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영국의 지휘자, 하프시코드 연주자, 음악학자, 편집자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데이비드 문로우와 함께 얼리 뮤직 콘소트를 공동 설립했으며, 고악기를 사용하는 고음악 아카데미를 창립하여 바로크 음악과 고전 음악 연주에 기여했다. 모차르트 교향곡 전곡을 고악기로 최초로 녹음했으며, 비발디의 '사계' 앨범으로 브릿 어워드 최고 클래식 음반상을 수상했다. 보스턴 헨델과 하이든 협회 예술 감독, 미네소타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등을 역임했고, 오페라 지휘자로도 활동하며 헨델, 모차르트 오페라 등을 지휘했다. 2014년 뇌종양으로 사망했으며, 바로크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성소수자 음악가 - 마이클 티펫
    마이클 티펫은 20세기 영국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오페라, 오라토리오, 교향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반전과 인간의 고뇌를 다룬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잉글랜드의 성소수자 음악가 - 토마스 아데스
    토마스 아데스는 런던 출신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서,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와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서 음악 교육을 받고 다양한 관현악곡과 오페라, 실내악 작품을 작곡했으며, 복잡하고 혁신적인 화성과 리듬, 극적인 표현력으로 평가받고 수많은 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팸브로크 칼리지 교수 - 제1대 준남작 조지 스토크스 경
    조지 스토크스 경은 아일랜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유체 역학, 광학, 수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카시안 수학 교수직을 54년간 역임하고 스토크스 법칙, 스토크스 정리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팸브로크 칼리지 교수 - 레이 돌비
    레이 돌비는 1933년 태어나 오디오 기술 및 영화 음향 기술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발명가로, 돌비 래버러토리스를 설립하고 돌비 노이즈 감소 시스템과 돌비 스테레오, 돌비 디지털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다.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그의 마지막 그레샴 칼리지 강의 리허설을 지휘하는 호그우드
본명크리스토퍼 자비스 헤일리 호그우드
출생일1941년 9월 10일
출생지잉글랜드 노팅엄셔 노팅엄
사망일2014년 9월 24일
사망지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
국적잉글랜드
직업지휘자
하프시코드 연주자
음악학자
소속 단체고음악 아카데미
명예 칭호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
음악가 정보
이름크리스토퍼 호그우드
본명크리스토퍼 자비스 헤일리 호그우드
출생일1941년 9월 10일
사망일2014년 9월 24일
출생지영국 잉글랜드 노팅엄
직업지휘자
건반 악기 연주자 (쳄발로, 오르간)
음악학자
장르클래식 음악
웹사이트크리스토퍼 호그우드 공식 웹사이트
기타 정보
사망 관련 소식크리스토퍼 호그우드의 사망 소식
올뮤직 정보크리스토퍼 호그우드 올뮤직 정보
역사적 재현 공연 관련역사적 재현 공연 관련 밀워키 센티넬 기사

2. 초기 생애와 교육

노팅엄에서 태어났다.[1] 로열 턴브리지 웰스(Royal Tunbridge Wells)의 더 스키너스 스쿨(The Skinners' School)을 다녔고,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Pembroke College, Cambridge)에 진학하여 처음에는 고전학을 전공했으나 이후 음악으로 전공을 바꾸어 1964년에 졸업했다.[1][2] 케임브리지 시절 동기로는 데이비드 문로(David Munrow)와 존 터너(John Turner)가 있었다.[1] 대학에서는 레이먼드 레퍼드(Raymond Leppard), 메리 포츠(Mary Potts), 서스턴 다트(Thurston Dart)에게 연주와 지휘를 배웠다.[1]

이후 라파엘 푸야나(Rafael Puyana)와 구스타프 레온하르트(Gustav Leonhardt)에게 쳄발로 연주를 배웠다.[1][30] 또한 영국 문화원(British Council) 장학금을 받아 프라하에서 1년간 유학하며 찰스 대학교(Karel University)에서 연구를 수행했고,[1][2][30] 주자나 루지치코바(Zuzana Ruzickova)에게 쳄발로를 사사했다.[1][2]

3. 경력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지휘자, 하프시코드 연주자, 음악학자로서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1967년 데이비드 문로우와 함께 얼리 뮤직 콘소트(Early Music Consort)를 공동 설립했으며, 1973년에는 고악기를 사용하여 바로크고전 음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고음악 아카데미(Academy of Ancient Music)를 창설했다.[1] 이 악단과 함께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고악기로 최초 녹음하는 등[1][31]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비발디의 《사계》 녹음은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24]

