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나라는 인도 신화와 불교에서 유래한 상상의 존재로, 반은 사람, 반은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특히 음악적 재능을 지닌 천상의 존재로 묘사된다. 인도 신화에서는 반인반마 또는 반인반조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불교에서는 음악의 신이자 팔부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필리핀, 티베트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킨나라는 각기 다른 모습과 상징성을 가지며, 예술 작품과 종교적 상징으로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전설의 생물 - 가루라
가루라는 불교 미술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신성한 존재로, 기가쿠 가면, 부동명왕의 가루라 불꽃, 텐구 묘사의 원형, 현대 대중문화 모티브 등으로 나타난다. - 불교 전설의 생물 - 마호라가
마호라가는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신중 중 하나로, 거대한 지하 뱀의 형상으로 묘사되며 지구를 회전시키는 모습이나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 음악과 관련되어 나타나고, 사리불문경에서는 분노를 잘 내지만 보시를 행하는 사람이 환생하는 존재로 설명된다. - 동남아시아의 전설의 생물 - 아스왕
아스왕은 필리핀 민속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를 포괄하는 용어로, 뱀파이어, 내장 흡혈귀, 늑대인간, 마녀, 식인귀 등과 유사하며, 16세기 스페인 탐험가들의 기록에서 기원하여 카피스 지역과 관련이 깊고, 필리핀 공포 영화의 주요 소재로 활용되는 등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 동남아시아의 전설의 생물 - 끄라스
끄라스는 동남아시아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머리와 내장이 분리되어 날아다니는 존재로, 태국에서는 저주받은 여성, 캄보디아에서는 흑마법 실패한 마녀 등으로 묘사되며 가시에 취약하고 해 뜨기 전 몸과 합쳐져야 하는 약점을 지닌다.
킨나라 | |
---|---|
개요 | |
![]() | |
어원 | 산스크리트어: किम्नर (Kimnar) |
종류 | 신화 속 생물 |
문화권 | 힌두교, 불교 |
특징 | |
외형 | 반인반조 (半人半鳥) 때로는 켄타우로스와 유사한 반인반마 (半人半馬) |
성별 | 남성 (킨나라), 여성 (킨나리) |
능력 | 뛰어난 음악적 재능 |
신화 속 역할 | |
역할 |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천상의 음악가 |
관련 경전 | 마하바라타 자타카 (불교 설화) |
문화적 의미 | |
상징 | 사랑과 헌신 음악과 예술 조화와 균형 |
현대적 해석 | 제3의 성 (남성도 여성도 아닌 성)을 상징하기도 함. |
관련 개념 | |
관련 용어 | 히즈라 (남아시아의 제3의 성) 카나우라 (인도 히마찰프라데시의 사회 집단) 킨나라야 (스리랑카 싱할라족의 사회 집단 또는 카스트) |
기타 | |
언급 | 우리는 영원한 연인이자 사랑하는 사람이다. 우리는 결코 헤어지지 않는다. 우리는 영원히 남편과 아내이다. 우리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되지 않는다. 우리 무릎에는 자손이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연인이고 사랑받는 사람이다. 우리 사이에는 어떤 제3의 생명체도 사랑을 요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우리의 삶은 영원한 쾌락의 삶이다. |
2. 인도 신화와 불교
