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개발 상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체 개발 상품(PB 상품)은 소매업체가 자체 상표를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품을 의미한다. 슈퍼마켓의 자체 브랜드 상품이 대표적이며, 가격 경쟁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상품 기획 및 생산은 소매점, 공동 구매 조직, 도매업체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이루어지며, 생산 위탁 또는 자사 생산 방식을 따른다. 자체 개발 상품은 소비자에게는 저렴한 가격과 높은 품질을, 판매자에게는 높은 이윤과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재고 관리 및 품질 문제에 대한 책임이 따른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주요 PB 상품으로는 슈퍼마켓, 편의점, 드럭스토어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판매되는 상품과 자체 개발 신용 카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랜드 경영 - 저작권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 등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서,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국제 조약 및 각국 국내법을 통해 보호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보호와 이용 간 균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브랜드 경영 - 사치품
사치품은 필수재가 아닌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큰 재화 또는 서비스로, 미술사적으로는 화려한 장식과 고가 재료를 사용한 물건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접근 가능한 고급"이라는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여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자체 개발 상품 | |
---|---|
개요 | |
유형 | 마케팅 전략 |
정의 | 제조업체가 아닌 유통업체가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는 상품 |
특징 | |
가격 | 일반적으로 저가 |
품질 | PB 상품 대비 품질이 낮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품질이 향상되어 NB 상품과 동등하거나 더 나은 품질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 |
유통 | 특정 유통 채널에서만 판매 |
장점 | |
유통업체 | 높은 이익 마진 브랜드 이미지 강화 고객 충성도 확보 경쟁 우위 확보 |
제조업체 | 생산량 증대 유통 비용 절감 |
단점 | |
유통업체 | 재고 관리 부담 품질 관리 책임 |
제조업체 | 브랜드 인지도 구축 어려움 유통업체 의존도 심화 |
관련 용어 | |
NB (National Brand) 상품 | 제조업체가 직접 제조 및 판매하는 상품 |
2. 역사
PB 상품은 19세기에 등장했다.[31] 20세기 초까지 PB의 일반적인 초점은 국가 브랜드보다 낮은 가격으로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전반에는 PB의 품질이 저하되고 기준이 떨어지면서, 국가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저렴한 가격이 품질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20세기 후반에는 이러한 추세가 점차 반전되었다.[32] 품질과 시각적 외관이 개선되면서 PB는 1970년대와 80년대에 두각을 나타냈다.[33]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존 브랜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으며,[34] PB의 프리미엄화가 시작되면서 더 비싼 '''프리미엄 PB'''가 등장했다.[36][37]
2. 1. 한국
상품 종류는 식품, 일용품, 의류, 가전 제품 등 다양하지만,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이나 일용품이 많다[64]。1960년경부터 대형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가 자체 개발 상품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내셔널 브랜드 상품에 비해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져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붐이 일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 중반부터로, 원래 세이유의 자체 개발 상품으로 시작된 무인양품의 독립, 가격 파괴의 상징으로 다이에에 의한 「세이빙」 상품 등이 거론되면서 자체 개발 상품이 일정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2006년경부터의 석유와 원자재 가격 급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발단으로 한 경제 위기에 따른 내셔널 브랜드 상품의 가격 상승과, 소비자의 절약 지향이 높아지면서 인기를 끌었고, 「닛케이 트렌디」의 『2008년 히트 상품 베스트 30』에서 1위에 「PB (프라이빗 브랜드)」가, 닛케이 MJ의 『2008년 닛케이 히트 상품 번호』의 서쪽 요코즈나에 자체 개발 상품인 「세븐 프리미엄 (세븐-일레븐)」・「톱밸류(이온 그룹)」이 선정되었다. 2009년 이후, 대형 유통 그룹에서는 매출에서 PB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더욱 높이는 방침이라고 보도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약 3조엔 (2012년 현재)으로 추정된다[64]。
