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의 의지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의 의지당은 1879년 나로드니키의 비밀 결사 "토지와 자유"에서 분열된 급진파에 의해 결성된 러시아의 혁명 조직이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제정 타도와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회주의를 추구했다. 이들은 러시아 황제 암살을 통해 대중의 가치관을 바꾸고 반란을 촉진하려 했으며,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을 주도했다. 인민의 의지당은 폭력적인 혁명 전술을 사용했으며, 스톨리핀 암살 사건과 로마노프 왕조 처형 등 국내외 혁명가 및 테러 조직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설립된 정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1879년 파블로 이글레시아스가 창당한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은 초기 마르크스주의 정당에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변모하여 스페인 제2공화국 참여, 프란코 독재 정권 하 불법화, 1982~1996년 장기 집권, 유럽 사회당 연대, 자치 지역 독립 문제 관련 내부 갈등 등을 겪으며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인민주의 - 브나로드 운동
    브나로드 운동은 1931년 동아일보사 주도로 시작되어 1938년 중단된 농촌 계몽 운동으로, 김성수, 송진우 등이 주도하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농촌에서 문맹 퇴치, 학술 강연, 위생 개선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 해방 후 농활로 이어졌다.
  • 인민주의 - 토지와 자유당
    토지와 자유당은 1860년대와 1870년대 러시아에서 농민 혁명을 목표로 결성된 혁명적 비밀 결사 조직으로, 내부 이견으로 인해 두 차례 해체되었다.
인민의 의지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민의 의지 로고
로고
개요
명칭인민의 의지
원어 명칭Наро́дная во́ля
로마자 표기Narodnaya volya
약칭해당 없음
창립일1879년 6월
해산일1887년 3월
전신토지와 자유
후신해당 없음
본부상트페테르부르크 (1879–1881)
모스크바 (1881–1882)
이념인민주의
농업 사회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관련 운동인민주의자
회원수2193명
슬로건해당 없음
국가러시아
지도부
지도자해당 없음
창립자해당 없음
기타 정보
신문해당 없음
학생 조직해당 없음
청소년 조직해당 없음
여성 조직해당 없음
상징해당 없음
깃발해당 없음
찬가Народовольческий гимн ("인민의 의지 찬가") 해당 링크

2. 역사적 배경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은 1861년 농노 해방 개혁에도 불구하고 차르 중심의 전제 정치와 귀족 및 특권층 중심의 사회 구조가 유지되면서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특히 농촌의 빈곤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이는 사회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나로드니키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농촌 공동체인 옵쉬나에 주목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구와 다른 러시아 고유의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농민들을 직접 계몽하려 했던 인민 속으로 운동 등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새로운 방식의 혁명 운동이 모색되었다.

이후 혁명 운동은 더욱 조직화되고 비밀스러운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1876년에는 제믈랴 이 볼랴(Земля и воля, "토지와 자유")라는 비밀 혁명 조직이 결성되었다. 이 조직은 중앙집권적인 구조를 갖추고 정치적 변화를 추구했으나, 폭력 투쟁 노선을 둘러싼 내부 이견으로 인해 분열을 겪게 된다. 결국, 차르 암살 등 보다 급진적인 직접 행동을 주장하는 세력이 1879년 제믈랴 이 볼랴에서 분리되어 인민의 의지당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제정 타도와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삼고 활동을 시작했다.

2. 1. 나로드니키 운동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농민 해방'(1907). 농민들이 지역 영주의 계단에서 1861년 농노 해방 개혁에 대한 발표를 듣는 그림.


1861년 농노 해방 개혁은 러시아 제국 농촌의 심각한 빈곤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차르를 정점으로 한 전제 정치 체제와 귀족, 특권층 중심의 국가 관료제는 여전히 경제를 통제하며 이익을 독점했다. 1870년대 초, 이러한 기존 정치 및 경제 질서에 대한 반대가 지식인들 사이에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낡은 체제의 경제적 후진성과 정치적 억압을 극복하고 러시아에 현대적이고 민주적인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다.

