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치너 모병 포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치너 모병 포스터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 모집을 위해 제작된 가장 유명한 이미지 중 하나로, 알프레드 리트가 그린 키치너 경의 그림을 활용했다. 이 포스터는 키치너 경의 강렬한 시선과 손가락으로 지목하는 모습으로, "당신의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라는 문구를 담아 대중의 군 입대를 장려했다. 이 디자인은 이후 다양한 국가와 시대, 목적에 따라 변형되어 사용되었으며,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영국 - 제국 남극 횡단 탐험대
제국 남극 횡단 탐험대는 섀클턴이 이끈 남극 탐험으로, 남극 대륙 횡단 목표는 실패했으나, 섀클턴의 리더십과 대원들의 헌신으로 전원 구조되어 협동, 인내, 헌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영국의 문화 - 윌리엄 모리스
윌리엄 모리스는 빅토리아 시대 산업화에 반발하여 수공예 부흥을 추구한 영국의 예술가, 디자이너, 시인, 소설가,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아츠 앤 크래프츠 운동의 선구자로서 모리스 상회 설립, 켈름스콧 프레스 운영, 사회주의자동맹 결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영국의 문화 - 가이 포크스 가면
가이 포크스 가면은 가이 포크스의 음모 기념 행사에서 유래되어 어린이들에게 판매되다 《V 포 벤데타》를 통해 정치적 저항의 상징이 되었고, 익명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권력에 대한 저항과 반란의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 1910년대 신조어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1910년대 신조어 - 범성애
범성애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성별에 대해 낭만적 또는 성적 매력을 느끼는 성적 지향으로, 전성애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성별을 넘어선 끌림을 강조하며, 1990년대 이후 성적 정체성으로서 의미가 확립되었고 양성애보다 넓은 젠더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키치너 모병 포스터 | |
---|---|
개요 | |
![]() | |
제목 | 키치너 경은 당신을 원한다 |
원제 | Lord Kitchener Wants You |
상세 정보 | |
종류 | 광고 |
언어 | 영어 |
매체 | 수채화; 인쇄물 |
발행년도 | 1914년 |
국가 | 영국 |
2. 역사적 배경
영국은 오랫동안 자원 입대를 통해 영국군을 유지해 왔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에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모집 포스터가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 대한 선전포고 이후, 대규모 병력 동원의 필요성이 시급해졌다. 영국 총리 H. H. 아스퀴스는 같은 달 키치너를 전쟁 장관으로 임명했다.[1] 당시 많은 이들이 단기전을 예상했던 것과 달리, 키치너는 전쟁이 장기화될 것이며 수십만 명의 자원군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2] 이러한 대규모 모병의 필요성은 기존의 신문 광고 방식과 더불어, 시각적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포스터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특히 수단 전쟁 등에서의 활약으로 국민적 인지도가 높았던 키치너를 전면에 내세운 모병 방식이 고려되었고, 이는 이후 유명한 키치너 모병 포스터가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2. 1. 영국군의 징병
한 세기 동안 영국군 모집은 엄격한 자원 입대 방식에 의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에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에서 모집 포스터가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영국 정부의 광고 계약 업무는 원래 폐하의 인쇄소에서 담당했지만, 신문사에 정부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피하고자 R. F. White & Sons 출판사로 이관되었다.1913년 말 전쟁이 임박하자 광고 계약은 다른 회사들로 확대되었다. 당시 전쟁 장관이었던 J. E. B. 실리는 Hedley Le Bas|헤들리 르 바스eng, 에릭 필드 및 그들이 속한 캑스턴 광고 대행사와 주요 영국 신문에 신병 모집 광고를 싣는 계약을 맺었다. 에릭 필드는 조지 5세 국왕의 문장과 "Your King and Country Need You|당신의 국왕과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eng"라는 문구를 담은 초기 광고 디자인을 제안했다. 영국이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 다음 날, 이 광고는 노스클리프 경 소유의 신문에 처음으로 전면 게재되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영국의 오랜 정책은 영국군에 대한 징집 없이 엄격한 자원 입대에 의존하는 것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모집 포스터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영국 정부의 계약 광고는 폐하의 인쇄소(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에서 처리했으나, 신문사에 정부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피하고자 이 업무를 R. F. White & Sons 출판사에 넘겼다. 1913년 말 전쟁이 임박하자 광고 계약은 다른 회사로 확대되었다. 당시 전쟁 장관이었던 J. E. B. 실리는 헤들리 르 바스(Hedley Le Bas), 에릭 필드(Eric Field) 및 그들의 캑스턴 광고 대행사(Caxton Advertising Agency)와 주요 영국 신문에 징집병 모집 광고를 게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에릭 필드는 조지 5세 국왕의 문장과 "당신의 국왕과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Your King and Country Need You)"라는 문구가 담긴 초기 전면 광고를 디자인했다. 영국은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고, 다음 날인 8월 5일 노스클리프 경 소유의 신문에 이 광고가 처음 게재되었다.영국 총리 H. H. 아스퀴스는 1914년 8월 키치너를 전쟁 장관으로 임명했다.[1] 현역 군인으로서 이 직책을 맡은 첫 사례였던 키치너는 독일과 싸울 대규모 군대를 모집하는 임무를 받았다. 단기전을 예상했던 당시 다른 이들과 달리, 키치너는 수십만 명의 지원병이 필요한 장기전을 예견했다.[2] 게리 S. 메신저(Gary S. Messinger)에 따르면, 키치너는 필드의 광고 디자인에 긍정적이었으나, 광고 말미에 "국왕 폐하 만세(God Save the King)"를 넣고, "키치너 경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Lord Kitchener needs YOU)"라는 문구를 제외하고는 원문을 변경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 이후 몇 달간 르 바스는 신문 모집 광고 개발을 위해 광고인 자문위원회를 구성했으며, 대부분 세로 약 27.94cm, 가로 두 개 열 형식의 광고를 제작했다.
