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연호는 고대 국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연도 표기 방식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고구려는 영락, 신라는 건원, 발해는 인안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으며, 장안국, 후백제, 후고구려(태봉), 흥료국, 대발해 등에서도 연호가 사용되었다. 고려는 초기에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다가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조선은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대한제국에서 광무, 융희의 연호를 사용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연호가 사용되었고,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을 기원으로 하는 연호와 단군기원을 거쳐 서력기원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일성의 출생년을 기원으로 하는 주체 연호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호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연호 - 서력 기원
서력 기원은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예수 성육신을 기준으로 제정한 연대 계산법으로, 오류 논란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종교적 중립성을 위해 CE/BCE 표기가 확산되고 있다. - 한국의 정치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국의 정치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한국의 연호 - 주체연호
주체연호는 북한에서 김일성 출생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사용하는 연호였으나, 2024년 10월 노동신문에서 그레고리력만 사용하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 한국의 연호 - 건양
건양은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도입된 조선의 연호로, 서양식 역법 도입과 근대 국가 체제로의 이행을 상징하며 대한제국 수립과 함께 폐지되었지만, 조선 근대화 과정의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한국의 연호 | |
---|---|
연호 정보 | |
정의 | 군주가 통치 기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칭호 |
기원 | 중국 |
사용 국가 |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
역사 | |
시작 | 한무제 (기원전 140년) |
목적 | 통치자의 권위를 확립하고 시대를 구분 |
영향 |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 |
특징 | 군주가 직접 결정 변경 가능 |
한국의 연호 | |
시작 | 고구려 광개토왕 (391년) |
사용 국가 | 고구려 신라 발해 태봉 고려 대한제국 |
중단 | 1910년 대한제국 멸망과 함께 중단 |
부활 시도 | 1948년 제헌 국회에서 연호 부활 논의 1961년 재논의 |
현재 | 대한민국에서는 서력기원 사용 |
일본의 연호 | |
현재 | 현재도 사용 중 |
베트남의 연호 | |
현재 |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
2. 고대 국가의 연호
고조선 시대의 연호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한반도 역사상 최초로 연호를 사용한 기록은 고구려 광개토왕 때 사용된 영락永樂|중국어으로, 이는 연호를 기년으로 사용한 것이 기록으로 전하는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1] 백제의 칠지도 명문 등을 통해 볼 때, 고구려 외 다른 고대 국가에서도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현재까지 명확하게 전해지는 기록은 부족하다. 삼국 시대 (한반도)를 포함한 고대 국가들의 구체적인 연호 사용 내역은 이어지는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고구려
고구려는 한국 역사상 최초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국가이다.- 영락(永樂): 광개토왕 재위 기간인 391년부터 412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독자 연호이다.
- 연수(延壽): '연수원년명금석문'에서 확인된 연호로, 451년 또는 511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
- 영강(永康): '영강7년명주형광배'에서 확인된 연호로, 396년, 418년, 470년, 483년 또는 551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
- 건흥(建興): '건흥5년명금동석가삼존불'에서 확인된 연호로, 476년, 536년 또는 596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
- 연가(延嘉): '연가7년명금동불상'에서 확인된 연호로, 479년 또는 539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 특히 연가 7년(기미년) 명문이 새겨진 금동 여래 입상이 발견되어 539년 사용설이 제기되었다.[6][7]

아래는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 목록이다.