2. 2. 일본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자체 개발 상품은 다이마루가 1959년에 출시한 남성복 브랜드 「트로잔」이며, 식품에 관해서는 다이에가 이듬해 1960년에 출시한 통조림 「다이에 귤」이다[64]。1960년경부터 대형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가 자체 개발 상품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내셔널 브랜드 상품에 비해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져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붐이 일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 중반부터로, 원래 세이유의 자체 개발 상품으로 시작된 「무인양품」의 독립, 가격 파괴의 상징으로 다이에에 의한 「세이빙」 상품 등이 거론되면서 자체 개발 상품이 일정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2006년경부터의 석유와 원자재 가격 급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발단으로 한 경제 위기에 따른 내셔널 브랜드 상품의 가격 상승과, 소비자의 절약 지향이 높아지면서 인기를 끌었고, 「닛케이 트렌디」의 『2008년 히트 상품 베스트 30』에서 1위에 「PB (프라이빗 브랜드)」가, 닛케이 MJ의 『2008년 닛케이 히트 상품 번호』의 서쪽 요코즈나에 자체 개발 상품인 「세븐 프리미엄 (세븐-일레븐)」・「톱밸류(이온 그룹)」이 선정되었다. 2009년 이후, 대형 유통 그룹에서는 매출에서 PB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더욱 높이는 방침이라고 보도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약 3조엔 (2012년 현재)으로 추정된다[64]。
2. 3. 해외 (영어권)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외 (영어권)'에 대한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일본 내 자체 개발 상품(PB)에 대한 역사와 현황을 다루고 있습니다.3. 상품 기획 및 생산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업계에서는 동일한 제품이 서로 다른 포장으로 여러 소매업체에 비독점적으로 판매되는 경우에도(화이트 라벨/브랜드) 거의 항상 ''자체 상표/브랜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PB(Store brand, 자체 개발 상품)'''는 소매업체가 상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체 상표 브랜드이며, '''하우스 브랜드'''[13] 또는 영국 영어에서는 '''자사 브랜드'''라고도 불린다.[14] 이 브랜드는 거의 항상 해당 브랜드를 소유한 체인점에서 독점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드물게 해당 브랜드는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되기도 한다.[15] PB의 예로는 크로거의 Simple Truth, 월마트의 Great Value, 달러 제너럴의 Clover Valley, 타겟의 Market Pantry, 알디의 Specially Selected 등이 있다.[16][17] PB는 트레이더 조의 Joe's O's 시리얼처럼 매장 이름을 따서 명명되기도 한다.[18] PB는 국가 브랜드와 경쟁하며, 이는 프리미엄 브랜드 또는 브랜드명 제품이라고도 불리며[19][20][21], 때로는 브랜드명 제품이라고도 불린다.[22] 예시로는 코카콜라, 레이즈, 켈로그 등이 있다. PB 제품의 일반적인 장점은 브랜드명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1]
PB는 19세기에 등장했다.[31] 20세기 초까지 PB의 일반적인 초점은 국가 브랜드보다 낮은 가격으로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20세기 전반에는 PB의 품질이 저하되고 기준이 떨어졌다. 국가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저렴한 가격이 품질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세기 후반에는 이러한 추세가 점차 반전되었다.[32] 품질과 시각적 외관이 개선되면서 PB는 1970년대와 80년대에 두각을 나타냈다.[33]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존 브랜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34] 또한 1990년대부터 PB의 프리미엄화가 시작되면서 더 비싼 '''프리미엄 PB'''가 등장했다.[36][37] 2024년 영국 식료품 규정 조정자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소매업체에서 자사 제품을 더 많이 도입하고 있으며, 조정자는 이러한 추세가 공급업체의 관리 복잡성을 더한다고 언급했다.[38]
제네릭 브랜드는 종종 PB와 연관된다. 제네릭 제품은 197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여[39][40][41] 국가 브랜드와 PB로부터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다.[42] 1981년의 한 학술 논문에서는 이를 "브랜드명이 없고, 매우 단순한 포장과 라벨이 있으며, 경쟁하는 국가 및 PB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제품으로 묘사했다.[39] 제네릭 제품의 포장에는 종종 "콜라" 또는 "배터리"와 같이 제품 유형의 이름만 적혀 있다.[40] 오늘날에는 ''제네릭 브랜드''와 ''PB''라는 용어가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19][43][44] ''제네릭''이라는 용어는 맛이 없고 저렴하다고 인식되는 PB 제품에 대한 비하적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45][46]
영국에서는 슈퍼마켓이 "가짜 농장" PB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50][51]
상품 종류는 식품, 일용품, 의류, 가전 제품 등 다양하지만,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이나 일용품이 많다.[64]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자체 개발 상품은 다이마루가 1959년에 출시한 남성복 브랜드 「트로잔」이며, 식품에 관해서는 다이에가 이듬해 1960년에 출시한 통조림 「다이에 귤」이다.[64]
1960년경부터 대형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가 자체 개발 상품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내셔널 브랜드 상품에 비해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져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붐이 일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 중반부터로, 원래 세이유의 자체 개발 상품으로 시작된 「무인양품」의 독립, 가격 파괴의 상징으로 다이에에 의한 「세이빙」 상품 등이 거론되면서 자체 개발 상품이 일정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2006년경부터의 석유와 원자재 가격 급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발단으로 한 경제 위기에 따른 내셔널 브랜드 상품의 가격 상승과, 소비자의 절약 지향이 높아지면서 인기를 끌었고, 「닛케이 트렌디」의 『2008년 히트 상품 베스트 30』에서 1위에 「PB (프라이빗 브랜드)」가, 닛케이 MJ의 『2008년 닛케이 히트 상품 번호』의 서쪽 요코즈나에 자체 개발 상품인 「세븐 프리미엄 (세븐-일레븐)」・「톱밸류(이온 그룹)」가 선정되었다. 2009년 이후, 대형 유통 그룹에서는 매출에서 PB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더욱 높이는 방침이라고 보도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약 3조 엔 (2012년 현재)으로 추정된다.[64]
