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교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교복은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규율과 공동체 의식을 상징하며,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50년의 역사를 가진 일본 교복은 메이지 시대에 서양식 복장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남학생은 가쿠란, 여학생은 세일러복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젠더리스 교복의 도입과 함께, 교복 선택제, 남녀 구분 없는 교복 등이 나타나고 있다. 교복은 학교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며, 학생들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사회적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복 - 체육복
    체육복은 학교 체육 활동 시 활동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의복으로, 일본에서 군사적 색채를 띠고 시작되어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학교별 디자인 규정과 사회적 문제점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교복 - 학생모
    학생모는 세계 각국 학생들이 착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자로, 각 국가와 대학별 고유한 디자인과 상징을 담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한때 학생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착용이 줄어들고 있다.
  • 일본의 교육 - 국민학교
    국민학교는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초등 교육 기관으로, 일제강점기 황국신민화 교육의 일환으로 쇼와 국가주의적 색채가 강하게 반영되었으나,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1995년 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
  • 일본의 교육 - 방송대학학원
    방송대학학원은 1981년 방송대학학원법에 따라 설립된 일본의 특수법인으로, 교육 방송 계획이 1983년 방송대학 개설로 이어졌고, 2018년 지상파 방송 종료 후 BS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2003년 학교법인으로 재편되어 문부과학성과 총무성의 공동 관리를 받는다.
  • 일본의 의상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일본의 의상 - 세일러복
    세일러복은 19세기 영국 해군 갑판복에서 유래하여 아동복, 여성 패션, 교복 등으로 유행했으며, 큰 칼라와 넥타이가 특징이고, 일본 대중문화에서 젊음과 여성 청소년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일본 교복
개요
일본 학생 유니폼
일본 학생 유니폼
유형학교 지정 유니폼
일반 명칭세이후쿠 (制服)
주요 착용 장소일본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착용 시기학교 행사 및 수업 시간
관련 문화코스프레, 패션
디자인
일반적인 상의블레이저
가쿠란
세일러복
셔츠
니트
스웨터
일반적인 하의스커트
바지
일반적인 액세서리리본
넥타이
양말
신발
가방
역사
기원메이지 시대 후기 서양식 군복에서 영감을 받음
초기 채택 학교후쿠오카 여자 학원 (19세기 말)
전국적인 확산다이쇼 시대에 걸쳐 일반화됨
문화적 중요성
상징소속감, 단결, 사회적 지위
패션 아이템독특한 스타일로 발전, 코스프레 및 패션에 영향
사회적 의미학생의 정체성 형성
학교 규율 강화
취업 활동 시 공식적인 복장으로 활용
현대의 변화
다양성 증가성 중립적인 유니폼 디자인 도입 증가
편안함 추구기능성 소재 및 디자인 개선 노력
논란 및 비판
획일성개성 표현 제한에 대한 비판
비용 부담가계 경제적 부담 증가
성 상품화일부 유니폼 디자인의 성적인 대상화 논란
기타
관련 용어세일러복
가쿠란
코스프레
갸루

2. 역사

일본의 교복은 1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1949년의 학생들, 와 교복 모자를 착용하고 있다

  • 근대 초기 (메이지 시대 - 쇼와 시대 초기): 메이지 시대에 서양식 복장을 본뜬 교복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여학생들이 기모노와 하카마일본어를 입었으나, 시모다 우타코와 같은 복장 개혁가의 노력으로 하카마일본어가 여학생 교복의 표준이 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남학생들이 가쿠란일본어을 입기 시작했고, 1920년대에는 세라후쿠일본어라 불리는 해군 제복 스타일이 유행했다.

  • 전후 (쇼와 시대 중기): 1940년에는 남학생은 국민복, 여학생은 몸빼일본어 차림이 표준이 되었다.[35] 1950년에는 깃 세움 옷과 세일러복이 다시 등장했다.[35] 전후, 외화 절약과 합성 섬유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으로 1954년부터 1955년까지 통상산업성을 중심으로 '합성 섬유 학생복 수요 촉진의 구체적인 방책 검토' 회의가 개최되었고, 정부는 합성 섬유 학생복의 수요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 1960년대 - 1970년대: 1960년대 후반, 블레이저 교복이 등장했다.[35] 1970년대 후반에는 변형 학생복이 유행했다.[35]

  •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는 스케반일본어 갱들이 교복을 개조하면서 학교들이 블레이저나 스웨터 조끼 스타일의 교복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 블레이저에 타탄 체크 스커트 교복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35] 1990년대에는 DC 브랜드에 의한 디자이너 교복이 화제가 되었다.[35] 1990년대 중반에는 힙합 바지나 루즈 삭스 등, 교복을 흐트러뜨려 입는 패션이 유행했다.[35]

  •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중반부터 차분한 디자인의 기능적인 교복이 선호되었고, 2010년대에는 디자인의 다양성이 더욱 풍부해졌다.[35] 교복은 패션의 일부로 자리 잡았으며, 일본 국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18년, 도쿄 긴자의 주오구립 다이메이 초등학교는 아르마니가 디자인한 고가의 표준복을 도입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45][46]

2. 1. 근대 초기 (메이지 시대 - 쇼와 시대 초기)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 학생들이 교복을 착용해야 한다. 일본의 교복은 1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처음에는 학생들이 학교에 갈 때 평상복을 입었다. 여학생은 기모노를, 남학생은 하카마일본어를 입었다. 메이지 시대에 학생들은 서양식 복장을 본뜬 교복을 입기 시작했다.[2]

1880년대 초, 여학생들은 서양식 복장을 입었지만 실용적이지 않았다.[3] 여성 운동가이자 교육자인 시모다 우타코(1854–1936)는 코르셋이 여성의 건강에 해롭다고 생각했다.[5] 그녀는 일본 황실 시녀 복장인 하카마일본어를 개조하여 자신의 학교 교복을 만들었다. 메이지 시대(1868–1912)와 다이쇼 시대(1912–1926) 동안 다른 여자 학교들도 하카마일본어를 채택했다.[5] 이것은 일본 고등학교의 표준 복장이 되었고,[3] 많은 여성들이 대학교 졸업식에도 여전히 입고 있다.

1917년의 과 모자


다이쇼 시대에 남학생들은 가쿠란일본어(검은색 바지와 스탠드 칼라에 금색 단추 5개가 달린 튜닉, 게타)을 입기 시작했다. 신발을 제외하고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입고 있다.[2]

이후, 세라후쿠일본어라고 불리는 유럽/미국 스타일의 해군 제복이 유행했고, 192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재봉이 비교적 쉬워서 국내에서 쉽게 채택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군대 스타일의 남학생 제복과 여학생의 세일러 복이 전통적인 복장이었다. 그 후 많은 학교들이 서양식 가톨릭 제복 스타일을 채택했다.[2]

1879년(메이지 12년), 가쿠슈인에서 깃을 세운 교복이 채용되었다.[35] 1886년(메이지 19년), 제국대학에서 금색 단추가 달린 깃을 세운 교복이 채용되었다.[36] 메이지 30년대에는 여학생들이 짙은 갈색의 치마 형태의 하카마를 착용하는 것이 정착되었다.[36] 1920년(다이쇼 9년), 헤이안 여학원(현: 헤이안 여학원)에서 세일러복이 채용되었다.[35]

