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왈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왈리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발언"을 뜻하는 아랍어 '카울'을 반복하는 노래를 의미하며, 수피즘의 신성한 음악으로 여겨진다. 13세기 후반 아미르 호스로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페르시아, 우르두, 힌디어 등 다양한 언어로 불린다. 카왈리는 알라를 찬양하는 함드, 무함마드를 찬양하는 나트, 수피 성자를 찬양하는 만카바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19세기 이후 수피즘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종교색이 옅어진 세속 가요로 발전하여 현대에도 인기를 얻고 있다.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아비다 파르빈 등 많은 저명한 가수를 배출했으며, 힌두교와도 문화적으로 교류하며 사랑받고 있다.

2. 용어

'''카울'''(قَوْل|카울ar)은 "예언자의 발언"이며, 카왈은 카울을 자주 반복하는(노래하는) 사람이고, 카왈리는 카왈이 부르는 노래이다.[1] 카왈리의 어원은 '말'을 의미하는 아랍어 콜(qaul)이다.[1] 콜은 아랍 고전 음악인 나우바 형식의 첫 번째 악장 명칭이다. 또한, 콜에는 코란의 구절 등, 예언자 무함마드가 말한 아랍어라는 종교적인 의미가 있다. 중세에는 콜이 선율에 실려 불려졌으며, 그 가수를 '카왈'이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도 카왈리의 가수는 카왈이라고 불린다. 이 콜이 수피들에 의해 남아시아에 전해져 현지 문화를 받아들여 카왈리로 변화했다고 생각된다.[1]

3. 기원

델리의 수피 성자 아미르 호스로는 13세기 후반 인도에서 페르시아 전통 음악, 아랍 음악, 터키 음악, 인도 음악 전통을 융합하여 오늘날 우리가 아는 카왈리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사마'라는 단어는 오늘날에도 중앙 아시아와 터키에서 카왈리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에서는 카왈리 세션을 공식적으로 '메흐필-에-사마'라고 부른다.

원래 카왈리에서는 악기 사용이 금지되었다. 카왈리에 처음 적용된 조건은 다음과 같다:[4]

시마'(카왈리를 듣는 것)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허용된다. 가수는 성인이어야 하며, 아이나 여성이 아니어야 한다. 청취자는 알라를 기억하는 것만 들어야 한다. 노래하는 가사는 외설적이거나 부적절해서는 안 되며, 공허해서도 안 된다. 모임에 악기가 없어야 한다.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하면 시마'가 허용된다.

어떤 사람이 마샤이크 술탄에게 몇몇 다르비쉬가 악기가 있는 모임에서 춤을 췄다고 불평했다. 술탄은 허용되지 않는 것을 용납할 수 없으므로 그들은 좋은 일을 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 시야르 알-아울리야[4][5]


유명한 수피 가수 아미르 호스로의 스승인 니자무딘 아울리야와 같은 수피 성자들은 이 금지에 대해 매우 단호했다.

악기는 하람(금지된 것)이다.
- 파와이드 알-푸아드[4][6]


그러나 결국 악기 사용은 카왈리에 도입되었다. 오늘날 풍금, 타블라, 돌락과 같은 악기는 많은 카왈리 파티에서 흔히 사용된다.

카왈리의 어원은 '말'을 의미하는 아랍어 콜(qaul)이다. 콜은 아랍 고전 음악인 나우바 형식의 첫 번째 악장 명칭이다. 또한, 콜에는 코란의 구절 등, 예언자 무함마드가 말한 아랍어라는 종교적인 의미가 있다. 중세에는 콜이 선율에 실려 불려졌으며, 그 가수를 '카왈'이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도 카왈리의 가수는 카왈이라고 불린다. 이 콜이 수피들에 의해 남아시아에 전해져 현지 문화를 받아들여 카왈리로 변화했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카왈리의 창시자라고 여겨지는 인물로 아미르 호스로(1253 - 1325)가 있다. 그의 전기에 따르면, 파키스탄 중부 물탄에서 성자 바하웃딘 자카리아를 섬기는 카왈들이 불렀던 아랍어의 신비시가 마음에 들어 수피즘에 도입한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서아시아남아시아 양쪽 문화에 정통하고, 뛰어난 시인이었던 호스로는 카왈리의 레퍼토리의 중요한 시구들을 많이 만들었고, 그 음악을 문학적으로 매력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4. 역사적 관행과 훈련

델리의 수피 성자 아미르 쿠스로는 13세기 후반 인도에서 페르시아 전통 음악, 아랍 음악, 터키 음악, 인도 음악 전통을 융합하여 오늘날 우리가 아는 카왈리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원래 카왈리에서는 악기 사용이 금지되었다. 카왈리에 처음 적용된 조건은 다음과 같다.[4]



아미르 쿠스로의 스승인 니자무딘 아울리야와 같은 수피 성자들은 악기 금지에 대해 매우 단호했다.