1981년부터는 미국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보스턴의 헨델과 하이든 협회(Handel and Haydn Society) 예술 감독(1986-2001)과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Saint Paul Chamber Orchestra) 음악 감독(1988-1992) 등을 역임했다.[1] 1983년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지휘를 시작으로 오페라 분야에서도 경력을 쌓아 베를린 국립 오페라, 밀라노 스칼라 극장, 런던 왕립 오페라 하우스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활동했다.[1]

호그우드는 바로크와 고전 시대 음악의 권위자로 알려졌지만, 낭만주의와 현대 음악, 특히 스트라빈스키, 마르티누, 힌데미트 등 신고전주의 작곡가들의 작품 연주에도 애정을 보였다.[1] 그는 건반악기 연주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하프시코드클라비코드 독주 음반을 다수 남겼고,[5] 역사적 건반 악기 수집가이기도 했다.

학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그레샴 칼리지 음악 교수(2010년 임명)[6],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 코넬 대학교 객원 교수(2012년 임명) 등을 지냈으며, 다수의 강연과 저술 활동을 펼쳤다. 대표 저서로는 《헨델》(Handel, 1984년) 평전 등이 있다.[33] 2006년 고음악 아카데미 음악 감독직을 리처드 에거에게 넘기고 명예 감독이 되었으며,[4] 이후에도 꾸준히 지휘와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3. 1. 초기 활동 (1960년대 ~ 1970년대)

1967년, 호그우드는 데이비드 문로우와 함께 얼리 뮤직 콘소트(Early Music Consort)를 공동으로 설립했다. 1973년에는 고악기를 사용하여 바로크고전 음악 공연을 전문으로 하는 고음악 아카데미(Academy of Ancient Music)를 창설했다.[1] 1976년 문로우가 사망한 후 얼리 뮤직 콘소트는 해체되었으나,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와의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1979년부터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고악기로 녹음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는 고악기를 사용한 최초의 모차르트 교향곡 전집 녹음이었으며, 호그우드는 이 작업에서 통주저음 연주자로 참여했다.[1]

3. 2. 고음악 아카데미 활동 (1973년 이후)

1973년,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Academy of Ancient Music)를 설립하여 고악기를 사용하여 바로크고전 시대 음악 연주를 전문으로 하는 단체를 만들었다.[1] 데이비드 문로우가 1976년 사망하면서 그와 함께 1967년 공동 설립했던 얼리 뮤직 콘소트(Early Music Consort)는 해산되었지만,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꾸준히 공연하고 음반을 녹음했다.

1979년부터 호그우드와 아카데미는 고악기를 사용하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세계 최초로 녹음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녹음에서 호그우드는 직접 통주저음 연주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1985년에는 L'Oiseau-Lyre 레이블로 비발디의 《사계》를 녹음했는데, 이 음반은 큰 성공을 거두어 팝 차트에서 프린스의 《퍼플 레인》 앨범과 나란히 순위에 올랐으며, 브릿 어워드에서 최고 클래식 음반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프린스의 앨범은 최고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선정되었다).[24]

1981년부터 호그우드는 미국에서도 정기적으로 지휘 활동을 펼쳤다. 1986년부터 2001년까지 보스턴의 헨델과 하이든 협회(Handel and Haydn Society)의 예술 감독을 맡았으며, 이후 남은 생애 동안 명예 지휘자(Conductor Laureate) 직함을 유지했다. 또한 1983년부터 1985년까지는 런던 바비컨 센터(Barbican Centre)에서 열린 모차르트 페스티벌의 예술 감독을, 1988년부터 1992년까지는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Saint Paul Chamber Orchestra)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1]

1994년에는 밀워키의 역사적 건반 악기 협회(Historic Keyboard Society of Milwaukee)를 위해 헨델과 하이든 협회를 지휘하여 1808년 베토벤의 역사적인 콘서트를 재현했다. 이 공연에서는 베토벤교향곡 6번교향곡 5번이 연주되었다.[3]

2013년 그레샴 칼리지 강연 연습을 지휘하는 호그우드


호그우드는 오페라 지휘에도 상당한 경력을 쌓았다. 1983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지휘하며 오페라 무대에 데뷔했다.[1] 이후 베를린 국립 오페라, 밀라노 스칼라 극장, 스웨덴 왕립 오페라, 런던 코벤트 가든의 왕립 오페라 하우스, 프랑스 오랑주 코레지(Chorégies d'Orange),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 등 세계 유수의 오페라단과 작업했다. 오페라 오스트레일리아와는 1994년 《이도메네오》, 1997년 《티토의 자비》 등 모차르트 오페라를 공연했다. 2009년에는 계몽시대의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를 지휘하여 퍼셀의 《디도와 애니어스》와 헨델의 《아키스와 갈라테아》를 왕립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했으며, 같은 해 마드리드의 테아트로 레알(Teatro Real)에서는 로베르 르파주 연출로 스트라빈스키의 《난봉꾼의 행각》을 지휘했다. 2010년 말부터 2011년 초까지는 취리히 오페라 하우스에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공연을 이끌었다.

