 요새가 무너지지만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는다.

9월 17일필리핀 루손 섬에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라구나주 로스바뇨스가 건설된다.

9월 20일 – 일본 외교관 하세쿠라 츠네나가와 그의 수행원들이 이탈리아를 방문하는 최초의 일본 관리가 되어 로마에서 부르게시오 추기경을 알현한다.

10월 5일 – 아이슬란드에서 마지막으로 발생한 학살인 스판베르야비긴이 시작된다. 바스크 고래잡이꾼 14명이 스페인에서 딩게이리에서 잠자는 동안 살해당한다. 10월 13일에는 선장 마르틴 데 비야프랑카를 포함하여 18명이 더 살해당한다. 31명은 9월 아이슬란드에서 난파된 생존자들이었다.

10월 27일 – 러시아에서 프스코프 공성전이 스웨덴 군대의 철수로 끝난다. 이 공성전은 잉그리아 전쟁의 마지막 전투이다.

11월 3일 – 일본 외교관 하세쿠라 쓰네나가와 그의 사절단이 로마에서 교황 바오로 5세를 알현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와 일본 쇼군 사이의 무역을 요청한다.[8]

11월 7일 – 중국과 버마 상품을 싣고 승무원 150명을 태운 포르투갈 화물선 ''노사 세뇨라 다 루스''가 아조레스 제도 근처 폭풍우 속에서 침몰한다.

11월 22일 – 알렉산드루 모빌러가 폴란드에 의해 몰다비아 공작으로 임명되고, 슈테판 9세 톰샤 공작이 몰락한다.

11월 24일 – 프랑스의 루이 13세가 스페인의 필리페 3세의 14세 딸인 안나 마리아 마우리시아 공주와 결혼한다. 두 사람은 10월 18일에 대리 결혼을 통해 법적으로 결합했다.

11월무굴 제국자한기르아홈 왕국의 국경 초소인 카잘리에 대한 첫 번째 공격을 개시한다.

12월 2일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조반니 벰보가 10월 31일 마르칸토니오 멤모의 사망 후 새로운 베네치아 총독으로 선출된다.

12월 6일잉글랜드에서 미래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주지사가 될 존 윈쓰롭이 네 번째이자 두 번째 부인인 윌리엄 클롭톤의 딸 토마신 클롭톤과 결혼한다. 클롭톤은 서퍽주 그로턴 근처 캐슬린스 출신이다.

12월 18일 – 프란시스코 데 보르하 이 아라곤이 새로운 페루 총독이 된다. 페루는 스페인의 식민지로, 모든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남아메리카와 현재 페루,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나마, 파라과이, 우루과이 국가들을 포함한다.

12월 20일 – 아드리아 해에 있는 신성 로마 제국의 항구가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봉쇄되면서 우스코크 전쟁이 시작된다. 베네치아는 영국과 네덜란드 용병을 고용했다.

부활절 – 샤 압바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 군대가 조지아의 다비드 가레자 수도원 단지에 있는 모든 수도승들을 죽이고, 수도원의 사본과 예술품들을 불태운다.

  • 슈루즈베리 백작 부인 메리 탈봇이 서 토마스 오버베리 살인 사건 해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런던탑에서 석방된다.
  • 섬머스 제도 회사가 버뮤다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다.
  • 존 브라운이 잉글랜드 최초의 왕실 대장장이(King's Gunfounder)가 된다.
  • 오스트리아 상인들이 오스만 제국에서 경제적 특권을 얻는다.
  •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 있는 더 퍼스 스쿨이 스티븐 퍼스 박사에 의해 설립된다.
  • 런던 근교 월링턴에 있는 윌슨 스쿨이 왕실 헌장에 의해 설립된다.
  • 네덜란드 그로넬로에 그롤슈 양조장이 설립된다.
  • 코노이케 신로쿠가 오사카에 사무소를 열고 서쪽 일본에서 오사카로 조세미를 운송하기 시작한다.
  • 요하네스 케플러갈릴레오목성 위성 발견에 대한 답변으로 ''Dissertatio cum Nuncio Sidereo''를 출판한다.[9]
  • 포르투갈 출신 예수회 선교사인 마누엘 디아스가 그의 책 ''Tian Wen Lüe'' (''Explicatio Sphaerae Coelestis'')에서 중국에 최초로 망원경을 소개한다.
  •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El ingenioso hidalgo Don Quijote de la Mancha")'' 두 번째 권이 출판되어 첫 번째 권만큼 성공을 거둔다. ''돈키호테''는 결국 저자가 쓴 유일하게 유명한 작품이 된다.
  • 혼아미 코우에쓰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로쿠호쿠 타카미네의 땅을 받고, 일족과 여러 종류의 기능공을 이끌고 이주하였다.
  • 오사카 전투에서 6월 4일 도요토미 가문이 몰락하였다.

