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세페 카스틸리오네는 1688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나 청나라에서 랑세닝(郎世寧)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이자 화가이다. 그는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세 황제를 섬기며 서양화 기법을 중국 회화에 융합하여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였다. 대표작으로는 《백준도》, 《심사치평도》, 《아옥석지모탕구도》 등이 있으며, 원명원의 서양식 건물 설계에도 참여했다. 그의 화풍은 서양의 원근법과 명암법을 활용하여 중국 회화에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으며, 청나라 궁정 회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 황실 - 입팔분공
    입팔분공은 청나라 시대 황족과 공신에게 주어진 작위 체계로, 정치·사회적 지위와 특권을 부여하며 팔기 제도와 연관되어 황실 지배 체제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청나라 황실 - 청나라 소조정
    신해혁명 후 《청실우대조건》에 따라 존속한 청나라 황실인 소조정은 푸이가 자금성 내에서 황제 지위를 유지하며 '나라 안의 나라'와 같은 생활을 했으나 펑위샹의 핍궁사건으로 해체되었고, 이 시기 청 황족 우대 및 만주족 회유 정책 시행, 만청 왕공과 복벽파의 청조 부흥 시도 등이 있었다.
  • 청나라의 외국인 - 아르망 다비드
    아르망 다비드는 중국에서 동식물 표본을 수집하여 자이언트판다와 다비드사슴을 서양에 알리는 등 동물학 및 식물학에 공헌한 프랑스 선교사이자 박물학자이다.
  • 청나라의 외국인 -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는 남네덜란드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천문학자로,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흠천감 수장으로서 천문학과 역법 개정에 기여하고 천문 관측 기구 제작, 지도 제작, 군사 기술 분야에서 활약했으며, 증기 자동차를 설계하기도 한 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황제로부터 시호를 받은 서양인이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 - 주세페 키아라
    주세페 키아라는 17세기 일본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로, 쇄국 정책과 기독교 탄압 속에서 일본 선교를 시도하다 배교 후 유폐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은 소설 『침묵』의 주인공 모델이 되었고 묘비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 접두사수사
이름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존칭 접미사SJ
출생일1688년 7월 19일
출생지밀라노, 밀라노 공국
사망일1766년 7월 17일
사망지베이징, 청나라
안장지자란 묘지, 베이징
국적이탈리아
다른 이름(랑스닝)
직업회화
건축
대표작백준도
사준도
후원자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2. 생애

카스틸리오네는 1688년 7월 19일 밀라노에서 태어나,[1] 부유한 가정에서 가정교사의 교육을 받고 그림을 배웠다. 1707년 제노바에서 예수회에 입회하여[1] 평신도 형제로 활동했다.

볼로냐파의 영향을 받은 그는,[18] 1709년 코임브라에서 화가로 활동했고,[18] 1715년 청나라로 건너가 랑세닝(郎世寧)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9] 자금성에서 에나멜 제품을 제작하고 "중국 풍경도"를 창작했으며, 1716년 연희요와 함께 『시학(視學)』을 출판하여 원근법을 중국에 소개했다.[19]

강희제 사후 옹정제가 기독교를 금지했으나, 카스틸리오네는 베이징 궁정에 남아 건륭제를 섬겼다. 원명원 확장 공사에도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세계 각지에 흩어졌지만 절반 이상은 중국 대륙과 타이완에 남아있다. 1766년 베이징에서 사망하여 시랑으로 추증받았다.

2. 1. 출생과 예수회 입문

주세페 카스틸리오네는 1688년 7월 19일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 마르첼리노에서 태어났다.[24] 카를로 코르나라(1605년 ~ 1673년)의 제자가 되어 건축과 회화를 배웠고, 볼로냐파 전통을 따른 전문 화가로서 훈련을 쌓았으며, 트리엔트의 예수회 소속 유명 화가인 안드레아 포초(1642년 ~ 1709년)의 영향을 받았다.[18]

1707년, 19세의 나이로 제노바에서 예수회에 입회하여 수련하였다.[1] 당시 이미 화가로서 명성을 얻었고, 예수회 교회의 벽화를 그리도록 초빙되었다.[24] 그는 예수회 신부였지만 사제 서품을 받지 않았고, 평신도 형제로서 활동했다.