2006년 9월 1일, 하프시코드 연주자 리처드 에거가 호그우드의 뒤를 이어 고음악 아카데미의 음악 감독이 되었고, 호그우드는 명예 감독(Emeritus Director) 직함을 받았다. 그는 이후에도 매년 아카데미와 '적어도 하나의 주요 프로젝트'를 함께 지휘할 계획을 밝혔으며, 2007년 《아마디지》를 시작으로 헨델 오페라 콘서트 시리즈를 이끌었다. 이 시리즈는 2008년 《플라비오》, 헨델 탄생 250주년 기념 해인 2009년 5월 《크레타의 아리아나》로 이어졌고, 2013년에는 《이메네오》를 지휘했다.[4]

호그우드는 바로크와 고전 시대 레퍼토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었지만, 낭만주의와 현대 음악 작품도 연주했다. 특히 신바로크 및 신고전주의 경향의 작품들, 예를 들어 스트라빈스키, 마르티누, 힌데미트의 여러 작품에 특별한 애정을 보였다.[1]

그는 하프시코드 독주 음반도 다수 남겼는데, 루이 쿠프랭,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토마스 아른, 윌리엄 버드의 《나의 레이디 네벨스 부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비밀의 바흐/헨델/모차르트" 시리즈 녹음을 통해 클라비코드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이를 통해 당시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던 악기들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했다. 그는 직접 역사적인 건반 악기들을 수집하기도 했다.[5]

2010년 7월, 호그우드는 런던 그레샴 칼리지의 음악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 자리는 과거 존 불이 맡았던 유서 깊은 직책이다.[6] 그는 이 직위에서 "진정성의 여러 측면"(2010-11), "걸작의 제작"(2011-12), "유럽 음악의 수도"(2012-13)[7], "맥락 속의 음악"(2013-14)이라는 주제로 4년간 무료 공개 강연 시리즈를 진행했다.[8] 그러나 건강 문제로 임기 마지막 해의 모든 강연을 마치지는 못했으며, 마지막 강연 후 7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9]

2011년에는 코넬 대학교에서 열린 웨스트필드 국제 포르테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이는 미국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열린 포르테피아노 전문 콩쿠르였다.[10] 2012년에는 코넬 대학교의 앤드류 D. 화이트 객원 교수(Andrew D. White Professor-at-Large)로 6년 임기를 시작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로웰 하우스(Lowell House)의 선임 공용실(Senior Common Room) 회원이기도 했다.

3. 3. 미국 활동 (1981년 이후)

1981년부터 호그우드는 미국에서 정기적으로 지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1983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지휘하며 미국 오페라 무대에 데뷔했다.[1]

주요 활동으로는 1986년부터 2001년까지 보스턴의 헨델과 하이든 협회(Handel and Haydn Society) 예술 감독을 역임했으며, 이후 명예 지휘자(Conductor Laureate) 직함을 유지했다. 또한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의 세인트폴 체임버 오케스트라(Saint Paul Chamber Orchestra) 음악 감독을 맡았다.[1] 그는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와도 협력하여 공연했다.

1994년에는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역사적 건반 악기 협회(Historic Keyboard Society of Milwaukee)를 위해 헨델과 하이든 협회를 지휘하여 베토벤의 역사적인 1808년 콘서트를 재현했다. 이 공연에서는 베토벤의 교향곡 6번 '전원'교향곡 5번 '운명'이 연주되었다.[3]

학계에서도 활동했으며, 2011년에는 코넬 대학교에서 열린 웨스트필드 국제 포르테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이 대회는 미국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열린 포르테피아노 전문 콩쿠르였다.[10] 2012년부터는 코넬 대학교의 앤드류 D. 화이트 객원 교수(Andrew D. White Professor-at-Large)로 6년 임기를 시작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로웰 하우스(Lowell House)의 선임 공용실(Senior Common Room) 회원이기도 했다.