5. 탄생


고베르트 플링크(Govert Flinck)


피터르 더 그로트(Pieter de Groot)


에르트만 아우구스트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공(Erdmann August of Brandenburg-Bayreuth)


리처드 벡스터(Richard Baxter)

  • 이흡 - 조선의 문신. (~1637년)

6. 사망

6월 3일 -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사나다 노부시게(1567년~)

6월 4일 - 일본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 도요토미 히데요리(1593년~)

5월 27일 -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비 발루아의 마르그리트(1553년~)[13]

10월 9일 - 조선의 한의사 허준(1539년~)

비르지니아 데 메디치


존 오길비


체루비노 알베르티


거베이스 헬위스


제라드 레인스트

  • 1월 15일 – 비르지니아 데 메디치(Virginia de' Medici), 이탈리아 공주 (출생: 1568년)
  • 1월 16일 – 로저 펜턴(Roger Fenton), 잉글랜드 성직자 (출생: 1565년)
  • 1월 31일 – 클라우디오 아쿠아비바(Claudio Acquaviva), 이탈리아 예수회 사제, 예수회 제5대 총장 선출 (1581년) (출생: 1543년)
  • 2월 4일 – 지암바티스타 델라 포르타(Giambattista della Porta), 이탈리아 학자, 박식가, 극작가 (출생: 1535년)
  • 2월 3일 또는 2월 5일 – 도무스토 타카야마(Dom Justo Takayama), 일본 무장 (출생: 1552년)
  • 3월 4일 – 한스 폰 아헨(Hans von Aachen), 독일 화가 (출생: 1552년)
  • 3월 6일 – 피터르 보트(Pieter Both), 네덜란드 동인도의 초대 총독 (출생: 1568년)
  • 3월 10일 – 존 오길비(John Ogilvie), 스코틀랜드 가톨릭 예수회 순교자 (출생: 1579년)
  • 3월 19일 – 헨리 피에르퐁(Henry Pierrepont), 잉글랜드 정치인 (출생: 1546년)
  • 3월 27일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Margaret of Valois), 프랑스 왕비 (출생: 1553년)[13]
  • 4월 1일 – 미클로시 이슈트반피(Miklós Istvánffy), 헝가리 정치인 (출생: 1538년)
  • 4월 12일 – 윌리엄 로어(William Lower), 영국 천문학자 (출생: 1570년)
  • 5월 4일 – 아드리아안 판 로먼(Adriaan van Roomen), 플랑드르 수학자 (출생: 1561년)
  • 5월 5일 – 후안 페르난데스 파체코(Juan Fernandez Pacheco), 에스칼로나 5대 공작, 스페인 귀족이자 외교관 (출생: 1563년)
  • 5월 9일 – 존 페린(John Perrin), 영국 번역가 (출생: 1558년)
  • 5월 15일
  • * 헨리 브롬리(Henry Bromley), 영국 정치인 (출생: 1560년)
  • * 윌리엄 윌슨(William Wilson), 영국 성직자 (출생: 1545년)
  • 5월 20일 – 디르크 판 오스(Dirck van Os), 네덜란드 상인 (출생: 1556년)
  • 6월 2일
  • * 쿠와나 요시나리(Kuwana Yoshinari), 일본 사무라이 (출생: 1551년)
  • * 키무라 시게나리(Kimura Shigenari), 일본 사무라이 (출생: 1593년)
  • 6월 3일
  • * 하토리 마사나리(Hattori Masanari), 일본 사무라이 (출생: 1565년)
  • * 사나다 유키무라(Sanada Yukimura), 일본 사무라이 (출생: 1567년)
  • 6월 4일 – 우지이에 유키히로(Ujiie Yukihiro),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까지 활동한 일본 사무라이이자 봉건 영주 (출생: 1546년)
  • 6월 23일
  • * 롤랜드 리턴(Roland Lytton), 영국 정치인 (출생: 1561년)
  • * 마시타 나가모리(Mashita Nagamori), 일본의 소규모 다이묘(daimyō) (출생: 1545년)
  • 7월 26일 – 알론소 페레스 데 구즈만(Alonso Pérez de Guzmán), 메디나시도니아 공작 7세 (출생: 1550년)
  • 7월 30일 – 에베르트 혼(Evert Horn), 스웨덴 군인 (출생: 1585년)
  • 8월 7일 – 멜키오르 훌피우스(Melchior Vulpius), 독일 가수이자 작곡가 (출생: 1570년)
  • 8월 23일 – 프랑수아 드 주이외즈(François de Joyeuse) 공작 (출생: 1562년)
  • 9월 1일 – 에티엔 파스키에(Étienne Pasquier), 프랑스 변호사이자 문필가 (출생: 1529년)
  • 9월 9일 – 비르지니오 오르시니(Virginio Orsini), 브라치아노 공작 (출생: 1572년)
  • 9월 11일 – 비투스 밀레투스(Vitus Miletus), 독일 신학자 (출생: 1549년)
  • 9월 25일 – 아벨라 스튜어트(Arbella Stuart), 잉글랜드 귀족 여성이자 문필가 (출생: 1575년)
  • 10월 9일 – 하산 카피 프루슈차크(Hasan Kafi Pruščak), 보스니아 학자이자 판사 (1544년 출생)
  • 10월 16일
  • * 프랑수아즈 드 세젤리(Françoise de Cezelli), 프랑스의 전쟁 영웅 (1558년 출생)
