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통일 이후 독일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통일 이후 독일의 역사는 1990년 헬무트 콜 총리 재임 기간부터 시작된다. 동독이 해체되고 5개의 새로운 연방주가 출범했으며, 베를린이 수도가 되었다. 콜 총리는 1990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4선에 성공했고, 1994년 로만 헤어초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8년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총리가 되어 사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슈뢰더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9.11 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 파병, 유로화 도입, 하르츠 개혁 등을 추진했다. 2005년 앙겔라 메르켈이 총리가 되어 대연정을 이끌었고, 독일은 에너지 전환, 균형 예산, 이민법 개혁, Industry 4.0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2021년 올라프 숄츠가 총리가 되어 신호등 연립 정부를 구성했고,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외교 정책을 전환하고 군사 지원을 강화했으며, 에너지 위기에 대처했다. 2023년 현재 독일은 세계 4위의 경제 대국이자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이며,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통일 이후 독일 -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은 1990년 독일과 폴란드가 체결하여 오데르-나이세 선을 양국 간 최종 국경으로 확정하고, 국경의 불가침성과 상호 주권 및 영토 보전을 존중하기로 한 조약이다. - 재통일 이후 독일 - 오스탈기
오스탈기는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후 구 동독의 일상생활과 문화에 대한 향수를 의미하며, 통일 이후 사회 변화에 따른 동독 시절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사회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 독일의 재통일 - 굿바이 레닌
《굿바이 레닌!》은 동독 붕괴 후 사회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를 위해 아들이 가짜 동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독일의 재통일 - 신연방주
독일 통일 후 구 동독 지역에 편입된 신연방주는 경제 재건, 인구 변화, 사회 통합 등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서독 지역과의 문화적, 정신적 차이와 경제적 격차가 존재하고 좌파당과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 동독 - 울브리히트 독트린
- 동독 - 인민경찰
인민경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동독에서 설립된 중앙 경찰 조직으로, 초기 어려움을 겪었으나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당원 비율이 높아졌고, 일반 경찰 업무 외 국경 보호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다 1990년 독일 통일과 함께 해체되어 독일 연방경찰과 주 경찰에 의해 기능이 계승되었다.
재통일 이후 독일의 역사 |
---|
2. 헬무트 콜 총리 재임 기간 (1990-1998)
1990년 총선에서 기민련이 43.8%로 승리하여 헬무트 콜 총리가 4선에 성공하였다. 사민당은 33.5%, 자민당은 11%를 득표하였다.[16][17] 1991년 6월 20일, 연방의회는 수도를 본에서 베를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시기부터 '''"베를린 공화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94년 총선에서 헬무트 콜 총리가 재선되어 다섯 번째 임기를 시작하였으나, 1998년 총선에서 패배하면서 16년간의 집권이 막을 내리고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의 뒤를 이어 로만 헤어초크 전 연방헌법법원 재판관이 독일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 1. 신연방주 탄생
1990년 10월 3일 동독 지역에 5개의 새로운 연방주(브란덴부르크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작센주, 작센안할트주, 튀링겐주)가 탄생하면서 독일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다.[1] 10월 14일, 이 연방주들에서 기민련이 브란덴부르크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승리하는 선거가 치러졌다.[1]동베를린은 서베를린과 통합되어 1990년 10월 3일 독일의 수도가 되었고,[1] 같은 해 12월 2일에는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시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2. 2. 4번째 임기 (1991-1994)
총선거에서 기독교민주연합이 43.8%로 승리하여 헬무트 콜 총리가 4선에 성공하였다. 사민당은 33.5%, 자민당은 11%를 득표하였다.[16][17] 1991년 6월 20일, 연방의회는 수도를 본에서 베를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시기부터 '''"베를린 공화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994년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의 뒤를 이어 로만 헤어초크 전 연방헌법법원 재판관이 독일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 3. 5번째 임기 (1994-1998)
1994년 총선에서 헬무트 콜 총리가 재선되어 다섯 번째 임기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1998년 총선에서 패배하면서 16년간의 집권이 막을 내리고 총리직에서 물러났다.3.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 재임 기간 (1998-2005)
1998년 연방 선거에서 기민련/기사련과 자민당으로 구성된 자유보수 연립 정부는 패배했고,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 정부의 수반으로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총리에 선출되었다. 요슈카 피셔는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되었다.