2. 2. 전후 (쇼와 시대 중기)

쓰구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1945년)


1940년(쇼와 15년)에는 남학생은 국민복, 여학생은 몸빼 차림이 표준이 되었다.[35] 1950년(쇼와 25년)에는 깃 세움 옷과 세일러복이 다시 등장했다.[35]

전후, 외화 절약과 합성 섬유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으로, 1954년부터 1955년까지 통상산업성을 중심으로 '합성 섬유 학생복 수요 촉진의 구체적인 방책 검토' 회의가 개최되었고, 정부는 합성 섬유 학생복의 수요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도레이(Toray)는 합성 섬유 학생복이 마진도 높고 수요 예측도 용이하여 수익성이 높은 안정적인 제품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도입 초기에는 중학교에서 교복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학부모, 노동조합, 양복점 등의 반대가 강하여, 일부 학교에서는 교복을 표준복 또는 권장복으로 정하기도 했다.[37] 학생복을 취급하는 톤보(Tombow)도 도레이가 대량 생산되는 합성 섬유 소재의 용도 개발을 본격화했을 때 초등학생의 통학복에 주력하면서 업계에 진출했다.[38]

2. 3. 1960년대 - 1970년대

1960년대 후반, 블레이저 교복이 등장했다.[35] 1970년대 후반에는 변형 학생복이 유행했다.[35]

2. 4. 1980년대 - 1990년대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다수는 학생들이 교복을 착용하도록 요구한다. 일본의 교복은 젊음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 사이에 규율과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져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다이쇼 시대에 남학생들은 가쿠란일본어(검은색 바지와 스탠드 칼라에 금색 단추 5개가 달린 튜닉, 그리고 게타)을 입기 시작했다. 신발을 제외하고는 이것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입고 있다.[2]

이후 일본어로 세라후쿠일본어라고 불리는 유럽/미국 스타일의 해군 제복이 유행했고, 192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유럽 왕족 출신 아이들이 입는 축소된 선원복에서 따온 것이었으며, 20세기 초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미국 여성 세일러 드레스에서 영감을 얻었다. 재봉이 비교적 쉬워서 국내에서 쉽게 채택되었다. 중고등학교 교복에 대해 말하자면, 전통적인 복장은 메이지 시대에 군대 스타일의 남학생 제복과 여학생의 세일러 복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많은 학교들이 보다 서양식 패턴의 가톨릭 제복 스타일을 채택했다.[2] 소녀들은 넥타이가 달린 흰색 블라우스, 학교 문장이 있는 블레이저, 스커트를 입기 시작했다. 소년들도 넥타이가 달린 흰색 셔츠, 블레이저, 맞춤 바지를 입었다. 일본 학교에는 성별 구분된 탈의실이 없으므로 교실 교복에서 운동복으로 갈아입기가 매우 어렵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실 교복 안에 운동복을 입는다.

가쿠란일본어과 세일러 스타일의 드레스는 공식적인 외관과 개념으로서의 존재 때문에 항상 일본의 "성장하는 현대" 문화의 일부였다. 구식 교과서에서는 교복이 유럽 제복이 아닌 일본 제국 육군 제복을 기반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교복의 측면은 기존의 일본식 재봉 스타일과 유사하며 칼라는 직선으로 되어 있었다. 1950년대까지 일본의 많은 가정 경제 수업에서는 세일러 복을 재봉하는 것을 과제로 내주었다. 소녀들은 지역 사회의 어린 아이들을 위해 세일러 복을 만들었다.

1980년대에 스케반일본어 갱들이 교복의 스커트를 길게 하고 상의를 짧게 하는 식으로 교복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학교들은 이 효과에 대처하기 위해 블레이저 또는 스웨터 조끼 스타일의 교복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일본 중학교의 50%와 고등학교의 20%가 세일러 복 교복을 사용한다. 아사히 신문일본어은 2012년에 "세일러 복은 '소년들에게 어필하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모습에서 '소녀들이 스스로 입고 싶어하는' 교복으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1980년대 중반, 사립 여자 고등학교 등에서 블레이저에 타탄 체크 스커트의 교복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35] 1990년대에는 DC 브랜드에 의한 디자이너 교복이 화제가 되었다.[35] 1990년대 중반에는 힙합 바지나 루즈 삭스 등, 교복을 흐트러뜨려 입는 패션이 유행했다.[35]

1985년에 "오냥코 클럽"이 "세일러복을 벗기지 마"라는 곡으로 데뷔한 이후, 1992년에 결성된 "교복 향상 위원회"나 AKB48 그룹, 노기자카46을 중심으로 교복을 본뜬 교복 의상이 대규모 아이돌 그룹의 의상으로 사용되었다.[39]

1990년대에는 여고생들의 사용한 교복이나 속옷을 판매하는 불법 성인물 샵이 급증, 내용도 심화되어 사회 문제화되었다.[40] 1990년대 후반에는 나가노현의 중학교에서 재생 페트 소재의 교복이 채용되는 등, 환경을 고려한 교복도 등장하게 되었다.[35]

2. 5.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중반부터는 차분한 디자인으로 기능적인 교복이 선호되었고, 2010년대에는 디자인의 다양성이 더욱 풍부해졌다.[35]

교복이 패션화된 배경에는, 교복은 기본 부분을 부모가 구입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리본 등의 소품이나 색상 조합을 바꾸는 것으로 멋을 낼 수 있고, 용돈 범위 내에서 소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 등 사복보다 저렴하게 멋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41]

최근 일본에서 이러한 교복의 패션화는 일본 국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프랑스의 잡지 『Japan LifeStyle』에서는 "일본 여고생의 교복은 자유의 상징"이라는 파리 소녀들의 의견을 언급했고,[42] 2009년 Japan Expo에서는 교복 패션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43] 태국의 패션 잡지에는 항상 교복 특집이 실리고 있으며,[44] 2009년 3월 방콕에서는 교복 패션 이벤트 "카와이이・페스타"가 개최되는 등 그 주목도를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4월, 도쿄 긴자에 있는 주오구립 다이메이 초등학교는 이탈리아의 고급 브랜드 "아르마니"(Armani)가 디자인을 감수한 표준복을 도입했다. 공립학교 교복 가격이 한 벌에 90000JPY에 달해 논란이 되었고, 국회 심의와 민간 및 경찰의 경비 소동으로 이어졌다.[45][46]

3. 종류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 학생들이 교복을 착용해야 한다. 일본 교복은 1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젊음을 상징하고 학생들 사이에 규율과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원래 학생들은 평상복으로 학교에 다녔다. 여학생들은 기모노를, 남학생들은 하카마를 입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학생들은 서양식 복장을 본뜬 교복을 입기 시작했다.[2] 1880년대에는 여학생들이 서양식 복장을 입기도 했지만, 실용적이지는 않았다.[3] 시모다 우타코(1854–1936)는 여성 운동가이자 교육자, 복장 개혁가로, 전통적인 기모노가 여성의 움직임과 신체 활동을 제한한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코르셋 또한 여성의 건강에 해롭다고 믿었다.[5] 시모다 우타코는 쇼켄 황후의 시녀로 일하면서 하카마를 개조하여 자신의 학교 교복을 만들었다.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걸쳐 다른 여자 학교들도 하카마를 채택했고, 이는 일본 고등학교의 표준 복장이 되었다.[5]

다이쇼 시대에는 남학생들이 가쿠란(검은색 바지와 스탠드 칼라에 금색 단추 5개가 달린 튜닉, 게타)을 입기 시작했다. 신발을 제외한 가쿠란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착용되고 있다.[2]

이후 1920년에 유럽/미국 스타일의 해군 제복인 세라복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교복은 유럽 왕족 출신 아이들이 입는 선원복과 20세기 초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세일러 드레스에서 영감을 얻었다. 재봉이 쉬워 일본에서 쉽게 채택되었다.[2]

메이지 시대에는 군대 스타일의 남학생 제복과 여학생의 세일러복이 전통적인 교복이었다. 이후 많은 학교들이 서양식 가톨릭 제복 스타일을 채택했다.[2] 여학생들은 넥타이가 달린 흰색 블라우스, 학교 문장이 있는 블레이저, 스커트를 입었고, 남학생들은 넥타이가 달린 흰색 셔츠, 블레이저, 맞춤 바지를 입었다.

