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노동조합총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은 1989년 11월에 결성된 일본의 노동조합 연합 단체이다. 자본과 정당으로부터의 독립, 공통 요구에 의한 행동 통일을 원칙으로 하며, 일본 공산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47개 도도부현에 지방 조직을 두고 있으며, 의료, 공무, 교육 등 다양한 산업별 전국 조합이 가맹되어 있다. 최근에는 조직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 확대 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헌법 개정 반대, 최저임금 인상 요구 등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노동조합총연합 - 전국철동력차노동조합
전국철동력차노동조합은 1974년 국철동력차노동조합에서 분리되어 국철 분할 민영화에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다가 1999년 다른 노동조합들과 통합되어 해산한 일본의 철도 노동조합이었다. - 전국노동조합총연합 - 전일본건설교운일반노동조합
전일본건설교운일반노동조합(켄코로)은 1999년 건설, 운수, 철도 관련 3개 노동조합이 합병하여 설립되었으며 건설일반, 운수일반, 전국철도동력차노동조합(전동로)의 통합체로, 건설 및 운수 분야를 중심으로 일본 전역에 지부를 둔 노동조합이다. - 분쿄구의 단체 - 자유법조단
자유법조단은 일본의 법조 단체로, 기본적 인권 보호, 민주주의 강화, 평화롭고 독립적인 민주 일본 실현을 목표로 사회적 약자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과거사 문제와 재일 한국인 관련 소송에 대한 편향성 논란이 있다. - 분쿄구의 단체 - 전일본민주의료기관연합회
전일본민주의료기관연합회(민의련)는 1953년 설립되어 "무차별·평등의 의료와 복지의 실현"을 목표로 영리를 추구하지 않고 민주적인 운영을 지향하며, 무료·저액진료사업, 기관지 발행, 재해 의료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일본의 의료기관 연합회이다. - 1989년 설립된 단체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89년 한국 사회의 경제 부정 문제 해결과 경제 정의 실현을 목표로 설립된 시민단체로, 합법적이고 비폭력적인 시민운동을 통해 경제 민주주의를 추구하며 의정감시, 공공사업 감시, 재벌 감시, 조세 개혁 운동 등의 활동을 한다. - 1989년 설립된 단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항공우주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 보급을 통해 국민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개발, 국가 항공우주 개발 정책 지원, 시험평가 시설 공동 활용, 중소·중견기업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나로호, 누리호, 천리안위성, 다누리 등의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전국노동조합총연합 | |
---|---|
기본 정보 | |
명칭 | 전국노동조합총연합 |
원어 명칭 | 일본어: 全国労働組合総連合 로마자 표기: Zenkoku Rōdōkumiai Sōrengō |
약칭 | 일본어: 全労連 로마자 표기: Zenroren |
영어 명칭 | National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Zenroren) |
![]() | |
설립일 | 1989년 11월 21일 |
본부 위치 | 서울특별시강남구삼성동 |
웹사이트 | 전국노동조합총연합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조직 형태 | 나ショナル센터 |
가맹 단체 수 | 19개 단산, 47개 지방 조직 |
조합원 수 | 55만 명 |
인물 | |
의장 | 오바타 마사코 |
사무국장 | 구로사와 고이치 |
기타 | |
우편 번호 | 113-8462 |
본부 주소 | 도쿄도분쿄구유시마 2-4-4 |
지지 정당 | 없음 |
2. 연혁
(내용 없음)
2. 1. 전사
(내용 없음)2. 2. 결성 (1989년)
일본사회당 (후의 사회민주당)을 지지했던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총평)와 민사당을 지지했던 전일본노동총동맹 (동맹)의 특정 정당 지지 노선에 반발하는 움직임 속에서, 1974년 12월 '''통일전선 촉진 노동조합 간담회''' (통일노조간) 등이 결성되어 활동했다.한편, 총평, 동맹,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신산별), 중립노동조합연락회의 (중립노련) 등 기존 노동 4단체는 노동전선 통일을 추진하여 전일본민간노동조합협의회 (전민노협)를 거쳐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연합) 결성으로 나아갔다. 이 과정에서 '민간 선행에 의한 노동전선 통일의 기본 구상' (1981년)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자유롭고 민주적인 노동조합' 노선과 '서방의 일원'이라는 입장을 취하며, 국제자유노련 (ICFTU) 가맹과 비판 세력 배제를 요구했다. 총평은 기존의 방침을 변경하여 이를 수용하고 연합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통일노조간 등은 이러한 연합 중심의 통일 움직임이 특정 정당을 배제하여 혁신 세력을 분열시키고, 임금 인상 자제 및 인원 감축 '합리화'를 용인하는 '노사협조' 노선을 강화하며, 노동전선을 우익적으로 재편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연합 결성에 동의하지 않는 총평 및 통일노조간·순중립노조간 가맹 조합과 일부 중립 조합들은 독자적인 전국 중앙 조직 결성을 추진했다. 이들은 '노동자의 단결을 최대한 보장하는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정당으로부터의 독립·공통의 요구에 의한 행동의 통일'이라는 3가지 원칙을 내세웠다. 또한 노동자들의 생활 향상과 권리 확립, 국민 춘투 재구축, 평화와 민주주의 수호를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89년 11월 21일에 '''전국노동조합총연합''' (전노련)이 결성되었다.[1] 결성 당시 조직 인원은 공칭 140만 명으로 발표되었다.
