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빌인은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족으로, '부족'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카빌족은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독립성을 유지했으며, 특히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했다. 알제리 독립 이후에도 카빌 지역과 중앙 정부 간의 긴장이 지속되었고, 베르베르어 사용, 자치권 등을 요구하는 시위가 발생했다. 카빌 지역은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독자적인 문화 유산을 보존해 왔으며, 카빌어, 이슬람교, 구전 문학 등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과수원, 수공예 산업 외에 지역 산업이 발전했으며, 프랑스 등 해외에도 많은 카빌인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빌인 - 지네딘 지단
지네딘 지단은 뛰어난 볼 컨트롤과 창의적인 플레이로 명성을 떨친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으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과 레알 마드리드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을 이끌었고, 은퇴 후에는 레알 마드리드 감독으로서 UEFA 챔피언스리그 3연패라는 기록을 세웠다. - 카빌인 - 유세프 아탈
알제리 출신 축구 선수 유세프 아탈은 라이트백으로 활약하며 파라두 AC와 KV 코르트레이크를 거쳐 OGC 니스에서 프랑스 리그 1에 진출, 알제리 국가대표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에 기여했으나 2023년 반유대주의 게시물 공유로 논란 및 처벌을 받았다. - 알제리의 민족 - 사하라위인
사하라위인은 서사하라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하사니야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 베르베르, 서아프리카 혈통이 혼합된 유목 민족 집단으로, 20세기 이후 서사하라 지배권을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많은 수가 난민 캠프에 거주하고 있다. - 알제리의 민족 - 베두인
베두인은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유목 생활을 하는 아랍계 유목민을 가리키며, 오랜 역사 속에서 여러 제국과 관계를 맺고 사회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다. - 베르베르인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베르베르인 - 유수프 이븐 타슈핀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11세기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베르베르족 군주로서,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 왕국들을 통합하여 서구 이슬람 세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카빌인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카빌어) | 이즈와웬 (Izwawen) |
공식 명칭 (아랍어) | 알-카바일 (al-Qabā'il) |
거주 지역 | 카빌리아 |
인구 | 약 600만 명 |
분포 지역 | |
알제리 | 약 500만 명 |
프랑스 | 약 100만 명 |
캐나다 | 37,415명 |
언어 | |
주요 언어 | 카빌어 |
기타 사용 언어 | 알제리 아랍어, 프랑스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대다수가 수니파 이슬람교 |
관련 집단 | |
관련 민족 | (정보 없음) |
지리 | |
면적 | 약 100마일 (160km) |
2. 어원
'카빌'(Kabyle: Iqbayliyen)이라는 단어는 외부 지칭어이며, '부족' 또는 '수용하다'라는 뜻을 가진 아랍어 단어 ''qaba'il'' (قبائل)의 변형이다. 이 단어는 이슬람 정복 이후 코란의 말씀을 받아들인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6] qaba'il이라는 용어는 알제리의 여러 민족들이 카빌인을 포함한 다양한 산악 부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다.[16][17]
카빌족은 카르타고, 로마 제국, 반달 왕국, 비잔틴 제국, 오스만 제국 등 여러 제국의 지배에도 불구하고 북아프리카에서 독립을 유지한 몇 안 되는 민족 중 하나였다.[21][22][23][24][25] 아랍인의 북아프리카 정복 이후에도 카빌족은 산악 지역에서 자신들의 영역을 지켰다.[26][27][25]