일본 학교에는 성별 구분된 탈의실이 없어 교실에서 운동복으로 갈아입기 어려웠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복 안에 운동복을 입었다. 일부 학교에서는 헤어스타일과 신발에도 엄격한 규정을 두었다.

1980년대에는 스케반 갱들이 교복의 스커트를 길게 하고 상의를 짧게 하는 식으로 교복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학교들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블레이저나 스웨터 조끼 스타일의 교복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일본 중학교의 50%와 고등학교의 20%가 세일러복 교복을 사용한다.

일본 학생들은 야외에서 신는 신발을 벗고 실내화인 우와바키를 신어야 한다.


일본 중고등학교 교복은 전통적으로 남학생은 가쿠란, 여학생은 세라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교복은 메이지 시대의 군복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유럽 스타일의 해군 제복을 본떠 만들어졌다. 세일러복은 1920년에서 1930년 사이에 시모다 우타코가 디자인한 하카마를 대체했다.[6]

많은 학교에서 서양식 가톨릭 학교 교복 스타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스타일의 교복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복은 남학생의 경우 흰색 셔츠, 넥타이, 학교 문장이 있는 블레이저, 맞춤 바지(블레이저와 같은 색상이 아닌 경우가 많음)로 구성되며, 여학생의 경우 흰색 블라우스, 넥타이, 학교 문장이 있는 블레이저, 타탄 킬트 또는 치마로 구성된다.

학교마다 학생들에게 어떤 종류의 교복을 배정하든, 모든 학교에는 하복(보통 남학생의 경우 흰색 드레스 셔츠와 교복 바지)과 체육 활동복(연중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트랙 수트와 여름 활동을 위한 티셔츠와 반바지)이 있다.

학생들은 교복을 부적절하게 착용하거나, 헐렁한 양말이나 배지와 같은 금지된 요소를 추가하여 교복 시스템을 훼손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여학생들은 치마를 줄이거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위를 감싸거나, 영구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남학생들은 바지를 엉덩이 부근에 걸치거나, 넥타이를 생략하거나, 셔츠 단추를 풀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교복을 지정하는 학교는 98.4%이며, 거의 모든 학교에서 교복이 지정되어 있다.

오사카부립 이즈오 고등학교의 교복. 2003년부터 남녀 모두 블레이저 교복을 채택했다.


SCTHS 유니폼


남학생용 교복은 가쿠란 또는 블레이저, 여학생용 교복은 여자 통학복으로 대별된다. 학교 교복 전체를 "학생복", 초등학생용은 "학동복"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성별에 관계없이 교복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 도입이 촉진되고 있다.[19][20][21][22][23][24][25] 여학생 교복 제도로는 바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치 단체 외에도, 신청하면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26] 반면에, 교복을 남학생용과 여학생용으로 구분하지 않고 선택제로 하여, 남학생이 스커트를 착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도 존재한다.[27]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남학생 교복은 가쿠란이 76.6%, 블레이저가 23.1%이며, 여학생 교복은 세라복이 54.6%, 블레이저가 35.8%, 이튼 재킷이 9.3%였다.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 이후에는, 교복 자유화(교복 선택제)나 남녀 구분을 묻지 않는 "젠더리스 교복"이 도입되는 등, 교복의 다양화가 진행되었다.

3. 1. 남학생 교복

가쿠란(学ラン일본어)과 츠메에리(詰襟일본어)는 일본의 많은 중학교 및 고등학생의 교복이다. 색상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짙은 파란색을 사용한다.

상의는 위에서 아래로 단추를 채우는 스탠딩 칼라 형태이다. 단추는 일반적으로 학교를 나타내는 학교 문장으로 장식된다. 바지는 일자형이며 검은색 또는 어두운 색상의 벨트를 착용한다. 남학생들은 보통 이 교복에 페니 로퍼 또는 운동화를 신는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교나 학년을 나타내는 목장식을 착용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96]

전통적으로 가쿠란은 일치하는(보통 검은색) 학생모와 함께 착용했지만, 이 관습은 현대에는 덜 일반적이다.

가쿠란은 프로이센 제복 상의에서 파생되었다. 이 용어는 "공부"를 의미하는 가쿠(学)와 네덜란드 또는 역사적으로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서양을 의미하는 란(蘭)의 조합이다. 따라서 가쿠란은 "학생을 위한 서양식 옷(교복)"으로 번역된다.[9]

가쿠란의 소재는 주로 울이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혼합이며, 윗도리 전체에 안감을 대거나 등에 안감을 대지 않고 만들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하복으로 목화나 레이온 등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전에는 순모(純毛) 능직물이 대부분이었지만, 현재는 가시도트 기구의 세세한 방직이 많아지고 있으며, 여름용 바지에는 평직(平織)한 천이 사용되기도 한다. 기성 변형 교복의 상당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단추는 보통 다섯 개이지만, 일곱 개나 또는 지퍼로 된 형태도 있다. 소매 단추는 두 개가 기본이지만, 한 개나 세 개, 또는 단추가 없는 것을 표준으로 하는 학교도 있다. 소맷부리나 호주머니 등에 스티치나 주름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 단추는 금색이 많지만, 학교에 따라서는 은색이나 흑색을 사용하기도 하고, 학교 엠블럼 등 독자적인 장식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공립 중학교 일부에서는 벚꽃 모양 단추를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차이나 교복 형태의 남학생 교복은 가쿠란(学ラン)이라 불린다. 가쿠란의 란은 화란타(和蘭陀, 네덜란드)의 란을 가리키며, 에도 시대에 양복을 난복(蘭服)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즉, 차이나 교복(중국식 스타일의 옷, 지금의 일본 교복)에 대한 란복(서양 옷)으로, 난학(蘭学)처럼 쇄국 중에 화란타(네덜란드)가 서양을 대표하는 이름이 되었다. 그 후 은어로서 살아남았다가 1975년대에 만화에서 가쿠란이라고 칭하면서 다시 세상에 퍼져 일반적인 호칭이 되었다. 1980년대 전반 무렵에는 가쿠란이 초란(長ラン) 등 변형된 교복을 가리키는 한정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차이나식 교복 전체를 가리킨다.

현재 가쿠란의 원형은 1886년에 도쿄 대학 학생들을 위해 처음 만들어졌다. 대한민국1949년 이전 중국에서도 일제강점기 동안 학교에 도입되었다. 오늘날에도 한국의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가쿠란을 착용하고 있다.

