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측백나무는 측백나무과의 상록 교목으로, 잎은 비늘 모양이며 열매는 '백자인'이라고 불린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255호인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의 측백나무는 키가 10미터 이상 자란다. 관상용으로 널리 심어지며, 측백나무의 잎과 종자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백나무과 -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는 중국 중부 원산의 낙엽침엽교목으로, 빠른 성장과 아름다운 수형, 가을 단풍으로 관상수로 널리 식재되지만, 멸종위기종으로 야생 개체 수가 적고 목재는 펄프 생산에 이용되며 세쿼이아속 식물과 가까운 측백나무과 세쿼이아아과에 속한다. - 측백나무과 - 삼나무
삼나무는 일본 고유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곧게 자라는 원추형 수관과 적갈색 수피, 바늘 모양 잎을 가지며, 건축재, 가구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 중국의 나무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중국의 나무 -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식용 견과인 호두를 생산하며, 은회색 수피와 깃꼴겹잎을 가지고, 가을에 녹색 껍질에 싸인 열매를 맺으며, 주글론을 함유하여 다른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목재, 염료 등으로 이용된다. - 중국의 식물상 - 국화 (식물)
국화는 중국에서 약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2만 종에서 3만 종에 달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꽃의 형태와 색상이 다양하고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 실내 화분식물로 인기가 높고 경제적 가치가 높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훼 작물이다. - 중국의 식물상 -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6~8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꽃을 피우고 구맥이라고도 불린다.
측백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1949 |
이명 | Biota orientalis (L.) Endl., 1847 Thuja orientalis L., 1753 기타 130개 |
한국어 이름 | 코노테가시와 테가시와 (手柏) 하르기 하리기 (針木) 후타오모테 량멘 (兩面) |
영어 이름 | Chinese arborvitae oriental arborvitae |
IUCN 보존 등급 | 준위협 (NT) |
IUCN 참고자료 | Platycladus orientalis - IUCN Red List |
분류 정보 | |
계 | 식물계 |
문 (계통군) | 겉씨식물 |
강 | 소나무강 |
목 | 측백나무목 |
과 | 측백나무과 |
아과 | 측백나무아과 |
속 | 코노테가시와속 (Platycladus) |
종 | 코노테가시와 (Platycladus orientalis) |
참고 | |
로마자 표기 | Platycladus orientalis |
2. 특징
측백나무는 크게 자라는 교목으로 별사탕 모양의 '백자인'이라는 열매가 가지마다 열린다.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의 측백나무는 키가 10m가 넘고 밑둥 둘레도 2m를 넘는다.[13][22][23] 상록수이며 수피는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잎은 비늘처럼 나란히 포개져 달려 손바닥을 펼친 모양이다. 잎은 앞뒤 모양이 같고, 달걀 모양의 수꽃과 암꽃이 한 나무에 달린다.(암수한그루)
높이는 2~10m이고, 큰 것은 높이 20m, 줄기 지름이 약 1m에 달한다.[13][22][23] 식재된 것은 가지치기 등으로 관목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에서 밝은 회갈색이며, 얇고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13][22][48] 수관은 어린 나무일 때는 달걀 모양의 원뿔형이지만, 오래되면 넓고 구형이 불규칙해진다.[13] 작은 가지는 평면적으로 갈라지고 보통 직립하며, 마주나는 비늘 모양의 잎으로 편평하게 덮여 있다.[13][48]
잎은 비늘 모양으로 광택이 없는 탁한 녹색이며, 길이 1~3mm이고, 끝은 둔하며, 뒷면에 수지선이 있다.[13][22][48][24][25] 앞뒷면의 잎은 마름모꼴이고, 측엽은 배 모양이며 세로 홈이 있고 끝은 약간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13][22][26][48] 잎에 포함된 정유로는 α-피넨, 3-카렌, 세드롤, 사비넨 등이 많다.[27]
암수한그루이며, 꽃은 3~4월에 피고, 구화가 가지 끝에 달린다.[13][22][26][48][24] 수구화는 황록색에서 황갈색이며, 난형이고, 길이 2~3mm이며, 4~6쌍의 소포자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소포자엽에는 3~6개의 꽃가루주머니가 있다.[13][22][26][48] 암구화는 연한 자갈색에서 청록색이며, 반구형이고, 지름 약 3mm이며, 과린은 벌어진다.[13][22][26][48]
