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사지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지리학은 일반지리학의 응용 분야로, 지정학, 지형학, 기후학 등을 포괄하며 군사 활동에 지리적 요소를 적용하는 학문이다. 오랜 역사를 지니며, 2000년대 이후 지정학, 국제 관계 등과 연계되어 부활했다. 군사지리학은 군사 이론, 용병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산악, 건조 지역, 열대 우림, 빙원, 습지대, 해변, 바다 절벽, 항구, 도시, 우주 공간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군사 작전을 분석한다. 자원 확보가 미래 분쟁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석유, 물, 산림 자원, 분쟁 다이아몬드 등 자원 문제도 다룬다. 한국 군사지리학은 고구려 시대부터 한국 전쟁까지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을 활용한 용병술과 관련하여 발전해 왔으며, 비판적 군사지리학의 부흥을 통해 군국주의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지리학 - 사령부
    사령부는 군대 또는 조직의 지휘, 통제, 작전을 수행하는 핵심 지휘 체계로서, 사령관, 참모부, 본부부대, 지원부대로 구성되며, 국가별로 개념과 범위에 차이가 있다.
  • 군사지리학 - 종말점
    종말점은 군사 전략 및 전술에서 공격으로 얻는 이익과 전투력의 균형점으로, 이 지점을 넘어서면 공격 측은 전투력 감소로 방어 전환을 고려해야 하며 정보 우위 확보 등으로 극복 가능하다.
  • 정치와 정부 -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1789년에 설립되어 외교 정책을 담당하며, 현재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며, 조약 협상 및 국제기구 활동 등을 수행한다.
  • 정치와 정부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첩보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첩보 - 공개출처정보
    공개출처정보(OSINT)는 특정 정보 요구 사항 해결을 위해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정보를 수집, 활용 및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정보원과 방법론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국가 정보기관, 민간 부문 등에서 활용한다.
군사지리학
개요
군사 지리학의 한 분야
군사 지리학의 한 분야
학문 분야지리학, 군사학
연구 분야지형, 기후, 자원, 인구, 교통 등 지리적 요소가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관련 분야전략, 전술, 군수, 정보, 공병
세부 분야
지형학적 분석지형의 특성이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예: 방어에 유리한 지형, 공격에 불리한 지형)
기후학적 분석기후 조건이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예: 강우, 기온, 바람 등이 작전에 미치는 영향)
자원 분석특정 지역의 자원 (식량, 물, 연료 등)이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구 분석인구 분포, 인구 밀도, 민족 구성 등이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통 분석도로, 철도, 항만 등 교통망이 군사 작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역사
초기고대부터 지형을 이용한 전략 구사
근대나폴레옹 전쟁 시기 군사 작전에서 지리적 요소의 중요성 부각
현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 기술 발전과 함께 군사 지리학의 중요성 더욱 강조
발전20세기 초, 지정학의 영향으로 발전
할포드 매킨더의 하트랜드 이론
카를 하우스호퍼 등의 지정학 연구
한국고구려의 살수대첩 (지형 이용)
이순신 장군의 한산도 대첩 (해류 이용)
활용 분야
전략 수립지리적 요소를 고려한 전략 목표 설정 및 작전 계획 수립
전술 개발특정 지형 및 기후 조건에 맞는 전술 개발
군수 지원자원 분포 및 교통망을 고려한 군수 지원 계획 수립
정보 획득지리 정보를 활용한 정보 획득 및 분석
공병 작전지형 특성을 고려한 공병 작전 수행 (예: 교량 건설, 도로 개설)
기타 활용국방 계획 수립
군사 훈련 계획 수립
재난 구호 작전 계획 수립
주요 인물
할포드 매킨더하트랜드 이론 제시
카를 하우스호퍼지정학 연구
알프레드 T. 마한해양력 이론 제시
참고 문헌
저서《지정학》 - 할포드 매킨더
《해양력》 - 알프레드 T. 마한
관련 학회
학회국제지리학연맹 (IGU) 군사지리학위원회

2. 군사지리학의 개념 및 체계

군사지리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38년의 『제국 군사지리학』[3]에서는 식민 제국이 군사지리학을 통해 제국의 지리적 환경, 책임, 그리고 국가 또는 제국적 필요를 위해 동원될 수 있는 자원을 설명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환경 결정론, 지역 지리학, 지리 정보 시스템지리학은 수백 년에 걸쳐 발전하며 서로 얽혀 왔다.