연호 | 사용 기간 | 사용 연수 | 비고 |
---|---|---|---|
광개토왕(재위: 391–413) | |||
영락(永樂) | 391–412 | 22년 | 한국 최초의 독자 연호 |
장수왕(재위: 413–491) | |||
연수(延壽) | 451–? | 미상 | 연수원년명금석문에서 확인 |
사용 시기 및 여부 논란 | |||
영강(永康) | 미상 | 미상 | 영강7년명주형광배에서 확인. 영강 7년은 396년, 418년, 483년 또는 551년 등으로 추정.[8] |
건흥(建興) | 미상 | 미상 | 건흥5년명금동석가삼존불에서 확인. 건흥 5년은 476년, 536년 또는 596년 등으로 추정.[8] |
연가(延嘉) | 미상 | 미상 | 연가7년명금동불상에서 확인. 연가 7년은 479년 또는 539년 등으로 추정.[8] |
2. 2. 신라
신라는 법흥왕 때인 536년부터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연호 | 한자 | 사용 기간 | 사용 왕 | 비고 |
---|---|---|---|---|
건원 | 建元 | 536년 ~ 551년 | 법흥왕, 진흥왕 | 신라 최초의 독자 연호 |
개국 | 開國 | 551년 ~ 568년 | 진흥왕 | |
대창 | 大昌 | 568년 ~ 572년 | 진흥왕 | |
홍제 | 鴻濟 | 572년 ~ 584년 |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 |
건복 | 建福 | 584년 ~ 633년 | 진평왕, 선덕여왕 | |
인평 | 仁平 | 634년 ~ 647년 | 선덕여왕 | |
태화 | 太和 | 647년 ~ 650년 | 진덕여왕 |
650년부터는 당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822년 김헌창이 난을 일으켜 왕을 자칭하며 경운(慶雲)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일부 기록에는 경원(慶元)으로도 나타난다. 이 연호는 김헌창의 아들 김범문 대까지 총 4년간 사용되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이후에는 국제 정세와 신라 내부의 혼란으로 인해 연호 사용이 명확하지 않으나, 후량과 후당의 연호를 사용한 기록이 확인된다.
2. 3. 발해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발해에서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연호 | 한자 | 사용 왕 | 사용 기간 |
---|---|---|---|
인안 | 仁安 | 무왕 | 719년 ~ 736년 |
대흥 | 大興 | 문왕 | 737년 ~ 793년 |
보력 | 寶曆 | 문왕 | 774년 ~ 781년? |
중흥 | 中興 | 성왕 | 794년 ~ 795년 |
정력 | 正曆 | 강왕 | 796년 ~ 808년 |
영덕 | 永德 | 정왕 | 809년 ~ 812년 |
주작 | 朱雀 | 희왕 | 813년 ~ 817년 |
태시 | 太始 | 간왕 | 817년 ~ 818년 |
건흥 | 建興 | 선왕 | 819년 ~ 830년 |
함화 | 咸和 | 대이진 | 831년 ~ 858년 |
함화 연호 이후 발해의 연호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일부 족보나 위서 논란이 있는 기록에서 고왕 때 천통(天統)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는 등의 주장이 있으나, 한국사학계에서는 이를 신빙성 없는 기록으로 판단하고 있다.
2. 3. 1. 흥료국
대연림이 흥료국을 세우고 1029년부터 1030년까지 사용한 연호는 천경天慶중국어이다. 다만, 고려사에는 이 연호가 천경 대신 '''천흥'''天興중국어으로 기록되어 있다.2. 3. 2. 대발해
융기(隆基)는 1115년부터 1116년까지 고영창이 대발해를 세우고 사용한 연호이다.2. 4. 후백제
후백제는 정개( 正開|정개한국어 )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이 연호는 900년부터 936년까지 총 37년간 사용되었다. 견훤이 900년부터 935년까지 사용하였고, 이후 왕위를 계승한 신검 역시 936년까지 이어서 사용하였다.2. 5. 후고구려 (태봉)
후고구려 (태봉)의 건국자인 궁예는 다음과 같은 연호를 사용하였다.연호 (한자) | 사용 기간 | 햇수 |
---|---|---|
궁예 (재위: 901년–918년) | ||
무태 (武泰) | 904년–905년 | 2년 |
성책 (聖冊) | 905년–911년 | 7년 |
수덕만세 (水德萬歲) | 911년–914년 | 4년 |
정개 (政開) | 914년–918년 | 5년 |
고려는 건국 초기에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적인 국가 의식을 드러냈으나, 이후 주변 정세 변화에 따라 중국 왕조의 연호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3. 고려 시대
태조는 918년부터 933년까지 16년간 천수(天授)라는 독자 연호를 사용했다. 그러나 태조 말년인 933년부터는 중국 오대(五代) 왕조인 후당의 연호(장흥, 응순, 청태)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 후진의 연호(천복, 개운)와 후한의 연호(건우)를 이어 사용했다.
