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슈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슈미는 힌두교의 여신으로, '인지하다' 또는 '관찰하다'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 부, 번영, 행운을 상징하며, 트리데비의 구성원으로서 라자스 구나와 이차-샤크티를 대표한다. 락슈미는 연꽃, 코끼리, 부엉이 등과 함께 묘사되며, 힌두교의 다양한 경전과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락슈미는 불교, 자이나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숭배되며, 특히 불교에서는 길상천으로 알려져 있다. 힌두교에서는 디왈리, 가자 락슈미 푸자 등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락슈미 - 폼페이 락슈미
    폼페이 락슈미는 1세기 로마-인도 간 무역의 증거로 1938년 폼페이에서 발굴된 힌두교 여신 락슈미를 묘사한 상아 조각상으로, 종교 혼합주의와 문화적 교류를 반영하며 제작지는 마투라 또는 보카르단 등으로 추정된다.
  • 비슈누의 아내 - 라다
    라다는 힌두교 비슈누파에서 크리슈나와 관련된 중요한 여신으로, "번영, 성공, 완벽, 부"를 의미하며 크리슈나와의 사랑 이야기는 예술 작품의 영감이 되고 숭배는 축제와 의례를 통해 이루어진다.
  • 비슈누의 아내 - 시타
    시타는 힌두교 서사시 라마야나의 주요 등장인물로, 라마의 배우자이자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숭배받으며, 굴곡진 삶을 통해 힌두교 신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행운의 여신 - 길상천
  • 행운의 여신 - 포르투나
    포르투나는 로마 신화에서 행운, 운명, 번영을 다스리는 여신으로 유피테르의 딸로 여겨지며, 풍요의 상징인 코피아를 들고 곡물 공급을 보호하는 안노나리아로 숭배받았고, 변덕스러움을 상징하는 운명의 수레바퀴로 대표된다.
락슈미
개요
라자 라비 바르마, 여신 락슈미, 1896년
스리 가자 락슈미 (라자 라비 바르마 (1896))
다른 이름스리
바르가비
카말라
파드마
나라야니
바이슈나비
금요일
관련비슈누파
샥티파
트리데비
마하데비
락슈미 나라야나
아슈타 락슈미
아쉬타바르야
시타
라다
툴라시
부미
나무툴라시
숭배 대상어머니 여신, 부, 번영, 행운, 다산, 왕권, 풍요, 아름다움
소속트리데비판차 프라크리티
상징슈리바차
파드마 (연꽃)
즈냐나 무드라
아바야 무드라
바라다무드라
자녀발라 및 우트사하 (일부 푸라나에 따름)
거처바이쿤타, 마니드비파
만트라옴 스림 마할락슈미아이 나마하। (Om̐ Śrīm̐ Mahālakṣmyai Namaḥ)
옴 스림 스리옘 나마하। (Om̐ Śrī Sriyem̐ Namaḥ)
탈것올빼미
코끼리
배우자비슈누
축제디파발리
락슈미 푸자
샤라드 푸르니마
바라락슈미 브라탐
나바라트리
상크란티
마르가시르샤 데비 브라트
마나바사 구루바라
일반 정보
산스크리트어लक्ष्मी (Lakṣmī)
의미목표로 인도하는 자, 고귀한 자
일본어 정보
이름라크슈미
설명미, 부, 풍요, 행운의 여신
한국어 정보
이름락슈미

2. 의미

산스크리트어 락슈미는 "인지하다" 또는 "관찰하다"를 뜻하는 어근 락스(LakS)에서 유래하였다.[154] 이 어근은 "목표" 또는 "목적"을 뜻하는 락샤(Lakṣya)와 동의어이다. 힌두교의 경전인 베다에서는 마하락슈미를 "락샤이이디 략슈미히(Lakshyayidhi Lakshmihi)"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는 락슈미가 인류를 끌어올려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신이라는 의미이다.

3. 모습

락슈미는 보통 두 개 또는 네 개의 팔을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코끼리를 동반하고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153] 불교 산치 에서는 '가자락슈미'의 부조가 발견되는데, 이는 사타바하나 왕조 시대의 조각으로 서기 1세기에 만들어졌다.[36]



락슈미는 트리데비를 구성하는 중요한 여신이다. 그녀는 라자스 ''구나''와 이차-샤크티를 대표한다.[37][38] 락슈미의 이름은 목표를 이해하고 아는 것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28] 그녀의 네 팔은 인간 삶의 네 가지 목표인 ''다르마''(윤리적 삶), ''아르타''(부), ''카마''(사랑), ''모크샤''(해방)를 상징한다.[23][39]

락슈미는 연꽃 위에 앉거나 서 있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며, 한두 손에는 연꽃을 들고 있다. 연꽃은 지식, 자기 실현, 해방을 상징하며,[40] 깨끗한 물이나 더러운 물에서도 피어나 순수함을 나타낸다. 이는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선과 번영이 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41][42]

가자락슈미라고 불리는 형태에서는 한두 마리의 코끼리가 락슈미와 함께 묘사되며,[43] 이는 풍요, 활동, 힘, 물, 비, 비옥함을 상징한다.[44] 때로는 부엉이와 함께 나타나기도 하는데, 부엉이는 어둠 속에서도 지식을 찾기 위한 끈기를 의미하며, 지식과 부를 얻은 후의 눈멀음과 탐욕을 경계하라는 상징이기도 하다.[45]

굽타 제국 왕들은 바이슈나바교도로서 락슈미를 존경했으며,[46] 그들의 동전에는 락슈미가 심하바히니(사자)로 묘사되어 있다.[47] 프라카샤디야 통치 기간의 동전에는 앞면에 가루다드바자, 뒷면에 락슈미가 새겨져 있다.[46]

굽타 시대 조각에서는 락슈미와 사자가 연관되었지만, 이후에는 두르가 또는 두 여신의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48][49] 락슈미의 '바하나'는 사자였으며,[50] ''비라 락슈미''와도 연관된다.[51] 일부에서는 가자락슈미의 이미지에 사자가 함께 나타나며, 이는 사자가 가루다와 함께 락슈미의 바하나임을 보여준다.[52]

어떤 표현에서는 락슈미의 손에서 부가 쏟아져 나오거나, 돈 항아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물질적 부와 영적 부를 모두 의미한다.[40] 그녀의 얼굴과 열린 손은 자비, 헌납, ''다나''('자선')를 나타내는 무드라를 취하고 있다.[39]

락슈미는 금색 실로 수놓은 붉은 드레스를 입고 있으며, 이는 행운과 부를 상징한다. 그녀는 남편 비슈누와 함께 표현될 때가 많으며, 이는 부와 번영이 삶, 정의, 평화와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40] 락슈미와 비슈누가 함께 나타날 때, 락슈미는 작게 묘사되어 헌신적인 지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락슈미가 비슈누의 발을 마사지하는 모습이 자주 묘사된다.[53]

스칸다 푸라나, 락슈미 탄트라, 마르칸데야 푸라나 등에서는 락슈미가 열여덟 개의 손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54][55][56] 락슈미 탄트라에서는 마하스리로서 금색 피부에 네 팔을 가지고 시트론, 곤봉, 방패, 암리타를 담은 용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57] 스칸다 푸라나와 ''벤카타찰라 마하트마얌''에서는 락슈미가 브라흐마의 어머니로 칭송받는다.[58]

일본에서는 락슈미가 ''킷쇼텐''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에 여의보주(如意宝珠)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59]

사원 내부에서 락슈미는 종종 비슈누와 함께 묘사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비슈누와 신자들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그녀는 영적 성취의 화신이며, 바이쿤타를 구현한다. 락슈미는 비슈누의 창조적 에너지이자[72] 우주를 창조하는 프라크리티이다.[73]

''가루다 푸라나''에 따르면 락슈미는 ''프라크리티''(마하락슈미)로 여겨지며 스리, 부, 두르가의 세 가지 형태로 동일시된다. 이 세 형태는 사트바('선'),[2] 라자스, 타마스('어둠') 구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슈누가 우주를 창조, 보존, 파괴하는 것을 돕는다. 두르가는 악마를 물리치는 힘을 나타낸다.

아쉬타락슈미 - 락슈미의 8가지 형태


아쉬타 락슈미(산스크리트어: )는 락슈미의 여덟 가지 이차적 화신 그룹이다. 이들은 여덟 가지 부의 원천을 주재하며, 락슈미의 여덟 가지 힘을 나타낸다. 첸나이 근처의 아쉬타락슈미 코빌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아쉬타 락슈미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다.[86]

아쉬타 락슈미
아디 락슈미락슈미의 첫 번째 화신
다냐 락슈미곡물 창고의 부
비라 락슈미용기의 부
가자 락슈미코끼리가 물을 뿜는 것, 비옥함, 비, 음식의 부.[87]
산타나 락슈미연속성의 부, 자손
비디야 락슈미지식과 지혜의 부
비자야 락슈미승리의 부
다나 / 아이쉬와라 락슈미번영과 행운의 부



[[파일:Scuola di bilaspur, vishnu e lakshmi, 1810 ca.jpg|thumb|upright|비슈누와 락슈미의 미니어처 그림

다양한 텍스트와 경전에서 락슈미는 다음과 같이 화신했다.