카빌인을 구체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된 용어는 '즈와와'(Kabyle어로는 'Izwawen', 아랍어로는 'زواوة')였다. 이 명칭은 그레이터 카빌리아의 부족들을 지칭하는 데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븐 할둔의 저서와 같은 중요한 중세 민족지학 작품에도 등장한다.[18][19] 프랑스 정복 이후 프랑스인들은 카빌이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아랍인"과 "카빌인"이라는 용어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처음에는 프랑스인들이 카빌이라는 용어를 모든 베르베르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지만, 식민지 시대에는 현대 카빌인만을 의미하도록 구체화되었다.[16] 그러나 즈와와는 서부 알제리와 같은 지역에서 카빌인을 지칭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20]
3. 역사
이후 카빌족은 파티마 칼리파조, 지리 왕조, 함마드 왕조를 세우는 데 기여하거나, 해당 왕조 출신으로 북아프리카 일대를 지배하였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카빌인은 쿠쿠 왕국, 아이트 아바스 왕국 등 여러 왕국으로 나뉘어 비교적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16세기 초 베니 아베스의 술탄 압델아지즈는 제1차 칼라 오브 베니 아베스 전투 등에서 오스만 제국을 여러 차례 격파하기도 했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맞서 랄라 파트마 엔수메르와 같은 지도자들은 1871년 모크라니의 반란까지 저항을 이어갔다.[53]
프랑스는 카빌인이 아랍인보다 프랑스 문화에 더 잘 동화될 것이라는 카빌 신화를 만들기도 했다.[54] 프랑스 식민 당국은 카빌인의 토지를 몰수하여 ''피에 누아'' 정착민들에게 분배하고, 많은 카빌인을 뉴칼레도니아 등으로 추방했다.[55] 이 과정에서 많은 카빌인이 알제리 내외로 이주했으며, 프랑스로 간 이주 노동자들은 1920년대 알제리 독립을 옹호하는 최초의 정당을 조직하기도 했다.
알제리 독립 이후에도 카빌리와 중앙 정부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었다. 1963년 호신 아이트 아메드의 FFS당은 FLN의 권위에 도전했고, 1980년 베르베르의 봄 시위에서는 베르베르어의 공용어 인정을 요구했다. 2001년 카빌리의 검은 봄 사건 이후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으로부터 일부 양보를 얻어냈으며, 2016년 타마지트는 알제리 헌법에서 아랍어와 동등한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다.[94]
3. 1. 고대 ~ 중세
902년부터 909년 사이, 이스마일파로 개종하고 아부 압달라 알시이의 선전에 매료된[28] 리틀 카빌리 출신의 쿠타마 베르베르족은 파티마 칼리파조 건국에 기여했으며, 이프리키야 정복을 지원[29]하여 칼리파조가 창설되었다.[30][31][32][33][34] 그러나 통치 파티마 왕조는 아랍인이었다. 이프리키야 정복 후 파티마는 루스타미드 왕조 영토를 정복했고, 시질마사를 거쳐 잠시 정복한 후 당시 투옥되어 있던 압달라 알마흐디 빌라가 풀려나 이 운동의 이맘으로 받아들여져 칼리프로 즉위하면서 첫 번째 칼리프이자 통치 왕조의 창시자가 되었다.[35][36][37] 역사가 하인츠 할름은 초기 파티마 국가를 "동부 및 중부 마그레브에 대한 쿠타마와 산하 베르베르족의 헤게모니"로 묘사하고, 로이메이어 교수는 파티마에 대한 반란이 쿠타마 통치에 대한 항의와 반대로 표현되었다고 말한다.[38][39] 아바스 왕조의 약화로 파티마-쿠타마의 세력은 급속도로 확장되었고, 959년 지리 이븐 마나드, 자와르 더 시칠리안, 쿠타마 군대가 모로코의 페즈와 시질마사를 정복했다.[40]
알아지즈 빌라 통치 기간 동안 쿠타마의 역할은 군대 규모를 대폭 축소하고 새로운 사회-군사 집단을 포함시키면서 크게 약화되었다.[41] 969년 자와르의 지휘 아래 파티마 쿠타마 군대는 이크시디드 왕조로부터 이집트를 정복했는데, 자파르 이븐 팔라 장군이 이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나일강을 건너는 군대를 이끌었고, 알마크리지는 그가 이집트 하부에서 온 이크시디드 충성파의 함대로부터 이 작전에 사용된 배를 탈취했다고 기록했다.[42] 자파르 장군은 팔레스타인을 침략하여 수도 람라를 정복한 다음, 다마스쿠스를 정복하여 그 도시의 지배자가 되었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트리폴리를 정복했다.[43][44] 이 시기에 파티마 칼리파조는 4100000km2에 달하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다.[45]
지리드 왕조는 카빌 산맥을 기원으로 하는 산하자 베르베르족의 가문이었다.[46] 그들은 통치 기간 동안 마그레브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으며, 안달루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지배권을 확립했다. 그들은 또한 칼비드를 통해 시칠리아 토후국에 대한 종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나중에 통치자를 암살하고 섬을 장악했다.[47] 시칠리아 토후국이 여러 타이파로 분열되었을 때, 아유브 이븐 타밈이 시칠리아에 입성하여 섬을 떠날 때까지 모든 타이파를 자신의 통치하에 통합했다.