3. 1. 상품 기획
PB 상품은 소매업에서 유래되었지만,[31] 이후 다른 산업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PB 브랜드는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체인에서 관리하는 '''자체 브랜드'''이다. 예로는 크로거의 심플 트루스와 월마트의 그레이트 밸류가 있다.[16] 자체 브랜드는 코카콜라나 레이즈와 같은 국가 브랜드 또는 브랜드 상품과 경쟁한다.[19][20][21]"PB 상품"이라는 용어는 "화이트 라벨 상품"이라는 용어와 중복된다. 이 용어들은 때때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같은 의미는 아니다. PB 상품은 고객만을 위해 제작되며, 고객은 제품 또는 서비스에 포함되어야 하는 특정 요구 사항을 설정한다.[8] 화이트 라벨 상품은 한 회사를 위해 독점적으로 제작되지 않으며, 화이트 라벨 제조업체가 제품에 대한 사용자 정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다.[9] PB 상품의 사양은 고객이 설정하는 반면, 화이트 라벨 상품은 더 일반적이며 이미 설계되어 있다.[10][11]
상품 기획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 내용 |
---|---|
체인 스토어, 생협 등의 소매점 | 소매점 자체적으로 상품을 기획한다. |
CGC, 전일식 체인, 야츠야이 등 여러 체인 스토어에 의한 공동 구매 조직 | 여러 체인 스토어가 공동으로 상품을 구매하고 기획한다. |
고쿠분, 미쓰비시 식품 등 대형 도매업자 | 대형 도매업자가 상품을 기획한다. |
3. 2. 생산
PB 상품은 대부분 제3자가 제조하지만, 일부는 소매업체가 소유한 회사에서 제조한다.[23] 예를 들어, 크로거 부사장은 2018년에 자사 PB 제품의 약 60%를 아웃소싱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40%는 자체적으로 제조한다. 2018년 크로거는 미국 전역에 걸쳐 19개의 낙농장, 10개의 빵집, 2개의 정육점을 포함하여 38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다.[24] 이와 유사하게, 세이프웨이는 2012년 기준으로 32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25]대부분의 소매업체는 공급업체의 신원을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계약에 비공개 조항을 포함하여 PB 제품의 생산자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26][27]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제조업체가 이를 공개적으로 언급할 수 있거나,[28] 제품 리콜을 통해 밝혀지거나, 드물게는 제품 자체에 명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스트코의 Kirkland Signature 커피 봉투에는 "스타벅스가 맞춤 로스팅"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29][30]
PB는 종종 해당 제품의 국가 브랜드를 제조하는 동일한 회사에서 생산된다.[47] 서로 다른 브랜드는 서로 다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킴벌리-클라크는 Huggies 기저귀를 만들 뿐만 아니라 월마트용 저가 버전도 생산한다.[48] 일부 PB 제품은 브랜드명 제품과 동일하다고 한다. 즉, 포장과 가격만 제외하면 말 그대로 동일한 제품이라고 한다.[43] 다른 경우에는 제조업체가 하나의 제품에 대해 여러 가지 공식을 가지고 있어 한 가지 방법으로 PB 버전을 만들고 다른 방법으로 국가 브랜드 버전을 만들 수 있다.[49] 2007년, 오염된 애완동물 사료 제품의 대량 리콜로 인해 프리미엄 브랜드와 PB를 포함하여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애완동물 사료가 실제로 캐나다 온타리오의 Menu Foods Inc.라는 단일 회사에서 생산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들이 사용한 성분과 레시피는 고객이 지정한 내용에 따라 브랜드별로 크게 달랐다.[48]
상품 기획은 체인 스토어, 생협 등의 소매점에 의한 것, CGC, 전일식 체인 등 여러 체인 스토어에 의한 공동 구매 조직에 의한 것, 고쿠분, 미쓰비시 식품 등 대형 도매업자에 의한 것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상품의 생산·공급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வகை | 내용 |
---|---|
생산 위탁 | 자체 기획의 생산 위탁 |
내셔널 브랜드 상품의 OEM 공급 (컨트롤드 레이블) | |
세부 내용 | colspan="2" | |
3. 3. 제조사
대부분의 PB(자체 개발 상품)는 제3자가 제조하지만, 일부는 소매업체가 소유한 회사에서 제조한다.[23] 예를 들어, 크로거 부사장은 2018년에 자사 PB 제품의 약 60%를 아웃소싱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40%는 자체적으로 제조한다. 2018년 크로거는 미국 전역에 걸쳐 19개의 낙농장, 10개의 빵집, 2개의 정육점을 포함하여 38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다.[24] 이와 유사하게, 세이프웨이는 2012년 기준으로 32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25]대부분의 소매업체는 공급업체의 신원을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계약에 비공개 조항을 포함하여 PB 제품의 생산자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26][27]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제조업체가 이를 공개적으로 언급할 수 있거나,[28] 제품 리콜을 통해 밝혀지거나, 드물게는 제품 자체에 명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스트코의 Kirkland Signature 커피 봉투에는 "스타벅스가 맞춤 로스팅"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29][30]