{{Columns-list|colwidth=15em|


  • 베다바티 – 베다바티는 베다를 소유한 자이며, 여신 시타의 전생으로 여겨진다.[121]
  • 부미 – 부미는 대지의 여신이자 비슈누의 세 번째 아바타 바라하의 배우자이다.[122] 그녀는 나라카수라, 망갈라 및 시타의 어머니로 여겨진다.[123]
  • 바라히 – 바라히는 바라하의 여성적인 에너지이자 배우자이다. 그녀는 마트리카의 지휘관이다.[124]
  • 프라턍기라 – 프라턍기라는 나라심하의 배우자이며, 트리푸라순다리의 분노의 순수한 화신이다.[125]
  • 나마기리 타야르 – 나마기리 타야르는 비슈누의 네 번째 아바타인 나라심하의 배우자이다.[126]
  • 다라니 – 다라니는 현자 파라슈라마의 아내이며, 비슈누의 여섯 번째 아바타이다.[127]
  • 시타 – 시타는 힌두 서사시 ''라마야나''의 여성 주인공이자 비슈누의 일곱 번째 아바타인 라마의 배우자이다.[128] 그녀는 라마 중심 힌두교 전통의 주요 여신이며, 아름다움, 헌신, 그리고 쟁기의 여신이다.[129]
  • 라다 – 라다는 사랑, 부드러움, 연민, 그리고 헌신의 여신이다.[130] 그녀는 크리슈나의 영원하고 주요한 배우자이며, 비슈누의 여덟 번째 아바타인 크리슈나의 여성적 상대이자 내적 힘(''hladini shakti'')인 물라프라크리티의 화신이다.[131]
  • 루크미니 – 루크미니는 크리슈나의 첫 번째이자 가장 뛰어난 여왕이다. 그녀는 행운의 여신이자 드바라카의 여왕이다.[132][133]
  • 잠바바티 – 잠바바티는 크리슈나의 두 번째 여왕이다.[134]
  • 사턭야바마 – 사턭야바마는 크리슈나의 세 번째 여왕이자 여신 부미의 화신이다.[135]
  • 칼린디 – 칼린디는 크리슈나의 네 번째 여왕이며, 강 여신 야무나로 숭배받는다.[136]
  • 나그나지티 – 나그나지티는 크리슈나의 다섯 번째 여왕이자 닐라데비의 화신이다.[137]
  • 미트라빈다 – 미트라빈다는 크리슈나의 여섯 번째 여왕이다.[138]
  • 락슈마나 – 락슈마나는 크리슈나의 일곱 번째 여왕이다.[139]
  • 바드라 – 바드라는 크리슈나의 여덟 번째 여왕이다(다름).[140]
  • 마드리 – 하리밤사에 따르면 마드리는 크리슈나의 여덟 번째 여왕이다.[141]
  • 고피 – 고피는 크리슈나의 배우자이자 헌신자, 그리고 여신 라다의 확장으로 여겨지며, 라다 크리슈나의 모든 고피 헌신자들 중 라리타가 가장 두드러진다.[142]
  • 크리슈나의 어린 아내들 – 그들은 악마 나라카수라로부터 구출된 수천 명의 여성들이었으며, 로히니는 그들 모두의 주요 여왕으로 여겨졌다.[143]
  • 레바티 – 레바티는 풍요의 여신이자 발라마의 아내이며, 일부 전통에서 비슈누의 아바타로 여겨진다.[144]
  • 바티카 – 바티카는 현자 비야사의 아내이며, 비슈누의 부분적인 화신으로 여겨진다.[145]
  • 파드마바티 – 파드마바티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벤카테스와라의 배우자이다. 그녀는 티루파티의 여신이다.[146]
  • 바르가비 – 바르가비는 현자 브리구의 딸이며, 아내 크야티이다.[147]
  • 바이슈노 데비 – 바이슈나비는 비슈누의 힘으로 여겨지며, 마하칼리, 마하락슈미 및 마하사라스와티의 결합된 아바타로 숭배받는다.[148]
  • 랑가나야키 – 랑가나야키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랑가나타의 주요 배우자이다. 그녀는 스리랑감의 여신이다.[149]
  • 안달 – 안달은 랑가나타의 배우자이며, 부미의 화신이다. 그녀는 유일한 여성 알바르이다.[150]
  • 아르치 – 아르치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프리투의 배우자이다.[151]

}}

연꽃의 눈과 연꽃 색깔의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연꽃 옷을 입고 4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수련을 들고 있다. 일부 이미지에서는 저금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의 손에서 금화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물 위에 떠 있는 붉은 연꽃 위에 올라탄 모습으로 묘사된다.

4. 신화

손에 연꽃을 들고 락슈미가 등장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데바(신)와 아수라(악마)는 한때 힌두교에서 모두 필멸의 존재였다. 불멸을 선사하는 신성한 감로인 암리타는 크시라 사가라('우유 바다')를 휘저어 얻을 수 있었다.[88] 데바와 아수라는 모두 불멸을 추구했고 만다라 산으로 크시라 사가라를 휘젓기로 결정했다. 삼드라 만탄이 시작되었고, 데바는 한쪽에, 아수라는 다른 쪽에 섰다. 비슈누는 거북이인 쿠르마로 화신했고, 산은 휘젓는 막대 역할을 하기 위해 거북이 위에 놓였다. 독을 뿜는 뱀 신인 바수키는 산 주위에 감겨 바다를 휘젓는 데 사용되었다. 휘젓는 동안 수많은 신성한 천체의 물체가 나타났고, 그들과 함께 여신 락슈미가 나타났다. 일부 버전에서는 그녀가 바다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바다의 신의 딸이라고 한다.[88]

가루다 푸라나, 링가 푸라나 및 파드마 푸라나에 따르면 락슈미는 신성한 현자 브리구와 그의 아내 크야티의 딸로 태어났으며 ''바르가비''라고 불렸다. 비슈누 푸라나에 따르면, 우주는 데바와 아수라가 우주적 크시라 사가라를 휘저었을 때 창조되었다. 락슈미는 연꽃을 들고 신성한 암소 카마데누, 바루니, 파리지타 나무, 압사라스, 찬드라 (달), 그리고 암리타('불멸의 넥타')를 가진 단반타리와 함께 바다에서 나왔다. 그녀가 나타났을 때 데바 또는 아수라 중 어느 쪽으로 갈지 선택할 수 있었다. 그녀는 데바 쪽을 선택했고, 30명의 신들 중에서 비슈누와 함께 있기로 했다. 그 후, 세 개의 세계 모두에서 연꽃을 든 여신을 기렸다.[89]

유해교반 때 탄생했다. 힌두교 최고신 중 한 명인 비슈누의 아내로 여겨지며, 수많은 비슈누의 화신과 함께 락슈미도 대응하는 모습·별명을 가지고 있다. 행운을 관장하기 때문에 변덕스러운 성격이라고도 한다. 락슈미가 탄생했을 때, 아수라들이 그녀를 차지하려 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어떤 아수라는 락슈미를 잡는 데 성공하여 머리 위에 올려놓았지만, 그 순간 도망갔다. 과거에는 인드라와 함께 있기도 했지만, 인드라조차 락슈미를 자신의 곁에 두기 위해서는 그녀를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다고 한다.

또한 락슈미는 아락슈미라는 불행을 관장하는 여신을 언니로 두고 있으며, 비슈누의 아내가 될 때 "제가 당신의 아내가 되는 조건으로 언니에게도 배우자를 붙여주세요"라고 비슈누에게 청원하여, 어떤 성선(리시)과 아락슈미를 결혼시켜 비로소 비슈누와 락슈미는 함께하게 되었다는 신화도 한편으로 남아 있다.

마하락슈미는 여섯 가지의 상서롭고 신적인 구나(Guna)들 즉 특질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슈리'''(Shri) 또는 '''티루마갈'''(Thirumagal, திருமகள்ta, శ్రీ మహా లక్ష్మిte)이라고도 불리는데, 심지어 주 나라야나(Lord Narayana)가 가진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155][156] 이 가진 권능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락슈미는 힌두교의 여러 신들의 배우자인데, 예를 들어, 비슈누의 배우자이며,[156] 시타(Sita)로서 화신해 있던 동안 라마와 결혼하였으며,[156] 크리슈나인 연인인 라다(Radha)였으며 또는 그의 아내인 룩미니(Rukmini)였다.[157][158][159]

벵골의 두르가 푸자(Durga Puja) 축제에서 락슈미는 여신 두르가(Durga)의 딸로 나오는데, 사라스바티(Saraswati)는 락슈미의 자매로, 가네샤(Ganesha)와 카르티케야(Karthikeya)는 락슈미의 남동생 또는 오빠로 나온다.[160]

비슈누와 락슈미의 미니어처 그림


다양한 텍스트와 경전에서 락슈미는 다음과 같이 화신했다.