러시아의 경제 및 정치 구조 변화를 추구하는 급진적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일련의 "민중주의"(나로드니키)적 가치가 공유되었다. 러시아 농민들은 역사적인 마을 공동체인 옵쉬나(''옵쉬나'' 또는 ''미르'')를 통해 토지를 집단적으로 소유하고 주기적으로 재분배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본질적으로 사회주의적이거나 최소한 사회주의 조직에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또한, 이를 통해 서유럽 초기 자본주의의 특징인 산업 빈곤을 겪지 않고 러시아만의 독특한 현대화 경로를 개척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당시 러시아 지식인들은 서유럽을 발전의 기준으로 삼아 자국의 상대적 후진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급진적 지식인들은 개인과 국가가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힘을 가지고 있으며, 계몽된 시민 사회가 농민들을 대중 봉기로 이끌어 러시아를 궁극적으로 사회주의 사회로 변화시키는 것이 도덕적 의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들은 당시 대부분의 급진적 지식인들에게 거의 이론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보수적인 슬라브주의자들로부터 이어진 수십 년간의 관찰과 사상의 결과였으며, 알렉산데르 헤르젠(1812–1870), 표트르 라브로프(1823–1900), 미하일 바쿠닌(1814–1876) 등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사회주의 연구 모임(''크루즈키'')은 1870년대 러시아의 주요 도시인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키예프, 오데사 등지에서 주로 이상주의적인 학생들을 중심으로 생겨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조직 구조가 느슨하고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었으며, 개인적인 친분을 바탕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공장 노동자와 농민들 사이에서 혁명적 사회주의 사상을 전파하려는 이들의 노력은 즉시 국가의 탄압에 부딪혔다. 차르 비밀 경찰(오흐라나)은 선동가들을 색출하여 체포하고 투옥했다.

1874년 봄, 젊은 지식인들은 농민들의 세계 속으로 직접 들어가 사회주의 혁명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해 인민 속으로 운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교사, 서기, 의사, 목수, 석공, 또는 평범한 농업 노동자로 위장하여 농촌 마을로 들어갔다. 약 2,000명의 젊은이들이 마치 구원자라도 된 듯한 열정을 품고 농촌으로 향했지만, 가을까지 그들 중 약 1,600명이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농민 봉기를 일으키려는 시도는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 농민들은 지식인들의 주장에 무관심했고, 지방 당국과 오흐라나는 선동가들을 쉽게 체포했다. 이 운동의 명백한 실패는 이후 혁명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더욱 철저한 비밀 유지와 함께 보다 공격적인 투쟁 방식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만들었다.

2. 2. '토지와 자유' (제믈랴 이 볼랴)

알렉산드르 드미트리예비치 미하일로프(1855–1884)는 인민의 의지당의 전신인 ''제믈랴 이 볼랴''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마르크 나탄손(1851–1919)은 ''제믈랴 이 볼랴''의 주요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제믈랴 이 볼랴''의 구성원 알렉산드르 콘스탄티노비치 솔로비예프(1846–1879)는 차르 알렉산드르 2세를 저격하는 데 실패한 후 처형되었다.


1874년 나로드니키의 인민 속으로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혁명적 포퓰리즘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이 시기 등장한 '제믈랴 이 볼랴'(Земля и воля|젬랴 이 볼랴rus, "토지와 자유")는 1870년대 가장 강력한 혁명 조직으로 성장했다. 이 조직은 도시와 농촌의 불만을 조직화하고 이끌려는 새로운 형태의 중앙집권적 정치 조직의 초기 모델이었다. 이전 세대 급진주의자들의 이름을 빌려 1876년 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결성되었으며, 차르 비밀 경찰의 탄압을 피해 극도의 비밀주의 속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조직 자체에서 남긴 기록은 거의 없다.

