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49년은 당나라, 신라,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 연호와 관련된 사건, 인물, 그리고 문화적 사건들을 포함하는 해이다. 당 태종의 사망과 당 고종의 즉위, 백제의 신라 공격, 일본의 외교 활동 등이 일어났다. 또한, 교황 마르티노 1세가 즉위하고, 이슬람 세력이 동로마 제국의 이집트를 점령하는 등 지중해 및 서아시아 지역에서도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문화적으로는 라테라노 공의회가 소집되었으며, 여러 인물들이 탄생하거나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49년 | |
---|---|
년도 정보 | |
그레고리력 | 649년 |
로마 숫자 | DCXLIX |
주요 사건 | |
사건 | 당나라: 현장이 인도에서 가지고 온 불경을 번역하기 시작함. 고구려: 보장왕 8년 백제: 의자왕 9년 신라: 진덕여왕 3년 일본: 고토쿠 천황 다이카 5년 |
탄생 | |
출생 | 우경 다테 가네미쓰 |
사망 | |
사망 | 샤오다오청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최치원: 신라의 학자이자 문장가 (추정) |
2. 연호
3. 사건
- 당 태종의 '정관의 치'가 끝나고, 아들 이치(당 고종)가 황위를 이었다.
- 7월 - 교황 마르티노 1세가 74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다.
- 음력 8월, 백제 의자왕은 좌장 은상을 보내 정예병 7천 명으로 신라의 석토성 등 일곱 성을 공격했다. 김유신 등 신라 장군들이 맞섰으나 전세가 불리해져 도살성 아래에서 다시 싸웠지만, 백제군이 패배했다.
- 음력 11월, 백제에 천둥이 치고 얼음이 얼지 않았다.
- 이슬람 세력이 동로마 제국의 이집트 전역을 점령하고, 키프로스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 아랍-비잔티움 전쟁에서 아랍 해군이 키프로스를 정복하고 콘스탄티아를 함락시켰다. 키프로스인들은 콘스탄스 2세에게 바쳤던 것과 같은 세입을 지불하기로 했다.
- 콘스탄스 2세는 649년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일의론과 콘스탄스의 칙령을 비난한 마르티누스 1세 교황을 체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 1세가 레반트에서 아랍 해군을 건설하여 에게 해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맞섰다.
- 테오도르 1세 교황이 서거하고, 마르티누스 1세가 74대 교황으로 계승했다.
- 649년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단의론과 콘스탄스의 유형을 비난했다.
- 1월 - 친다수인트는 아들 레세스윈트를 서고트 왕국의 공동 통치자로 책봉하였다.[1]
- 1월 19일 – 아쉬나 셰얼 장군이 이끈 40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쿠차의 군대가 항복하면서 쿠차 원정이 종료되고, 중국은 타림 분지 북부(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장악하게 된다.
- 6월 16일 – 왕현책 장군이 중국, 네팔, 티베트 연합군을 이끌고 인도로 원정을 떠나 전투에서 승리하고 불교 유물을 획득한다.[2]
- 7월 10일 – 23년간 중국의 문민 행정을 회복시킨 당 태종 황제가 사망하고, 그의 20세 아들인 당 고종 황제가 당나라의 통치권을 물려받았다.[2]
- 고토쿠 천황은 소가노 쿠라야마다노 이시카와노 마로를 반역죄로 고발했고, 그는 야마다데라 사찰에서 자결했다. 소가씨의 다른 친척들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5월 15일 - 모반 혐의를 받은 우대신 소가 구라야마다 이시카와마로가 중대형황자에게 공격받아 야마다데라에서 자결했다.
- 반주척(현재의 니가타현 무라카미시)을 축조했다.
- 거세덕타가 좌대신이 되었다.
- 신라에서 김다수가 일본에 파견되는 등, 일본에 대한 조선 삼국시대의 외교 활동도 활발해졌다.
3. 1. 동아시아
- 당 태종의 '정관의 치'라는 태평성대가 종식되었다.
- 이세민의 황자인 이치(당 고종)가 황위를 승계하였다.[2]
- 음력 8월, 백제 의자왕은 좌장 은상(左將 殷相)을 보내 정예병 7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석토성(石吐城) 등 일곱 성을 쳐서 빼앗았다. 신라 장군 김유신, 진춘(陳春), 천존(天存), 죽지(竹旨) 등이 이를 맞아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해졌다. 흩어진 병사들을 수습하여 도살성(道薩城) 아래에 진을 치고 다시 싸웠으나, 백제군이 패배하였다.
- 음력 11월, 백제에 천둥이 치고 얼음이 얼지 않았다.