함마드 왕조는 자이리드 왕조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권력을 잡았다. 그들은 알제],
3. 2. 오스만 제국 시대 ~ 프랑스 식민 통치
오스만 제국의 북아프리카 통치 시기 동안 카빌인은 외부의 통제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이들은 주로 쿠쿠 왕국, 아이트 아바스 왕국, 아이트 주바르 공국 등 세 개의 왕국에 거주했다.[52] 16세기 초, 베니 아베스의 술탄 압델아지즈는 여러 차례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는데, 특히 제1차 칼라 오브 베니 아베스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카빌인은 알제리 섭정과 함께 텔렘센 원정과 페스 정복과 같은 주목할 만한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
카빌리아는 1854년부터 1857년까지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화된 북부 알제리의 마지막 지역이었으며, 이는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53] 랄라 파트마 엔수메르와 같은 지도자들은 1871년 모크라니의 반란까지 저항을 계속했다.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은 19세기에 카빌 신화를 만들어 카빌인이 아랍인보다 "프랑스 문명"에 동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54] 프랑스 관리들은 더 완강한 부족들로부터 많은 토지를 몰수하여 ''피에 누아''로 알려진 식민주의자들에게 부여했다. 이 기간 동안, 프랑스는 많은 체포와 추방을 실시하여 주로 뉴칼레도니아의 태평양의 알제리인으로 저항자들을 추방했다. 프랑스 식민지화로 인해 많은 카빌인이 알제리 내부 및 외부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5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주 노동자들도 프랑스로 가기 시작했다.
카빌 마을은 마을의 의회인 djemaas와 같은 카빌 전통 정치 제도의 보존을 기반으로 한 간접적인 행정을 통해 통치되었으며, 이 제도는 카빌인의 자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53] djemaas는 마을 주민들 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관습법 규칙을 제정했다.[53]
3. 3. 알제리 독립 이후
알제리가 1962년에 독립한 이후, 카빌리와 중앙 정부 사이에는 여러 차례 긴장이 발생했다. 1962년 7월, FLN(민족해방전선)은 단결하기보다는 분열되었다. 독립에 기여한 많은 이들은 권력 분점을 원했지만, 호아리 부메디엔이 이끄는 ALN(민족해방군)은 군사력 때문에 아흐메드 벤 벨라와 함께 우위를 점했다.
1963년, 호신 아이트 아메드의 FFS당은 FLN의 권위에 도전했다. 아이트 아메드 등은 벤 벨라가 이끄는 중앙 정부를 권위주의적이라고 여겼다. 1963년 9월 3일, 호신 아이트 아메드에 의해 FFS(사회주의 세력 전선)이 창설되었다.[92] 이 당은 당시 정권의 반대자들을 규합했으며, 선포 며칠 후 벤 벨라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카빌리에 군대를 보냈다. 모한드 울라지 대령도 FFS와 마키(fr)에 참여했는데, 이는 그가 ''무자헤딘''이 제대로 대우받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93] 처음에 FFS는 정부와 협상하기를 원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마키는 무기를 들고 민주주의 원칙과 정의가 시스템의 일부가 될 때까지 포기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모한드 울라지의 탈당 이후, 아이트 아메드는 운동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1964년 4월 16일 FLN 의회에서 정부의 정당성을 강화한 후, 1964년 10월에 체포되었다. 결과적으로, 1965년 반란은 호아리 부메디엔이 지휘하는 ALN 부대에 의해 대규모로 진압되어 실패했다. 1965년 아이트 아메드는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나중에 벤 벨라에 의해 사면되었다. 마키에서 약 400명의 사망자가 집계되었다.[92]
1980년, 시위대는 카빌리에서 여러 달 동안 베르베르어를 공용어로 인정하라고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으며, 이 기간을 베르베르의 봄이라고 부른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카빌리는 "학교 가방 파업"이라고 불리는 학교 보이콧을 실시했다. 1998년 6월과 7월, 그들은 가수 마투브 루네스의 암살과 모든 분야에서 아랍어 사용을 요구하는 법안 통과 이후 폭력으로 변한 사건에서 항의했다.