  • 베다바티 – 베다바티는 베다를 소유한 자이며, 여신 시타의 전생으로 여겨진다.[121]
  • 부미 – 부미는 대지의 여신이자 비슈누의 세 번째 아바타 바라하의 배우자이다.[122] 그녀는 나라카수라, 망갈라 및 시타의 어머니로 여겨진다.[123]
  • 바라히 – 바라히는 바라하의 여성적인 에너지이자 배우자이다. 그녀는 마트리카의 지휘관이다.[124]
  • 프라턍기라 – 프라턍기라는 나라심하의 배우자이며, 트리푸라순다리의 분노의 순수한 화신이다.[125]
  • 나마기리 타야르 – 나마기리 타야르는 비슈누의 네 번째 아바타인 나라심하의 배우자이다.[126]
  • 다라니 – 다라니는 현자 파라슈라마의 아내이며, 비슈누의 여섯 번째 아바타이다.[127]
  • 시타 – 시타는 힌두 서사시 ''라마야나''의 여성 주인공이자 비슈누의 일곱 번째 아바타인 라마의 배우자이다.[128] 그녀는 라마 중심 힌두교 전통의 주요 여신이며, 아름다움, 헌신, 그리고 쟁기의 여신이다.[129]
  • 라다 – 라다는 사랑, 부드러움, 연민, 그리고 헌신의 여신이다.[130] 그녀는 크리슈나의 영원하고 주요한 배우자이며, 비슈누의 여덟 번째 아바타인 크리슈나의 여성적 상대이자 내적 힘(''hladini shakti'')인 물라프라크리티의 화신이다.[131]
  • 루크미니 – 루크미니는 크리슈나의 첫 번째이자 가장 뛰어난 여왕이다. 그녀는 행운의 여신이자 드바라카의 여왕이다.[132][133]
  • 잠바바티 – 잠바바티는 크리슈나의 두 번째 여왕이다.[134]
  • 사턭야바마 – 사턭야바마는 크리슈나의 세 번째 여왕이자 여신 부미의 화신이다.[135]
  • 칼린디 – 칼린디는 크리슈나의 네 번째 여왕이며, 강 여신 야무나로 숭배받는다.[136]
  • 나그나지티 – 나그나지티는 크리슈나의 다섯 번째 여왕이자 닐라데비의 화신이다.[137]
  • 미트라빈다 – 미트라빈다는 크리슈나의 여섯 번째 여왕이다.[138]
  • 락슈마나 – 락슈마나는 크리슈나의 일곱 번째 여왕이다.[139]
  • 바드라 – 바드라는 크리슈나의 여덟 번째 여왕이다(다름).[140]
  • 마드리 – 하리밤사에 따르면 마드리는 크리슈나의 여덟 번째 여왕이다.[141]
  • 고피 – 고피는 크리슈나의 배우자이자 헌신자, 그리고 여신 라다의 확장으로 여겨지며, 라다 크리슈나의 모든 고피 헌신자들 중 라리타가 가장 두드러진다.[142]
  • 크리슈나의 어린 아내들 – 그들은 악마 나라카수라로부터 구출된 수천 명의 여성들이었으며, 로히니는 그들 모두의 주요 여왕으로 여겨졌다.[143]
  • 레바티 – 레바티는 풍요의 여신이자 발라마의 아내이며, 일부 전통에서 비슈누의 아바타로 여겨진다.[144]
  • 바티카 – 바티카는 현자 비야사의 아내이며, 비슈누의 부분적인 화신으로 여겨진다.[145]
  • 파드마바티 – 파드마바티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벤카테스와라의 배우자이다. 그녀는 티루파티의 여신이다.[146]
  • 바르가비 – 바르가비는 현자 브리구의 딸이며, 아내 크야티이다.[147]
  • 바이슈노 데비 – 바이슈나비는 비슈누의 힘으로 여겨지며, 마하칼리, 마하락슈미 및 마하사라스와티의 결합된 아바타로 숭배받는다.[148]
  • 랑가나야키 – 랑가나야키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랑가나타의 주요 배우자이다. 그녀는 스리랑감의 여신이다.[149]
  • 안달 – 안달은 랑가나타의 배우자이며, 부미의 화신이다. 그녀는 유일한 여성 알바르이다.[150]
  • 아르치 – 아르치는 비슈누의 아바타인 프리투의 배우자이다.[151]

4. 1. 유해 교반



데바(신)와 아수라(악마)는 한때 힌두교에서 모두 필멸의 존재였다. 불멸을 선사하는 신성한 감로인 암리타는 크시라 사가라('우유 바다')를 휘저어 얻을 수 있었다.[88] 데바와 아수라는 모두 불멸을 추구했고 만다라 산으로 크시라 사가라를 휘젓기로 결정했다. 삼드라 만탄이 시작되었고, 데바는 한쪽에, 아수라는 다른 쪽에 섰다. 비슈누는 거북이인 쿠르마로 화신했고, 산은 휘젓는 막대 역할을 하기 위해 거북이 위에 놓였다. 독을 뿜는 뱀 신인 바수키는 산 주위에 감겨 바다를 휘젓는 데 사용되었다. 휘젓는 동안 수많은 신성한 천체의 물체가 나타났고, 그들과 함께 여신 락슈미가 나타났다. 일부 버전에서는 그녀가 바다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바다의 신의 딸이라고 한다.[88]

가루다 푸라나, 링가 푸라나 및 파드마 푸라나에 따르면 락슈미는 신성한 현자 브리구와 그의 아내 크야티의 딸로 태어났으며 ''바르가비''라고 불렸다. 비슈누 푸라나에 따르면, 우주는 데바와 아수라가 우주적 크시라 사가라를 휘저었을 때 창조되었다. 락슈미는 연꽃을 들고 신성한 암소 카마데누, 바루니, 파리지타 나무, 압사라스, 찬드라 (달), 그리고 암리타('불멸의 넥타')를 가진 단반타리와 함께 바다에서 나왔다. 그녀가 나타났을 때 데바 또는 아수라 중 어느 쪽으로 갈지 선택할 수 있었다. 그녀는 데바 쪽을 선택했고, 30명의 신들 중에서 비슈누와 함께 있기로 했다. 그 후, 세 개의 세계 모두에서 연꽃을 든 여신을 기렸다.[89]

유해교반 때 탄생했다. 힌두교 최고신 중 한 명인 비슈누의 아내로 여겨지며, 수많은 비슈누의 화신과 함께 락슈미도 대응하는 모습·별명을 가지고 있다. 행운을 관장하기 때문에 변덕스러운 성격이라고도 한다. 락슈미가 탄생했을 때, 아수라들이 그녀를 차지하려 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어떤 아수라는 락슈미를 잡는 데 성공하여 머리 위에 올려놓았지만, 그 순간 도망갔다. 과거에는 인드라와 함께 있기도 했지만, 인드라조차 락슈미를 자신의 곁에 두기 위해서는 그녀를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다고 한다.

또한 락슈미는 아락슈미라는 불행을 관장하는 여신을 언니로 두고 있으며, 비슈누의 아내가 될 때 "제가 당신의 아내가 되는 조건으로 언니에게도 배우자를 붙여주세요"라고 비슈누에게 청원하여, 어떤 성선(리시)과 아락슈미를 결혼시켜 비로소 비슈누와 락슈미는 함께하게 되었다는 신화도 한편으로 남아 있다.

4. 2. 비슈누의 배우자

마하락슈미는 여섯 가지의 상서롭고 신적인 구나(Guna)들 즉 특질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슈리'''(Shri) 또는 '''티루마갈'''(Thirumagal, திருமகள்ta, శ్రీ మహా లక్ష్మిte)이라고도 불리는데, 심지어 주 나라야나(Lord Narayana)가 가진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155][156] 이 가진 권능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락슈미는 힌두교의 여러 신들의 배우자인데, 예를 들어, 비슈누의 배우자이며,[156] 시타(Sita)로서 화신해 있던 동안 라마와 결혼하였으며,[156] 크리슈나인 연인인 라다(Radha)였으며 또는 그의 아내인 룩미니(Rukmini)였다.[157][158][159]

하레비두의 호이살레스와라 사원에 있는 락슈미 여신과 비슈누 신의 조각상


사원 내부에서 락슈미는 종종 비슈누와 함께 묘사된다. 인도의 특정 지역에서 락슈미는 남편 비슈누와 그의 세속적인 신자들 사이의 중재자로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 은총이나 용서를 구하는 신자들은 종종 락슈미의 중재를 통해 비슈누에게 접근한다. 그녀는 또한 영적 성취의 화신이기도 하다. 락슈미는 락슈미와 비슈누(통칭 락슈미 나라야나)의 거처인 바이쿤타로 알려진 영적 세계를 구현한다. 락슈미는 비슈누의 창조적 에너지의 화신이자[72] 우주를 창조하는 근원적인 프라크리티이다.[73]

|alt=|thumb|left|upright=1.15|락슈미가 그의 발을 마사지하는 아난타-세샤 위에 누워있는 비슈누를 묘사한 20세기 초 그림]]

''가루다 푸라나''에 따르면 락슈미는 ''프라크리티''(마하락슈미)로 여겨지며 스리, 부, 그리고 두르가, 이 세 가지 형태로 동일시된다. 세 가지 형태는 사트바('선'),[2] 라자스, 그리고 타마스('어둠') 구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슈누(푸루샤)가 우주 전체를 창조, 보존, 파괴하는 것을 돕는다. 두르가의 형태는 악마와 반신들을 물리치고 정복하며 처벌하는 힘을 나타낸다.