1715년 청나라로 가라는 지시를 받고, 포르투갈 코임브라마카오의 예수회 교회에서 벽화를 그리며 선교 활동을 준비했다.[30] 1709년 코임브라에서 화가로 활동했지만, 작품은 남아 있지 않다.[18]

2. 2. 청의 궁정 화가로 활동

《취서도》


카스틸리오네는 마카오에서 중국어를 배우고 낭세녕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강희제(재위: 1661년 ~ 1722년), 옹정제(재위: 1722년 ~ 1735년), 건륭제(재위: 1735년 ~ 1796년)의 주목을 받았고, 황실 용품 제작 기관이었던 조판처(造辦處) 내의 회화 제작 부서인 여의관(如意館)에 소속된 궁정 화가로 50여 년간 활약하였다.[25] 이탈리아에서 익힌 서양화 기법을 바탕으로 중국화를 배워 두 양식을 융합한 새로운 화풍을 만들어냈다.[24]

1723년(옹정 원년) 《취서도》(聚瑞圖), 1724년(옹정 2년) 《숭헌영지도》(嵩獻英芝圖), 1728년(옹정 6년) 《백준도》(百駿圖) 등 초기 대표작들은 사실적인 서양 회화의 풍격을 보여준다. 당시 청나라 화원에는 실물과 똑같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인물이 낭세녕 밖에 없었기 때문에 옹정 원년에 《취서도》를 그릴 수 있었다. 옹정제의 명에 따라, 중국 궁정 화가들에게 서양 유화를 가르쳤다. 또한 옹정제의 이복형제인 이현친왕 윤상(胤祥, 1686년 ~ 1730년), 과의친왕 윤례(果毅親王 胤禮, 1697년 ~ 1738년) 등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는데, 이는 그가 궁정 외부에서도 활발히 활동했음을 보여준다. 1735년에는 안드레아 포초의 투시법에 관한 저술을 번안하여 《시학》(視學)을 출판하였다.[26]

옹정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건륭제는 궁정 회화 발전을 중시하여 카스틸리오네를 중용하였고, 건륭제는 매일 그의 화실에 가서 작업하는 모습을 지켜볼 정도로 총애하였다. 1736년(건륭 원년)에는 건륭제와 효현순황후, 그리고 11명의 후궁들의 초상화인 《심사치평도》(心寫治平圖)를 그렸는데, 이는 그의 대표적인 인물 초상화 중 하나이다. 1747년(건륭 12년)부터 1759년(건륭 24년)까지 원명원에 베르사유 궁전을 모방한 건물들을 설계하고 시공하는데 참여하였고, 정3품 봉신원경(奉宸苑卿)에 올랐다.

《평정서역전도》의 〈곽사고노극지전도〉


카스틸리오네는 수렵, 연회, 전쟁 등 건륭제 시기의 중요한 사건들을 그림으로 제작하였다. 1754년에 몽고족 수령들이 청나라에 투항하자, 건륭제는 그를 청더의 피서산장으로 파견하여 몽고족 수령들의 초상을 제작하게 하였다. 그는 다른 화가들과 공동으로 《건륭만수완사연도》(乾隆萬樹园賜宴圖, 중국 베이징 고궁박물원 소장)와 《건륭관마출도》(乾隆觀馬朮圖, 중국 베이징 고궁박물원 소장)를 그렸다. 또한 준가르와의 전쟁에서 전공을 세운 아유시(阿玉錫)를 그린 《아옥석지모탕구도》(阿玉錫持矛蕩寇圖)와 서역 정복 전쟁의 영웅인 만주족 장군 마상(瑪瑺)의 전공 장면을 그린 《마상작진도》(瑪瑺斫陳圖, 중화민국 타이페이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카자흐족이 대완마를 진상한 사건을 묘사한 《합살극공마도》(哈薩克貢馬圖) 등을 제작하였다.

