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드 국민해방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은 1965년 이브라힘 아바차가 주도하여 결성된 차드의 좌익 반군 단체이다. FROLINAT은 신식민주의에 반대하며 차드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했으나, 내부 분열과 프랑스, 리비아 등 외세의 개입으로 인해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1970년대 후반에는 구쿠니 우에데이와 히센 하브레 간의 권력 다툼이 격화되었고, 1980년대에는 프랑스와 리비아의 대리전 양상으로 차드 내전이 장기화되었다. FROLINAT은 1993년 해산되었으며, 차드 내전의 장기화, 지역 갈등 심화,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발호 등 부정적인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의 역사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 차드의 역사 -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유 프랑스군의 주요 지휘관으로서 제2기갑사단을 이끌고 파리 해방과 스트라스부르 해방에 기여했으며, 사후 프랑스 원수로 추서되어 그의 이름을 딴 르클레르 전차가 제작되기도 한 프랑스의 군인이다.
차드 국민해방전선
기본 정보
차드 국민해방전선 깃발
명칭 (프랑스어)Front de libération nationale du Tchad
명칭 (영어)National Liberation Front of Chad
명칭 (아랍어)جبهة التحرير الوطنية تشاد
활동 기간
활동 기간1966년 6월 19일 – 1993년 1월 14일
지도부
지도자이브라힘 아바차
이념
이념마르크스주의 (1968년까지)
슬로건 및 본거지
슬로건차드를 차드인에게
본부트리폴리
활동 지역 및 규모
활동 지역차드
규모500–3,000명
관련 정보
전신(정보 없음)
후신(정보 없음)
동맹 및 적대 세력
관련 전쟁
관련 전쟁차드 내전 (1965–1979)

2. 기원 (1965-1966)

이브라힘 아바차가 이끄는 좌익 차드 민족 연합(UNT)과 아흐메드 하산 무사가 이끄는 차드 아들들의 일반 연합(''Union Générale des Fils du Tchad'' 또는 UGFT) 간의 정치적 연합의 결과로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이 탄생했다. 이슬람주의자인 무사는 무슬림 형제단과 가까웠다. UGFT는 차드 해방 전선(FLT)의 기치 아래 새로운 그룹 내에서 자율성을 유지했다. 1966년 6월 19일부터 6월 22일 사이에 수단니알라 회의에서 연합과 그룹의 깃발이 합의되었다.

아바차는 사무총장으로 선포되었고, UNT의 또 다른 간부인 아부 바카르 잘라부가 해외에서 이 운동을 대표할 대표단을 이끌도록 지명되었다. UNT와 FLT에서 동등하게 3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회의에서 선정되었으며, 전선은 오직 무슬림 북부인들로 구성되었다.

니알라 회의에서 승인된 이 운동의 공식 프로그램은 분리주의, 종교 정치, 민족 차별을 거부한다고 선언했으며, "우리 조국의 완전한 국가 독립을 되찾기 위해" 신식민주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명시했다. 연립 정부는 국가적이고 민주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모든 정치범을 석방해야 했다. 모든 외국 군대는 철수해야 하며, 민족 해방 운동에 지원을 제공하고, 긍정적 중립의 외교 정책을 추구해야 했다. 경제적 목표는 다소 모호했다. 임금이 인상되고, 임의적인 세금이 폐지되며, 토지는 경작자에게 주어질 것이었다.

FROLINAT은 원래 소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남부가 지배하는 정부는 무슬림 전통 지도자를 경멸하고 무시했으며, 이미 1963년에는 가장 중요한 북부 정치인들이 체포되었고, 차드군과 지방 정부의 모든 중요한 직책은 비무슬림 남부인들이 차지했다. 샘 놀루퉁구의 말을 빌리면, "모두가 정권이 부패하고, 잔혹하고, 임의적이며,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불만은 이미 1965년 11월 피비린내 나는 망갈메 폭동 이후에 존재했으며, 망갈메와 인근 바타 현에서 와다이 현 및 살라마트 현까지 빠르게 확산된 중부 및 동부 차드에서 느슨하게 연결된 여러 농민 반란을 일으켰으며, 1967년 2월에는 현의 지사와 그의 부지사가 살해되었다.

1965년까지 차드 북부의 보르쿠-에네디-티베스티 현에서는 불안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966년 11월 아바차가 7명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훈련을 받은 동료들과 함께 동부 차드에 침투했을 때, 그는 이미 완전히 반란 상태에 있는 영토를 믿을 수 있었다.

무사와 FLT의 가장 보수적인 세력은 1966년 말에 FROLINAT에서 탈퇴했지만, 사회주의, 반제국주의, 심지어 범아프리카주의 UNT 요소와 더 보수적이고 지역주의적인 UGFT 전통 사이에는 항상 이원성이 존재했다. 분열의 또 다른 요소는 반란의 두 원천 지역인 카넴 현과 동부 사이의 이원성으로 구성되었다. 카넴은 주로 이집트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차드인들의 지원을 받았고, 동부는 주로 수단의 지원을 받았다.