캑스턴의 일러스트레이터 중 한 명인 알프레드 리테는 필드의 초기 징집 광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1914년 9월 5일자 주간 잡지 ''런던 오피니언''의 표지 삽화로 현재 널리 알려진 키치너 이미지를 디자인했다.[3][4] 당시 1페니에 판매된 이 잡지는 약 30만 부가 발행되었다.[5]
복제본 요청에 따라 잡지는 엽서 크기의 복사본을 100장당 1실링 4펜스(우편료 포함)에 판매했다. 이는 ''런던 오피니언''에 게재된 다른 만화 엽서들과 함께 광고되었다. 의회 모집 위원회(Parliamentary Recruiting Committee)는 이 디자인을 포스터 형식으로 사용할 권한을 얻었다.[18] "당신의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YOUR COUNTRY NEEDS YOU)"라는 문구를 사용한 유사한 포스터도 제작되었다.[6]
9월에는 빅토리아 하우스(Victoria House Print)에서 인쇄되고 ''런던 오피니언'' 명의로 발행된 포스터에 "영국인(Britons)"이라는 문구 아래, "당신을 원합니다(Wants You)"라는 문구 위에 키치너의 이미지가 실렸다. 포스터 하단에는 "조국 육군에 입대하십시오!(Join your Country's Army!)"와 "신이시여, 국왕을 구원하소서!(God, Save The King)" 문구가 포함되었다. 11월에는 데이비드 앨런 앤 선스(David Allen & Sons)가 동맹국 국기 아래 임금과 입대 관련 세부 정보와 함께 "당신의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your country needs you)"라는 문구가 적힌 동일한 키치너 이미지의 모집 포스터를 인쇄했다. 데이비드 앨런은 의회 모집 위원회의 인쇄소 중 하나였지만, 디자인 번호와 PRC(의회 모집 위원회)의 보증 표시가 없어 공식 간행물은 아니었다.
키치너는 "절대적인 의지와 권력의 인물, 영국 남성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리테의 작품에 자연스러운 주제가 되었다. 그의 이름은 징집 노력 및 새로 창설된 키치너 군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 리테가 속한 캑스턴 광고의 르 바스는 키치너가 "국가가 원하는 수천 명의 기억 속에 현장에서 얻은 위대한 전쟁 이름을 가진 유일한 군인"이기 때문에 광고 모델로 선택했다고 밝혔다.[19] 키치너는 수단 전쟁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고든 장군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수행한 인물로 알려졌다.[7] 그는 울즐리 원수, 로버츠 원수 등과 함께 영국에서 널리 존경받는 "신제국주의" 영웅 중 한 명이었다. 키치너의 외모, 특히 그의 덥수룩한 콧수염과 제복 칼라는 낭만적인 빅토리아 시대 스타일을 연상시켰다. 키치너는 키가 약 1.83m 약 5.08cm에 달하는 건장한 체격이었으며, 당시 에드워드 시대에 인기가 높았던 군사적 기풍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초토화 전술을 사용하고 제2차 보어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키치너는 식민지 시대 군사적 성공의 상징이 되었다. 포스터에 그의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가 얼마나 시각적으로 널리 인식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데이비드 루빈(David Rubin)은 이 이미지가 1920년대 상업적 관행이 확장되기 전 가장 초기 성공적인 유명인 홍보 사례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보았다.[28] 키스 서리지(Keith Surridge)는 키치너의 모습이 독일군의 가혹하고 위협적인 군국주의를 연상시켜 전쟁에서 영국의 승리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고 주장한다. 키치너는 전쟁의 끝을 보지 못했다. 그는 러시아 대표단과 함께 순양함 HMS ''햄프셔''에 탑승 중, 함선이 독일군 기뢰에 피격되어 침몰하면서 사망했다.