준가르와 회부(回部, 오늘날 신강성 위그르족 자치구)를 평정한 정복 전쟁을 묘사한 그림들은 동판화로 제작되었다. 카스틸리오네는 아티레, 시켈바르트, 다마센과 함께 동판화 연작인 《평정준갈이회부득승도/평정서역전도》(平定準噶爾回部得勝圖/平定西域戰圖, 중국 베이징 고궁박물원 등 다수의 박물관 소장)를 제작하였다. 총 16장으로 이루어진 밑그림은 군기처에 제출되어 광동성 해관을 통해 프랑스 파리로 보내져 판화로 새겨졌고, 1765년(건륭 30년)에 시작된 동판화 제작은 1774년(건륭 39년)에 완성되어[28] 카스틸리오네가 사망한 후에야 중국으로 돌아왔다.

2. 3. 사망과 사후

카스틸리오네의 무덤이 있는 승공책란


1757년, 건륭제는 카스틸리오네의 70세 생일을 맞아 축하 예식을 열어 주었다.[29] 1766년(건륭 31년) 7월 16일, 베이징에서 사망하여, 베이징의 서양 선교사 묘지인 승공책란(滕公柵欄)에 묻혔으며, 건륭제는 장례비용으로 300냥을 하사하였다.[29] 생전에 관직이 정3품 봉신원경(奉宸苑卿)에 이르렀고,[25] 사후에 시랑(侍郞)으로 추봉되었다.[29] 그의 전기는 《청사고열전》(淸史稿列傳) 〈낭세녕전〉(郎世寧傳)에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중국 회화 경매 시장에서 카스틸리오네의 작품은 높은 가격에 매매되고 있다.

3. 대표 작품

카스틸리오네는 18세기 청나라 궁정 화가로 활동하면서 서양화 기법과 중국 전통 회화를 융합한 독특한 작품 세계를 선보였다. 그는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3대에 걸쳐 황실의 총애를 받으며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옹정제 원년(1723)에 제작된 《취서도》는 카스틸리오네의 초기 대표작 중 하나로, 서양화의 사실적인 묘사와 중국 회화의 전통적인 소재가 어우러진 작품이다. 옹정제의 명에 따라 그려진 《백준도》(1728)는 100필의 말을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하여 그의 뛰어난 관찰력과 표현력을 보여준다.

건륭제 대에는 더욱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는데, 건륭제와 황후, 11명의 후궁들의 초상화를 그린 《심사치평도》(1736)는 섬세한 인물 묘사와 화려한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또한, 건륭제의 명을 받아 준가르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운 아유시를 그린 《아옥석지모탕구도》(1755), 카자흐족이 대완마를 바치는 모습을 그린 《합살극공마도》 등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그림도 다수 제작하였다.

카스틸리오네는 프랑스로 보내 동판화로 제작된 《평정준갈이회부득승도/평정서역전도》 연작을 통해 서양의 동판화 기법을 중국에 소개하기도 했다.

카스틸리오네는 회화뿐만 아니라 건축에도 참여하여 원명원 내 서양루를 설계하고 감독하였다. 베르사유 궁전을 본떠 만든 이 건물들은 바로크로코코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건축물이었으나, 제2차 아편 전쟁 때 파괴되어 현재는 그 흔적만 남아있다.

원명원의 폐허

3. 1. 회화

카스틸리오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에 기반한 색채, 원근법, 빛의 강조를 특징으로 하는 서양화 기법을 중국 회화에 도입했다.[24] 그는 음영법을 활용하여 입체감을 강조하고, 인물, 동물, 화조, 산수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었으며, 특히 말 그림으로 유명하다.

그는 중국 회화의 전통적인 제재를 서양의 화법으로 표현하면서 음영과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가 사용한 음영법은 새로운 수법으로 중국 회화에 영향을 끼쳤다.[24]

강희제 연간의 작품은 남아있지 않고, 옹정제 원년에 그려진 정물화 《취서도》가 현존하는 작품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옹정 연간에는 《백준도》를 비롯한 많은 말 그림이 그려졌다. 건륭제 연간은 가장 다작이었으며, 건륭 원년에 건륭제, 황후, 11명의 귀비를 그린 《심사치평도》(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건륭제의 외정이나 외국의 귀순 등 역사적 장면을 그린 작품 등이 있다.