2001년 4월 이후 몇 달 동안 (검은 봄이라고 불림), 젊은 카빌인 마시니사 게르마가 헌병에 의해 살해된 후 카빌인들 사이에서 대규모 폭동이 발생했다. 동시에, 조직적인 활동은 ''아루치''와 신전통적인 지역 의회를 만들었다. 시위는 카빌인이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으로부터 약간의 양보를 얻은 후 점차 감소했다.
2016년 1월 6일, 타마지트는 알제리 헌법에서 아랍어와 동등한 언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94]
4. 지리
카빌 지역의 지리는 이들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티지 우주와 베자이아 주의 험난한 산악 지형은 압력이나 점령 상황에서 대부분의 카빌인들이 피난처로 삼는 역할을 했다. 그들은 다른 문화적 영향으로부터 고립된 환경에서 그들의 문화 유산을 보존할 수 있었다.[59]
이 지역은 지역 왕조 (누미디아, 쿠타마 시대의 파티마, 지리드, 하마디드, 부자이야의 하프스) 또는 알제리 현대 민족주의, 독립 전쟁을 지원했다. 이 지역은 다양한 정복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점령되었다. 로마인과 비잔틴인은 고대 시대에 주요 도로와 계곡을 통제했으며 산맥(Mont ferratus)은 피했다.[59] 이슬람의 확산 동안 아랍인은 평원을 통제했지만 모든 시골 지역을 통제하지는 못했다 (카빌인들은 그들을 ''el aadua'': 적이라고 불렀다).[60]
오스만 제국의 영향 아래에 있던 알제리 섭정국은 이 지역 사람들에게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마흐젠 부족, 암라와, 마라부).[61]
프랑스는 점진적으로 이 지역을 완전히 정복하고 직접적인 행정 체제를 수립했다.
카빌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은 알제리 주는 티지 우주, 베자이아, 부이라가 있으며, 이 지역에서는 카빌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또한 부메르데스, 세티프, 보르지 부 아레리, 지젤에도 카빌어 사용 인구가 있다. 알제 또한 상당한 카빌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수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카빌 지역은 아랍어 사용 인구에게는 ''Al Qabayel'' ("부족")로, 프랑스어로는 ''Kabylie''로 불린다. 이 지역의 원주민들은 이를 ''Tamurt Idurar'' ("산의 땅") 또는 ''Tamurt n Iqbayliyen''/''Tamurt n Iqbayliyen'' ("카빌인의 땅")으로 부른다. 이 지역은 아틀라스 산맥의 일부이며 지중해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5. 문화와 사회
카빌족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으며, 소수의 기독교 신자도 있다.[66] 이 지역에는 라흐마니야가 가장 널리 퍼져있는 ''자위야''가 많이 있다. 카빌 출신 가톨릭교 신자들은 대개 프랑스에 거주한다. 최근에는 복음주의 교파를 중심으로 개신교 공동체가 크게 성장했다.[67]
카빌족은 구전 문학이 발달했으며, 아세프루는 이무스나웬에 의해 공연된다.[68] 대표적인 카빌족 출신 작가로는 Jean Amrouche|장 아무르슈프랑스어[102], 물루드 페라온[103], 물루드 마므리[104] 등이 있다.