2. 3. 최근 동향
일본 공산당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기 대회에는 공산당 간부가 내빈으로 참석하여 인사말을 하고[24] 신문 아카하타 등에서도 전노련의 활동이 보도된다.[25] 최저임금을 전국 일률 1500JPY으로 인상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 요구에 대해서는 일본 공산당, 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 사회민주당 등 야당뿐만 아니라 자민당의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의원 등 일부 여당 의원으로부터도 지지를 얻어 국회 내 집회에서 연설하기도 했다.[23] 다만, 목표액인 1500JPY 자체에 대해서는 모든 정당이 일치된 입장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전노련은 헌법 개정, 원자력 발전, TPP,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 아베노믹스 등 주요 정치 현안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고이케 아키라 일본 공산당 서기국장은 이러한 전노련의 입장을 야권 공동 투쟁의 "공동의 대들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25] 또한, 시민사회 운동과의 연대에도 적극적이어서, 2015년 안전보장 관련법 반대 운동 당시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학생 긴급 행동(SEALDs)의 시위에 전노련의 차량을 지원하고 조합원들이 참여하기도 했다는 보도가 있다.[26][27]
2016년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를 포함한 선거 운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나카노 고이치 교수).[22]
3. 조직 구성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은 행동 강령 "희망에 빛나는 미래를 위해"에서 스스로를 "일하는 사람의 이익을 지키고 싸우는 노동조합의 전국 중앙 조직"으로 규정하며, 노사 협조 노선에 의한 선별 배제의 노동 전선 재편에 반대하는 노동조합들이 결성한 단체임을 밝히고 있다.
조직 구성의 특징으로는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연합)와 달리 산업별 전국 조합(단산)뿐만 아니라 도도부현별 조합(지방 조직)도 직접 가맹 단위로 인정하여, 산업별 투쟁과 지역 투쟁의 결합을 추구한다. 그러나 조합원 구성 면에서는 공무원 조합의 비중이 높고 민간 부문에서는 중소기업 조합이 많아, 대형 민간 기업이나 기간 산업의 주요 노조는 거의 가입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매년 춘투 등 임금 인상 협상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적용 법규별 노동조합원 수(단위 노동조합 기준) 구성비는 노동조합법 적용 조합원이 72.5%로 가장 많다.
최고 의결 기관은 2년마다 열리는 정기 대회이며, 회비를 납부하는 조합원 수에 따라 각 가맹 조합에서 선출된 대의원으로 구성된다. 가장 최근 대회는 2018년 7월에 열린 제29회 정기 대회이다. 중앙 기관에는 청년부, 여성부, 비정규직 센터 등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전문 부회를 두고 있다.