두 그룹의 연합군은 같은 해에 아바차의 직접적인 지휘하에 국가 중동부에서 작전을 시작했다. 1968년 3월, 아바차의 중위인 모하메드 타헤르는 아우주의 국가 유목 경비대(GNN)의 다자 투부의 반란을 선동했고, 이는 9월에 국군에 의해 철수되었다. 타헤르는 이미 보르쿠에서 테다 투부 중 활동가들을 모집했고, 아우주 반란 직후 티베스티의 테다족의 영향력 있는 인물이며 투부의 ''derde''인 우에데 키치데미의 아들인 구쿠니 우에데의 지지를 얻었다. 이것은 반란을 북부와 투부 유목민으로 확장시켜 반란에 새로운 복잡성을 더하고 리비아에 거주하는 차드인들, 특히 리비아 바이디의 이슬람 대학교 학생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2. 1. 망갈메 폭동과 북부의 불안

1965년 11월, 망갈메 폭동은 남부가 주도하는 정부에 대한 무슬림 전통 지도자들의 불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망갈메와 인근 바타 현에서 와다이 현 및 살라마트 현까지 중부 및 동부 차드에서 느슨하게 연결된 여러 농민 반란이 확산되었다.

2. 2. 차드 민족 연합 (UNT)과 차드 아들들의 일반 연합 (UGFT)

이브라힘 아바차가 이끄는 좌익 차드 민족 연합(UNT)과 아흐메드 하산 무사가 이끄는 차드 아들들의 일반 연합(UGFT) 간의 정치적 연합의 결과로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이 탄생했다. 이슬람주의자인 무사는 무슬림 형제단과 가까웠다. UGFT는 차드 해방 전선(FLT)의 기치 아래 새로운 그룹 내에서 자율성을 유지했다. 1966년 6월 19일부터 6월 22일 사이에 수단니알라 회의에서 연합과 그룹의 깃발이 합의되었다.

아바차는 사무총장으로 선포되었고, UNT의 또 다른 간부인 아부 바카르 잘라부가 해외에서 이 운동을 대표할 대표단을 이끌도록 지명되었다. UNT와 FLT에서 동등하게 3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회의에서 선정되었으며, 전선은 오직 무슬림 북부인들로 구성되었다.

니알라 회의에서 승인된 이 운동의 공식 프로그램은 분리주의, 종교 정치, 민족 차별을 거부한다고 선언했으며, "우리 조국의 완전한 국가 독립을 되찾기 위해" 신식민주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명시했다. 연립 정부는 국가적이고 민주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모든 정치범을 석방해야 했다. 모든 외국 군대는 철수해야 하며, 민족 해방 운동에 지원을 제공하고, 긍정적 중립의 외교 정책을 추구해야 했다. 경제적 목표는 다소 모호했다. 임금이 인상되고, 임의적인 세금이 폐지되며, 토지는 경작자에게 주어질 것이었다.

FROLINAT은 원래 소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남부가 지배하는 정부는 무슬림 전통 지도자를 경멸하고 무시했으며, 이미 1963년에는 가장 중요한 북부 정치인들이 체포되었고, 차드군과 지방 정부의 모든 중요한 직책은 비무슬림 남부인들이 차지했다. 샘 놀루퉁구의 말을 빌리면, "모두가 정권이 부패하고, 잔혹하고, 임의적이며,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불만은 이미 1965년 11월 피비린내 나는 망갈메 폭동 이후에 존재했으며, 망갈메와 인근 바타 현에서 와다이 현 및 살라마트 현까지 빠르게 확산된 중부 및 동부 차드에서 느슨하게 연결된 여러 농민 반란을 일으켰으며, 1967년 2월에는 현의 지사와 그의 부지사가 살해되었다.

1965년까지 차드 북부의 보르쿠-에네디-티베스티 현에서는 불안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966년 11월 아바차가 7명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훈련을 받은 동료들과 함께 동부 차드에 침투했을 때, 그는 이미 완전히 반란 상태에 있는 영토를 믿을 수 있었다.

무사와 FLT의 가장 보수적인 세력은 1966년 말에 FROLINAT에서 탈퇴했지만, 사회주의, 반제국주의, 심지어 범아프리카주의 UNT 요소와 더 보수적이고 지역주의적인 UGFT 전통 사이에는 항상 이원성이 존재했다. 분열의 또 다른 요소는 반란의 두 원천 지역인 카넴 현과 동부 사이의 이원성으로 구성되었다. 카넴은 주로 이집트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차드인들의 지원을 받았고, 동부는 주로 수단의 지원을 받았다.

두 그룹의 연합군은 같은 해에 아바차의 직접적인 지휘하에 국가 중동부에서 작전을 시작했다. 1968년 3월, 아바차의 중위인 모하메드 타헤르는 아우주의 국가 유목 경비대(GNN)의 다자 투부의 반란을 선동했고, 이는 9월에 국군에 의해 철수되었다. 타헤르는 이미 보르쿠에서 테다 투부 중 활동가들을 모집했고, 아우주 반란 직후 티베스티의 테다족의 영향력 있는 인물이며 투부의 ''derde''인 우에데 키치데미의 아들인 구쿠니 우에데의 지지를 얻었다. 이것은 반란을 북부와 투부 유목민으로 확장시켜 반란에 새로운 복잡성을 더하고 리비아에 거주하는 차드인들, 특히 리비아 바이디의 이슬람 대학교 학생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2. 3. 니알라 회의 (1966)

1966년 6월 19일부터 6월 22일까지 수단니알라에서 열린 회의에서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의 결성과 강령이 합의되었다. 이 회의에서 이브라힘 아바차가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고, 차드 민족 연합(UNT)의 아부 바카르 잘라부가 해외 대표단을 이끌도록 지명되었다. 또한 UNT와 차드 해방 전선(FLT)에서 각각 30명씩 총 6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선정되었다.