2000년 이후 지리학과 군사지리학이 하위 학문으로 부활한 것은 주목할 만한 추세이며, 여러 핵심적인 지정학, 국제 관계[4], 역사 지리학[5] 및 지리학적 접근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지리학회와 호주 지리학 연구소에는 군사 지리학 하위 학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관심 그룹이 있다.

2018년에는 『전략 및 군사 지리학에 대한 호주의 기여』[6]에서 새로운 호주적 접근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주제 및 특정 지역에 대한 장을 포함했다.

군사지리학은 다루는 문제의 규모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전술적인 관점에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환경을 분석하는 지형 분석이다. 둘째는 군사 전략적, 작전적인 관점에서 특정 지역의 군사 지리를 분석하는 지역 분석이다. 셋째는 전략적인 관점에서 전 세계의 지역을 포함한 일반적인 지리적 환경을 분석하는 지정학 분석이다. 또한, 다루는 주제의 내용에 따라 자연 지리학적 영역과 인문 지리학적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2. 1. 지리학 체계에서의 위치

일반지리학은 크게 계통지리, 지역지리, 역사지리, 응용지리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군사지리는 응용지리의 하위분야에 속한다. 일반지리학의 계통들은 독립되어 있지 않고 상호 연관된다. 군사지리학은 계통지리의 기후기상학, 지형학과 지역지리의 한국지리학 그리고 응용지리의 지리적 응용 분야가 상호 연관되는 것으로, 이를 종합해볼 때 군사지리학의 범위는 크게 지정학, 지형학, 기후학으로 구분 가능하다.[3]

2. 2. 군사이론 체계와의 관계

군사이론 체계는 크게 용병 체계와 관리 지원 체계로 구분된다. 용병 체계는 전쟁 인식에 대한 전쟁철학과 이를 바탕으로 준비된 군사력 운용이 포함되며, 관리 지원 체계는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지원하기 위한 군사력 건설과 군사력 지원, 기타 분야로 구분되는데 군사지리는 모든 군사와 관련된 연구와 군사력을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서 고려된다.[3]

2. 3. 용병술과의 관계

군사지리학은 군의 용병 체계와 연계해서 군사전략 지리, 작전술 지리, 전술 지리로 구분해 부대 운용 개념을 보완 발전시킬 수 있다. 군사전략 지리에는 지정학적 위치 분석, 작전술 지리에는 작전지역 특성 분석, 전술 지리에는 전장 특성 분석이 들어간다.[3]

3. 군사지리학의 중요성

전쟁은 지리적 속성을 강하게 가지며, 전쟁의 발발과 과정은 지리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지형, 기후, 교통, 취락이나 도시의 분포 등은 병력 운용, 군수 보급, 무기체계 개발, 정보 획득 등 전쟁의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9]

현대전에서도 GPS, GIS, 무인항공기, 군사위성 등을 통해 획득한 공간정보는 C4I(Com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와 같은 현대 군대의 지휘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미군의 군사교리인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 역시 지표 공간, 해양 공간, 공중 공간, 가상 공간, 우주 공간이라는 다양한 지리적・공간적 영역에서의 동시 통합적 작전 수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9]

무인 항공기


군사 위성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현대의 분쟁에서도 군사지리적 요인은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9]

최근에는 반전(反戰)사상을 바탕으로 전쟁을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비판적 군사지리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도 등장했다.[9]

4. 군사지리학의 분야

군사지리학은 다루는 문제의 규모와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문제의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지형 분석: 전술적인 관점에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환경을 분석한다.
  • 지역 분석: 군사 전략적, 작전적인 관점에서 특정 지역의 군사 지리를 분석한다.
  • 지정학 분석: 전략적인 관점에서 전 세계의 지역을 포함한 일반적인 지리적 환경을 분석한다.