기관지로는 '전노련 신문'(월간 기관지)과 '월간 전노련'(월간 기관지, 학습의 벗사 발행)을 발행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특정 노동조합 조직에 가맹하지는 않았으나, 국제 노동조합 권리 센터(ICTUR), 글로벌화와 노동조합의 권리에 관한 남쪽에서의 이니셔티브(SIGTUR) 등에 참여하며 "만국의 노동자, 단결하라"는 입장에서 국제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국제 노동 기구(ILO) 및 세계노동조합연맹(세계노련), 국제노동조합총연합(ITUC) 가맹 노조 등과 교류하고 있으며, ILO가 제시하는 "디센트 워크(일할 가치가 있는 인간다운 일)"의 일본 내 실현과 복지 국가 확립을 목표로 활동한다.
한편, 일본공산당의 지도와 원조 하에 결성된 배경으로 인해 "일본공산당과 협력 공동한다"는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연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와 더불어, 중앙 및 각 도도부현의 노동위원회에서 노동자 측 위원 선임 등 여러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1. 가맹 단산 (산업별 전국 조합)
전국노동조합총연합에 가맹하는 산업별 전국 조합(단산)은 다음과 같다.조합명 | 약칭 | 조합원 수[31] | 산업·기업 |
---|---|---|---|
일본의료노동조합연합회 | 일본의료노련 | 154,379 | 의료 |
일본자치체노동조합총연합 | 자치노련 | 138,655 | 지방 공무 |
전일본교직원조합 | 전교 | 63,349 | 교육 |
일본 국가공무원 노동조합 연합회 | 국공노련 | 60,454 | 국가 공무 |
전국생협노동조합연합회 | 생협노련 | 63,135 | 생활협동조합 |
전노련·전국일반노동조합 | 전노련·전국일반 | 22,052 | 일반 |
전일본건설교통일반노동조합 | 건교노 | 19,578 | 건설, 도로 화물 운송, 철도 |
전국자동차교통노동조합총연합회 | 자교총련 | 12,068 | 도로 여객 운송, 도로 화물 운송 |
전국복지보육노동조합 | 복지보육노 | 10,920 | 복지 |
JMITU (일본금속제조정보통신노동조합) | JMITU | 5,397 | 기계, 정보통신 |
전국금융노동조합연합회 | 금융노련 | 3,921 | 금융 |
전국인쇄출판산업노동조합총연합회 | 전인총련 | 3,286 | 인쇄·출판 |
우정산업노동자유니온 | 우정유니온 | 2,466 | 일본우정 |
영화연극노동조합연합회 | 영화연극노련 | 1,275 | 영화, 연극 |
특수법인 등 노동조합 연락협의회 | 특수법인노련 | 992 | 특수법인 |
전국검수노동조합연합 | 검수노련 | 1,042 | 검수사업 |
전섬유산업노동조합 | 섬유산노 | 216 | 섬유 |
전일본연금자조합 | 연금자조합 | 116,000 | 연금 수급자 |
- 일본민간방송노동조합연합회 (민방노련, 조합원 7,988명)는 옵서버 자격으로 가맹하고 있다.
단산 가맹 조합원 수의 절반 가까이는 일본자치체노동조합총연합(자치노련), 전일본교직원조합(전교), 일본국가공무원노동조합연합회(국공노련) 등 공무원 조합이 차지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는 중소기업 소속 조합이 많으며, 대형 민간 기업, 특히 기간 산업의 주요 노동조합은 대부분 가맹하지 않고 있다.
3. 2. 가맹 지방 조직 (도도부현별 조합)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연합)가 산업별 전국 조합(단산)만을 가맹 단위로 인정하는 것과 달리, 전노련은 단산 외에 도도부현별 조합(지방 조직)도 가맹 단위로 인정한다. 이는 산업별 투쟁과 지역 투쟁을 결합하여 전국적인 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조직 구성 방식이다. 전노련에 직접 가맹하지 않은 단산 소속의 단위 조합이나, 상부 단체가 없는 독립적인 노동조합이라도 각 지역의 지방 조직(도도부현별 조합 및 그 산하의 지방 단산·지역 조직)에 가맹함으로써 전노련의 일원이 될 수 있다.국철노동조합(국로)의 일부 지방 조직, 전국건설노동조합총연합(전건총련), 전국농업협동조합노동조합연합회(전농협노련)의 일부 등도 전노련의 지방 조직이나 지역 노련에 가맹한 사례가 있다. 또한 군마, 시즈오카, 교토, 와카야마, 오카야마현 등 일부 지방 조직은 과거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총평)의 지방 조직에서 그대로 이어진 경우도 적지 않다.