미얀마에서 킨나라는 케인나야 또는 킨나야(ကိန္နရာ|kèɪɰ̃nəjàmy)라고 불린다. 여성 킨나라는 케인나이 또는 킨나이(ကိန္နရီ|kèɪɰ̃nəjìmy)라고 불린다. 샨어로는 각각 ၵိင်ႇၼရႃႇ|kìŋ nǎ ràːmy와 ၵိင်ႇၼရီႇ|kìŋ nǎ rìmy이다. 미얀마 불교도들은 부처의 과거 136번의 동물 생애 중 4번이 킨나라였다고 믿는다. 킨나리는 또한 부처의 발자국에 있는 108개의 상징 중 하나이다.[4] 버마 예술에서 킨나리는 가슴을 가린 모습으로 묘사된다. 미얀마 아카데미상 수상자 동상은 킨나리이다. 킨나라와 킨나리 부부는 카렌니 사람들의 상징으로 여겨진다.[5]
필리핀 신화에서 킨나라(Kinara) 또는 킨나리(Kinnari)는 식민지 시대 이전에 양성적인 아름다움, 연인 간의 헌신, 신비로운 아름다움, 그리고 변치 않는 사랑을 상징했다. 이러한 초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묘사한 식민지 시대 이전의 금 세공품들이 발견되었다.[12]
티베트에서 킨나라는 미암치(མིའམ་ཅི་|mi'am cibo) 또는 '샹샹'(ཤང་ཤང|shang shangbo, 산스크리트어: civacivaka)으로 알려져 있다. 이 키메라는 머리만 있거나, 팔을 포함한 인간의 상반신과 날개 달린 새의 하반신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닝마 마하요가 불교 전통에서 샹샹은 '깨달은 활동'(Wylie: phrin las)을 상징한다. 샹샹은 천상의 음악가[17]이며, 종종 심벌즈와 함께 도상학적으로 묘사된다. 구전 전승의 특징인 동음이의어 유희가 나타난다. '샹'(གཆང|gchangbo)은 히말라야 토착 전통에서 사용되는 심벌즈나 징과 같은 의례용 악기이다. 샹샹은 때때로 가루다의 왕으로 묘사된다.
[1]
서적
The Sutra of Druma, King of the Kinnara and the Buddhist Philosophy of Music
2021-10-18
힌두 신화에서 킨나라는 반은 사람, 반은 말, 반은 새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비슈누 다르마오타라》는 킨나라를 반은 사람, 반은 말로 묘사하지만, 불교에서 킨나라의 정확한 본성은 반은 사람, 반은 새의 모습으로, 힌두 신화의 켄타우로스와 같은 킨나라와는 다르다. 킨나라는 신화 텍스트에서 데바, 간다르바, 차라나, 싯다, 압사라 등과 함께 언급된다.[8] 보드가야 조각상에 묘사된 말 머리를 가진 야크샤의 모습은 자타카가 그녀를 반신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킨나리이다. 자타카에 따르면, 킨나라는 요정이며 서로의 사랑과 헌신으로 유명한 쌍으로 등장한다. 찬다 킨나라 자타카에서 킨나라 부인의 부상당한 킨나라 남편에 대한 헌신은 그를 상처로부터 치료하기 위해 인드라가 나타나게 한다. 킨나라는 장수로 유명하다.[9]
자타카는 킨나라를 순진하고 해롭지 않으며 새처럼 뛰어다니고 음악과 노래를 좋아하며, 여성은 북을 치고 남성은 류트를 연주하는 존재로 묘사한다. 자타카 481번에서는 킨나라가 잡혀서 우리에 갇혀 왕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바쳐진다고 묘사된다. 자타카 504번에는 킨나라의 자서전이 있는데, 킨나라 종족을 인간과 같은 존재로 묘사하며, 야생 동물은 그들을 그렇게 생각하고 사냥꾼은 그들을 고블린이라고 부른다. 킨나라는 노래하고, 피리를 불고, 부드러운 몸짓으로 춤을 출 수 있다. 칼리다사는 그의 쿠마라 삼바바에서 그들을 히말라야에 산다고 묘사한다. 킨나라는 판다라카, 트리쿠타카, 말란기리, 칸다파바타, 간다만다나 언덕에도 살았다(자타카 485번). 그들은 다정했으며 자타카 540번은 부모가 숲으로 떠난 인간 아기를 간호하는 킨나라의 이야기를 언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기묘한 동물로 여겨져 사냥당하고 포획되어 왕들에게 오락거리로 제공되었다. 꽃이 그들의 옷을 이루었고, 음식은 꽃가루였으며, 화장품은 꽃 향수로 만들어졌다.[9]