PB는 종종 해당 제품의 내셔널 브랜드를 제조하는 동일한 회사에서 생산된다.[47] 서로 다른 브랜드는 서로 다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킴벌리-클라크는 Huggies 기저귀를 만들 뿐만 아니라 월마트용 저가 버전도 생산한다.[48] 일부 PB 제품은 브랜드명 제품과 동일하다고 한다. 즉, 포장과 가격만 제외하면 말 그대로 동일한 제품이라고 한다.[43] 다른 경우에는 제조업체가 하나의 제품에 대해 여러 가지 공식을 가지고 있어 한 가지 방법으로 PB 버전을 만들고 다른 방법으로 내셔널 브랜드 버전을 만들 수 있다.[49] 2007년, 오염된 애완동물 사료 제품의 대량 리콜로 인해 프리미엄 브랜드와 PB를 포함하여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애완동물 사료가 실제로 캐나다 온타리오의 Menu Foods Inc.라는 단일 회사에서 생산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들이 사용한 성분과 레시피는 고객이 지정한 내용에 따라 브랜드별로 크게 달랐다.[48]
일본의 경우 상품 기획은 체인 스토어, 생협 등의 소매점에 의한 것, CGC, 전일식 체인 등 여러 체인 스토어에 의한 공동 구매 조직에 의한 것, 고쿠분, 미쓰비시 식품 등 대형 도매업자에 의한 것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1980년대까지는 브랜드력이 약한 중소 제조업체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아 품질 면에서 떨어지는 원인 중 하나였으나, 최근에는 대형 유통 그룹과 대형 내셔널 브랜드 제조업체가 공동으로 기획·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 상품에 관한 각종 문의 창구는 판매자(소매점)가 담당하기 때문에, 제조사(메이커)는 원칙적으로 비공개이다. 단, 법령으로 제조사 기재가 의무화된 상품이나, PB의 방침으로 공개하는 경우에는 기재된다. 특히 내용물이 대형 내셔널 브랜드 상품과 동일하거나, 제조사를 알 수 있어 소비자의 안심감·구매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노리고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보존이 가능한 식품의 경우, 애프터 서비스를 고려하여 제조를 담당한 제조사가 문의 창구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2013년 12월 말에 발각된 아크리푸즈 농약 혼입 사건에서는 제조자명 기재가 없는 대상 상품의 회수에 지장을 초래한 것으로, 회수를 요하는 제품이 발생했을 경우의 대처 방법이 문제점으로 현저해졌다.[65] 그 영향으로 2015년 4월 1일부터 식품표시법 시행에 따라, 내셔널 브랜드 상품을 포함하여 '''제조소 고유 기호의 사용은 복수의 공장에서 동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한정'''되며, 하나의 공장에서만 제조하고 있는 제품은 제조자명과 제조 공장의 명칭·주소의 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66]
4. 장점
PB(자체 개발 상품)의 일반적인 장점은 브랜드명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1] 대부분의 PB 제품은 제3자가 제조하지만, 일부는 소매업체가 소유한 회사에서 제조한다.[23]
- '''소비자 측'''
- * 내셔널 브랜드와 거의 동등한 품질의 제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 * 내셔널 브랜드에는 없는 고품질, 부가 가치가 있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 '''판매 측'''
- * 상품의 사양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소매점, 소비자의 의견을 직접 반영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 * 선전·영업 비용이나 도매상이 불필요하므로, 내셔널 브랜드 상품보다 매출 총이익률이 5~10% 정도 높고[64], 판매 가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EDLP」).
- * 원자재, 제조 방법, 사양을 지정함으로써 상품에 독창적인 부가 가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제조사 측'''
- * 일정량의 판매가 확약됨으로써, 비수기에도 공장 가동률을 높여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 * 매출을 안정시킴으로써 제조사의 경영이 안정된다.
- * 내셔널 브랜드의 개발·판매의 토대를 만들 수 있다.
소매업체는 제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므로 자체 개발 상품의 품질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다. 소매업체는 자체 개발 상품이 품질 기준과 고객 기대를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매업체는 자체 개발 상품을 통해 신제품을 출시하고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대응하는 데 더 큰 유연성과 민첩성을 가질 수 있다.[62] 소비자의 선호도에 빠르게 적응하고, 다양한 제품을 시험하며, 새로운 시장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 자체 개발 상품은 브랜드 상품에 비해 소매업체에 더 높은 이윤을 제공하는데, 자체 개발 상품은 소매업체를 위해 직접 제조되므로 중간 브랜드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63]
5. 단점
- 소비자 측
- 내셔널 브랜드와 똑같이 보여도 원자재나 배합 비율, 가공 방법, 내용량을 변경하는 경우가 있어 풍미나 식감에 영향을 미치거나, 품질이 가격에 상응하거나 오히려 비쌀 수 있다.
- 판매점은 자체 개발 상품을 우선적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내셔널 브랜드 상품 취급이 줄어들어 상품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 처음부터 내셔널 브랜드보다 저렴한 상품이 많아 특가 상품이 되기 어렵다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 등의 할인은 제외).
- 판매 측
- 전량 매입이기 때문에 재고가 남아도 반품할 수 없고, 다른 회사에 전매할 수도 없다. 또한 추가 생산 타이밍을 놓치면 장기간 품절될 수 있으므로 항상 재고 리스크가 발생한다.
- 식중독이나 이물질 혼입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제조사를 대신하여 클레임 대응 등의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생산 종료 후의 애프터 서비스도 해야 한다.
- 제조사와의 협상이 결렬되면 생산이 중단되므로 인기 상품이라도 판매를 종료할 수밖에 없으며, 인기 상품일수록 판매점의 이미지 하락을 받기 쉽다.
- 제조사 측
- 병행하여 생산하고 있는 내셔널 브랜드 상품의 매출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 상품에 따라서는 매출 총이익률이 내셔널 브랜드보다 10% 정도 낮아질 수 있다.[64]
- 판매 측에서 지적하는 규격과 오차가 발생할 경우 상품 수령 거부를 당할 수 있다. 특히 식품의 경우 전매는 물론 내용물 재포장도 할 수 없어, 대량의 재고를 떠안거나 그대로 처분해야 하며, 원래 회수할 수 있었던 비용이 들어오지 않아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다.