광종은 즉위 후 949년부터 952년까지 광덕(光德)이라는 독자 연호를 사용하며 황제국 체제를 지향했으나, 이후 후주의 연호(광순, 현덕)를 사용했다. 960년에는 다시 준풍(峻豊)이라는 독자 연호를 선포하여 963년까지 사용했지만, 이후로는 북송의 연호(건덕, 개보)를 사용했다.
광종 이후 고려는 송, 요, 금, 원, 명 등 중국 왕조의 연호를 주로 사용했다. 특히 993년 거란의 침입 이후 요나라의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국제 정세에 따라 요와 송의 연호를 번갈아 사용하기도 했다. 요나라 멸망 후에는 금나라의 연호를 사용했고, 원 간섭기(1259년 이후)에는 원나라의 연호를 사용했다. 고려 말기 공민왕 대에는 원나라와 북원의 연호를 함께 사용하다가 명나라 건국 이후로는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우왕 대에는 잠시 북원의 연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 시대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연호 사용 기간 사용 기간 (연) 비고 태조 (918–943) 천수(天授) 918–933 16년 고려의 독자 연호 장흥(長興) 933 10개월 중국 후당 연호 응순(應順) 934 4개월 중국 후당 연호 청태(淸泰) 934–938 5년 중국 후당 연호 천복(天福) 938–943 6년 중국 후진 연호 혜종 (943–945) 천복(天福) 944 7개월 중국 후진 연호 개운(開運) 944–945 2년 중국 후진 연호 정종 (945–949) 개운(開運) 946–948 3년 중국 후진 연호 건우(乾祐) 948–949 2년 중국 후한 연호 광종 (949–975) 광덕(光德) 949–952 4년 고려의 독자 연호 광순(廣順) 952–954 3년 중국 후주 연호 현덕(顯德) 954–960 7년 중국 후주 연호 준풍(峻豊) 960–963 4년 고려의 독자 연호 건덕(乾德) 963–968 6년 중국 북송 연호 개보(開寶) 968–975 8년 중국 북송 연호 경종 (975–981) 개보(開寶) 976 1년 중국 북송 연호 태평흥국(太平興國) 976–981 6년 중국 북송 연호 성종 (981–997) 태평흥국(太平興國) 982–984 3년 중국 북송 연호 옹희(雍熙) 984–987 4년 중국 북송 연호 단공(端拱) 988–989 2년 중국 북송 연호 순화(淳化) 990–994 5년 중국 북송 연호 통화(統和) 994–997 4년 중국 요나라 연호 목종 (997–1009) 통화(統和) 998–1009 12년 중국 요나라 연호 현종 (1009–1031) 통화(統和) 1010–1012 3년 중국 요나라 연호 개태(開泰) 1012–1015 4년 중국 요나라 연호 대중상부(大中祥符) 1016 1년 중국 북송 연호 천희(天禧) 1017–1022 6년 중국 북송 연호 건흥(乾興) 1022 3개월 중국 북송 연호 태평(太平) 1022–1031 10년 중국 요나라 연호 덕종 (1031–1034) 태평(太平) 1032–1034 3년 중국 요나라 연호 정종 (1034–1046) 태평(太平) 1035–1038 4년 중국 요나라 연호 중희(重熙) 1038–1046 9년 중국 요나라 연호 문종 (1046–1083) 중희(重熙) 1047–1055 9년 중국 요나라 연호 청녕(淸寧) 1055–1064 10년 중국 요나라 연호 함옹(咸雍) 1065–1074 10년 중국 요나라 연호 대강(大康) 1075–1082 8년 중국 요나라 연호 순종 (1083) 대강(大康) 1083 1년 중국 요나라 연호 선종 (1083–1094) 대강(大康) 1084 1년 중국 요나라 연호 대안(大安) 1085–1094 10년 중국 요나라 연호 헌종 (1094–1095) 수창(壽昌) 1095 1년 중국 요나라 연호 숙종 (1095–1105) 수창(壽昌) 1096–1101 6년 중국 요나라 연호 건통(乾統) 1101–1105 5년 중국 요나라 연호 예종 (1105–1122) 건통(乾統) 1106–1110 5년 중국 요나라 연호 천경(天慶) 1111–1116 6년 중국 요나라 연호 인종 (1122–1146) 황통(皇統) 1141–1146 6년 중국 금 연호 의종 (1146–1170) 황통(皇統) 1147–1149 