3. 4. 오페라 지휘



호그우드는 상당한 양의 오페라를 지휘했다. 그는 1983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지휘하며 오페라 분야에 데뷔했다.[1] 이후 베를린 국립 오페라, 밀라노 스칼라 극장, 스웨덴 왕립 오페라, 코벤트 가든의 왕립 오페라 하우스, 프랑스 오랑주의 코레지,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 등 세계 유수의 오페라 극장에서 지휘했다.[1] 오페라 오스트레일리아와는 1994년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와 1997년 "티토의 자비"를 공연했다.[1]

2009년에는 계몽시대의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를 지휘하여 퍼셀의 "디도와 애니어스"와 헨델의 "아키스와 갈라테아"를 왕립 오페라 하우스 무대에 올렸다.[1] 같은 해 마드리드의 테아트로 레알(Teatro Real)에서는 로베르 르파주가 연출한 스트라빈스키의 "수다쟁이"를 지휘했다.[1] 2010년 말부터 2011년 초까지는 취리히 오페라 하우스에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공연을 이끌었다.[1]

고음악 아카데미(Academy of Ancient Music)의 명예 감독(Emeritus Director)이 된 후에도 헨델 오페라 콘서트 공연 시리즈를 지휘했다. 2007년 "아마디지"를 시작으로, 2008년에는 "플라비오", 헨델 탄생 기념 해인 2009년 5월에는 "크레타의 아리아나"를 선보였다. 2013년에는 "이메네오"를 지휘했다.[4]

3. 5. 후기 활동 (2000년대 이후)



2001년까지 보스턴의 헨델과 하이든 협회 예술 감독직을 맡았으며, 이후에는 명예 지휘자(Conductor Laureate) 직함을 유지했다.[1] 2006년 9월 1일,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의 음악 감독직을 하프시코드 연주자 리처드 에거에게 넘기고 명예 감독(Emeritus Director)이 되었다. 명예 감독으로서 매년 아카데미와 '적어도 하나의 주요 프로젝트'를 지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4]

명예 감독이 된 후, 그는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헨델 오페라의 콘서트 공연 시리즈를 지휘했다. 이 시리즈는 2007년 "아마디지"를 시작으로, 2008년 "플라비오", 헨델 탄생 기념 해인 2009년 5월 "크레타의 아리아나"로 이어졌으며, 2013년에는 "이메네오"를 지휘했다.[4] 또한 2009년에는 계몽시대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왕립 오페라 하우스에서 퍼셀의 "디도와 애니어스"와 헨델의 "아키스와 갈라테아"를 공연했고, 같은 해 마드리드의 테아트로 레알에서는 로베르 르파주가 연출한 스트라빈스키의 "수다쟁이"를 지휘했다. 2010년 말과 2011년 초에는 취리히 오페라 하우스에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공연을 지휘했다.

호그우드는 바로크고전 레퍼토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낭만현대 음악 연주에도 참여했다. 특히 스트라빈스키, 마르티누, 힌데미트와 같은 신고전주의 계열 작곡가들의 작품에 특별한 애정을 보였다.[1]

그는 하프시코드 독주 음반( 루이 쿠프랭, 요한 세바스찬 바흐, 토마스 아른, 윌리엄 버드의 "나의 레이디 네벨스 부크" 등)을 다수 녹음했으며, "비밀 바흐/헨델/모차르트" 시리즈 녹음을 통해 클라비코드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는 직접 역사적인 건반 악기들을 수집하기도 했다.[5]

2010년 7월, 호그우드는 런던 그레샴 칼리지의 음악 교수로 임명되었다.[6] 이 자리에서 그는 "진정성의 여러 측면"(2010-11), "걸작의 제작"(2011-12), "유럽 음악의 수도"(2012-13)[7], "맥락 속의 음악"(2013-14)이라는 주제로 4년간 무료 공개 강연 시리즈를 진행했다.[8] 그러나 임기 마지막 해에는 건강 문제로 모든 강의를 마치지 못했고, 마지막 강의 후 7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9]

2011년에는 코넬 대학교에서 열린 미국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인 웨스트필드 국제 포르테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았다.[10] 2012년에는 코넬 대학교의 앤드류 D. 화이트 객원 교수로 6년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 로웰 하우스의 선임 공용실 회원이기도 했다.

4. 음악적 특징 및 평가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고음악 연구와 연주에 있어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시대 연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서, 작곡가의 의도와 당시 연주 관행을 되살리려는 노력에 힘썼으며, 특히 1973년 고음악 아카데미(AAM)를 창설하여 이를 실천했다.[1]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AAM과 함께 고악기를 사용하여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세계 최초로 녹음한 프로젝트[1][31]와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비발디의 '사계' 음반[24] 등이 꼽힌다. 이러한 활동은 역사주의적 접근 방식이 학문적 성과를 넘어 대중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호그우드의 음악적 탐구는 바로크고전주의 시대를 넘어 낭만주의와 현대 음악까지 확장되었으며, 특히 신고전주의 계열 작곡가들의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해석을 선보였다.[1] 그는 시대 연주에서 얻은 통찰력을 다양한 레퍼토리 연주에 접목시키려 노력했다.