''락슈미 탄트라''와 스칸다 푸라나의 락슈미 사하스라나마에서 락슈미는 근원적인 여신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이 텍스트에 따르면 두르가와 마하락슈미, 마하칼리, 마하사라스와티와 같은 다른 형태와 마트리카와 마하비디야를 포함한 모든 신들로부터 나온 모든 샤크티는 모두 여신 락슈미의 다양한 형태이다. 락슈미 탄트라에서 락슈미는 인드라에게 자신이 악마 두르가마를 죽인 후 두르가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말한다. 인도학자이자 작가인 치트라레카 싱과 프렘 나스는 "나라다 푸라나는 락슈미의 강력한 형태를 두르가, 마하칼리, 바드라칼리, 찬디, 마헤슈와리, 마하락슈미, 바이슈나비, 안드레이로 묘사한다"고 말한다.[74]

락슈미, 사라스와티, 파르바티는 인도 대부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별개의 존재로 개념화되지만, 서벵골과 오디샤와 같은 주에서는 지역적으로 두르가의 형태라고 믿어진다.[75]

남인도에서 락슈미는 비슈누의 한 형태인 벤카테스와라의 양쪽에 있는 스리데비와 부데비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부데비는 "아파라 프라크리티" 또는 대지라고 불리는 물질 세계 또는 에너지의 표현이자 전체이며, 스리데비는 "프라크리티"라고 불리는 영적 세계 또는 에너지이다.[77][78] 락슈미 탄트라에 따르면 락슈미의 화신 또는 화신 중 하나인 닐라 데비는 비슈누의 세 번째 아내이다.[79][80] 삼위일체의 각 여신은 각각 스리 수크타, 부 수크타 및 닐라 수크타에 언급되어 있다.[81][82][83]

유해교반 때 탄생했다. 힌두교 최고신 중 한 명인 비슈누의 아내로 여겨지며, 수많은 비슈누의 화신과 함께 락슈미도 대응하는 모습·별명을 가지고 있다. 행운을 관장하기 때문에 변덕스러운 성격이라고도 한다. 락슈미가 탄생했을 때, 아수라들이 그녀를 차지하려 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어떤 아수라는 락슈미를 잡는 데 성공하여 머리 위에 올려놓았지만, 그 순간 도망갔다. 과거에는 인드라와 함께 있기도 했지만, 인드라조차 락슈미를 자신의 곁에 두기 위해서는 그녀를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다고 한다.

또한 락슈미는 아락슈미라는 불행을 관장하는 여신을 언니로 두고 있으며, 비슈누의 아내가 될 때 "제가 당신의 아내가 되는 조건으로 언니에게도 배우자를 붙여주세요"라고 비슈누에게 청원하여, 어떤 성선(리시)과 아락슈미를 결혼시켜 비로소 비슈누와 락슈미는 함께하게 되었다는 신화도 한편으로 남아 있다.

4. 3. 두르가 푸자

4. 4. 아락슈미

락슈미는 유해교반 때 탄생했으며, 힌두교 최고신 중 한 명인 비슈누의 아내로 여겨진다. 비슈누의 화신에 따라 락슈미도 대응하는 모습과 별명을 갖는다. 행운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변덕스러운 성격을 지녔다고도 한다. 락슈미가 탄생했을 때 아수라들이 그녀를 차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어떤 아수라는 락슈미를 붙잡아 머리 위에 올려놓았지만, 그 순간 락슈미는 도망쳤다. 과거에는 인드라와 함께 있기도 했지만, 인드라조차 락슈미를 곁에 두기 위해 그녀를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다.

한편, 락슈미는 불행을 관장하는 여신인 아락슈미를 언니로 두고 있다. 락슈미는 비슈누에게 자신의 아내가 되는 조건으로 언니에게도 배우자를 찾아줄 것을 청원했고, 어떤 성선(리시)과 아락슈미를 결혼시킨 후에야 비슈누와 함께하게 되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5. 상징

락슈미는 힌두교트리데비를 구성하는 여신 중 하나이다. 락슈미는 라자스 ''구나''와 이차-샤크티를 나타낸다.[37][38]

락슈미의 이름은 목표를 알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어근에서 파생되었다.[28] 그녀의 네 팔은 힌두교에서 인생의 목표로 여겨지는 다르마, 아르타, 카마, 모크샤를 상징한다.[23][39]

코끼리들에게 숭배받는 락슈미, 우타르 프라데시, 카우삼비, 기원전 1세기


락슈미는 주로 연꽃 위에 앉거나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한두 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연꽃은 지식, 자기 실현, 해방을 상징하며,[40] 깨끗한 환경과 더러운 환경 모두에서 피어나기에 순수함을 나타낸다. 이는 주변의 악에 영향받지 않고 선과 번영이 피어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41][42]

락슈미는 종종 한두 마리의 코끼리(가자락슈미)나 부엉이와 함께 묘사된다.[43] 코끼리는 풍요, 힘, 물, 비, 비옥함을 상징하며,[44] 부엉이는 어둠 속에서도 지식을 찾기 위한 끈기를 의미한다. 또한 부엉이는 지식과 부를 얻은 후 눈이 멀어지는 것을 경계하라는 상징적인 의미도 지닌다.[45]

D. D. 코삼비에 따르면, 대부분의 굽타 제국 왕들은 바이슈나바교도였으며 락슈미를 존경했다.[46] 락슈미는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의 동전에 심하바히니(사자)로 나타났다.[47] 프라카샤디야 통치 기간의 동전에는 앞면에 가루다 문양, 뒷면에 락슈미가 새겨져 있다.[46]

굽타 시대 조각은 락슈미와 사자를 연결했지만, 나중에는 두르가 또는 두 여신의 결합된 형태로 여겨졌다.[48][49] 사자는 락슈미의 '바하나'였으며,[50] ''비라 락슈미''와도 연관되어 있다.[51] B. C. 바타차르야는 "가자락슈미의 이미지는 양쪽에 사자 한 마리씩 있는 모습으로 발견된다. 머리 근처에는 두 마리의 코끼리가 묘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자가 가루다와 함께 락슈미의 바하나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52]

일부 표현에서 락슈미는 손에서 부를 쏟아내거나 돈 항아리를 들고 있다. 이는 물질적, 영적인 부를 모두 의미한다.[40] 그녀의 얼굴과 열린 손은 자비, 헌납, 다나('자선')를 의미하는 무드라를 취하고 있다.[39]

락슈미는 보통 금색 실로 수놓아진 붉은 드레스를 입고 있으며, 이는 행운과 부를 상징한다. 부와 번영의 여신인 락슈미는 종종 남편 비슈누와 함께 표현되며, 이는 부와 번영이 정의와 평화의 유지와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40] 락슈미와 비슈누가 함께 나타날 때, 락슈미는 훨씬 작게 묘사되는데, 이는 헌신적인 아내의 지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53]

스칸다 푸라나, 락슈미 탄트라, 마르칸데야 푸라나의 락슈미 사하스라나마는 락슈미가 열여덟 개의 손을 가지고 있으며, 묵주, 도끼, 곤봉, 화살, 벼락, 연꽃 등을 들고 가루다, 사자, 호랑이 위에 앉아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54][55][56] 락슈미 탄트라에 따르면, 락슈미는 마하스리로서 금색 피부에 네 팔을 가지고 있으며, 시트론, 곤봉, 방패, 암리타를 담은 용기를 들고 있다.[57] 스칸다 푸라나와 ''벤카타찰라 마하트마얌''에서 락슈미는 브라흐마의 어머니로 칭송받는다.[58]

일본에서 락슈미는 ''킷쇼텐''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에 여의보주(如意宝珠)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59]

  • '''슈리'''(슈리/श्रीhi) - 길상.
  • '''파드마바티'''(파드마바티/पद्मावतीhi) - 연꽃을 가진 여성.
  • '''찬찰라'''(찬찰라/चञ्चलhi) - 행운의 여신.

5. 1. 트리데비



락슈미는 비슈누의 창조적 에너지의 화신이자[72] 우주를 창조하는 근원적인 프라크리티이다.[73] 가루다 푸라나에 따르면 락슈미는 ''프라크리티''(마하락슈미)로 여겨지며 스리, 부, 그리고 두르가의 세 가지 형태로 동일시된다.[2] 세 가지 형태는 사트바('선'), 라자스, 그리고 타마스('어둠') 구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슈누(푸루샤)가 우주 전체를 창조, 보존, 파괴하는 것을 돕는다. 두르가의 형태는 악마와 반신들을 물리치고 정복하며 처벌하는 힘을 나타낸다.[74]

''락슈미 탄트라''와 스칸다 푸라나의 락슈미 사하스라나마에서 락슈미는 근원적인 여신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이 텍스트에 따르면 두르가와 마하락슈미, 마하칼리, 마하사라스와티와 같은 다른 형태와 마트리카와 마하비디야를 포함한 모든 신들로부터 나온 모든 샤크티는 모두 여신 락슈미의 다양한 형태이다. 락슈미 탄트라에서 락슈미는 인드라에게 자신이 악마 두르가마를 죽인 후 두르가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말한다.