3. 1. 첫 번째 임기 (1998-2002)
1998년 연방 선거에서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 정부가 승리하여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총리에 취임했다. 요슈카 피셔는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되었다. 정부 구성 직후, 오스카어 라퐁텐 재무부 장관이 사임하고 한스 아이헬이 재무부 장관직을 승계했다.1998년, 기민/기사련이 익명의 자금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헬무트 콜은 명예 당 의장직에서 사임했고, 2000년에는 볼프강 쇼이블레가 당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1998년부터 기민당 사무총장을 맡고 있던 앙겔라 메르켈은 2000년에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9년에는 요하네스 라우가 독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00년에는 대규모 세제 개혁이 시행되었다. 2003년 이후 연방 정부는 아젠다 2010으로 알려진 사회 및 보건 정책 개혁을 시행했다. 슈뢰더 정부는 또한 환경 문제를 강조하고 온실 가스 감축을 추진했다.
독일은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나토 전쟁에 참여했으며, 독일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투를 치렀다. 슈뢰더 총리는 미국에 대한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지지했으며, 독일은 아프가니스탄에 군대를 파견했다. 독일은 또한 코소보 및 세계 여러 지역에 군대를 파견했다.
1999년, 독일은 유로화를 부분적으로 채택했으며, 2002년에는 독일 마르크를 완전히 대체했다.
드레스덴과 마그데부르크를 비롯한 여러 독일 도시들은 2002년 유럽 홍수 기간 동안 심각한 홍수를 겪었다.
3. 2. 두 번째 임기 (2002-2005)
2002년 총선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이끄는 사민당-녹색당 연립 정부가 재집권했다. 독일은 프랑스와 함께 2003년 이라크 전쟁에 반대했다.[3] 아젠다 2010으로 알려진 사회 및 보건 정책 개혁을 시행했고, 환경 문제와 온실 가스 감축을 추진했다.[4]독일은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나토 전쟁에 참여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투를 치렀다.[5]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지지하여 아프가니스탄에 군대를 파견했으며,[5] 코소보 등 세계 여러 지역에도 군대를 파견했다.
1999년 유로화를 부분적으로 도입했고, 2002년에는 독일 마르크를 완전히 대체했다.[6] 드레스덴, 마그데부르크를 포함한 여러 독일 도시들이 2002년 유럽 홍수로 큰 피해를 보았다.[7]
4. 앙겔라 메르켈 총리 재임 기간 (2005-2021)
2005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사회민주당과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은 거의 같은 수의 의석을 확보했지만, 소수 정당의 지지 없이는 과반수를 확보할 수 없어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후 앙겔라 메르켈이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18]
메르켈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독일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하일리겐담에서 33차 G8 정상 회담을 개최했다. 2009년 1월에는 경기 침체와 실업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500억유로 규모의 경제 부양책을 승인했다.[19]
2009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는 CDU/CSU와 FDP이 과반수를 확보하여 메르켈은 자유주의 정당과 연정을 구성, 메르켈 2기 내각을 출범시켰다. 사회민주당은 이 선거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20]
이 기간 동안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부채 브레이크(''Schuldenbremse''), 독일 이민법 개혁, Industry 4.0 등 주요 정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21]
4. 1. 첫 번째 임기 (2005-2009)
2005년 독일 연방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과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은 거의 동등한 의석을 확보했지만, 소수 정당의 지지 없이는 과반수 확보가 불가능하여 교착 상태에 빠졌다. 2005년 11월 11일, 양당은 앙겔라 메르켈을 총리로 하는 대연정에 합의했고, 메르켈은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18]메르켈 총리 재임 기간 중, 독일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하일리겐담에서 33차 G8 정상 회담을 개최했다.
2009년 1월, 독일 정부는 경기 침체와 실업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부문에 걸쳐 500억유로 규모의 경제 부양책을 승인했다.[19]
4. 2. 두 번째 임기 (2009-2013)
2009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CDU/CSU와 FDP이 과반수를 확보하면서 앙겔라 메르켈은 자유주의 정당과 연정을 구성하여 메르켈 2기 내각을 출범시켰다. 귀도 베스터벨레가 새로운 부총리가 되었다. 사회민주당은 이 선거에서 특히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20]이 기간 동안 시작된 주요 독일 정치 프로젝트로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사실 핵발전소 폐쇄를 시작한 것은 이전 정부였다. 이 정책은 메르켈에 의해 뒤집혔지만, 후쿠시마 사고로 인해 다시 번복되었다.], 균형 예산을 위한 "부채 브레이크"(''Schuldenbremse''), 독일 이민법 개혁, 그리고 정보화와 독일 경제의 미래 전환을 위한 첨단 기술 전략인 Industry 4.0이 있다.[21]
4. 3. 세 번째 임기 (2013-2018)