- 수탁 생산 의존도가 높아지면 내셔널 브랜드의 개발력, 영업력이 저하되고, 공장의 가동률이 발주처의 발주량에 좌우된다.
6. 주요 PB 상품
PB 상품은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체인에서 관리하는 '''자체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크로거의 심플 트루스와 월마트의 그레이트 밸류가 있다.[16] 자체 브랜드는 코카콜라나 레이즈와 같은 국가 브랜드 또는 브랜드 상품과 경쟁한다.[19][20][21]
"PB 상품"이라는 용어는 "화이트 라벨 상품"이라는 용어와 중복되지만, 같은 의미는 아니다. PB 상품은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제작되지만,[8] 화이트 라벨 상품은 일반적으로 이미 설계되어 있다.[10][11]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체인도 자체 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한다. 주요 품목은 감자튀김과 육류 기반 품목이며, 코카콜라나 펩시와 같은 전국 브랜드 제품과 함께 제공된다.[52]
다음은 일본의 주요 PB 상품 및 약국의 PB 상품이다.
브랜드명 | 회사명 | 설명 |
---|---|---|
HapYcom(해피컴) | 이온 | 이온 산하의 드럭스토어 및 이온의 드럭 부문의 일반 의약품 브랜드. |
MK CUSTOMER | 마츠모토 키요시 | |
알제란 | 마츠모토 키요시 | |
룬타 | 마츠모토 키요시 | |
Melano Science | 마츠모토 키요시 | |
와사프리 | 마츠모토 키요시 | |
S-Select | 스기 약국 | |
S-Unique | 스기 약국 | |
S-Lumier | 스기 약국 | 동사가 판매하는 화장품. |
M's one(엠즈원) | 츠루하 홀딩스 | |
생활 리듬 | 츠루하 홀딩스 | |
몸 Welcia・생활 Welcia | 웰시아 | |
웰마크 | 웰시아 | |
Basic | 약왕당 | |
WELL-US | 기린당 | |
다이코쿠의 힘 | 다이코쿠 드럭 | |
ON365(온산로쿠고) | 코스모스 약품 |
6. 1. 대형마트
PB(Store brand, 자체 개발 상품)는 소매업체가 상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체 상표 브랜드이며, '하우스 브랜드'[13] 또는 영국 영어에서는 '자사 브랜드'라고도 불린다.[14] 이 브랜드는 거의 항상 해당 브랜드를 소유한 체인점에서 독점적으로 제공된다.대부분의 PB 제품은 제3자가 제조하지만, 일부는 소매업체가 소유한 회사에서 제조한다.[23] 예를 들어, 크로거 부사장은 2018년에 자사 PB 제품의 약 60%를 아웃소싱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40%는 자체적으로 제조한다. 2018년 크로거는 미국 전역에 걸쳐 19개의 낙농장, 10개의 빵집, 2개의 정육점을 포함하여 38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다.[24] 이와 유사하게, 세이프웨이는 2012년 기준으로 32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25]
6. 2. 슈퍼마켓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업계에서 자체 개발 상품(PB, Private Brand)은 소매업체가 직접 상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브랜드를 의미한다. '''하우스 브랜드''' 또는 '''자사 브랜드'''라고도 불린다.[13][14] 이러한 브랜드는 해당 브랜드를 소유한 체인점에서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되기도 한다.[15]PB 상품은 국가 브랜드 (프리미엄 브랜드 또는 브랜드명 제품)[19][20][21]와 경쟁하며, 일반적으로 브랜드명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1]
대부분의 PB 제품은 제3자가 제조하지만, 일부는 소매업체가 소유한 회사에서 제조하기도 한다.[23] 예를 들어, 크로거는 2018년에 자사 PB 제품의 약 60%를 아웃소싱하고, 나머지 40%는 자체적으로 제조한다고 밝혔다. 당시 크로거는 미국 전역에 19개의 낙농장, 10개의 빵집, 2개의 정육점을 포함한 38개의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24]
PB는 19세기에 등장했으며,[31] 20세기 초에는 국가 브랜드보다 낮은 가격에 품질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20세기 전반에는 품질이 저하되기도 했지만, 후반에는 품질과 외관이 개선되면서 1970년대와 80년대에 두각을 나타냈다.[33] 1990년대에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으며,[34] 더 비싼 '''프리미엄 PB'''도 등장했다.[36][37]
제네릭 브랜드는 종종 PB와 연관되지만, 제네릭 제품은 브랜드명이 없고 단순한 포장으로 저렴하게 판매되는 경향이 있다.[39] 오늘날에는 ''제네릭 브랜드''와 ''PB''라는 용어가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19][43][44]
PB는 종종 해당 제품의 국가 브랜드를 제조하는 회사에서 생산되기도 한다.[47] 예를 들어, 킴벌리-클라크는 Huggies 기저귀와 월마트용 저가 버전을 모두 생산한다.[48]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자체 개발 상품은 다이마루가 1959년에 출시한 남성복 브랜드 「트로잔」이며, 식품에서는 다이에가 1960년에 출시한 통조림 「다이에 귤」이다.[64] 1960년경부터 대형 백화점, 슈퍼마켓,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가 자체 개발 상품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시작은 1980년대 중반부터였다.