'제믈랴 이 볼랴'는 초기 나로드니키 운동부터 활동해 온 마르크 나탄손(1851–1919)과 새롭게 운동에 참여한 알렉산드르 드미트리예비치 미하일로프(1855–1884) 같은 인물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전위 정당은 주로 지식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전통적인 농민 공동체(옵쉬나)를 사회 변혁의 기반으로 이상화하는 나로드니키의 전통을 이어갔다. 미하일로프는 "반란자들은 인민을 이상화한다. 그들은 자유의 바로 그 순간에 ''옵쉬나''와 연방에 기반한 그들만의 개념에 맞는 정치 형태가 나타나기를 희망한다... 당의 과제는 자치 행정의 범위를 모든 내부 문제로 확대하는 것"이라고 썼다.

187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채택된 강령은 러시아 제국의 해체, 모든 토지의 "농업 노동자 계급" 귀속, 모든 사회 기능의 마을 공동체 이전을 요구했다. 강령은 "우리의 요구는 폭력적인 혁명을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다"고 명시하며, "국가의 해체"와 승리를 위한 수단으로 "혁명적 세력을 조직하고 혁명적 감정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언행을 통한 선동"을 규정했다. 이러한 사상은 집산주의적 아나키즘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미하일 바쿠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활동에서는 '제믈랴 이 볼랴' 구성원(제믈레볼치, землевольцы|젬레볼치rus) 상당수가 도시의 산업 노동자 조직화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중에는 훗날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선구자가 되는 젊은 게오르기 플레하노프(1856–1918)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론과 실제 활동 사이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믈랴 이 볼랴'의 공식 입장은 폭력적인 직접 행동 전술을 옹호했다. 당 기관지 창간호는 해방 운동의 "보호 부대"에 의한 "폭력과 자위 시스템"을 강조했다. 조직은 정치적 암살을 국가에 대한 "범죄"에 대한 "사형"이자 "자위" 행위로 합리화했다. 이러한 경향은 국왕 시해를 정치 행동의 정점으로 여기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1879년 4월(율리우스력) 제믈레볼치 알렉산드르 솔로비예프(1846–1879)가 차르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을 시도하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솔로비예프의 암살 시도는 실패했고 그는 처형되었다. 이후 '제믈랴 이 볼랴'에 대한 국가의 탄압은 더욱 거세져 러시아 서부의 혁명 조직은 거의 와해되었고 다른 지역의 조직들도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폭력 사용 문제를 둘러싼 내부 갈등은 결국 조직 분열로 이어졌다. 플레하노프를 비롯한 일부는 선전 활동을 우선시하며 폭력 노선 중단을 주장했지만, 다수의 활동가들은 집행위원회를 장악하고 폭력 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양측의 입장을 조율하려는 노력은 실패했고, 1879년 8월 15일 조직 자산 분할을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면서 분열은 공식화되었다.

1879년 말, 선전과 조직 건설을 중시했던 플레하노프와 그의 동지들은 ''흑토지 재분배''(Чёрный передел|초르니 페레델rus, "흑토지 재분배")라는 새로운 조직을 결성했다. 한편, 폭력 투쟁 노선을 유지한 세력은 ''나로드나야 볼랴''(Народная воля|나로드나야 볼랴rus, "인민의 자유")라는 이름 아래 재결집했다.

2. 3. '인민의 의지당'의 결성

1879년, 나로드니키 운동의 비밀 결사였던 토지와 자유 당 내 급진파가 분리되어 인민의 의지당을 결성했다. 이들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제정 타도와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회주의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다.

결성 직후 몇 달 동안, 인민의 의지당은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오데사, 키예프, 하르코프 등 주요 도시에 노동자들을 위한 연구 모임을 조직하거나 기존 모임에 참여했다.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둔 육군과 크론슈타트 해군 기지 내부에 당의 군사 조직을 설립하기도 했다. 당의 활동을 알리고 지지 세력을 확보하기 위해 불법 신문 발행에도 힘썼는데, 당명과 같은 『인민의 의지』 5호와 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라보차야 가제타』(노동자 신문) 2호를 발행했다. 이와 함께 여러 불법 전단을 제작하여 당의 선언과 입장을 잠재적 지지자들에게 전파했다.