다루는 주제의 내용에 따라서는 자연 지리학적 영역과 인문 지리학적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4. 1. 자연지리

군사지리학에서 고려하는 요소에는 기하학적 위치, 공간적 관계, 지형, 수계, 토질, 식생, 해양, 기후, 일조 시간, 자기장 등 자연 환경이 있다.[9] 자연 환경은 군사력 운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육상 전력을 작전 지역에 전개할 때 지형은 중요한 문제이다. 넓은 평지에서는 기동력을 발휘하기 쉽고, 시야와 사격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산악 지대의 계곡, 기후가 열대 지역이라 식생이 울창한 곳에서는 기동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전진에 필요한 경로 상태가 좋지 않고, 지형이 복잡하며 식생이 울창해 시야 확보나 부대 간 연락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9] 이처럼 자연 환경 요인은 복잡하게 연관되며, 그 영향은 인문 지리까지 미친다.

4. 2. 인문지리

군사지리학은 인구, 사회 구조, 민족 집단, 언어, 종교, 산업, 교통망, 통신망, 군사 시설 등 인문 환경 요소를 분석한다.[9] 인간은 복잡한 사회를 구축하고 있으며, 그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인구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인구 구조, 연령 집단, 성비, 도시 형태 등의 특성이 나타난다. 인구 외에도 문화, 언어, 교육 수준, 문해율, 치안 등도 주로 점령 행정의 관점에서 관련되는 사항이다.[9] 자원 또한 작전에 중요한 관련이 있는 요소이며, 특히 전략적인 중요성을 갖는 1차 산업 자원은 자연지리학적 요인에 의해 규정된다. 자원의 이용, 그리고 병참 및 행군의 관점에서 교통망도 군사적인 중요성이 있다. 도로, 철도 등의 교통로와 공항, 항만 등의 교통 거점은 공업 지대와 상업 지대와 연결된다.[9]

4. 3. 지형 분석

손자병법 지형편에서는 지형이 용병에 도움을 주며, 지형의 험난함, 거리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9] 군사 작전에서 지형, 기후, 교통 등 지리적 환경은 병력 배치, 군수 보급, 무기 체계 개발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9]

현대전에서도 GPS, GIS, 무인항공기, 군사위성 등을 활용한 공간 정보가 중요하며, C4I 체계와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 등에서 지리적 요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9]

특히 복잡한 도시 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군사 지형 도시학"이라고 칭한다. 시가전에서는 지형이 더욱 복잡해지고, 많은 구조물과 주민들에 의한 토지 변형으로 인해 상공에서의 시야가 제한되고 지상 부대의 이동에 장애물이 발생한다. 공간은 좁아질 수 있고, 호송대는 건물 사이의 특정 경로로 제한되어 도로변 폭탄과 매복 공격에 직면할 수 있다.

4. 4. 지역 분석

손자병법 지형편에서는 지형을 용병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보았으며, 지형의 험하고 좁고 멀고 가까움 등을 잘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을 장수의 중요한 능력으로 강조하고 있다.[9]

전쟁은 지리적 속성을 강하게 가지는데, 전쟁 발발은 영토 확장, 국가 간의 지정학적 관계, 군사적 요충지 확보, 교역로나 교통로 확보 등과 같은 지리적 동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전쟁 과정 또한 지형, 기후, 교통 등 지리적 환경은 병력 배치, 군수 보급, 무기체계 개발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9]

현대전에서도 지리의 중요성은 여전하다. 현대 군대의 지휘체계인 C4I(Com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는 GPS, GIS, 무인항공기, 군사위성 등을 통해 획득한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한다. 미군의 군사교리인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 역시 지표, 해양, 공중, 가상, 우주 등 다양한 지리적 영역에서의 통합적 작전 수행에 초점을 맞춘다.[9]

오늘날 세계 각국은 GIS, GPS, 원격 탐사 장비 등을 통합한 보병용 개인 장비 개발을 통해 보병 개개인이 지리적 환경에 맞는 전투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군사지리학은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의 군사적 의미와 활용을 다루는 학문이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군사지리적 요인은 현대전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9]

군사지리학은 전쟁의 지리적 속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인문 및 자연지리적 요인의 군사적 의미와 그 활용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군사지리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지정학, 국제 관계, 역사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지리학적 접근 방식이 개발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4][5]

해안은 상륙에 유리한 장소로, 완만한 경사를 이용해 병력과 장갑차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지뢰와 대전차 방어 시설로 막힐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4. 5. 지정학

> “夫地形者, 兵之助也, 料敵制勝, 計險阨遠近, 上將之道也”

>

> (무릇 지형이란 용병에 도움을 주며 적을 헤아리고 판단하여 승리 태세를 만들어 가며 지형이 험하고 좁고 멀고 가깝고를 계량하고 활용하는 것은 최고 장수의 용병술이다.)

