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 제5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와 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로, 9명의 파라오가 있었다. 첫 번째 왕인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혼인 관계를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앙을 중요시하며 태양 신전을 건설했다. 이 시기에는 피라미드 텍스트가 등장하고, 시나이 반도와 푼트로의 원정 및 교역이 이루어졌다. 제5왕조의 마지막 왕인 우나스 이후 이집트 제6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4왕조
    이집트 제4왕조는 기원전 2613년부터 2498년까지 존속한 고왕국 시대의 왕조로, 스네프루 왕을 시작으로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등 유명한 파라오들이 기자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건설을 주도하며 태양신 라 숭배 강화, 사후 세계관 변화 등의 종교적 변화를 이끌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테티
    테티는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내정 안정을 위해 결혼을 통해 세력을 억제하고 관료제 개혁을 시도했으며, 재위 13년 차에 암살당했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이집트 제5왕조
개요
국가고대 이집트
시대이집트 고왕국
수도멤피스
공용어이집트어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통치자
정치 체제절대군주제
칭호파라오
초대 파라오우세르카프 (7–8년 통치)
마지막 파라오우나스 (15–30년 통치)
역사
이전이집트 제4왕조
이후이집트 제6왕조
시작기원전 2498년경
종료기원전 2345년경
역대 파라오
기타
위치사카라
우나스 피라미드
우나스 피라미드

2. 역사

마네토[1]의 기록에 따르면 엘레판티네영어[2]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 출신지가 올바른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것은 우세르카프이다.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 제드에프라의 공주 label=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왕조의 왕인 멘카우라 (제드에프라의 조카)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우세르카프가 왕위를 획득한 실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그가 가진 제4왕조의 왕족과의 혼인 관계가 중요한 요소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웨스트카 파피루스라고 불리는 파피루스에 이집트 제2중간기에 기록된 문학 작품 『마법사 제디의 이야기[5]』에는 마법사 제디영어쿠푸 왕에게 쿠푸 왕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 사학적 요소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집트에서는 마네토보다 1500년 이상 전에 이미 우세르카프의 즉위가 왕가의 교체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가의 교체로 간주하는 생각은 마네토의 독자적인 견해가 아니라 고대 이집트의 전통적인 역사 인식이었다.

왕조의 제례와 행정적인 면에서는 라를 모시는 헬리오폴리스(고대 이집트어 명칭 이우누)가 중요성을 더했다[6]。또한, 우세르카프 이후의 제5왕조의 왕들은 태양 신전을 잇따라 건설했으며, 라에 대한 기증을 열심으로 행했던 것도 알려져 있다.

우세르카프의 아들 사후라의 치세에는 아시아 (현재의 레바논, 팔레스타인 지방)와 리비아로의 원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실은 사후라가 건설한 피라미드에 남겨진 채색 벽화에서 알 수 있다[7]。또한 팔레르모 석이라고 불리는 비문에는 그의 치세에 푸트 (아마 현재의 소말리아 지방)와의 통상에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8]。사후라 사후, 그의 아들 (또는 동생)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 (카카이 네페르이르카라)가 즉위했다. 네페르이르카라는 제5왕조의 왕 중에서는 최대의 피라미드를 남겼다.

네페르이르카라 이후의 몇몇 왕은 통치 연수가 짧고 기록도 빈약하다. 네페르이르카라의 뒤를 이은 것은 솁세스카레였다. 솁세스카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건조물이 몇 개 발견되었지만, 그 실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일설에는 사후라의 아들이라고 하지만 불분명하다. 솁세스카라 다음에 네페르이르카라와 왕비 켄타카우스 2세영어의 아들인 네페르에프라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의 치세도 짧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에프라의 묘에서 그의 미라의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그 분석 결과 네페르에프라는 20대 초반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9]