가쿠란은 오늘날 대부분의 중학교와 소수의 고등학교 남학생 교복으로만 사용되지만, 블레이저는 일본 대부분의 고등학교(공립 및 사립)에서 채택되기 시작했다.

3. 2. 여학생 교복

セーラー服|세라후쿠|세일러복일본어는 여자 중학생들이 흔히 착용하는 교복 스타일이며, 전통적으로는 고등학생, 드물게는 초등학생도 착용한다. 1920년 헤이안 여학원 대학교[97], 1921년 후쿠오카 조가쿠인 대학교 총장[98] 엘리자베스 리에 의해 교복으로 도입되었다. 엘리자베스 리가 영국에서 교환학생으로 경험했던 당시 영국 왕립해군이 사용하던 제복을 모델로 한 것이다.

세일러복을 입은 일본 여학생 그룹


남자 교복인 가쿠란일본어과 마찬가지로 세일러복은 다양한 군복 스타일의 해군 복장과 비슷하다. 제복은 일반적으로 세일러 스타일의 칼라가 달린 블라우스와 주름 치마로 구성된다. 여름과 겨울에는 계절적 변화가 있으며, 소매 길이와 직물은 그에 따라 조정된다. 리본이 앞쪽에 묶여 블라우스에 부착된 고리를 통해 끈으로 묶여 있다. 리본의 여러 변형에는 넥타이, 볼로타이, 스카프가 포함된다. 일반적인 색상에는 남색, 흰색, 회색, 연두색, 검은색이 있다.

신발, 양말 및 기타 액세서리는 때때로 교복의 일부로 포함된다. 양말은 일반적으로 남색 또는 흰색이다. 신발은 일반적으로 갈색 또는 검은색 페니 로퍼다. 규정된 교복의 일부는 아니지만, 루즈삭스, 무릎 길이 스타킹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다리 덮개도 세일러복을 입은 여학생들과 함께 착용하기도 한다.

오늘날의 세일러복은 일반적으로 중학교와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블레이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3. 3. 젠더리스 교복

레이와 시대가 되자 LGBT의 영향으로 다양성을 고려한 "젠더리스 교복" 채용이 진행되었다.[47]

일본에서 학교 교복은 역사적으로 성별에 따라 남학생은 바지, 여학생은 치마를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도쿄도 나카노구의 공립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성별에 관계없이 교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중학교에서 치마를 입고 싶지 않아 동급생 여학생들에게 교복에 대한 의견을 물었던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의 동급생들도 교복 선택의 자유를 원했다. 이 학생은 설문 조사 결과를 나카노 구청장에게 전달했고, 구내 모든 공립 중학교 교장들이 이 제안에 동의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교복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12]

여학생의 바지 착용을 허용하는 학교는 1997년 4곳에서 2019년 600곳으로 증가했으며,[13] 2022 회계연도에는 400곳이 넘는 학교가 성별 구분 없는 교복을 채택했다.[14] 다리 보온과 자전거 타기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젠더리스 교복과 여학생의 바지 착용은 여학생들의 지지를 많이 받았다.[15] 젠더리스 교복 결정은 성 소수자 학생들도 고려한 것이다.[13]

교복 변화 외에도 학교는 가방 및 수업 외 활동복에도 변화를 주었다. 2022년에는 일부 고등학교에서 성별 구분 없는 수영복이 도입되었으며, 일본 전역의 더 많은 학교로 빠르게 확산되었다.[16] 성별 구분 없는 수영복은 햇볕으로부터의 보호 필요성에서 시작하여, 더 많은 커버리지를 추가하여 신체 형태를 부각하지 않으려는 요구로 점차 발전했다.

여학생 교복 제도로는 바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치 단체 외에도, 신청하면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26] 반면에, 교복을 남학생용과 여학생용으로 구분하지 않고 선택제로 하여, 남학생이 스커트를 착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도 존재한다.[27]

4. 구조 (가쿠란, 세일러복 중심)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교복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교복은 메이지 시대 말기에 서양식 복장을 본떠 만들기 시작했다.[2] 남학생 교복은 가쿠란, 여학생 교복은 세일러복이 대표적이다.

가쿠란은 검은색 바탕에 스탠딩 칼라와 금색 단추가 달린 상의와 일자형 바지로 구성되며, 프로이센 군복에서 유래되었다.[96] 세일러복은 세일러 칼라가 달린 블라우스와 주름 치마, 리본 등으로 구성되며, 영국 왕립해군 제복을 모델로 하였다.

가쿠란과 세일러복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단을 참조하기 바란다.

4. 1. 가쿠란

가쿠란(学ラン일본어)은 츠메에리(詰襟일본어)라고도 불리며, 일본의 많은 중학교 및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교복이다. 색상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짙은 파란색을 사용한다.

가쿠란의 상의는 위에서 아래로 단추를 채우는 스탠딩 칼라(standing collar) 형태이다. 단추는 일반적으로 학교를 나타내는 학교 문장으로 장식된다. 바지는 일자 다리이며 검은색 또는 어두운 색상의 벨트를 착용한다. 남학생들은 보통 이 교복에 페니 로퍼 또는 운동화를 신는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교 및/또는 학급을 나타내는 옷깃 핀을 착용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96]

전통적으로 가쿠란은 일치하는 (보통 검은색) 학생모와 함께 착용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관습은 현대에는 덜 일반적이다.

가쿠란은 프로이센의 Waffenrock 또는 기독교 성직자 카소크에서 유래되었다. 이 용어는 "학문" 또는 "학생"을 의미하는 가쿠(学일본어)와 네덜란드 또는 역사적으로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서구를 의미하는 란(蘭일본어)의 조합이다. 따라서 가쿠란은 "학생을 위한 서양식 의류 (교복)"으로 번역된다.[9]

오늘날 가쿠란의 원형은 1873년 모든 학교의 학생들을 위해 처음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대한민국1949년 이전 중국의 학교에도 도입되었다. 오늘날에도 한국의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가쿠란을 착용하고 있다.

가쿠란은 오늘날 대부분의 중학교와 소수의 고등학교 남학생 교복으로만 사용되지만, 블레이저는 일본의 대부분의 고등학교(공립 및 사립)에서 채택되기 시작했다.

소재는 울이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혼합이 주를 이루며, 윗도리 전체에 안감을 대는 것과 등에 안감을 대지 않고 만든 것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하복은 목화나 레이온 등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전에는 순모(純毛)의 능직물이 대부분이었지만, 현재는 가시도트기구의 세세한 방직이 많아지고 있어서 하계용 바지에는 평직(平織)한 천이 사용되기도 한다. 기성복 형태의 변형 교복은 상당수가 폴리에스테르이다.

이전에는 다섯 개의 단추가 일반적이지만, 일곱 개의 단추나 이나 지퍼로 되어 있는 타입도 있다. 소매 단추는 2개가 기본이지만, 1개나 3개, 단추가 없는 것을 표준으로 하는 학교도 있다. 또 소맷부리나 호주머니 등에 스티치나 주름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 단추는 금색이 많지만, 학교에 따라서는 은색이나 흑색이 이용되기도 하고, 학교 엠블럼 등 독자적인 장식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다만, 공립 중학교의 일부에서 벚꽃 모양의 단추로 대신 이용하는 예도 볼 수 있다.