니알라 회의에서 승인된 FROLINAT의 공식 강령은 분리주의, 종교 정치, 민족 차별을 거부하고, 신식민주의에 맞서 싸우며, "우리 조국의 완전한 국가 독립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다고 명시했다. 또한, 연립 정부는 국가적이고 민주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모든 정치범을 석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FROLINAT은 모든 외국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고, 민족 해방 운동을 지원하며, 긍정적 중립 외교 정책을 추구했다. 경제적 목표로는 임금 인상, 임의적인 세금 폐지, 경작자에게 토지 분배 등이 제시되었으나, 다소 모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3. 분열과 갈등 (1968-1978)

1968년 2월 11일, 이브라힘 아바차가 전투에서 사망한 후 FROLINAT는 후계자 다툼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두 명의 후보가 암살당하고 세 번째 후보는 수단으로 도망가야 했다.[7] 결국, 아바 시디크가 승리하여 1970년 FROLINAT의 새로운 사무총장이 되었고, 트리폴리에 조직 본부를 설립했다.[7]

아바차의 사망 이후, 1969년에 FROLINAT는 두 개의 군대로 분열되었다. FROLINAT 제1 해방군은 주로 차드 중부에서 활동하는 군벌들의 느슨한 연합이었고, 제2 해방군은 북부에서 활동했으며 주로 투부족으로 구성되었다. 1969년 모하메드 타헤르가 사망한 후 제2군은 구쿠니 우에데이가 통제하게 되었다.[8] 1971년 시디크가 여러 그룹의 연합을 요청했을 때, 구쿠니 우에데이와 이센 아브레는 이에 반대하여, 1972년 2월에 북부 무장 세력 지휘 위원회(CCFAN)로 개명했다. FROLINAT의 제1군은 차드 동부와 중동부에서 활동하며 시디크에게 충성을 유지했다.[7] 또 다른 무장 세력으로는 화산군이 등장했는데, 이는 이슬람 성향의 FROLINAT 그룹인 무하마드 바글라니가 조직했다.

프랑수아 톰발바예 대통령은 FROLINAT의 분열에도 불구하고, 1968년에 양국 간의 군사 협정에 따라 프랑스의 개입을 요청했다.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1969년에 이를 수락했고, 4월 14일 작전명 바이슨과 함께 군사 개입이 시작되었다.[9] 1969년, 차드 대통령 프랑수아 톰발바예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했고 프랑스는 이에 응하여 군대와 공무원 개혁, 인기 없는 법률과 세금 폐지를 권고했다. 또한, 그들의 권고에 따라 전통적인 이슬람 통치자들의 사법권이 복원되었다. 또 다른 회유책으로는 1971년에 많은 정치범을 석방하고 이전보다 더 많은 북부인들을 포함하는 보다 균형 잡힌 정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조치의 결과는 긍정적이었고 반군은 티베스티에 갇혔으며, 프랑스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중요한 역할을 했던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했다.[7]

1971년 여름, 톰발바예는 개혁을 중단하고 최근 석방된 정치범들 중 일부가 리비아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시도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리비아 대통령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아바 시디크의 FROLINAT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그에게 경제적, 물류적 지원을 제공했다. 그 후 리비아는 아우주 지구를 점령하기 시작했다.[7]

1972년, 톰발바예는 수백 명의 정치적 반대자들을 투옥하고, 그의 적들을 막기 위해 리비아와 프랑스를 향한 제스처 정책을 시작했다. 리비아는 시디크에 대한 지원을 줄였고, FROLINAT 제1군과 아브레의 FAN 사이에서 내분이 폭발했다. 제1군은 엔네디를 장악하며 승리했고, FAN은 보르쿠와 티베스티로 후퇴했다.[7] 프랑수아즈 클로스트르라는 프랑스 고고학자가 바르다이에서 아브레 군에 의해 납치된 사건은 프랑스와 아브레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974년 4월).[7]

3. 1. 아바 시디크의 지도력과 내부 분열 (1968-1972)

1968년 2월 11일, 이브라힘 아바차가 전투에서 사망한 후 FROLINAT는 후계자 다툼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두 명의 후보가 암살당하고 세 번째 후보는 수단으로 도망가야 했다.[7] 결국, 아바 시디크가 승리하여 1970년 FROLINAT의 새로운 사무총장이 되었고, 트리폴리에 조직 본부를 설립했다.[7]

아바차의 사망 이후, 1969년에 FROLINAT는 두 개의 군대로 분열되었다. FROLINAT 제1 해방군은 주로 차드 중부에서 활동하는 군벌들의 느슨한 연합이었고, 제2 해방군은 북부에서 활동했으며 주로 투부족으로 구성되었다. 1969년 모하메드 타헤르가 사망한 후 제2군은 구쿠니 우에데이가 통제하게 되었다.[8] 1971년 시디크가 여러 그룹의 연합을 요청했을 때, 구쿠니 우에데이와 이센 아브레는 이에 반대하여, 1972년 2월에 북부 무장 세력 지휘 위원회(CCFAN)로 개명했다. FROLINAT의 제1군은 차드 동부와 중동부에서 활동하며 시디크에게 충성을 유지했다.[7]

