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언 제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언 제인스는 1920년에 태어나 1997년에 사망한 심리학자이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가르쳤으며, 의식과 양원제 마음 이론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제인스는 의식이 언어와 문화의 산물이며, 고대에는 '양원제 마음'이라는 의식이 없는 정신 상태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저서인 《양원제 마음의 붕괴에서의 의식의 기원》은 학계에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심리학, 철학, 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종교사 - 종교사학파
종교사학파는 텍스트 뒤의 세계를 탐구하며 기독교의 절대 진리 주장을 거부하고 혼합주의적 기원을 주장하며 성경 역사와 텍스트 분석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 - 신경과학의 역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신경과학의 역사 -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스페인의 신경과학자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은 뇌의 미세 구조 연구, 특히 골지 염색법을 이용한 뉴런설 확립에 기여하여 190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신경해부학의 선구자이다. - 정신의학의 역사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정신의학의 역사 -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병리학자로,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 원섬유 엉킴을 발견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을 밝혀냈으며,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줄리언 제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줄리언 제인스 |
출생일 | 1920년 2월 27일 |
출생지 | 웨스트 뉴턴, 매사추세츠주, 미국 |
사망일 | 1997년 11월 21일 |
사망지 | 샬럿타운, 프린스에드워드 아일랜드주, 캐나다 |
직업 | 심리학자, 작가 |
웹사이트 | 줄리언 제인스 협회 |
학력 | |
대학 | 하버드 대학교 맥길 대학교 (BA) 토론토 대학교 예일 대학교 (MA, PhD) |
주요 저서 | |
저서 | 의식의 기원: 양원제의 붕괴 |
2. 생애
줄리언 제인스는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뉴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유니테리언주의 목사였다. 그는 하버드 대학에서 잠시 수학한 후 맥길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예일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수감 생활을 하기도 했다.
예일 대학 졸업 후 영국에서 배우 겸 극작가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돌아와 1966년부터 1990년까지 프린스턴 대학에서 심리학을 강의했다.[4] 그의 강의, 특히 의식에 관한 내용은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초기에는 동물 행동학과 비교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냈으며, 이후 의식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주력했다. 그는 자기 성찰과 지각을 명확히 구분해야 함을 강조하며, 의식이 언어와 문화를 통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제인스는 다양한 학회와 대학에서 초빙 강사로 활동했으며,[4] 1979년 로드아일랜드 대학교, 1985년 엘리자베스타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4] 또한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저널의 공동 편집자, "Journal of Mind and Behavior" 저널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
1997년 뇌출혈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0-1948)
줄리언 제인스는 1920년 2월 27일[4]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뉴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유니테리언주의 목사인 줄리언 클리포드 제인스였고, 어머니는 클라라 불라드 제인스였다. 그에게는 헬렌이라는 누나와 로버트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제인스 가족은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켑포치 킨록에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 곳은 제인스가 평생 캐나다와 인연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1939년 여름, 하버드 대학교 입학을 준비했으나 맥길 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게 되어 진학했고, 1941년 심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뇌 연구를 위해 토론토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학업이 중단되었다.
그는 유니테리언주의 원칙에 따라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 공식 인정을 받았지만, 미국 정부의 법률이 요구하는 평화주의적 대체 복무를 따르기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제인스는 펜실베이니아주 루이스버그의 교도소에서 3년간 복역하며 교도소 병원에서 근무했다.
1946년 석방된 후 그는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동물의 행동에서 의식의 시작에 대한 단서를 찾기를 희망했다. 제인스는 1948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고, 교육 자격에 대한 "원칙"에 대한 이견으로 다시 박사 학위 수여를 거부했다. 예일 대학교 졸업 후, 제인스는 영국에서 배우와 극작가로 몇 년을 보냈다.
2. 2. 영국 생활과 학문적 경력 (1948-1990)
예일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제인스는 영국으로 건너가 배우 겸 극작가로 활동했다.[4]1954년, 제인스는 다시 예일 대학교로 돌아와 1960년까지 강사로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실험 심리학, 학습, 동물 행동학 분야 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했으며, 특히 프랭크 A. 비치와 함께 여러 논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이후 제인스는 비교 심리학과 심리학사 분야로 연구 초점을 옮겼다.