5. 1. 언어
카빌족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베르베르어인 카빌어를 사용한다. 카빌어는 알제리에서 가장 큰 베르베르어이다.[62] 2004년에는 300만 명이 사용했으며,[63] 아랍어, 프랑스어, 라틴어, 그리스어, 페니키아어 및 포에니 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아랍어 차용어는 전체 카빌어 어휘의 22.7%에서 46%를 차지하며, 많은 추산에서는 약 35%로 보고 있다.[64][65] 많은 카빌족은 알제리아 아랍어와 프랑스어도 구사한다.역사 초기 몇 세기 동안 카빌족은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체계(현대 티피나그의 조상)를 사용했다. 19세기 초부터 프랑스의 영향으로 카빌 지식인들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현대 베르베르 라틴 문자의 기초가 되었다.
알제리 독립 이후 일부 카빌 활동가들은 구 티피나그 문자를 부활시키려 했다. 이 새로운 버전의 티피나그는 네오-티피나그라고 불렸지만 그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카빌 문학은 라틴 문자로 계속 쓰이고 있다.
카빌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베르베르어에 속하며, 많은 사람들이 제2언어 및 제3언어로 알제리 아랍어, 프랑스어, 그리고 어느 정도는 영어를 구사한다.
역사 초기 몇 세기 동안 카빌족은 티피나그 문자 필기 시스템을 사용했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영향으로 카빌 지식인들은 로마자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현대 베르베르 라틴 문자의 기초가 되었다.
알제리 독립 이후 일부 활동가들은 오래된 티피나그 문자를 부활시키려 했다. 이 새로운 버전의 티피나그는 네오-티피나그 문자라고 불리지만, 그 사용은 로고 등에 한정되어 있다. 카빌 문학은 로마자로 계속 쓰이고 있다.
5. 2. 종교
카빌족은 주로 이슬람교 신자이며, 소수의 기독교 소수 민족이 있다.[66] 이 지역 전체에 많은 ''자위야''가 존재하며, 라흐마니야가 가장 널리 퍼져있다.카빌 출신의 가톨릭교 신자들은 일반적으로 프랑스에 거주한다. 최근 개신교 공동체는 특히 복음주의 교파를 중심으로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67]
5. 3. 문학
카빌족은 구전 문학의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일례로 아세프루는 이무스나웬에 의해 공연된다.[68]6. 정치
카빌인들은 베르베르('아마지그') 정체성을 옹호하는 데 적극적인 활동을 해왔다. 이 운동에는 세 그룹이 있다.
- 더 큰 베르베르 민족의 일부로 정체성을 밝히는 카빌인들(베르베르주의)
- 알제리 민족의 일부로 정체성을 밝히는 사람들("알제리주의자"라고 알려짐, 일부는 알제리를 본질적으로 베르베르 민족으로 간주함)
- 카빌인을 다른 베르베르 민족과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독립된 민족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카빌 민족주의)

카빌리에는 두 개의 정당이 지배적이며 주요 지지 기반을 가지고 있다. 사회주의 세력 전선(FFS)은 호신 아이트 아흐메드를 대신한 알리 라스크리가 이끌고,[69] 문화와 민주주의를 위한 집회(RCD)는 사이드 사디를 대신한 모흐신 벨라베스가 이끌고 있다.[70] 두 정당 모두 세속주의, 베르베르주의, 알제리주의를 표방한다.
아루치는 2001년 검은 봄 동안 전통적인 카빌 민주 조직 형태인 마을 회의의 부활로 등장했다. 아루치는 FFS와 RCD와 거의 동일한 정치적 견해를 공유한다.
카빌 자치 운동(MAK) 역시 검은 봄 동안 등장했으며, 카빌리에 대한 지역 자치의 권리를 주장했다. 2010년 4월 21일, MAK는 망명 중인 카빌 임시 정부(ANAVAD)를 선포했다. 페르하트 메헨니는 MAK의 국가 평의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71] 2013년 MAK는 공식적으로 독립 운동이 되었고, 이름을 카빌 자결 운동으로 변경했다.