3년 중국 금 연호 천덕(天德) 1149–1153 5년 중국 금 연호 정원(貞元) 1153–1156 4년 중국 금 연호 정륭(正隆) 1156–1161 6년 중국 금 연호 대정(大定) 1161–1170 10년 중국 금 연호 명종 (1170–1197) 대정(大定) 1171–1189 19년 중국 금 연호 명창(明昌) 1190–1196 7년 중국 금 연호 승안(承安) 1196–1197 2년 중국 금 연호 신종 (1197–1204) 승안(承安) 1198–1200 3년 중국 금 연호 태화(泰和) 1201–1204 4년 중국 금 연호 희종 (1204–1211) 태화(泰和) 1205–1208 4년 중국 금 연호 대안(大安) 1209–1211 3년 중국 금 연호 강종 (1211–1213) 숭경(崇慶) 1212–1213 2년 중국 금 연호 지녕(至寧) 1213 5개월 중국 금 연호 정우(貞祐) 1213 3개월 중국 금 연호 고종 (1213–1259) 정우(貞祐) 1214–1224 11년 중국 금 연호 원종 (1260–1274) 중통(中統) 1260–1264 5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원(至元) 1264–1274 11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렬왕 (1274–1308) 지원(至元) 1275–1294 20년 중국 원나라 연호 원정(元貞) 1295–1297 3년 중국 원나라 연호 대덕(大德) 1297–1307 11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대(至大) 1308 1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선왕 (1308–1313) 지대(至大) 1309–1311 3년 중국 원나라 연호 황경(皇慶) 1312–1313 2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숙왕 (1313–1330) 연우(延祐) 1314–1320 7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치(至治) 1321–1323 4년 중국 원나라 연호 태정(泰定) 1324–1328 5년 중국 원나라 연호 치화(致和) 1328 8개월 중국 원나라 연호 천순(天順) 1328 1개월 중국 원나라 연호 천력(天曆) 1328–1330 3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순(至順) 1330 8개월 중국 원나라 연호 충혜왕 (1330–1332) 지순(至順) 1331–1332 2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숙왕 (복위, 1332–1339) 지순(至順) 1332–1333 2년 중국 원나라 연호 원통(元統) 1333–1335 3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원(至元) 1335–1339 5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혜왕 (복위, 1339–1344) 지원(至元) 1340 1년 중국 원나라 연호 지정(至正) 1341–1344 4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목왕 (1344–1348) 지정(至正) 1345–1348 4년 중국 원나라 연호 충정왕 (1349–1351) 지정(至正) 1349–1351 3년 중국 원나라 연호 공민왕 (1351–1374) 지정(至正) 1352–1369 18년 중국 원나라와 북원 연호 홍무(洪武) 1370–1374 5년 중국 명나라 연호 우왕 (1374–1388) 홍무(洪武) 1375–1377 3년 중국 명나라 연호 선광(宣光) 1377–1378 2년 중국 북원 연호 홍무(洪武) 1378–1388 11년 중국 명나라 연호 창왕 (1388–1389) 홍무(洪武) 1388–1389 2년 중국 명나라 연호 공양왕 (1389–1392) 홍무(洪武) 1389–1392 4년 중국 명나라 연호
3. 1. 대위국
천개( 天開|천개kor )는 1135년 묘청이 서경(현재의 평양)에서 대위국(大爲國)을 세우고 사용한 연호이다. 이 연호는 1135년부터 1136년까지 약 1년간 사용되었다.
