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스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파우스타의 아들로, 337년 형제들과 함께 공동 황제가 되어 이탈리아, 아프리카, 일리리쿰을 통치했다. 그는 프랑크족을 상대로 승리하고 브리타니아를 방문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으나, 부패한 관료를 등용하고 군대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니케아 정통파를 지지하며 아리우스파와 대립했으며, 350년 장군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50년 사망 - 부홍
부홍은 오호십육국 시대 저족 출신으로, 영가의 난 시기에 세력을 키워 전조와 후조에 복속되었다가 동진에 복속, 삼진왕을 칭하고 자립하여 부씨로 성을 고쳤으나 부하에게 독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부건은 전진을 건국하였다. - 350년 사망 - 이농
이농은 다양한 시대에 걸쳐 군사 작전 참여, 장군, 동진 침공 격퇴, 국가 건국 기여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한 인물들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4세기 동로마 황제 - 테오도시우스 1세
379년부터 395년까지 동로마 황제였던 테오도시우스 1세는 군인 출신으로, 기독교를 국교로 확립하고 고트족 문제를 해결하는 등 로마 제국의 종교적, 군사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4세기 동로마 황제 - 아르카디우스
테오도시우스 1세의 아들 아르카디우스는 383년 동로마 황제로 추대되어 395년부터 제국을 통치했으나, 정치적 역량보다는 종교적 관심이 커 신하들에게 통치를 맡기며 고트족 반란, 궁정 내 권력 다툼, 황후와의 갈등 등 혼란을 겪다 408년 아들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살해된 4세기 군주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살해된 4세기 군주 - 그라티아누스
그라티아누스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아들로 공동 황제에 임명되어 제국을 공동 통치하며 라인 강 방어, 고트족 침입 대응, 테오도시우스 1세의 동방 황제 임명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반란으로 암살당한 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콘스탄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
칭호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
왕조 | 콘스탄티누스 왕조 |
종교 | 니케아 기독교 |
통치 | |
직위 | 로마 황제 (서방) |
재위 시작 | 337년 9월 9일 |
재위 종료 | 350년 1월 |
이전 통치자 | 콘스탄티누스 1세 |
이후 통치자 | 마그넨티우스 |
공동 통치자 | 콘스탄티누스 2세 (로마 갈리아, 히스파니아, 로마 브리타니아, 337–340) |
카이사르 임명 | 333년 12월 25일 |
카이사르 종료 | 337년 9월 9일 |
개인 정보 | |
출생 | 322년 또는 323년경 |
사망 | 350년 1월 (27세) |
사망 장소 | 비쿠스 헬레나, 남서부 로마 갈리아 |
아버지 | 콘스탄티누스 1세 |
어머니 | 파우스타 |
2. 생애
콘스탄티누스 1세와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딸 파우스타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어머니는 불륜죄로 처형되었다. 환관이 관장하는 궁정에서 두 형과 함께 자랐다. 337년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망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장례가 치러졌으나 체류지와의 거리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다. 장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던 친족들은 숙청당했다(주모자는 아마 차남 콘스탄티우스 2세로 추정). 이후 세 아들은 회담을 갖고 함께 즉위했다. 콘스탄스는 주로 이탈리아 본토, 판노니아, 다키아, 북아프리카 등을 통치했으나, 후에 맏형 콘스탄티누스 2세로부터 북아프리카 할양을 요구받는다. 그러나 340년, 쳐들어온 콘스탄티누스 2세를 아퀼레이아 근처에서 격파하고 그의 영토를 흡수했다.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으로 350년에 붙잡혀 살해당할 때까지 콘스탄스는 브리타니아, 갈리아, 히스파니아 등 서방 제국의 대부분을 통치했다. 사망 당시 나이는 30세 전후로 추정된다.