7. 경제
이 지역의 전통적인 경제는 수목 재배(과수원, 올리브 나무)와 수공예 산업(태피스트리, 도자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산지와 언덕에서의 농업은 점차 지역 산업(섬유 및 농식품)에 자리를 내주고 있다. 20세기 중반, 카빌 디아스포라의 영향과 자금 지원으로 이 지역에 많은 산업이 발전했다. 알제 다음으로 이 나라는 두 번째로 중요한 산업 지역이 되었다.
8. 해외 이주민 (디아스포라)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많은 카빌인들이 일자리를 찾고 정치적 박해를 피해 프랑스로 이주했다. 현재 프랑스에 거주하는 카빌인 수는 약 100만 명에 달한다.[72][73] 지네딘 지단 등 일부 저명한 프랑스인들은 카빌 출신이거나 그 후손이다.[100][101] 모로코 리프의 mtalssa, ibdarsen 등의 일부 부족들은 그 기원을 카빌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
참조
[1]
문서
Amazigh
[2]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03
[3]
논문
The Berbers (Amazigh)
https://www.taylorfr[...]
2018-09-20
[4]
서적
The Wiley Blackwell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Nationalism
https://onlinelibrar[...]
Wiley
2022-12-23
[5]
웹사이트
Rapport du Comité consultatif pour la promotion des langues régionales et de la pluralité linguistique interne (2013)
https://www.culture.[...]
2022-12-25
[6]
논문
Kabylie : La langue
https://journals.ope[...]
2004-05-01
[7]
웹사이트
Knowledge of languages by age and gende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https://www150.statc[...]
Statistics Canada Statistique Canada
2023-01-03
[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AAVE – Esperanto,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2-21
[9]
웹사이트
https://www.britanni[...]
[10]
웹사이트
https://www.algeria.[...]
[11]
웹사이트
https://minorityrigh[...]
[12]
웹사이트
Centre de Recherche Berbère – Ecriture: Libyque & tifinagh
https://www.centrede[...]
2021-04-18
[13]
논문
Les Zwawa (Igawawen) d'Algérie centrale (essai onomastique et ethnographique)
https://www.persee.f[...]
1978
[14]
웹사이트
The Kabyle Berbers, AQIM and the search for peace in Algeria | Algeria | al Jazeera
https://www.aljazeer[...]
[15]
웹사이트
Amazigh-state relations in Morocco and Algeria
http://apps.dtic.mil[...]
[16]
서적
Language Conflict in Algeria: From Colonialism to Post-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3-05-16
[17]
서적
Oil Wealth and the Poverty of Politics: Algeria Compar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12
[18]
서적
Zwawa et zawaya: l'islam "la question kabyle" et l'État en Algérie. Autour de la Rissala, épître, "Les plus clairs arguments qui nécessitent la réforme des zawaya kabyles", d'Ibnou Zakri (1853–1914), clerc officiel dans l'Algérie coloniale, publiée à Alger, aux Editions Fontana en 1903
https://books.google[...]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2000
[19]
서적
Berber Government: The Kabyle Polity in Pre-colonial Alger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08-19
[20]
서적
Dictionnaires des patronymes Algériens
http://www.hcamazigh[...]
Office des publications universitaires
[21]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Pg 156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2]
웹사이트
Sketches of Algeria During the Kabyle War By Hugh Mulleneux Walmsley: Pg 118
https://books.google[...]
[23]
서적
The Kabyle People By Glora M. Wysner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3-01-30
[24]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 Pg 568
https://books.google[...]
Grolier
[25]
뉴스
The Conquest of Kabylia.
http://nla.gov.au/nl[...]
2023-10-06
[26]
웹사이트
The art journal London, Volume 4: Pg 45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The Barbary Coast By Henry Martyn Field: Pg 93
https://books.google[...]