락슈미, 사라스와티, 파르바티는 인도 대부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별개의 존재로 개념화되지만, 서벵골과 오디샤와 같은 주에서는 지역적으로 두르가의 형태라고 믿어진다.[75] 힌두 벵골 문화에서 락슈미는 사라스와티와 함께 두르가의 딸로 여겨진다. 그들은 두르가 푸자 동안 숭배받는다.[76]

남인도에서 락슈미는 비슈누의 한 형태인 벤카테스와라의 양쪽에 있는 스리데비와 부데비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부데비는 "아파라 프라크리티" 또는 대지라고 불리는 물질 세계 또는 에너지의 표현이자 전체이며, 스리데비는 "프라크리티"라고 불리는 영적 세계 또는 에너지이다.[77][78] 락슈미 탄트라에 따르면 락슈미의 화신 또는 화신 중 하나인 닐라 데비는 비슈누의 세 번째 아내이다.[79][80] 삼위일체의 각 여신은 각각 스리 수크타, 부 수크타 및 닐라 수크타에 언급되어 있다.[81][82][83] 이러한 세 가지 여신은 예를 들어, 안드라프라데시주 드와라카 티루말라 근처의 스리 부 닐라 사히타 사원과 타밀나두주 아디나스 스와미 사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84] 이 지역의 많은 곳에서 안달은 락슈미의 화신으로 여겨진다.[85]

아쉬타 락슈미(산스크리트어: )는 락슈미의 여덟 가지 이차적 화신의 그룹이다. 아쉬타 락슈미는 여덟 가지 부의 원천을 주재하며, 따라서 스리 락슈미의 여덟 가지 힘을 나타낸다. 아쉬타 락슈미에게 헌정된 사원은 첸나이 근처의 아쉬타락슈미 코빌과 인도의 많은 다른 주에서 발견된다.[86]

아쉬타 락슈미
아디 락슈미락슈미의 첫 번째 화신
다냐 락슈미곡물 창고의 부
비라 락슈미용기의 부
가자 락슈미코끼리가 물을 뿜는 것, 비옥함, 비, 음식의 부.[87]
산타나 락슈미연속성의 부, 자손
비디야 락슈미지식과 지혜의 부
비자야 락슈미승리의 부
다나 / 아이쉬와라 락슈미번영과 행운의 부


5. 2. 푸루샤르타

5. 3. 가자락슈미

'''슈리'''(슈리/श्रीhi)는 길상을 의미한다. '''파드마바티'''(파드마바티/पद्मावतीhi)는 연꽃을 가진 여성을 뜻한다. '''찬찰라'''(찬찰라/चञ्चलhi)는 행운의 여신을 의미한다.

5. 4. 부엉이

6. 경전

락슈미의 의미와 중요성은 고대 산스크리트 텍스트에서 진화했다.[60] 락슈미는 리그베다에 한 번 언급되는데, 여기서 그 이름은 '친족의 표식, 상서로운 행운의 징표'를 의미한다.[60]

{{Verse translation|भद्रैषां '''लक्ष्मी'''र्निहिताधि वाचिsa

''''|"그들의 말에 상서로운 행운이 붙어 있다"|italicsoff=off|attr2=존 뮤어 번역[60]|attr1=리그 베다, x.71.2}}

기원전 1000년경에 기록된 아타르바베다에서 락슈미는 복수적 표현을 가진 복잡한 개념으로 진화한다. 아타르바 베다의 7권 115장은 락슈미의 복수성을 설명하며, 인간의 몸으로 태어날 때 백 명의 락슈미가 태어나는데, 일부는 선하고, ''푸냐''( '덕스러운') 상서로운 반면, 다른 락슈미는 악하고, ''파피''( '사악한') 불운하다고 주장한다. 선한 락슈미는 환영받는 반면, 악한 락슈미는 떠나도록 권유받는다.[60] 락슈미와 그녀가 행운과 선함과 관련되어 있다는 개념과 정신은 아타르바 베다에서 여러 책에서 언급될 정도로 중요했다. 예를 들어, 12권 5장에서는 ''푸냐 락슈미''로 언급된다.[61] 아타르바 베다의 일부 장에서 락슈미는 선함, 상서로운 징조, 행운, 재산, 성공, 행복을 의미한다.[2]

나중에 락슈미는 행운의 여신으로 언급되며, 스리와 동일시되고 ''''()의 아내로 여겨진다.[2] 예를 들어,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30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샤타파타 브라만에서 스리(락슈미)는 고대 인도에서 우주의 창조에 대한 많은 이론 중 하나이다. 샤타파타 브라만의 9권에서 스리는 생명과 우주의 본성에 대한 깊은 명상 후에 프라자파티로부터 나타난다. 스리는 막대한 에너지와 힘을 가진, 빛나고 떨리는 여자로 묘사된다.[60] 신들은 그녀에게 매혹되어 그녀를 원하고, 즉시 그녀를 탐낸다. 신들은 프라자파티에게 다가가 그녀를 죽인 다음 그녀의 힘, 재능, 선물을 가져갈 수 있도록 허락을 요청한다. 프라자파티는 거절하며, 신들에게 인간은 여성을 죽여서는 안 되며, 폭력 없이 그녀의 선물을 구할 수 있다고 말한다.[62] 그 후 신들은 락슈미에게 다가간다. 아그니는 음식을, 소마는 왕권을, 바루나는 제국 권위를, 미트라는 무술 에너지를, 인드라는 힘을, 브리하스파티는 사제 권위를, 사비트리는 지배력을, 푸샨은 영광을, 사라스바티는 영양을, 트바슈트리는 형태를 얻는다.[60] 따라서 샤타파타 브라만의 찬송가는 스리를 다양한 재능과 힘을 가지고 태어나 그것을 구현하는 여신으로 묘사한다.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우주 창조 중에 연꽃의 펼쳐진 꽃잎 위에서 물 위에 떠올랐고, 또한 다르마의 아내, 카마의 어머니, 와 의 자매 또는 어머니, 다타트레야의 아내, 의 아홉 샥티 중 하나, 바라타스라마에서 와 동일시되는 의 현현, 그리고 라마의 아내인 시타로 다양하게 여겨진다.[2][63]

힌두교의 서사시, 예를 들어 마하바라타에서 락슈미는 부, 재산, 행복, 사랑스러움, 은총, 매력, 화려함을 의인화한다.[2] 라마야나에 묘사된 우주 창조에 관한 또 다른 힌두 전설에서[64] 락슈미는 신들과 악마들이 를 회수하기 위해 우유 바다를 휘저을 때 다른 귀중한 것들과 함께 우유 바다의 거품에서 솟아난다. 그녀는 손에 연꽃을 들고 나타났으며, 그래서 그녀는 파드마(Padmā)라고도 불린다.[2][63]

''라마야나''의 여성 주인공인 시타와 그녀의 남편인 신-왕 라마는 각각 락슈미와 비슈누의 아바타로 여겨진다. ''마하바라타''에서 드라우파디는 스리(락슈미)의 부분적인 화신으로 묘사된다.[65]

그러나 서사시의 다른 장에서는 락슈미가 힌두교 신 크리슈나의 으뜸 부인인 루크미니로 화신했다고 한다.

샥타 우파니샤드는 락슈미, 사라스바티, 파르바티 등 여신들의 트리데비에게 헌정되었다. 사우바갸락슈미 우파니샤드는 락슈미의 자질, 특징, 힘을 묘사한다.[68] 우파니샤드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영적 지식과 자기 실현, 즉 진정한 부를 얻기 위해 요가를 사용하고 물질적 욕망에서 초월하는 데 중점을 둔다.[69][70] 사우바갸-락슈미 우파니샤드는 락슈미를 묘사하기 위해 스리(Sri)라는 단어를 동의어로 사용한다.[68]

힌두교의 수많은 고대 Stotram과 Sutra에는 락슈미에게 헌정된 찬송가가 낭송된다.[30] 그녀는 힌두교의 Purana와 Itihasa에서 주요 여신이다. 고대 인도 경전에서 모든 여성은 락슈미의 화신으로 선언된다.[30]

락슈미에게 헌정된 고대 기도에서는 기도에서 물질적 부와 영적 부를 모두 구한다.[30]

락슈미는 비슈누 푸라나에서 스리라고 칭하며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J. A. B. van Buitenen은 비슈누 푸라나에서 락슈미를 묘사하는 구절을 번역했다:

비슈누에게 충실한 스리는 세상의 어머니이다. 비슈누는 의미이고, 스리는 말이다. 그녀는 행실이고, 그는 행동이다. 비슈누는 지식이고, 그녀는 통찰력이다. 그는 다르마이고, 그녀는 덕행이다. 그녀는 땅이고, 땅을 지탱하는 자이다. 그녀는 만족이고, 그는 만족감이다. 그녀는 소망이고, 그는 욕망이다. 스리는 하늘이고, 비슈누는 모든 것의 자아이다. 그는 태양이고, 그녀는 태양의 빛이다. 그는 바다이고, 그녀는 해안이다.