카스틸리오네는 서양화와 중국의 전통적인 회화를 절충시킨 독특한 양식을 발전시켰다. 당시 중국인의 취향에 맞춰 초상화는 항상 정면에서 그렸고, 명암은 넣지 않았다. 또한 비단이나 견지에 교상의 안료로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었다.

「건륭제 조복상」은 건륭제가 랑세닝에게 의뢰하여 그리게 한 초상화이다. 역사상 처음으로 그려진 공식적인 정면 조복 초상화였다. 정면에서 비추는 빛을 채택하여, 측면에서 오는 빛에 의한 강렬한 명암의 대비를 피함으로써 정련되고 온화한 표정으로 보이도록 그려져 있다. 또한 황제와 황후, 황귀비, 황빈의 초상화 그림 두루마리도 만들어 「심사치평도」라는 제목을 붙였다.[21]

카스틸리오네는 서양에서 청나라로 건너간 화가 중 가장 뛰어났지만, 건륭제의 궁정에는 카스틸리오네 외에도 장-드니 아티레 등 4명의 서양인이 일하고 있었고, 서양인에게 배운 중국인 화가도 있었다. 카스틸리오네의 이름을 冠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이러한 화가들과의 공동 제작도 적지 않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20]

카스틸리오네의 주요 작품
제목제작 연도기법 및 특징기타
취서도1723년 (옹정 원년)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 정물화
백준도1728년 (옹정 6년)100필의 말을 다양한 자세로 묘사, 서양화법과 중국 화풍의 조화옹정제의 50세 생일 기념
심사치평도1736년 (건륭 원년)건륭제효현순황후, 11명의 후궁들의 초상화
대열개갑기마상1739년 또는 1758년완전 무장한 채 말을 타고 팔기군 열병식에 참석하는 건륭제의 모습
아옥석지모탕구도1755년준가르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운 아유시의 용맹함을 기림
합살극공마도카자흐족이 청에 귀순하며 대완마를 진상한 사건을 묘사
건륭대열도팔기군 열병식에 참석하는 건륭제를 묘사한 연작 그림 (총 4폭)〈행진〉은 2011년 프랑스 경매에서 약 3480억에 낙찰



새연사사도

3. 1. 1. 《숭헌영지도》

嵩獻英芝圖중국어는 1724년 옹정제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이다. 이 그림에는 소나무, 독수리, 영지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 전통 회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들이다. 하지만 카스틸리오네는 여기에 서양화법을 적용하여 음영 효과와 입체감을 강조함으로써, 전통적인 소재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었다.[15]

3. 1. 2. 《백준도》

1728년 옹정제에게 헌정된 주세페 카스틸리오네의 초기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은 100필의 말을 다양한 자세와 생동감 넘치는 표현으로 묘사했다. 카스틸리오네는 서양화원근법과 음영 투시법, 서양화 안료를 사용하여 중국과 서양의 화풍을 조화롭게 결합했다.[24] 옹정제의 50세 생일을 기념하여 그려졌으며, 1728년 봄에 밑그림이 완성되고 같은 해 여름에 완성되었다. 생일 축하에서 '백(百)'은 100세까지 사는 불로불사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황제로부터 매우 높이 평가받았다.[22] 카스틸리오네는 이 그림을 제작하기 위해 마원에 가서 적극적으로 말의 보살핌을 했다고 한다.

3. 1. 3. 《심사치평도》



《심사치평도》(心寫治平圖)는 1736년(건륭제 원년)에 건륭제효현순황후, 그리고 11명의 후궁들의 초상화이다.[27] 카스틸리오네(랑세닝)가 그린 이백여 폭의 인물 초상 중에서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카스틸리오네는 이 그림을 그리면서 후궁들을 자세히 관찰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밑그림을 완성했다. 하지만 밑그림을 본 후궁들은 서로의 그림을 비교하며 누가 더 아름답게 그려졌는지 질투했다. 이에 카스틸리오네는 표준 여성 초상화를 먼저 완성한 후, 이를 복제하여 각 후궁들의 특징을 추가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초상화를 제작했다. 그 결과, 후궁들은 모두 아름답게 그려져 만족했지만, 자매처럼 똑같은 초상화가 되었다.[19]