악기는 하람(금지된 것)이다. - 파와이드 알-푸아드[4][6]



그러나 결국 악기 사용은 카왈리에 도입되었다. 오늘날 풍금, 타블라, 돌락과 같은 악기는 많은 카왈리 파티에서 흔히 사용된다.

전통적인 카왈리 수행은 카왈들이 특정 성지와 연결된 봉사 공동체의 일부가 되는 세습적 훈련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그들의 성지에 대한 주요 기능은 공식적인 활동, 주로 수피 성자들의 사망 기념일(''우르스'')을 봉사하는 것이다.[7]

카왈리의 의도는 수피 신비주의적 사랑의 경험으로 가는 다리 역할을 하고 종교적 찬트와 낭송 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 관행은 이슬람 학자 로이스 람야 알-파루키가 비-무시카라고 부르는 것으로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8] 카왈들 자신은 카왈리 의례의 중심 인물이지만, 초점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여전히 하인 계급의 일부로 간주된다.

카왈들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훈련받는다.


  • (1) 음악의 기초를 배우는 연주자들의 ''브라드리'' 또는 형제단의 일원
  • (2) 수피즘에 대해 배우는 상류층을 위해 일반적으로 예약된 수피 교리 서클 내


영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시에 대한 형식의 의존성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문해력을 필요로 한다.

카왈리의 어원은 '말'을 의미하는 아랍어 콜(qaul)이라고 한다. 콜은 아랍 고전 음악인 나우바 형식의 첫 번째 악장 명칭이다. 또한, 콜에는 코란의 구절 등, 예언자 무함마드가 말한 아랍어라는 종교적인 의미가 있다. 중세에는 콜이 선율에 실려 불려졌으며, 그 가수를 '카왈'이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도 카왈리의 가수는 카왈이라고 불린다. 이 콜이 수피들에 의해 남아시아에 전해져 현지 문화를 받아들여 카왈리로 변화했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카왈리의 창시자라고 여겨지는 인물로 아미르 호스로(1253 - 1325)가 있다. 그의 전기에 따르면, 파키스탄 중부 물탄에서 성자 바하웃딘 자카리아를 섬기는 카왈들이 불렀던 아랍어의 신비시가 마음에 들어 수피즘에 도입한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서아시아남아시아 양쪽 문화에 정통하고, 뛰어난 시인이었던 호스로는 카왈리의 레퍼토리의 중요한 시구들을 많이 만들었고, 그 음악을 문학적으로 매력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5. 노래 내용 및 구성

카왈리는 주로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힌디어, 벵골어, 펀자브어 등으로 불린다.[17] 무굴 시대에는 사라이키어, 브라즈 바샤, 아와히어와 같은 북인도 방언도 사용되었다.[18][19] 지역 언어로 불리는 카왈리도 있지만, 그 전통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지역 언어 카왈리는 주류 카왈리와 소리가 완전히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초트 바부 카왈의 노래 스타일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의 카왈리보다 벵골 바울 음악에 더 가깝다.

카왈리의 중심 주제는 사랑, 헌신, 그리고 신에 대한 갈망이다. 때로는 세속적이거나 쾌락주의적인 가사도 영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수피 시인들은 세속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신비주의적 영적 사랑을 표현했다. 예를 들어, 낭만적인 갈망, 와인, 취함과 같은 세속적이거나 금지된 개념은 신비주의 상태의 은유로 사용된다.[12] 카왈들은 이러한 노래에 대해 영적으로 적절한 맥락을 유지하여 카왈리 행사의 종교적 초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카왈리 노래는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종류설명
함드(حمد)알라를 찬양하는 노래.[17] 카왈리 행사의 시작을 알린다.
나아트(نعت)무함마드를 찬양하는 노래. 함드 다음에 이어진다.
만카바트(مناقب)이맘 알리 또는 수피 성자를 찬양하는 노래. 수니파시아파 모임 모두에서 불린다. 나아트 직후에 이어진다.
마르시아(مرثية)카르발라 전투에서 이맘 후세인 가족의 죽음에 대한 애가.[17] 시아파 모임에서만 불린다.
가잘(غزل)페르시아어 또는 우르두어로 된 사랑 노래. 반복을 통해 신비로운 경험을 돕는 형식으로 여겨진다.[17]
카피펀자브어, 사라이키어 또는 신디어로 된 시. 술탄 바후, 샤 후세인, 불레 샤, 사찰 사르마스트와 같은 시인들의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무나자트 (مناجاة)알라에게 감사를 표시하는 노래. 페르시아어로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마울라나 잘랄 앗딘 루미가 작가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이후 수피즘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카왈리는 쇠퇴하지 않고 종교색이 옅어지거나 없는 오락성이 강한 세속 가요(필미 카왈리)로 현대에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5. 1. 카왈리 파티의 구성