락슈미는 파르바티, 사라스바티와 함께 인도의 방대한 수바시타, 게놈 및 교훈적 문학의 주제이다.[71] 때로는 락슈미와 비슈누 사이의 대화 형태를 취하거나, 락슈미를 통해 베다의 영적 메시지와 힌두 서사시의 윤리적 격언을 강조한다.[71]

락슈미 여신에게 헌정된 수많은 찬송가, 기도, ''shlokas'', ''스토트라'', 노래, 전설 등이 여신 숭배 의식 중에 낭송된다.[30]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00]

  • 스리 마할락슈미 아슈타캄 (인드라)
  • 스리 락슈미 사하스라나마 스토트라 (4쿠마라)
  • 스리 스투티 (베단타 데시카)
  • 락슈미 스투티 (인드라)
  • 카나카다라 스토트람 (아디 샹카라)
  • 차투 슈로키 (야무나차르야)
  • 스리 락슈미 슬로카 (바가반 하리 스와미지)
  • 스리 수크타, 베다에 포함되어 있으며 락슈미 가야트리 만트라 (''옴 스리 마하락슈미 차 비드마헤 비슈누 파트나이 차 디마히 탄노 락슈미 프라초다야트, 옴'')를 포함한다.
  • 링가 푸라나에 언급된 락슈미 가야트리 만트라 (48.13) - (''사무드라타야이 비드마헤 비슈누나이케나 디마히 탄노 라다 프라초다야트'')[101]
  • 아슈탈락슈미 스토트람 (U.V. 스리니바사 바라다차리아르)[102]

7. 신앙

10월 말부터 11월 초의 '''인도력'''의 7번째 달 첫날인 디왈리(디왈리/दिवालीhi)는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이다.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또한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7. 1. 숭배

락슈미 여신에게 헌정된 수많은 찬송가, 기도, ''shlokas'', ''스토트라'', 노래, 전설 등이 여신 숭배 의식 중에 낭송된다.[30] 여기에는 스리 마할락슈미 아슈타캄 (인드라), 스리 락슈미 사하스라나마 스토트라 (4쿠마라), 스리 스투티 (베단타 데시카), 락슈미 스투티 (인드라), 카나카다라 스토트람 (아디 샹카라), 차투 슈로키 (야무나차르야), 스리 락슈미 슬로카 (바가반 하리 스와미지), 스리 수크타, 링가 푸라나에 언급된 락슈미 가야트리 만트라 (48.13), 아슈탈락슈미 스토트람 (U.V. 스리니바사 바라다차리아르) 등이 포함된다.[100][101][102] 10월 말부터 11월 초의 '''인도력'''의 7번째 달 첫날인 디왈리(दिवालीhi, /दीपावलीsa, )는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이다.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또한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7. 2. 축제

힌두교 신자들은 매년 가을, 일반적으로 10월 또는 11월에 열리는 빛의 축제인 디왈리에 락슈미를 숭배한다.[90][91] 디왈리는 영적으로 어둠에 대한 빛, 무지에 대한 지식, 악에 대한 선, 절망에 대한 희망의 승리를 의미한다.[92]

디왈리 축제에는 락슈미와 가네샤에 대한 푸자 (기도)가 포함된다.


디왈리 전날 밤, 사람들은 집과 사무실을 청소하고, 개조하고, 장식한다.[93] 디왈리 밤에는 힌두교 신자들이 새 옷이나 가장 좋은 옷을 입고, 집 안팎에 디야 (램프와 양초)를 켜고, 락슈미에게 가족 ''푸자'' (기도)를 올린다.[94] 락슈미 푸자 이후에는 불꽃놀이가 이어지고, 가족 식사에는 ''미타이'' (과자)와 가족 구성원 및 친한 친구 간의 선물 교환이 포함된다. 디왈리는 락슈미가 상서로움, 부, 번영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요 쇼핑 기간이기도 하다.[95] 락슈미에게 헌정된 이 축제는 힌두교 신자들에게 연중 가장 중요하고 즐거운 축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가자 락슈미 푸자는 인도의 많은 지역에서 아슈빈 (10월) 달의 보름날인 샤라드 푸르니마에 기념하는 또 다른 가을 축제이다.[26] 샤라드 푸르니마는 코자아가리 푸르니마 또는 쿠안르 푸르니마라고도 불리며, 수확 축제는 몬순 계절의 끝을 알린다. 샤라드 푸르니마 밤에 여신 락슈미에게 수확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숭배한다.

차이트라 슈클라 판차미에 해당하는 ''락슈미 판차미''는 락슈미를 숭배하는 매우 신성한 날이다.[96] 바라락슈미 브라탐은 기혼 힌두교 여성들이 남편의 안녕을 위해 기도하며 기념하는 날이다.[97] 바이바브 락슈미 브라타는 번영을 위해 금요일에 지킨다.[99]

불교에도 락슈미가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길상천은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지며,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7. 3. 사원

도다갓다발리(Doddagaddavalli) 사원 성소에 있는 락슈미 데비상, 하산 구, 카르나타카, 인도.


칼루르 마하락슈미 사원에 있는 스리니바사와 함께 있는 락슈미 여신의 자생상 [두 번째 콜라푸르
]

마할락슈미 사원 술레바비, 락슈미 여신의 지역 형태


락슈미 여신에게 헌정된 일부 사원은 다음과 같다.

  • 아그로하 담
  • 첸나이 아슈탈락슈미 사원
  • 아자기야 마나발라 페루말 사원
  • 바기알락슈미 사원, 하이데라바드
  • 초타니카라 사원, 케랄라
  • 108 디비야 데삼
  • 스리푸람 황금 사원
  • 고라바나할리 마하락슈미 사원[103]
  • 히라냐 가르바 슈리 마하락슈미 사원, 바라구르
  • 락슈미 사원, 오르차
  • 락슈미 데비 사원, 도다갓다발리
  • 락슈미나라야나 사원, 호사홀루
  • 락슈미 사원, 카주라호
  • 락슈미나라얀 사원, 델리
  • 마할락슈미 콜라푸라담마 사원, 라트나기리[104]
  • 마할락슈미 사원, 다하누
  • 마할락슈미 사원, 콜라푸르
  • 마할락슈미 사원, 뭄바이
  • 무캄비카 사원, 콜루르
  • 나마기리 암만 사원, 나마칼
  • 푼다리카크산 페루말 사원
  • 파드락시 사원
  • 스리 카나카 마하 락슈미 사원, 안드라 프라데시
  • 마할락슈미 사원 칼루르 [두 번째 콜라푸르]
  • 스리 락슈미 쿠베라 사원, 라티나망갈람
  • 슈리 마할락슈미 사원, 라트람
  • 슈리 마할락슈미 마타지 사원, 파탄
  • 슈리 마할락슈미 만디르, 우샤 나가르
  • 마할락스미 사원 반도라, 파나지
  • 마할락슈미 사원, 우칠라
  • 마할락스미 만디르, 인도르
  • 마할락슈미 만디르, 푸네
  • 마할락슈미 사원, 바드락
  • 마할락슈미 사원 켄두자르가르, 오디샤
  • 슈리 마할락스미 마타 만디르, 시브다르산, 푸네
  • 카나카다라 마할락슈미 사원, 푸노르코데, 파잠토탐
  • 스리 락슈미 찬드라라 파라메스와리 사원, 카르나타카
  • 슈리 마할락슈미 암마나바라 사원, 술레바비
  • 슈리 마할락슈미 데비 사원, 칸드와
  • 스웨타 락슈미 바라히 사원, 텔라가나
  • 아스타부자 마할락슈미 사원, 할드와니
  • 슈리 콜라푸라담마 스리 마할락슈미 사원, 치트라두르가
  • 스리 락슈미 사원, 애슐랜드, 매사추세츠


10월 말부터 11월 초의 '''인도력'''의 7번째 달 첫날인 디왈리(디왈리/दिवालीhi)는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이다.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또한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8. 다른 종교와의 관계

불교에서 락슈미는 풍요와 행운의 여신으로 여겨져 왔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과 불교의 석굴 사원에 묘사되어 있다.[115][116] 티베트, 네팔, 동남아시아의 불교 종파에서는 바수다라가 힌두교 여신의 특징과 속성을 반영하며, 약간의 도상학적 차이가 있다.[117]

일본의 길상천은 락슈미에서 유래했다.


중국 불교에서 락슈미는 공덕천(功德天, lit "공덕을 쌓은 신") 또는 길상천녀(吉祥天女, lit "상서로운 여신")로 불리며, 행운과 번영의 여신이다. 그녀는 사천왕 중 하나인 비사문천의 여동생으로 여겨지며, 24위 천신 중 하나로 대부분의 중국 불교 사찰의 대웅전에 그녀의 형상이 안치된다. 그녀의 만트라인 스리 데비 다라니(중국어: 大吉祥天女咒; 병음: Dà Jíxiáng Tiānnǚ Zhòu)는 십소주 (중국어: 十小咒; 병음: Shí xiǎo zhòu) 중 하나로, 중국 불교 사찰에서 아침 예불 중에 흔히 암송되는 다라니 모음이다.[118]

일본 불교에서 락슈미는 길상천 ()으로 알려져 있으며, 행운과 번영의 여신이다.[119] 중국과 마찬가지로, 키시조텐은 비사문(, 다몬 또는 비샤몬-텐으로도 알려짐)의 여동생으로 여겨진다. 고대 및 중세 일본에서 키시조텐은 특히 아이들을 위해 행운과 번영을 위해 숭배받는 여신이었으며, 게이샤의 수호 여신이기도 했다.