2. 3. 광고 계약과 초기 디자인
영국군은 오랫동안 엄격한 자원 입대 방식으로 병력을 충원해왔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에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모집 포스터가 영국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영국 정부의 광고 계약 업무는 본래 폐하의 인쇄소(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eng)에서 담당했으나, 신문사에 정부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피하고자 이 업무를 R. F. White & Sons 출판사에 넘겨 처리했다. 1913년 말 전쟁의 기운이 감돌자 광고 계약은 여러 회사로 확대되었다. 당시 전쟁 장관이었던 J. E. B. 실리는 헤들리 르 바스(Hedley Le Baseng)와 에릭 필드(Eric Fieldeng)가 운영하는 캑스턴 광고 대행사(Caxton Advertising Agencyeng)와 계약을 맺고, 주요 영국 신문에 모병 광고를 게재하도록 했다.에릭 필드는 조지 5세 국왕의 문장과 함께 "당신의 국왕과 조국이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Your King and Country Need Youeng)"라는 문구를 담은 최초의 전면 광고를 디자인했다. 영국이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 전쟁을 선포한 다음 날인 8월 5일, 이 광고는 노스클리프 경이 소유한 신문에 처음으로 실렸다.
2. 4. 키치너의 임명과 역할
영국 총리 H. H. 아스퀴스는 1914년 8월 키치너를 전쟁 장관으로 임명했다.[1] 키치너는 현역 군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전쟁 장관직을 맡았으며, 독일 제국과의 제1차 세계 대전을 위해 대규모 군대를 모집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전쟁이 단기간에 끝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키치너는 전쟁이 훨씬 길어질 것이며 수십만 명의 자원군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2]3. 알프레드 리트의 디자인
(내용 없음)
3. 1. 런던 오피니언 표지


3. 2. 포스터의 확산
3. 3. 디자인 요소와 상징성
포스터에 등장하는 허버트 키치너의 모습, 특히 정면을 응시하는 강렬한 눈빛과 상징적인 콧수염은 보는 이에게 절대적인 의지와 권위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당시 영국 사회가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남성성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알프레드 리테가 디자인한 이 포스터는 전체적인 구성이나 표현 방식에서 빅토리아 시대의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면이 있다. 또한, 포스터가 널리 퍼진 에드워드 시대에 고조되었던 군사적이고 애국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시각 자료로 평가된다.
4. 포스터의 영향과 유산
마고 애스퀴스가 키치너를 "훌륭한 사람이 아니라 훌륭한 포스터"라고 평했을 만큼,[8] 알프레드 리트가 그린 키치너의 초상화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 모집 캠페인에 사용된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1][18] 이 포스터는 전쟁을 상징하는 지속적인 이미지이자, 전쟁 선전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9][10][11][12][13][14]
일반적으로 키치너 포스터를 포함한 모병 포스터들은 100만 명 이상의 남성을 군대로 이끄는 데 기여한 원동력으로 여겨졌으며,[15] 실제로 포스터가 배포된 시점과 비슷한 1914년 9월에 가장 많은 자원병이 입대하기도 했다.[18] 그러나 포스터의 광범위한 유포에도 불구하고 모병 감소를 막지는 못했으며,[18] 실제 영향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특히 당시 더 많이 배포되었던 "30단어" 포스터와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가 재검토되기도 했다.[19][5][20]
포스터 속 키치너의 이미지가 보는 사람을 따라오는 듯한 독특한 시각적 효과는 '차별적 회전 효과'로 설명되며,[23][24][25] 이는 보는 이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카를로 긴즈부르크와 같은 역사가들은 이 이미지가 강력한 인물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유도한다고 분석했다.[26] 이러한 상징성과 영향력은 후대에도 이어져,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빅 브라더' 이미지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28] 수많은 패러디와 재해석을 낳았다.[29] 현대에도 영국군 모병 광고나 기념 주화 등에 활용되었으나,[30] 전쟁의 참상과 키치너의 행적을 고려할 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31]
원본 포스터는 공식적으로 대량 제작된 다른 포스터들에 비해 매우 희귀하며,[35] 현재 몇 점만이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높은 가치를 지닌다.[32][33]
4. 1. 모집 캠페인과 효과
