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에는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다. 기원전 111년 전한이 설치한 일남군의 수부로 추정되며, 2세기 말 린읍의 수도가 후에 근교에 있었다. 16세기에는 꽝남 응우옌씨의 본거지가 되었고, 1802년 응우옌 왕조가 후에를 수도로 정하면서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도 황궁 소재지로 유지되었으나, 1945년 바오다이 황제 퇴위 후 수도는 하노이로 이전되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후에 전투와 후에 대학살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1993년 후에의 건축물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후에에는 다양한 문화 유적과 함께, 분보후에, 껌헨 등 독특한 음식 문화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에 - 푸쑤언
푸쑤언은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투아티엔후에 성의 지역으로, 응우옌 영주 시대에는 중부 및 남부 베트남의 수도였으며, 응우옌 왕조 성립 후에는 후에 황궁으로 재건되어 베트남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확립한 상징적 공간이다. - 트어티엔후에성 - 흐엉투이
흐엉투이현은 베트남 꽝찌성 남부에 위치하며 푸바이 국제공항이 있는 곳으로, 2,400m 활주로와 연간 15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는 여객 터미널을 운영하며 국내선 항공편을 운항하고 2014년에는 새로운 터미널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 트어티엔후에성 - 흐엉짜
흐엉짜는 여러 사(社)와 방(坊)으로 구성된 지역으로, 동다사, 떠이짜사, 남짜사, 박짜사 등의 사(社)와 짜이쩌우 방, 호아이떠이 방, 호아이다이 방, 떤미 방, 떤린 방, 응우옌짜이 방, 꽝쭝 방, 쯔엉쑤언 방, 빈흥 방 등 여러 개의 방(坊)으로 나뉜다. - 베트남의 옛 수도 - 꾸이년
꾸이년은 11세기부터 참파 문화의 영향을 받아 번영했으며, 19세기 후반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상업 및 관광 중심지로서, 푸깟 공항과 티나이 항을 통해 항공 및 해상 교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베트남의 옛 수도 - 메린현
하노이 북서부에 위치한 메린현은 홍강 북안에 자리 잡고, 과거 미령현으로 불렸으며 쯩 자매의 반란과 관련 있고, 빈푹 성에서 하노이로 편입되었으며, 현재 시진과 사로 구성된 행정 구역을 가지고, 노이바이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교통 요충지이자 광민 공업 단지를 중심으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후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후에 시 |
다른 이름 | 푸쑤언 |
별칭 | 낭만의 도시, 축제의 도시 |
국가 | 베트남 |
지역 | 중북부 해안 |
행정 구역 종류 | 직할시 (1급 도시) |
면적 | 4947.11km² |
해발고도 | 15m |
인구 (2024년) | 1,366,500명 |
인구 밀도 | auto |
ISO 코드 | VN-26 |
기후 | Am |
우편 번호 | 53 |
웹사이트 | www.huecity.gov.vn |
로마자 표기법 | Huế |
경제 | |
연도 | 2023 |
총액 | 38억 달러 |
1인당 | 8,900달러 |
행정 | |
한국어 | |
공식 명칭 | 후에시 |
기타 | |
프랑스어 | Hué |
베트남어 | Thành phố Huế |
한자 | 城舖化 |
다른 이름 | 順化 |
발음 |
2. 역사
기원전 111년 전한이 설치한 일남군의 중심지가 현재 후에 근교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0] 또한 2세기 말 건국된 참파의 초기 국가인 린읍(林邑)의 수도 칸다푸르푸라(Kandapurpuravie) 역시 후에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52] 린읍 시기 후에는 인도차이나 반도 내륙의 물품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중요한 항구 역할을 했다.[61] 중국 사료에 등장하는 참파의 지명 ‘오려’(烏麗) 또는 ‘오리’(烏里)는 후에 지역으로 비정되며,[62] 이곳에는 많은 참족이 거주했다.[50] 제씨(制氏), 반씨(潘氏)와 같은 참족 명문가들은 후에가 킨족화된 이후에도 지역 유력 가문으로서 지위를 유지했다.[50] 후에에서 가장 오래된 유적은 4세기 림압 왕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수도였던 칸다르파푸라 유적은 현재 도시 서쪽 롱토 언덕에 위치한다. 근처의 또 다른 참파 유적인 화쩌우(Hoa Chau)는 9세기 유적으로 추정된다.