카왈리 파티(훔나와)는 일반적으로 리드 싱어, 사이드 싱어, 풍금, 타악기 연주자를 포함한 8~9명의 남성으로 구성된다. 타악기 연주자가 한 명뿐이라면 타블라와 드홀락을 연주하는데, 보통 타블라를 지배적인 손으로 연주하고 다른 손으로 드홀락을 연주한다. 종종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한 명은 타블라를 연주하고 다른 한 명은 드홀락을 연주할 수 있다. 주요 구절을 반복하고 손뼉을 치며 타악기를 돕는 네다섯 명의 남성 합창단도 있다.[20]

연주자들은 두 줄로 땅바닥에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데, 맨 앞줄에는 리드 싱어, 사이드 싱어, 풍금 연주자가, 맨 뒷줄에는 코러스와 타악기 연주자가 앉는다.[20]

비교적 최근까지 풍금 대신 사랑기가 사용되었으나, 사랑기는 노래 사이에 다시 조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풍금이 선호되었다.[20]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남성 앞에서 노래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이슬람 음악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아비다 파르베인과 같은 여성 가수들의 등장으로 이러한 전통은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카왈리는 여전히 남성 중심의 음악 분야이며, 주류 여성 카왈 가수는 많지 않다.[20]

6. 음악적 구조

카왈리는 부드럽게 시작하여 점점 고조되어 최면 상태를 유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부분 힌두스탄 고전 음악 전통의 라가를 기반으로 한다.[3] 곡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3]

# 하모니움으로 주 멜로디를 연주하는 기악 전주로 시작하며, 타블라 반주가 따른다. 멜로디의 즉흥적인 변주가 포함될 수도 있다.[3]

# 알라프가 이어진다. 알라프는 곡의 라가에서 다양한 긴 음을 노래하는 긴 음조의 즉흥 멜로디이다.[3]

# 주 가수는 전주 가사를 부르기 시작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주요 곡의 일부는 아니지만 주제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들은 비리듬적으로 노래하며, 라가를 따르고 하모니움만 반주한다. 주 가수가 절을 부르면, 조 가수가 절을 반복하며 자신의 즉흥 연주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몇 절 또는 많은 절을 부르며 주요 곡으로 이어진다.[3]

# 주요 곡이 시작되면서 타블라, 돌락, 박수가 시작된다. 모든 구성원이 후렴구를 구성하는 절을 함께 노래한다. 주요 절의 가사는 절대 즉흥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것들은 종종 많은 그룹, 특히 같은 계보 내에서 불리는 전통적인 노래이다. 그러나 곡조는 주 멜로디의 틀 안에서 미묘하게 즉흥적으로 연주된다. 곡이 진행됨에 따라 주 가수 또는 조 가수 중 한 명이 알라프를 할 수 있다.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은 또한 이 시점에서 사르감 노래를 삽입하는 것을 대중화했다. 곡은 일반적으로 템포와 열정이 고조되며, 각 가수는 보컬 면에서 서로를 능가하려고 한다. 일부 가수는, 특히 제자 가수와 번갈아 가며 즉흥 연주를 하면서, 사르감 즉흥 연주를 오랫동안 할 수 있다. 곡은 대개 갑자기 끝난다.[3]

카왈리의 노래 스타일은 여러 면에서 서양 노래 스타일과 다르다. 예를 들어, "m"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 서양 가수는 "m" 자체보다 "m" 다음에 오는 모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카왈리에서는 "m"을 길게 유지하여 음소거된 소리를 낸다. 또한 카왈리에서는 흉성두성 사이에 구별이 없다. 카왈들은 매우 크고 힘차게 노래하는데, 이는 흉성을 서양 노래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주파수로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7. 카왈리 레퍼토리

카왈리 노래는 주로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힌디어, 벵골어, 펀자브어로 되어 있다.[17] 무굴 제국 시대의 사라이키어와 브라즈 바샤, 아와히어 같은 북인도 방언들도 사용된다.[18][19] 일부 지역 언어로 된 카왈리도 있지만, 지역 언어 전통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지역 언어 카왈리는 주류 카왈리와 소리가 완전히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초테 바부 카왈리의 노래 스타일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의 카왈리보다 벵골 바울 음악에 더 가깝다.