티베트 불교에서 락슈미는 중요한 신이며, 특히 겔룩 종파에서 그렇다. 그녀는 평화로운 모습과 분노한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모습은 팔덴 라모, 스리 데비 두드솔 도캄 또는 카마다트비슈바리로 알려져 있으며, (겔룩) 티베트 불교와 라싸의 주요 여성 보호신이다.[120]

락슈미와 비사문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의 불교 문헌에서 발견되지만, 그 뿌리는 힌두교의 신들로 거슬러 올라간다.[119] 락슈미는 데위 스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발리에서 비옥함과 농업의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또한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리며,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사라스바티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가자 락슈미(Gajalakshmi) in 슈라바나벨라골라 사원, 카르나타카.


락슈미는 자이나교에서 중요한 신이며 자이나교 사원에서 발견된다.[111][112] 일부 자이나교도 사원은 스리 락슈미를 ''아르타''('부')와 ''카마''('쾌락')의 여신으로 묘사한다. 예를 들어, 마드야프라데시의 카주라호 사원에 있는 파르슈바나트 자인 사원에서 비슈누와 함께 전시되어 있는데,[113] 여기에서 그녀는 비슈누의 가슴에 기대어 있고 비슈누는 손바닥으로 그녀의 유방을 감싸고 있다. 힌두 사원 근처에 지어진 자인 사원에 비슈누-락슈미 도상이 있다는 것은 인도 종교 전반에 걸쳐 락슈미가 공유되고 받아들여졌음을 시사한다.[113] 이러한 공통성은 자인 텍스트인 칼파 수트라에서 발견되는 락슈미에 대한 찬양에 반영되어 있다.[114]

10월 말부터 11월 초의 '''인도력'''의 7번째 달 첫날인 디왈리(디왈리/दिवालीhi/디파발리/दीपावलीsa)는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이다.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또한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8. 1. 불교

불교에서 락슈미는 풍요와 행운의 여신으로 여겨져 왔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과 불교의 석굴 사원에 묘사되어 있다.[115][116] 티베트, 네팔, 동남아시아의 불교 종파에서는 바수다라가 힌두교 여신의 특징과 속성을 반영하며, 약간의 도상학적 차이가 있다.[117]

중국 불교에서 락슈미는 공덕천(功德天, lit "공덕을 쌓은 신") 또는 길상천녀(吉祥天女, lit "상서로운 여신")로 불리며, 행운과 번영의 여신이다. 그녀는 사천왕 중 하나인 비사문천의 여동생으로 여겨지며, 24위 천신 중 하나로 대부분의 중국 불교 사찰의 대웅전에 그녀의 형상이 안치된다. 그녀의 만트라인 스리 데비 다라니(중국어: 大吉祥天女咒; 병음: Dà Jíxiáng Tiānnǚ Zhòu)는 십소주 (중국어: 十小咒; 병음: Shí xiǎo zhòu) 중 하나로, 중국 불교 사찰에서 아침 예불 중에 흔히 암송되는 다라니 모음이다.[118]

일본 불교에서 락슈미는 길상천 ()으로 알려져 있으며, 행운과 번영의 여신이다.[119] 중국과 마찬가지로, 키시조텐은 비사문(, 다몬 또는 비샤몬-텐으로도 알려짐)의 여동생으로 여겨진다. 고대 및 중세 일본에서 키시조텐은 특히 아이들을 위해 행운과 번영을 위해 숭배받는 여신이었으며, 게이샤의 수호 여신이기도 했다.

티베트 불교에서 락슈미는 중요한 신이며, 특히 겔룩 종파에서 그렇다. 그녀는 평화로운 모습과 분노한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모습은 팔덴 라모, 스리 데비 두드솔 도캄 또는 카마다트비슈바리로 알려져 있으며, (겔룩) 티베트 불교와 라싸의 주요 여성 보호신이다.[120]

락슈미와 비사문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의 불교 문헌에서 발견되지만, 그 뿌리는 힌두교의 신들로 거슬러 올라간다.[119] 락슈미는 데위 스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발리에서 비옥함과 농업의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또한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리며,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사라스바티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8. 2. 자이나교

락슈미는 자이나교에서 중요한 신이며 자이나교 사원에서 발견된다.[111][112] 일부 자이나교도 사원은 스리 락슈미를 ''아르타''('부')와 ''카마''('쾌락')의 여신으로 묘사한다. 예를 들어, 마드야프라데시의 카주라호 사원에 있는 파르슈바나트 자인 사원에서 비슈누와 함께 전시되어 있는데,[113] 여기에서 그녀는 비슈누의 가슴에 기대어 있고 비슈누는 손바닥으로 그녀의 유방을 감싸고 있다. 힌두 사원 근처에 지어진 자인 사원에 비슈누-락슈미 도상이 있다는 것은 인도 종교 전반에 걸쳐 락슈미가 공유되고 받아들여졌음을 시사한다.[113] 이러한 공통성은 자인 텍스트인 칼파 수트라에서 발견되는 락슈미에 대한 찬양에 반영되어 있다.[114]

10월 말부터 11월 초의 '''인도력'''의 7번째 달 첫날인 디왈리(디왈리/दिवालीhi/디파발리/दीपावलीsa)는 락슈미를 기리는 축제이다.

불교에도 수용되어 길상천이라고 불린다. 복덕과 안락을 내려 불법을 수호하는 천녀로 여겨진다. 또한 벤자이텐(사라스바티)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9.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참조

