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지심체요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지심체요절》은 고려 말 승려 백운화상이 저술한 불교 서적으로, 금속활자본과 목판본이 존재한다. 금속활자본은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되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평가받아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한국으로의 반환 논쟁이 진행 중이다. 목판본은 1378년 백운화상의 제자들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직지심체요절은 불교 수행 지침서로서, 현대에도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영 및 직지상 제정 등 다양한 관련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품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은 8세기경 혜초가 인도와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를 여행하고 기록한 기행문으로, 일부 유실된 필사본만이 남아있지만 당시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료이다.
  • 1377년 책 - 무깟디마
    무깟디마는 아랍어로 "서문" 또는 "소개"를 의미하며, 특히 이븐 할둔의 《무깟디마》는 역사, 사회학, 경제학 등을 아우르는 백과사전적 저술이자 역사철학의 기초를 다진 책이다.
  • 1377년 책 - 로렌시아 연대기
    로렌시아 연대기는 11세기 초에 편집된 고대 동슬라브 연대기로, 1377년 라우렌티우스가 필사한 사본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852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을 다루며 12세기 북동부 루스 지역의 역사적 사건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 한국의 과학과 기술 -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은 우수 공학 기술인의 지위 향상, 산학연 연계 지원, 공학 기술 관련 연구 및 정책 제안을 수행하며, 공학 기술 발전에 기여한 기술자들에게 한국공학한림원상을 수여한다.
  • 한국의 과학과 기술 - 대한민국의 측정 단위
    대한민국의 측정 단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으며, 현재는 미터법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만 척관법의 잔재가 남아있어 미터법 완전 정착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직지심체요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미지
활자로 인쇄된 최초의 책의 페이지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이름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한자 이름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번호1132
소장 위치한국학중앙연구원
시대1377년 고려
지정일1992년 4월 20일
문화재청 번호12,11320000,31
불교 정보
관련된 주제불교
추가 정보
프랑스어 제목Manuscrits Orientaux
참고 문헌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Päk un (1298-1374). Auteur du texte
추가 정보 (네이버)
네이버 사전 링크직지심체요절

2. 명칭

정식 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며, 줄여서 ‘불조직지심체’(佛祖直指心體)라고도 한다. 판심제(版心題)는 ‘직지(直指)’ 또는 ‘심요(心要)’이다.[28] 흔히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또는 '직지(直指)'로 불리며, 영어권에서는 'Jikji'로 통용된다.

‘직지심경(直指心經)’이라고도 불리나, 불서(佛書) 중 직지는 (經)이 아닌 요절(要節)이므로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29]

3. 저자 및 내용

直指心體중국어는 ‘직지인심 견성성불’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善知識)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 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自淨)함을 깨닫고 늘 자수(自修)·자행(自行)하면 곧 불성(佛性)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신(法身)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이다.[28]

『직지』는 불교 승려 백운화상(1298~1374, 법명 경한)이 저술하였다. 백운화상은 1298년(고려 충렬왕 16년)에 태어나 중국에 건너가 불교를 배우고, 해주의 안국사와 신광사의 주지를 역임한 뒤, 1374년(고려 공민왕 23년)에 여주의 취암사에서 입적하였다. 1372년 성불산에서 『직지심체요절』 상하권을 완성하였다.[7]

1351년 5월, 백운화상은 중국 불교 스승 석옥의 가르침을 구하였다. 석옥으로부터 『불경지심체요절』의 첫 권을 받은 후 불교 가르침을 실천하기 시작하였다. 백운화상은 또한 인도 고승 지공화상의 가르침을 받았다.[7]

『직지심체요절』은 역대 가장 존경받는 불교 승려들의 논고를 발췌한 모음집이다. 백운이 고려(918~1392) 왕조 시대, 당시 국교였던 불교 수행자들을 위한 지침서로 편찬했다. 이 책은 일본의 선종 불교의 전신인 한국 선종의 핵심 내용을 제시한다.

『직지심체요절』은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판본

《직지심체요절》에는 금속활자본 외에도 목판본이 있다. 간기(刊記)에 따르면 목판본은 1378년(우왕 4년) 6월, 여주(驪州) 취암사에서 백운(白雲) 화상의 제자인 법린(法隣)에 의해 간행되었다. 이 목판본은 1377년 흥덕사에서 간행된 금속활자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1377년 성사(成士)들이 쓴 서문을 그대로 사용하고, 앞부분에 1378년 이색이 쓴 서문을 추가하여 간행하였다.