인민의 의지당은 자신들의 활동이 과거와의 단절이 아니라 초기 민중주의 전통의 계승이라고 여겼다. 당의 언론을 통해, 비록 과거 정당 전체의 전통을 더 이상 대표하지 않기에 『토지와 자유』라는 명칭은 유지하지 않지만, 『토지와 자유』 조직이 확립한 원칙을 계승하고 "토지와 자유"를 당의 "모토"이자 "슬로건"으로 삼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들은 강령을 통해 "완전한 양심,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선거 운동의 자유"를 요구했다. 정치적 자유의 확립을 최우선적인 공적 목표로 삼았으며, 급진적 언론인 니콜라이 미하일로프스키는 이 주제에 대해 상세히 다룬 "정치 서한" 두 편을 당의 공식 기관지 초기 두 호에 기고했다. 당은 정부가 정치적 양보를 할 경우 무기를 내려놓을 의향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궁극적으로는 자치적인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기를 희망했지만, 스스로가 집권 정당이 되려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었다.

그러나 인민의 의지당은 동시에 폭력적인 혁명 노선을 추구했다. 당의 집행위원회는 알렉산드르 2세 차르가 러시아 국민에게 저지른 범죄에 대해 사형을 요구하는 포고문을 발표했다. 표면적으로는 정치적 자유와 입헌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소위 '나로드노볼치'(인민의 의지 당원)들은 실제로는 폭력과 정치적 암살을 통해 "정부 자체를 붕괴시키고" 러시아에서 차르 체제의 모든 흔적을 종식시킬 수 있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제정 정부를 약하고 불안정한 상태로 판단하여, 혁명적 전복의 가능성이 높다고 여겼다. 대중적 지지를 얻는 데 한계를 느낀 이들은, 황제 암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 대중의 인식을 바꾸고 혁명적 봉기를 촉발하려 시도했다.

3. 조직 구조와 활동

인민의 의지당은 1879년 나로드니키의 비밀 결사 "토지와 자유"에서 분리된 급진파가 결성한 조직이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제정 타도와 농민 공동체 기반의 사회주의 건설을 목표로 삼았다.

조직은 비밀 결사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중앙집권적인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대중적 기반이 약했던 이들은 황제 암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 정치적 변화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대중의 혁명적 봉기를 유도하고자 했다.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 끝에 1881년 3월,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오히려 알렉산드르 3세 정부의 대대적인 탄압을 불러왔고, 주요 지도부가 체포되거나 처형당하면서 조직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결국 1887년 알렉산드르 3세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조직은 사실상 괴멸 상태에 이르렀다.

3. 1. 조직 구조

인민의 의지당은 비밀 결사의 성격을 띠며 중앙집권적인 지도 체제를 지향했다. 이는 전신인 나로드니키 조직 토지와 자유 시절부터 정부의 탄압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유지되어 온 원칙이었다. 당시 정치 상황에서는 당 조직에 대한 민주적 통제가 어렵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조직은 자체적으로 선출된 집행위원회를 통해 중앙에서 관리되었다.

집행위원회는 약 6년간 활동했으며, 이 기간 동안 남성과 여성을 포함하여 총 50명 미만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위원으로는 알렉산드르 미하일로프, 안드레이 젤랴보프, 소피야 페롭스카야, 베라 피그네르, 니콜라이 모로조프, 미하일 프로렌코, 아론 준델레비치, 사벨리 즈라토폴스키, 레프 티호미로프 등이 있었다.