초기 인도 예술에서 킨나라의 묘사는 자주 반복되는 주제이다. 산치, 바르후트, 아마라바티, 나가르주나콘다, 마투라의 고대 조각상과 아잔타의 그림은 킨나라를 묘사하고 있다. 그들은 종종 탑을 옆에 두고 조각상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 그들은 탑을 숭배하기 위해 손에 화환이나 꽃이 담긴 쟁반을 들고 있다. 때때로 킨나라는 오른손에 화환을 들고 왼손에 쟁반을 들고 조각상에 나타난다. 그들은 또한 보리수, 다르마차크라 앞에서 나타나거나 악기를 연주하기도 한다.[9]
킨나라는 음악의 신으로, 특히 노래가 아름답다고 여겨진다. 야차와 함께 브라흐마의 발톱에서 태어났으며, 카일라스 산에 있는 쿠베라의 천계에서 악사로서 음악을 연주한다고 한다.[19] 킨나라(남성의 킨나라)는 반인반마이며, 말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거나 사람 머리에 말의 몸을 하고 있다고 한다.[19] 킨나리는 아름다운 천녀이며, 때때로 지상에 내려와서 물놀이 등을 하며 논다고 한다.[19] 타이 등 동남아시아에서는 킨나리는 반인반조로, 하반신이 새를 닮았다.
신도, 사람도, 축생도, 새에도 해당하지 않는 반인반수의 생물로 여겨지며, 인비인이라고도 한다. 한역에서 인비인, 의신으로 여겨지는 것은 산스크리트어의 narasa(인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불교에서는 건달바와 마찬가지로 제석천의 권속으로 여겨지며, 팔부중의 하나로 꼽힌다. 또한, 밀교에서는 대장계만다라의 외금강부원 북방에 배치되어 있다.
『대수긴나라소문경』1에는 향산의 대수긴나라가 석가불 앞에서 8만 4천 가지의 음악을 연주하고, 마하가섭이 그 묘한 선율에 본래의 기성과 위엄을 잊고 일어나 춤을 추었다는 고사가 유명하다.
3. 동남아시아의 킨나라
캄보디아에서 킨나라는 크메르어로 '''케나'''(កិន្នរ|kěn nɑ ˈraːkm)로 알려져 있다. 여성형인 킨나리(កិន្នរី|ken nɑ ˈrəjkm)는 캄보디아 예술과 문학에서 남성형보다 더 자주 묘사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크메르 건축의 기둥을 지지하는 조각상으로 조각되어 나타난다. 킨나리는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춤에 능숙하다.[6] 로밤 케노레이라는 고전 무용은 연꽃 연못에서 노는 킨나리를 묘사한다.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 멘두트, 파원, 세우, 사리, 그리고 프람바난 사원에서 킨나라와 킨나리 부부의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다. 보통 인간의 머리를 가진 새, 혹은 새의 다리를 가진 인간으로 묘사된다. 킨나라와 킨나리 한 쌍은 보통 생명의 나무인 칼파타루를 지키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보물의 단지를 지키기도 한다.[10] 사리 사원의 킨나라-킨나리 부조는 킨나라를 천사의 대중적인 이미지와 매우 유사하게, 등 뒤에 새의 날개를 단 천상의 인간으로 묘사하여 독특하다. 보로부두르에는 유명한 킨나리인 마노하라의 이야기를 묘사한 부조가 있다.[11]
태국 문학에서의 킨나리(กินรี|th)는 인도에서 유래되었지만, 태국 문화에 맞게 수정되었다. 태국 킨나리는 천사 같은 의상을 입은 젊은 여성으로 묘사된다. 몸의 하반신은 새와 유사하며, 인간 세계와 신비로운 세계 사이를 날아다닐 수 있게 해준다. 태국 예술에서 가장 인기 있는 킨나리 묘사는 방콕의 왓 프라깨우를 장식한 황금 킨나리 조각상으로, 반은 처녀이고 반은 거위인 형상을 묘사한다.[14]
태국에서 가장 유명한 킨나리는 ''마노라'' (มโนรา|th, 마노하라에서 유래)로 알려진 인물이다.[15] 마노라는 약 1450년에서 1470년 사이에 치앙마이의 불교 승려이자 현자였던 사람에 의해 쓰여진 팔리어 책인 "판나스 자타카"에 수집된 이야기 중 한 명의 여주인공이다.[16] 이 책은 붓다의 전생 50가지 이야기를 모아 놓은 것으로, 불교 신자들에게는 자타카로 알려져 있다. 킨나리 마노라에 대한 특정 이야기는 수다나 자타카라고 불렸는데, 이는 이야기의 영웅이자 마노라의 남편인 보살 수다나 왕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동남아시아에서 킨나리는 반인반조로, 하반신이 새를 닮았다.