네페르에프라의 사후, 그의 동생인 니우세르라가 왕위를 이었다. 마네토는 니우세르라 (마네토의 기록에서는 라투레스)가 44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지만 증거는 빈약하다. 멘카우호르에 대해서도 기록은 적다[10]。멘카우호르 다음의 제드카라 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제드카라의 이름이 네페르이르카라 왕의 장례전 유적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문서의 조각에 등장한다. 이것은 한때 가장 오래된 알려진 파피루스 문서였다[10]。또한 제드카라를 섬긴 재상 프타호테프영어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임호테프 등과 함께 현인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그의 뒤를 이어 마지막 왕이 되는 우나스도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았으며, 이집트 제5왕조에서의 신앙의 변화가 추측된다. 마네토 등의 기록에 의해 우나스에게는 장기간의 통치 기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상세는 불명하다. 우나스와 관련된 중요 사항은 피라미드 텍스트의 등장이다. 종래 피라미드의 내부에는 비문 등이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았지만, 우나스 왕 시대에 처음으로 왕의 장례 때 외워진 주문 등이 기록되게 되었다[11]。이 문서로부터 당시 이집트인의 사생관과 종교관을 읽을 수 있다. 아마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의 내용은 파피루스이거나 구전으로 전해져 온 더 오래된 문서 형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12]。그 때문에 종교사적, 또한 정치사적으로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 우나스 왕은 후계자를 얻지 못했던 것 같아 사후에 후계자 문제가 발생했다[13]

기원전 2345년경에 우나스 왕의 딸로 여겨지는 label=이푸트 1세/이푸트영어[14][15]를 아내로 맞이한 테티 1세가 왕위를 획득했다. 이것으로 제5왕조와 이집트 제6왕조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2. 1. 왕조의 기원

파라오 우세르카프가 제5왕조를 어떻게 창건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웨스트카르 파피루스에는 제4왕조의 쿠푸왕이 사크부의 사제의 아내가 낳은 세 쌍둥이가 그와 그의 후계자를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고,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로 이름 붙여진 이 아이들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기껏해야 전설일 뿐이라고 인식하고, 한 왕조에서 다른 왕조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함을 인정한다.

웨스트카 파피루스라고 불리는 파피루스에 이집트 제2중간기에 기록된 문학 작품 『마법사 제디의 이야기[5]』에는 마법사 제디영어가 쿠푸 왕에게 쿠푸 왕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 사학적 요소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집트에서는 마네토보다 1500년 이상 전에 이미 우세르카프의 즉위가 왕가의 교체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가의 교체로 간주하는 생각은 마네토의 독자적인 견해가 아니라 고대 이집트의 전통적인 역사 인식이었다.

마네토[1]의 기록에 따르면 제5왕조는 엘레판티네영어[2]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3] 그 출신지가 올바른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것은 우세르카프이다.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 제드에프라의 공주 label=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왕조의 왕인 멘카우라 (제드에프라의 조카)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우세르카프가 왕위를 획득한 실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그가 가진 제4왕조의 왕족과의 혼인 관계가 중요한 요소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2. 2. 초기 왕조 (우세르카프 ~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우세르카프가 어떻게 이집트 제5왕조를 창건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웨스트카르 파피루스에는 제4왕조 쿠푸왕이 사크부의 사제 아내가 낳은 세 쌍둥이가 그와 그의 후계자를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로 이름 붙여진 이 아이들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5] 그러나 최근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전설일 뿐이라고 인식하고, 한 왕조에서 다른 왕조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함을 인정한다.

이 왕조 동안 고대 이집트 종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왕실 무덤에 새겨진 장례 기도문(피라미드 텍스트)의 가장 초창기 사본이 나타난다. 신 숭배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우세르카프부터 멘카우호르 카이우까지의 왕들은 아부시르 또는 그 근처에 라 신에게 헌정된 사원을 건설했다.[6]

제5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지는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제드에프라의 공주 네페르헤테프/네페르헤테프 (공주)영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4]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멘카우라의 공주 켄타카우스 1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위에 올랐다. 이처럼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 왕족과 매우 밀접한 혈연 관계를 맺고 있지만, 적어도 마네토는 우세르카프의 즉위를 왕조의 교체로 간주하고 있으며 현대의 구분도 그에 따른다.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따르면, 마법사 제디영어쿠푸 왕에게 그의 왕조가 그의 자식 카프라와 멘카우라 사이에서만 이어지고, 태양신 라가 라 신관의 아내 레데제데트영어에게서 낳은 세 쌍둥이, 우세르카프, 사후라, 네페릴카라 등의 새로운 왕가에 왕위를 빼앗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왕조의 제례와 행정적인 면에서는 라를 모시는 헬리오폴리스(고대 이집트어 명칭 이우누)가 중요성을 더했다.[6] 또한, 우세르카프 이후의 제5왕조의 왕들은 태양 신전을 잇따라 건설했으며, 라에 대한 기증을 열심히 행했던 것도 알려져 있다.