1306년, 참파의 왕 쩨만(Chế Mân)은 쩐 왕조의 공주 후옌쩐(Huyền Trân)과의 결혼을 조건으로 오(Ô)와 리(Lý) 두 지역을 대월(당시 쩐 왕조)에 할양했다.[5] 쩐 안종 황제는 이를 받아들이고 두 지역을 각각 투언(Thuận)과 호아(Hóa) 지역으로 개칭했으며, 이 둘을 합쳐 투언호아(Thuận Hóa)라고 불렀다.[5][6] 1401년부터 1402년 사이에는 호 왕조가 홍강 삼각주 지역 주민들을 화주(후에)로 이주시켰다.[51] 1407년 호 왕조를 멸망시킨 명나라가 베트남을 지배하자, 쩐 왕조의 후예들은 후에 지역 토호들의 지원을 받아 1413년까지 명나라에 저항했다.[63] 1558년 응우옌 호앙이 이곳에 들어올 무렵에는 후에 지역 주민의 킨족화가 거의 완료된 상태였다.[50]
15세기 말까지 후에는 대월과 참파 사이 국경 도시에 불과했으나,[64] 16세기 정응우옌 전쟁이 시작되면서 꽝난 응우옌씨(廣南阮氏)의 본거지가 되었다. 응우옌 호앙은 정씨 가문의 정검(Trịnh Kiểm)으로부터 투언호아 지역 통치권을 얻어 남하했고,[8] 이후 그의 후계자들과 함께 이 지역을 응우옌 가문의 세력 기반으로 삼아 정씨에게 대항했다.[9][10] 응우옌 가문은 투언호아 북쪽의 투아티엔후에성을 근거지로 삼았고,[11] 1687년 응우옌 푹 쩐 통치 시기에는 후에(당시 푸쑤언(Phú Xuânvie))에 성채 건설이 시작되었다.[11][12][13] 이후 후에는 응우옌 왕조의 수도로서 발전하게 된다.
2. 1. 응우옌 왕조의 수도
16세기부터 시작된 정-응우옌 전쟁 시대에 후에는 꽝난 응우옌씨(廣南阮氏)의 본거지가 되었고, 1636년에는 부춘(Phú Xuân|푸쑤언vie) 도성이 완성되었다.[65] 꽝난 응우옌씨 시대의 푸쑤언은 남중국해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했다.[65] 1687년 응우옌 영주 응우옌푹쩐의 통치 기간 동안 푸쑤언에 성채 건설이 시작되었으며,[11][12][13] 이는 응우옌 가문의 강력한 상징이 되었다.[11] 1744년 응우옌푹콰트이 자신을 보왕(武王)으로 선포하면서 푸쑤언은 공식적으로 중남부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다.[11]떠이선당의 난 시기에는 1774년 정 왕조 군대가, 1786년에는 떠이선 왕조의 응우옌후에가 푸쑤언을 점령했다.[66] 푸쑤언을 본거지로 삼은 응우옌 후에는 북평왕(北平王)을 자칭하며 꽝빈성에서 하이반령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했다.[66]
1802년, 응우옌 왕조의 창시자 응우옌 아인(阮福映, 후일 자롱 황제)이 베트남 전역을 통일하고 푸쑤언을 제압하여 응우옌 왕조의 수도로 삼았다.[11][20] 이로써 후에는 1945년까지 베트남 전체의 수도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자롱 황제는 보방 양식을 기반으로 한 별 모양의 성곽을 가진 황성 건설을 계획했으며,[50] 1805년 자딘(嘉定)에 있던 태화전(太和殿)을 후에로 옮겨와 황성 건설을 시작했다.[67] 응우옌 왕조 시대의 후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경족 문화에 참족 문화를 받아들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68]





제2대 황제 민망(재위 1820-1841)은 프랑스의 간섭에 반대하고 엄격한 유교적 정통성을 강조한 통치자로 알려져 있다. 제4대 황제 뜨득(재위 1847-1883)은 응우옌 왕조의 정사 『대남실록』 편찬을 주도했으며, 현재 남아있는 시내의 왕궁과 교외의 황제릉 대부분은 뜨득 황제 재위 기간에 정비되었다.