알프레드 리트가 그린 키치너의 그림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의 모집 캠페인에 사용된 가장 유명한 이미지였다.[1][18] 이 그림은 전쟁의 지속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전쟁 선전의 걸작으로 계속해서 평가받는다.[9][10][11][12][13][14]일반적으로 이 포스터를 포함한 모집 포스터들은 100만 명 이상의 남성을 군대에 자원하게 만든 원동력으로 여겨진다.[15] 실제로 리트의 이미지가 게시된 시점과 비슷한 1914년 9월은 가장 많은 수의 자원병이 입대한 달이었다.[18] 더 타임스는 1915년 1월 3일 런던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모집을 호소하는 포스터가 모든 게시판, 대부분의 창문, 옴니버스, 트램, 상업용 밴에서 볼 수 있다. 넬슨 기념비의 거대한 기단이 그들로 덮여 있다. 그들의 수와 다양성은 놀랍다. 곳곳에서 키치너 경은 험악하게 커다란 손가락을 가리키며 '내가 당신을 원한다'고 외치고 있다."[18][16] 그러나 당시에도 비판적인 시각은 존재했다. 한 간행물은 군인 모집에 광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비판하며 "화려하게 리소그래피된 키치너의 차가운 눈이 잠재적인 신병에게 고정되고, 영국 육군 장관의 뻗은 손가락이 '내가 당신을 원한다'는 말과 함께 권총처럼 그를 겨냥한다. 이 아이디어는 5센트짜리 미국 시가의 광고에서 도용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17] 키치너 이미지의 광범위한 사용에 대해 마고 애스퀴스는 키치너를 "훌륭한 사람이 아니라 훌륭한 포스터"라고 평하기도 했다.[8][28]
비록 역사상 가장 유명한 포스터 중 하나가 되었지만,[18] 이 포스터의 실제 영향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광범위한 유포에도 불구하고 결국 모집 감소를 막지는 못했다는 평가도 나온다.[18] 1997년 제국 전쟁 박물관(IWM)은 리트의 디자인을 포함한 키치너 포스터의 실제 배포와 영향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박물관은 리트의 포스터 자체가 당시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은 아니었을 수 있으며, 오히려 의회 모집 위원회(PRC)의 공식 제품이었던 소위 "30단어" 포스터와 혼동되어 전후 IWM의 홍보를 통해 유명해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9] 실제로 30단어 포스터는 당시 가장 인기 있는 모집 포스터였으며, 리트의 이미지보다 10배 더 많이 인쇄되었다.[5][20] 30단어 포스터는 크리스마스까지 전쟁이 끝날 것이라는 기대가 무너지고 자원 입대가 감소하기 시작한 1915년 1월에 개발되었다.[21] 리트의 이미지는 더 시각적으로 강렬하고 문구가 간결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30단어 포스터의 공식적인 문구는 키치너의 연설에서 직접 따온 것이었다.[28]
2013년 제임스 테일러는 리트의 디자인이 전쟁 중 영향력 있는 모집 도구였다는 통념에 반박하며, 원본 삽화가 1917년 IWM에 인수될 때 오류로 포스터로 분류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5] 그는 당시 사진들을 검토한 결과, 리트의 포스터가 널리 알려진 만큼 실제로 인기가 있었거나 영향력이 컸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하지만 리버풀의 랭커셔 앤 요크셔 철도 역에서 찍힌 1914년 12월 15일자 사진에는 리트의 포스터가 다른 모집 포스터들과 함께 걸려 있는 모습이 명확히 보인다.[5][22]
포스터 속 키치너의 이미지가 보는 사람에게 미치는 시각적 효과는 E. B. 골드스타인이 "차별적 회전 효과"라고 명명한 현상으로 설명된다. 이 효과 때문에 키치너의 눈과 팔, 손가락이 보는 사람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그 사람을 따라오는 것처럼 느껴진다.[23][24][25] 역사가 카를로 긴즈부르크는 리트의 키치너 이미지를 그리스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미지와 비교하며, 강력한 인물과 시청자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을 만들어낸다고 분석했다.[26] 펄 제임스는 이러한 분석에 동의하며, 이미지의 설득력이 담론 심리학을 영리하게 활용한 결과이며 예술사적 방법론을 통해 그 공명 효과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대문자로 쓰인 "YOU"는 보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지목하며 키치너의 메시지에 집중하게 만든다.[28] 이 "YOU"에 대한 강조는 보는 이로 하여금 전쟁 참여라는 문제에 개인적으로 관여하게 만든다.[27] 니콜라스 힐리는 리트의 키치너 묘사의 중요성이 즉각적인 모병 실적보다는 이미지 자체를 둘러싸고 형성된 신화와 이후의 다양한 패러디에 있다고 보았다.[19]
이 포스터는 후대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당시 11세였던 조지 오웰은 이 포스터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훗날 소설 1984에 등장하는 "빅 브라더" 포스터 묘사에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8] 이미지는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지고 수없이 패러디되었다.[29] 1997년 영국군은 리트의 이미지를 다시 사용하여 모병 광고를 제작했는데, 키치너의 얼굴 대신 아프리카계 영국군 부사관의 얼굴을 넣었다. 2014년에는 영국 왕립 조폐국이 전쟁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2파운드 기념 주화에 리트의 키치너 이미지가 사용되었다.[30]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막대한 인명 피해와 키치너가 수단에서 벌인 군사 작전의 폭력성을 고려할 때, 그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31]