>

> -손자병법 지형편-

전쟁은 영토 확장, 국가나 민족 집단 간의 지정학적 관계, 지정학적·경제적·군사적 요지 확보, 교역로나 교통로 확보 등과 같은 지리적 동기와 깊은 관련이 있다.[9]

5. 특수 환경과 군사 작전

손자병법 지형편에서는 지형을 군사 작전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9] 현대전에서도 GIS, GPS, 무인항공기, 군사위성 등을 활용하여 지리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군사 작전에 활용한다.[9]

군사지리학은 지형, 기후, 해양, 자기장 등 자연 환경과 군사력 운용의 관계를 연구한다. 예를 들어, 평지에서는 기동력을 발휘하기 쉽지만, 산악 지대에서는 이동이 어렵고 시야 확보가 제한된다.[9]

5. 1. 산악 지역

산악 지형은 평지와 달리 경사가 있고 자연 장애물이 많아, 주로 대대급 이하 보병 부대의 분산된 소규모 전투가 이루어진다. 전투의 성공은 숙련된 초급 지휘관과 산악 전투 원칙을 잘 이해하고 훈련받은 보병에게 달려있다. 눈사태, 산사태, 산소 부족은 지휘관이 철저히 대비해야 할 요소이다.[9]

두 산은 똑같을 수 없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 농도는 낮아진다. 산을 오르며 전투를 벌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눈사태, 산사태, 절벽, 경사면 위에서의 매복 공격이 있을 수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처럼 산 어딘가에 동굴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5. 2. 건조 지역 (사막)

건조 지역은 사막 기후를 띄는 지역을 통칭하며, 모래가 주요 문제이다. 모래는 군대가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여 피부에서 수분을 빼앗아가며, 화기의 발사 메커니즘을 포함한 기계 장치를 고장낼 수 있다.[9]

지형은 대개 비교적 평평하지만, 일부 지역에는 광활하고 완만한 사구(沙丘)가 있다. 사막 환경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이스라엘 주변 특정 지역과 같이 산이 있을 수도 있다. 중동에서 진행 중인 분쟁으로 인해, 미군은 각 군의 제복을 재설계했다. 모든 제복은 사막 환경에서 매우 효과적인 디지털 위장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부츠는 표준 광택 검정색 부츠에서 밝은 갈색 스웨이드 가죽 부츠로 변경되었다. 이 부츠는 사막의 강렬한 열기 아래에서 더 시원하다.[9]

5. 3. 열대우림 지역

열대 우림 지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통상적으로 소규모 부대 전투가 일어난다.
  • 특수작전부대와 방어부대가 유리하다.
  • 지상 기동은 느리고 힘이 많이 든다.
  • 전차, 포병, 기타 중화기, 근접 항공지원 등의 사용이 억제된다.
  • 양적 그리고 기술적 우세가 현지 적응보다 못하다.


이러한 특징은 전쟁에서의 여러 가지 군사 기술적 도움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병 부대 각각의 숙련도와 훈련도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게 한다. 또한 게릴라들과 지하조직 같은 비정규전 부대는 정글 언저리에서 근거지를 만든다. 적을 습격한 후 지형에 대한 이해도의 우세로 인해 추격 부대에게 기습, 매복, 사보타지 등으로 타격을 입힌다.[9]

이 지역의 환경은 기본적으로 사막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과 정반대이다. 수천 종의 동식물이 존재하며, 항상 습기가 있어 자체적인 어려움을 야기한다. 습기는 부패 과정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물속에 사는 모든 박테리아로 인해 상처가 훨씬 더 쉽게 감염되도록 한다. 적절한 여과 시스템을 갖춘 군대는 수분 유지를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빽빽하게 들어선 나무와 덤불은 공중과 지상 모두에서 은폐를 제공한다. 매복은 도시 환경과 마찬가지로 이 환경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정글에는 산도 있을 수 있지만, 이 산들은 사막에 있는 산들과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정글 산에는 훨씬 더 많은 식물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등반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헬리콥터는 정글과 숲이 우거진 지역을 이동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수단임이 입증되었으며, 베트남은 물론 이를 위한 시험장이었다. 전차 및 기타 차량은 빽빽하게 들어선 나무 사이를 기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대부분의 군용 항공기는 나무를 통해 지상을 정확하게 관찰하기에는 너무 빠르게 비행한다.