이 그림은 카스틸리오네의 섬세한 인물 묘사와 서양화 기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3. 1. 4. 《대열개갑기마상》



《대열개갑기마상》(大閱鎧甲騎馬像)은 카스틸리오네가 1739년에 그린 전성기 작품이다. 이 그림은 완전 무장한 채 말을 타고 팔기군 열병식에 참석하는 건륭제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만주족 대칸으로서의 위엄을 강조하고 있다.[21]

3. 1. 5. 《아옥석지모탕구도》

카스틸리오네는 1755년 준가르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운 아유시의 용맹함을 기리기 위해 《아옥석지모탕구도》를 제작했다. 이 작품은 역동적인 구도와 생생한 인물 묘사가 돋보인다. 카자흐족이 청에 귀순하며 대완마를 진상한 사건을 묘사한 《합살극공마도》, 서역 정복 전쟁의 영웅인 만주족 장군 마상의 전공 장면을 그린 《마상작진도》와 함께 제작되었다.[28]

3. 1. 6. 《합살극공마도》

1754년 몽골족 수령들이 청나라에 투항하자, 건륭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카스틸리오네 등 서양인 화가들을 청더의 피서산장으로 파견하여 몽골족 수령들의 초상을 제작하게 했다. 카스틸리오네는 다른 화가들과 공동으로 대형 역사화인 《건륭만수완사연도》(乾隆萬樹园賜宴圖)와 《건륭관마출도》(乾隆觀馬朮圖)를 그렸다. 또한 그는 준가르와의 전쟁에서 전공을 세운 아유시(阿玉錫)를 치하하기 위해 그려진 《아옥석지모탕구도》(阿玉錫持矛蕩寇圖)와 서역 정복 전쟁의 영웅인 만주족 장군 마상(瑪瑺)의 전공 장면을 그린 《마상작진도》(瑪瑺斫陳圖)를 그렸다. 이와 함께, 카자흐족이 청에 귀순하며 대완마를 진상한 사건을 묘사한 《합살극공마도》(哈薩克貢馬圖)를 제작하였다.[27] 이 그림은 사실적인 말과 인물 묘사가 특징이다.

3. 1. 7. 《건륭대열도》



《건륭대열도》는 팔기군 열병식에 참석하는 건륭제를 묘사한 연작 그림으로, 〈행궁〉, 〈열진〉, 〈행진〉 총 4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행진〉은 2011년 프랑스 경매에서 약 348억에 낙찰되어 화제를 모았다.[19][20][21][22]

3. 2. 건축

카스틸리오네는 서양식 궁전 설계에 참여했다. 원명원 황실 정원에서 장 드니 아튀레 등 다른 예수회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1747년 건륭제의 명으로 유럽식 궁전, 정원, 조류 사육장, 미로, 원근법 회화를 활용한 야외 극장 무대, 미셸 베누아가 설계한 분수와 수공예품 등을 건설했다.[7] 카스틸리오네는 궁전 벽에 ''트롱프뢰유''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2]

그러나 이 건물들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때 파괴되었다.[2] 카스틸리오네의 건축 작품은 사라졌지만, 자금성 건륭원 전친재에 있는 그의 조수가 그린 벽과 천장 그림에서 ''트롱프뢰유'' 벽화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8][9]

3. 2. 1. 원명원의 서양루

카스틸리오네는 건륭제원명원(圓明園)에 서양풍 건물을 설계하는 데 참여했다. 원명원은 1707년(강희 48년) 강희제가 제4황자 윤진에게 하사한 별장이다. 윤진이 옹정제로 즉위한 이후 1725년(옹정 3년) 매년 정월이면 시무식을 겸해 이곳에 머물렀다. 이후 건륭, 가경, 도광 연간에 걸친 150년 동안 황제들은 원명원에 제각각 건물을 짓고 골동서화와 보물을 채웠다.[38] 건륭제 때 원명원 동쪽으로 장춘원(長春園), 남동쪽으로 기춘원(綺春園, 후에 만춘원(萬春園)으로 개칭)이 건설되었다. 원명원, 장춘원, 기춘원을 총칭하여 광의의 원명원이라 한다.