1883년 후에는 프랑스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곳에서 불평등 조약인 1883년 후에 조약과 1884년 후에 조약(파트노트르 조약)이 체결되어 베트남은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기 동안 후에는 안남 보호령의 수도였으며, 응우옌 왕조의 황제는 명목상으로나마 제2차 세계 대전 말기까지 후에의 황궁에 거주했다.[50]
1945년 8월 혁명 이후,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保大帝)가 8월 24일 퇴위를 선언하고 후에를 떠나면서 응우옌 왕조는 멸망했다. 수도는 하노이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부로 넘어갔다.[21] 1949년 바오다이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베트남국의 수반으로 복귀를 시도했으나, 국민적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새로운 수도는 사이공(현 호찌민시)에 두었다.[22]
베트남 전쟁 당시 후에는 남북 베트남의 군사 분계선에 가까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1968년 구정 대공세 중 벌어진 후에 전투에서 시가지는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미군의 폭격으로 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파괴되었으며,[70] 북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한 후에 학살이 자행되기도 했다.[71]
1975년 전쟁 종결 후, 통일 베트남 정부는 한동안 응우옌 왕조를 "봉건적", "반동적"으로 규정하며 후에의 역사 유적들을 방치했다. 그러나 도이머이 정책 이후 이러한 입장은 변화하여, 도시의 많은 역사적 지역들이 복원되었고, 후에는 베트남 중부의 중요한 관광 및 교통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위상 변화를 반영하여, 후에는 2025년 베트남의 여섯 번째 중앙 직할시로 승격될 예정이다.[23]

2. 2. 베트남 전쟁과 피해
베트남 전쟁 당시, 후에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경계에 매우 가까운 남베트남 영토에 위치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이 시기 후에는 전쟁으로 인한 큰 시련을 겪었다.1963년, 응오딘지엠 정권의 민주화 및 불교 탄압에 항의하여 티엔무사의 틱꽝득을 비롯한 승려들이 분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9]
1968년 구정 대공세(테트 공세) 중, 1월 31일부터 2월 24일까지 후에에서는 치열한 후에 전투가 벌어졌다.[70] 이 전투로 도시는 막대한 물리적 피해를 입었을 뿐만 아니라, 그 명성에도 큰 손상을 입었다. 전투 과정에서 미군은 북베트남군이 점령한 역사적 건물에 폭격을 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유서 깊은 건축물과 유적이 파괴되었다. 또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병사들에 의해 약 2,800명의 관료, 경찰, 교사, 학생 등이 살해되는 후에 대학살이 자행되기도 했다.[71]
1975년 전쟁이 끝난 후, 승리한 베트남 공산당 정권은 응우옌 왕조를 "봉건적", "반동적"으로 규정하는 이념 때문에 한동안 후에의 많은 역사 유적들을 방치했다. 그러나 도이머이 정책이 채택되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바뀌었고, 도시의 많은 역사적 지역들이 복원되고 있다. 현재 후에는 중부 베트남의 중요한 관광 및 교통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3. 지리
후에는 베트남 중부의 흐엉강 하구 근처에 자리하고 있으며, 남중국해와 가깝다. 수도 하노이에서 남쪽으로 약 700km, 베트남 최대 도시인 호찌민시에서 북쪽으로 약 1100km 거리에 위치해 있다.[50] 다낭에서는 북쪽으로 105km, 푸바이 국제공항에서는 14km, 짠머이 항에서는 50km 떨어져 있다. 역사적으로 베트남 북부와 남부를 나누는 문화적 경계선 역할을 하기도 했다.
행정적으로 후에 시는 북쪽으로 꽝디엔현과 남중국해, 남쪽과 동쪽으로 흐엉뜨이 시, 동쪽으로 푸방현, 서쪽으로 흐엉짜 시와 접한다. 2012년 기준 자연 면적은 71.68km2이고 인구는 344,581명이었으나, 2021년 행정 구역 확장 이후 시의 총 면적은 265.99km2, 인구는 652,572명(미등록 거주자 포함)으로 증가했다.
지형적으로는 안남 산맥(장선 산맥) 인근, 흐엉강과 보강 하류의 평야 지역에 위치한다. 평균 해발 고도는 3m에서 4m 정도로 낮은 편이다.
3. 1. 기후