리트 디자인의 원본 포스터는 매우 희귀하다. 공식 PRC 포스터가 최대 10만 부까지 인쇄된 것에 비해 훨씬 적은 수량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7년에 설립된 IWM조차 1950년대가 되어서야 소장용 사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잡지 표지로 사용된 리트의 원본 삽화는 1919년 다른 전쟁 포스터들과 함께 전시된 후 IWM에 기증되었다. 1968년 Curwen Press가 HMSO를 위해 복제본을 인쇄한 것이 포스터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35] 2014년 7월에는 현존하는 4개의 원본 포스터 중 하나가 경매에서 10000GBP 이상에 팔렸다. 다른 세 개의 원본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브랜드, 포장 및 광고 박물관, 제국 전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2][33] 같은 해, 윔블링턴의 한 가든 센터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100주년을 기념하여 리트의 디자인을 이용한 옥수수 미로를 만들기도 했다.[34]
4. 2. 비판적 검토
알프레드 리트의 디자인을 포함한 키치너 포스터의 실제 영향력과 유포 범위에 대해서는 1997년 제국 전쟁 박물관 출판 이후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박물관은 이 포스터 자체가 당시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은 아니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리트의 디자인이 실제로는 의회 모집 위원회(Parliamentary Recruiting Committee, PRC)의 공식 포스터였던 소위 "30단어" 포스터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전쟁 이후 박물관의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리트의 디자인이 뒤늦게 더 유명해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19]실제로 당시에는 30단어 디자인이 더 널리 퍼진 모집 포스터였으며, 리트의 이미지보다 10배 더 많이 인쇄되었다고 추정된다.[5][20] 30단어 포스터는 1915년 1월, 크리스마스까지 전쟁이 끝날 것이라는 초기 예상이 빗나가고 자원 입대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자 제작되었다.[21] 물론 리트의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더 강렬하고 문구도 간결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키치너의 연설에서 가져온 30단어 포스터의 공식적인 문구는 헨리 제임스의 소설에나 어울릴 법한 딱딱한 표현이라는 비판도 있었다.[28]
2013년 제임스 테일러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리트 디자인이 전쟁 중 모병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통념에 반박했다. 그는 리트가 그린 원본 삽화가 1917년 제국 전쟁 박물관에 인수될 당시 포스터가 아닌 삽화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오류로 포스터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주장한다.[5] 테일러는 당시 사진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리트의 포스터가 후대에 알려진 만큼 널리 퍼졌거나 영향력이 있었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리버풀의 랭커셔 앤 요크셔 철도 역에서 1914년 12월 15일에 촬영된 사진에는 리트의 포스터가 다른 모병 포스터들과 함께 붙어 있는 모습이 명확히 확인되어,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5][22]
포스터 속 키치너의 이미지가 보는 사람을 따라오는 듯한 효과는 E. B. 골드스타인이 "차별적 회전 효과"라고 명명한 시각적 착시 때문으로 설명된다.[23][24][25] 역사학자 카를로 긴즈부르크는 리트의 키치너 이미지를 그리스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초상화에 비유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강력한 인물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분석했다.[26] 펄 제임스는 이러한 분석에 동의하며, 이미지의 설득력이 담론 심리학을 영리하게 활용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대문자로 강조된 "YOU"는 보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지목하며 키치너의 메시지에 주목하게 만들고,[28] 전쟁 참여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감을 느끼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27] 니콜라스 힐리는 리트의 키치너 묘사가 단순히 모병 실적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이후 이 이미지를 둘러싸고 형성된 신화와 패러디 등을 포함한 문화적 파급력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9]
원본 포스터 자체는 최대 10만 부까지 인쇄된 공식 PRC 포스터에 비해 매우 드물다. 1917년에 설립된 제국 전쟁 박물관조차 1950년대가 되어서야 이 포스터의 사본을 소장하게 되었다. 잡지 표지로 사용된 리트의 원본 삽화는 1919년 다른 전쟁 포스터들과 함께 전시된 후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1968년에는 커웬 프레스(Curwen Press)가 영국 문구청(HMSO)을 위해 복제본을 인쇄했는데, 이것이 이후 포스터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35]
4. 3. 심리적 효과