우세르카프의 아들 사후라의 치세에는 아시아 (현재의 레바논, 팔레스타인 지방)와 리비아로의 원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실은 사후라가 건설한 피라미드에 남겨진 채색 벽화에서 알 수 있다.[7] 팔레르모 석에는 그의 치세에 푸트 (아마 현재의 소말리아 지방)와의 통상에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8] 사후라 사후, 그의 아들 (또는 동생)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 (카카이 네페르이르카라)가 즉위했다. 네페르이르카라는 제5왕조의 왕 중에서는 최대의 피라미드를 남겼다.

2. 3. 중기 왕조 (솁세스카레 ~ 니우세르레)

마네토[1]에 따르면 이집트 제5왕조는 엘레판티네 출신의 9명의 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그가 기록한 왕명은 다른 왕명표나 기념물의 기록과 일치한다.[3]

네페르이르카라 이후의 몇몇 왕은 통치 연수가 짧고 기록도 빈약하다. 네페르이르카라의 뒤를 이은 것은 솁세스카레였다. 솁세스카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건조물이 몇 개 발견되었지만, 그 실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일설에는 사후라의 아들이라고 하지만 불분명하다. 솁세스카라 다음에 네페르이르카라와 왕비 켄타카우스 2세/켄타카우스 2세영어의 아들인 네페르에프라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의 치세도 짧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에프라의 묘에서 그의 미라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그 분석 결과 네페르에프라는 20대 초반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9]

네페르에프라의 사후, 그의 동생인 니우세르레가 왕위를 이었다. 마네토는 니우세르레 (마네토의 기록에서는 라투레스)가 44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지만 증거는 빈약하다.[10]

2. 4. 후기 왕조 (멘카우호르 ~ 우나스)

멘카우호르 이후 제드카레 왕에 대해서는 기록이 적지만, 제드카레의 이름은 네페르이르카라 왕의 장례전 유적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문서 조각에 등장한다.[10] 이 파피루스 문서는 한때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다.[10] 제드카레를 섬긴 재상 프타호테프는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임호테프 등과 함께 고대 이집트에서 현인으로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비왕족 이집트인 중, 제드카레의 재상이었던 프타호테프는 그의 지혜로 명성을 얻었으며, 후대의 필사자들은 ''프타호테프의 격언''을 그에게 귀속시켰다. 왕족의 묘와 마찬가지로 비왕족의 묘도 비문으로 장식되었지만, 기도나 주문 대신 벽에는 고인의 생애가 적혀 있었다.

제드카레는 중요한 변화로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았다.[10] 그의 뒤를 이은 마지막 왕인 우나스도 태양 신전을 건설하지 않아, 이집트 제5왕조에서 신앙의 변화가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마네토 등의 기록에 따르면 우나스는 장기간 통치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우나스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은 피라미드 텍스트의 등장이다. 이전까지 피라미드 내부에는 비문이 없었지만, 우나스 왕 시대에 처음으로 왕의 장례 때 외워진 주문 등이 기록되었다.[11] 이 문서로부터 당시 이집트인의 사생관과 종교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종교사적, 정치사적으로 중요한 사료이다.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는 파피루스나 구전으로 전해져 온 더 오래된 문서 형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추정된다.[12] 우나스 왕은 후계자를 얻지 못해 사후에 후계자 문제가 발생했다.[13]

3. 통치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 학자들은 제5왕조의 여러 연대를 제시했는데, 2513-2374, 2510-2370, 2510-2460, 2504-2345, 2498-2345, 2494-2345, 2465-2323, 2454-2297, 2450-2335, 2450-2325, 2435-2306, 2392-2282등이 그것이다. 왕들의 상대적인 계승은 역사적 자료와 고고학적 증거 사이에서 모호한 셉세스카레의 통치에 대한 모순이 있어 완전히 확정되지 않았다.

'''제5왕조 파라오'''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이미지추정 통치 기간피라미드여왕
우세르카프우세르카프이리마아트
70px
7년피라미드 in 사카라켄트카우스 1세 ?
네페르헤테페스
사후레사후레네브카우
70px
13년 5개월 12일피라미드 in 아부시르메레트네브티
카카이네페르이르카레우세르카우
70px
20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2세
이시네페레프레네페르카우
70px
2~3년네페레프레의 미완성 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3세 ?
네체르우세르셉세스카레세켐카우
70px
몇 달아부시르의 미완성 피라미드?
이니니우세르레세티브타위
70px
24~35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렙티누브
카이우멘카우호르멘카우
70px
8 or 9년"머리 없는 피라미드" in 사카라메레산크 4세?
이세시제드카레제드카우
70px
33~44년피라미드 in 사카라세티브호르
우나스우나스와지타위
70px
15~30년피라미드 in 사카라네베트
케누트