5. 4. 빙원 (한대 지역)

스키부대와 같이 설상화를 사용하는 부대는 눈이 쌓인 환경에서 기동에 유리하지만, 일반 보병은 전투화에 눈이 달라붙거나 눈 높이가 무릎 이상일 경우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4륜 구동 차량은 제설 작업 없이는 기동 및 전투 수행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한대지역에서는 영하의 기온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부대원들은 생존 지침을 숙지하고, 대피소를 설치하며, 고칼로리 음식을 준비해야 한다.[9]

항공 전력의 경우, 전투기폭격기, 수송기는 이착륙 및 수직 이착륙이 거의 불가능하여 사용이 제한되지만, 헬기는 착륙 지점 상공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으며 근접항공지원, 보급, 후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9]

5. 5. 습지대

계절에 따라 이 형성되는 곳은 여름에 더 습해진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상습 늪은 얼음이 얼지 않는다. 상습 늪지대는 '끝없는 습지 초원', ', 플란테이션, 원시 늪', '조수에 잠기는 습지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9]

5. 6. 해변

해변은 상륙 작전에 유리한 장소로서, 자연적으로 얕은 경사를 가진 해변은 종종 군대와 장갑차를 배치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해변은 지뢰 및 기타 대전차 방어 시설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륙할 위험은 높지만, 사전 경고가 없는 경우 해안 상륙은 적의 영토로 진입하는 매우 효과적인 경로가 될 수 있다.[9]

5. 7. 바다 절벽

육상 장비를 이용해 상륙하기에는 지형적으로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여기에는 대차량 지뢰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기갑 공격에 대한 걱정 없이 방어 계획을 세울 수 있다.[3]

5. 8. 항구

항구는 중요한 군사 목표이지만, 적의 공격으로 인해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항구 방어는 해군, 군사 비행장, 항구 봉쇄 준비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침략이 시작되면 항구는 군대가 점령해야 할 핵심 목표가 된다. 항구를 빨리 점령할수록 더 많은 양의 증원군과 물자를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적이 잔해로 입구를 막거나 항구 전체에 기뢰를 배치하여 항구를 파괴하기 전에 점령하는 것이다.[11] 항구를 방어하는 것은 적이 공중과 바다에서 위치를 감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한 작업이다.[11] 항구는 많은 국가의 방어망 주변에 있으며, 해군이 배치되었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항구를 방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까운 곳에 군사 비행장을 두고 항구에 영구적으로 해군들을 배치하고 적군이 방어선을 뚫을 경우 항구를 사용할 수 없도록 준비하는 것이다.[11]

5. 9. 도시 지역 (군사 도시학)

러시아의 N. S. 올레식 대령은 복잡한 도시 환경을 분석하는 분야를 "군사 지형 도시학"이라고 칭한다. 시가전에서는 지형이 더욱 복잡해지고, 많은 구조물과 주민들에 의한 토지 변형으로 인해 상공에서의 시야가 제한되고 지상 부대의 이동에 장애물이 발생한다. 공간은 좁아질 수 있고, 호송대는 건물 사이의 특정 경로로 제한되어 도로변 폭탄과 매복 공격에 직면할 수 있다.[9]

부대는 현지인과 협력하거나 그들을 피해야 하며, 일부는 협력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반대하거나, 또는 두 파벌 사이에 끼어들 수 있다. 게릴라 전사는 적이 인구 밀집 지역에 폭탄을 투하하거나 사격을 가하기를 꺼릴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9]

5. 10. 우주 공간

우주 공간은 군사 작전에 새로운 영역을 제공하지만, 대기 상호작용, 중력, 방사선 등이 우주 진입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지상에서 적군은 지구 자전의 이점을 활용하는 우주 발사 기지를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우회하는 재진입 각도는 접근 구획이 정해져 있어 전략 및 전술적 기습 가능성이 줄어든다.[9]