카왈리의 중심 주제는 사랑, 헌신, 그리고 신에 대한 갈망이다. 수피 시인들은 종종 세속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신비주의적 영적 사랑을 표현했다. 따라서 낭만적인 갈망, 와인, 취함과 같은 세속적이거나 금지된 개념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는데, 이는 신비주의 상태의 은유로 사용된다.[12]

카왈리 노래는 내용에 따라 여러 범주로 나뉜다. 대표적인 카왈리 범주는 다음과 같다.

카왈리 범주설명
함드알라를 찬양하는 노래
나트무함마드를 찬양하는 노래
만카바트이맘 알리 또는 수피 성자를 찬양하는 노래
마르시아카르발라 전투에서 후세인 이븐 알리 가족의 죽음에 대한 애가
가잘사랑 노래
카피펀자브어, 사라이키어 또는 신디어로 된 시
무나자트알라에게 감사를 표시하는 노래
카울무함마드의 말씀을 담은 노래


7. 1. 함드 (حمد)

حمد|함드ar알라를 찬양하는 노래(또는 시)이다. 함드는 전통적으로 카왈리 행사에서 노래의 주제별 시퀀스를 시작한다.[9]

7. 2. 나트 (نعت)

아트(نعت)는 아랍어로 '묘사'를 의미하며, 무함마드를 찬양하는 노래(또는 시)이다. 함드 다음으로 나아트가 이어진다.[9]

7. 3. 만카바트 (مناقب)

이맘 알리 또는 수피 성자를 찬양하는 노래이다.[9] 수니파시아파 모임 모두에서 알리를 찬양하는 만카바트가 불린다. 전통적인 프로그램에는 보통 최소한 한 곡의 만카바트가 있으며, 나아트 직후에 이어진다.

7. 4. 마르시아 (مرثية)

카르발라 전투에서 후세인 이븐 알리 가족의 죽음에 대한 애가이다.[9] 주로 시아파 모임에서 불린다.[9]

7. 5. 가잘 (غزل)

가잘(غزل)은 아랍어로 '사랑 노래'를 의미하며, 같은 이름의 시적 장르를 기반으로 한다. 페르시아어 또는 우르두어로 된 주제적으로 독립적인 구절로 구성된 노래이다. 가잘은 카왈리 노래의 대다수에서 발견되며, 반복에 중점을 두어 카왈이 지크르에 참여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심 주제 또는 구절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신비로운 경험에 이상적인 형식으로 여겨진다.[17] 주제적 통일성을 만들기 위해, 가잘은 종종 짝사랑의 주제와 같은 전통적인 은유, 이미지 및 주제를 사용한다.[13] 사랑하는 사람과의 분리(또는 재회), 자연의 아름다움, 와인 소비[14] 카왈리에서 이러한 갈망과 취함의 노래는 세속적인 은유를 사용하여 신과의 결합에 대한 영혼의 갈망과 신을 사랑하는 기쁨과 같은 신비로운 개념을 절절하게 표현한다. 취함은 영적 지식을 얻거나 신을 사랑하는 기쁨으로 가득 차는 것에 대한 은유로 이해된다. 갈망의 노래에서, 멸시받는 연인은 신에 의해 이 세상에 버려져 재회를 갈망하는 영혼에 대한 은유가 된다. 가잘은 카왈리 공연에서 특별히 헌신적인 맥락을 취하지만, 이 형식은 헌신적인 음악을 넘어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시의 세속적 주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독특한 세속적 음악 장르를 구성한다.[15]

7. 6. 카피

카피는 펀자브어, 사라이키어 또는 신디어로 된 시이다. 술탄 바후, 샤 후세인, 불레 샤, 사찰 사르마스트와 같은 시인들의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더 잘 알려진 카피 중 두 곡은 ''Ni Main Jana Jogi De Naal''과 ''Mera Piya Ghar Aaya''이다.[17]

7. 7. 무나자트 (مناجاة)

مناجاة|무나자트ar는 밤의 대화 또는 기도의 한 형태로, 가수가 다양한 언어 기법을 통해 알라에게 감사를 표시하는 노래이다.[11] 종종 페르시아어로 불리며, 마울라나 잘랄 앗딘 루미가 작가로 알려져 있다.