2013년 독일 연방 선거 결과 기민/기사련과 사민당의 대연정이 재구성되었다. 자민당은 연방 하원 진출에 실패했다. 이 기간 동안 독일 정치권에서는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창당되어 주의회에 진출했고, 최저임금법 제정과 복지 및 연금 개혁이 이루어졌다. 2015년에는 유럽 난민 위기가 발생하여 독일은 100만 명 이상의 난민을 수용하고 난민 분배 시스템을 개발했다.이전 메르켈 2기 내각에서 시작된 주요 독일 정치 프로젝트로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전환( ''Energiewende'') [사실 핵발전소 폐쇄를 시작한 것은 이전 정부였다. 이 정책은 메르켈에 의해 뒤집혔지만, 후쿠시마 사고로 인해 다시 번복되었다.], 균형 예산을 위한 "부채 브레이크"(''Schuldenbremse''), 독일 이민법 개혁, 그리고 정보화와 독일 경제의 미래 전환을 위한 첨단 기술 전략인 Industry 4.0이 있다.[21]
4. 4. 네 번째 임기 (2018-2021)
2017년 총선 결과, 자민당은 연방 하원에 다시 진입하였고, AfD도 연방 하원에 진출하였다.[21] 2018년에는 기민련/기사련-사민당 대연정이 재구성되었다. 메르켈 총리는 다음 선거에 불출마하고 정계에서 은퇴할 것을 선언하였다.5. 올라프 숄츠 총리 재임 기간 (2021-현재)
2021년 올라프 숄츠는 사민당, 녹색당, 자민당의 연합으로 구성된 '신호등 연립 정부'를 이끌며 총리직을 시작했다.[25]
5. 1. 첫 번째 임기 (2021-현재)
2021년 총선 결과, 사민당, 녹색당, 자민당이 연합하여 이른바 '신호등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다.[25]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하였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독일 외교 정책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 올라프 숄츠 총리는 '시대 전환' 연설을 통해 독일군 투자를 늘리고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26]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이어진 2021-2023년 세계 에너지 위기 상황에서 독일은 노르트 스트림 2 가스관 사업을 중단하고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 단계적 폐지 정책도 계속 추진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한편,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부상하였다. AfD는 2023년 존네베르크 지역 선거와 피르나 시장 선거에서 승리하였다.[36][37][38][39][40][41] 2024년 튀링겐 주 의회 선거에서는 나치당 이후 처음으로 주 의회 선거에서 최다 의석을 차지한 극우 정당이 되었다.[42][43][44][45][46]
6. 경제
2023년 12월 현재, 독일은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대국이자 유럽 최대의 경제 대국이며,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15]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 경제적 영향은 올라프 숄츠 총리의 초기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21–2023년 세계 에너지 위기 속에서 숄츠 총리는 노르트 스트림 2 인증을 중단하여 러시아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원자력 에너지 단계적 폐지 정책을 이행했다.[33][34]
6. 1. 1990년대의 경기 침체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많은 독일인에게 새로운 희망이 불어넣어졌지만, 이는 잘못된 희망이었을 수도 있다.[10] 독일은 구 동독 재건에 이상을 투자하여 시장 경제로의 전환과 환경 오염 정화를 도왔다. 그러나 2011년까지 그 결과는 혼조세를 보였는데, 서독과 남독의 경제는 급속히 성장한 반면 동독의 경제 개발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동독의 실업률은 15%를 넘는 경우가 많아 서독보다 훨씬 높았다. 경제학자 스노어(Snower)와 메르클(Merkl, 2006)은 독일 정부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지원, 특히 대리 교섭, 높은 실업 수당 및 복지 혜택, 관대한 고용 안정 조항이 오히려 경기 침체를 장기화했다고 지적했다.[10]1990년대에 독일의 경제 기적은 쇠퇴하여, 세기 말과 2000년대 초반에는 "유럽의 병든 남자"로 조롱받았다.[11]
6. 2. 2010년 이후의 경제 회복
독일은 세계 시장을 지향하는 경제 정책을 펼쳤고, 수출 부문은 매우 강력했다.[12] 2011년 독일의 수출액은 1.07조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이는 독일 GDP의 절반, 또는 전 세계 수출의 약 8%에 달하는 규모였다. 유럽 공동체가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독일은 2010년 이후 매우 강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노동 시장은 유연성을 보였고, 수출 산업은 세계 수요에 맞춰 조정되었다.[13][14]2023년 12월 현재, 독일은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대국이자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이다. 또한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15]
참조
[1]
웹사이트
Repräsentation und Integration
http://www.bundespra[...]
2016-03-08
[2]
웹사이트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https://www.deutschl[...]
2018-01-23
[3]
웹사이트
The Protection of Minority and Regional Languages in Germany
https://blogs.loc.go[...]
Library of Congress
2018-09-26
[4]
웹사이트
Germany
https://www.cia.gov/[...]
CIA
2020-03-29
[5]
웹사이트
Surface water and surface water change
https://stats.oecd.o[...]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20-10-11
[6]
웹사이트
Bevölkerung nach Geschlecht und Staatsangehörigkeit
https://www.destatis[...]