현재 47개 모든 도도부현에 지방 조직이 존재하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도도부현 | 조직 명칭 | 약칭 | 비고 |
---|---|---|---|
홋카이도 | 홋카이도 노동조합총연합 | 도노련 | |
아오모리현 | 아오모리현 노동조합총연합 | 아오모리현노련 | |
이와테현 | 이와테현 노동조합연합회 | 이와테노련 | |
미야기현 | 미야기현 노동조합총연합 | 미야기현노련 | |
아키타현 | 아키타현 노동조합총연합 | 아키타현노련 | |
야마가타현 | 야마가타현 노동조합총연합 | 야마가타현노련 | |
후쿠시마현 | 후쿠시마현 노동조합총연합 | 후쿠시마현노련 | |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현 노동조합총연합 | 이바라키노련 | |
도치기현 | 도치기현 노동조합총연합 | 도치기현노련 | |
군마현 | 군마현 노동조합회의 | 군마현노회의 | 총평 지방 조직에서 이행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현 노동조합연합회 | 사이노련 | |
지바현 | 지바현 노동조합연합회 | 지바노련 | |
도쿄 | 도쿄 지방 노동조합 평의회 | 도쿄지평 | 2003년 2월, 기존 도쿄지평과 도쿄노련(도쿄 지방 노동조합총연합)이 합병하여 신도쿄지평 출범[32] |
가나가와현 | 가나가와현 노동조합총연합 | 가나가와노련 | |
니가타현 | 니가타현 노동조합총연합 | 니가타현노련 | |
야마나시현 | 야마나시현 노동조합총연합 | 야마나시현노 | |
나가노현 | 나가노현 노동조합연합회 | 나가노현노련 | |
도야마현 | 도야마현 노동조합총연합 | 도야마현노련 | |
이시카와현 | 이시카와현 노동조합총연합 | 이시카와현노련 | |
후쿠이현 | 후쿠이현 노동조합총연합 | 후쿠이현노련 | |
기후현 | 기후현 노동조합총연합 | 기후현노련 | |
시즈오카현 | 시즈오카현 노동조합평의회 | 시즈오카현평 | 총평 지방 조직에서 이행 |
아이치현 | 아이치현 노동조합총연합 | 애로련 | |
미에현 | 미에현 노동조합총연합 | 미에노련 | |
시가현 | 시가현 노동조합총연합 | 시가현노련 | |
교토 | 교토 지방 노동조합총평의회 | 교토총평 | 총평 지방 조직에서 이행,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에도 가맹 |
오사카 | 전오사카 노동조합총연합 | 오사카노련 | |
효고현 | 효고현 노동조합총연합 | 효고노련 | |
나라현 | 나라현 노동조합연합회 | 나라노련 | |
와카야마현 | 와카야마현 지방노동조합평의회 | 와카야마현지평 | 총평 지방 조직에서 이행 |
돗토리현 | 돗토리현 노동조합총연합 | 돗토리현노련 | |
시마네현 | 시마네현 노동조합총연합 | 시마네노련 | |
히로시마현 | 히로시마현 노동조합총연합 | 히로시마현노련 | |
오카야마현 | 오카야마현 노동조합회의 | 오카야마현노회의 | 총평 지방 조직에서 이행 |
야마구치현 | 야마구치현 노동조합총연합 | 야마구치현노련 | |
도쿠시마현 | 도쿠시마현 노동조합총연합 | 도쿠시마노련 | |
가가와현 | 가가와현 노동조합총연합 | 가가와현노련 | |
에히메현 | 에히메 지방 노동조합연합회 | 에히메노련 | |
고치현 | 고치현 노동조합연합회 | 고치현노련 | |
후쿠오카현 | 후쿠오카현 노동조합총연합 | 후쿠오카현노련 | |
사가현 | 사가현 노동조합총연합 | 사가현노련 | |
나가사키현 | 나가사키현 노동조합총연합 | 나가사키현노련 | |
구마모토현 | 구마모토현 노동조합총연합 | 구마모토현노련 | |
오이타현 | 오이타현 노동조합총연합 | 오이타현노련 | |
미야자키현 | 미야자키현 노동조합총연합 | 미야자키현노련 | |
가고시마현 | 가고시마현 노동조합총연합 | 가고시마현노련 | |
오키나와현 | 오키나와현 노동조합총연합 | 오키나와현노련 |