프랑수아 톰발바예 대통령은 FROLINAT의 분열에도 불구하고, 1968년에 양국 간의 군사 협정에 따라 프랑스의 개입을 요청했다.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1969년에 이를 수락했고, 4월 14일 작전명 바이슨과 함께 군사 개입이 시작되었다.[9] 1969년, 차드 대통령 프랑수아 톰발바예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했고 프랑스는 이에 응하여 군대와 공무원 개혁, 인기 없는 법률과 세금 폐지를 권고했다. 또한, 그들의 권고에 따라 전통적인 이슬람 통치자들의 사법권이 복원되었다. 또 다른 회유책으로는 1971년에 많은 정치범을 석방하고 이전보다 더 많은 북부인들을 포함하는 보다 균형 잡힌 정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조치의 결과는 긍정적이었고 반군은 티베스티에 갇혔으며, 프랑스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중요한 역할을 했던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했다.[7]

1971년 여름, 톰발바예는 개혁을 중단하고 최근 석방된 정치범들 중 일부가 리비아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시도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리비아 대통령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아바 시디크의 FROLINAT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그에게 경제적, 물류적 지원을 제공했다. 그 후 리비아는 아우주 지구를 점령하기 시작했다.[7]

1972년, 톰발바예는 수백 명의 정치적 반대자들을 투옥하고, 그의 적들을 막기 위해 리비아와 프랑스를 향한 제스처 정책을 시작했다. 리비아는 시디크에 대한 지원을 줄였고, FROLINAT 제1군과 아브레의 FAN 사이에서 내분이 폭발했다. 제1군은 엔네디를 장악하며 승리했고, FAN은 보르쿠와 티베스티로 후퇴했다.[7] 프랑수아즈 클로스트르라는 프랑스 고고학자가 바르다이에서 아브레 군에 의해 납치된 사건은 프랑스와 아브레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974년 4월).[7]

3. 2. 프랑스와 리비아의 개입 (1969-1975)

1968년 2월 11일, 아바 시디크가 이끌던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은 프랑수아 톰발바예 정부에 대항하여 세력을 확장했다.[8] 1969년에는 FROLINAT 내부에 두 개의 군대가 조직되었는데, 제1 해방군은 차드 중부에서, 제2 해방군은 북부에서 활동했다.[8] 톰발바예는 프랑스에 군사 개입을 요청했고, 샤를 드골 프랑스 대통령은 1969년 이를 수락하여 작전명 바이슨이 시작되었다.[9]

1971년, 톰발바예는 개혁을 중단하고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쿠데타 시도를 비난하며, 무아마르 알 카다피 리비아 대통령은 FROLINAT을 공식 인정하고 지원을 시작했다.[7] 리비아는 아우주 지구를 점령하려 했다.

프랑스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군대를 주둔시키며 반군 진압을 도왔으나, 1971년 톰발바예가 개혁을 중단하자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2년, 톰발바예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투옥하고 리비아와 프랑스에 유화 정책을 펼쳤다. 리비아는 FROLINAT에 대한 지원을 줄였고, FROLINAT 내부에서는 제1군과 이센 아브레가 이끄는 북부 무장 세력 지휘 위원회(CCFAN) 사이에 내분이 발생했다.[7]

1973년 톰발바예는 펠릭스 말룸 장군을 투옥하고, 자유주의 정치인 아우텔 보노가 암살당했다. 톰발바예는 차드 진보당을 대신하여 문화 및 사회 혁명을 위한 국민 운동을 창설하고 아프리카화 운동을 시작했다. 도시 이름이 변경되었고, 사라족의 전통 의식인 ''욘도''가 강제되었다.[7]

1975년 4월 13일, 톰발바예는 쿠데타로 살해되었고, 펠릭스 말룸이 최고 군사 평의회(CSM)의 수장이 되었다. 톰발바예 사후 FROLINAT는 계속 분열되었고, 프랑스는 프랑수아즈 클로스트르 납치 사건으로 인해 반군과 직접 협상하게 되었다. 말룸은 차드 주둔 프랑스군에게 철수를 요청했다.[7]

3. 3. 톰발바예 정권의 붕괴 (1975)

1975년 4월 13일 쿠데타로 프랑수아 톰발바예(응가르타 톰발바예)는 살해되었고, 펠릭스 말룸이 최고 군사 평의회(CSM)의 의장으로서 권력을 잡았다.[7] 새 정부는 많은 북부인들을 포함했지만, 남부인들이 다수를 차지했다.[7] 일부 인기 있는 조치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국민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7] 수도에서는 새로운 학생 파업이 발생했고, 노동조합은 해산되었다.[7] 1976년 4월, 말룸을 살해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1977년 3월에는 수도에서 육군 부대의 반란이 발생하여 주동자들이 처형되었다.[7]