차이나 교복 형태의 남학생 교복은 가쿠란(学ラン)이라 불린다. 가쿠란의 란은 화란타(和蘭陀, 네덜란드)의 란을 가리켜, 에도 시대에 양복을 난복(蘭服일본어)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즉 차이나 교복(중국식 스타일의 옷, 지금에 말하는 일본 교복)에 대해서 란복(서양의 옷)으로 난학 같이 쇄국 중에 화란타(네덜란드)가 서양을 대표하는 이름이 되었다. 그 후 은어로서 살아 나간 후, 1975년대에 만화로 가쿠란이라고 칭한 것에 의해 다시 세상에 퍼져 일반적인 호칭이 되었다. 1980년대 전반 무렵에 가쿠란은 초란(長ラン일본어) 등의 변형된 교복을 가리키는 한정적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하고, 현재는 차이나식 교복 전부를 가리킨다.

4. 2. 세일러복

セーラー服|세라후쿠일본어는 여자 중학생들이 주로 입는 교복 형태로, 전통적으로 고등학생, 때로는 초등학생도 착용한다. 1920년 헤이안여학원[97], 1921년 후쿠오카 조가쿠인 대학[98] 총장 엘리자베스 리가 영국에서 교환학생으로 경험했던 영국 왕립해군 제복을 모델로 하여 도입하였다.

세일러복(1928년경)


남자 교복인 가쿠란과 마찬가지로 세일러복은 군복 스타일의 해군 복장과 비슷하다. 제복은 보통 세일러 칼라가 있는 블라우스와 주름 치마로 구성된다. 여름과 겨울에는 계절에 맞춰 소매 길이와 옷감을 조절한다. 리본은 앞쪽에 묶고 블라우스에 부착된 고리로 연결한다. 리본 대신 넥타이, 볼로타이, 네커치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주로 사용되는 색상은 네이비 블루, 흰색, 회색, 연두색, 검은색이다.

신발, 양말, 기타 액세서리도 교복의 일부로 포함되기도 한다. 양말은 보통 네이비나 흰색이며, 신발은 갈색 또는 검은색 페니 로퍼를 신는다. 규정된 교복은 아니지만, 루즈 삭스, 니하이 스타킹 등도 세일러복과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오늘날 세일러복은 주로 중학교에서 착용하며,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는 블레이저로 교복을 변경하였다.

5. 주요 제조사

일본 교복의 주요 생산지는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코지마 지구이다. 이 지역에는 학생복 제조 회사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일본 내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18] 오카야마현에는 본사를 둔 학생복 제조사들이 많으며, 학생복 제조는 오카야마현의 지방 산업이기도 하다. 공정 거래 조사에 따르면, 대형 4개 사가 교복 시장 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한다.[18]

주요 제조사
간코 학생복(菅公学生服)
톤보 학생복(トンボ学生服)
아카시 스쿨 유니폼 컴퍼니(明石スクールユニフォームカンパニー)(후지 요트 학생복)
타키모토(瀧本)(스쿨 타이거) - 톤보의 자회사
킨파라 (기업)(キンパラ)


6. 문화적 의의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부분은 학생들이 교복을 착용하도록 요구한다. 일본 교복은 젊음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 사이에 규율과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져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되는 의상에 따라 표준에서 독특한 것까지 다양한 종류의 교복이 있다.[2]

ja


일본 교복은 1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원래 학생들은 학교에 갈 때 평상복을 입었다. 여학생은 기모노를, 남학생은 하카마일본어를 입었다. 메이지 시대에 학생들은 서양식 복장을 본뜬 교복을 입기 시작했다.[2]

1980년대에는 스케반일본어 갱들이 교복의 스커트를 길게 하고 상의를 짧게 하는 식으로 교복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학교들은 이 효과에 대처하기 위해 블레이저 또는 스웨터 조끼 스타일의 교복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2]

개별 학생들은 교복을 부적절하게 착용하거나 큰 헐렁한 양말이나 배지와 같은 금지된 요소를 추가하여 교복 시스템을 훼손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여학생들은 치마를 줄이거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위를 감싸거나, 영구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남학생들은 바지를 엉덩이 부근에 걸치거나, 넥타이를 생략하거나, 셔츠 단추를 풀 수 있다.

일본의 학교 교복은 학교에 따라 다양하며, 특정 교복으로 유명한 학교도 있다. 교복은 졸업생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종종 비교적 걱정 없는 젊음과 연관된다. 교복은 개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학생들에 의해 수정되기도 한다. 치마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리본을 제거하거나, 칼라 아래에 패치나 배지를 숨기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수십 년 전에는 밝은 색상의 세일러복 변형이 일본의 양키일본어, 스케반일본어, 그리고 폭주족일본어 바이커 갱단에 의해 채택되기도 했다.[17]

7. 사회적 문제

일본 교복은 학교마다 디자인이 다양하며, 특정 교복으로 유명한 학교도 있다. 졸업생들에게 교복은 젊은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학생들은 교복을 통해 개성을 표현하기도 하는데, 치마 길이를 조절하거나 리본을 제거하고, 옷깃 아래에 패치나 배지를 숨기는 등의 방식이 사용된다. 과거에는 밝은 색상의 세일러복 변형이 양키, 스케반, 폭주족과 같은 비행 청소년 집단에서 착용되기도 했다.[17]

코갸루 패션


교복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 경제적 부담: 2016년 아사히 신문 설문조사에서 교복의 단점으로 "전학이나 성장에 따라 다시 사야 한다"(12.2%)는 점이 지적되었다.[72] 일본 정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 공립 중학교 교복(실내화, 체육복 포함) 한 벌의 평균 가격은 60000JPY이다.[73] 이러한 경제적 부담 때문에 교복을 물려주거나 중고로 거래하는 경우도 있다.
  • 획일성 및 건강 문제: 획일적인 복장은 기온 변화에 대처하기 어렵게 만들고, 여학생의 경우 치마 착용으로 인한 추위로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74] 일부 학교에서는 추운 날씨에도 카디건 등의 착용을 금지하고, 속옷 색깔을 지정하거나 머플러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블랙 교칙'이 존재하여 논란이 되기도 한다.[75][76][77] NHK 보도에 따르면, 여학생에게는 한겨울에도 타이츠 착용을 금지하면서 여성 교사는 바지를 착용하는 경우도 있어, 학생에게만 방한 대책을 금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었다.[78]
  • 피부 문제 및 감각 과민: 교복이나 체육복 소재가 피부에 맞지 않아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거나,[79] 감각 과민으로 인해 교복 착용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도 있다.[68] 효고 교육 대학 오가와 슈지 조교수는 교복 때문에 등교 거부를 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지적한다.[80] 스가코 학생복에서는 감각 과민 학생을 위해 피부에 닿지 않는 디자인, 면 100% 원단, 목을 조이지 않는 디자인의 "상냥한 셔츠"를 개발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81]
  • 학교 밖 문제 발생: 통학 구역 밖에서도 교복 착용을 강제하는 학교가 있으며,[82] 교복으로 인해 학교가 특정되어 학교 밖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한 불만이 학교로 제기되거나 교사의 대응을 요구받는 경우도 있다.[83][84]
  • 기타: 여름철 교복에서 속옷이 비치거나 치마가 짧아 살갗이 보이는 문제로 인해, 2023년 고치현 가미시 고호쿠 중학교에서 학생들의 제안으로 반소매 네이비색 폴로셔츠를 도입하기도 했다.[85]