3. 3. 전문 부회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의 중앙 기관에는 청년부, 여성부, 비정규직 센터 등 다양한 전문 부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부회들은 각 계층의 목소리를 조직 운영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이를 위해 대회에서 발언권을 갖는 특별 대의원을 선출하여 참여를 보장한다. 그러나 이 특별 대의원들에게는 의결권은 부여되지 않는다.4. 정치 활동
전국노동조합총연합은 특정 정당에 공식적으로 소속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일본 공산당과 입장을 같이하는 경우가 많다.[2] 일본공산당의 지도와 원조를 받아 결성된 배경이 있으며, '일본공산당과 협력하고 공동한다'는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정기 대회에는 일본공산당 인사가 매번 내빈으로 참석하며,[24] 사회민주당 등 다른 야당에서도 메시지를 보내는 등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24]
주요 정치적 요구 사항으로는 최저임금을 1500JPY으로 인상하고 전국 일률 최저임금 제도를 도입하는 것 등이 있다.[23] 또한 헌법 개정 반대, 원자력 발전 반대, TPP 반대, 오키나와현 미군 기지 반대, 아베노믹스 비판 등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25] 이러한 활동들은 고이케 아키라 일본 공산당 서기국장에 의해 '공동의 대들보'로 언급되기도 했다.[25]
SEALDs와 같은 시민 단체와 연대하여 활동하기도 하며, 집회 시위 등에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인다.[26][27]
4. 1. 성 평등 관련 활동
성차별 해소를 목표로,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도입, 재혼 금지 기간·혼인 최저 연령 등 성차별적 요소의 해소를 위한 법 개정, 출생 신고 시 적출자와 비적출자의 기재를 의무화하는 호적법 개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28]5. 사회 운동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은 다양한 시민사회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11] 특히 아베 내각이 추진한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을 위한 헌법 9조 해석 변경 시도에 맞서, 이를 저지하기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4년 5월, 기존의 느슨한 연대 조직이었던 '헌법 개악 반대 공동 센터'를 전쟁하는 나라 만들기 중단! 헌법을 지키고 살리는 공동센터(약칭 헌법 공동 센터)로 개편했다. 이는 아베 정권의 움직임에 보다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으며, 사무국은 전노련 내에 두었다. 헌법 공동 센터는 운영위원회 11개 단체, 구성 단체 19개 단체, 찬동 단체 10개 단체로 이루어졌다.[29]
전노련은 전쟁을 막자·9조를 파괴하지 말자! 총궐기 행동 실행 위원회의 핵심 참여 단체 중 하나이다. 이 실행위원회는 2014년 아베 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관련 헌법 해석 변경을 저지하기 위한 투쟁 과정에서 결성되었다. 당시 연합 내 좌파 성향의 자치노조, 일교조 등이 중심이 된 전쟁을 시키지 않는 1000인 위원회와, 전노련 및 공산당 계열 단체들이 주축인 '헌법 공동 센터'가 협력하였다. 이러한 연대는 민주당, 공산당, 자유당, 사회민주당 등 야4당의 공동 투쟁 체제 구축에 기여했다.