2006년경부터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해 자체 개발 상품이 인기를 끌었고, 닛케이 트렌디와 닛케이 MJ에서 히트 상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9년 이후 대형 유통 그룹에서는 PB 상품의 매출 비중을 높이는 추세이다.
다음은 일본의 주요 슈퍼마켓 PB 상품이다:
브랜드명 | 회사명 | 설명 |
---|---|---|
TOPVALU(톱 밸류) | 이온 | 1994년에 톱 밸류로 판매 시작, 2000년에 톱 밸류로 변경. 2016년도 매출액 715600000000JPY.[67] |
maruetsu365(마루에츠 산로쿠고) | 마루에츠 | |
세븐 프리미엄 | 세븐&아이 홀딩스 | 2007년 5월에 49품목으로 판매 시작. 2016년도 매출액 1150000000000JPY.[68] |
더 프라이스 | 이토요카도 | 세븐 프리미엄보다 저가에 특화. |
StyleOne(스타일원) | 유니, 이즈미야(, 2023년 이전의 후지) | 2009년 8월 21일 3사 공동 PB로 시작. |
PrimeONE(프라임원) | 유니, 이즈미야(, 2023년 이전의 후지) | 스타일원보다 상위 브랜드. |
UUCS | 유니 | |
e-price | 유니 | |
굿 아이 | 이즈미야 | |
스마일 라이프 | 라이프 코퍼레이션 | |
Yes! | 야오코 | |
모두의 추천 | 서유 | 2012년 12월 7일 판매 시작.[83] |
기본의 기본 | 서유 | |
만다이 선품 | 만다이 | |
프로 사양 | 고기의 하나마사 | |
Valor select, Valor plus | 바로 | |
쿠라시라쿠 | 선리브・마루쇼쿠 | |
Tokyu Store Plus(도큐 스토어 플러스) | 도큐 스토어 | |
한큐의 맛 | 한큐 오아시스 | |
Harrows Selection | 할로스 |
6. 3. 편의점
プライベートブランド일본어 상품은 식품, 일용품, 의류 등 다양하지만,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이나 일용품이 많다.[64]6. 4. 기타 유통 채널
슈퍼마켓과 식료품점 업계에서는 동일한 제품이 서로 다른 포장으로 여러 소매업체에 비독점적으로 판매되는 경우에도 (화이트 라벨/브랜드) 거의 항상 '자체 상표/브랜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드물지만, 자체 개발 상품 브랜드가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되는 경우도 있다.[15]
7. 비판 및 쟁점
PB(자체 개발 상품)는 소매업체가 상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자체 상표 브랜드로, 하우스 브랜드[13] 또는 자사 브랜드[14]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PB 상품은 해당 브랜드를 소유한 체인점에서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5]
PB 제품은 코카콜라, 레이즈와 같은 전국적인 브랜드(NB)와 경쟁하며, 일반적으로 브랜드명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1] 하지만, 20세기 초중반에는 PB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기준이 떨어져, 저렴한 가격이 품질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했다.[32]
PB 제품은 종종 해당 제품의 국가 브랜드를 제조하는 동일한 회사에서 생산되기도 한다.[47] 예를 들어, 킴벌리-클라크는 Huggies 기저귀를 만들 뿐만 아니라 월마트용 저가 버전도 생산한다.[48] 일부 PB 제품은 브랜드명 제품과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제조업체가 한 가지 제품에 대해 여러 가지 공식을 가지고 있어 PB 버전과 국가 브랜드 버전을 다르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49]
PB 제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 및 쟁점이 존재한다.
- 품질 문제: 20세기 전반에는 PB 제품의 품질이 국가 브랜드 제품보다 낮다는 인식이 있었으며, 저렴한 가격을 위해 품질이 희생된다는 비판이 있었다.[32]
- 제조업체 비공개: 대부분의 소매업체는 공급업체의 신원을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여, PB 제품의 생산자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26][27] 이는 제품 리콜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를 불분명하게 만들 수 있다.
- "가짜 농장" 마케팅: 영국에서는 슈퍼마켓들이 "가짜 농장" 이름을 사용한 PB 제품을 판매하여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50][51]
- 공급업체 관리 복잡성 증가: 2024년 영국 식료품 규정 조정자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소매업체에서 자사 제품을 더 많이 도입하면서 공급업체의 관리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38]
한국의 편의점에서도 다양한 PB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각 편의점마다 고유한 브랜드를 가지고 경쟁하고 있다.
편의점 | PB 브랜드 | 특징 |
---|---|---|
패밀리마트 | 파미마루[84] | 2021년 10월 19일부터 도시락·반찬 브랜드 "엄마 식당"과 통합. 구 브랜드에서 순차적으로 이행. |
로손 | 밸류 라인 (로손, 로손 스토어 100) | 2008년부터 전국 전개 시작. |
로손 셀렉트 | 2010년 판매 시작. 포플러에서도 일부 상품 취급. | |
Uchi Cafe, 오야츠고로. | Uchi Cafe는 디저트, 오야츠고로.는 과자 브랜드. | |
Secoma (구·세이코 마트) | Secoma | |
데일리 야마자키 | 양미 100선 | 슈퍼 야마자키나 호마크 니콧의 일부 점포에서도 판매. |
참조
[1]
웹사이트
How Private Brands Matter
https://www.investop[...]
[2]
Harvp
[3]
Harvp
[4]
웹사이트
How Private Labeling Works
https://www.business[...]