구과는 미성숙 상태에서는 약간 다육질이고 흰색이 도는 녹색이지만, 그 해 가을(10~11월)에 익으면 목질화되어 적갈색이 되고 갈라지며, 15-25 × 10-18 mm이고, 3-4쌍의 과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과린의 포린 끝은 분리되어 작은 각으로 돌출되어 있다.[13][22][26][48][24][31] 과린은 두껍지만 편평하고 끝이 방패 모양이 되지 않는다.[13][22][23][31] 기부의 1~2쌍의 과린에는 2개의 종자가, 상부의 과린에는 0~1개의 종자가 붙는다.[13][48] 종자는 회갈색에서 자갈색이며, 난형에서 타원형이고, 5-7 × 3-4 mm이며, 날개가 거의 없다.[13][22][26][23][24] 떡잎은 2장이다.[13][26] 염색체 수는 2n = 22이다.[48]
2. 1. 명칭
일본어 이름인 "코노테가시와(児の手柏)"는 "아이의 손편백나무"라는 뜻으로, 가지와 잎이 수직으로 서 있는 특징을 아이가 손바닥을 펼친 모습에 비유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32][24][15] "柏(かしわ)"는 중국어에서는 코노테가시와 등 측백나무과의 침엽수를 의미하지만, 일본에서는 원래 밥을 지을 때 시루의 바닥 구멍에 채우는 잎("炊ぐ葉(かしぐは)")을 의미하며 "かしわ"라고 읽는다.[21][16][17][18] 이 종의 한자 이름은 "側柏(측백나무, そくはく)"이며,[19][22] 이 때문에 "かしわ"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20] 또한 위에서 언급한 "炊ぐ葉"로 상수리나무(참나무과)나 목련(호오가시와; 목련과) 외에 코노테가시와가 사용되었다는 말도 있지만,[18][32][21] 코노테가시와가 일본에 전래된 것은 에도 시대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코노테가시와는 칼 폰 린네의 『식물의 종』(1753년)에서 기재된 종(즉, 처음 학명이 부여된 식물) 중 하나이다.[6] 처음에는 측백나무속에 분류되어, ''Thuja orientalis''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은 "동쪽의 Thuja(그리스어로 수지가 풍부한 어떤 상록수)"를 의미하며, 이와 동시에 기재된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는 "서쪽의 Thuja"를 의미한다.[13] 그 후, 코노테가시와는 독자적인 코노테가시와속(''Platycladus'')으로 옮겨졌다.[6]
3. 생태
측백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석회암 토양의 가파른 절벽이나 암석 틈에서 자란다. 물이 흐르는 곳을 선호하며, 농장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조경용으로 많이 심는다. 화분에 심을 경우에는 가뭄과 더위로 수분과 영양분이 부족해 죽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1. 분포
측백나무는 한국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석회암 토양의 가파른 절벽이나 암석 틈과 같이 척박한 환경에서 자라며, 물이 흐르는 곳을 선호하는 등 생육 조건이 까다로운 편이다.[13][22][31][32] 하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비교적 잘 자라기 때문에 농장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조경용으로 많이 심는다. 다만, 화분에 심을 경우에는 가뭄과 더위로 인해 수분과 영양분이 부족하여 죽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측백나무는 원래 중국 북부(허베이성, 허난성, 산시성, 산시성, 간쑤성, 쓰촨성)가 원산지로 추정되지만, 오랜 옛날부터 자생지 이외의 지역에서도 널리 심어 왔기 때문에 자생지와 식재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1] 중앙아시아(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지역도 자생지로 여겨지기도 한다.[13][22] 이외에도 중국의 다른 지역, 러시아 동부, 한국, 일본, 유럽, 중근동, 북미 등 세계 각지에서 널리 심고 있다. 중국 허난성에 있는 도교 사찰인 중악묘(「天地の中央」にある登封の史跡群) 경내에는 수령 1,0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오래된 측백나무들이 자라고 있다.[33] 베이징의 중산공원에도 측백나무 숲이 조성되어 있다.[34] 측백나무는 햇빛을 좋아하는 양수이지만, 생장 속도는 느린 편이다.[15][35] 주로 가로수, 공원, 정원, 민가의 생울타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4. 인간과의 관계
측백나무는 중국에서 예로부터 왕족이나 귀족의 묘소에 많이 심었고, 정월에는 가지를 행복의 부적으로 삼았다.[31] 일본에는 겐분(元文) 연간(1736~1741년)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며,[48] 유럽에는 1752년에 전래되었다.[48] 다만, 『만엽집』에 "나라산의 측백나무의 양면에 어찌하여 그렇게 간신의 무리인가"라는 구절이 있어, 이것이 측백나무를 가리킬 가능성도 제기된다.[31]
4. 1. 원예 품종