7. 8. 카울

카울(Qaul)은 아랍어로 '말씀'을 의미하며, 인도 수피교의 기본적인 의식 노래이다.[9] 카왈리 행사의 시작이나 끝을 알리는 찬송가로 자주 사용된다. 텍스트에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말씀이 담겨 있으며, 카왈리 행사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카울 다음에는 특정 수피 혈통의 창시 성인을 언급하는 하나 이상의 필수 찬송가가 이어질 수 있다.[9]

8. 힌두교와 카왈리

수피즘과 힌두교 신비주의인 박티 사상은 공통점이 있으며, 성립 과정에서 상호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양쪽의 음악인 카왈리와 박티 상기트에도 노래를 수행법이나 종교 의례로 삼고 있다는 점, 음악으로서의 구조 등 유사점이 보인다. 힌두교도 카왈이 인기를 얻거나, 우르스 날에는 카왈리를 들으러 많은 힌두교도들이 영묘를 방문하는 등, 쌍방의 종교가 문화적으로 겹치는 부분이 많이 보인다.[1]

9. 현대의 카왈리

19세기 이후 수피즘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카왈리는 종교색이 옅어지거나 오락성이 강한 세속 가요(필미 카왈리)로 현대에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카왈리가 전국적인 대중 음악으로 압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1]

10. 저명한 카왈리 가수


  • 아지즈 미안
  • 바다르 알리 칸 (바다르 미안다드로도 알려짐)
  • 바하우딘 쿠트부딘
  • 파테 알리 칸
  • 프라바 바르티
  • 하비브 페인터
  • 이크발 후세인 칸 반다나와지
  • 문시 라지우딘
  • 니자미 반두
  •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 사브리 형제
  • 와달리 형제
  • 와르시 형제
  • 쿠트비 형제
  • 아티크 후세인 칸
  • 압둘라 만주르 니아지
  • 파이즈 알리 파이즈
  • 파리드 아야즈
  • 드루브 상가리
  • 라하트 파테 알리 칸
  • 수카왓 알리 칸
  • 리즈완 무아잠
  • 와히드와 나비드 치스티
  • 쿠트비 형제
  • 타히르 파리디 카왈
  • 아미나 치스티 카왈[16]
  • 암자드 사브리
  • 아비다 파르빈
  • 사남 마르비
  • 누란 자매
  •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1948-1997)

11. 관련 논문


  • 유영민, 〈리추얼 사운드에서 월드뮤직으로: 이슬람 사운드의 교차와 변모〉, 《이화음악논집》 25-4,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년의 3장

참조

[1] 서적 Islamic religious music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Pakistan, Islamic Republic of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웹사이트 'Aaj rang hai' - Qawwali revisited http://twocircles.ne[...] TwoCircle.net 2013-03-08
[4] 웹사이트 Is it permissible to listen to Qawwali? https://www.thesunni[...] 2012-04-22
[5] 서적 Siyar-ul-Auliya: History of Chishti Silsila Mushtaq Book Corner
[6] 서적 Fawa'id al-Fu'aad: Spiritual and Literal Discourses D.K. Print World Ltd 1996-12-31
[7] 서적 Sufi Music of India and Pakistan: Sound, Context and Meaning in Qawwal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학술지 Music, Musicians and Muslim Law https://www.jstor.or[...] 1985
[9] 서적 Monograph Series, Issues 20-23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0] 웹사이트 Bollywood Reinvents the Qawwali – With a Vengeance http://www.dayafteri[...] The Day After: An International Illustrated Newsmagazine of India 2007-02-23
[11] 뉴스 Delhi's Qawwal Bachchon ka Gharana lights up Ramadan night at T2F http://www.dailytime[...] 2007-02-23
[12] 백과사전 Devotional Music 1999
[13] 웹사이트 India, subcontinent of https://www.oxfordmu[...] 2001
[14] 백과사전 Ghazal
[15] 서적 Cassette culture: popular music and technology in north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2010-04-03
[16] 뉴스 First woman tabla player breaks social barriers http://tribune.com.p[...] 2013-12-04
[17] 서적 Monograph Series, Issues 20-23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8] 웹인용 Bollywood Reinvents the Qawwali – With a Vengeance http://www.dayafteri[...] The Day After: An International Illustrated Newsmagazine of India 2007-02-23
[19] 웹인용 Delhi’s Qawwal Bachchon ka Gharana lights up Ramadan night at T2F http://www.dailytime[...] Daily Times: Leading News Resource of Pakistan 2007-02-23
[20] 서적 Abbas, Shemeem Burney. The female voice in sufi ritual: devotional practices of Pakistan and India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