포스터 이미지가 보는 사람에게 미치는 효과는 E. B. 골드스타인이 '차별적 회전 효과'라고 명명한 현상에서 비롯된다.[23][24][25] 이 효과로 인해 키치너의 눈, 팔, 손은 보는 사람이 어느 방향에서 작품을 보든 그 사람을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진다.[23][24][25]역사가 카를로 긴즈부르크는 리트가 그린 키치너 이미지를 그리스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미지와 비교하며, 보는 사람이 강력한 인물과 직접 마주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분석했다.[26] 펄 제임스는 긴즈부르크의 분석에 동의하면서, 이러한 이미지의 강력한 의미 전달은 담론 심리학을 영리하게 활용한 결과이며, 예술사적 방법론을 통해 이 이미지가 왜 그토록 큰 반향을 일으켰는지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논평했다. 대문자로 쓰인 'YOU'는 보는 사람의 시선을 즉각적으로 사로잡아 키치너의 메시지에 집중하게 만든다.[28] 이렇게 'YOU'를 강조하는 방식은 보는 사람 개개인에게 전쟁 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을 던지며 책임감을 느끼게 한다.[27]
니콜라스 힐리는 리트가 그린 키치너 묘사의 중요성은 단순히 즉각적인 모병 실적보다는, 이후 이 이미지를 둘러싸고 형성된 신화나 패러디 같은 문화적 현상에 있다고 주장한다.[19] 이 포스터는 당시 11세였던 조지 오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훗날 그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빅 브라더' 포스터 묘사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8] 이 이미지는 대중문화 속에서 널리 알려지고 수없이 패러디되었다.[29]
4. 4. 대중문화와 현대적 응용
리트의 키치너 포스터는 당시 11세였던 조지 오웰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는 이 포스터를 소설 ''1984''에서 전체주의 국가의 감시를 상징하는 "빅 브라더" 포스터 묘사의 기초로 삼았을 수 있다.[28] 이 이미지는 이후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지고 패러디의 대상이 되었다.[29]1997년 영국군은 리트의 이미지를 다시 사용하여 모집 광고를 제작했는데, 이때 키치너의 얼굴 대신 아프리카계 영국군 부사관의 얼굴을 넣었다. 또한 리트의 키치너 이미지는 조각가 존 버그달(John Bergdahl)이 영국 왕립 조폐국을 위해 디자인하여 2014년에 발행된 2파운드 동전에도 등장했다. 이 동전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5년간 발행될 시리즈의 첫 번째 동전이었다.[30] 같은 해, 윔블링턴(Wimblington)의 스카이락 가든 센터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100주년을 기념하여 리트의 디자인을 활용한 옥수수 미로를 만들기도 했다.[34]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막대한 인명 피해와 수단에서 벌어진 키치너의 군사 작전 등을 고려할 때, 이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반전(反戰)적인 함의를 담아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31]
5. 모방과 변형
키치너가 정면을 응시하며 손가락으로 보는 사람을 직접 가리키는 독특한 구도는 매우 강력한 시각적 메시지로 받아들여져, 이후 수많은 모방작을 낳았다. 이 디자인은 단순히 군 입대를 독려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국가에서 정치적 선전, 사회 운동 참여 독려, 공익 캠페인 등 광범위한 목적으로 차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영국의 존 불 포스터나 미국의 엉클 샘 포스터[36]와 같이 참전국들의 모병 포스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내전 시기 백군과 붉은 군대 양측의 징집 포스터, 독일의 국가방위군 모병 포스터 등 군사적 목적의 모방 사례가 다수 등장했다.
이러한 영향력은 군사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시온주의 운동에서는 유대인 군단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이 구도를 활용했으며,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에서는 반혁명 세력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담은 포스터에, 브라질의 제헌 혁명이나 스페인 내전 시기에는 혁명 참여나 민병대 지원을 호소하는 데 사용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선 지원을 독려하거나 협동조합 가입을 유도하는 포스터[38]에도 이 형식이 등장했다. 심지어 캐나다의 전쟁 채권 판매[37]나 미국의 스모키 베어를 이용한 산불 예방 캠페인과 같은 비군사적, 공익적 목적의 포스터에서도 키치너 포스터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5. 1. 제1차 세계 대전
키치너의 포스터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참전국들의 모병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포스터 속 인물이 정면을 응시하며 손가락으로 보는 사람을 직접 가리키는 구도는 강력한 메시지 전달 방식으로 받아들여져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형태의 포스터를 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 미국 등 주요 참전국뿐만 아니라, 전쟁에 참여한 다른 여러 세력들도 이 형식을 차용하여 군인 모집이나 전쟁 지원 독려에 활용했다.[36][37]5. 1. 1. 영국
보는 이들을 가리키는 키치너의 그림은 영국 내에서도 모방되었다.대표적인 예로 1915년경 제작된 포스터는 영국의 국가 의인화 캐릭터인 존 불이 정면을 응시하며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포스터에는 "누가 결석했나? 그것은 너인가?(Who's Absent? Is it YOU?)"라는 문구가 적혀 있어, 보는 이에게 직접 참전을 독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같은 해인 1915년에는 존 레드먼드가 등장하여 아일랜드 연대 입대를 촉구하는 포스터도 제작되었다.