2. 1. 초기 생애
콘스탄스 1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파우스타의 셋째이자 막내 아들이었다.[6] 출생년도는 320년 또는 323년으로 추정되는데, 사망 당시 나이가 27세 또는 30세였다는 기록에 근거한다.[6] 티모시 반스는 화폐학적 증거를 들어 323년생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아에밀리우스 마그누스 아르보리우스에게 라틴어를 배웠다.333년 12월 25일, 아버지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카이사르로 임명되었다. 337년 이전에 프라이토리아니 아블라비우스의 딸인 아르메니아의 올림피아스와 약혼했으나, 실제로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6]
2. 2. 즉위와 통치
337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망한 후 콘스탄스는 형제들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와 함께 공동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즉위했다.[9] 제국은 삼분되어 콘스탄스는 이탈리아, 아프리카, 일리리쿰을 통치하게 되었다.[9] 338년, 사르마티아인에 대한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9]340년, 형 콘스탄티누스 2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했으나, 콘스탄스는 아퀼레이아 근처에서 그를 격파하고 살해했다.[9] 이후 콘스탄티누스 2세의 영토였던 브리타니아, 갈리아, 히스파니아를 흡수하여 서방 제국의 대부분을 통치하게 되었다.
341년부터 342년까지 프랑크족에 대한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유리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9] 343년, 브리타니아를 방문하여 북부 변경 지역의 방어를 강화했다.[9]
2. 3. 종교 정책
콘스탄스는 니케아 정통파와 아타나시우스를 지지하여, 아리우스파를 지지한 형 콘스탄티우스 2세와 갈등을 겪었다. 343년, 두 황제는 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세르디카 공의회를 소집했지만, 완전히 실패했다.[6] 345년에는 콘스탄스가 형에게 내전을 일으키겠다고 위협하기까지 했다.[7] 결국 콘스탄티우스는 아타나시우스의 후임자가 사망했기 때문에 아타나시우스가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했다.[8]341년, 콘스탄스는 이교 제의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9] 곧 사원 건물 파괴를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여 입장을 완화했다. 콘스탄스는 또한 아프리카에서 도나투스파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8]
2. 4. 몰락과 죽음
콘스탄스는 부패한 관리를 등용하고 병사들을 경멸적으로 대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많은 자료에서 그가 동성애자라는 의혹을 제기했는데,[3] 아마도 그가 결혼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4]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콘스탄스가 젊은 야만인 인질들에게 "광적인"[5] 소아성애를 저질렀다고 비난했지만,[6] 헌트는 "그가 자신의 동성애적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포로로 잡힌 야만인들을 거느렸다는 주장은 적대적인 민간 설화처럼 들린다"고 언급했다.[7] 콘스탄스의 동성애 반대 법률은 이 소문을 반박하기 위해 인용되어 왔다.[7][8]350년, 휘하의 장군 마그넨티우스가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황제임을 선포했다. 콘스탄스는 히스파니아로 도망치려 했으나, 피레네 산맥 동부의 엘레나에서 붙잡혀 살해당했다. 사망 당시 나이는 30세 전후로 추정된다. 콘스탄스의 죽음 이후, 그의 이름은 마그넨티우스를 지지하는 지역의 비문에서 지워졌다.
3. 가족 관계
콘스탄스 1세는 올림피아스(325년 - 361년)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올림피아스는 플라비우스 아블라비우스(Flavius Ablabius)의 딸이다. 아블라비우스의 아내(올림피아스의 어머니, 310년 출생)는 콘스탄티우스 1세의 딸 중 한 명(콘스탄티누스 1세의 이복 여동생 중 한 명)인 아나스타시아(293년경부터 314년까지 생존)와 그녀의 남편 바시아누스(316년 사망)의 딸이다. 즉, 올림피아스는 콘스탄티우스 1세의 증손녀이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종손녀이며, 콘스탄스 1세의 종고모이기도 하다.[6] 콘스탄스 1세 사후, 올림피아스는 아르메니아 왕 아르사케스 2세와 재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올림피아스의 고모(아블라비우스의 아내의 언니, 이름은 파우스타?, 307년 출생)는 대 그라티아누스(290년 - 367년)와 결혼하여 발렌티니아누스 1세・발렌스 형제의 어머니가 되었고, 이 형제로부터 발렌티니아누스 왕조가 시작된다. 발렌스의 자손은 황후 알비아 도미니카와의 1남 2녀(발렌티니아누스 갈라테스(366년 - 370년), 아나스타시아, 칼로사)만 확인할 수 있지만,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자손은 적어도 6세기 말부터 7세기 초까지 존속했다.