흥덕사 금속활자본과 달리 취암사 목판본은 닥나무 종이에 인쇄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15.8cm, 세로 21.4cm이다. 지방 사찰의 금속활자 인쇄술이 미숙하여 많이 인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목판으로 다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유사한 판본이 있지만,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이 인쇄 상태가 좋고 두 개의 서문이 있어 더 완전하다.

4. 1. 금속활자본

1377년(우왕 3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 상·하 2권 중 하권 1책(첫 장 결락)만 전해지며,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9] 19세기 말 주한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가 수집하여 프랑스로 가져갔다.[29] 1972년 박병선 박사에 의해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임이 밝혀졌고,[29] 2001년 9월 4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30][31]

금속활자본의 크기는 24.6cm × 17cm이며, 종이는 얇고 희다. 줄이 비뚤고, 먹색의 농담 차이가 크며, 번짐과 얼룩이 나타나는 등 인쇄 상태가 고르지 않다.

금속활자 인쇄 과정은 다음과 같다.[32]

# 글자본 선정

# 자본 붙이기

# 어미자 만들기

# 밀랍 가지 만들기

# 주형(거푸집 만들기)

# 쇳물붓기

# 완성된 주조 활자

# 활자 다듬기

# 조판

# 인쇄하기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청주시 주도로 고려시대 금속활자 복원 사업이 진행되어, 총 3만 1200자의 활자가 복원되었다.

금속활자본. 현재는 프랑스에 있다

4. 2. 목판본

1378년(우왕 4) 6월,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에서 제자 법린(法麟) 등이 금속활자본을 바탕으로 간행하였다. 금속활자본의 성사달 서문을 그대로 사용하고, 앞부분에 이색의 서문을 추가하였다.[26]

닥종이에 찍은 2권 1책으로, 크기는 세로 21.4cm, 가로 15.8cm이다. 지방 사찰의 금속활자 인쇄술이 미숙하여 인출 부수에 제한을 받아 많이 찍어 널리 퍼뜨릴 수 없었기 때문에 금속활자본을 다시 목판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과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판본이 있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이 인쇄 상태가 좋고 두 개의 서문이 있어 완전한 형태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은 1992년 4월 20일 보물 제1132호로 지정되었다.[33]

5. 소장 및 반환 논쟁

1377년(우왕 3) 청주 흥덕사에서 상, 하 2권으로 간행되었으나, 현재 하권 1책(첫 장 결락)만이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9] 19세기 말 주한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가 수집하여 프랑스로 가져갔으며, 1911년 경매에서 골동품 수집가 앙리 베베르에게 180FRF에 낙찰되었다.[29] 1950년 베베르의 유증으로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기증되었다.[29]

1972년 박병선 박사에 의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으로 밝혀졌고, 같은 해 유네스코 ‘세계 도서의 해’ 기념 도서 박람회에 공개되었다.[29] 2001년 9월 4일 승정원일기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30][31]

한국과 프랑스 간에는 《직지》의 소유권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21] 프랑스 국립도서관은 《직지》가 인류 공동의 유산이며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고, 프랑스에서 더 잘 보존 및 전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한국에서는 《직지》가 한국에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가지므로 원 소장국으로 반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7]

병인양요 때 약탈된 외규장각 도서와 달리, 《직지》는 플랑시가 합법적으로 수집했기 때문에 반환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견해도 있다.[29]

6. 《직지》 이전의 금속활자 (논란)

이규보의 시집 《동국이상국집》에는 고종 21년(1234년)에 최윤의가 편찬한 《상정고금예문》이 활자로 출판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한국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으나, 《상정고금예문》은 현존하지 않는다.

2010년, 고려시대 불교서적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인쇄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금속활자 12개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활자는 발견자에 의해 “증도가자”로 명명되었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는 현재 목판으로 복각한 책(1239년 인쇄)만 남아 있으며, 만약 “증도가자”가 목판본의 원본이 된 금속활자본 인쇄에 사용된 실물이었다면, 이것은 고려의 금속활자술 유물로서 직지심체요절보다 적어도 138년 앞선 것이다. 그러나, 출토지나 전래 경위가 알려지지 않은 채 골동품상과 수집가들 사이를 유통되어 왔기 때문에, 연대와 진위를 둘러싸고 논쟁이 계속되었다.[22][23]

2015년에 “증도가자”를 컴퓨터단층촬영한 결과, 내부와 외부에서 밀도와 성분의 차이가 확인되어 현대에 제작된 위조 활자로 판명되었다.[24] 또한, 같은 해 11월에 열린 한국서지학회 추계 공동학술대회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014년에 간행한 활자 조사 보고서인 《증도가자기초학술조사연구》에서 활자 하나의 성분 분석 결과 테크네튬이 포함되어 있었고, 원래라면 검출되어야 할 이 없었던 것이 지적되면서, 활자 제작 연대의 진위와 보고서의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25]

2017년에 한국 문화재청이 서체 비교 및 주조·조판을 검증한 결과, “증도가” 인쇄에 사용된 금속활자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없다고 발표했다.