7. 1. 교복 재도입

도립 고등학교에서는 사복 또는 표준복으로 통학하는 학교도 많았지만, 2005년에 도쿄도립 분쿄 고등학교, 2006년에 도쿄도립 스미다가와 고등학교에서 교복이 부활했다. 매스 미디어 중에는 이를 "관리 교육의 부활"로 보는 논조도 있다.[60]

지바현립 코가네 고등학교는 지바현 내의 공립학교로서는 드물게 1993년부터 사복 통학을 허용하고 있었지만, 지원자가 감소 추세를 보이자 2011년부터 교복을 재도입하기로 결정한 결과, 지원자 수가 증가했다.[61]

홋카이도 후라노 고등학교는 식전 등에서의 복장 불량에 대해 지적을 받아, 2011년부터 교복을 부활시키기로 했다.[62]

7. 2.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코로나19 사태에서 바이러스가 묻은 옷을 세탁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을 배려하여 교복 외 사복 착용을 허용하는 고등학교도 나타났다. 교원에 의한 복장 지도도 없어지고, 교칙과 학교의 방식을 재검토하는 계기로 삼기 위해 현직 교원이 발의한 '교복 또는 사복 자유 선택' 온라인 서명에서는 약 1개월 만에 1만 8천 필 이상이 모였다[63][64].

2020년 6월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휴교 이후 등교 시 세탁 및 감염 대책을 위한 환기에 따른 추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육복이나 사복 등교를 학교에서 허용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교복 존재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제기되었으며, 교복·사복 선택 자유화를 요구하는 현직 고등학교 교원의 온라인 서명 활동도 실시되었다[65][66][67][68][69].

7. 3. 교복 관련 피해/범죄

#WeToo Japan일본어이 2018년 간토 지방에 거주하는 15세부터 49세의 남녀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중학생 때 "몸을 만지는" 피해율은 사복인 경우가 약 30%, 블레이저나 세일러복 등의 교복을 착용한 경우가 약 50%로, 교복을 입었을 때 더 많았다.[86][87] 또한 교복 치마의 길이와 성추행 등의 피해 경험률 사이에는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87]

치마 형태의 교복이 성적 아이콘으로 취급되는 것에 대해, 학교 교복을 긍정하는 남성에 의해 여중고생이 교복으로 인한 범죄 피해를 입는 것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88]

치마 길이를 짧게 하면 도촬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등 방범, 옷 입는 법이나 관리를 포함한 학생들을 위한 옷 교육 강좌를 실시하는 교복 제조 판매 회사도 있다.[89]

교복 종류 등으로 신원이 파악되어 스토킹이나 피해가 발생하거나,[90] 교복에 이름 자수를 새겨넣는 것으로 범죄 피해를 입을 위험성 때문에 이를 재검토하는 학교도 나오고 있다.[91][92] (이름표를 안전핀이나 클립으로 착용하고, 등하굣길에는 떼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7. 4. 교복 업계와의 관계

#WeToo Japan이 2018년 간토 지방에 거주하는 15세부터 49세의 남녀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중학생 때 "몸을 만지는" 피해율은 사복인 경우가 약 30%, 블레이저나 세일러복 등의 교복을 착용한 경우가 약 50%로, 교복을 입었을 때 더 많았다.[86][87] 교복 치마의 길이와 성추행 등의 피해 경험률 사이에는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87]

치마 형태의 교복이 성적 아이콘으로 취급되는 것에 대해, 학교 교복을 긍정하는 남성에 의해 여중고생이 교복으로 인한 범죄 피해를 입는 것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88] 치마 길이를 짧게 하면 도촬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등 방범, 옷 입는 법이나 관리를 포함한 학생들을 위한 옷 교육 강좌를 실시하는 교복 제조 판매 회사도 있다.[89]

교복 종류 등으로 신원이 파악되어 스토킹이나 피해가 발생하거나[90], 교복에 이름 자수를 새겨넣는 것으로 범죄 피해를 입을 위험성 때문에 이를 재검토하는 학교도 나오고 있다.[91][92] 이름표를 안전핀이나 클립으로 착용하고, 등하굣길에는 떼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정 교복 업체를 지정하여 자교의 교복 제조를 의뢰하는 학교의 비율은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21.3%이다.[18] 학교는 교복 업체를 지정하지 않더라도 판매점이 특정 교복 업체의 교복만 취급하기 때문에 사실상 특정 교복 업체가 지정된 상태가 되는 학교도 있다.

교복의 모델 체인지 디자인 공모에서 수주할 수 있다면, 대규모 학교에서는 누계로 억 단위의 매출이 발생하여 큰 비즈니스 기회라는 것을 업체들이 인식하고 있다.[93]

교복은 교육위원회가 아닌 학교장 판단으로 착용이 결정되지만, 공정거래위원회는 2020년 7월에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있는 현립 고등학교 6곳의 교복 판매에 있어서 가격 카르텔을 맺었다는 이유로, 동시의 판매 업체 3사에 대해 독점금지법 위반으로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배제 조치를 명령하는 등 유통에 불투명함이 남아 있는 문제도 있다.[94]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시립 오미야키타 고등학교가 "준 교복"으로 유니클로 제품의 채용 도입을 검토한 것을 계기로, 학생복은 오카야마 지역의 한 대지방 산업이기 때문에 지역 고용을 지키기 위해 저렴한 제품의 도입이나 교복 폐지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으며, 교복 가격은 옛날과 비교하여 상승하고 있지만, 학생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객단가를 올리려는 업계의 의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95]

7. 5. 기타 문제점


  • 2016년 아사히 신문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복의 장점으로는 "가정 형편에 따른 옷차림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320표, 24.1%)이 가장 컸고, 단점으로는 "전학이나 성장으로 다시 사야 한다"(162표, 12.2%), "편안한 옷차림으로 학교생활을 할 수 없다"(200표, 15.0%) 등이 있었다.[72]
  • 교복 구매는 경제적 부담이 크고, 한때 입고 버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같은 학교에 다니는 자녀가 있는 가정에 교복을 물려주거나 중고로 사고파는 경우가 있다. 일본 정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 공립 중학교 600곳의 교복(실내화, 체육복 포함) 한 벌 가격은 평균 60000JPY이다.[73]
  • 획일적인 옷차림은 기온 변화에 대처하기 어렵고, 치마 착용으로 인한 추위로 컨디션이 나빠져 별도 의류 착용을 신청하는 경우가 있다.[74]
  • 추운 날씨나 냉방에도 카디건 등으로 체온 조절을 허용하지 않는 중학교가 있어, 건강 관리 문제나 등교 거부로 이어지기도 한다.[75]
  • 코트 착용이 신청제여서, 한파에도 표준 복장 등교를 강요하는 학교도 있다.[76] 속옷 색깔 지정, 머플러 사용 금지 등의 교칙은 '블랙 교칙'으로 2019년부터 논란이 되었다.[77]
  • NHK 취재에 따르면, 여학생은 드레스 매너에 따라 한겨울에도 타이츠 착용이 금지되지만, 여성 교사는 바지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별구 교육위원회는 학생에게만 방한 대책을 금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밝혔다.[78]
  • 교복이나 체육복 소재가 피부에 맞지 않아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학생도 있다.[79]
  • 감각 과민으로 교복 착용을 힘들어하는 학생도 있다.[68] 효고 교육 대학 조교수 오가와 슈지는 교복 때문에 등교 거부를 하는 아이들이 많다고 지적한다.[80] 스가코 학생복에서는 감각 과민 학생을 위해 피부에 닿지 않는 디자인, 면 100% 원단, 목을 조이지 않는 디자인의 "상냥한 셔츠"를 개발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81]
  • NHK에 따르면, 통학 구역 밖에서도 교복 착용을 강제하는 학교도 있다.[82]
  • 교외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교복으로 학교가 특정되어, 학교에 불만이 제기되거나 교사 대응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83][84]
  • 여름철 교복에서 속옷이 비치거나 치마가 짧아 살갗이 보이는 문제로, 2023년 고치현 가미시 고호쿠 중학교에서 학생들의 제안으로 반소매 네이비색 폴로셔츠를 도입했다.[85]