라그랑주 점 5개소는 미래의 전략적 요충지가 될 수 있다. 라그랑주 점을 점령한 군대는 달에서 군사 작전을 준비할 때 전략적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점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아직 가정에 가깝고, L4와 L5는 아직 식별되지 않아 현 단계에서는 활용하기 어렵다.[9]

6. 자원과 미래 분쟁

자원 확보는 미래 분쟁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석유, 물, 산림 자원, 분쟁 다이아몬드 등이 미래 분쟁의 주요 자원으로 꼽힌다. 특히, 중동 지역은 석유 매장량이 풍부하여 강대국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걸프 전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물 부족 문제 또한 심각한데, 나일강요르단강 유역에서는 상류 국가의 댐 건설로 인해 하류 국가와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6]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가뭄을 심화시켜 물 부족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석유 고갈 이후 대체 연료원으로 주목받는 산림 자원은 라틴 아메리카와 태평양 섬 지역을 중심으로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분쟁 다이아몬드가 불법 무기 거래에 사용되면서 분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6. 1. 석유

중동은 주요 국가들이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감소하기 시작할 때 경쟁할 수 있는 수많은 귀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걸프 전쟁은 미국이 페르시아만의 풍부한 유전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기 위해 기꺼이 전쟁을 벌일 의사가 있었던 사례였다. 강력한 군사 주둔은 일부 지도자들에게 값싼 석유로 미국을 지원하도록 영향을 미쳤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세력은 이슬람 세계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9.11 테러아프가니스탄 전쟁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이 지역에 새로운 적대감을 가져왔다. 석유를 중심으로 한 다른 세계적 핫스팟은 베네수엘라 주변 지역, 카스피해 지역, 그리고 아마도 베트남과 중국 주변의 해상 유전일 것이다.[6]

6. 2. 물

물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매우 귀중하고 얻기 어려운 자원이다. 물 공급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분명한 지역은 사막이지만, 현재 중동에서는 석유가 가장 가치 있는 액체이다. 그러나 석유는 영원하지 않으며, 사람들이 생존하려면 물이 필요하다.[6]

상류에 있는 국가들이 하류 국가를 차단하기 위해 강에 댐을 건설하여 해당 국가의 물 공급을 고갈시키겠다고 위협하는 경우가 여러 차례 있었다. 이 문제는 나일강요르단강 모두에서 발생했으며, 두 경우 모두 하류 국가들이 그러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보복하겠다고 위협했다.[6]

지구 온난화 추세가 계속됨에 따라 기상 패턴도 계속 변화할 것이고, 이는 일부 지역이 심각한 가뭄에 빠질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물을 얻을 자원이 없을 때 절망에 빠질 수 있다.[6]

6. 3. 산림 자원

세계의 밀집된 산림 지역은 끊임없이 줄어들고 있으며, 석유가 고갈됨에 따라 사람들은 겨울에 따뜻함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연료원으로 나무를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숲이 줄어들면서 인접 국가들은 자국민을 달래기 위해 이 자원을 놓고 서로 대립할 것이다. 라틴 아메리카와 태평양 섬의 숲은 이 자원의 주요 분쟁 예상 지역이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세계 석유 공급에 대한 긴장이 고조되면서 해당 지역 안팎의 이미 긴장된 상황 때문이다.

6. 4. 분쟁 다이아몬드

분쟁 다이아몬드는 불법 무기 거래 자금을 조달하는 데 사용되는 통화이다. 이러한 다이아몬드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회사를 통해 판매되지 않는다. 아프리카의 군벌들이 더 큰 부와 지속적인 전투를 위한 새로운 무기를 획득하기 위해 이러한 다이아몬드를 놓고 싸우기 때문에 분쟁 다이아몬드라고 불린다. 남아프리카의 금광도 마찬가지이다.