톰발바예는 문화 및 사회 혁명을 위한 국민 운동(MNRCS)을 통해 아프리카화 운동을 추진했고, 공무원과 군대 고위직을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사라족의 전통 의식인 '욘도' 입문 의식을 강요하여 반기독교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7] 또한, 강제적인 농업 캠페인으로 인해 남부에서의 지지가 약화되었다.[7] 그는 쿠데타를 계획한 혐의로 많은 젊은 장교들을 체포하면서 군대의 지지를 잃었다.[7]

톰발바예 사망 후, FROLINAT는 계속 분열되었다.[7] 동부에서 활동하는 한 그룹인 FLT는 7월에 은자메나의 새 정부에 참여했다.[7] 우에데이 키치데미는 1975년 여름 리비아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왔다.[7] 그의 아들 구쿠니 우에데이는 대신 그곳에 남아 있었다.[7]

3. 4. 클로스트르 사건과 하브레의 등장 (1974-1978)

1974년 4월, 프랑수아즈 클로스트르라는 프랑스 고고학자가 바르다이에서 이센 아브레 군에 의해 납치된 사건은 프랑스와 아브레의 관계를 악화시켰다.[7] 이 사건을 계기로 아브레와 구쿠니 우에데이는 FROLINAT의 모든 북부 세력을 통합하기 위해 북부 무장 세력 지휘 위원회(CCFAN)를 결성했다.[7] 그러나, ''클로스트르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는 반군과 직접 협상하게 되었고, 톰발바예의 후임자인 펠릭스 말룸을 지지하지 않았다.[7]

1971년 11월 학생 시위는 차드 참모총장 장군 자크 둠로를 실각시켰고, 그의 자리는 대령 펠릭스 말룸이 차지했다.[7] 1972년, 톰발바예는 수백 명의 정치적 반대자들을 투옥하고, 그의 적들을 막기 위해 리비아프랑스를 향한 제스처 정책을 시작했다.[7] 리비아는 시디크에 대한 지원을 줄였고, FROLINAT 제1군과 아브레의 FAN 사이에서 내분이 폭발했다. 제1군은 엔네디를 장악하며 승리했고, FAN은 보르쿠와 티베스티로 후퇴했다.[7]

1973년 6월, 톰발바예는 참모총장 말룸 장군을 투옥했다.[7] 자유주의 아우텔 보노라는 정치적 반대자는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려던 찰나 파리에서 암살당했고, 톰발바예가 이 범죄를 저질렀다는 비난을 받았다.[7] 대통령은 자신의 당인 차드 진보당(PPT) 내에서 지지를 잃었고, 톰발바예는 이를 새로운 정당인 문화 및 사회 혁명을 위한 국민 운동(MNRCS)으로 대체하고, 아프리카화 운동을 시작했다.[7] 일부 도시의 식민지 이름은 토착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포르 라미는 은자메나, 포르 아르샹보 사르 등으로 변경되었다.[7] 그 자신도 프랑수아에서 응가르타로 이름을 바꿨다.[7]

이러한 아프리카화의 한 요소는 사라족 (그의 민족) 고유의 ''욘도'' 입문 의식을 공무원과 군대에서 직위를 얻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입한 것이었는데, 이 의식은 반기독교로 여겨졌다.[7] 이는 강제적인 "자발적" 농업 캠페인에 대한 인구 동원과 함께 남부에서의 지지를 약화시켰다.[7] 그는 또한 쿠데타를 계획한 혐의로 많은 젊은 장교들을 체포하면서 군대의 지지를 잃었다.[7]

1975년 4월 13일, 톰발바예는 쿠데타로 살해되고 전복되었다.[7] 그는 최고 군사 평의회 (CSM)의 수장으로 펠릭스 말룸의 뒤를 이었다.[7] 새 정부는 많은 북부인들을 포함했지만, 남부인들이 다수를 차지했다.[7] 일부 인기 있는 조치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국민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7] 수도에서는 새로운 학생 파업이 발생했고, 노동조합은 해산되었다.[7] 1976년 4월, 말룸을 살해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1977년 3월에는 수도에서 육군 부대의 반란이 발생하여 주동자들이 처형되었다.[7]

톰발바예 사망 후, FROLINAT는 계속 분열되었다.[7] 동부에서 활동하는 한 그룹인 FLT는 7월에 은자메나의 새 정부에 참여했다. 우에데이 키치데미는 1975년 여름 리비아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왔다.[7] 그의 아들 구쿠니 우에데이는 대신 그곳에 남아 있었다.[7]

4. 구쿠니 대 하브레 (1976-1982)

1976년과 1977년, 리비아는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파야-라조는 1976년에 두 번 포위되었고, 바르다이는 1977년 6월에 아센 하브레에 의해 정복되었다.

리비아의 지원 문제는 투부족 출신인 구쿠니 우에데이와 하브레 사이의 분열을 초래했다. 두 사람은 전통적으로 대립하는 씨족 출신이었지만, 1971년에 상황이 그들을 동맹으로 만들었다. 하브레는 아오주 지구 병합에 대한 리비아의 계획에 반대했고, 구쿠니는 클로스트르 납치에 반대했다. 1976년, 하브레는 수백 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주요 조직에서 이탈하여 바타 및 빌틴 주에 본부를 두고 북부 무장군(FAN)을 창설했다. 구쿠니는 나머지 세력과 함께 CCFAN이라는 이름을 유지했으며 1977년 1월에 프랑스에 인질을 넘겨주었다.