5. 1. 2. 미국

미국에서는 제임스 몽고메리 플래그가 1917년에 제작한 엉클 샘 포스터가 유명하다. 이 포스터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 모병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나는 당신이 미 육군에 필요하다"(I Want YOU for U.S. Armyeng)라는 직접적인 문구와 함께 엉클 샘이 정면을 응시하며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모습은 키치너 포스터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36]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서는 유대인 군단 모병을 위한 포스터도 제작되었다. 이 포스터에는 시온의 딸이 등장하며, 이디시어로 "당신의 구 뉴 랜드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유대인 연대에 입대하십시오"(אייער אלט ניילאנד דארף אייך האבען! טרעט אין יודישען רעגימענטyid)라는 문구를 통해 참여를 독려했다.
군사적 목적 외에도 키치너 포스터의 형식은 다른 캠페인에 차용되기도 했다. 1985년 미국의 산불 방지 캠페인에서는 스모키 베어 캐릭터가 등장하여 "오직 당신만이 산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Only You Can Prevent Forest Fireseng)라는 문구를 전했는데, 여기서 '오직 당신'(Only Youeng)이라는 표현은 키치너 포스터의 직접적인 호소 방식을 연상시킨다.
5. 1. 3. 시온주의 운동
키치너 포스터의 디자인은 다른 국가와 목적의 포스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시온주의 운동에서도 이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서는 유대인 군단 모병을 위해 포스터를 제작했다. 이 포스터는 시온의 딸을 전면에 내세우고, 이디시어로 "당신의 옛 새 땅은 당신을 필요로 합니다! 유대인 군단에 합류하십시오"라는 문구를 넣어 유대인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이는 키치너 포스터처럼 인물이 보는 사람을 직접 가리키며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식을 차용한 것이다.5. 2. 기타 국가 및 시대
키치너 포스터의 강력한 시각적 메시지와 보는 이를 직접 가리키는 구도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나라에서 군사적 목적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모방되었다. 이는 군대 모병뿐만 아니라 정치적 선전, 사회 운동 독려, 공익 캠페인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산되었다.예를 들어,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시기에는 반혁명 세력을 경고하는 포스터가, 아르메니아에서는 안드라니크 장군을 내세워 민족적 참여를 독려하는 포스터가 등장했다. 브라질의 제헌 혁명이나 스페인 내전 당시에도 모병 및 참여 독려를 위해 유사한 형식이 활용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선 지원을 독려하거나 협동조합 가입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었고, 나치 독일 점령 하의 슬로베니아 향토 방위군이나 살로 공화국의 해군 모병 포스터에서도 비슷한 도상을 찾아볼 수 있다. 캐나다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자금 마련을 위한 승리 채권 구매 독려 포스터[37]가, 미국에서는 스모키 베어를 활용한 산불 예방 공익 캠페인 포스터가 제작되는 등, 키치너 포스터의 영향력은 군사적 영역을 넘어 사회 전반으로 퍼져나갔다.
5. 2. 1. 러시아
러시아 적백 내전 시기에도 키치너 포스터의 영향을 받은 모병 포스터들이 제작되었다.1919년 백군은 "왜 당신은 군대에 있지 않습니까?"라는 직접적인 질문을 던지는 포스터를 통해 징병을 독려했다.[36]
1920년에는 드미트리 모오르가 제작한 붉은 군대의 포스터가 등장했다. 이 포스터는 "[붉은 군대에] 자원했습니까?"라는 질문 형식으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5. 2. 2. 일본
키치너 포스터의 직접적인 시선과 손가락질 구도는 군사적 목적 외에도 다양한 선전물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서는 1928년 일본 공산당의 기관지였던 잡지 前衛|젠에이일본어 (선봉)의 홍보 포스터가 대표적인 예시다. 이 포스터는 독자를 가리키는 듯한 인물과 함께 "보십시오! 우리는 유일한 전투적 프롤레타리아 예술 잡지입니다."라는 문구를 넣어 잡지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구독을 독려하는 데 활용되었다.[38]5. 2. 3. 기타
키치너 포스터에서 보는 이를 직접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구도는 이후 여러 나라에서 군대 모병뿐만 아니라 정치 선전, 공익 캠페인 등 다양한 목적으로 모방되었다.5. 3. 다른 목적의 사용
키치너 포스터의 상징적인 손가락 가리키기 디자인은 군인 모집 외에도 다양한 목적을 위해 모방되었다.이 외에도 소련에서는 1927년 협동조합 가입을 독려하는 포스터("당신이 만약 협동조합에 미참가자라면, 지금 바로 참가 등록하라")에 이 디자인을 활용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 Figures – Lord Horatio Kitchener (1850–1916)
https://www.bbc.co.u[...]