건륭제는 루이 14세가 보내온 가브리엘 페렐(Gabriel Pérelle, 1602년 ~ 1677년)의 《프랑스의 아름다운 건물들》과 《프랑스 도시와 보스케 및 분수를 포함한 베르사이유 궁전의 설계도·단면도·입면도》의 동판 삽화를 보고 흥미를 느꼈고,[39] 1747년(건륭 12년)부터 1759년(건륭 24년)까지 서양 선교사를 동원해 베르사유 궁전을 모방한 건물들을 지었다.[38] 이 건물들은 본래 바로크 양식의 건축인 베르사유 궁전을 모방하여 지어진 것이지만, 곡선적 외양과 건물에 가해진 장식성은 로코코 양식이라 할 수 있다.[40] 카스틸리오네는 다른 예수회 선교사들과 함께 설계와 건립 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그가 설계·감독한 서양루(西洋樓)는 바로크식 대리석주로 된 누각 위에 중국 전통 전각을 올리고 오색 유리 기와를 얹었는데, 웅장하고 매우 독창적이었다. 서양루는 중국 최초의 인공 분수가 설치된 곳이기도 하다. 예수회 선교사 브노아가 고안한 분수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해안당(海晏堂)의 시계 분수였는데, 중국 전통에서 시간과 방위를 상징하는 12마리의 동물상이 차례로 입에서 물을 뿜으면서 매시 시간을 알렸다고 한다.[38] 건륭제는 카스틸리오네에게 원명원 안에 여의관(如意館)이라는 화실을 지어 주었다. 그러나 원명원은 1856년(함풍 6년)에 발발한 제2차 아편전쟁 때 프랑스·영국 연합군이 침입하여 철저하게 약탈당하고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

대수법 유지


화가로서의 능력 외에도, 그는 서양식 궁전을 설계하는 책임을 맡았는데, 원명원 황실 정원에 장 드니 아튀레와 같은 다른 예수회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았다.[7] 이 프로젝트는 옹정제가 사용했던 정원에 1747년 건륭제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유럽식 궁전과 정원, 조류 사육장, 미로, 원근법 회화를 야외 극장 무대로 구성하고, 미셸 베누아가 설계한 분수와 수공예품도 포함되었다. 카스틸리오네는 또한 궁전 벽에 트롱프뢰유 그림을 그렸다.[2] 그러나 이 건물들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중에 파괴되었다.[2] 카스틸리오네의 건축 작품들은 사라졌지만, 그의 트롱프뢰유 벽화의 영향은 자금성 건륭원 전친재에서 그의 조수가 그린 벽과 천장의 그림에서 볼 수 있다.[8][9]

4. 평가

카스틸리오네는 서양화법을 중국에 소개하고 중국 전통 회화와 융합하여 청대 궁정 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화풍은 명암법, 원근법, 사실적인 묘사 등을 통해 중국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인물화와 동물화에서 뚜렷한 성과를 남겼다.[41] 하지만, 일부 전통 화가들은 그의 화풍이 경직되고 부자연스럽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추일계(鄒一桂, 1686년 ~ 1772년)는 "서양 사람들은 기하학에 능하기 때문에 명암과 원근이 정확하다. 그러나 이는 숙련된 장인의 산물일 뿐 예술작품은 아니다."라고 비판하였다.[41]

건륭제는 카스틸리오네의 화법이 지닌 사실성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사의(寫意)를 중시하는 전통 회화의 가치를 옹호하며 그의 화풍을 낮은 단계로 보았다.[42] 카스틸리오네의 화풍은 궁정 화가들을 중심으로 마진(馬晉, 1900년 ~ 1970년)과 황족 출신 화가 부설재(溥雪齋) 등에게 계승되었고 베이징을 중심으로 근대 화단에도 영향을 주었다.[42]

카스틸리오네의 선형 원근법 회화. (원명원 박물관 소장)