[28]
서적
Africa from the Seventh to the Elev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J. Currey
1992
[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Ismaili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
[30]
웹사이트
The Shi'i World: Pathways in Tradition and Modernity
https://books.google[...]
[31]
서적
African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from Antiquity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32]
서적
An Atlas of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E. Arnold
1958
[33]
웹사이트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 and Social History, Volume 8
https://books.google[...]
[34]
웹사이트
Chroniques des années algériennes
https://books.google[...]
[35]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Africa
https://books.google[...]
Gale
2009
[36]
서적
Alger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Army"
1979
[37]
간행물
Orientalia, Volumes 54–55
https://books.google[...]
[38]
간행물
Fāṭimids
https://referencewor[...]
Brill Online
2014
[39]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 A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40]
서적
Der Nahe und Mittlere Osten
https://books.google[...]
BRILL
[41]
서적
War and Societ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7th–15th Centuries
BRILL
2022-02-22
[42]
간행물
The Fāṭimid Conquest of Egypt — Military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https://www.worldcat[...]
1979
[43]
서적
First Crusader: Byzantium's Holy Wars
https://books.google[...]
[44]
간행물
The Asiatic Journal and Monthly Register for British India and Its Dependencies, Volume 24
https://books.google[...]
Black, Parbury, & Allen
[45]
간행물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06-12
[46]
서적
A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4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https://books.google[...]
[48]
서적
Saladin, the Almohads and the Banū Ghāniya: The Contest for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49]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5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erbers (Imazighen)
https://books.google[...]
[51]
서적
Nomads and Crusaders, A.D. 1000–1368 By Archibald Ross Lewis
https://books.google[...]
[52]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53]
간행물
The recognition of the Tamazight Languages in the Algerian Law
https://www.ceeol.co[...]
2019
[54]
서적
Resurrecting the Granary of Rome: Environmental History and French Colonial Expansion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07-09-11
[55]
서적
Bélaïd Abane, L'Algérie en guerre: Abane Ramdane et les fusils de la rébellion
https://books.google[...]
[56]
논문
Une opposition politique dans l'impasse. Le FFS de Hocine Aït-Ahmed
1992
[57]
Youtube
Révolte de Hocine Ait Ahmed et Mohand Oulhadj en 28 septembre 1963 par Malik Cheurfa.flv
https://www.youtube.[...]
2019-04-22
[58]
웹사이트
AVANT PROJET DE REVISION DE LA CONSTITUTION
http://constitutionn[...]
Algeria Press Service
2019-05-28
[59]
웹사이트
Ebook LA KABYLIE ORIENTALE DANS L'HISTOIRE – Pays des Kutuma et guerre coloniale de Hosni Kitouni
http://www.harmatheq[...]
2016-11-29
[60]
논문
Du mythe de l'isolat kabyle
2004-01-01
[61]
웹사이트
KABYLES
http://www.universal[...]
2016-11-29
[62]
서적
Berber Culture on the World Stage: From Village to Video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11-03
[63]
웹사이트
Algérie: Situation géographique et démolinguistique
http://www.tlfq.ulav[...]
Université Laval
2010-01-08
[64]
서적
The Arabic Influence on Northern Berb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7-18
[65]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in Africa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7-01-01
[66]
문서
Abdelmadjid Hannoum, Violent Modernity: France in Algeria
[67]
문서
Lucien Oulahbib, Le monde arabe existe-t-il ?
[68]
서적
Poèmes kabyles anciens
https://archive.org/[...]
[69]
웹사이트
"Election hit by irregularities, says Algerian opposition leader"
https://www.euronews[...]
Euronews
2012-05-12
[70]
웹사이트
Mohcine Belabbès : «Si le tribunal me convoque, je répondrai présent»
https://www.algeriep[...]
2023-07-07
[71]
웹사이트
www. kabylia-gov.org
http://www.kabylia-g[...]
[72]
웹사이트
"Pour une histoire sociale du berbère en France"
http://www.langues-d[...]
2012-11-12
[73]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D-K
https://books.google[...]