참조

[1] 웹사이트 Seifuku https://chanceandphy[...] Chance and Physics 2017-08-25
[2] 웹사이트 From Tradition to Today: Japanese School Uniforms https://learnjapanes[...] 2020-12-23
[3] 웹사이트 History of Gakushuin https://www.gakushui[...] The Gakushuin School
[4] 간행물 Shimoda's Program for Japanese and Chinese Women's Education https://docs.lib.pur[...] 2021-07-17
[5] 논문 Finding their Place in the World: Meiji Intellectuals and the Japanese Construction of an East-West Binary, 1868-1912. https://scholarworks[...]
[6] 웹사이트 制服でたどる百年 http://www.hyogo-c.e[...] 2022-01-19
[7] 간행물 Uniforms - The Japanese Fashion Everyone Loves https://hiraganatime[...] 2022-01-19
[8] 웹사이트 15 Countries And Their Typical School Uniforms - Japan Daily https://japandaily.j[...] 2024-08-23
[9] 서적 Homosexuality and manliness in Postwar Japan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11
[10] 웹사이트 女子生徒に洋装制服登場、大正モダン http://www.tombow.gr[...]
[11] 웹사이트 平安女学院(京都)と福岡女学院(福岡)の間で、セーラー服の起源を巡る論争が勃発! http://design9.blog4[...] 2007-10-07
[12] 뉴스 Junior high schoolers in Tokyo's Nakano free to choose skirt or pant uniform from spring https://mainichi.jp/[...] 2023-03-04
[13] 웹사이트 Gender-free uniforms at schools? Yes, it's happening {{!}} The Asahi Shimbun: Breaking News, Japan News and Analysis https://www.asahi.co[...] 2023-03-04
[14] 웹사이트 Record number of schools update their uniforms to be more inclusive {{!}} The Asahi Shimbun: Breaking News, Japan News and Analysis https://www.asahi.co[...] 2023-03-04
[15] 웹사이트 Schools across Japan work on adopting pants as option for all {{!}} The Asahi Shimbun: Breaking News, Japan News and Analysis https://www.asahi.co[...] 2023-03-04
[16] 웹사이트 Genderless uniform trend accelerating in Japan {{!}} Sustainability from Japan https://zenbird.medi[...] 2023-03-04
[17] 간행물 "Sailormoon": Manga (Comics) and Anime (Cartoon) Superheroine Meets Barbie: Global Entertainment Commodity Comes to the United States 1998
[18] 문서 公立中学校における制服の取引実態に関する調査について
[19] 뉴스 2019年10月1日中日新聞朝刊16面 2019-10-01
[20] 웹사이트 大きな世界へ 新たな一歩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20-04-10
[21] 웹사이트 男子はスカートも 戸田市立戸田東中、多様性を認める新制服に切り替えへ 固定観念を捨て、その子の心に寄り添う https://www.saitama-[...] 埼玉新聞 2019-03-23
[22] 웹사이트 制服、性別関係なく選べます 千葉・柏の市立中学校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3-23
[23] 웹사이트 「ズボン」「スカート」選択OK 大津町の小中学校、制服の男女区別廃止へ https://web.archive.[...] 熊本日日新聞 2020-03-23
[24] 웹사이트 LGBTに配慮 制服導入 みやま・4月開校の瀬高小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0-04-10
[25] 웹사이트 半ズボン、スカート選択できる制服 みやま・瀬高小へ 上下着は男女兼用ブレザー LGBTへも配慮 /福岡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4-10
[26] 뉴스 「制服、女子生徒もスラックスOK/公立中学校、広がる選択制 利便性やLGBTに配慮」 日本経済新聞 2019-02-04
[27] 뉴스 日本経済新聞朝刊12版38面(2020年12月8日付)「選べる制服」600公立高に 2020-12-08
[28] 웹사이트 一般の人が学生服を買う方法はあるの?買える制服と買えない制服とは? - 学校制服のお悩み広場 -ユニスチョンー https://seihuku.net/[...] 2024-11-05
[29] 문서 平成の高校生はブレザータイプが主流、制服への満足度高い
[30] 뉴스 北海道新聞 2008-02-14
[31] 웹사이트 https://www.shikoku-[...]
[32] 웹사이트 https://www.kobe-np.[...]
[3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tokiwagi.[...] 2012-07-31
[34] 웹사이트 制服のご案内 幼稚部 幼稚園【FELICE INTERNATIONAL SCHOOL フェリーチェ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スクール】 https://www.felice.e[...]
[35] 웹사이트 学生服・制服の歴史|カンコー博物館 https://kanko-gakuse[...]
[36] 웹사이트 日本の学ぶスタイルの変遷(明治・大正) https://www.tombow.g[...] 2022-01-20
[37] 논문 戦後日本における学校制服の普及過程とその役割 https://doi.org/10.1[...] 日本家政学会 2022-01-23
[38] 웹사이트 ファッション豆知識 #3 学校制服としてのセーラー服の歴史 https://www.tombow.g[...] 株式会社トンボ 2022-01-22
[39] 웹사이트 アイドルの衣装のスタンダード“制服ふう”衣装、いつから始まった!? https://www.excite.c[...] exciteニュース 2022-01-23
[40] 웹사이트 潜在人口多く今後も続発必至/最近のブルセラ事情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1-23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銀座の公立小、制服にアルマーニ 一式揃えて9万円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1-23
[46] 웹사이트 “アルマーニ標準服”の銀座・泰明小で入学式 学校前の道路立ち入り規制 https://web.archive.[...] サンスポ 2022-01-23
[47] 웹사이트 日本の学ぶスタイルの変遷(昭和・平成・令和) https://www.tombow.g[...] 2022-01-23
[48] 뉴스 2020年2月3日中日新聞朝刊1面 中日新聞 2020-02-03
[49] 웹사이트 男女区別のない小学校制服「全国で初めてでは」 来春開校統合小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0-03-25
[50] 뉴스 2020年6月10日中日新聞朝刊16面 中日新聞 2020-06-10
[51] 웹사이트 中学校制服、男子もスカート選択可能に トランスジェンダー配慮、滋賀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2-01-19
[52] 웹사이트 青森県内の中学校で「制服選択制」始まる きっかけは新型コロナ https://www.aba-net.[...] ABAニュース 2022-01-22