4. 평가
콘스탄스는 유능한 군사 지도자였다. 에우트로피우스는 콘스탄스가 전장에서 용감한 행동을 많이 했고, 군대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다고 기록했다.[9]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율리아누스가 콘스탄스의 죽음 이후 알레마니족이 두려워한 유일한 인물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종교적 갈등, 개인적인 결함, 부패한 측근 정치 등으로 인해 백성과 군대의 지지를 잃었다. 고대 자료들은 콘스탄스가 널리 인기가 없었으며, 그의 몰락을 그의 잘못으로 돌렸다고 주장한다. 그는 제국의 일부를 소홀히 하고 병사들을 경멸적으로 대했다는 비난도 받았다.
콘스탄스의 죽음은 서방 제국의 혼란을 가중시켰고, 이후 마그넨티우스와 콘스탄티우스 2세 간의 내전으로 이어졌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콘스탄스가 소수의 호위병만 대동하고 여행하는 습관 때문에 쉽게 암살당했다고 주장하며,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이 개인적인 원한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5. 콘스탄티누스 왕조 가계도
콘스탄티누스 왕조 가계도 | ||||||||||||
---|---|---|---|---|---|---|---|---|---|---|---|---|
막시미아누스 서방 황제 | ×|라틴어 발음la | 에우트로피아 | →|라틴어 발음la |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클로루스 서방 황제 (250-305-306) | ×|라틴어 발음la | 헬레나 (250–330) | 마겐티우스 서방 황제 | 테오도라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
콘스탄티아 (293–330) ∞ 리키니우스 (250-308-324-325) | ←|라틴어 발음la | 콘스탄티누스 1세 대제 (272-306-337) | ×|라틴어 발음la | 파우스타 (289–326) | ←|라틴어 발음la |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감찰관) | 아나스타시아 | 에우트로피아 | →|라틴어 발음la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d. 337) →|라틴어 발음la (1).갈라 2.바실리나 | 미네르비나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style="border-bottom: 1px solid black;" | | |||||
달마티우스 (카이사르) | 한니발리아누스 | (1) 콘스탄티우스 갈루스 | ←|라틴어 발음la | 콘스탄티나 (1.한니발리아누스 2.콘스탄티우스 갈루스) | 콘스탄티누스 2세 (서방 황제) (316-337-340) | 콘스탄스 1세 (서방 황제) (320-337-350) | 콘스탄티우스 2세 (317-337-361) ∞ 파우스티나 | ×|라틴어 발음la (2) 율리아누스 배교자 (331-360-363) 헬레나 (d. 360) | 크리스푸스 (d. 326) | (딸) (∞ 유스투스) | ||
요비아누스 (331-363-364) | ×|라틴어 발음la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la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 |||||||||||
×|라틴어 발음la 테오도시우스 1세 (동방 황제) 테오도시우스 왕조 갈라 | ×|라틴어 발음la 콘스탄티나 (361–383) 그라티아누스 (서방 황제) (359-367-383) |
참조
[1]
웹사이트
L'empereru Constant Ier?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LSA-563
http://laststatues.c[...]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02
[4]
웹사이트
Apologia ad Constantium
https://www.newadven[...]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2023-11-24
[5]
서적
Magnentiu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02
[6]
웹사이트
Constans I (337–350 A.D.)
http://www.roman-emp[...]
[7]
서적
Age of Spirituality: Late Antique and Early Christian Art, Third to Seventh Century
https://libmma.cont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9-01-01
[8]
웹사이트
LSA-336
http://laststatues.c[...]
[9]
서적
Historiae Romanae Breviar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