Good Publishing Group
2002
[74]
웹사이트
Kabyles around the world
http://www.centreder[...]
2012-07-15
[75]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AAVE - Esperanto, Volume 1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6]
웹사이트
The Kabyle Berbers, AQIM and the search for peace in Algeria | Algeria | al Jazeera
https://www.aljazeer[...]
2019-01-21
[77]
문서
http://www.dtic.mil/[...]
[78]
서적
Language Conflict in Algeria: From Colonialism to Post-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3-05-16
[79]
서적
Oil Wealth and the Poverty of Politics: Algeria Compar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12
[80]
서적
Zwawa et zawaya: l'islam "la question kabyle" et l'État en Algérie. Autour de la Rissala, épître, "Les plus clairs arguments qui nécessitent la réforme des zawaya kabyles", d'Ibnou Zakri (1853–1914), clerc officiel dans l'Algérie coloniale, publiée à Alger, aux Editions Fontana en 1903
https://books.google[...]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2000
[81]
서적
Berber Government: The Kabyle Polity in Pre-colonial Alger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08-19
[82]
서적
Dictionnaires des patronymes Algériens
Office des publications universitaires
[83]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Pg 156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84]
웹사이트
Sketches of Algeria During the Kabyle War By Hugh Mulleneux Walmsley: Pg 118
https://books.google[...]
[85]
서적
The Kabyle People By Glora M. Wysner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3-01-30
[86]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 Pg 568
https://books.google[...]
Grolier
[87]
뉴스
The Conquest of Kabylia.
http://nla.gov.au/nl[...]
2023-10-06
[88]
웹사이트
The art journal London, Volume 4: Pg 45
https://books.google[...]
[89]
웹사이트
The Barbary Coast By Henry Martyn Field: Pg 93
https://books.google[...]
[90]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M. Th. Houtsma
[91]
서적
L'Algérie en guerre: Abane Ramdane et les fusils de la rébellion
https://books.google[...]
[92]
간행물
Une opposition politique dans l'impasse. Le FFS de Hocine Aït-Ahmed
1992
[93]
Youtube
Révolte de Hocine Ait Ahmed et Mohand Oulhadj en 28 septembre 1963 par Malik Cheurfa.flv
https://www.youtube.[...]
2019-04-22
[94]
웹사이트
AVANT PROJET DE REVISION DE LA CONSTITUTION
http://constitutionn[...]
Algeria Press Service
2019-05-28
[95]
웹사이트
Ebook LA KABYLIE ORIENTALE DANS L'HISTOIRE - Pays des Kutuma et guerre coloniale de Hosni Kitouni
http://www.harmatheq[...]
2016-11-29
[96]
간행물
Du mythe de l'isolat kabyle
2004-01-01
[97]
웹사이트
KABYLES
http://www.universal[...]
2016-11-29
[98]
문서
Violent Modernity: France in Algeria
[99]
문서
Le monde arabe existe-t-il ?
[100]
문서
Pour une histoire sociale du berbère en France
http://www.langues-d[...]
[101]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D-K
https://books.google[...]
Good Publishing Group
2002
[102]
웹사이트
JEAN AMROUCHE
https://www.universa[...]
2020-05-25
[103]
간행물
1938-1939年のカビリー報道 - カビリー人作家フェラウンの出発点として
https://hdl.handle.n[...]
筑波大学
2017-02-28
[104]
간행물
Hommage à Mouloud Mammeri écrivain algérien de la berbérité
https://www.persee.f[...]
1989
[105]
뉴스
Les Zwawa (Igawawen) d'Algérie centrale (essai onomastique et ethnographique)
http://www.persee.fr[...]
1978
[106]
뉴스
Les Zwawa (Igawawen) d'Algérie centrale (essai onomastique et ethnographique)
https://www.persee.f[...]
1978
[107]
서적
Les Kabyles
https://books.google[...]
Editions L'Harmattan
2001-09-01
[108]
문서
Histoire-Géographie, Collection Martin Ivernel, Hatier
[109]
서적
Le kabyle de poche
Assimil
2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