오페라 지휘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1983년 미국 세인트루이스 오페라 극장에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로 데뷔한 이래[1], 베를린 국립 오페라, 밀라노 스칼라 극장, 스웨덴 왕립 오페라, 코벤트 가든의 왕립 오페라 하우스 등 세계 유수의 극장에서 지휘봉을 잡았다.[1]

연주 활동 외에도 음악학 연구와 교육에 깊이 관여하여, 다른 연구자들과의 협업[31], 악보 교정 및 출판[34][35], 저술 활동[33] 등을 통해 학문적 기여를 남겼다. 또한 그레샴 칼리지 교수[6] 등으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10] 뛰어난 건반악기 연주자로서 관련 녹음과 연구[5]에도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결론적으로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역사주의 연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실천, 폭넓은 레퍼토리 소화 능력, 음악학 연구와 교육 활동을 아우르는 다면적인 활동을 통해 20세기 후반 이후 클래식 음악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음악가로 평가받는다.

4. 1. 시대 연주(피리어드 연주)에 대한 헌신



호그우드는 시대 연주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작곡가의 원래 의도를 되살리기 위해 고악기와 역사적 연주법 연구 및 실천에 힘썼다. 1967년 데이비드 문로우와 함께 얼리 뮤직 콘소트(Early Music Consort)를 공동 설립했고, 1973년에는 고음악 아카데미(AAM)를 창설하여 바로크고전주의 레퍼토리를 고악기로 연주하는 데 전념했다.[1] 문로우가 1976년 사망한 후 얼리 뮤직 콘소트는 해체되었지만, 호그우드는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꾸준히 활동하며 시대 연주를 이끌었다.

고음악 아카데미와 함께 그는 1979년부터 고악기를 사용하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곡을 세계 최초로 녹음하는 역사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녹음에서 호그우드는 직접 통주저음 연주자로 참여하기도 했다.[1][31] 이 작업은 음악학자 닐 자슬로(Neal Zaslaw)의 협력을 받아 악기 편성부터 연주법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작곡 당시의 소리를 재현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31] 또한, 1994년에는 밀워키의 역사적 건반 악기 협회를 위해 헨델과 하이든 협회(Handel and Haydn Society)를 지휘하여 1808년 베토벤의 중요한 콘서트를 재현했는데, 이 공연에는 교향곡 5번6번이 포함되었다.[3]

L'Oiseau-Lyre 레이블에서 발매된 비발디의 "사계" 음반(1985년)은 시대 연주 음반으로는 이례적으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어 팝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브릿 어워드에서 최고 클래식 음반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4]

호그우드는 악보 연구와 교정 작업에도 깊이 관여하여 작곡가의 의도에 더 가깝게 다가가려 노력했다. 조르주 비제의 극음악 '알르의 여인'을 19세기 오리지널 악기와 자신이 교정한 악보를 사용하여 본래의 소편성으로 녹음함으로써, 극의 부수 음악으로서 작품 본래의 모습을 조명했다.[34] 또한, 비발디의 '사계'는 기존의 통용되던 악보와 다른 필사본 등 여러 자료를 비교 연구하여 새로운 판본을 교정했고, 이는 베렌라이터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35]

바로크고전주의 레퍼토리가 그의 중심이었으나, 낭만주의현대음악 연주에도 적극적이었다. 특히 스트라빈스키, 마르티누, 힌데미트 등 신고전주의 계열 작곡가들의 작품에 특별한 애정을 보였다. 이들의 음악을 연주할 때는 바로크고전주의 시대 연주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접목하여,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독자적인 해석을 선보였다.[1]

지휘자로서뿐만 아니라 건반악기 연주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많은 녹음을 남겼다. 하프시코드 독주 음반( 루이 쿠프랭, 요한 세바스찬 바흐, 토마스 아른, 윌리엄 버드의 "나의 레이디 네벨스 부크" 등) 외에도, "비밀 바흐/헨델/모차르트" 시리즈 녹음을 통해 당시 가정에서 널리 쓰였던 클라비코드를 대중에게 알리고 그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직접 역사적인 건반 악기들을 수집하고 소장하기도 했다.[5]

4. 2. 건반 악기 연주 및 연구

호그우드는 지휘자로서뿐만 아니라 건반 악기 연주자로서도 경력 전반에 걸쳐 활발히 활동하며 많은 녹음을 남겼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 레이먼드 레퍼드와 서스턴 다트에게 배웠고, 이후 영국문화원 장학금으로 프라하에 유학하여 라파엘 푸야나와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등에게 쳄발로 연주를 사사했다.[30] 네빌 매리너가 이끄는 아카데미 실내 오케스트라의 쳄발로 연주자를 역임하기도 했다. 고음악 아카데미와 모차르트 교향곡 전곡을 녹음할 때는 통주저음 연주자 역할을 맡았다.