4. 조선 시대
조선은 건국 초부터 명나라에 사대하여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1636년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복속하면서 청나라의 연호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전까지 조선은 원칙적으로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하여 사용하지 않았다. 다만, 중국 연호와 함께 '갑자', '을축' 같은 간지(干支)를 병기하거나, 왕의 묘호와 재위년수를 사용하여 '태조 원년', '정조 15년', '금상(今上) 5년'과 같이 표기하는 조선 독자적인 기년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청나라 연호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명나라의 마지막 연호인 숭정(崇禎)을 숭정기원후와 같은 형태로 19세기까지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청나라에 대한 반감과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키려는 당시 조선 지배층의 인식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조선 말 고종 대에 이르러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 개국기년(開國紀年): 1894년부터 1895년까지 사용되었다. 조선 건국 연도인 1392년을 원년(개국 1년)으로 삼는 기년법으로, 엄밀한 의미의 연호는 아니다.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에는 이미 1876년(고종 13년)부터 "조선개국 485년"과 같이 개국기년을 사용한 기록이 나타난다. 공식적으로 사용된 1894년은 개국 503년에 해당한다.
- 건양(建陽): 1896년부터 1897년까지 사용된 고종의 연호이다.
연호 | 사용 기간 | 사용 햇수 | 비고 |
---|---|---|---|
태조 (재위: 1392년~1398년) | |||
홍무(洪武) | 1392년~1398년 | 7년 | 명나라 연호 |
정종 (재위: 1398년~1400년) | |||
건문(建文) | 1399년~1400년 | 2년 | 명나라 연호 |
태종 (재위: 1400년~1418년) | |||
건문(建文) | 1401년~1402년 | 2년 | 명나라 연호 |
홍무(洪武) | 1402년 | 7개월 | 명나라 연호. 정난의 변으로 건문 연호 폐지 후 홍무 연호 잠시 사용. |
영락(永樂) | 1403년~1418년 | 16년 | 명나라 연호 |
세종 (재위: 1418년~1450년) | |||
영락(永樂) | 1419년~1424년 | 6년 | 명나라 연호 |
홍희(洪熙) | 1425년 | 1년 | 명나라 연호 |
선덕(宣德) | 1426년~1435년 | 10년 | 명나라 연호 |
정통(正統) | 1436년~1449년 | 14년 | 명나라 연호 |
경태(景泰) | 1450년 | 1년 | 명나라 연호 |
문종 (재위: 1450년~1452년) | |||
경태(景泰) | 1451년~1452년 | 2년 | 명나라 연호 |
단종 (재위: 1452년~1455년) | |||
경태(景泰) | 1453년~1455년 | 3년 | 명나라 연호 |
세조 (재위: 1455년~1468년) | |||
경태(景泰) | 1455년~1457년 | 3년 | 명나라 연호 |
천순(天順) | 1457년~1464년 | 8년 | 명나라 연호.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 폐위 후 복위한 영종의 연호. |
성화(成化) | 1465년~1468년 | 4년 | 명나라 연호 |
예종 (재위: 1468년~1469년) | |||
성화(成化) | 1469년 | 1년 | 명나라 연호 |
성종 (재위: 1469년~1494년) | |||
성화(成化) | 1470년~1487년 | 18년 | 명나라 연호 |
홍치(弘治) | 1488년~1494년 | 7년 | 명나라 연호 |
연산군 (재위: 1494년~1506년) | |||
홍치(弘治) | 1495년~1505년 | 11년 | 명나라 연호 |
정덕(正德) | 1506년 | 9개월 | 명나라 연호 |
중종 (재위: 1506년~1544년) | |||
정덕(正德) | 1506년~1521년 | 16년 | 명나라 연호 |
가정(嘉靖) | 1522년~1544년 | 23년 | 명나라 연호 |
인종 (재위: 1544년~1545년) | |||
가정(嘉靖) | 1545년 | 1년 | 명나라 연호 |
명종 (재위: 1545년~1567년) | |||
가정(嘉靖) | 1546년~1566년 | 21년 | 명나라 연호 |