마네토는 제5왕조의 왕들이 엘레판틴에서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궁전이 여전히 이네브-헤지("하얀 벽")에 위치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시나이의 와디 마가레와 와디 카리트로 터키석과 구리를 채굴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고, 아부 심벨 북서쪽 채석장으로 편마암을 채취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다. 말라카이트, 몰약, 엘렉트럼을 얻기 위해 남쪽 푼트로 무역 탐험대가 파견되었으며, 비블로스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은 그 페니키아 도시로 파견된 외교 탐험을 증명한다. 마르마라해 근처 도라크 유적에서 제5왕조 여러 왕들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이 발견된 것은 무역의 증거일 수 있지만,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3. 1. 연대기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24세기에 약 15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한 9명의 왕조를 말한다. 학자들은 제5왕조의 여러 연대를 제시했다. 2513-2374, 2510-2370, 2510-2460, 2504-2345, 2498-2345, 2494-2345, 2465-2323, 2454-2297, 2450-2335, 2450-2325, 2435-2306, 2392-2282등이 그것이다. 왕들의 상대적인 계승은 역사적 자료와 고고학적 증거 사이에서 모호한 셉세스카레의 통치에 대한 모순이 있어 완전히 확정되지 않았다.

3. 2. 파라오 목록

네페르헤테페스사후레사후레네브카우13년 5개월 12일피라미드 in 아부시르메레트네브티카카이네페르이르카레우세르카우20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2세이시네페레프레네페르카우2~3년네페레프레의 미완성 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3세 ?네체르우세르솁세스카레세켐카우몇 달아부시르의 미완성 피라미드?이니니우세르레세티브타위24~35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렙티누브카이우멘카우호르멘카우8 or 9년"머리 없는 피라미드" in 사카라메레산크 4세?이세시제드카레제드카우|70px]]|| 33~44년 || 피라미드 in 사카라|| 세티브호르우나스우나스와지타위|70px]]|| 15~30년 || 피라미드 in 사카라|| 네베트
케누트



마네토는 제5왕조의 왕들이 엘레판틴에서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궁전이 여전히 이네브-헤지("하얀 벽")에 위치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시나이의 와디 마가레와 와디 카리트로 터키석과 구리를 채굴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고, 아부 심벨 북서쪽 채석장으로 편마암을 채취하기 위한 탐험대가 파견되었다. 말라카이트, 몰약, 엘렉트럼을 얻기 위해 남쪽 푼트로 무역 탐험대가 파견되었으며, 비블로스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은 그 페니키아 도시로 파견된 외교 탐험을 증명한다. 마르마라해 근처 도라크 유적에서 제5왕조 여러 왕들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이 발견된 것은 무역의 증거일 수 있지만,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3. 3. 주요 업적

4. 종교

4. 1. 태양신 라 숭배

4. 2. 태양 신전

태양 신전은 왕의 이념상의 조상인 태양신 를 제사하기 위한 신전이다. 제5왕조의 왕들은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전에 막대한 기증을 반복했으며, 라 신앙은 왕에게 매우 중요한 종교 정책이었음이 확실하다. 『마법사 제디의 이야기』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라 신앙과 제5왕조의 결합은 제4왕조에서 제5왕조로의 교체의 정통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가속화되었다. 우세르카프 왕 이후 제5왕조의 왕은 열성적으로 태양 신전을 건립했지만, 이 태양 신전은 단순히 라의 위대함을 칭송하기 위한 신전이 아니라 사후에 라와 왕이 일체화되기 위한 장소였다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으며, 라와 왕권의 일체성을 강조하는 것이 제1의 목적이었다고 여겨진다.

이 태양 신전의 기본적인 구성은 피라미드 복합체와 유사한 부속 건물을 갖추고 있으며, 피라미드 대신 기단이 있고 그 위에 거대한 오벨리스크가 솟아 있었다. 이 기단과 오벨리스크라는 구성은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전에 있던 '''높은 모래'''와 '''벤벤석'''이라고 불리는 신성물을 본뜬 것으로 상상된다. 태양 신전과 피라미드 복합체는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함께 왕의 장례를 지원하는 중요 시설로서 건설이 계속되었다.