2018-07-15
[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1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1-04
[8]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https://ec.europa.eu[...]
Eurostat
2020-12-15
[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0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0-12-15
[10]
논문
"The Caring Hand that Cripples: The East German Labor Market after Reunification"
2006-05
[11]
논문
"From stability to stagnation: Germany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ssoar.in[...]
2003
[12]
논문
"Ideas, Institutions and Organized Capitalism: The German Model of Political Economy Twenty Years after Unification"
2010
[13]
논문
"From sick man of Europe to economic superstar: Germany's resurgent economy."
https://pubs.aeaweb.[...]
2014
[14]
서적
"Germany’s Labour Market Policies: How the Sick Man of Europe Performed a Second Economic Miracle."
https://library.oape[...]
Oxford UP
2019
[15]
웹사이트
Economic Key Facts Germany
https://kpmg.com/de/[...]
2023-12-05
[16]
서적
Kohl: Genius of the Present: A Biography of Helmut Kohl
1996
[17]
논문
"Kohl and the German Reunification Era"
https://www.jstor.or[...]
2002-03
[18]
서적
Germany After the Grand Coalition: Governance and Politics in a Turbulent Environment
Palgrave Macmillan
2011
[19]
뉴스
Germany agrees on 50-billion-euro stimulus plan
http://www.france24.[...]
2011-03-27
[20]
논문
"The German Federal Election of 2009: Sprouting Coalitions, Drooping Social Democrats"
2010-07
[21]
웹사이트
Government declaration by Angela Merkel
https://www.tagessch[...]
ARD Tagesschau (German)
2014-12-15
[22]
뉴스
Migrant crisis: Migration to Europe explained in seven charts
https://www.bbc.com/[...]
2016-01-31
[23]
뉴스
Chancellor Running Out of Time on Refugee Issue
http://www.spiegel.d[...]
2017-06-07
[24]
뉴스
Merkel Critic Says Chancellor's Refugee Policy Is a 'Time Bomb'
https://www.bloomber[...]
2017-06-07
[25]
뉴스
German elections 2017: full results
https://www.theguard[...]
[26]
뉴스
Germany coalition deal: Merkel set to lead fourth government
https://www.bbc.com/[...]
2018-03-04
[27]
뉴스
'New era': Scholz becomes Germany's new chancellor as Merkel bows out
https://www.euronews[...]
2021-12-08
[28]
뉴스
Germany elections: Centre-left claim narrow win over Merkel's party
https://www.bbc.com/[...]
2021-09-27
[29]
뉴스
Frank-Walter Steinmeier elected to second term as German president {{!}} DW {{!}} 13.02.2022
https://www.dw.com/e[...]
[30]
웹사이트
The ruins of Ostpolitik
https://www.eurozine[...]
2022-02-23
[31]
웹사이트
'A new era': Germany rewrites its defence, foreign policies
https://www.france24[...]
AFP
2022-03-01
[32]
웹사이트
Ukraine crisis: Germany halts Nord Stream 2 approval
https://www.dw.com/e[...]
dw.com
2022-02-22
[33]
뉴스
Scholz and liberal finance minister clash over nuclear phase-out
https://www.euractiv[...]
2022-06-09
[34]
뉴스
How Bad Will the German Recession Be?
https://www.spiegel.[...]
2022-09-14
[35]
웹사이트
Ukrainian refugees by country 2023
https://www.statista[...]
[36]
웹사이트
Germany: Far-right AfD wins first governing post – DW – 06/25/2023
https://www.dw.com/e[...]
[37]
웹사이트
Germany's far-right AfD party wins historic victory in local election
https://www.france24[...]
2023-06-25
[38]
뉴스
Germany's far-right AfD wins vote to lead district for first time
https://www.reuters.[...]
2023-06-26
[39]
웹사이트
German far-right party wins its first county leadership post as it rises in polls
https://abcnews.go.c[...]
[40]
웹사이트
Germany: Far-right AfD wins first city mayoral election – DW – 12/17/2023
https://www.dw.com/e[...]
[41]
웹사이트
German far-right party makes electoral breakthrough
https://www.ft.com/c[...]
[42]
웹사이트
German far right wins first major election since World War II
https://www.politico[...]
2024-09-01
[43]
웹사이트
Far right set to win in a German state for the first time since WWII
https://www.washingt[...]
2024-09-01
[44]
웹사이트
Far-right AfD wins eastern state in Germany's regional election
https://www.aljazeer[...]
2024-09-01
[45]
웹사이트
Success of far-right AfD shows east and west Germany are drifting further apart
https://www.theguard[...]
2024-09-01
[46]
웹사이트
German far right hails 'historic' election victory in east
https://www.bbc.com/[...]
202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