후에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라 열대 몬순 기후(Am)의 특징을 보인다.[149][25] 건기는 2월부터 8월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최고 기온이 35°C에서 40°C에 이르는 고온이 기록된다.[149][25] 우기는 8월부터 1월까지 이어지며, 특히 10월은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시기이다.[149][25] 우기의 평균 기온은 20°C 정도이며, 때때로 9.5°C까지 떨어지기도 한다.[25] 3월과 4월의 강수량이 60mm 미만이기 때문에 열대 우림 기후에는 미치지 못하며, 봄은 1월부터 2월 말까지 지속된다.[25][149]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24년 4월 27일의 42.2°C이며, 최저 기온 기록은 1934년 1월의 8.8°C이다.[25]후에는 해발 15m 높이에 위치하며, 남중국해에 면한 해안에서 약 16km 떨어진 내륙에 자리 잡고 있다.[50] 도시 뒤편으로는 안남산맥의 지맥이 둘러싸고 있으며, 도시는 구릉으로 둘러싸인 충적 평야 위에 세워져 있다.[55]
도시 중앙으로는 Hương Giang|흐엉장vi(한자: 香江, 후에강)이 흐르고, 북쪽에는 Sông Bồ|송보vi(한자: 蒲江)가 흐른다. 후에는 후에강을 사이에 두고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로 나뉘며, 장띠엔 다리(베트남어: Trường Tiền, 한자: 長錢橋), 푸쑤언 다리(베트남어: Phú Xuân, 한자: 富春橋) 등의 다리가 두 지역을 연결한다. 9월부터 11월까지의 우기에는 후에강이 자주 범람하여 신시가지 주택의 1층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56] 과거 1820년에는 구시가지를 둘러싼 성벽이, 1904년에는 장띠엔 다리가 홍수로 유실된 기록이 있다.[57] 후에 교외에는 숙박 시설을 갖춘 온천이 여러 곳 있다.[58][5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온도 °C | 24°C | 23°C | 24°C | 26°C | 28°C | 30°C | 30°C | 30°C | 29°C | 28°C | 27°C | 25°C | 27°C |
4. 행정 구역
후에는 총 27개의 방(坊, Phườngvi)으로 구성된 행정 단위를 가지고 있다. 각 방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한글명 | 베트남어명 | 한자명 |
---|---|---|
안꾸 | An Cựu | 安舊 |
안동 | An Đông | 安東 |
안호아 | An Hoà | 安和 |
안떠이 | An Tây | 安西 |
흐엉롱 | Hương Long | 香龍 |
흐엉서 | Hương Sơ | 香初 |
낌롱 | Kim Long | 金龍 |
푸빈 | Phú Bình | 富平 |
푸캇 | Phú Cát | 富吉 |
푸흐우 | Phú Hậu | 富厚 |
푸히엡 | Phú Hiệp | 富協 |
푸호아 | Phú Hòa | 富和 |
푸호이 | Phú Hội | 富会 |
푸누언 | Phú Nhuận | 富潤 |
푸투언 | Phú Thuận | 富順 |
프윽빈 | Phước Vĩnh | 福永 |
프엉둑 | Phường Đúc | 坊德 |
떠이록 | Tây Lộc | 西祿 |
투언화 | Thuận Hoà | 順和 |
투언록 | Thuận Lộc | 順祿 |
투언타인 | Thuận Thành | 順城 |
투이비에우 | Thuỷ Biều | 水瓢 |
투이쑤언 | Thuỷ Xuân | 水春 |
쩡안 | Trường An | 長安 |
빈닌 | Vĩnh Ninh | 永寧 |
비이자 | Vĩ Dạ | 葦野 |
쑤언푸 | Xuân Phú | 春富 |
또한 후에는 2개의 도시 지역(투언호아 현(Thuận Hóavi), 푸쑤언 현(Phú Xuânvi)), 3개의 시(퐁디엔 현(Phong Điềnvi), 흐엉짜(Hương Tràvi), 흐엉투이(Hương Thủyvi)), 4개의 농촌 지역(푸록 현(Phú Lộcvi), 푸방 현(Phú Vangvi), 꽝디엔 현(Quảng Điềnvi), 아루이 현(A Lướivi))을 포함한다.
후에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5. 문화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후에는 약 150년(1802년~1945년) 동안 베트남의 수도였으며,[29] 왕실의 생활 방식과 관습은 후에 사람들의 특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 영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남아있다.
역사적으로 왕실이 중시하는 가치는 작명 관습에 반영되었고, 이는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일반적으로 왕족들은 응우옌 왕조의 두 번째 황제인 민망(明命)이 지은 시를 따라 이름을 지었다. "제계시(Đế hệ thi)"라는 시[30]는 왕실 모든 세대의 이름을 짓는 표준 틀로 사용되어, 사람들은 이를 통해 가족 내 서열뿐만 아니라 왕족 구성원 간의 관계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 더 중요하게는, 이름 자체가 왕조가 후손들에게 기대했던 필수적인 인격 특성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작명 전통은 자랑스럽게 이어져, 오늘날 후에 왕족의 후예들(일반적으로 '순수한' 후에 사람으로 간주됨)은 여전히 그 시에 나오는 단어를 사용하여 이름을 짓고 있다.
왕실에서는 불교, 도교, 유교 등 다양한 종교를 존중했다. 가장 중요한 제례 장소는 남쟈오 제단(Esplanade of Sacrifice to the Heaven and Earth)으로, 이곳에서 황제는 매년 하늘과 땅에 제사를 올렸다.