이 태양 신전은 마지막 두 왕(제드카라, 우나스) 시대에는 건설되지 않았으며, 왕권 이념·종교적인 변화가 주목된다. 구체적인 경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왕권 측이 라 외의 여러 신의 신앙도 중요시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왕권의 상징인 호루스 신의 아버지로 여겨진 저승의 신 오시리스 신은 우나스 왕 시대에 중요한 신으로 등장했고, 오시리스 신에 대한 주문도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 내에 포함된다. 이후 오시리스 신은 왕의 부활 사상과 관련된 중요한 신으로 이집트의 장례 의식에서 중요성을 더해 가게 된다.

4. 3. 오시리스 신앙

5. 건축

5. 1. 피라미드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는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나 기자의 대피라미드로 대표되는 이전 시대의 피라미드에 비해 규모가 작고 건축이 조잡한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다.[16] 이 때문에 현재 제5왕조의 피라미드 대부분은 붕괴되어 원형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제5왕조는 대외 원정을 활발하게 수행했기 때문에, 국력 쇠퇴가 피라미드 규모 축소의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16] 피라미드의 소규모화, 간략화는 종교관이나 왕권관의 변화와 같은 요소가 더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사후레부터 네페르이르카레에 이르는 4명의 왕은 아부시르에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네페르이르카레의 피라미드는 높이 약 70m, 한 변 약 110m로 기자의 3대 피라미드 중 하나인 멘카우레 왕의 피라미드보다 약간 컸다. 그 외의 피라미드는 높이 50m, 한 변 70 - 80m 정도였다.[17] 피라미드 단지라고 불리는 부속 건물은 열성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장식과 행정 시스템은 이전 왕조에 비해 확대되고 정밀해졌다.[18] 피라미드 자체는 규모가 작고 내부가 조잡했지만, 표면은 고급 석회암으로 덮여 있어 외관은 이전 왕조의 피라미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18] 신전 조각은 왕의 정통성을 나타내는 의식을 거행하는 데 더 큰 비중을 두었으며, 이러한 의식은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한 왕의 사후에도 지속되었다.[18] 각 피라미드 단지에는 부속된 피라미드 도시가 건설되어 제례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거주했다. 피라미드 도시의 원형은 제4왕조 시대에 등장했으며, 제5·제6왕조 시대에는 큰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18]

피라미드 텍스트라고 불리는 피라미드 내의 비문이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에 처음 등장했으며,[19] 이 피라미드 텍스트는 후대의 이집트 문학 작품 중 하나인 『사자의 서』 등과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다.[19]

5. 2. 피라미드 도시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는 피라미드 주변에 피라미드 도시가 건설되어 제례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거주했다. 피라미드 도시의 원형은 이집트 제4왕조 시대에 등장했으며, 제5·제6왕조 시대에는 큰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18] 피라미드 단지라고 불리는 부속 건물은 열성적으로 건설되었으며, 그 장식과 행정 시스템은 이전 왕조에 비해 확대되고 정밀해졌다. 신전을 장식하는 조각은 이전까지에 비해 더욱 공상적·이상적인 왕의 모습을 일정한 틀에 맞춰 그리는 것이 중요시되었으며, 왕의 정통성을 나타내는 의식을 거행하는 것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은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한 왕의 사후에도 지속되었다.[18]

5. 3. 태양 신전

제5왕조의 왕들은 헬리오폴리스의 신전에 막대한 기증을 반복했으며, 라 신앙은 왕에게 매우 중요한 종교 정책이었다. 라 신앙과 제5왕조의 결합은 제4왕조에서 제5왕조로의 교체의 정통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가속화되었다. 우세르카프 왕 이후 제5왕조의 왕은 열성적으로 태양 신전을 건립했지만, 이 태양 신전은 단순히 라의 위대함을 칭송하기 위한 신전이 아니라 사후에 라와 왕이 일체화되기 위한 장소였다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으며, 라와 왕권의 일체성을 강조하는 것이 제1의 목적이었다고 여겨진다.

태양 신전은 왕의 이념상의 조상인 태양신 를 제사하기 위한 신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피라미드 복합체와 유사한 부속 건물을 갖추고 있으며, 피라미드 대신 기단이 있고 그 위에 거대한 오벨리스크가 솟아 있었다. 이 기단과 오벨리스크라는 구성은 헬리오폴리스의 라 신전에 있던 '''높은 모래'''와 '''벤벤석'''이라고 불리는 신성물을 본뜬 것으로 상상된다. 태양 신전과 피라미드 복합체는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함께 왕의 장례를 지원하는 중요 시설로서 건설이 계속되었다.