인민의 의지당의 공식적인 조직원 수는 약 500명으로 추산되며, 여기에 비공식적인 지지자들까지 더하면 그 규모는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1886년부터 1896년까지 소규모 조직만 남았던 시기의 인원까지 포함하면, 이 운동에 참여했던 전체 인원은 약 2,2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3. 2. 주요 활동

인민의 의지당은 나로드니키의 비밀 결사 "토지와 자유"에서 분열된 급진파에 의해 1879년에 결성되었다. 이들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제정 타도와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회주의를 목표로 내걸었으나, 대중적인 지지를 얻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중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황제를 암살하여 대중의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혁명적 봉기를 촉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879년 8월 25일, 인민의 의지당 집행위원회는 알렉산드르 2세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형을 선고했다. 이는 전년도에 차르를 오데사 항구로 운송하는 배를 침몰시키려 했던 전직 토지 및 자유당원 솔로몬 비텐베르크가 처형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같은 해 11월, 크림에서 돌아오는 황제의 전용 열차를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듬해인 1880년 2월에는 겨울 궁전의 식당에서 황제를 폭사시키려 했으나, 폭발 당시 황제가 예상과 달리 식당에 없어 암살은 실패했다. 이 폭발로 경비병과 군인 11명이 사망하고 56명이 부상을 입었다.

1881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


잇따른 암살 시도 이후 러시아 제국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했고, 신변의 위협을 느낀 차르는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극도로 꺼렸다. 당시 한 프랑스 외교관은 차르를 "불쌍하고, 늙고, 지쳐 있으며, 매 단어마다 천식성 기침으로 질식하는" 유령과 같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차르는 러시아-터키 전쟁의 영웅인 미하일 로리스-멜리코프를 책임자로 임명하여 국가 질서 및 공공 평화 유지를 위한 최고위원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위원회 설립 불과 일주일 후, 한 인민의 의지당원이 권총으로 로리스-멜리코프를 암살하려다 실패했고, 암살 미수범은 이틀 뒤 교수형에 처해졌다. 정부의 탄압은 더욱 강화되어, 다음 달에는 키예프에서 혁명 선언문을 배포한 인민의 의지당 활동가 두 명이 처형당했다.

결국 1881년 3월 13일(구력 3월 1일), 소피아 페로프스카야의 지휘 아래 인민의 의지당은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다. 이 암살에는 키발치치가 개발한 수류탄(폭탄)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황산을 이용한 낙하 충격식 신관을 가진 수제 폭탄이었다. 이 사건은 인민의 의지당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했음을 보여주었지만, 차르 체제를 무너뜨리지는 못했다. 그러나 황제의 암살은 러시아 정부에 큰 충격을 주었고, 알렉산드르 3세의 공식 대관식은 보안 문제로 인해 2년 이상 연기될 정도였다.

암살 직후인 3월 10일, 인민의 의지당은 알렉산드르 3세에게 공개장을 보내 정치적 자유 보장, 대사면령, 제헌 의회 소집을 조건으로 테러 활동 중단을 제안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대대적인 탄압에 나섰으며, 주요 조직원들이 체포되었다. 4월에는 황제 암살 사건의 주모자로 지목된 페로프스카야를 포함한 5명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후 인민의 의지당의 세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6년 뒤인 1887년 3월 1일, 알렉산드르 울리야노프 (블라디미르 레닌의 형) 등이 알렉산드르 3세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 이 사건을 계기로 조직은 사실상 완전히 괴멸되었다.

4. 이념과 영향

인민의 의지당은 제정 러시아 타도와 농촌 공동체 기반의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삼았으나, 테러리즘을 혁명의 주요 수단으로 채택했다. 이들은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지만, 결국 정부의 강경 탄압으로 와해되었다. 비록 조직은 단명했지만, 이들의 테러리즘 전략은 후대 러시아 및 여러 국가의 혁명 운동과 무장 투쟁에 영향을 미쳤다.