[5]
웹사이트
Private Label Meaning & Definition
https://www.mbaskool[...]
[6]
웹사이트
Private Label: Definition, Example, Pros & Cons
https://www.retaildo[...]
2020-05-31
[7]
웹사이트
What is Private Labeling?
https://www.ecommerc[...]
Orbit Local LLC
[8]
웹사이트
White Label vs. Private Label Products: What's the Difference?
https://smallbiztren[...]
2022-04-07
[9]
웹사이트
White Label vs Private Label –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thatcomp[...]
2020-04-11
[10]
웹사이트
What is Private Label Branding? Private Label Definition and How it Works
https://www.thomasne[...]
Thomas Publishing Company
[11]
웹사이트
Beginner's Guide to Private Labeling and White Labeling
https://www.ecomdash[...]
2021-03-11
[12]
웹사이트
Lidl rolls out private label produce
https://www.supermar[...]
2023-01-06
[13]
Dictionary
house brand
[14]
Dictionary
Own brand definition
[15]
서적
Private Labels: Store Brands & Generic Products
https://archive.org/[...]
AVI Publishing Company
1982
[16]
웹사이트
Private Label Brands Roar At Retail
https://www.forbes.c[...]
2019-05-02
[17]
웹사이트
One more way Aldi maintains its low-price reputation: Specially Selected products
https://www.brickmee[...]
2021-03-29
[18]
웹사이트
15 Healthy Cereals You Can Get Your Hands on at Trader Joe's
http://spoonuniversi[...]
2017-04-26
[19]
웹사이트
Store Brand Vs. National Brand
https://smallbusines[...]
[20]
웹사이트
The Only Difference Between Brand Names And Generic Groceries Is The Mental Block
https://www.business[...]
2012-07-28
[21]
웹사이트
Generic vs Name Brand Foods – Is there really a difference?
https://thedinnerdai[...]
2015-04-23
[22]
웹사이트
Generic Brand Definition – Difference from Brand Name
https://www.marketin[...]
2020-05-08
[23]
Harvp
[24]
웹사이트
Crowning Kroger
https://storebrands.[...]
2018-02-23
[25]
웹사이트
Is Self-Manufacturing Right For You?
https://storebrands.[...]
2012-01-04
[26]
웹사이트
How Trader Joe's, Whole Foods, and Kroger Make Their Store-Brand Products
https://www.greenmat[...]
2022-01-04
[27]
웹사이트
What Brands Are Actually Behind Trader Joe's Snacks?
https://www.eater.co[...]
2017-08-09
[28]
웹사이트
How La Boulangerie Bounced Back and Into Trader Joe's and Costco
https://sf.eater.com[...]
2016-10-28
[29]
웹사이트
These are the big brands hidden behind Costco's Kirkland label
https://moneywise.co[...]
2021-12-23
[30]
웹사이트
The Untold Truth Of Costco's Kirkland Brand
https://www.mashed.c[...]
Static Media
2022-02-22
[31]
Harvp
[32]
Harvp
[33]
Harvp
[34]
간행물
Brands Versus Private Labels: Fighting to Win
https://hbr.org/1996[...]
1996-01
[35]
간행물
The New Appeal of Private Labels
https://hbr.org/1999[...]
1999-05
[36]
웹사이트
Deloitte report: What does the future hold for the food retail sector?
https://www.foodnavi[...]
William Reed Ltd
2020-06-19
[37]
웹사이트
The rise of premium private label and its impact on discount retailers
https://nielseniq.co[...]
Nielsen Corporation
2019-08-02
[38]
간행물
Groceries Code Adjudicator Conference 2024: Suppliers Should Find Their Voice (and Do GSCOP Training)
https://www.haddleto[...]
Haddleton & Co Ltd.
2024-10-29
[39]
논문
The Effect of Generic Products on Consumer Perceptions and Brand Choice
https://www.acrwebsi[...]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981
[40]
논문
The Market for Generic Brand Grocery Products: A Review and Extension
https://www.research[...]
1984-01
[41]
문서
Fitzell
1982
[42]
뉴스
Clorox vs. Chlorine Bleach: Generic Products Are Winning Noticeable Shares Of Market From National Brands, Private Labels
https://www.proquest[...]
1979-08-10
[43]
잡지
Brand Names Just Don't Mean as Much Anymore
https://business.tim[...]
2012-11-01
[44]
웹사이트
10 Secrets About Store Brands
https://www.forbes.c[...]
2011-06-29
[45]
문서
Dixon
2017
[46]
뉴스
Generic no more: How private label products compete with national brands
https://www.groceryd[...]
Industry Dive
2016-11-07
[47]
웹사이트
Generic vs Name Brand Foods - Is there really a difference?
https://thedinnerdai[...]
2015-04-23
[48]
뉴스
101 Brand Names, 1 Manufacturer
https://web.archive.[...]
2007-05-09
[49]
문서
Dixon
2017
[50]
뉴스
Tesco faces legal threat over marketing its food with 'fake farm' names
https://www.theguard[...]
2023-07-05
[51]
뉴스
Tesco takes flak over 'misleading' Farm brands
https://www.thegroce[...]
2023-07-05
[52]
문서
Fitzell
1982
[53]
웹사이트
Guide to Store Credit Cards
https://www.investop[...]