이 태양 신전은 마지막 두 왕(제드카라, 우나스) 시대에는 건설되지 않았으며, 왕권 이념·종교적인 변화가 주목된다. 구체적인 경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왕권 측이 라 외의 여러 신의 신앙도 중요시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왕권의 상징인 호루스 신의 아버지로 여겨진 저승의 신 오시리스 신은 우나스 왕 시대에 중요한 신으로 등장했고, 오시리스 신에 대한 주문도 우나스 왕의 피라미드 텍스트 내에 포함된다. 이후 오시리스 신은 왕의 부활 사상과 관련된 중요한 신으로 이집트의 장례 의식에서 중요성을 더해 가게 된다.

6. 대외 관계

6. 1. 원정 및 교역

6. 2. 외교 관계

7. 역대 파라오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들은 약 150년간 이집트를 통치했다. 마네토는 제5왕조가 248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보다 짧은 기간으로 추정한다.

'''제5왕조 파라오'''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이미지추정 통치 기간피라미드여왕
우세르카프우세르카프이리마아트7년피라미드 in 사카라켄트카우스 1세 ?
네페르헤테페스
사후레사후레네브카우13년 5개월 12일피라미드 in 아부시르메레트네브티
카카이네페르이르카레우세르카우20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2세
이시네페레프레네페르카우2~3년네페레프레의 미완성 피라미드 in 아부시르켄트카우스 3세 ?
네체르우세르솁세스카레세켐카우몇 달아부시르의 미완성 피라미드?
이니니우세르레세티브타위24~35년피라미드 in 아부시르렙티누브
카이우멘카우호르멘카우8 or 9년"머리 없는 피라미드" in 사카라메레산크 4세?
이세시제드카레제드카우33~44년피라미드 in 사카라세티브호르
우나스우나스와지타위15~30년피라미드 in 사카라네베트
케누트



제5왕조 파라오들은 시나이 반도의 와디 마가레와 와디 카리트로 터키석과 구리 채굴을 위한 탐험대를 파견했고, 아부 심벨 북서쪽 채석장에서는 편마암을 채취했다. 남쪽 푼트로는 말라카이트, 몰약, 엘렉트럼을 얻기 위한 무역 탐험대가 파견되었다. 비블로스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은 페니키아 도시로의 외교 탐험을, 마르마라해 근처 도라크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은 무역의 증거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네토는 제5왕조의 왕들이 엘레판틴에서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궁전이 여전히 이네브-헤지("하얀 벽")에 위치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발견했다.

참조

[1] 문서 マネトは[[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彼はエジプト人であったが、ギリシア系王朝[[プトレマイオス朝]]に仕えたため[[ギリシア語]]で著作を行った。
[2] 문서 エレファンティネは古代エジプト語名アブー、現在の[[ジャジーラ・アスワン]]。
[3] 문서 "[[#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250"
[4]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78"
[5] 문서 内容については『[[#屋形訳 1978|筑摩世界文学大系1 古代オリエント集]]』を参照。要約は[[#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250 を参考にした。
[6]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251"
[7] 문서 "[[#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252"
[8]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252"
[9] 웹사이트 Neferefre (2419-2416) - 5th Dynasty (2465-2323) http://www.ancient-e[...] 2006-08-19
[10] 문서 "[[#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253"
[11]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253"
[12]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253"
[13]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82"
[14] 문서 "[[#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p.82"
[15] 문서 "[[#ティルディスレイ 2008|ティルディスレイ 2008]], p.70"
[16] 문서 "[[#畑守 1998|畑守 1998]], pp.217-218"
[17] 문서 "[[#屋形ら 1998|屋形ら 1998]] pp.408-409"
[18] 문서 "[[#畑守 1998|畑守 1998]], pp.225-228"
[19] 문서 "[[#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p.254-255"
[20] 문서 "[[#畑守 1998|畑守 1998]], p.218"
[21] 문서 "[[#フィネガン 1983|フィネガン 1983]], p.251"
[22] 문서 "[[#畑守 1998|畑守 1998]], p.219"
[23] 문서 参考文献『[[#クレイトン 1999|ファラオ歴代誌]]』の記載に依った。[[#クレイトン 1999|クレイトン 1999]]
[24]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