융경(隆慶) | 1567년 | 1년 | 명나라 연호 |
선조 (재위: 1567년~1608년) | |||
융경(隆慶) | 1568년~1572년 | 5년 | 명나라 연호 |
만력(萬曆) | 1573년~1608년 | 36년 | 명나라 연호 |
광해군 (재위: 1608년~1623년) | |||
만력(萬曆) | 1609년~1620년 | 12년 | 명나라 연호 |
태창(泰昌) | 1620년~1621년 | 4개월 | 명나라 연호 |
천계(天啓) | 1621년~1623년 | 3년 | 명나라 연호 |
인조 (재위: 1623년~1649년) | |||
천계(天啓) | 1623년~1627년 | 5년 | 명나라 연호 |
숭정(崇禎) | 1628년~1637년 | 10년 | 명나라 연호. 1637년 청나라에 항복한 이후에도 조선 왕실 내부 및 민간에서 숭정기원후 형태로 19세기까지 비공식적으로 사용됨. |
숭덕(崇德) | 1637년~1643년 | 7년 | 청나라 연호. 병자호란 이후 사용. |
순치(順治) | 1644년~1649년 | 6년 | 청나라 연호 |
효종 (재위: 1649년~1659년) | |||
순치(順治) | 1650년~1659년 | 10년 | 청나라 연호 |
현종 (재위: 1659년~1674년) | |||
순치(順治) | 1660년~1661년 | 2년 | 청나라 연호 |
강희(康熙) | 1662년~1674년 | 13년 | 청나라 연호 |
숙종 (재위: 1674년~1720년) | |||
강희(康熙) | 1675년~1720년 | 46년 | 청나라 연호 |
경종 (재위: 1720년~1724년) | |||
강희(康熙) | 1721년~1722년 | 2년 | 청나라 연호 |
옹정(雍正) | 1723년~1724년 | 2년 | 청나라 연호 |
영조 (재위: 1724년~1776년) | |||
옹정(雍正) | 1725년~1735년 | 11년 | 청나라 연호 |
건륭(乾隆) | 1736년~1776년 | 41년 | 청나라 연호 |
정조 (재위: 1776년~1800년) | |||
건륭(乾隆) | 1777년~1795년 | 19년 | 청나라 연호 |
가경(嘉慶) | 1796년~1800년 | 5년 | 청나라 연호 |
순조 (재위: 1800년~1834년) | |||
가경(嘉慶) | 1801년~1820년 | 20년 | 청나라 연호 |
도광(道光) | 1821년~1834년 | 14년 | 청나라 연호 |
헌종 (재위: 1834년~1849년) | |||
도광(道光) | 1835년~1849년 | 15년 | 청나라 연호 |
철종 (재위: 1849년~1864년) | |||
도광(道光) | 1850년 | 1년 | 청나라 연호 |
함풍(咸豊) | 1851년~1861년 | 11년 | 청나라 연호 |
동치(同治) | 1862년~1863년 | 2년 | 청나라 연호 |
고종 (재위: 1864년~1897년; 조선 국왕) | |||
동치(同治) | 1864년~1874년 | 10년 | 청나라 연호 |
광서(光緖) | 1875년~1894년 | 20년 | 청나라 연호. 갑오개혁으로 청나라 연호 사용 중단. |
개국(開國) | 1894년~1895년 | 2년 | 조선 독자 기년법. 1392년을 개국 원년으로 함 (1894년은 개국 503년). |
건양(建陽) | 1896년~1897년 | 2년 | 조선 독자 연호. |
5. 대한제국
조선 말기 갑오개혁 이후 청나라의 연호를 폐지하고 개국 기원(紀元)을 사용하였으며, 1896년에는 건양(建陽) 연호를 제정하였다. 이후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고종은 독자적인 연호인 광무( 光武|광무한국어 )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대한제국이 청나라와의 사대 관계를 청산하고 자주독립 국가임을 선언하는 상징적인 조치 중 하나였다. 고종과 그의 뒤를 이은 순종은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 병합될 때까지 다음과 같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광무 ( 光武|광무한국어 ):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며 제정한 연호로, 1897년부터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한 1907년까지 11년간 사용되었다. 광무 원년(1897년) 10월에는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융희 ( 隆熙|융희한국어 ): 고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순종이 사용한 연호로, 1907년부터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국권을 상실하는 1910년까지 4년간 사용되었다.