2019-12-23
[2]
서적
Peace And War: Britain In 1914
https://books.google[...]
Head of Zeus
2013-12-16
[3]
웹사이트
Call to arms
http://www.tes.co.uk[...]
TES
2008-05-12
[4]
서적
Kitchener: The Road to Omdurman and Saviour of the Nation
Constable & Robinson Ltd
2013-09-19
[5]
뉴스
"'Your Country Needs You' – The myth about the First World War poster that 'never existed'"
https://www.telegrap[...]
2013-08-02
[6]
웹사이트
Lord Kitchener "Your country needs you!"
http://www.sterlingt[...]
2011-03-31
[7]
문서
The Mahdist forces were defeated at the Battle of Omdurman 13 years after Gordon died at Khartoum
[8]
서적
Brushes and Bayonets: Cartoons, Sketches and Paintings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9]
웹사이트
British First World War Recruiting Posters
http://digitalcollec[...]
McMaster University
[10]
웹사이트
Propaganda 1914–18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11]
서적
British Propaganda in the 20th Century: Selling Democrac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2]
뉴스
Can propaganda be great art?
http://www.bbc.com/c[...]
BBC
2013-07-03
[13]
서적
War posters issued by belligerent and neutral nations 1914–1919
https://archive.org/[...]
A & C Black
[14]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In 100 Objects: In Association With The Imperial War Museum
https://books.google[...]
Octopus Books
[15]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in depth: The Pals Battalions in World War One
https://www.bbc.co.u[...]
2019-12-23
[16]
문서
Taylor identifies this as Michael MacDonagh writing in 1935 and notes the "I want you" is not the words of the poster but of Montgomery Flagg's Uncle Sam
[17]
간행물
The Soul of England
https://books.google[...]
1915-05-15
[18]
서적
Kitchener's army: the raising of the new armies, 1914–16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Kitchener wants YOU and Daddy what did YOU do in the great war?: The Myth of British Recruiting Posters
[20]
뉴스
Kitchener: The most famous pointing finger
https://www.bbc.com/[...]
2014-08-04
[21]
간행물
Volunteerism and Early Recruitment Efforts in Devonshire, August 1914 – December 1915
[22]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posters, 1914
http://www.nrm.org.u[...]
[23]
간행물
Affine Distortions of Pictorial Space: Some Predictions for Goldstein (1987) That La Gournerie (1859) Might Have Made
[24]
간행물
Pointing out of the picture
http://www.perceptio[...]
[25]
간행물
Compensation is unnecessary for the perception of faces in slanted pictures
http://people.psych.[...]
[26]
간행물
"'Your Country Needs You': A Case Study in Political Iconography"
http://www.mediastud[...]
[27]
간행물
Art and Propaganda in an Age of War: The Role of Posters
http://scientiamilit[...]
[28]
간행물
Losing Sight: War, Authority, and Blindness in British and American Visual Cultures, 1914–22
2011-09
[29]
웹사이트
Lord Kitchener "Your country needs you!"
http://www.sterlingt[...]
Sterling Times
[30]
웹사이트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WW – Outbreak UK £2 Brilliant Uncirculated Coin
http://www.royalmint[...]
Royal Mint
2014-02-20
[31]
뉴스
Calls for 'offensive' Kitchener WWI centenary coin to be scrapped
http://www.heraldsco[...]
2014-01-14
[32]
뉴스
Lord Kitchener Wants You: Rare First World War Posters Go On Sale
http://www.ibtimes.c[...]
2014-07-08
[33]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robertopi[...]
Robert Opie Collection
[34]
뉴스
Lord Kitchener WW1 poster created in Cambridgeshire maize maze
https://www.bbc.com/[...]
2014-07-18
[35]
문서
Taylor, Chapter One
[36]
서적
Uncle Sam Wants You : World War I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American Citize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Propaganda Poster: Buy Your Victory Bonds
http://www.warmuseum[...]
Canadian War Museum
2017-01-15
[38]
웹사이트
MIT Visualizing Cultures
https://visualizingc[...]
2023-04-17
[39]
웹사이트
Kitchener: The most famous pointing finger
https://www.bbc.com/[...]
BBC
2014-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