후에는 베트남 다른 지역보다 불교의 영향력이 강했으며,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승려들이 거주하는 사원이 다른 어떤 지역보다 많았다. 1963년, 승려 틱꽝득(Thích Quảng Đức)은 남베트남 정부의 불교 탄압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후에에서 사이공(현 호찌민 시)으로 이동하여 거리에서 분신했다. 이 사건을 담은 사진은 베트남 전쟁을 상징하는 기억에 남는 이미지 중 하나가 되었다.[38]
후에 출신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선(Zen) 불교 승려인 틱낫한(Thích Nhất Hạnh)은 프랑스와 미국 등지에서 수년간 망명 생활을 하다가 2018년 10월 고향으로 돌아와, 2022년 입적할 때까지 쯔 히에우 사원(Từ Hiếu Pagoda)에 머물렀다.[39]
5. 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후에의 유서 깊은 유적들은 199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40] 등재 명칭은 '후에 기념물 복합지구'(Complex of Hué Monuments|콩플렉스 드 모뉘망 드 후에프랑스어)이며, "도시 계획과 방어 기능을 갖춘 수도의 좋은 예이자, 19세기 초 베트남 봉건 왕조의 권력을 상징한다"는 점이 등재 이유로 인정받았다.[89][124]
세계유산의 핵심은 응우옌 왕조의 중심지였던 후에 황궁(Kinh thành Huếvi)이다. 흐엉강 북쪽에 자리한 황궁은 높이 5m의 성벽과 해자로 둘러싸인 거대한 요새(시터들) 구조를 하고 있다.[152] 성벽은 한 변이 2.2km, 높이 6.6m, 너비 21m에 달하며, 해자에 채울 물은 흐엉강에서 끌어왔다.[67] 성벽 안쪽에는 약 2.5km의 방어선을 갖춘 왕궁이 있었다. 황궁 내부는 다시 성벽으로 둘러싸인 자금성(Tử Cấm thànhvi)이 있었는데, 이는 중국 자금성을 본떠 만든 것으로 황제와 후궁, 측근들만 출입할 수 있는 금지된 구역이었다. 허가 없이 이곳에 들어가는 것은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중죄였다.[152] 황궁의 건축물들은 중국식 건축 양식을 기본으로 바로크 양식과 베트남 전통 양식이 결합된 독특한 모습을 보여준다.[77] 황궁의 정문인 오문(午門) 역시 베이징 자금성의 오문을 본뜬 것이며,[65][92] 오문을 지나면 정치의 중심이었던 태화전(太和殿)이 나타난다. 태화전 서쪽에는 역대 황제와 황후의 위패를 모신 현림각(顯臨閣)이 있다.[94]


후에 외곽, 흐엉강 상류의 구릉 지대에는 응우옌 왕조 역대 황제들의 능묘가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황릉은 다음과 같다.
- 민망 황제릉: 생전에 건설 계획이 세워졌으며 자연 지형을 활용한 구조와 화려한 장식으로 유명하다.[98][99] 초승달 모양의 인공 호수와 공덕비, 문무석 및 동물 석상 등이 조성되어 있다.[153]
- 뜨득 황제릉: 원래 황제의 별장으로 설계된 중국식 건축물로, 사후에 묘소로 개축되었다. 부지 중앙에 큰 호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카이딘 황제릉: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릉으로 1931년 완성되었다.[153] 베트남 전통 양식과 유럽의 바로크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101] 콘크리트 석상과 자기, 유리 조각으로 장식된 내부 벽면, 금박을 입힌 황제의 등신상이 인상적이다.[153][102]
- 자롱 황제릉: 다른 황릉과 달리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린 구성이며, 현재는 다소 황폐한 상태이다.[80][102][103]
- 소치 황제릉: 황제의 뜻에 따라 담장 없이 작게 조성되었다.[78]
이 외에도 후에에서 가장 큰 사원이자 도시의 공식 상징인 티엔무 사원( Chùa Thiên Mụvi)이 유명하다.[41] 사원 경내에는 높이 약 21m의 복연탑(Phước Duyên thápvi)이 있고, 본당 뒤편에는 1963년 남베트남 정부의 불교 탄압 정책에 항의하며 분신한 틱꽝득 승려가 사용했던 오스틴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다.[106][107] 또한 후에 궁전 박물관(Hue Museum of Royal Fine Arts)에서는 응우옌 왕조 시절의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155]
후에의 유적들은 19세기 프랑스군의 공격과 20세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심각한 파괴를 겪었다.[116] 특히 1968년 테트 공세 당시 벌어진 후에 전투에서는 미국군의 폭격 등으로 황궁 건물의 약 80%가 소실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65][116] 전쟁 후 들어선 베트남 공산당 정권은 한때 응우옌 왕조를 '봉건적', '반동적'으로 규정하며 유적들을 방치하기도 했다.[116] 그러나 1980년대 도이머이 정책 추진과 함께 역사 유적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1993년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본격적인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유네스코와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으로[123] 황궁 오문(午門) 등 주요 건축물들이 복원되었으며, 현재도 지속적인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후에는 베트남 중부의 중요한 관광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5. 2. 수상 가옥
후에(Huế)의 흐엉강에는 지붕이 있는 작은 배에서 평생을 보내는 수상생활자들이 많이 살고 있다.[128] 한 배에는 5명에서 10명의 가족이 살며, 본채 역할을 하는 배 외에 어업과 운송에 사용하는 작은 배를 갖추고 있다.[128] 수상생활자들은 강의 중요한 지점에 모여 작은 마을을 형성하며, 그 모습은 "만(萬)의 나룻배"라고 불리기도 한다.[128] 전통적으로 수상생활자들은 나무로 만든 배를 사용해왔지만, 최근에는 엔진과 조명용 배터리를 도입하는 등 기계화도 이루어지고 있다.[128] 또한, 관광객을 위해 과거 황제가 타던 용선(龍船)과 봉선(鳳船) 모양의 배를 만들어 배 위에서 전통 음악 연주를 제공하며 생계를 잇기도 한다.후에 시 당국은 수상생활자들의 정신 생활과 문화 생활 향상을 이유로 이들의 육상 이주를 추진하고 있다.[128]
5. 3. 음식

후에의 음식은 베트남 전역에서 가져온 재료를 활용하며,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채식주의가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인다. 시내 곳곳에는 완전 채식 식당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불교 신앙의 영향으로 한 달에 두 번 채식을 하는 지역 주민들의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156] 남주회관은 이러한 전통적인 식당 중 하나이다.
