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면조는 사람의 얼굴과 새의 몸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동아시아, 아랍, 유럽 등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와 전설에 등장한다. 동아시아에서는 고대 문헌과 고분 벽화에서 나타나며, 불교의 가릉빈가와 유사한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에서도 등장하여 주목을 받았다. 아랍의 시무르그와 유럽의 세이렌, 하르피이아 등도 인면조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전설의 생물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한국의 전설의 생물 - 도깨비
도깨비는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존재로, 사람의 형상을 하고 초자연적인 힘을 지니며, 장난기 넘치는 성격으로 인간에게 행운을 주거나 불운을 쫓는 존재로 묘사된다. - 전설의 새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전설의 새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인면조 | |
---|---|
개요 | |
![]() | |
한자 표기 | 人面鳥 |
로마자 표기 | Inmyeonjo |
종류 | 신화 속 새 |
특징 | 사람의 얼굴을 가짐 |
기원 및 역사 | |
기원 | 고구려 덕흥리 고분 |
등장 시기 | 고분 벽화, 불교 미술, 공예품 등 |
상징 | |
의미 | 천상과 인간 세계의 연결, 장수 |
표현 | 왕의 행차 의례, 왕조의 평안 기원 |
현대적 재해석 | |
평창 동계올림픽 | 평화, 조화 상징 |
대중적 반응 | 독특한 외모로 인터넷 상에서 화제 |
2. 동아시아의 인면조
산해경 대황북경편에는 북해 물가에 사람 얼굴과 새 몸을 하고 양쪽 귀에 푸른 뱀을 걸고 양쪽 발로는 붉은 뱀을 밟고 있는 우강이라는 신과, 대황의 북극천궤라는 산에 머리 아홉 개에 사람 얼굴과 새 몸을 한 구봉이라는 신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18]
포박자 대속편에는 천세(千歲) 또는 천추(千秋)라는 인면조가 나오는데,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으며, 이름처럼 오래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15][16]
한국에서는 5세기 이후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에서 인면조 형상의 유물이나 벽화가 발견된다. 이는 불교의 가릉빈가 영향을 받아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로 해석된다.[17]
2. 1. 한국
불교에서 칼라빈카(산스크리트어: कलविङ्कsa) 또는 가릉빈가(迦陵頻迦)는 극락정토에 사는 불로불사의 인면조이다. 산스크리트어 ‘칼라빈카(kalavinka)’를 한자로 표기한 가릉빈가는 《아미타경(阿彌陀經)》에서 공명조(共命鳥)와 함께 극락정토에 사는 것으로 나오는 새이다. 이 새는 상반신은 사람,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며, 껍질을 깨고 나오기 전부터 매우 아름답고 묘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그래서 묘음조(妙音鳥), 호성조(好聲鳥), 일음조(逸音鳥), 묘성조(妙聲鳥)라고도 불리며,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새로 여겨진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불교미술에서는 가릉빈가를 묘사한 유물이 폭넓게 발견되는데, 둔황(敦煌)의 벽화에는 춤추거나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모습으로도 표현되어 있다.한편, 불교의 가릉빈가는 인도 신화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인도 신화에서 인드라 신을 섬기며 천계(天界)의 음악을 연주하는 간다르바(Gandharva, 불교의 건달바(乾闥婆))는 상반신이 남성이며, 황금 날개와 새나 말의 하반신을 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타이 등의 동남아시아 불교에서는 건달바와 함께 음악을 담당하는 천신이며, 불법을 수호하는 8신인 천룡팔부중(天龍八部衆)에 속하는 긴나라(緊那羅)가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새의 모습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인면조는 전통적인 중국 신화와 도교 문화에도 등장한다. "''산해경''"에 기록되어 있으며,[6]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장수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2. 1. 1. 고구려와 백제
불교의 가릉빈가(迦陵頻迦)는 극락정토에 사는 불로불사의 인면조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인면조 문양은 이러한 가릉빈가의 영향을 받아,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3]충청남도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굽다리 은잔(銅托銀盞) 바닥에는 인면조가 묘사되어 있다.[3] 이 인면조는 머리는 사람, 몸과 날개는 새의 형태이며, 머리에는 새 깃털로 장식된 화관을 쓰고 있다.