참조

[1] 논문 Reconciling Two Careers: the Jesuit Memoir of Giuseppe Castiglione Lay Brother and Qing Imperial Painter https://www.academia[...] 2017-12-04
[2] 서적 Ai Weiwei: Circle of Animals https://www.academia[...] Prestel Publishing 2016-06-20
[3] 웹사이트 Colégio do Santíssimo Nome de Jesus / Igreja das Onze Mil Virgens / Catedral de Coimbra / Sé Nova de Coimbra / Igreja Paroquial da Sé Nova / Igreja do Santíssimo Nome de Jesus / Museus da Universidade de Coimbra http://www.monumento[...] Património Cultural - Ministério da Cultura 2013-07-02
[4] 서적 A Jesuit Garden in Beijing and Early Modern Chi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11-04-30
[5] 논문 Of the Mind and the Eye: Jesuit Artists in the Forbidden City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web.archive.[...] 2003-04
[6] 웹사이트 Storming the Encampment at Gadan-Ola http://www.wdl.org/e[...] 2013-05-28
[7] 웹사이트 The Garden of Perfect Brightness https://visualizingc[...] 2020-07-31
[8] 웹사이트 Regal and Restored: The Forbidden City's Qianlong Garden http://discovery.cat[...] 2020-02-07
[9] 웹사이트 Qianlong Garden Conservation Project https://www.wmf.org/[...] 2020-07-31
[10] 서적 A Jesuit Garden in Beijing and Early Modern Chi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11-04-30
[11] 웹사이트 One Hundred Horses http://www.metmuseum[...] 2016-06-19
[12] 웹사이트 Giuseppe Castiglione (1688-1766) http://www.learn.col[...] 2016-06-19
[13] 서적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4] 영상매체 Ruyi's Royal Love in the Palace http://www.imdb.com/[...] New Classics Media 2021-05-25
[15]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Backpack Edition, Book F: Non-Western Art Since 1300 https://books.google[...] Wadsworth Publishing 2015-01
[16] Find a Grave
[17] 웹사이트 7月19日はジュゼッペ・カスティリオーネの誕生日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プレス 2019-07-19
[18] 서적
[19] 서적 紫禁城の西洋人画家-ジュゼッペ・カスティリオーネによる東西美術の融合と展開- 大学教育出版
[20] 서적
[21] 서적 紫禁城の西洋人画家-ジュゼッペ・カスティリオーネによる東西美術の融合と展開 大学教育出版 2009-10
[22] 서적 紫禁城の西洋人画家-ジュゼッペ・カスティリオーネによる東西美術の融合と展開 大学教育出版 2009-10
[23] 논문 〈乾隆帝의 西畵인식과 郞世寧화풍의 형성〉 미술사연구회
[24] 사전 Castiglione (Giuseppe) http://dictionary.ed[...] Catholic Dictionary
[25] 논문
[26] 논문 〈청황실의 서양화가들〉 미술사연구회
[27] 논문 〈乾隆朝服務宮廷的西方傳敎士〉
[28] 웹사이트 타이완 국립고궁박물원의 《득승도》(得勝圖) http://www.npm.gov.t[...]
[29] 논문 〈청대 궁정회화제도 연구〉 서울대학교미술대학
[30] 논문
[31] 웹사이트 타이완 국립고궁박물원의 《백준도》 http://www.npm.gov.t[...]
[32] 논문
[33] 논문 〈건륭제 시기 궁정회화의 정치적 성격〉 서울대학교 중국연구소
[34] 논문
[35] 논문
[36] 뉴스 프랑스, 中 문화재 또 경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1-03-26
[37] 뉴스 청나라 건륭제 옥새 195억원에 낙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3-28
[38] 뉴스 [우종근의 史史로운 이야기] 베이징 원명원의 십이지신상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2-27
[39] 논문 장 드니 아티레와 로코코 미술의 동아시아 전파 미술사연구회 2008
[40] 논문 장 드니 아티레와 로코코 미술의 동아시아 전파
[41] 서적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999
[42] 논문 (제목 정보 없음 - 이전 항목 참조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