후에 요리는 고추를 많이 사용하여 매우 매운 맛을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156][36][133] 이러한 매운 맛의 특징은 후에 지역의 원주민이었던 참 족이 향신료를 즐겨 사용했던 식문화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157][135] 또한, 음식을 작은 접시에 담아내거나 한입 크기로 만드는 등 적은 양을 정교하게 담아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36] 쌀가루를 쪄서 만든 요리가 많다.[134]
후에 요리는 과거 응우옌 왕조 시대 궁중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당시 왕실에서는 매우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음식을 즐겼으며,[37] 현재에도 이러한 궁중 요리를 재현하여 풀코스로 제공하는 레스토랑이 있다.[136][137] 궁중에서 발전한 요리법이 관리들을 통해 민간으로 전해지면서 후에의 대중적인 요리가 발전했다고 알려져 있다.[137][138] 하지만 한정된 식비와 재료 때문에 일반 서민들의 식탁은 궁중 요리와 달리 비교적 간소하게 차려졌다.[136]
이처럼 후에 요리는 화려한 궁중 요리, 서민적인 대중 요리, 그리고 승려들이 먹는 사찰 음식(채식 요리)의 세 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138] 지리적으로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덕분에 후에의 시장에는 북부와 남부 베트남 요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식재료가 모여든다.[139]
후에의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 이름 | 설명 |
---|---|
분보후에 | 후에를 대표하는 매운 쌀국수 요리. |
껌헨 | 어린 조개 또는 바구니 조개를 주재료로 한 국물 덮밥. 보통 상온에서 제공되며, 후에에서 유래했다.[136] |
반베오 | 쌀가루와 타피오카 가루 반죽을 작은 접시에 쪄낸 떡 요리. 위에 절인 말린 새우, 바삭한 돼지 껍질, 파 기름 등을 얹어 느억맘(어장) 소스에 찍어 먹는다. 길거리 음식으로 흔히 볼 수 있으며, 점심이나 저녁 식사로 즐겨 먹는다.[136] |
반엇뜨 뜨억 느엉 | 얇게 찐 쌀 팬케이크에 구운 돼지고기와 신선한 채소(베트남 박하, 바질, 상추, 오이 등)를 싸서 소스에 찍어 먹는 요리. 킴롱-후에 지역의 유명 음식이다. |
반콰이 | 반쎄오와 유사한 후에식 팬케이크. 쌀가루 반죽에 계란, 새우, 돼지고기 등을 넣고 튀겨내며, 돼지 간이 들어간 특유의 땅콩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상추, 민트 등 다양한 허브와 곁들여 먹는다. |
반벗록 |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피에 새우와 돼지고기 소를 넣고 찐 만두. 바나나잎에 싸서 찌거나 그대로 찐 형태로 제공된다. 응우옌 왕조 시대 후에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달콤하고 매콤한 스위트 칠리 피쉬 소스와 함께 먹는다. |
반잇람 | 중부 베트남의 특산 음식으로, 위에는 쫄깃한 찹쌀 경단(반잇)을, 아래에는 바삭하게 튀긴 찹쌀떡(반람)을 함께 내는 요리이다. |
껌센 | 궁중 요리의 하나로, 연꽃 씨앗을 넣고 찐 밥이다.[136] |
짜조 | 튀긴 스프링롤. 궁중 요리에서는 한입 크기로 작게 만들어 파인애플 등에 꽂아 장식적으로 내기도 한다.[136] |
이 외에도 반베오나 Bánh nậm|반남vie과 같이 물에 풀어 찐 쌀가루를 이용한 요리에는 고추를 많이 넣은 매콤한 양념장을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136]
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달콤한 디저트(체)로도 유명하다. 연꽃씨를 이용한 단팥죽, 여주 속에 연꽃씨를 채워 만든 단팥죽, 빈랑나무 꽃 향을 더한 단팥죽, 카사바 가루 속에 구운 돼지고기를 넣은 독특한 단팥죽, 녹색 찹쌀 단팥죽 등이 있다. 후에의 명물 과자로는 녹두 앙금을 찹쌀떡으로 감싼 Bánh phu thê|반푸테eng(부부떡)와 바이닛덴이 있으며, 코스 요리의 디저트로 자주 등장한다.[140]
5. 4. 음악
옛 응우옌 왕조의 궁에서는 나냑(아악의 베트남어 발음)과 같은 궁중 음악이 연주되었으나, 제정이 폐지되자 그 전통은 한때 끊어졌다.[129] 이후 후에의 여러 건축물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1994년부터 유네스코 주도로 후에 지역의 무형 문화재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1994년 후에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는 소수의 후계자들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후에 궁중 음악과 제례 전통의 중요성이 여러 나라 연구자들에 의해 강조되었다.[130] 일본 음악학 연구자들의 도움을 받아 후에 예술 대학에 궁중 음악 전공 과정이 설치되었고, 이를 통해 후계자 양성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03년에는 나냑(아악), 주반(Chầu văn) (여신 제례 음악), 뜨엉(Hát tuồng) (전통 무용)을 포함하는 ‘후에 궁정 아악(Nhã nhạc cung đình Huế|냐냑 꿍딘 후에vi)’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131] 또한, 궁중 음악인 나냑을 바탕으로 카후에(Ca Huế|까 후에vi, 후에의 노래)나 댄후에(Dàn Huế|단 후에vi, 후에의 연주)와 같은 다양한 지역 음악 레퍼토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132]
5. 5. 의류