4. 1. 이념

인민의 의지당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제정 타도와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내걸었다. 하지만 이러한 급진적인 주장은 당시 러시아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이들은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대중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보았지만, 대중을 혁명으로 이끌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황제를 암살하여 기존의 가치관에 충격을 주고 반란을 촉발시키려 하였다. 이는 혁명 과정에서 테러를 주요 수단으로 삼는 전략으로 이어졌다. 실제로 차르 전용 열차 폭파 시도(1879년), 겨울 궁전 폭파(1880년) 등을 감행했으며, 마침내 1881년 3월 1일 알렉산드르 2세를 암살하는 데 성공했다.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이후, 인민의 의지당은 새로운 황제 알렉산드르 3세에게 공개장을 보내 정치적 자유의 보장, 대사령, 그리고 제헌 의회 소집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테러 활동을 중단하겠다는 조건도 제시했다. 이는 인민의 의지당의 활동이 단순한 파괴 행위를 넘어, 입헌적 질서 수립과 같은 구체적인 정치적 변화를 목표로 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제정 러시아 정부는 이러한 요구를 일축하고 강경한 탄압으로 대응하여 조직 와해를 가속화했다.

4. 2. 영향

인민의 의지당의 테러리즘을 통한 정치적 목적 달성 전략은 이후 러시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혁명가 및 무장 투쟁 조직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의 구체적인 사례로 다음 사건들을 들 수 있다.

5. 관련 인물 및 사건

인민의 의지당은 제정 러시아 말기에 활동한 혁명 조직으로, 여러 주요 인물들이 활동했으며 러시아 황제 암살 시도를 비롯한 중요한 사건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 소피아 페로프스카야, 알렉산드르 울리야노프 등은 이 조직과 관련된 대표적인 인물이며,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성공과 1887년 알렉산드르 3세 암살 미수 사건 등은 조직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이후 러시아 및 다른 국가의 혁명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5. 1. 주요 인물

5. 2. 관련 사건

인민의 의지당은 여러 차례 황제 암살을 시도했다. 1879년 11월 크림에서 돌아오는 황제의 전용 열차를 노렸으나 실패했고, 이듬해에는 겨울 궁전 폭파 사건을 일으켜 5명을 살해했다.

1881년 3월 1일, 소피아 페로프스카야의 지휘 아래 마침내 알렉산드르 2세 암살에 성공했다. 이 암살에는 키발치치가 고안한 수류탄 형태의 폭탄이 사용되었다. 사건 후 3월 10일, 인민의 의지당은 알렉산드르 3세에게 정치적 자유 보장, 대사면, 제헌 의회 소집 등을 요구하는 공개장을 보냈으나,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대대적인 탄압에 나섰다. 결국 주요 조직원들이 체포되었고, 4월에는 페로프스카야를 포함한 암살 관련자 5명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1887년 3월 1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형인 알렉산드르 울리야노프 등이 알렉산드르 3세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 이 사건을 계기로 인민의 의지당 조직은 사실상 괴멸되었다.

인민의 의지당의 활동과 전략은 이후 러시아 및 다른 나라의 혁명 운동과 조직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과 같은 사건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논문 Dangerous Politics, Dangerous Liaisons: Love and Terror among Jewish Women Radicals in Czarist Russia http://www.cairn.inf[...] 2014
[2] 웹사이트 Народовольческий гимн http://narovol.narod[...]
[3] 서적 A Transnational History of Right Wing Terrorism: Political Violence and the Far Right in Eastern and Western Europe since 1900 Routledge 2022
[4] 웹사이트 人民の意志(党) https://kotobank.jp/[...] 2019-06-07
[5] 웹사이트 じんみんのいしは【人民の意志派 Narodnaya volya】 https://kotobank.jp/[...] 2019-06-07
[6] 웹사이트 ナロードニキ https://kotobank.jp/[...] 2019-06-07
[7] 웹사이트 国際社会革命党「プロレタリアート」 https://kotobank.jp/[...] 2019-06-07
[8] 웹사이트 人民の意志 https://kotobank.jp/[...] 2019-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