1977년 9월, 하브레는 국가 통합 정부 구성을 위해 말룸 및 군 최고 위원회와 동맹을 협상하기 시작했다. 1978년 8월에 말룸을 대통령으로, 하브레를 총리로 하여 정부가 구성되었다. 동시에 구쿠니는 북부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건히 하여 FROLINAT 제1군과 CCFAN의 대다수를 포함한 대부분의 반군 부대를 통합했다. 이 모든 부대는 구쿠니가 이끄는 새로 결성된 인민 무장군(FAP)의 깃발 아래 통합되어 1979년 2월 파야-라조를 정복하여 차드 영토의 절반을 장악했다. 그의 수도 진격은 막을 수 없어 보였고, 프랑스 군의 개입만이 그를 아티에서 저지할 수 있었다.

1979년, 국가 통합 정부는 붕괴되었다. 하브레와 말룸은 수도에서 서로 대립했고, 2월에 하브레가 통제권을 갖게 되었으며, 차드군(FAT)은 남쪽으로 후퇴했다. 1978년 1월, 아부바카르 압델 라흐만이 이끄는 FROLINAT 제3해방군(후에 차드 해방 인민 운동 또는 MPLT로 불림)이 결성되어 서부에서 정부군을 격파했다. FROLINAT 제1해방군은 자율성을 되찾아 와다 및 빌틴의 동부 주를 장악했다. 남부에서는 전 국가군인 차드군이 와델 압델카데르 카무게 중위에 의해 재편성되었으며, 1979년 5월에 이 나라는 남부에 상설위원회를 설립했다. 구쿠니는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이용하여 하브레가 완전한 통제권을 얻기 전에 은자메나에 나타나 수도를 점령했다.

4. 1. 리비아의 지원과 분열 (1976-1979)

1976년과 1977년, 리비아는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파야-라조는 1976년에 두 번 포위되었고, 바르다이는 1977년 6월에 아센 하브레에 의해 정복되었다.

리비아의 지원 문제는 투부족 출신인 구쿠니 우에데이와 하브레 사이의 분열을 초래했다. 두 사람은 전통적으로 대립하는 씨족 출신이었지만, 1971년에 상황이 그들을 동맹으로 만들었다. 하브레는 아오주 지구 병합에 대한 리비아의 계획에 반대했고, 구쿠니는 클로스트르 납치에 반대했다. 1976년, 하브레는 수백 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주요 조직에서 이탈하여 바타 및 빌틴 주에 본부를 두고 북부 무장군(FAN)을 창설했다. 구쿠니는 나머지 세력과 함께 CCFAN이라는 이름을 유지했으며 1977년 1월에 프랑스에 인질을 넘겨주었다.

1977년 9월, 하브레는 국가 통합 정부 구성을 위해 말룸 및 군 최고 위원회와 동맹을 협상하기 시작했다. 1978년 8월에 말룸을 대통령으로, 하브레를 총리로 하여 정부가 구성되었다. 동시에 구쿠니는 북부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건히 하여 FROLINAT 제1군과 CCFAN의 대다수를 포함한 대부분의 반군 부대를 통합했다. 이 모든 부대는 구쿠니가 이끄는 새로 결성된 인민 무장군(FAP)의 깃발 아래 통합되어 1979년 2월 파야-라조를 정복하여 차드 영토의 절반을 장악했다. 그의 수도 진격은 막을 수 없어 보였고, 프랑스 군의 개입만이 그를 아티에서 저지할 수 있었다.

1979년, 국가 통합 정부는 붕괴되었다. 하브레와 말룸은 수도에서 서로 대립했고, 2월에 하브레가 통제권을 갖게 되었으며, 차드군(FAT)은 남쪽으로 후퇴했다. 1978년 1월, 아부바카르 압델 라흐만이 이끄는 FROLINAT 제3해방군(후에 차드 해방 인민 운동 또는 MPLT로 불림)이 결성되어 서부에서 정부군을 격파했다. FROLINAT 제1해방군은 자율성을 되찾아 와다 및 빌틴의 동부 주를 장악했다. 남부에서는 전 국가군인 차드군이 와델 압델카데르 카무게 중위에 의해 재편성되었으며, 1979년 5월에 이 나라는 남부에 상설위원회를 설립했다. 구쿠니는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이용하여 하브레가 완전한 통제권을 얻기 전에 은자메나에 나타나 수도를 점령했다.

4. 2. 국가 통합 정부의 수립과 붕괴 (1979)

1976년과 1977년에 걸쳐 리비아는 차드 국민해방전선(FROLINAT)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파야-라조는 1976년에 두 번 포위되었고, 바르다이는 1977년 6월 아센 하브레에 의해 정복되었다. 리비아의 지원 문제는 구쿠니 우에데이와 하브레 사이의 분열을 야기했는데, 두 사람 모두 투부족 출신이었지만 전통적으로 대립하는 씨족 출신이었다. 1976년, 하브레는 북부 무장군(FAN)을 창설하고 주요 조직에서 이탈했다.