베트남의 전통 의상으로 널리 알려진 아오자이와 베트남 삿갓인 논라는 후에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28] 1828년에는 베트남 전역의 의복 통일을 위해 아오자이가 표준 의복으로 제정되기도 하였다.[128]현대 베트남의 전통 의상인 아오자이의 디자인은 18세기 응우옌푹코앗(Nguyễn Phúc Khoát) 영주의 의복 개혁 이후, Đàng Trong 지역 주민들이 입던 옷에서 발전하였다. 당시 궁정 사관은 복식 규칙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 평상복의 경우 남녀 모두 짧은 소매에 깃이 선 의복을 착용하는데, 소매의 크기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겨드랑이 아래로는 양쪽이 봉합되어 있어 어디에도 트임이 없습니다. 다만 남자의 경우, 작업의 편의를 위해 둥근 깃과 좁은 소매의 옷을 입는 것이 허용됩니다.
''Đại Nam thực lục''[31]
이 의복은 19세기와 20세기 초 베트남에서 유행했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 오꾸떤(áo ngũ thân)으로 발전하였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응우옌 캇 튀엉(Nguyễn Cát Tường)과 하노이 대학 소속 다른 예술가들이 파리 패션의 영향을 받아 오꾸떤을 재해석하여 오늘날의 현대적인 아오자이를 만들었다.[32]
아오자이와 논라는 일반적으로 베트남 전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베트남 사람들은 특히 후에를 떠올리게 하는 조합으로 생각한다. 특히 후에는 보라색 아오자이가 유명한데, 이 색상은 과거 수도였던 도시의 역사적 유산과 깊은 관련이 있다.[33][34]
6. 교통
하노이와 호찌민을 잇는 철도와 자동차 도로가 후에를 통과한다.[73]
후에역은 베트남 철도 남북선의 주요 역 중 하나로,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건설되었다. 프랑스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아 베트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차역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역을 통해 베트남의 주요 도시들과 철도로 연결된다.
남쪽 교외에는 후에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이곳에서 하노이와 호찌민으로 가는 직항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56][142]
버스터미널은 목적지에 따라 나뉘어 있다. 구시가지 북쪽에 위치한 푸어벅 버스터미널과 신시가지 남쪽에 위치한 안쿠 버스터미널에서는 주로 북베트남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동바 버스터미널에서는 후에 인근의 가까운 도시나 마을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7. 자매 도시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Nghị quyết 1264/NQ-UBTVQH14 2021 điều chỉnh địa giới hành chính cấp huyện Thừa Thiên Huế
https://thuvienphapl[...]
2023-05-04
[2]
웹사이트
TelluBase—Viet Nam Fact Sheet
https://tellusant.co[...]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2024-07-31
[3]
웹사이트
Complex of Hué Monuments
https://whc.unesco.o[...]
2020-11-28
[4]
웹사이트
Hue set to achieve federal city status by 2025 - VnExpress International
https://e.vnexpress.[...]
2020-11-28
[5]
서적
undefined
[6]
서적
undefined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서적
undefined
[11]
서적
undefined
[12]
서적
undefined
[13]
서적
The Reinvention of Distinction: Modernity and the Middle Class in Urban Vietnam
ARI – Springer Asia Series
[14]
서적
Việt Nam: Borderless Histories
[15]
서적
The Tây Sơn Uprising: Society and Rebellion in Eighteenth-century Vietnam
[16]
서적
undefined
[17]
서적
undefined
[18]
서적
undefined
[19]
서적
undefined
[20]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1]
서적
Vietnam, Cambodia & Laos
Footprint Travel Guides
[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Harcourt
[23]
뉴스
Hình hài TP Huế trực thuộc trung ương năm 2025
https://vnexpress.ne[...]
2024-11-12
[24]
웹사이트
Vong Canh Hill – Destination for travellers fancy exploring nature
https://www.huesmile[...]
2019-10-18
[25]
서적
Study on Sukhothai: research report
Institute of Asian Cultures, Sophia University
[26]
웹사이트
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
https://datafiles.ch[...]