4. 중국과 일본의 킨나라
긴나라(緊那羅)는 소림사에서 쿵후 신앙으로 모셔지는 주신이며, 소림사에는 긴나라왕을 모시는 장소가 있다. 『하남부지(河南府志)』에 따르면, 원나라 시대에 소림사에는 주방의 잡무를 담당하는 행자가 있었다. 그는 머리를 깎지 않고, 상체를 드러내고, 맨발로 항상 장작을 팰 막대기를 들고 다녔다.[22] 홍건군이 소림사를 공격했을 때, 그는 갑자기 수십 장이나 키가 커지더니, 스스로를 "긴나라왕"이라고 칭했다. 홍건군은 이것을 보고 당황하여 도망쳤다. 그 후 이 행자도 성불했다. 소림사 승려들은 비로소 이 행자가 긴나라왕의 화신임을 알고 그의 소상을 만들어 긴나라전을 증축했다. 그는 절의 호법 가람보살이 되었다.
5. 필리핀의 킨나라
1981년경 수리가오에서 킨나리의 금제 조각상이 발굴되었다. 이 조각상은 반은 여성, 반은 새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여성의 아름다움, 우아함, 성취를 상징하는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 금 세공품이다.[13]
6. 티베트의 킨나라
참조
[2]
서적
Love stories from the Mahabharata, transl. Pradip Bhattacharya
Indialog
[3]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ʻang Exo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웹사이트
2008 Myanmar Academy Awards
http://www.mmtimes.c[...]
2010-09-01
[5]
웹사이트
Myanmar legends
http://www.myanmar.g[...]
2010-09-01
[6]
서적
Modern Cambodian-English Dictionary
Dunwoody Press
[7]
서적
Chinese mythology, A to Z
Chelsea House
[8]
서적
Kinnaur, a Restricted Land in the Himalaya
https://books.google[...]
Indus Publishing Company
1991
[9]
서적
Mythical Animals in Indian Ar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0]
웹사이트
Pawon
http://candi.pnri.go[...]
2017-08-18
[11]
서적
Borobudur: Golden Tales of the Buddha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2]
서적
Others - The Mind of Philippine Folklore
https://www.webnovel[...]
Webnovel
[13]
웹사이트
A Golden Discovery in the Philippines
https://asiasociety.[...]
[14]
서적
Architecture of Thailand: A Guide to Tradition and Contemporary Forms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15]
서적
Tibetan tales, derived from Indian sources
London, K. Paul, Trench, Trübner & co. ltd.
[16]
서적
The Big Book of World Mythology
https://books.google[...]
Penguin UK
[17]
웹사이트
Mythical creatures, Kinnara
https://himalayanbud[...]
2021-11-02
[18]
서적
天部の仏像事典
東京美術
[19]
서적
幻想動物事典
[20]
서적
Risky Bodies & Techno-Intimacy: Reflections on Sexuality, Media, Science, Financ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08-17
[21]
웹사이트
Hijra (Hinjda, Aravani, Khusra)- Meaning, People, Religion, Samaj, Caste & History
https://webconte.com[...]
WebConte
2021-11-01
[22]
뉴스
紧那罗王诞辰日 少林寺举行上供祈福法会
http://www.zzldcn.cn[...]
[23]
서적
Love stories from the Mahabharata, transl. Pradip Bhattacharya
Indialog
[24]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ʻang Exotic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