측백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관상용으로 널리 심어지며, 공원, 정원수, 생울타리, 분재 등에 이용된다.[32][24][25][31][35] 기본적으로는 키가 큰 나무이지만, 키가 작은 원예 품종이 많이 이용되며, 가지치기를 통해 관목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35][36] 잎 색깔의 변이가 다양하고, 겨울에는 잎 색깔이 갈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36] 성장은 느리지만 싹이 트는 힘이 강하고 가지치기에 잘 견딘다.[37][15][35] 햇빛을 좋아하며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35][37] 물기가 적당하고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지만, 건조한 환경에도 잘 견딘다.[35] 추위에 강하지 않고, 눈, 바람, 소금기에도 약하다.[37][35] 뿌리는 얕게 뻗으며, 옆으로 넓게 퍼지지 않는다.[35] 분재로도 가꿀 수 있다.[37] 꺾꽂이나 씨앗을 심어 번식하며, 옮겨 심기는 다소 어렵다.[15][35] 병충해는 거의 없다.[35] 초보자도 쉽게 기를 수 있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36][37]원예품종이 많고, 잎 색깔이나 나무 모양의 차이 등 변이가 풍부하다.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 천수(Platycladus orientalisla 'Compacta')[41][38]
- :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고, 높이 1.5m 정도의 넓은 원뿔 모양을 이룬다.[39][40] 일본에서 가장 흔한 원예 품종이다.[41]
- 황금측백(Platycladus orientalisla 'Aurea nana')[42][47]
- : 일본에 일찍 도입된 원예 품종으로, 잎이 황금색이다.[44][25] 높이와 폭은 0.5~1m 정도이다.[43] 추위에 강하다.[44]
- 콜렌스 골드(Platycladus orientalisla 'Collen's Gold')[44]
- : 높이 6~8m 정도로 자라지만,[37] 폭은 1m 정도로 가늘고 긴 품종이다. 분재에는 적합하지 않다.[44] 새싹은 황금색이고, 겨울에도 크게 변색되지 않지만 약간 갈색을 띤다.[36]
- 로제달리스(Platycladus orientalisla 'Rosedalisr')[47]
- : 잎은 부드러운 침엽으로 회녹색을 띠며, 새싹은 황록색이고 겨울에는 붉은 보라색이 된다.[44][36] 높이 2m 정도의 작은 품종이며, 나무 모양은 둥근 형태이다.[44][36] 가지와 잎이 연약하여 눈이 쌓이면 피해를 입기 쉽다.[36] 건조에 강하고 분재에 적합하며, 그늘에 약하다.

- 엘레간티시마(Platycladus orientalisla 'Elegantissima')[47]
- : 잎은 황록색이고 새싹은 황금색이며, 겨울에는 전체가 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36][45] 높이는 2.5~4m 정도이고, 나무 모양은 좁은 원뿔형이다.[36][45] 홋카이도 등 추운 지역에는 적합하지 않다.[44]
그 외에 'Beverleyensis'(베벌리엔시스), 'Blue Cone'(블루 콘), 'Falcata'(팔카타, 와백단[46]), 'Juniperoides'(주니페로이데스), 'Raffles'(래플스), 'Semperaurea'(센파오레아), 'Westmont'(웨스트몬트)[47]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4. 2. 약용
측백나무의 가지와 잎은 측백엽(側柏葉), 종자는 측백자(側柏仁) 또는 백자인(柏子仁)이라는 생약이 된다.측백엽은 잎이 달린 작은 가지를 채취하여 물로 씻고 물기를 뺀 후 잘게 썰어 햇볕에 말려 건조시킨 것이다.[32][19][49] 피넨, 리모넨 등 모노테르펜, 세스키테르펜, 플라보노이드, 탄닌, 지방산 등의 성분을 포함한다.[32][50] 지혈, 지사 작용이 있으며, 토혈, 혈뇨, 혈변, 내출혈 등의 출혈 증상이나 설사 치료에 사용된다.[32][50][51] 1일 2g~15g을 물 200ml~600ml에 반량이 될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 식간에 3회 나누어 복용한다.[32][49] 잎은 환부의 열을 내리고 출혈을 멈추는 작용이 있지만, 복용하면 몸을 차게 하기 쉬우므로 과다 복용이나 장기간 사용은 금기로 여겨진다.[19][50] 땀띠, 가려움, 피부 트러블에는 측백엽을 천주머니에 넣어 목욕물에 탕약으로 사용하면 치료를 촉진한다고 하며,[32] 불면증이나 피로 시에도 사용된다.[49] 원형탈모증에는 잎 30g을 알코올 1L에 1개월 이상 담근 액체를 바른다.[19][51]
측백자(백자인)는 구과를 채취하여 종자를 꺼내 햇볕에 말려 건조시킨 것이다.[32][19][49] 지방유 성분을 포함한다.[32][52] 자양강장, 진정 작용이 있으며, 두근거림, 불면증, 도한, 변비 등에 사용한다.[52][51] 약한 불에 살짝 볶아 믹서 등으로 분말로 만들어 1일 3g~12g을 3회로 나누어 물이나 홍차 등에 섞어 마신다.[32][49]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이나 변비에는 1일 2g~3g을 물 400ml로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해도 좋지만, 설사를 하기 쉬운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19]
5. 문화
측백나무속 식물인 개잎갈나무(일본어: 児の手柏)의 잎은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어려워 '마음속에 앞뒤가 없는 것'의 비유로 사용된다. 반대로, 이중적인 면을 가진 것을 "개잎갈나무의 양면(児の手柏のふたおもて)"이라고 비유하기도 한다.[53][54] 또한, 같은 이유로 일본도의 앞면과 뒷면에서 하바키(刃文)의 종류가 다른 것을 "개잎갈나무"라고 부른다.[55]
측백나무의 꽃말은 "변치 않는 사랑"으로 여겨진다.[56]
참조
[1]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https://www.iucnredl[...]