  • * 에스테르곰의 대주교 페렌츠 포르가치(Ferenc Forgách, Archbishop of Esztergom), 로마 가톨릭 대주교 (1560년 출생)
  • 10월 18일 – 체루비노 알베르티(Cherubino Alberti), 이탈리아 판화가이자 화가 (1553년 출생)
  • 10월 31일 – 마르칸토니오 멤모(Marcantonio Memmo), 베네치아의 도제 (1536년 출생)
  • 11월 6일 – 리처드 머스그레이브 경(Sir Richard Musgrave, 1st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1585년 출생)
  • 11월 14일 – 존 레버슨(John Leveson), 잉글랜드 정치인 (1555년 출생)
  • 11월 15일 – 앤 터너(Anne Turner (murderer)|Anne Turner), 잉글랜드 살인자 (1576년 출생)
  • 11월 20일 – 저베이스 헬위스(Gervase Helwys), 잉글랜드 살인자 (1561년 출생)
  • 11월 24일 – 세투스 칼비시우스(Sethus Calvisius), 독일 달력 개혁가 (1556년 출생)
  • 11월 28일 – 윌리엄 하워드(William Howard, 3rd Baron Howard of Effingham), 잉글랜드 정치인이자 남작 (1577년 출생)
  • 11월 29일 – 게오르그 알브레히트 2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George Albert II, Margrave of Brandenburg) (1591년 출생)
  • 11월 – 에드워드 라이트(Edward Wright (mathematician)|Edward Wright), 잉글랜드 수학자이자 지도 제작자 (1561년 출생)
  • 12월 7일 – 제라르드 라인스트(Gerard Reynst), 네덜란드 상인 (약 1558년 출생)
  • 12월 26일 – 작센의 아우구스트(August of Saxony), 독일 왕자 (1589년 출생)
  • 1월 27일 - 이마가와 우지자네, 무장, 센고쿠 다이묘(* 1538년)
  • 2월 3일 - 다카야마 우콘, 무장·키리시탄 다이묘(* 1553년)
  • 3월 4일 - 한스 폰 아헨, 화가(* 1552년)
  • 5월 27일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앙리 4세의 왕비(* 1553년)
  • 6월 2일
  • * 고토 우타베에, 무장(* 1560년)
  • * 키무라 시게나리, 무장(* 1593년경?)
  • 6월 3일 - 사나다 노부시게, 무장(* 1567년)
  • 6월 4일
  • * 요도도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히데요리의 어머니(* 1569년?) ※다른 설 존재
  • * 도요토미 히데요리, 다이묘(* 1593년) ※다른 설 존재
  • 6월 11일 - 나가소네부 모리치카, 무장(* 1575년)
  • 6월 23일 - 마시타 나가모리, 다이묘(* 1545년)
  • 6월 24일 - 카타기리 카츠모토, 다이묘(* 1556년)
  • 6월 27일 - 카이호쿠 유쇼, 화가(* 1533년)
  • 7월 6일 - 후루타 시게타네, 무장·다이묘·다인(* 1544년)
  • 10월 16일 - 시마이 무네무로, 상인·다인(* 1539년)

참조

[1]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2] ODNB Roe, Sir Thomas (1581–1644) http://www.oxforddnb[...] 2012-10-09
[3] 서적 The Embassy of Sir Thomas Roe to the Court of the Great Mogul, 1615-1619, as Narrated in His Journal and Correspondence Hakluyt Society
[4] 간행물 The Perception of the Japanese in Early Modern Spain: Not Quite 'The Best People Yet Discovered'
[5]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Planned by Lord Act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6] 서적 Peace Treaties and International Law in European History: From the Late Middle Ages to World War On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Buke shohatto ABC-CLIO
[8] 간행물 A Quarter Century of Trans-Pacific Diplomacy: New Spain and Japan, 1592–1617
[9] 서적 Crerar Current https://books.google[...]
[10] 서적 Correspondence, Conferences, Documents https://books.google[...] New City Press
[11] 서적 The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K. Paul, Trench, Trübner & Company
[12]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the Rev. Richard Baxter: With a Critical Examination of His Writings https://books.google[...] Crocker & Brewster
[13] 웹사이트 Margaret Of Valois queen consort of Navarr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