이 밖에도 전노련은 해석으로 헌법 9조를 파괴하지 말아라! 실행위원회를 비롯하여, 전국상공단체연합회(전상련), 신일본부인의회(신부인), 농민운동전국연합회(농민련), 일본민주청년동맹(민청), 전일본민주의료기관연합회(민의련), 자유법조단, 원수폭금지일본협의회(일본원수협) 등 다양한 단체들과 연대하고 있다.[29] 또한 입헌 민주주의의 회, 안보 관련 법제에 반대하는 학자들의 모임,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학생 긴급 행동(SEALDs),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전국 행동, 반빈곤 운동, 탈원전 운동 등 광범위한 사회 운동 전반에 걸쳐 참여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29]
6. 국제 연대
전노련은 특정 상위 국제 노동조합 조직에는 가입하지 않았지만, 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요구 관철을 위해 "만국의 노동자, 단결하라"는 기치 아래 국제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제 노동조합 권리 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Trade Union Rights|ICTUReng)와 글로벌화 및 노동조합 권리에 관한 남쪽 이니셔티브(Southern Initiative on Globalisation and Trade Union Rights|SIGTUReng) 등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국제노동기구(ILO)의 노동자 활동국(Bureau for Workers' Activities|ILO ACTRAVeng) 및 ILO 주일 사무소와 교류한다. 세계노동조합연맹(WFTU), 국제노동조합총연합(ITUC)에 가맹한 노동조합뿐 아니라 비가맹 노동조합과도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 단체로부터 정기 대회 개최 시 연대 메시지를 받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is is Zenroren
http://www.zenroren.[...]
Zenroren
2013-11-05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ostwar Japa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
웹사이트
令和元年労働組合基礎調査
https://www.e-stat.g[...]
2022-01-11
[4]
서적
Gewerkschaften in der japanischen Politik von 1970 bis 1990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5]
문서
平成28年労働組合基礎調査
https://www.mhlw.go.[...]
2016-12-15
[6]
뉴스
全労連の中央メーデー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3-05-02
[7]
문서
[8]
간행물
戦後革新勢力の対立と分裂
https://doi.org/10.1[...]
[9]
웹사이트
統一労組懇
[10]
웹사이트
統一労組懇「労働戦線の真の統一のために」統一労組懇「真の労働者の利益をまもるナショナルセンターのあり方について全国的討論を」
https://www.jichiror[...]
2019-07-16
[11]
웹사이트
連合ってなに?(上智大学教授:中野晃一)
http://sealdspost.co[...]
2020-10-10
[12]
웹사이트
希望に輝く未来のために
https://www.zenroren[...]
[13]
웹사이트
希望に輝く未来のために(行動綱領)
http://www.zenroren.[...]
全国労働組合総連合
2019-01-21
[14]
문서
[15]
웹사이트
ストップ憲法改悪!8時間働いて普通に暮らせる社会の実現を!第29回定期大会はじまる
http://www.zenroren.[...]
全国労働組合総連合
2019-01-21
[16]
웹사이트
全労連第25回定期大会によせられた海外友好組合からのメッセージ
http://www.zenroren.[...]
全労連定期大会2010年7月20日付
[17]
웹사이트
(2)連合との共闘及び勢力拡大を模索する全労連
https://www.npa.go.j[...]
2022-12-10
[18]
웹사이트
全労連第17回定期大会へのあいさつ
http://zenroren.gr.j[...]
2022-03-16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2013年厚生労働省「労働組合基礎調査」について
http://www.zenroren.[...]
[22]
웹사이트
全労連は共同の大黒柱/小池書記局長が連帯あいさつ | 小池晃 日本共産党参議院議員
https://www.a-koike.[...]
2020-10-10
[23]
뉴스
最賃一律・引き上げを/全労連など集会 与野党議員から賛意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9-10-01
[24]
웹사이트
全気象労働組合 なぜなぜ組合活動
http://kokkoroso.or.[...]
[25]
뉴스
全労連は共同の大黒柱 小池書記局長が連帯あいさつ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6-07-29
[26]
뉴스
【日本共産党研究】「俺たちの声を聞け!」「政治家の背中押したの俺たちっすよ」SEALDsと共産党は独善性も瓜二つだっ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6-30
[27]
문서
[28]
웹사이트
2013年12月5日 事務局長談話
http://www.zenroren.[...]
[29]
웹사이트
"「立憲主義と民主主義の回復のために 市民と野党の共同で政治を変えよう!」【資料】"
http://iryo-9jyo.net[...]
[30]
웹사이트
憲法共同センターについて
http://www.kyodo-cen[...]
[31]
문서
[32]
웹사이트
東京地評とは?
http://www.chihyo.jp[...]
[33]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34]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35]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36]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同盟
https://kotobank.jp/[...]
[36]
웹사이트
全日本産業別労働組合会議
https://kotobank.jp/[...]
[36]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評議会
https://kotobank.jp/[...]
[36]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連合会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