1964년에는 프린스턴 대학교의 연구원이 되었다. 프린스턴에서 그는 저명한 심리학자 에드윈 G. 보링과 교류하며 가까운 친구가 되었고, 의식의 문제에 대해 깊이 탐구하기 시작했다. 프린스턴은 1995년까지 그의 학문적 기반이 되었지만, 그의 주요 강의 활동은 1966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졌다.[4]
프린스턴 대학교 재직 시절(1966-1990), 제인스는 심리학을 강의했으며, 특히 의식에 관한 그의 강의는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4] 그는 학문적 명성으로 인해 각종 학술 회의의 초빙 강사나 여러 대학의 외래 강사로 자주 초청받았으며, 인류학, 고고학, 철학, 영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연했다.
주요 대외 활동 및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984년: 오스트리아 키르히베르크에서 열린 비트겐슈타인 심포지엄 초청 기조 강연[4]
- 1985년: 6회의 주요 강연 진행[4]
- 1986년: 9회의 주요 강연 진행[4]
그는 두 차례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1979년: 로드아일랜드 대학교[4]
- 1985년: 엘리자베스타운 대학교[4]
학술 활동 외에도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저널의 공동 편집자 및 "Journal of Mind and Behavior" 저널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
2. 3. 연구 및 저술 활동 (1960-1997)
1954년부터 1960년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실험 심리학, 학습, 동물 행동학 분야에 기여했고, 프랭크 A. 비치와 공동으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이후 비교 심리학과 심리학사 연구에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1964년 프린스턴 대학교의 연구원이 되었다. 프린스턴은 1990년까지 그의 학문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곳에서 의식 문제 연구에 몰두할 시간을 가졌다.제인스는 의식 연구에 수년간 몰두했으며, 초기에는 20세기 중반의 진화론적 가설에 따라 동물과 인간이 공통으로 가진 학습 및 인지 과정에서 의식의 뿌리를 찾고자 했다. 그는 동물 학습과 자연 상태의 동물 행동 연구로 명성을 얻었고, 1968년에는 국립 과학 재단 하계 연구소에서 비교 심리학의 역사를 강의했다. 1969년 9월, 미국 심리학회 연례 회의에서 "의식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라는 제목으로 첫 공개 강연을 진행했다.
그의 "급진적인 접근 방식"은 자기 성찰 현상을 뇌의 생리적 작용보다는 문화와 언어, 특히 은유에 의존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이는 의식의 기원을 진화에서 찾으려는 당시의 주류 가정이나, 의식 문제를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도전적인 생각이었다. 제인스는 자기 성찰과 감각 지각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의식과 지각을 혼동하는 것"이 가장 흔한 오류라고 주장했다.
이후 제인스는 의식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며 고대 문헌 분석에 주목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 서사시인 ''일리아스''와 같은 초기 인류의 저작물에서 현대인과는 다른 정신 상태, 즉 환각적인 목소리를 신의 명령으로 듣던 상태의 증거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1976년, 그의 유일한 저서인 ''양원제 마음의 붕괴에서의 의식의 기원(The Origin of Consciousness in the Breakdown of the Bicameral Mind)''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의식이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언어, 특히 은유를 통해 학습되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고대 문헌과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의식이 기원전 2천년 경에 발생했으며, 그 이전에는 환각적 목소리가 행동을 지시했던 '양원제 마음'이라는 다른 정신 상태가 존재했다고 가설을 세웠다.
책 출판 이후 제인스는 여러 학회와 대학에서 초청 강연을 활발히 진행했다. 1984년에는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비트겐슈타인 심포지엄에서 기조 강연을 했다.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1979년 로드아일랜드 대학교, 1985년 엘리자베스타운 대학교에서 각각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4]
1990년에는 자신의 저서 개정판에 후기를 추가하여 비판에 답하고 이론을 명확히 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이 1) 의식은 언어에 기반하며 언어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2) 의식이 없는 양원제 마음은 언어적 환각에 기반한다, 3) 양원제 마음의 붕괴는 의식보다 먼저 발생하며 시기는 가변적이다, 4) 양원제의 '이중 뇌'는 오늘날의 뇌 기능의 측면 분화와 다른 방식으로 조직된 대뇌 반구에 기반한다는 네 가지 가설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했다. 또한 의식이 상상력, 기억, 자아, 감정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를 확장했다.