IUCN
2024-03-03
[2]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3]
서적
維管束植物分類表
北隆館
[4]
서적
植物分類表
アボック社
[5]
YList
2020-06-06
[6]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024-03-03
[7]
YList
2020-06-06
[8]
YList
2020-06-06
[9]
Kotobank
2024-03-10
[10]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
http://www.ffpri.aff[...]
森林総合研究所 関西支所
2024-03-10
[11]
Kotobank
2024-03-10
[12]
Kotobank
2024-03-11
[13]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https://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24-03-03
[14]
Kotobank
2024-03-11
[15]
Kotobank
2024-03-11
[16]
Kotobank
2024-03-10
[17]
서적
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 11
[18]
Kotobank
2024-03-11
[19]
서적
日本の薬草 フィールド・ガイドシリーズ16
小学館
[20]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21]
서적
知っておきたい100の木:日本の暮らしを支える樹木たち
主婦の友社
2011-07-31
[22]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4-03-08
[23]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24]
서적
樹に咲く花 合弁花・単子葉・裸子植物
山と渓谷社
[25]
서적
検索入門 針葉樹
保育社
[26]
웹사이트
Platycladus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4-03-10
[27]
학술지
Chemical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essential oils
[28]
서적
陸上植物の形態と進化
裳華房
[29]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30]
서적
維管束植物の形態と進化 原著第3版
文一総合出版
2002-04-10
[31]
서적
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 11
[32]
서적
薬草健康法: 効きめと使い方がひと目でわかる
講談社
[33]
Kotobank
2024-03-11
[34]
Kotobank
2024-03-11
[35]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
http://www.hokuzouky[...]
北海道造園緑化建設業協会
2024-03-11
[36]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4-03-10
[37]
서적
コニファーガーデン―園主が教える選び方・育て方
農山漁村文化協会
2007-07
[38]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センジュ’
https://www.awaji.ac[...]
兵庫県立淡路景観園芸学校
2024-03-15
[39]
웹사이트
センジュ
https://ryokka-c.jp/[...]
広島県緑化センター
2024-03-10
[40]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緑化樹木カード図鑑)
https://www.hro.or.j[...]
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林業試験場
2024-03-10
[41]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センジュ)
http://www1.ous.ac.j[...]
岡山理科大学 生物地球学部 生物地球学科
2024-03-10
[42]
YList
2024-03-10
[43]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Aurea Nana'
https://www.rhs.org.[...]
RHS
2024-03-11
[44]
서적
コニファー きれいに育てる全テクニック
小学館
[45]
웹사이트
'Platycladus orientalis' 'Elegantissima'
https://www.rhs.org.[...]
RHS
2024-03-11
[46]
저널
ヴイーチと神奈川植物 4
https://nh.kanagawa-[...]
1983
[47]
웹사이트
理想の植木を見つけに行こう!
https://www.ueki.or.[...]
一般社団法人日本植木協会
2024-03-10
[48]
서적
原色日本植物図鑑 木本編 2
保育社
1979
[49]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ヒノキ科)
http://www.miyayaku.[...]
宮崎県薬剤師会
2024-03-12
[50]
웹사이트
側柏葉(そくはくよう)
https://dentomed.toy[...]
富山大学
2024-03-12
[51]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
https://www.pharm.ku[...]
2024-03-11
[52]
웹사이트
柏子仁(はくしじん)
https://dentomed.toy[...]
富山大学
2024-03-12
[53]
서적
学研国語大辞典 第二版
学習研究社
1988
[54]
Kotobank
2024-03-10
[55]
웹사이트
児手柏包永
https://www.touken-w[...]
東建コーポレーション
2024-03-10
[56]
웹사이트
コノテガシワ
https://www.mukogawa[...]
武庫川女子大学薬学部
2024-03-13
[57]
IUCN
Platycladus orientalis
http://www.iucnredli[...]
IUCN
2013-12-13
[58]
GRIN
2008-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