7. 한국 군사지리학의 역사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군사지리학적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해왔다. 육군교육사령부는 “군사이론은 국가와 민족의 전쟁에 대한 인식 및 대처를 위한 공통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범국민적 군사사상에서 시작된다.”라고 정의했다. 한반도에서 전쟁에 대한 범국민적인 군사사상은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왔다. 한반도의 군사사상 형성은 초기에는 중국 대륙으로부터 가해지는 위협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영토와 인구 면에서 열세한 가운데 지지 않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시대를 초월하여 형성된 공통적인 인식의 바탕에는 한반도의 험준한 지형과 기상을 연계시키는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 즉, 군사지리학적 요소가 한반도의 전통적인 군사사상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9]

한반도의 용병술은 전략적 관점에서 적보다 열세한 병력 규모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지형적 특징을 결합하여 활용한 선수후공(先守後攻) 전략이 사용되었다. 작전술적 관점에서는 지연전과 유격전 개념이 활용되었고, 전술적 관점에서는 인병출격전술(以逸待勞)과 견벽고수전술(淸野入保) 등이 정립 및 활용되었다. 이러한 한반도 용병술은 역사적으로 군사지리학적 요소를 필수적으로 고려하여 발전해 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고구려청야입보(淸野立保)와 이일대로(以逸待勞)를, 고려 시대에는 견벽고수전술(堅壁固守戰術)과 인병출격전술(引兵出擊戰術)을 주요 전술로 사용했다. 조선 시대에는 성을 중심으로 거점종심방어체제(據點縱深防禦體制)와 선수후공(先守後攻) 전술을 활용하여 군사력을 운용했다.[13] 한국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약 3년에 걸쳐 한반도에서 치러진 현대식 전쟁으로, 군사지리학적 연구 대상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전쟁 당시 양측의 전술 및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한반도의 험준한 산악하천 지형이었다.[15]

7. 1. 고구려 (삼국 시대)

고구려청야입보(淸野立保)와 이일대로(以逸待勞)를 기본적인 전술로 활용하였다. 청야입보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형에 성을 구축한 다음 주변의 토지를 경작하다가 유사시에는 농작물을 거두어 성에 들어가 방어하는 형태였다. 이일대로는 아군에 유리한 지점까지 적을 유인하여 적의 병참선을 과도하게 늘려 전투력이 감소된 적의 약점을 포착해 즉각 공격하는 전술이었다. 이는 한반도의 산악 지형 특성을 활용하여 군사적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용병술이다.[9]

7.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견벽고수전술(堅壁固守戰術)과 인병출격전술(引兵出擊戰術)을 주요 전술로 사용했는데, 이는 각각 고구려 시대의 청야입보(淸野入保)와 이일대로(以佚待勞) 전술 개념을 이어받은 유사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전술 운용은 한반도의 지형을 이용하는 용병술 개념에서 고려가 고구려와 동일한 인식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12]

7. 3.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성을 중심으로 거점종심방어체제(據點縱深防禦體制)와 선수후공(先守後攻) 전술을 활용하여 군사력을 운용했다.[13] 적이 침입하면 진관 단위로 분포된 성을 이용하여 청야입보, 이일대로 전술을 구사해 적의 공격을 점차 약화시켰다. 이후 적의 약점이 발견되면 반격하여 격멸하는 선수후공(先守後攻) 방식의 방어 전술을 중요하게 여겼다. 20세기 초, 일본의 한반도 침략 야욕이 본격화되면서 한반도에서는 자연스럽게 의병 봉기가 일어났다. 병력이 열세한 상황에서 의병들은 한반도의 험준한 지형을 활용, 현대의 유격전과 유사한 전투를 벌였으며, 이는 또 하나의 전투력으로 인식되었다.[14] 이처럼 당시의 유격전은 군사지리학적 관점에서 한반도의 산악 지형을 활용한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7. 4. 한국 전쟁

한국 전쟁 유격전


한국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약 3년에 걸쳐 한반도에서 치러진 현대식 전쟁으로, 군사지리학적 연구 대상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전쟁 당시 양측의 전술 및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한반도의 험준한 산악하천 지형이었다.[15] 험준한 산악 및 하천 지형은 양측 모두에게 공격 기세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격전술과 지연전은 비교적 다수의 부대가 넓은 전장 지역에서 지역별 특징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전술 차원의 용병술로 구분할 수 있다.