[54]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Store Card And A Credit Card?
https://www.forbes.c[...]
2021-01-03
[55]
웹사이트
What Is a Private Label Credit Card?
https://www.thebalan[...]
2021-06-09
[56]
웹사이트
Target REDcard
https://money.usnews[...]
[57]
웹사이트
Walmart Rewards Card Review
https://www.thebalan[...]
[58]
웹사이트
Review of the Amazon.com Store Card
https://web.archive.[...]
2020-01-06
[59]
웹사이트
Private Label vs Co Branded Credit Cards: What Is The Difference?
https://viatravelers[...]
2022-02-25
[60]
웹사이트
How co-branded credit cards work and the 5 most unique ones we found
https://www.cnbc.com[...]
[61]
서적
Private Label Strategy: How to Meet the Store Brand Challenge
https://books.google[...]
Harvard Business Press
2007
[62]
웹사이트
The potential for powerhouse Private Brands: an updated view
https://www.mckinsey[...]
2023-05-19
[63]
웹사이트
What Is Amazon FBA Private Label?
https://yourlifestyl[...]
2023-05-19
[64]
간행물
PB商品の裏側
東洋経済新報社
2012-12
[65]
뉴스
他社PB落とし穴 アクリ農薬検出 製造者記載ない商品も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4-01-12
[66]
문서
食品表示法施行でどう変わる? 食品の表示
http://www.famic.go.[...]
[67]
문서
イオン株式会社 2017年2⽉期決算補⾜資料(第92期)
http://v4.eir-parts.[...]
イオン株式会社
[68]
문서
株式会社セブン&アイ・ホールディングス 2017年2⽉期決算補⾜資料
https://www.7andi.co[...]
株式会社セブン&アイ・ホールディングス
[69]
웹사이트
スタイルワン
http://www.styleone-[...]
[70]
웹사이트
ユニー、イズミヤ、フジ/3社協業PB「スタイル ワン」を継続
https://www.ryutsuu.[...]
2020-11-16
[71]
뉴스
サークルKとサンクス、ファミマ商品に統一 来春まで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9-15
[72]
웹사이트
ファミリーマート・サークルK・サンクスの商品統合が完了!~ファミマの人気商品が、全国のサークルK・サンクスでも買える!|ニュースリリース|ファミリーマート
https://www.family.c[...]
ファミリーマート
2017-02-28
[73]
웹사이트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とイズミヤ株式会社の 株式交換による経営統合のお知らせ
http://www.izumiya.c[...]
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株式会社・イズミヤ株式会社(2014年1月31日作成)
2019-05-14
[74]
웹사이트
株式会社フジとイオン株式会社の資本業務提携のお知らせ
http://www.the-fuji.[...]
株式会社フジ・イオン株式会社(2018年10月12日作成)
2019-05-14
[75]
웹사이트
ユニー株式会社の株式取得(完全子会社化)の 完了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donki.co[...]
株式会社ドンキホーテホールディングス(2019年1月4日作成)
2019-05-14
[76]
웹사이트
ユニー、イズミヤ、フジ/3社協業PB「スタイル ワン」を継続
https://www.ryutsuu.[...]
流通ニュース(2019年4月16日作成)
2019-05-14
[77]
웹사이트
イオンと資本業務提携したフジが トップバリュと距離を置く理由
https://diamond-rm.n[...]
ダイヤモンド・チェーンストア(2019年4月22日作成)
2019-05-15
[78]
웹사이트
フジ・リテイリング/直営全店で「トップバリュ」導入、PB「Style ONE」終了
https://www.ryutsuu.[...]
2023-03-28
[79]
웹사이트
フジで「トップバリュ」販売 イオンブランド 9月から
https://www.ehime-np[...]
2023-03-28
[80]
웹사이트
パンパシHD、ユニーの新PB開発 「スタイルワン」終了
https://www.nikkei.c[...]
2023-08-23
[81]
웹사이트
プライムワン
https://www.the-fuji[...]
[82]
웹사이트
スマイルライフ
http://www.lifecorp.[...]
ライフコーポレーション
2020-10-04
[83]
웹사이트
西友 新プライベートブランド『みなさまのお墨付き』を発表
http://www.seiyu.co.[...]
西友プレスリリース
2912-12-05
[84]
뉴스
ファミマ、「お母さん食堂」から「ファミマル」にブランド変更
https://www.asahi.co[...]
2021-10-18
[85]
웹사이트
ELFINDOLL
https://www.24028.jp[...]
西松屋
[86]
웹사이트
コンフェックスグループ
http://www.confex.co[...]
[87]
웹사이트
社団法人菓子総合技術センター公式ホームページ
http://www.kasi-jafi[...]
[88]
웹사이트
トップバリュ グリーンアイ
https://www.topvalu.[...]
[89]
웹사이트
食品企業におけるPB取組の現状と課題
http://www.fmric.or.[...]
[90]
뉴스
PL상품구성과 MD의 전략
http://www.nextecono[...]
넥스트이코노미
2009-02-18
[91]
뉴스
PL상품, 품질 및 브랜드 관리가 열쇠
http://news.mk.co.kr[...]
매경이코노미 제1429호(2007.11.07)
2009-02-18
[92]
뉴스
대형마트-제조업체, 우유 품질 싸고 갈등 커지나
https://web.archive.[...]
서울신문
2009-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