평안남도 덕흥리 고분과 만주 무용총에서도 인면조 벽화가 발견되었다.[4] 특히, 무용총 천장의 인면조는 도교의 선인들이 쓰던 긴 모자를 쓰고 있어, 불교와 도교 문화가 융합된 모습을 보여준다.[4]
2. 1. 2. 현대의 인면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에 거대한 신화 속 생물체인 인면조가 등장했다. 사람의 얼굴을 한 거대한 새 인형은 많은 시청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인면조는 무대 중앙으로 이동하여 사신 "청룡, 백호, 주작, 현무"와 고구려 고대 왕국의 의상을 입은 여성 댄서들에 둘러싸였다. 긴 목과 용과 같은 몸, 그리고 사람의 얼굴이 결합된 인면조의 모습은 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개회식 총감독 송승환은 "인면조를 통해 인간이 고대 자연과 동물과 평화롭게 조화롭게 사는 세상을 묘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8][9]인면조는 동아시아 신화와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동물로, 사람의 머리와 새의 몸통을 가진 환상적인 생물이다.[10] 땅과 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하며 천 년을 산다고 알려진 환상적인 동물로, 장수를 상징한다. 한국사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되어, 심지어 동굴 그림에도 등장한다. 인면조는 세상에 평화가 있을 때 나타나 천 년 동안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고 전해진다.
인면조의 표정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어떤 사람들은 끔찍하고 기괴하다며 아이들에게 부적절하다고 여겼지만, 지지자들은 매력적이라고 말했다.[11][12]
2. 2. 중국
중국의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과 4세기경 갈홍이 쓴 《포박자》에는 인면조에 대한 기록이 있다. 《산해경》에는 우강과 구봉이, 《포박자》에는 천세와 만세라는 인면조가 등장한다.[18]2. 2. 1. 산해경
산해경 대황북경편에는 북해 물가에 사는, 사람 얼굴에 새 몸을 하고 양쪽 귀에 푸른 뱀을 걸고 양쪽 발로는 붉은 뱀을 밟고 있는 우강이라는 신이 있다고 쓰여 있다.[18] 또 대황에는 북극천궤라는 산이 있는데, 바닷물이 북쪽에서 들어오며, 머리 아홉 개에 사람 얼굴과 새 몸을 한 구봉이라는 신이 산다고 한다.[18]2. 2. 2. 포박자
4세기에 갈홍이 쓴 《포박자》 〈대속(對俗)〉 편에는 천세(千歲)와 만세(萬歲)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이들은 사람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으며, 이름처럼 오래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18]2. 3. 불교의 가릉빈가
불교의 가릉빈가(迦陵頻迦)는 극락정토에 사는 불로불사의 인면조이다. 산스크리트어 ‘칼라빈카(kalavinka)’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아미타경(阿彌陀經)》에서는 공명조(共命鳥)와 함께 극락정토에 사는 것으로 묘사된다. 상반신은 사람,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며, 껍질을 깨기 전부터 매우 아름답고 묘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그래서 묘음조(妙音鳥), 호성조(好聲鳥) 등으로도 불리며,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새로 여겨진다.[5]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 미술에서는 가릉빈가를 묘사한 유물이 폭넓게 발견된다. 둔황 벽화에는 춤추거나 음악을 연주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5]
불교의 가릉빈가는 인도 신화의 영향을 받았다. 인도 신화에서 인다라 신을 섬기며 천계(天界)의 음악을 연주하는 간다르바(건달바(乾闥婆))는 상반신이 남성이며, 황금 날개와 새나 말의 하반신을 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타이 등의 동남아시아 불교에서는 건달바와 함께 음악을 담당하는 천신이며, 불법을 수호하는 8신인 천룡팔부에 속하는 긴나라가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새의 모습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3. 아랍의 시무르그
시무르그(سيمرغ|시무르그fa)는 이란 신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새인데,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다는 전설도 있다.