학술 활동 외에도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저널의 공동 편집자 및 "Journal of Mind and Behavior" 저널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
1997년, 뇌출혈로 사망했다.
2. 4. 말년 및 사망 (1990-1997)
1966년부터 프린스턴 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쳤던 제인스는 1990년에 퇴임했다.[4] 그는 1997년 11월 21일,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 샬럿타운의 퀸 엘리자베스 병원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2006년에 그의 전기를 쓴 우드워드와 타워는 제인스가 자신의 평생 작업에 대해 "진정으로 성공하지 못했다고 느꼈다"고 전했다. 그들은 제인스의 이러한 생각에 동의하며 "그의 책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 이해하지도 못한 채 그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3. 양원제 마음 이론
줄리언 제인스는 그의 대표 저서인 ''양원적 마음의 붕괴에서 나타난 의식의 기원''(1976)을 통해 양원제 마음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인간 의식이 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언어 능력의 발달과 함께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제인스에 따르면, 고대 인류는 오늘날과 같은 주관적 의식 대신 '양원제 마음(bicameral mind)'이라는 독특한 정신 상태를 가졌다. 이 상태에서는 환각처럼 들리는 내면의 목소리(신이나 조상의 명령으로 인식됨)에 따라 행동했다. 그는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이러한 양원제 마음이 붕괴되면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현대적 의식이 등장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은 출간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전히 중요한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3. 1. 주요 내용
줄리언 제인스는 그의 대표 저서인 ''양원적 마음의 붕괴에서 나타난 의식의 기원''에서 인간 의식의 기원에 대한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의식이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이 아니라, 언어, 특히 은유의 발달과 함께 후천적으로 학습된 행동이라고 주장했다.제인스는 고대 문헌과 고고학적 증거들을 분석하여, 대략 기원전 2천년 이전의 인간들은 오늘날 우리가 아는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보았다. 대신 그는 이 시기 인간의 정신 상태를 '양원제 마음(bicameral mind)'이라고 명명했다. 양원제 마음 상태에서는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가 지금과는 다르게 기능했다고 설명한다. 특히 우반구에서 생성되는 언어적 환각을 경험했으며, 고대인들은 이를 외부에서 들려오는 신이나 조상, 지도자의 목소리로 인식하고 그 명령에 따라 행동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자의 발명, 도시의 성장, 전쟁과 이주 등으로 인한 사회 구조의 복잡화 등 여러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겪으면서 양원제 마음은 점차 붕괴되기 시작했다고 제인스는 주장한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들에 직면하면서, 신의 목소리처럼 들리던 내면의 지침은 더 이상 명확하게 작동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인간은 내면의 목소리에 의존하는 대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발달시키게 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자기 성찰 능력을 갖춘 현대적 의식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즉, 의식은 양원제 마음의 붕괴라는 역사적 과정을 통해 발생한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라는 것이 제인스 이론의 핵심이다.
3. 2. 비판과 논쟁
의식과 양원제 마음에 관한 제인스의 이론은 매우 논쟁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찍이 철학자 네드 블록은 제인스가 의식의 출현과 의식이라는 개념의 출현을 혼동했다고 비판했다. 즉, 인간은 줄곧 의식이 있었지만, 의식이라는 개념이 없었으므로 그것을 글로 나타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니얼 데닛은 돈, 야구, 의식 같은 것은 우리가 그것에 대한 개념을 갖지 않고서는 그것을 가질 수 없다고 반박했다.[5]4. 유산 및 영향
제인스가 사망한 직후인 1997년, 마르셀 쿠이스텐은 '''줄리언 제인스 학회'''를 설립했다. 이 학회는 줄리언 제인스의 이론에 관한 여러 책을 출판했으며, 여기에는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로 번역된 책들도 포함된다. 또한 학회는 제인스의 이론에 대한 논문, 강연, 인터뷰 자료를 제공하는 회원 전용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Julian Jaynes Society
https://www.julianja[...]
2024-04-13
[2]
서적
The Origin of Consciousness in the Breakdown of the Bicameral Mind
[3]
서적
神々の沈黙―意識の誕生と文明の興亡
紀伊國屋書店
2005-04-06
[4]
서적
Reflections on the Dawn of Consciousness: Julian Jaynes's Bicameral Mind Theory Revisited
Julian Jaynes Society
2007
[5]
논문
"Julian Jaynes's Software Archeology"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