[1] 서적 Journal of Historical Research, Volumes 28-30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History, Ranchi University
[1] 서적 Hinduism: Analytical Study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3-01-01
[1] 서적 The Book of Devi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1] 서적 Hindu Gods & Goddesses https://books.google[...] Jaico Publishing House
[1] 서적 The Goddesses' Mirror: Visions of the Divine from East and Wes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9-01-01
[1] 서적 The Cinematic Jane Austen: Essays on the Filmic Sensibility of the Novel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14-01-10
[1] 서적 Rabindranath Tagore's Aesthetics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 웹사이트 lakṣmī http://faculty.washi[...] 2015-05-20
[3] 서적 Lakshmi Tantra, Volumes -13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asidas Publishers
[4] 서적 The History of Puranas https://books.google[...] Bharatiya Kala Prakashan 2005
[5] 뉴스 Translating the secrets of Makara Sankranti https://timesofindia[...] Times of India 2021-01-14
[6] 웹사이트 https://www.rudraksh[...]
[7] 백과사전 Lakshmi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8] OED Lakshmi
[9]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10]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98
[1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ume 1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2001-12-15
[12] 서적 The Hindu Traditions: A Concis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13] 서적 Hinduism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 Ltd. 2001
[14] 서적 Goddesses in Worl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12-31
[15] 서적 Evolution of Mother Worship in India https://books.google[...] Advaita Ashrama (A Publication House of Ramakrishna Math, Belur Math)
[16] 서적 The Tamil Veda : Piḷḷān's interpretation of the Tiruvāymol̲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7] 서적 Goddess Laksmi: Origi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Oriental Publishers & Distributors
[18]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ABC-CLIO, Inc
[1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ume 1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1-12-15
[20]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6-10-15
[21] 서적 Myths and Symbols in Indian Art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10-15
[22] 문서 Invoking Lakshmi: The Goddess of Wealth in Song and Ceremo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3] 웹사이트 Divali – THE SYMBOLISM OF LAKSHMI http://www.nalis.gov[...] National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Authority 2009
[24] 간행물 The Archaeology of Khmer Images 2004
[25] 학술지 O goddess where art thou?: Reexamining the Female Divine Presence in Khmer art https://seap.einaudi[...] 2007-09
[26] 서적 Religious Celebrations: An Encyclopedia of Holidays, Festivals, Solemn Observances, and Spiritual Commemorations
[27] 웹사이트 lakṣ, लक्ष् http://faculty.washi[...] University of Koeln 2015-05-20
[28] 문서 Celebrate Diwali
[29] 웹사이트 lakṣaṇa http://faculty.washi[...] University of Koeln 2015-05-20
[30] 문서 Invoking Lakshmi: The Goddess of Wealth in Song and Ceremo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1] 문서 108 Names of Lakshmi Sterling Publishers
[32] 서적 Kolhapur: A Study in Urb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oona
[33] 서적 Lord Vishnu & Goddess Lakshmi https://books.google[...] Osmora Publishing 2015-08-04
[34] 서적 Effigies Dei: Essays on the History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Brill
[35] 웹사이트 Sri Lakshmi Ashtottara Shatanamavali - śrī lakṣmī aṣṭōttaraśatanāmāvalī https://stotranidhi.[...] 2018-12-02
[36] 서적 Ornament in India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37] 웹사이트 The Calcutta Review https://books.google[...]
[38] 서적 Shakti: Realm of the Divine Mothe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8-07-21
[39] 서적 Symbolism in Hinduism Chinmaya Mission Publication
[40] 서적 Symbolism in Hinduism Chinmaya Mission Publication
[41] 서적 Symbolism in Hinduism Chinmaya Mission Publication
[42] 서적 Hinduism Heinemann
[43] 서적 Goddess Durga and Sacred Female Pow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10-15
[44]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World Art Bloomsbury
[45] 서적 Symbolism in Hinduism Chinmaya Mission Publication
[46] 서적 D. D. Kosambi Commemoration Volume https://books.google[...] Banaras Hindu University
[47] 서적 D. D. Kosambi Commemoration Volume https://books.google[...] Banaras Hindu University
[48] 서적 Journal, Volumes 6-7 https://books.google[...] Asiatic Society (Kolkata, India)
[49] 서적 Goddess: Divine Energy https://books.google[...]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50] 서적 Rituals, Folk Beliefs, and Magical Arts of Sri Lanka https://books.google[...] Susan International
[51] 서적 Sakti Iconography https://books.google[...] Intellectual Publishing House
[52] 서적 North Indian temple sculpture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53]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Hinduism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54] 서적 Sakti Iconography https://books.google[...] Intellectual Publishing House
[55] 서적 Pratima Kosha: Descriptive Glossary of Indian Iconography, Volume 5 https://books.google[...] IBH Prakashana
[56] 서적 Cultural Development in Orissa https://books.google[...] Punthi Pustak
[57] 서적 Lakshmi Tantr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IDAS
[58] 서적 Skand Puran https://holybooks-li[...] Motilal banarasidas 2022-07-19
[59] 웹사이트 Butsuzōzui (Illustrated Compendium of Buddhist Images) http://www.lib.ehime[...] 1796
[60] 서적 Original Sanskrit Texts on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People of India – Their Religions and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Trubner & Co., London
[61] 웹사이트 अथर्ववेदः/अथर्ववेद:_काण्डं_12 http://sa.wikisource[...] Atharva Veda Sanskrit Original Archive
[62] 서적 The Sacrificial Ritual in the Satapatha Brahmana
[63] 서적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 https://archive.org/[...]
[64] 문서 Ramayana
[65] 웹사이트 Svargarohanika parva https://www.sacred-t[...] Sacred-texts.com 2015-07-13
[66]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67] 서적 Gender and Narrative in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8-09
[68] 서적 Saubhagya-Lakshmi Upanishad
[69] 웹사이트 Saubhagya Lakshmi Upanishad http://www.sanskritd[...]
[70] 서적 Saubhagya Lakshmi Upanishad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71] 서적 Subhasita, Gnomic and Didactic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1974
[7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3] 서적 Seeking Mahadevi: Constructing the Identities of the Hindu Great Goddes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4] 서적 Lakshmi https://books.google[...] Crest Publishing House
[75]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76] 서적 Concise Encyclopaedia of India https://books.google[...]
[77] 서적 Soteriologies of Ind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6-09-22
[78] 서적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https://books.google[...] Adelphi Press 2016-09-22
[79] 서적 A Hand Book of South Indian Image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Iconography https://books.google[...] Tirumalai-Tirupati Devasthanams
[80] 서적 Vaiṣṇavism: Its Philosophy, Theology, and Religious Disciplin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8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19-12-15
[82] 서적 Vaiṣṇavism: Its Philosophy, Theology, and Religious Disciplin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83] 서적 Proceedings of the 9th Session of Indian Art History Congress, Hyderabad, November 2000 https://books.google[...] Indian Art History Congress
[84] 서적 Spiritual India Handbook
[85] 서적 Temples of Tamil Nadu Vasan Publications
[86] 서적 Devi: the great goddess: female divinity in South Asi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87] 서적 Indian Art in Detail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88] 웹사이트 Why Lakshmi goes to wrong people? https://english.webd[...] 2020-08-24
[89] 서적 Classical Hinduism: A Reader in the Sanskrit Puranas Temple University Press
[90] 서적 Invisible River: Sir Richard's Last Mission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1-10-26
[91] 웹사이트 Diwali https://www.britanni[...] 2009
[92] 서적 How and why Do Hindus Celebrate Divali?
[93] 서적 Meri Khoj Ek Bharat Ki https://books.google[...] Lulu.com 2011-10-26
[94] 서적 Big Book of Canadian Celebrations https://books.google[...] S&S Learning Materials 2011-10-26
[95] 뉴스 India Journal: 'Tis the Season to be Shopping https://web.archive.[...] The Wall Street Journal 2010-08
[96] 웹사이트 Lakshmi Panchami 2021: Date, significance, time, puja https://www.indiatod[...] 2021-04-16
[97] 서적 Food, feasts, and faith : an encyclopedia of food culture in world religions 2017
[98] 웹사이트 Sharad Poornima http://www.indif.com[...]
[99] 뉴스 Observe Vaibhav Laxmi fast on Friday for prosperity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9-12-13
[100] 웹사이트 Lakshmi Stotra http://sanskritdocum[...]
[101] 논문 Rādhā: Consort of Kṛṣṇa's Vernal Passion https://www.jstor.or[...] 1975
[102] 서적 Devi: Goddesses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3] 웹사이트 Sri Mahalakshmi Temple in Goravanahalli https://www.karnatak[...] 2017-06-06
[104] 웹사이트 Ratnagiri Kollapuradamma Temple https://templesinind[...] 2021-10-05
[105]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2009
[106] 서적 "Material life of northern India: Based on an archaeological study, 3rd century B.C. to 1st century BCE"
[10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108] 간행물 A Graeco-Indian Engraved Gem https://www.jstor.or[...] 2016-02-01
[109] 웹사이트 The Tribune, Chandigarh, India – Jammu & Kashmir http://www.tribunein[...] Tribuneindia.com 2012-11-09
[110] 웹사이트 Casa della Statuetta Indiana or House of the Indian Statuette http://www.pompeiiin[...] Pompeii in Pictures 2015-02-10
[111] 서적 The Body Adorned: Sacred and Profane in Indian Ar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6-10-15
[113] 서적 The Body Adorned: Sacred and Profane in Indian Art Columbia University Press
[114] 서적 The Golden Book of Jainism
[115] 서적 Images of Indian Goddesses: Myths, Meanings, and Models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16] 서적 Myths and Symbols in Indian Art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10-15
[117] 서적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8] 웹사이트 Ten Small Mantras http://www.buddhamou[...] 2021-10-15
[119]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0] 서적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121] 서적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Volume VII: Uttarakāṇḍ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09-11
[122] 서적 Festival Encounters Routledge 2017-08-07
[123] 서적 Puranic Encyclopedia: A Comprehensive Work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5-01-01
[124] 문서 Kinsley p. 156, Devi Mahatmya verses 8.62
[125] 서적 An Introduction to Religious and Theological Studie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yril orji
[126] 간행물 Nr̥siṁha Cave Temple at Nāmakkal: Its Iconographical Significance https://www.jstor.or[...] 1999-02-19
[12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128] 서적 Pure Gems of Ramayanam https://books.google[...] PartridgeIndia 2014-09-22
[129] 웹사이트 सीतोपनिषत् (Sita Upanishad) http://sanskritdocum[...] 2016-01-28
[130] 서적 Finding Radha: The Quest for Love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India Private Limited 2018-12-10
[131] 서적 Divinizing in South Asian Tradi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2] 서적 Rukminisha Vijaya - 1 - Sri Vadiraja Tirtha, T.S.Raghavendran http://archive.org/d[...]
[133] 서적 Vaiṣṇavism, Ṡaivism and Minor Religious System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87
[134] 웹사이트 Srimad Bhagavatam Canto 10 Chapter 83 Verse 9 http://vedabase.net/[...] 2013-09-27
[135] 웹사이트 Harivamsa ch.38, 45-48 http://mahabharata-r[...]
[136] 서적 The Religions of India: A Concise Guide to Nine Major Faith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137] 서적 Secularism in Indian Ar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88
[138] 웹사이트 Mitravinda, Mitravindā, Mitra-vinda: 7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7-04-28
[139] 웹사이트 Five Ques married by Krishna http://krsnabook.com[...] Krishnabook.com 2021-03-22
[140] 서적 The Vishńu Puráńa: a system of Hindu mythology and tradition https://archive.org/[...] Trübner
[141] 웹사이트 Harivamsha Maha Puraaam - Vishnu Parvaharivamsha in the Mahabharata - Vishnuparva Chapter 103 - narration of the Vrishni race http://mahabharata-r[...] Mahabharata Resources Organization 2013-01-25
[142]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
[143] 서적 Puranic Encyclopaedia: a Comprehensive Dictio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75
[144] 서적 Ganges: The Many Pasts of an Indian Riv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9-01-08
[145] 서적 Seer of the Fifth Veda: Kr̥ṣṇa Dvaipāyana Vyāsa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99
[146] 웹사이트 Sri Vaikhasana Bhagavad Sastram (An Introduction) http://www.srihayagr[...] 2008-12-03
[147] 뉴스 Bhrigu: The Father of Fortune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20-11-13
[148] 서적 Understanding Culture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1
[149] 서적 Theology and Tradition of Eternity: Philosophy of Adi Advaita https://books.google[...] Partridge Publishing 2016-01-15
[150] 서적 Philosophy and Theistic Mysticism of the Āl̲vār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7-01-01
[151] 서적 Srimad Bhagavata – Volume 1 https://books.google[...] Sri Ramakrishna Math(vedantaebooks.org)
[152] 인용 2001
[153] 서적 인도 신화의 계보 살림 2003
[154] 문서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155] 문서 바가바타 푸라나
[156] 인용 2001
[157] 인용 2001
[158] 웹사이트 http://www.festivals[...]
[159] 문서
[160] 인용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