한반도의 용병술은 전략적 관점에서 적보다 열세한 병력 규모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지형적 특징을 결합하여 활용한 선수후공(先守後攻) 전략이 사용되었다. 작전술적 관점에서는 지연전과 유격전 개념이 활용되었고, 전술적 관점에서는 인병출격전술(以逸待勞)과 견벽고수전술(淸野入保) 등이 정립 및 활용되었다. 이러한 한반도 용병술은 역사적으로 군사지리학적 요소를 필수적으로 고려하여 발전해 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8. 군사지리학의 비판과 부흥

1960년대 후반부터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 탈구조주의 사회이론 등의 영향으로 영국의 인문지리학은 군사 관련 주제를 다루는 것을 꺼렸다.[16] 1990년대 초부터 권력에 대한 비판적 접근법은 군사 활동 및 군국주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16]

그러나 21세기에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전쟁 등에서 세계적 군사력을 행사하면서, 현대 인문 지리학은 군국주의와 그 영향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에서 나타나는 군국주의적 사상을 이해하려는 시도와 맞물려 군사지리학의 부흥을 가져왔다. ''Critical Military Studies'' 저널에 실린 2014년 기사에서 Rech MF, Bos D, Jenkings KN, Williams A, Woodward R.는 비판적 지리학의 관점에서 군사 지리학은 군국주의 현상을 이해하는데 다양하고 비판적인 관점을 준다는 점을 근거로 군사 지리학의 중요성을 주장한다.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3337486.2014.963416

Woodward R은 군국주의와 그 영향은 전 세계 대다수의 사람들의 삶을 정의한다는 점을 근거로 중요성을 주장한다. 전쟁에서의 삶과 죽음, 공공 지출과 발전을 위한 의제를 형성하는 것이 군사적 목표의 지배를 통했다는 점에서 지리학은 군국주의와 군사 활동에 무지할 수 없다. 따라서 지리학은 전쟁과 국가가 허락한 폭력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것은 이러한 군국주의의 지형이 표현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17]

9. 결론

군사지리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38년의 『제국 군사지리학』[3]은 식민 제국이 군사지리학에 접근하여 제국의 지리적 환경, 책임, 그리고 국가 또는 제국적 필요를 위해 동원될 수 있는 자원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환경 결정론, 지역 지리학, 지리 정보 시스템,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지리학은 수백 년에 걸쳐 발전하고 얽혀 왔다.

2000년 이후 지리학과 군사지리학이 하위 학문으로 부활한 것은 주목할 만한 추세이며, 여러 핵심적인 지정학, 국제 관계[4], 역사 지리학[5] 및 지리학적 접근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지리학회와 호주 지리학 연구소에는 군사 지리학 하위 학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관심 그룹이 있다.

2018년에는 『전략 및 군사 지리학에 대한 호주의 기여』[6]에서 새로운 호주적 접근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주제 및 특정 지역에 대한 장을 포함했다.

참조

[1] 논문 Strategic Military Geography: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he Militar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5
[2] 서적 Jomini
[3] 서적 Imperial military geograph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mpire in relation to defence Sifton Praed & CoY London 1933
[4] 서적 The revenge of geography: what the map tells us about coming conflicts and the battle against fate Random House 2012
[5] 서적 Out of the mountains: The coming age of the urban guerrilla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6] 서적 Australian Contributions to Strategic and Military Geography Springer 2018
[7] 문서
[8] 서적 군사지리 윤성사 2022-01-05
[9] 논문 중국 초한전쟁기(기원전 206-기원전 202년) 정형 전투(井陘之戰)에 대한 군사지리학적 재해석 2022
[10] 서적 직업군인과 일반인을 위한 군사지리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8-12-16
[11] 서적 Landing Operations: Strategy, Psychology, Tactics, Politics From Antiquity To 1945 Literary Licensing, LLC 2011-10-15
[12] 서적 고위사 중세편 1976
[13] 학위논문 한국의 무기체계 발달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1989
[14] 서적 군사이론과 군사교육의 연구 서라벌연구소 1997
[15] 교범 전략정보(군사지리정보) 1987
[16] 논문 군사 지리에서 군국주의의 지리까지: 군국주의 및 군사 활동의 지리와의 규율적 참여 2005
[17] 서적 Military Geographies Wiley-Blackwell 2004
[18] 논문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