[27]
웹아카이브
Annual statistics document
https://web.archive.[...]
2022-08-18
[28]
웹사이트
Haiphong Climate Guide
http://www.worldclim[...]
2012-08-09
[29]
서적
700 năm Thuận Hóa-Phú Xuân-Hue
Nhà xuất bản Trẻ
[30]
위키
Minh Mạng
2011-05
[31]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
[32]
웹아카이브
Ao Dai: The National Costume
https://web.archive.[...]
2008-07-05
[33]
뉴스
Xứ Huế Người Huế
http://tuoitre.vn/Va[...]
2011-04-29
[34]
웹아카이브
Ao dai – Hue's piquancy
https://web.archive.[...]
2011-02-04
[35]
뉴스
Xứ Huế Người Huế
http://tuoitre.vn/Va[...]
2011-04-29
[36]
서적
Am Thuc Xu Hue: Hue Cuisine
Vietnam
2006
[37]
웹사이트
Hue – A Panoramic View of the Ancient Capital – Asia Travel Blog
http://asiamarvels.c[...]
2017-11-30
[38]
웹사이트
Hue, Vietnam: Try The Food
http://www.gonomad.c[...]
2007-11
[39]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Returns Home
https://plumvillage.[...]
2018-11-02
[40]
뉴스
Vietnam's eight World Heritage Sites
http://tuoitrenews.v[...]
Tuổi Trẻ News
2014-07-22
[41]
서적
Frommer's South-east Asia
Frommer's
2009
[42]
웹사이트
Hue; Information & Statistics
http://travel-touris[...]
[43]
간행물
Advancing green growth in the tourism sector: The case of Hue, Vietnam
http://cdkn.org/2014[...]
the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Chiang Mai Municipality and the Hue Centr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2014
[44]
간행물
Advancing green growth in the tourism sector: The case of Hue, Vietnam
http://cdkn.org/2014[...]
the Climate and Development Knowledge Network
2014
[45]
웹사이트
OutLine of Hue Central Hospital
http://project.jica.[...]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46]
웹사이트
شهرهای بندر انزلی و هوء در ویتنام خواهر خوانده شدند
http://www.aftabir.c[...]
aftabir
2004-07-19
[47]
웹사이트
Hue, Vietnam
http://www.sister-ci[...]
[48]
웹사이트
Jumelages et coopérations
http://www.blois.fr/[...]
[49]
웹사이트
บ้านพี่เมืองน้อง อยุธยา-เมืองกุม
https://www.bangkokb[...]
bangkokbiznews.com
2013-05-23
[50]
논문
2008
[51]
논문
1999
[52]
논문
1961
[53]
논문
1999
[54]
논문
2002
[55]
논문
1974
[56]
논문
2012
[57]
논문
2002
[58]
논문
2008
[59]
논문
2012
[60]
논문
1999
[61]
논문
1999
[62]
논문
2001
[63]
논문
1999
[64]
논문
1997
[65]
논문
1999
[66]
논문
1999
[67]
논문
1997
[68]
논문
1997
[69]
논문
2011
[70]
논문
1992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新個人旅行
[143]
웹사이트
Hue, Vietnam
http://www.sister-ci[...]
2014-06
[144]
웹사이트
Ville ouverte sur le monde
http://www.ville.que[...]
2014-06
[145]
웹사이트
姉妹都市・友好都市(Sister Cities)
http://www.city.shiz[...]
2014-06
[146]
웹사이트
西条市・フエ市友好都市提携を締結しました! - 西条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sai[...]
2018-10-26
[147]
정부발표
정부령 Decision 2475 / QD-BTTTT
2018-01-01
[148]
정부발표
2017년 개정 새 지역 전화번호
2017
[149]
서적
Study on Sukhothai: research report
Institute of Asian Cultures, 소피아 대학교
[150]
웹인용
베트남 과학기술양성연구소
https://datafiles.ch[...]
[151]
웹사이트
Annual statistics document
https://seadelt.net/[...]
[152]
웹인용
오행산에 올라 `五行`을 헤아려봐!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사
2008-08-02 # 확인날짜
[153]
웹인용
앞의 문서
http://www.hankyung.[...]
[154]
서적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100배 즐기기
랜덤하우스코리아(주)
2006-08-25
[155]
서적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100배 즐기기
랜덤하우스코리아(주)
2006-08-25
[156]
서적
Am Thuc Xu Hue: Hue Cuisine
[157]
서적
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農山漁村文化協会
[158]
웹사이트
شهرهای بندر انزلی و هوء در ویتنام خواهر خوانده شدند
https://web.archive.[...]
aftabir
2017-11-29 # 확인날짜
[159]
웹인용
후에, 베트남
https://web.archive.[...]
2014-03-22
[160]
웹사이트
Jumelages et coopérations
http://www.blois.fr/[...]
2017-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