하프시코드 독주 녹음도 다수 남겼는데, 루이 쿠프랭, 요한 세바스찬 바흐, 토마스 아른, 윌리엄 버드의 "나의 레이디 네벨스 부크" 등이 포함된다.[5] 또한 "비밀 바흐/헨델/모차르트" 시리즈 녹음을 통해 클라비코드를 적극적으로 알렸다. 이 시리즈는 당시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던 악기로서 클라비코드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하는 데 기여했다.[5] 그는 역사적인 건반 악기들을 직접 수집하기도 했다.[5]

2006년 고음악 아카데미 음악 감독직은 하프시코드 연주자인 리처드 에거에게 넘겨주었다. 2011년에는 미국 코넬 대학교에서 개최된 웨스트필드 국제 포르테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았다.[10]

5. 학문적 업적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처음에는 고전학을 공부했으나 음악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레이먼드 레퍼드와 서스턴 닷 등에게 배웠다. 이후 영국문화원 장학금으로 프라하의 찰스 대학교에서 연구하며 라파엘 푸야나, 구스타프 레온하르트에게 쳄발로 연주를 배웠다.[30]

그는 1973년 엔션트 실내 오케스트라(AAM)를 창립하여 이끌면서, 원전 연주 방식을 통해 바로크 음악과 고전파 음악부터 현대 작품까지 각 작곡가 음악의 본질을 탐구하고 실천했다. 특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집 녹음에서는 원전 악기 사용은 물론, 음악학자 닐 재슬로와 협력하여 악기 편성부터 연주법까지 철저히 고증하고 재현하려 노력했다.[31] 이처럼 그는 자신이 직접 음악학 연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음악 연구자들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또한 호그우드는 교육자로서도 활동하여 1992년부터 왕립 음악 아카데미 객원 교수를 지냈고,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가 되었다.

그는 여러 저서를 남기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BBC 뮤직 가이드 시리즈의 '트리오 소나타'(1979년)와 헨델에 대한 방대한 평전 '헨델'(1984년)이 있다.[33] 또한 조르주 비제의 극음악 '아를의 여인'을 원곡의 작은 편성(19세기 색소폰 포함)으로 녹음하고 직접 악보를 교정하여, 희곡의 부수 음악으로서 작품 본연의 모습을 조명하기도 했다.[34]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 역시 기존 악보와 다른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판본을 교정하여 베렌라이터 출판사에서 출판했다.[35]

5. 1. 편집 활동

호그우드는 존 다울랜드나 펠릭스 멘델스존과 같은 다양한 작곡가의 음악을 편집하는 작업을 했다. 1977년 뉴질랜드에서 존 월시의 작품집 '하프시코드 마스터 북 I'(퍼셀의 발표되지 않았거나 알려지지 않은 두 작품 포함)이 다시 발견되자, 호그우드는 1980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이 작품집의 재발행 편집을 맡았다.[11][12] 그는 2014년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의 음악 전체를 출판하는 것을 목표로 한 새로운 판본인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 전집'의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13]

또한, 모라비아 출신 작곡가 파울 브라니츠키(1756~1808)의 음악을 연구하고 출판하는 '브라니츠키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14] 그의 마지막 편집 작업은 체코 작곡가 레오폴트 코젤루의 피아노 소나타 전집에 대한 비평적 판본을 만드는 것이었다.[15]

5. 2. 브람스 "발견" 논란

2012년, 크리스토퍼 호그우드의 음악학적 활동은 요하네스 브람스의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피아노곡을 발견했다는 발표로 인해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16][17] BBC와 가디언(The Guardian) 등의 언론이 이를 보도했지만, 문제의 작품인 ''알붐블라트(Albumblatt)''는 이미 알려진 작품임이 밝혀졌다.