[53] 웹사이트 女子御三家・桜蔭中高が制服に「スラックス」を採用した理由とは?「想定外の反響」と校長語る https://dot.asahi.co[...] AERA.dot 2022-01-22
[54] 웹사이트 桜蔭学園制服 https://www.oin.ed.j[...] 桜蔭学園 2020-03-25
[55] 웹사이트 性別問わず制服選択制導入・西諫早中 防寒やLGBTQに配慮 2023年度から https://nordot.app/8[...] 長崎新聞社 2022-02-04
[56] 웹사이트 多様性の時代 変わる制服事情・・・キーワードは「ジェンダーレス」島根県奥出雲町 https://news.yahoo.c[...] 2022-01-25
[57] 웹사이트 「なんで女子はスカートって決まっているの?」スラックスを標準制服にした学校が教えてくれたこと https://www.nhk.or.j[...] NHK 2022-09-20
[58] 웹사이트 僕がスカートをはく理由 https://www3.nhk.or.[...] NHK 2022-10-05
[59] 웹사이트 中学校・高校の先生1,400人に聞いた「男子生徒のスカート制服の着用状況」着用許可の学校は3割未満、着用率は1割程度~調査レポート「カンコーホームルーム」Vol.211「男子生徒のスカート着用状況」~ https://prtimes.jp/m[...] PRTIMES 2023-11-04
[60] 웹사이트 今時の高校生が「制服での管理」に抵抗が薄い訳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 2022-01-22
[61] 웹사이트 「自由過ぎて」私服不人気…千葉県立小金高、制服再導入へ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9-05-23
[62] 뉴스 富良野高制服復活へ 2011年度から 式典などで服装乱れ指摘受け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10-03-25
[63] 웹사이트 制服に「選択の自由」を! コロナが変えた学校生活の“先入観” https://dot.asahi.co[...] AERA.dot 2022-01-22
[64] 웹사이트 「#制服と私服の選択制に賛成します」実際に“自由”を取り入れた学校はどうなったか https://www.jprime.j[...] 週刊女性PRIME 2022-01-22
[65] 웹사이트 制服の自由化 大人が消極的 コロナ禍の校則見直し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22-01-24
[66] 웹사이트 コロナ禍で加速する「学校制服」の自由な選択 家計負担の軽減など費用面でのメリットも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 2022-01-24
[67] 웹사이트 中学制服買っても着ない?感染対策で体操服登校指導 https://www.gifu-np.[...] 岐阜新聞 2022-01-23
[68] 웹사이트 高校の制服、コロナ禍で意識に変化の兆し 岐阜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1-23
[69] 웹사이트 生徒の制服 いる?いらない?ウイルス禍で存在意義揺らぐ https://www.niigata-[...] 新潟日報 2022-01-25
[70] 웹사이트 トンボ学生服 入学式に間に合わず 納品遅れ 東京の公立中171人分 https://web.archive.[...] 山陽新聞 2022-09-20
[71] 웹사이트 入学式前に学生服届かず…謝罪するも「受注の予測“大外れ”した」 https://news.yahoo.c[...] 0テレnews 2022-04-07
[72] 웹사이트 中学校の制服、どう思う?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6-09-27
[73] 뉴스 (eco活プラス)眠る制服、後輩にリレー 専門店増・PTA向けガイド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2-18
[74] 웹사이트 制服のスカートは寒くて困る 女子高校生が勇気を出してスラックスで登校したら https://www.koukouse[...] 高校生新聞 2021-02-10
[75] 웹사이트 「先生はコート着てるのに…」 校則で着用を制限するワケ https://www3.nhk.or.[...] NHK 2021-09-10
[76] 웹사이트 「学校つらい…私がおかしいの?」~不登校の原因は校則でした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1-29
[77] 웹사이트 「下着は白」「マフラー禁止」…ブラック校則、必ずしも「違憲」とはいえない法的ロジック https://biz-journal.[...] Business Journa 2020-01-11
[78] 웹사이트 真冬でも式典ではタイツ禁止!? 学校の“つらい校則”は誰のため? https://www.nhk.or.j[...] NHK 2022-01-24
[79] 웹사이트 学校のアレルギー疾患に対する取り組みガイドライン https://www.gakkohok[...] 財団法人 日本学校保健会
[80] 웹사이트 制服に、誰一人取り残さないワクワクする選択肢を。「ミライの制服プロジェクト」が目指す未来 https://www.sensei-n[...] 先生の学校 2021-11-22
[81] 웹사이트 ご存知ですか?“感覚過敏” 「シャーペンのカチカチ音が」「制服着ると痛い」で不登校も...老舗企業が立ち上がった https://newsdig.tbs.[...] TBS NEWS DEGI 2023-11-03
[82] 웹사이트 その校則、必要ですか?密着!改革の最前線 https://www.nhk.or.j[...] NHK 2021-09-09
[83] 웹사이트 「18時以降、学校、教師は対応しません」についてどう考えるか線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19-07-22
[84] 웹사이트 理不尽な校則 なぜ変わらないのか ――コロナ禍の校則緩和から「学校依存社会」を読み解く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21-01-03
[85] 웹사이트 生徒の提案でポロシャツ制服を導入 シャツや半袖ブラウスは「下着が透ける」「裾が短い」と不満 高知県香美市の香北中 https://www.kochinew[...] 高知新聞PLUS 2023-07-13
[86] 웹사이트 「制服通学」私服より痴漢被害多く ハラスメント調査で明らかに https://www.bengo4.c[...] 弁護士ドットコムニュース 2019-01-21
[87] 뉴스 「痴漢被害は制服に原因」「女性はTwitterで被害」ハラスメント実態調査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Japan 2019-01-22
[88] 웹사이트 [1]痴漢・性犯罪、制服被害を放置する学校 https://webronza.asa[...] 論座 2016-01-25
[89] 웹사이트 「かわいい制服」はなぜ増えた?学校とメーカーの試行錯誤の歴史 https://diamond.jp/a[...] DIAMOND online 2020-11-17
[90] 웹사이트 何気ない投稿から自宅を特定。個人情報流出の危険は中高生が最も高い/『あなたのスマホがとにかく危ない』④ https://ddnavi.com/s[...] ダ・ヴィンチ 2020-03-20
[91] 웹사이트 制服に生徒の名前 沖縄の中学校で定番スタイル、廃止の動き https://www.okinawat[...] 沖縄タイムス 2021-07-13
[92] 웹사이트 学生服にネーム刺しゅう必要? 「不審者に知られる」不安も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0-03-29
[93] 웹사이트 女子高生の「スカート」に映る不変のこだわり たかが制服の着こなし、されど着こなし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 2017-12-18
[94] 웹사이트 学校制服「価格つり上げ」生むいびつな流通構造 愛知で学生服のカルテル、3社に排除措置命令 https://toyokeizai.n[...] 東京経済 2020-07-24
[95] 웹사이트 ユニクロも手掛ける「学生服」事情 安易な廃止は避けるべきだ https://www.news-pos[...] NEWポストセブン 2021-10-31
[96] 서적 Homosexuality and manliness in Postwar Japan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11
[97] 웹사이트 女子生徒に洋装制服登場、大正モダン http://www.tombow.gr[...]
[98] 웹인용 平安女学院(京都)と福岡女学院(福岡)の間で、セーラー服の起源を巡る論争が勃発! http://design9.blog4[...] 2007-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