연호 | 한자 표기 | 사용 황제 | 재위 기간 | 연호 사용 기간 | 사용 햇수 |
---|---|---|---|---|---|
광무 | 光武|광무한국어 | 고종 | 1897년 ~ 1907년 | 1897년 ~ 1907년 | 11년 |
융희 | 隆熙|융희한국어 | 순종 | 1907년 ~ 1910년 | 1907년 ~ 1910년 | 4년 |
6. 일제강점기
연호 | 한자 | 사용 기간 | 사용 햇수 | 비고 |
---|---|---|---|---|
명치 | 明治 | 1910년 ~ 1912년 | 3년 | 메이지 천황의 연호. 1910년은 메이지 43년이었다. |
대정 | 大正 | 1912년 ~ 1926년 | 15년 | 다이쇼 천황의 연호. |
소화 | 昭和 | 1926년 ~ 1945년 | 20년 | 쇼와 천황의 연호. |
7.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大韓民國): 1948년 8월 16일부터 같은 해 9월 24일까지 사용되었다. 원년은 1919년으로, 이는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연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9] 이는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단군기원''' (檀君紀元, 약칭 단기): 1948년 9월 25일부터 1961년 12월 31일까지 사용되었다.[10]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전해지는 해(기원전 2333년)를 원년으로 삼는다. 1948년은 단기 4281년에 해당한다.
- '''서력기원''' (西曆紀元, 약칭 서기): 1962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11][12] 1961년 12월, '연호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단군기원 사용을 폐지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서력기원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일성의 출생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하는 주체연호를 1997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주체 연호는 김일성의 출생일인 1912년 4월 15일을 주체 1년으로 삼는 방식으로, 그레고리력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주체 0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역법은 1997년에 도입되었으며, 월은 그레고리력과 동일하다.
주체 연도는 서기 연도와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판물에서는 보통 '주체 OOO(YYYY)년'과 같이 주체 연도 뒤 괄호 안에 서기 연도를 병기하는 형식을 사용한다. (예: ''주체 113(2024)년'')
9. 기타
참조
[1]
서적
Power of the words: Chen prophecy in Chinese politics, AD 265-618
https://books.google[...]
[2]
서적
Making Sense of Global History: The 19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Historical Sciences, Oslo 2000, Commemorative Volume
https://books.google[...]
[3]
간행물
International Congress of Histor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2019-12-29
[4]
웹사이트
Ancient tradition carries forward with Japan's new era
https://asia.nikkei.[...]
2019-12-29
[5]
서적
Time, Temporality, and Imperial Transi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いまこそ知りたい朝鮮半島の美術
小学館
[7]
서적
新版 韓国 朝鮮を知る事典
平凡社
[8]
문서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의 연호
[9]
문서
관보 제1호 (1)(2)(3)(4) 대한민국30년9월 1일(大韓民國三○年九月一日)로 적고있다.
[10]
법률
연호에관한법률. 1948년 9월 25일 공포.
http://www.law.go.kr[...]
1948-09-25
[11]
법률
연호에관한법률.1961년 12월 2일 공포.
http://www.law.go.kr[...]
1961-12-02
[12]
법률
연호에 관한 법률. 2014년 1일 7일 공포.
http://www.law.go.kr[...]
2014-01-07
[13]
웹인용
고대사 뇌관 ‘칠지도’ 제작연도 369년 아닌 408년
http://news.khan.co.[...]
2011-03-15
[14]
웹사이트
https://m.khan.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