이 악보는 2011년 4월 공개 경매에서 "미발표"이며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소개되었고, 당시 경매 카탈로그에는 악보 전체가 실려 있었다.[18] 또한, 피아니스트 크레이그 셰퍼드(Craig Sheppard)는 2011년 4월 28일에 이미 이 곡을 초연한 상태였다.[19] 셰퍼드는 호그우드의 발견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 "어리석다"고 평가한 것으로 전해진다.[20]

호그우드가 편집한 이 곡은 주제적으로 연관된 변라장조 호른 트리오, 작품 40과 함께 묶여 2012년 2월 바렌라이터(Bärenreiter)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21]

6. 주요 저서

호그우드는 음악학자로서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BBC 뮤직 가이드 시리즈의 일환으로 출판된 '트리오 소나타'(1979년)와 헨델에 관한 평전 '헨델'(1984년)이 있다.[33] '헨델' 평전은 일본에서 미사와 토시키(三澤寿喜)에 의해 번역되어 1991년 도쿄 서적(東京書籍)에서 출판되기도 했다.[33]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트리오 소나타 (음악 안내서)'' (The Trio Sonata (Music Guides)eng), 1979년, BBC Books, ISBN 978-0-563-17095-2
  • ''궁정 음악'' (Music at Courteng), 1980년, Gollancz, ISBN 978-0-575-02877-7
  • ''헨델'' (Handeleng), 1984년 (1988년 판: Thames & Hudson Ltd, ISBN 978-0-500-27498-9) [33]
  • ''헨델: 수상 음악과 왕실 불꽃놀이를 위한 음악 (캠브리지 음악 핸드북)'' (Handel: Water Music and Music for the Royal Fireworks (Cambridge Music Handbooks)eng), 2005년,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486-3

7. 수상 및 영예

사망 당시 호그우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음악 교수, 왕립음악원 역사적 연주 방식 자문 방문 교수, 킹스 칼리지 런던 방문 교수였다. 그는 케임브리지 예수스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펨브로크 칼리지의 명예 연구원이기도 했다.

호그우드가 받은 주요 상훈과 명예 직함은 다음과 같다.

연도수상/영예 내역수여 기관/비고
1982펠로우(FRSA)왕립예술협회
1986월터 윌슨 코벳 메달음악가 숭고한 조합
1989명예 펠로우지저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1989자유인음악가 숭고한 조합
1989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
1991명예 음악 박사킬 대학교
1992명예 펠로우펨브로크 칼리지, 케임브리지
1992전기 부문 최종 후보조반니 코미소 상
1995명예 회원(Hon RAM)왕립음악원
1996음악상스코틀랜드 선데이,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
1996예술적 우수성상캘리포니아 대학교
1997명예 음악가상음악가 통합 협회
1999마르티누 메달[27]보후슬라프 마르티누 재단, 프라하
2007명예 박사취리히 대학교
2008명예 음악 박사케임브리지 대학교
2008헨델 상[25]할레
2011아일랜드 연구 위원회(IRC) 해리슨 메달[26]아일랜드 음악학회
2013명예 음악 박사왕립음악대학



또한 호그우드의 모차르트 레코딩은 널리 찬사를 받았으며, 그의 모차르트 교향곡, 레퀴엠, 티토 황제의 자비 해석은 모두 1982년부터 1996년까지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28]

8. 죽음과 유산

호그우드는 73세 생일 14일 후인 2014년 9월 24일, 케임브리지에서 뇌종양으로 사망했다.[22] 사망 직전 그는 영화감독 앤서니 패비안과의 시민 연합을 끝낸 상태였다.[23][24]

호그우드는 고음악 연주 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 1973년 창립한 엔션트 실내 오케스트라(Academy of Ancient Music, AAM)를 이끌며 오리지널 연주법을 사용한 고악기 연주를 통해 바로크 음악과 고전파 음악의 본질을 탐구하고 실천했다. 그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전집 녹음에서 잘 드러나는데, 오리지널 악기 사용은 물론 음악학자 자슬로와의 협력을 통해 악기 편성, 연주법 등 모든 요소를 원전 연구를 통해 재현하려 노력했다.[31] 이 녹음에서는 당시 콘서트 마스터였던 얍 슈뢰더와 함께 지휘를 맡기도 했다.

그의 음악적 탐구는 특정 시대에 국한되지 않았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에 대한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평전 《헨델》(1984)을 저술했으며[33], 조르주 비제의 극음악 '알르의 여인'을 오리지널 소편성으로 녹음하여 작품 본래의 모습을 조명했다.[34] 또한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는 기존 악보와 다른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판본을 교정하여 출판하기도 했다.[35]

호그우드는 미국 보스턴의 헨델-하이든 협회 명예 지휘자(1981년~) 및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실내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1988~1992년)을 역임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말년에는 20세기 음악 연주에도 적극적이어서, 스트라빈스키힌데미트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 작곡가들의 작품 해석에 바로크 및 고전파 음악 연주 경험과 지식을 접목하며 독자적인 색깔을 보여주었다. 오페라 지휘에도 능숙하여 1983년 돈 조반니로 데뷔한 이래 베를린 국립 오페라, 스톡홀름 왕립 오페라, 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등에서 활동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오페라에서는 이도메네오, 티토 황제의 자비, 토리드의 이피게니아 등을 지휘했다.