4. 유럽의 인면조
유럽에서는 인면조를 불길한 동물로 묘사한다.[19] 그리스 신화에는 세이렌과 하르피이아 등 인면조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뱃사람을 유혹하거나 인간을 잡아먹는 존재로 그려졌다.[19][7]
4. 1.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세이렌은 여성의 얼굴에 독수리의 몸을 가진 동물인데, 바다를 항해하는 배를 유혹하여 침몰시킨다고 전해진다.[19] 하르피이아는 반은 인간이고 반은 새인데, 인간을 잡아먹는다고 전해진다.[19]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 등의 기록에는 세이렌(Siren)이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처음에는 머리만 인간이고 몸통은 새의 모습으로 그려졌지만, 점차 상반신 전체가 악기를 든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세이렌은 매우 달콤한 소리로 뱃사람을 유혹해 그들이 탄 배를 침몰시킨다고 여겨졌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등에는 하르피이아(Harpy)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전설에 따르면 하르피이아는 여자의 얼굴을 가진 새인데, 바람보다도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아이들과 인간의 영혼을 잡아먹는다고 한다.[19]
참조
[1]
뉴스
평창 개막식 '신스틸러' 인면조…어디서 유래했나보니
http://www.seoul.co.[...]
Seoul Shinmun
2018-06-21
[2]
웹사이트
The internet is obsessed with the Olympics' human-faced bird
https://www.theverge[...]
2018-02-09
[3]
뉴스
인면조, 신도 요괴도 아닌
http://www.hani.co.k[...]
2018-06-21
[4]
뉴스
'인면조' 쇼크…"잊혔던 동아시아인의 오랜 꿈"
http://www.nocutnews[...]
2018-06-21
[5]
뉴스
평창 올림픽 개막식 인면조의 정체는 '가릉빈가'?
http://sports.khan.c[...]
2018-06-04
[6]
웹사이트
산혜경대황북경중 불함산 -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
2018-06-05
[7]
뉴스
평창올림픽 개회식, 그리고 역사 속 '인면조'와 신화적 내세관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18-06-21
[8]
웹사이트
Human-faced bird in Olympics opening ceremony: Was it creepy or hilarious?
https://abcnews.go.c[...]
2018-06-24
[9]
뉴스
Inmyeonjo to appear again at Olympic Plaz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8-06-24
[10]
뉴스
The internet is obsessed with the Olympics' human-faced bird
https://www.theverge[...]
The Verge
2018-06-24
[11]
뉴스
OLYMPICS/ Scary S. Korean phoenix merited PG-13 rating, parents tweet:The Asahi Shimbun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18-06-24
[12]
뉴스
Inmyeonjo: Internet goes bonkers over giant human-faced bird's return to Olympics closing ceremony
https://www.ibtime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UK
2018-06-24
[13]
뉴스
평창 개막식 ‘신스틸러’ 인면조…어디서 유래했나보니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8-06-24
[14]
뉴스
“실검 1위” 인면조 만든 배일환 미술감독 인터뷰
http://www.wikitree.[...]
위키트리
2018-06-24
[15]
뉴스
인면조, 고구려 벽화 속 모습은? ‘구현 잘 했다’
http://www.sporbiz.c[...]
한국스포츠경제
2018-06-24
[16]
서적
한국 도교 의 기원 과 역사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6
[17]
뉴스
인면조, 신도 요괴도 아닌
http://www.hani.co.k[...]
2018-06-24
[18]
뉴스
'인면조' 쇼크…"잊혔던 동아시아인의 오랜 꿈"
http://www.nocutnews[...]
2018-06-24
[19]
뉴스
평창올림픽 개회식, 그리고 역사 속 ‘인면조’와 신화적 내세관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ChristianToday
2018-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