7. 현대의 직지 관련 사업

청주고인쇄박물관은 2000년부터 《직지심체요절》을 중심 테마로 삼아 운영되고 있다.[34] 2004년 유네스코(UNESCO)는 《직지》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등재를 기념하여 직지 세계기록유산상을 제정했다.[11]

고인쇄박물관은 '직지 글로벌 웹사이트 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2020년 9월 '직지코리아 페스티벌' 기간에 맞춰 웹사이트를 공개했다. 이 웹사이트에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등 11개 언어로 《직지》 관련 정보가 제공된다.[34]

참조

[1] 웹사이트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vol.II), the second volume of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Seon Teachings" http://www.unesco.or[...] 2011-06-01 # approximated from "accessed June 2011"
[2] 웹사이트 Memory of the World http://www.unesco.or[...] 2009-11-01 # approximated from "accessed November 2009"
[3] 서적 Michelin Green Guide South Korea Michelin Guide
[4] 웹사이트 Jikji: An Invaluable Text of Buddhism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7-02-09
[5] 서적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Päk un (1298-1374). Auteur du texte https://gallica.bnf.[...]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20-10-18
[6] 웹사이트 직지심체요절 https://terms.naver.[...] 2021-03-28
[7] 웹사이트 청주고인쇄박물관 - 직지란? https://www.cheongju[...] 2022-10-11
[8] 웹사이트 직지심체요절 https://terms.naver.[...] 2019-10-16
[9]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movable metal type: Goryeo technology and wisdom https://artsandcultu[...] 2023-11-08
[10] 웹사이트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vol.II), the second volume of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Zen Teachings" https://www.unesco.o[...] 2023-11-08
[11] 웹사이트 Jikji Prize ceremony to be held next week in Cheongju, Republic of Korea https://www.unesco.o[...] 2023-11-08
[12] 웹사이트 청주시 '직지' 상권도 복원 착수 http://www.dynews.co[...] 2022-10-05
[13] 웹사이트 佛국립도서관에 '직지'보다 앞선 고서 있다…유일본 여럿 확인 https://n.news.naver[...] 2022-10-11
[14] 웹사이트 직지 금속활자 옛 주조방식 그대로 복원 https://www.hankooki[...] 2022-10-05
[15] 웹사이트 직지심체요절구결(直指心體要節口訣) http://encykorea.aks[...] 2022-10-11
[16] 웹사이트 jabi doryang chambeop jihae (A Collection of Commentaries on the Repentance Ritual of Great Compassion https://artsandcultu[...] 2023-05-23
[17] 웹사이트 http://www.cceia.org[...] 2010-08-21
[18] 웹사이트 The Jikji Prize Award Ceremony in Cheongju—September 12, 2013 http://richardpennin[...] 2013-09-13
[19] 뉴스 Ancient Korean royal books welcomed back home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2-04-23
[20] 간행물 Joseon Royal Books Return Home after 145 Years in France http://www.koreana.o[...] The JoongAng Ilbo
[21] 웹사이트 http://www.cceia.org[...]
[22] 뉴스 證道歌字、最古金属活字認定‘2%不足’ - ナム・クォンヒ教授 決定的物証出せず 炭素年代推定も金属では不可能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0-09-03
[23] 뉴스 「最も古い金属活字の証拠」証道歌字の11字を追加公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7-17
[24] 뉴스 「最古の金属活字?」 証道歌字はにせ物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5-10-27
[25] 뉴스 「世界最古の金属活字」が20世紀の人工元素を含有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5-11-16
[26] 웹사이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 http://seongnam.gran[...]
[27] 두피디아 불조직지심체요절
[28] 웹사이트 불조직지심체요절 https://terms.naver.[...]
[29] 뉴스 한국문헌사의 쟁점―③ 직지의 고단한 여정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05-17
[30] 뉴스 `직지`.`승정원일기'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31] 뉴스 직지심체요절.승정원일기 '유네스코 기록유산'에 등재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32] 웹인용 청주고인쇄박물관 - 직지 인쇄과정 https://cheongju.go.[...] 2020-07-19
[33] 웹사이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http://www.heritage.[...]
[34] 뉴스인용 '직지' 11개국 언어로 재탄생... 청주시 웹사이트 구축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