교육 분야에서도 기여하여 1992년부터 왕립 음악 아카데미 객원 교수를 지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가 되었다. 2006년 엔션트 실내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직을 리처드 이거에게 넘겨준 뒤에는 명예 음악 감독으로 활동했다. 호그우드는 연주자, 지휘자, 학자로서 고음악 해석과 연주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Christopher Hogwood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06-13
[2] 웹사이트 Christopher Hogwood CBE - Founder (1941-2014) https://aam.co.uk/ch[...] 2024-09-01
[3] 뉴스 Historic concert re-creation establishes performance standard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Sentinel 1994-04-18
[4] 웹사이트 Imeneo, Academy of Ancient Music, Hogwood, Barbican Hall – The Arts Desk http://www.theartsde[...] 2013-05-30
[5] 웹사이트 Catalogue of the Christopher Hogwood Instrument Collection http://www.hogwood.o[...]
[6] 웹사이트 Appointments http://www.timeshigh[...] 2010-07-22
[7] 웹사이트 European Capitals of Music http://www.gresham.a[...]
[8] 웹사이트 Music in Context http://www.gresham.a[...]
[9] 웹사이트 Music in Context: For Self-promotion – Mozart http://www.gresham.a[...]
[10] 웹사이트 Announcement – Westfield Center http://westfield.org[...]
[11] 서적 The Harpsichord mast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12] 간행물 Harpsichord News https://sgcimages.s3[...] 1982-08-01
[13] 웹사이트 Reviews of Carl Philipp Emanuel Bach: The Complete Works http://www.hogwood.o[...]
[14] 웹사이트 The Wranitzky Project http://www.wranitzky[...]
[15] 간행물 From Velvary, Bohemia, to the court in Vienna. The life of the imperial Kapellmeister Leopold Koželuh and a new complete edition of his keyboard sonatas https://www.academia[...] 2016
[16] 뉴스 Brahms piano piece to get its premiere 159 years after its creat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1-13
[17] 뉴스 A world premiere... by Brahm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1-13
[18] 웹사이트 Auction of April 20, 2011, Lot 228 http://www.doylenewy[...] Doyle New York, Auctioneers and Appraisers
[19] Youtube Craig Sheppard plays the World Premiere of the Brahms Albumblatt in A minor, 28 April, 2011, Seattle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2-06
[20] 웹사이트 Opinion http://www.telegraph[...] 2016-03-16
[21] 문서 ISMN 979-0-006-54109-6
[22] 웹사이트 Conductor Christopher Hogwood dies https://www.bbc.co.u[...] 2014-09-24
[23] 뉴스 Obituary: Christopher Hogwood CBE, conductor http://www.scotsman.[...] 2014-09-27
[24] 뉴스 Christopher Hogwood –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4-09-25
[25] 웹사이트 HÄNDEL-Festspiele Halle (Saale) http://www.haendelha[...] Haendelhaus.de
[26] 웹사이트 Irish Research Council – Harrison Medal | Society for Musicology in Ireland https://musicologyir[...]
[27] 웹사이트 Christopher Hogwood (conductor) on Hyperion Records https://www.hyperion[...]
[28] 웹사이트 Christopher Hogwood Artist GRAMMY.com https://grammy.com/a[...] 2024-04-14
[29] 웹사이트 We regret to announce the death of Christopher Hogwood on 24 September 2014 http://www.hogwood.o[...] 2014-09-24
[30] 웹사이트 クリストファー・ホグウッド https://www.sonymusi[...] 2024-12-22
[31] 웹사이트 プロフィール https://www.hmv.co.j[...] 2024-12-22
[32] 웹사이트 Christopher Hogwood (クリストファー・ホグウッド) https://dukesoftware[...] 2024-12-20
[33] 웹사이트 古楽指揮者、ホグウッド来日 ヘンデルの本領示す https://www.asahi.co[...] 2024-12-21
[34] 웹사이트 アルルの女~劇場のための音楽Vol.1 ホグウッド / バーゼルco. https://artist.cdjou[...] 2024-12-22
[35] 웹사이트 Vivaldi,A. Concerto op. 8/1 in E 'Spring', Urtext https://www.academia[...] 2024-12-22
[36] 웹인용 Christopher Hogwood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06-13
[37] 뉴스 Historic concert re-creation establishes performance standard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Sentinel 1994-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