1977년 9월, 하브레는 국가 통합 정부 구성을 위해 펠릭스 말룸 및 군 최고 위원회와 동맹을 협상하기 시작했으며, 1978년 8월에 말룸을 대통령으로, 하브레를 총리로 하는 정부가 구성되었다. 동시에 구쿠니는 북부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건히 하여 FROLINAT 제1군과 CCFAN의 대다수를 포함한 대부분의 반군 부대를 통합했다. 이 모든 부대는 인민 무장군(FAP)의 깃발 아래 통합되어 1979년 2월 파야-라조를 정복하여 차드 영토의 절반을 장악했다.

1979년, 국가 통합 정부는 붕괴되었다. 하브레와 말룸은 수도에서 대립했고, 2월에 하브레가 통제권을 갖게 되었으며, 차드군(FAT)은 남쪽으로 후퇴했다. 와델 압델카데르 카무게 중위는 차드군을 재편성하여 1979년 5월에 남부에 상설위원회를 설립했다. 구쿠니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은자메나를 점령했다.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적인 움직임으로 1979년 3월 나이지리아 카노에서 화해 회담이 개최되었다. 카노 협정을 토대로 1979년 4월 29일 국민 통합 정부가 구성되었는데, 롤 마하마트 슈아가 대통령을 맡았다. 그러나 리비아는 아흐마트 아실을 배제했다는 이유로 이 조치에 반대했고, 아실과 다른 친 리비아 세력들은 공동 임시 행동 전선 (FACP)을 결성했다. 몇 주 후, 라고스에서 또 다른 평화 회담이 열렸고, 여름에는 과도 국민 통합 정부(GUNT)가 출범하여 7월 라고스에서 열린 세 번째 회담에서 구쿠니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 결과 9월까지 프랑스군은 거의 완전히 차드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GUNT의 결속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1980년 3월 22일, 은자메나 2차 전투가 구쿠니와 하브레의 군대 사이에서 발발했다. 1980년 6월 15일, 차드와 리비아는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

4. 3. 은자메나 전투와 리비아-차드 합병 시도 (1980-1981)

1979년, 국가 통합 정부는 붕괴되었고, 이브라힘 유수프와 히센 하브레는 수도에서 대립했다. 1978년 1월에 아부바카르 압델 라흐만이 이끄는 FROLINAT 제3해방군이 결성되었고, 서부에서 정부군을 격파했다. FROLINAT 제1해방군은 자율성을 되찾아 와다 및 빌틴의 동부 주를 장악했다. 남부에서는 차드군이 와델 압델카데르 카무게 중위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구쿠니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은자메나를 점령했다.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나이지리아는 1979년 3월 카노에서 화해 회담을 개최했다. 카노 협정을 토대로 1979년 4월 29일 국민 통합 정부가 구성되었는데, 구쿠니가 내무부 장관, 하브레가 국방부 장관을 맡았다. 리비아는 아흐마트 아실을 배제했기 때문에 이 조치에 반대했고, 친 리비아 세력들은 공동 임시 행동 전선 (FACP)을 결성했다. 여름에는 과도 국민 통합 정부 (GUNT)가 출범했는데, 구쿠니를 대통령으로, 카무게를 부통령으로, 하브레를 국방부 장관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GUNT의 결속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1980년 3월 22일, 은자메나 2차 전투가 구쿠니와 하브레의 군대 사이에서 발발했다. 다른 군벌들이 싸움에 참여하면서 도시는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1980년 6월 15일, 차드와 리비아는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고, 리비아의 지원을 받은 구쿠니 군대는 하브레 군대를 격파하여 카메룬으로 도망치게 했다.

1981년, 차드와 리비아 정부는 단일 국가를 형성할 의사를 발표했다. 그러나 프랑스가 구쿠니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서 1981년 10월 29일 GUNT 대통령이 리비아군에게 철수를 요청했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 (OUA) 의장으로 선출되는 대가로 리비아의 대통령 무아마르 카다피는 리비아 군인들을 철수하는 데 동의했다.

4. 4. 하브레의 집권 (1982)

1982년, 수단의 도움을 받아 동부에서 병력을 재편성한 하브레는 여러 도시를 점령하며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요구는 무시되었다. 1982년 6월 7일, 하브레는 거의 저항 없이 수도를 점령했고, 구쿠니는 카메룬으로 도망쳤다. 6월 19일, 하브레는 국가 평의회를 구성하고, 10월 21일에는 스스로 대통령을 선포하고 새 정부를 임명했다.

이후 구쿠니는 북부에서 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재결합했고, 하브레는 리비아에 병합된 아우주 지구를 되찾으려 했다. 1983년 3월, 차드는 국제 연합에 아우주 지구에 대한 차드 주권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에 리비아의 점령 문제를 제기했다.

5. 하브레 정권과 GUNT의 저항 (1982-1990)

1980년대 초, 구쿠니 웨데이는 차드 북부에서 자신의 지지 세력을 규합하여 히센 하브레 정권에 대항하는 새로운 조직을 결성했다. 이 조직은 차드 평화를 위한 국민 정부(GNPT, Gouvernement National pour la Paix au Tchad)로 명명되었으며, 군사 조직으로 해방군 (FAL, Forces Armées de Libération)을 창설했다.