- 1월 19일 – 아쉬나 셰얼(Ashina She'er) 장군이 이끈 40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쿠차(Kucha)의 군대가 항복하면서 쿠차 원정이 종료되고, 중국은 타림 분지(Tarim Basin) 북부(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장악하게 된다.
- 6월 16일 – 왕현책(Wang Xuance) 장군이 중국, 네팔, 티베트 연합군을 이끌고 인도로 원정을 떠나 전투에서 승리하고 불교 유물을 획득한다.[2]
- 7월 10일 – 23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의 문민 행정을 회복시킨 당 태종 황제가 사망하고, 그의 20세 아들인 당 고종 황제가 당나라의 통치권을 물려받았다.[2]
3. 2. 지중해 및 서아시아
- 7월 - 교황 마르티노 1세가 74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하였다.
- 이슬람 세력이 동로마 제국의 이집트 전역을 점령하였다.
- 이슬람 세력이 동로마 제국의 키프로스를 공격했으나 실패하였다.
- 아랍-비잔티움 전쟁: 압둘라 이븐 사드(Abdullah ibn Saad)가 지휘하는 아랍 해군이 키프로스를 정복하여 수도 콘스탄티아를 짧은 포위 공격 끝에 함락시키고 섬의 나머지 지역을 약탈하였다. 키프로스인들은 콘스탄스 2세(Constans II) 황제에게 바쳤던 것과 같은 세입을 지불하기로 동의하였다.
- 콘스탄스 2세는 교황 선출이 황제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는 명목으로 올림피우스(Olympius) 라벤나 총독에게 마르티누스 1세(Pope Martin I) 교황을 체포할 것을 명령하였지만, 실제로는 649년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일의론(Monothelitism)과 콘스탄스의 칙령(Type of Constans)을 비난했기 때문이었다. 올림피우스는 로마 시민들과 주교들의 지지를 얻으려 하였지만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교황 암살을 고려했을 수도 있다.
-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 이븐 아비 수피얀이 레반트에서 아랍 해군을 건설하여 에게 해에서 비잔티움 제국에 맞서 싸웠다. 이 해군은 단성론적 그리스도교, 콥트인 및 시리아 기독교인 선원들로 구성되었다.
- 5월 14일 – 7년간 재위하며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대함을 보였던 테오도르 1세 교황이 서거하였다. 7월 5일, 마르티누스 1세(Pope Martin I)가 74대 교황으로 계승하였다.
- 10월 5일 – 테오도르가 소집하고 마르티누스가 이어받은 649년 라테라노 공의회(Lateran Council of 649)가 소집되었다. 이 공의회는 단의론(Monothelitism)과 콘스탄스의 유형(Type of Constans)을 강력하게 비난하였다.
4. 문화
5. 탄생
6. 사망
- 당나라의 2대 황제 당 태종 이세민(唐太宗 李世民)
- 5월 14일 - 교황 테오도로 1세, 73대 로마 교황[1]
- 남부여(南扶餘)의 무신(武臣) 은상(殷相)[2]
- 3월 – 요한 클리마쿠스(John Climacus), 시리아의 수도사이자 작가 (출생년도는 579년경 추정)
- 5월 2일 – 티크리트의 마루타(Marutha of Tikrit), 페르시아의 신학자이자 시리아 정교회의 마프리안(Maphrian) (출생년도는 565년)
- 7월 2일 – 이징(Li Jing), 중국 장군이자 당나라 재상 (출생년도는 571년)
- 7월 6일 – 아키텐의 고아르(Goar of Aquitaine), 가톨릭 사제이자 은둔자 (출생년도는 585년경 추정)
- 7월 10일 – 태종(Emperor Taizong of Tang), 중국 당나라 황제 (출생년도는 598년)
- 12월 3일 – 비리누스(Birinus), 프랑스 출신의 웨섹스 왕국의 도체스터 주교 (출생년도는 600년경 추정)
- 로갈라흐 막 우아타흐(Rogallach mac Uatach), 아일랜드 콘노트 왕 (암살됨)
- 소가노 구라야마다노 이시카와노 마로(Soga no Kurayamada no Ishikawa no Maro), 일본의 우다이진(右大臣)
- 송첸 감포, 티베트 제국의 건국자
- 5월 3일 - 아베나마로(아베쿠라테마로), 아스카 시대의 호족
- 5월 15일 - 소가 쿠라야마다 이시카와마로, 아스카 시대의 호족
참조
[1]
서적
Corpus Christianorum, volume 114
Brepols
[2]
웹사이트
649 – the year China first invaded India – the Acorn
http://acorn.natio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