1983년, 하브레는 프랑스와 서방의 지원을 받았고, 구쿠니 웨데이리비아의 지원을 받으면서 차드 내전은 국제적인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 1983년 3월, 차드는 국제 연합에 아우주 지구에 대한 차드 주권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에 리비아의 점령 문제를 제기했다. FAL은 6월 25일에 파야-라조를 점령했고, 이로 인해 국토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수도에 대한 공격이 임박한 것처럼 보였지만, 주로 프랑스의 하브레에 대한 강력한 지원 때문에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다. 프랑스와 다른 서방 국가들은 하브레에게 대량의 현대식 군사 장비를 제공했고, 이는 그가 7월 30일에 파야-라조를 다시 탈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리비아는 리비아 정규군으로 거의 전적으로 구성된 대규모 반격을 개시하여 대응했다. 하브레는 8월 10일에 엄청난 패배를 겪었고, 수천 명의 병사를 잃고 남쪽으로 200 km 후퇴했다.

1986년 11월 18일, GUNT는 히센 하브레의 지휘 아래 재구성되었으며, 구쿠니 웨데이와 압둘카데르 카무게가 참여했다. 1989년, 하브레 정권에 반대하는 수단의 세력들은 이드리스 데비의 지휘 아래 애국 구국 운동(MPS)을 결성하고 내전의 새로운 국면을 시작했다. 1990년 12월 아베체를 점령한 후, MPS는 수도로 진입했다. 하브레는 다시 도망칠 수밖에 없었지만, 몇 달 후 1991년 9월부터 1992년 1월까지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마침내 모든 정당과 게릴라 세력이 참여하는 국민 회의가 1993년 1월 15일부터 4월 6일까지 열렸고, 데비가 의장으로 있는 최고 과도 위원회의 결성을 통해 절정에 달했다. 구쿠니 웨데이가 여전히 명목상 수장이었던 FROLINAT는 1993년 1월 14일에 해산되었다.

5. 1. 차드 평화를 위한 국민 정부 (GNPT) 결성 (1982)

1980년대 초, 구쿠니 웨데이는 차드 북부에서 자신의 지지 세력을 규합하여 하브레 정권에 대항하는 새로운 조직을 결성했다. 이 조직은 차드 평화를 위한 국민 정부(GNPT, Gouvernement National pour la Paix au Tchad)로 명명되었으며, 군사 조직으로 해방군(FAL, Forces Armées de Libération)을 창설했다.

5. 2. 프랑스와 리비아의 대리전 (1983-1986)

1983년, 하브레는 프랑스와 서방의 지원을 받았고, 구쿠니는 리비아의 지원을 받으면서 차드 내전은 국제적인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 1983년 3월, 차드는 국제 연합에 아우주 지구에 대한 차드 주권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에 리비아의 점령 문제를 제기했다. FAL은 6월 25일에 파야라조를 점령했고, 이로 인해 국토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수도에 대한 공격이 임박한 것처럼 보였지만, 주로 프랑스의 하브레에 대한 강력한 지원 때문에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다. 프랑스와 다른 서방 국가들은 하브레에게 대량의 현대식 군사 장비를 제공했고, 이는 그가 7월 30일에 파야라조를 다시 탈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리비아는 리비아 정규군으로 거의 전적으로 구성된 대규모 반격을 개시하여 대응했다. 하브레는 8월 10일에 엄청난 패배를 겪었고, 수천 명의 병사를 잃고 남쪽으로 200 km 후퇴했다.

5. 3. GUNT의 재편과 하브레의 승리 (1986-1990)

1986년 11월 18일, GUNT는 히센 하브레의 지휘 아래 재구성되었으며, 구쿠니 웨데이와 압둘카데르 카무게가 참여했다. 1989년, 하브레 정권에 반대하는 수단의 세력들은 이드리스 데비의 지휘 아래 애국 구국 운동(MPS)을 결성하고 내전의 새로운 국면을 시작했다. 1990년 12월 아베체를 점령한 후, MPS는 수도로 진입했다. 하브레는 다시 도망칠 수밖에 없었지만, 몇 달 후 1991년 9월부터 1992년 1월까지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마침내 모든 정당과 게릴라 세력이 참여하는 국민 회의가 1993년 1월 15일부터 4월 6일까지 열렸고, 데비가 의장으로 있는 최고 과도 위원회의 결성을 통해 절정에 달했다. 구쿠니 웨데이가 여전히 명목상 수장이었던 FROLINAT는 1993년 1월 14일에 해산되었다.

6. FROLINAT의 유산

6. 1. 차드 내전의 장기화

6. 2. 지역 갈등 심화

6. 3.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발호

7. 주요 인물

7. 1. 이브라힘 아바차

7. 2. 아바 시디크

7. 3. 구쿠니 우에데이

7. 4. 이센 아브레

7. 5. 이드리스 데비

8. 평가 및 비판

8. 1. 긍정적 평가

8. 2. 부정적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Comunicados militares do Frolinat https://www.tchiweka[...] 1973-06-13
[2] 서적 Africa's Thirty Years War: Libya, Chad, and the Sudan, 1963–1993 Westview Press 1999
[3] 서적 Africa's Thirty Years War: Libya, Chad, and the Sudan, 1963–1993 Westview Press 1999
[4] 문서 Nolutschungu
[5] 문서 Nolutschungu
[6] 문서 Nolutschungu
[7] 문서 A Country Study: Chad http://lcweb2.loc.go[...]
[8] 웹사이트 J. Fearon & D. Laitan http://www.stanford.[...]
[9] 문서 Nolutschun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